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近代新宗教の思潮と公共性

        北島義信(Kitajima Gishin)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5 한국종교 Vol.38 No.-

        19세기 중기 동아시아에 위치한 일본과 한국은 공통적으로 역사의 전환기에 직면한다. 이 전환기에 민중의 세상 바꾸기에 대한 갈망은 두 나라에 공통적으로 존재하지만, 기성 종교에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갈망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나 전망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 과제에 부응한 것은 한국과 일본의 신종교(민중종교)였다. 이들 신종교는 구미의 근대사상에 기초하지 않고, 서민 생활과 밀접히 결합된 토착 종교문화에 의거하면서 이를 근대세계에 합치할 수 있는 것으로 발전시키는 방향성을 가지고 있었다. 거기에는 세속권력의 상대화, 인간주의와 남녀평등, 현세주의, 인류애, 인간의 주체성과 상생의 시점이 존재한다. 여기서 ‘나’를 말살하지 않고, ‘나’의 세계를 넘어, 공공의 세계로 전개되는 공공철학을 볼 수 있다. 일본 신종교(민중종교)의 가장 큰 공헌은 민중의 입장에서 진기사상(神祇 思想)을 발전시키고 인간평등을 드높여, 식민지를 합리화하고 민중을 억압하는 국가신도와 종교적으로 정면대결을 벌였다는 점이다. 국가신도는 자신의 내부에 스스로를 무너뜨릴 신도적 종교를 안고 있었던 것이다. Aspirations of the people to reform the world are commonly found in both Korea and Japan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but existing religions did not provide proper perspectives to respond to those aspirations. It was new religions which answered people"s demands in both countries. New Religions based on indigenous cultures of religions which were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not on modern ideas of the West, showed new orientation to adapt to the modern world. It also suggested new perspectives such as relativizing secular power, humanism, gender equality, emphasizing this world, personal independence, public concern, etc. We can find public philosophy in it which goes beyond "self" without annihilating "self," and furthermore develops toward the public sphere. As new religions enhanced the value of human equality and developed Jingi thought (神祇思想) from the peoples’ perspective, it could have confronted national Shintoism which coerced people and rationalized colonialism, which might be the biggest contribution of new Japanese religions. We can say that national Shintoism embraced Shintoistic religions which had enough power to demolish national Shintoism itself.

      • KCI등재

        日本近世社会における大同思想に関する研究

        北島義信(Kitajima Gishin)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6 한국종교 Vol.39 No.-

        동아시아 근대에서 일본은 식민지주의·제국주의를 내포하는 서구형 ‘국민국가’ 형성의 길을 걸었다. 메이지유신 후의 일본은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식민주의·제국주의적 전개에서 ‘주역’ 역할을 수행하고, ‘근대화’라는 이름하에 국내에서의 반대세력을 압살하면서 이웃나라 지배를 구체적으로 추진해 나갔다. 이러한 정치적 정세 하에 ‘오리엔탈리즘’도 그 사상적 영향력을 확대시켜 나갔다. 그 결과 일본에서는 자립과 저항, 아시아 연대사상으로서의 ‘대동사상’은 구축되지 못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일본에 ‘대동사상’이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근세 18세기 중엽에 봉건주의적 지배에 저항하는 사상가로서의 안도 쇼에키(安藤昌益)에게서 그 사상의 발로를 볼 수 있다. 안도 쇼에키 사상의 독자성은 현실사회를 진실한 사회(자연세)로 나아가는 과도기로 파악하고, 그 사회를 자연법칙과 합치된 이상사회로 변혁시키는 가능성을 밝힌 ‘자연활진세(自然活眞世) 부합론’과 이 이론을 지탱하는 ‘호성묘도(互性妙道)’ 개념에 있다. 쇼에키가 그린 ‘진실한 사회’는 예기「예운」편에 나오는 이상사회를 의미하는 ‘대동’사회와 지극히 유사하다. 또한 ‘호성묘도’ 개념은 상호의존관계, 대립물의 통일, 자기운동, 전화(轉化)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고, 이상사회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현대적인 비폭력·공생의 방식도 제시하고 있다. 안도 쇼에키는 봉건사회체제와 함께 불교나 중국사상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지만, 그 비판의 초점은 도쿠가와 막부체제를 옹호하는 이데올로기로서의 ‘중국사상·불교’에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쇼에키의 개념들을 검토해 보면 중국 사상과 불교의 합리적인 중심개념이 채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사상은 불교·중국사상의 핵심을 제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근대의 진보적 사상과도 공통항이 존재한다. 또한 그의 사상은 이슬람사상, 아프리카의 우분트사상과도 통하는 글로벌한 폭을 지니고 있다. In Modern East Asia, Japan followed a path to the formation of a Euro-American- style ‘nation state’ combined with colonialism and imperialism. After the Meiji Restoration, Japan played a protagonis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olonialism and imperialism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did its best to dominate neighboring countries, suppressing domestic resistances under the name of ‘Modernization’. In this political climate, ‘Orientalism’ had spread its ideological influence over the Japanese people. As a result, it was impossible to develop the Datong Thought(大同思想)that had been encouraging anti-colonialist movements in East Asia. However, it doesn’t necessarily follow that no such thought could flourish in Japan. We are able to find it in Shizen Shineido (自然真営道)by Ando Shoeki.(安藤昌益). The uniqueness of his thought consists in the theory of the Transitional Period through which present class society is destined to change into the True Society, and also in the concept of Gosei-Myoudo (互性妙道) which constitutes the bases of his theory. The True Society (自然の世,Shizen no Yo) in Ando Shoueki is very similar to the ideal society depicted in ‘Liyun’ of the Book of Rites(Liji)(礼記「礼運」). As for the concept of Gosei-Myoudo, it contains the meanings of Reciprocity, Reconcilement of Antagonisms, Self-movement, and Change, which suggest ways to deepen the contextual meanings of Nonviolence and Coexistence in the contemporary world. Ando Shoeki leveled caustic criticism at Buddhist and Chinese thought as well as at Japanese Tokugawa Feudalism. However, his main focus of criticism was the Buddhist and Chinese ideology that had supported the Tokugawa system. It is nevertheless clear from an analysis of his concepts that he accepted core ideas from Buddhist and Chinese thought. In fact, he had a global perspective in his thought, which has many points in common with modern progressive Korean thought, Islamic and African Ubuntu thought, as well as Buddhist and Chinese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