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학생의 개인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이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장애학생의 자기결정과 장애범주, 성별, 및 교육적 환경간의 관계 분석

        서효정 ( Hyo Jeong Seo ),( Michael L. Wehmeyer ),( Susan B. Palmer ),( Jane H. Soukup ),( Kendra Williams Diehm ),( Karrie Shogre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2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관한 미국 연구는 1990년 초반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20년에 걸쳐 자기결정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동안, 자기결정의 이론을 구축하여 자기결정의 개념을 확립하려는 노력이 행해졌다. 이 이론들은 개인의 특성 요인과 환경적 영향 요인을 공통적으로 설명하여 자기결정의 개념을 구축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개인적 요소(학생의 주요 장애 영역, 성별)와 학생이 배치된 교육적인 환경(일반학급, 특수학급, 특수학교)에 따라서 학생의 자기결정력이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학생의 자기결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중재전략들의 효과를 살펴보고, 졸업 후 학생의 교육결과를 살펴보고자 한 5년 종단연구(2005년 ~ 2010년)의 한 부분으로, 학생들에게 자기결정 중재 전략을 실시하기 이전의 기초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참여자는 미국 6개의 주(Arkansas, Kansas, Missouri, Nebraska, Oklahoma, and Texas)에서 임의적으로 선별된 청소년기 장애학생 230명이고, 종속변수인 학생들의 자기결정을 측정하기 위해서 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과 The AIR Self-determination Scale (학생용)이 사용되었다. 연구 분석결과, 학생의 주요 장애영역에 따라서만 학생들의 자기결정 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자기결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제안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들이 제공되었다. Self-deter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gained increased attention in special education since the early 1990s. During this time, research has documented theoretical frameworks to provide a solid understanding of self-determination. Des Desppite different theoretical frameworks to consolidate the underlying construct of self-determination, each framework has common trait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examin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e., primary rimary disability and gender)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e., educational setting) to identify the impact on the levels of students’ self-determination. Results indicate that only disability categor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relative levels of self-determination.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