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Wood Cultural Resources in South Korea

        ( Yeonjung Han ),( Sang-min Lee ),( Jinyoung Choi ),( Chun-young Park ) 한국목재공학회 2021 목재공학 Vol.49 No.5

        The recent social atmosphere has been a preference for wood utilization and woodworks. The general public does not have many opportunities to enjoy wood culture, so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and foundation of wood culture. In this study, classification and case analysis of wood culture were conducted as basic research for establishing a promotion strategy for the general public to enjoy wood culture. The specificity of wood culture and cultural resources was analyz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wood cultural resources. Through the analysis, wood cultural resources were defined as products created as a result of human activities that implied the cultural value of wood and wood use in terms of conservation, discovery, and utilization. The types of wood cultural resources we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using the classification examples performed on cultural resources: cultural heritage, cultural facilities, cultural festival, wood architecture, culture contents, culture education, and wood products. In addition, cases were searched and proposed for each type of wood cultural resources.

      • SCOPUSKCI등재

        Investigation on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Wood Culture to Promote the Value of Wood: I. Awareness of Wood and Cultural Experience(목재의 가치증진을 위한 목재문화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조사: Ⅰ. 목재와 문화체험에 대한 인식)

        ( Yeonjung Han ),( Sang-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21 목재공학 Vol.49 No.6

        일반인의 목재에 대한 인식개선은 목재이용 확대를 통한 목재문화 정착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재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략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로 일반인의 목재문화 체험현황과 요구사항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항목은 목재문화 인식, 목재문화 이용현황, 목재문화에 대한 선호와 요구, 목재문화의 하위분야 인식, 목재문화 자원에 대한 인식, 목재이용 트렌드, 목재관련 생활환경 등 7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조사결과를 목재와 문화체험에 대한 인식, 유형별 목재문화자원에 대한 인식, 생활환경과 목재이용 트렌드, 목재문화에 대한 선호와 요구의 4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로 구분된 항목 중 일반인의 목재와 문화체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일반인은 목재와 목재문화에 대하여 재료, 문화유산, 친환경 등의 이미지를 갖고 있으나 2가지를 크게 구분하지는 않았다. 목재이용은 인간의 신체와 정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고 있으나 목재의 활용이 산림을 파괴하는 것이라는 인식을 응답자의 45%가 갖고 있었다. 또한 목재와 관련된 직업은 기술자 또는 기능인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으며, 목재교육전문가와 같은 교육자로서의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목재문화와 관련된 주요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응답자의 50%에 미치지 못하였다. 응답자의 30%가 목공체험을 포함한 목재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으며 대부분 수공구를 이용한 경험이 있었다. 목재문화프로그램을 통해 제작하고 싶은 것은 가구류, 소품류, 건축물 등이 있었다. 목재문화체험장에 대하여 알고 있는지에 대해 응답자의 23%가 인지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들 중 방문경험이 있는 경우는 약 50%이었다. 목재교육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역량으로는 목공기술에 대한 응답률이 73%로 제일 높게 측정되었다. 일반인의 목재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대인은 체험에서 교육적 요소보다 오락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보다 많은 일반인에게 목재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오락적 요소를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과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mproving public awareness of wood is essential for achieving the goal of establishing wood culture by expanding the use of wood. This study presents a basic examination of the strategy of revitalizing wood culture and a survey of its current status and requirements. The survey was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awareness of wood culture; use characteristics of wood culture; preference and demand for wood culture; awareness of sub-fields of wood culture; awareness of the cultural resources of wood; trends of wood utilization; and wood-related living environmen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study analyzed four items: awareness of wood and cultural experience; awareness of the cultural resources of wood; wood-related living environment and trends of wood utilization; and preference and demand for wood culture. In this study, the public awareness of wood and cultural experiences, the first of four items, was analyzed using the survey results. Generally, wood and wood culture are viewed as materials and a cultural heritage, respectively. Moreover, wood is ecofriendly. However, no substantial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perceptions. Forty-five percent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using wood exerts a positive effect on the body and mind. However, such use also destroys forests. Additionally, the recognition of wood-related workers, such as engineers or skilled workers, was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educators, such as wood education experts. Moreover, less than 5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major projects related to wood culture are well-known, whereas 30% participated in wood education, such as woodworking experience, where the majority required hand tools. Furniture, wooden accessories, and wooden buildings were among the objects that individuals intended to make through the wood culture program. Approximately 23%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about the wood culture experience center, while approximately 50% had visited it. The response rate to woodworking technology was 73%, where the highest response was found for wood education experts. To improve public awareness about wood, the importance of entertainment factors over education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xperience of individuals. To provid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wood culture for more individuals, developing and actively promoting various contents, including entertainment elements, are necessary.

