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朝鮮時代漢語敎科書與近代漢語硏究

        汪維輝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2 人文科學 Vol.84 No.-

        引言 중한양국은 매우 오랫동안 교류해왔지만 두 나라의 언어 체계가 틀려서 교류에 있어 언어가 하나의 장벽이 되어왔다. 본고에서는 당시 중국어를 배우기 위한 한국에서의 중국어 교과서에 대한 소개를 하고 이러한 교과서의 연구자료상 가치와 그 연구현황에 대해 토론하고자 한다. 2.조선시대의 중국어 교과서 2.1 「老乞大」, 「朴通事」 가장 유명하고 가장 오래된 중국어 교과서로 그 제작연대는 중국의 원 말기의 至元연간으로 추정된다. 정통 중국어 입말이 위주이며 蒙古語의 영향도 보인다. 그 내용은 일상회화로 여행, 무역, 풍속관습, 典章制度 등을 포괄하고 있는데 『朴通事』의 내용이 『老乞大』보다 광범위하고 심도가 깊어 『朴通事』가 고급과정이라면 『老乞大』는 초급과정에 속한다. 특히 최근 한국에서 개인이 소장했던 古本 『老乞大』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앞으로 주요한 연구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2.2 『訓世評語』 (上·下, 1473/1518) 1473년 6월에 편찬되었으며 65가지의 고사가 수록되었는데, 名賢과 節婦에 관한 이야기가 주 내용이며 일부 유머가 넘치는 전설도 있다. 이 책을 다른 중국어 교과서와 체례상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작가 李邊의 독창적인 작품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이 책은 대화체가 아니라 이야기를 하는 문체로 言文對照를 해놓았다. 사상적인 면을 중시하는 점에서 학문적 소양이 풍부한 학자가 쓴 희귀한 중국어교과서 자료로 보인다. 2.3 『華音啓蒙諺解」 (上 ·下, 1883) 李應憲의 저작 『業音啓蒙』에 대한 諺解本으로 모두 40페이지에 달한다. 이책은 '부열'라는 용어사용과 俗字가 많이 나타나는 점이 주의할 만하다. 2.4 『이니귀성』과 『學淸』 『이니귀성』은 1冊, 34페이지에 달한다. 책제목은 회화부분의 한 문장을 따서 만들었다. 『華音啓蒙』과 같이 북방 방언투의 사투리가 있는데 『이니귀성』과 『華音啓蒙』은 내용과 연대가 비슷하며 방언도 유사하여 비교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學淸』은 『이니귀성』의 手記本으로 '學習淸語'를 줄인 것으로 회화부분에는 『이니귀성』 1, 3부분만 수록되어있다. 위의 『華音啓蒙諺解』, 『이니귀성』, 『學淸』은 아직 연구가 되어있지 않다. 3. 자료의 가치와 연구상황 近代中國語의 分期에 대해서는 아직 일치된 견해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중국어교과서는 중국 근대중국어시기,즉 元, 明, 淸 三代의 중국어발전사상 중요한 자료가 된다. 『老乞大』의 연구상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1 음운 『老乞大諺解』와 『朴通事諺解』로 明代의 음운을 연구할 수 있다. 그 연구 결과로 (1)濁聲母가 淸化되었으며 (2) 疑母가 소실되었다. (3) 捲舌音이 형성되기 시작했고 (4) -m운미가 -n운미로 합병되었다. (5) 入聲 운미가 소실되었다. 그러나 梅祖麟과 遠藤光曉가 『飜譯老乞大朴通事』의 諺文 주음과 성점을 텍스트로 중국어 성조에 대한 연구를 하여 調値를 재구했는데 특히 入聲에 대한 의견에서 차이를 보인다. 梅祖麟은 입성을 1개로 재구했고 遠藤光曉는 2가지로 재구하였다. 3.2 어법 虛詞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3.3 어휘 특수단어에 대한 考釋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4. 연구전망 4.1 자료의 발굴, 정리, 발간 4.2 한중협력 - 당시 韓國語 千涉의 유무에 관한 硏究, 韓中比較硏究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