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國遺事』 「古朝鮮 條」 기록에서 ‘古’의 의미와 그 시간적 범위

        李鏡淑 ( Lee¸ Keoungsuk ),文致雄 ( Moon¸ Chiung ) 근역한문학회 202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0 No.-

        본 연구는 古의 시간사적 의미인 昔과 古代에 대한 논의이며, 특히 『三國遺事』「古朝鮮條」에서 古朝鮮이라 칭한 그 古의 의미와 시기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정리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우선 고대의 내용을 담고 있는 주요 문헌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古의 시기와 그 구체적인 시대를 세분화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三國遺事』「古朝鮮條」에서 해당 시기에 대한 기록들을 찾아 古의 시대와 비교하고 구분, 정리하였다. 「古朝鮮條」에서 『古記』를 인용하여 기록한 “昔有桓國”에서 桓國이 있었던 昔의 시대는 上古에 해당함을 보였다. 이와 관련한 내용으로 당시의 관직명인 “風伯, 雨師, 雲師”에 대해 『山海經』, 『史記』등을 포함한 고대를 기록한 문헌 분석 결과 그 시기가 上古시대의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문헌 분석을 통해 나타나는 古에 대한 시간적 구분은 上古, 中古, 近古(後古, 下古)의 세 구간으로 나누고 있는데, 上古와 中古사이에 治水라고 하는 막대한 사건과 이를 중심으로 등장하는 인물들의 시대를 古의 중심 분기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보고, 본 연구에서는 이를 구분하여 本古로 하였다. 『玉篇』에 보면, 古는 “久也, 始也”라 하여 오래전 처음 시작하던 때라 한 내용이 보이는데, 本古를 본격적인 古의 시작으로 보고, 이보다 앞선 시대의 上古를 昔으로 하였다. 이렇게, 昔이라고도 하는 上古와 中古사이의 本古시대를 따로 분류하여 시대 구분의 한 기간으로 삼아, 단군조선을 건국한 시기를 本古로 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伏羲神農, 蚩尤’로 대표되는 시기는 昔인 上古시대로, 堯舜時代를 비롯한 虞夏, 殷과 고조선 건국 시기는 上古와 구분하여 本古의 시기로 분리하였다. 『三國遺事』의 “與高同時”가 의미하는 시대는 바로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세운 시대를 말하는 것으로 바로 堯舜시대와 같은 古의 시대인 本古라고 구분할 수 있다. 中古는 보통 周文王시대로, 『三國遺事』「古朝鮮條」의 “周虎王卽位己卯(周나라 虎王이 즉위한 己卯년)”에 보이는 시기를 말한다. 近古에 해당하는 기록은, “壇君乃移於藏唐京後還隱於阿斯達爲山神壽一千九百八歲。(단군이 藏唐京으로 옮겨 살다가 후에 살 곳을 아사달의 산에 만든 때는 단군이 命을 할 때부터 1908년이 된다)”의 내용 중에서 “壽一千九百八歲”이라고 한 것을 근거로 나라를 건립하고 1908년이 지난 시점은 단군 조선이 건국된 B.C. 2333년으로부터 1908년이 지난 시기인 B.C. 425년을 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C. 425년은 공자가 사망한 B.C. 475년 보다 50년 後의 시대로, 이 의미는 이때까지도 왕검 조선이 존속하였음을 의미한다.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old (古) means as the pre-ancient (上古) and ancient era (古代) based on temporal meanings, which is the important historical meanings in order to understand ancient era. The study approach, firstly, subdivided the ancient era and its specific period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ajor literature containing ancient contents.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ancient temporal classification, the periods appearing in the records of the Samgukyusa(三國遺事) were compared with major literature, and classified into four periods such as Pre-ancient, Primary ancient, Middle ancient, and Late ancient periods. The Phrase 昔有桓國 expressed in Gojoseon article of Samgukyusa, which means Hwan dynasty (桓國) existed in Pre-ancient era. We can also found the official titles related to this era including Hwanung (桓雄), Usa (雨師), Unsa (雲師) and Pungbaek (風伯) in Samgukyusa. The era of Dangun Wanggeom, Yao and Shun (堯舜), Yu Xin (虞夏), and Yin (殷) separated from Pre-ancient and there era can be classified into Primary ancient era. There is a record in the Samgukyusa that Dangun Wanggeom founded the country called Joseon, and that there were Yao as a person at that time. The primary ancient is the beginning of ancient and the early of ancient era. The Middle ancient is generally classified by the time of beginning the king Wen (文王) reign of Zhou dynasty about BC 1122. This time is referred to the during the reign of King Ho (虎) of Zhou dynasty (周虎王卽位己卯) described in Samgukyusa. The record corresponding to the Late ancient is the 1908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untry based on the BC 2333 in the contents of 壇君 ... 壽一千九百八歲. Therefore It's time can be seen that BC 425 years. It is 1908 years after establishment of Dangun Joseon at BC 2333 is BC 425. This time is 50 years later than BC 475 when Confucius died. This means that there were still royal Dangun Joseon during this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