      • SCISCIESCOPUS
      • SCOPUSKCI등재

        Investigation on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Wood to Promote the Value of Wood: II. Awareness of Wood Cultural Resources(목재 가치 증진을 위한 목재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조사: Ⅱ. 목재문화자원에 대한 인식)

        ( Yeonjung Han ),( Sang-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21 목재공학 Vol.49 No.6

        목재문화 활성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일반인의 목재문화에 대한 인식정도와 유형별 목재문화자원의 체험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응답자의 31.4%가 목재문화자원에 대하여 궁궐, 사찰, 한옥, 문화재 등 문화유산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목재문화자원에 대한 이미지가 없다는 응답자 중에서 목재문화자원의 개념이 모호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40.2%이었으며, 목재문화자원 자체를 생각해본 적이 없다는 응답이 40.1%이었다. 7가지로 분류된 목재문화자원의 중요도는 문화유산, 목조건축, 문화시설, 문화행사, 목재제품, 문화교육, 문화콘텐츠의 순서로 나타났다. 목재문화자원을 체험하기 위한 정보의 필요성과 충분성에 대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46.7%는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응답자의 64.8%는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향후 1년 이내에 목재문화를 체험하고 싶은 의향은 대부분의 목재문화자원에서 과반 이상의 응답율을 나타냈으나, 실제로 7가지 목재문화자원에 참여하였던 빈도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목재제품을 제외하면 20% 내외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반인이 목재문화자원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보다 대중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일반인에게 홍보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전략수립이 요구된다. In order to establish a strategy for revitalizing wood culture,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vel of public awareness of wood culture and the experience of wood cultural resources by type. According to the survey, 31.4% of respondents had the images of cultural heritage such as palaces, temples, Hanoks, and cultural assets for wood cultural resources. The main reasons for having no image of wood cultural resources were the ambiguous concept and lack of interest in wood cultural resources. The importance of wood cultural resources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was in the order of cultural heritage, architecture of wood, cultural facilities, cultural festivals, wood products, cultural education, cultural contents. In the survey on the necessity and sufficiency of information on wood cultural resources, 46.7% of respondents needed more information to experience of wood cultural resources, while 64.8% of them had lacked information about wood cultural resources.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anted to experience of wood culture within next year, but about 20% of respondents participated in seven kinds of wood cultural resources, except wood products used in daily life. Based on these results, a systematic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to expand the opportunity for the public to experience of wood cultural resources and to promote them to public.

      • SCISCIESCOPUS

        Improvement of shear strength, wood failure percentage and wet delamination of cross-laminated timber (CLT) panels made with superheated steam treated (SHST) layers of larch wood

        Han, Yeonjung,Park, Yonggun,Chang, Yoon-Seong,Chung, Hyunwoo,Eom, Chang-Deuk,Yeo, Hwanmyeong Walter de Gruyter und Co 2017 Holzforschung Vol.71 No.11

        <P>Cross-laminated timber (CLT) panels - consisting of several cross-wise stacked layers of glued boards - have a high dimensional stability. However, the outer surfaces of CTL are exposed to environmental humidity changes and thus to swelling and shrinking. To improve CLT's dimensional stability further, the layers of kiln dried (KD) CLT were substituted partly (on the surfaces) and entirely with superheated steam treated (SHST) wood. The effects of SHST wood and the performance of the one-component polyurethane resin (PUR) were tested by block shear and delamination tests after water soaking.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shear strength ranged from 1.3 MPa to 4.7 MPa and the wood failure percentage (WFP) from 76% to 92%. The optimal parameter were ascertained as pressing time (30-45 min), pressure (0.98 MPa) and adhesive amount (175-200 g m(-2)). The water soaked delamination of CLT manufactured with SHST wood was approximately 50% lower than that of CLT made of KD wood.</P>

      • SCOPUSKCI등재

        Moisture Content Change of Korean Red Pine Logs During Air Drying: I. Effective Air Drying Days in Major Regions in Korea (소나무 원목의 천연건조 중 함수율 변화: I. 국내 주요지역의 유효천연건조일수 조사)

