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LOOKING INTO HARRY 1 : a guide for teachers of thinking and moral education

        박진환,Mattew Lipman,Megan Laverty 한국윤리교육학회 2006 윤리교육연구 Vol.0 No.9

        LOOKING INTO HARRY 1a guide for teachers of thinking and moral education 도덕교육과 사고력교육과의 관련성은 무엇인가? 흔히들 사고력교육은 도덕교육과 관련없는 것으로서 도덕교육외적 영역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다. 도덕적 판단력교육은 도덕적 사고력 교육에 의존하며 도덕적 사고력교육은 사고력교육에 의존한다. 특히 배려적 사고기술, 창의적 사고기술등 사고력이 기술의 수준에 다다를 때 습관화 즉 덕의 교육 인격교육과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덕적 사고력교육 또는 사고력교육이 도덕판단 교육과 어떻게 관련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최근 괄목할만한 연구들이 있어왔다. 도덕적 상상력의 교육이 대표적인 최근의 연구라면 논리적 상호성과 공정성의 개념과의 관계에 대한 피아제의 연구는 고전적인 것에 속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별적인 연구들이 도덕판단의 다측면적 성격을 그려내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저자들은 비판적 사고기술, 창의적 사고기술, 배려적 사고기술이 도덕판단에 다같이 작용하며 이러한 새로운 개념이 종래의 도덕원리에 의한 판단이라는 도덕판단 개념에 에 대체되어야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입장의 연장선상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고력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를 모색한 것이다. 특히 어린이 철학 프로그램의 하나인 노마의 발견(Harry Stottlemeyer's Discovery)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이를 통해 어떻게 탐구가 일어나며 탐구에 필요한 사고기술과 사고양식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도덕판단 교육에 있어 종래의 도덕추론의 한계를 지적한다. 도덕문제 해결에 있어서 논리의 형식적 적용을 강조하는 도덕추론과 구체적 맥락에서의 적합한 판단을 위해서 다국면적 기준들을 고려하는 윤리탐구의 방식은 엄연한 차이가 있다. 새로운 도덕교육을 위해서는 도덕추론을 포함하는 윤리탐구적 접근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LOOKING INTO HARRY 1: a guide for teachers of thinking and moral education

        ( Jin Whan Park ),( Mattew Lipman ),( Megan Laverty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6 윤리교육연구 Vol.0 No.9

        도덕교육과 사고력교육과의 관련성은 무엇인가? 흔히들 사고력교육은 도덕교육과 관련없는 것으로서 도덕교육외적 영역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다. 도덕적 판단력교육은 도덕적 사고력 교육에 의존하며 도덕적 사고력교육은 사고력교육에 의존한다. 특히 배려적 사고기술, 창의적 사고기술등 사고력이 기술의 수준에 다다를 때 습관화 즉 덕의 교육 인격교육과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덕적 사고력교육 또는 사고력교육이 도덕판단 교육과 어떻게 관련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최근 괄목할만한 연구들이 있어왔다. 도덕적 상상력의 교육이 대표적인 최근의 연구라면 논리적 상호성과 공정성의 개념과의 관계에 대한 피아제의 연구는 고전적인 것에 속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별적인 연구들이 도덕판단의 다측면적 성격을 그려내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저자들은 비판적 사고기술, 창의적 사고기술, 배려적 사고기술이 도덕판단에 다같이 작용하며 이러한 새로운 개념이 종래의 도덕원리에 의한 판단이라는 도덕판단 개념에 에 대체되어야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입장의 연장선상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고력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를 모색한 것이다. 특히 어린이 철학 프로그램의 하나인 노마의 발견(Harry Stottlemeyer`s Discovery)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이를 통해 어떻게 탐구가 일어나며 탐구에 필요한 사고기술과 사고양식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도덕판단 교육에 있어 종래의 도덕추론의 한계를 지적한다. 도덕문제 해결에 있어서 논리의 형식적 적용을 강조하는 도덕추론과 구체적 맥락에서의 적합한 판단을 위해서 다국면적 기준들을 고려하는 윤리탐구의 방식은 엄연한 차이가 있다. 새로운 도덕교육을 위해서는 도덕추론을 포함하는 윤리탐구적 접근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