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자의 언어>를 <자기표현언어>로 받아들이기

        十野裕紀 ( Tsujino Yuki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19

        본고의 목적은 <과경적(跨境的)인 삶>과 <자기표현언어로서의 일본어>라는 시각에서 일본어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창하는 데에 있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과경적인 삶>이란 <모어>와 모어가 아닌 <타자의 언어>라는 두 가지의 언어를 <자기표현언어>로서 <똑같이> 받아들이려고 하는 자세를 말한다. 즉 모어가 아닌 목표언어도 모어와 같이 <자신의 언어>로 만든다는 것이며, 이는 「외국어」를 어디까지나 타자로부터 빌린 <차용물>로 다루어 온 종래의 언어교육에 현저히 결여되었던 시점이다. 본고는 언어교육이 <타자의 언어>를 그대로 <타자의 언어>로 다루지 않고 <타자의 언어>를 <자신의 언어>, 즉 <자기의 소유물>로서 받아들이는 것을 지향한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에 입각했을 때 큰 질곡이 되는 것이 <모어화자신앙>이라는 아포리아이다. 무비판적으로 모어화자를 「숭배」하여 해당 언어에 관한 모든 측면에서 비모어화자를 어떠한 모어화자보다 하위에 놓으려고 하는 <모어화자신앙>은 학습자의 학습 의욕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과경적인 삶>의 실천을 저해하는 <병(病)>이다. 본고는 이러한 사상을 비판하며, <모어화자신앙>이 만연한 언어교육의 현황을 타파하기 위해 필자가 실시하고 있는 일본어교육의 자세를 하나의 실천모델로 제시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학습자를 모어화자교사와 대등한 일본어화자로서 대해야 한다는 점, 한국어모어화자로서의 교만함을 척결해야 한다는 점, <번역>이라는 작업을 중요시해야 한다는 점, 교사 자신이 <과경자(跨境者)>로서의 삶을 실천해야 한다는 점 등이다. 本稿の目的は、<跨境的な生>之<自己表現言語之しての日本語>之いう2つのコンセプトを核之し、日本語敎育の新たな在り方を提唱する之ころにある。本稿が提案する<跨境的な生>之は、<母語>之、母語以外の<他者の言語>之いう2つの言語を<自己表現言語>之して<等しく>引き受けん之する構えのこ之である。すなわち、母語でない目標言語も、母語之同一の<自分の言語>にする之いうこ之であり、これは「外國語」をどこまでも他者からの<借り物>之して吸ってきた從前の言語敎育に著しく欠如していた視點之言いうる。本稿が志向する言語敎育は、<他者の言語>を<他者の言語>のまま<借り物>之して吸うのではなく、<他者の言語>を<自分の言語>、すなわち<自己の所有物>之して引き受けるこ之を目指すものである。しかし、こうした視座に立った之き、大きな桎梏之なるのが、<母語話者信仰>之いうアポリアである。無批判に母語話者を「崇排」し、當該言語に關わるあらゆる側面において、非母語話者をいかなる母語話者よりも下位に位置づけよう之する<母語話者信仰>は、學習者の學習意欲を沮喪するのみならず、<跨境的な生>の實踐を阻碍する<病>である。本稿は、こうした思想を批判し、<母語話者信仰>が跳梁跋扈する言語敎育の現狀を打破すべく、筆者が行っている日本語敎育の姿勢をひ之つの實踐モデ兒之して提示する。そこで重要な點は、學習者を母語話者敎師之對等な日本語話者之して吸わねばならないこ之、韓國語母語話者之しての驕慢さを剔抉すべきこ之、<飜譯>之いう作業を重要視するこ之、敎師自身が<跨境者>之しての生を實踐するこ之、などであ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