        ( Yeonjung HAN ),( Chang-Deuk EOM ),( Sang-Min LEE ),( Yonggun PARK ) 한국목재공학회 2019 목재공학 Vol.47 No.6

        천연건조는 건조되는 목재의 수종, 밀도와 크기, 천연건조장의 위치조건과 함께 건조지역의 기상인자를 고려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4계절의 구분이 있는 지역은 여름과 겨울의 온도 및 상대습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기상인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원목의 천연건조 중 함수율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국내 24지역의 1988년부터 2017년까지 30년간 월별 평균 기온, 상대습도, 풍속의 기상인자를 이용하여 유효천연건조일수를 산출하였다. 24지역의 유효천연건조일수는 239 - 291일 범위로 평균값은 265일이었다. 이 결과는 1955년부터 1984년까지의 기상인자로 산출된 유효천연건조일수의 평균인 260일 비하여 약 5일 증가한 값이다. 유효천연건조일수와 기상인자들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효천연건조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인자는 온도, 상대습도, 풍속의 순서였다. 지역별로 산출된 유효천연건조일수를 이용하여 우리나라를 4개의 유효천연건조일수대로 구분한 결과, 유효천연건조일수대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것에 비하여 위도상 북쪽으로 상승하였다. 서울지역에서 수행된 소나무 원목의 천연건조 중 함수율 분포를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의 월별 평균온도, 상대습도, 풍속의 기상인자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평형함수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Air drying depends on species, density, dimension of wood,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air drying yard, and the meteorological factors of air drying site. If there are four seasons with large difference in temperature and humidity like in Korea, the research of the meteorological factors is required in air drying site. In this study, effective air drying days (EADD) of 24 regions in Korea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average monthly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The EADD in 24 regions in Korea was ranged from 239 days to 291 days, with an average 265 days. This result is 5 days increased compared to the average of EADD calculated using the meteorological factors from 1955 to 1984.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ADD and meteorological factors showed that EADD affected in the order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As a result of dividing Korea into 4 zones of EADD, the zones of EADD were moved northward compared to previous study due to global warming. As basic data for predicting the moisture content (MC) distribution of Korean red pine logs during air drying conducted in Seoul, the average monthly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for three years from 2016 to 2018 were presented, and the corresponding changes of the equilibrium MC were analyzed.

      • 의미연결망을 활용한 목재특성의 상관관계 분석

        한연중 ( Yeonjung Han ),이상민 ( Sang-min Lee ),김지안 ( Jian Kim ),김명길 ( Myungkil Kim ),이성숙 ( Sung-suk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의미연결망 분석은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에서 정의된 노드(node)의 연결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각 노드의 관련성과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최근 사회과학 분야를 비롯한 자연과학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연결망 분석기법(UCINET; Analytic Technology)을 활용하여 연결망 내 노드의 구조분석과 관련된 개념인 매개중심성을 기준으로 목재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목재특성은 KS F 1551 「목재 관련 용어-목재의 성질 및 결점」에 제시된 29개 항목의 세포구조, 13개 항목의 물리적 성질, 12개 항목의 수분특성으로 결정하였다. 세포구조, 물리적 성질, 수분 특성을 각각 1개의 집합으로 가정하고, 각 집합 내의 상관관계를 1-모드 네트워크로 분석하였다. 먼저 KS F 1551에 제시된 목재특성의 용어 정의에 다른 목재특성이 포함된 경우 서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설정하고, 목재 특성의 비방향-이진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세포구조에서 매개중심성은 나이테, 방사방향, 형성층의 순서로 나타났다. 물리적 성질에서는 밀도, 수축, 치수안정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수분특성에서는 섬유 포화점, 함수율, 수분경사의 순서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논문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Web of Science DB)의 논문목록에서 주요어 빈도를 활용하여 관계를 설정하였다. 서로 다른 목재특성을 「제목-주제」로 검색한 논문목록에서 각각의 목재특성의 주요어로 포함된 빈도를 방향-계량 네트워크로 분석한 결과, 세포구조에서의 매개중심성은 세포, 미성숙재, 나이테의 순서로 나타났다. 물리적 성질에서는 함수율, 수축, 치수안정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수분특성에서는 밀도, 수축, 치수안정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목재특성의 각 집합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2-모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할 경우, 중심성이 높은 목재특성을 도출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목재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활엽수 제재목으로 제작된 원목가구의 탄소저장 효과

        한연중 ( Yeonjung Han ),이상민 ( Sang-min Lee ),손동원 ( Dong Won Son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목공·DIY 교육 및 공방에서는 재료의 수급과 경제성의 문제로 수입집성판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교육과 체험 등에 이용되는 디자인이 집성판을 중심으로 설계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목공·DIY 현장에서는 재료의 수급이 용이하고 가격경쟁력을 갖춘 국산재를 요구하고 있지만, 국산집성판은 생산구조의 문제로 가격경쟁력을 갖추기 힘든 상황이다. 본 연구는 목공·DIY제품의 소재로써 국산 활엽수 제재목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제재목에 적합한 가구 디자인을 제시하고, 아까시나무, 층층나무, 산벚나무, 자작나무, 오리나무 등 5수종을 이용하여 테이블, 침대, 싱크대 등 10종의 원목가구를 제작하였다. 원목가구의 종류에 따라 이용된 활엽수 제재목의 수량은 차이가 있었으나, 10종의 제작에 쓰인 활엽수 제재목은 193본이었다. 제작과정에 이용된 국산 활엽수 제재목과 집성판의 경제성을 비교하고 활엽수 제재목의 체적 기준 탄소저장량을 산출하였다. 활엽수 제재목의 가격은 규격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평균 1,602,881원/㎥이었다. 이는 국산 잣나무 집성판의 가격인 3,006,584원/㎥의 53%이며, 수입된 편백, 자작나무, 스프루스 집성판의 평균 가격인 1,543,210원/㎥와 유사하였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의 활엽수 기준인 밀도 0.56 kg/㎥, 탄소계수 0.5를 적용하여 산출한 활엽수 원목가구 10종의 탄소저장량은 0.37이었으며, 이산화탄소(CO<sub>2</sub>)저장량은 1.34 tCO<sub>2</sub>이었다.

      • 목재문화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조사: Ⅱ. 목재문화에 대한 선호와 요구

        한연중 ( Yeonjung Han ),이상민 ( Sang-min Lee ),김지안 ( Jian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목재문화의 확산전략 마련을 위하여 전국의 만 19세 이상 일반인을 대상으로 목재문화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의 주요내용은 목재문화에 대한 인식, 목재문화 이용현황, 목재 문화에 대한 선호와 요구의 3가지 대분류로 구분하였으며, 이 중 본 연구에서 분석된 목재문화에 대한 선호와 요구는 목재를 이용한 선호제품, 목재문화 체험 효과, 목재문화 영역별 참여/이용 의향, 선호하는 목재문화체험 프로그램의 진행방법, 적절한 프로그램 운영시간, 목재문화체험 프로그램 이용료 지불 의향, 목재문화체험 프로그램 선택시 고려요인, 자녀와 함께하고 싶은 목재문화체험 프로그램의 8가지 중 분류로 구분하였다. 목재를 이용하여 만들고 싶은 것은 ‘가구’라는 응답이 13.9%로 가장 높았고, ‘의자’, ‘테이블’, ‘책상’, ‘목조주택/한옥’, ‘식탁’, ‘침대’ 등의 순으로 목조주택을 제외하면 대부분 가구라는 응답이었다. 5점 척도를 기준으로 목재문화 체험의 효과는 ‘숲과 나무에 대한 지식 및 정보습득(3.98)’, ‘창의력 향상(3.92)’, ‘다양한 경험(3.91)’, ‘환경감수성 증진(3.88)’, ‘스트레스 해소(3.77)’ 등 정서적 안정 효과에 대한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목재문화의 영역별 참여 의향은 목재제품 및 다양한 행사참여에 대하여 5점 척도에서 3점 중반으로 나타났다. 목재문화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응답은 ‘단기(2-4회)’의 기간과 ‘진행자 안내 프로그램’ 형식으로 ‘1-2시간’ 정도 운영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조사되었다. 프로그램의 이용료는 ‘5천원-1만원’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프로그램의 선택 시에는 ‘접근성’, ‘프로그램 내용’, ‘편의성’ 등을 고려한다는 응답이 있었다. 또한 자녀들의 ‘다양한 경험’과 ‘여가활동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목재 문화행사’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견이 많았다. 목재문화체험의 활성화를 위하여 ‘전문가 육성/관리’, ‘홍보 강화’, ‘시설 및 공간 확대’, ‘학교 등 교육기관으로 확장’ 등이 추진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