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ORBA 기반의 클래스 라이브러리 설계 및 구현

        이병정(Byungjeong Lee),오재원(o Jaewon Oh),권용길(Yongkil Kwon),김희천(Heechern Kim),우치수(Chisu Wu)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Ⅰ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객체 지향 기법을 사용한 재사용 시스템의 활용이 필요하며, 이 재사용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인 클래스 라이브러리와 효율적 재사용을 위한 저장, 검색의 기반 기술이 더욱 요구된다. 또 통신이 널리 보급되고 컴퓨터 자체의 성능도 향상되어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도 분산 환경에 대한 요구가 많아짐에 따라 클래스 라이브러리 자체도 분산 환경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의 효율적 재사용을 위한 저장 및 검색 기술을 연구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CORBA를 이용한 재사용 클래스 라이브러리를 구현하였다.

      • KCI등재

        객체지향 모델로부터 정적 메트릭을 이용하여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으로 변환하는 기법

        이은주(Eunjoo Lee),신우창(Woochang Shin),이병정(Byungjeong Lee),우치수(Chisu Wu)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1 No.6

        점차적으로 소프트웨어의 복잡도는 높아지고 그 생명주기는 짧아지므로, 기존의 검증된 소프트웨어 요소를 재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객체 지향 기술은 광범위한 재사용을 유도하지 못하였다. 컴포넌트는 객체보다 규모가 크고 특정 도메인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므로, 시스템 구조화, 설명 및 개발에 있어 더 나은 수단을 제공해 준다. 또한 그 규모나 재사용성에 있어 새로운 개발환경인 분산 시스템에 더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시스템을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으로 변환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해당 프로세스는 두단계로 나뉜다. 우선, 클래스들 간의 합성 및 상속 관계를 이용하여 기본 컴포넌트를 생성한다. 그 후 기본 컴포넌트와 컴포넌트화 되지 않은 클래스들에 대해 본 논문에서 제안된 정적 메트릭과 가이드라인을 이용하여 정제하여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으로 변환한다. The increasing complexity and shorter life cycle of software have made it necessary to reuse software. Object-oriented development had not provided extensive reuse and computing infrastructures are evolving from mainframe to distributed environments. However, components provide more advanced means of structuring, describing and developing system, because they are more coarse-grained and have more domain-specific aspects than objects. And they are also suited for distributed environment due to their reusability and granularity. In this paper, we present a process including the static metrics and guidelines that can be applied to transform object-oriented systems into component-based systems. Our process consists of two parts: First, basic components are created based upon composition and inheritance relationships between classes. Second, intermediate system is refined into component-based system with the static metrics and guidelines we propose.

      • KCI등재

        확장된 UML 모델을 이용한 기민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법론

        이기열(Keeyoull Lee),정우성(Woosung Jung),이춘우(Chunwoo Lee),이병정(Byungjeong Lee),김희천(Heechern Kim),우치수(Chisu Wu)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4 No.3

        웹 애플리케이션은 요구사항이 자주 변경되고, 기존의 소프트웨어와는 다른 아키텍쳐와 모델을 필요로 하며, 빠른 개발주기 안에 시장에 인도되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특성으로 인해 기존의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을 적용하기에는 적절치 않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 UML 모델을 이용하여 체계적인 모델링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요구사항의 변경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방법론에서는 UML을 확장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메타모델을 정의하므로 특정 언어와 기술에 독립적이다. 개발 프로세스는 UML 프로파일 SPEM을 사용하여 기술된다. 프로세스 지원 도구를 통해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맞춤화할 수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을 좀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도록 항해 모델링 도구와 컴포넌트 대화 모델링 도구도 지원한다. 실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사례를 통해 프로세스와 웹 애플리케이션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Traditional software development method is not suitable for Web application development because of characteristics of Web application such as frequent requirements change, different architectures and models and quick-to-market delivery.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b application development method adaptable to requirements change while we systematically model Web application using extended UML model. The metamodel is independent to specific languages and technologies because we define the metamodel using extended UML model. Proposed process is described by SPEM(Software Process Engineering Metamodel) profile. A process supporting tool execute and customize process. To model Web applications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a navigation modeling and a component communication modeling tools are provided. In a case study, we show the usefulness of our process and model.

      • KCI등재

        지능로봇에서 에이전트와 ESB를 사용한 서비스 지향 애플리케이션의 자가 재구성

        이재정(Jaejeong Lee),김진한(Jinhan Kim),이창호(Changho Lee),이병정(Byungjeo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4 No.8

        지능로봇(Intelligent Robot)은 주변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지능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지능로봇의 자가 재구성(Self-Reconfiguration) 능력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능을 재구성하고,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중지 없이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ESB(Enterprise Service Bus)를 사용한 지능로봇의 에이전트 기반 자가 재구성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본 논문의 프레임워크는 멀티에이전트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지향 애플리케이션의 동적인 발견과 자가 재구성에 초점을 맞춘다. 지능로봇이 예외적인 상황을 만났을 때, 지능로봇은 외부의 서비스 저장소로부터 새로운 서비스를 다운로드후 실행시켜 상황을 해결한다. 에이전트 기술은 로봇들이 상호작용하기 위한 지능적인 접근법을 제공하고, ESB는 분산된 서비스 또는 지식을 활용하고 조직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의 유효성을 보여주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Intelligent Robots (IR) get data of the current situation from sensors and perform knowledgeable services. Self-reconfiguration of IR is an important factor to change itself without stopping while supporting environment and technology chang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gent based self-reconfiguration framework of IR using ESB (Enterprise Service Bus). This framework focuses on dynamic discovery and reconfiguration of service-oriented applications using multi-agent system in intelligent robots. When IR meets an irresolvable situation it downloads a necessary service agent from an external service repository, executes the agent, and resolves the situation. Agent technology provides an intelligent approach for collaborations of IR. The prototype has also been implemented to show the validity of our study.

      • OWL-S 기반의 시맨틱 웹 서비스를 이용한 동적 소프트웨어 재구성

        이재정(Jaejung Lee),김진한(Jinhan Kim),이병정(Byungjeo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1B

        최근의 비즈니스 환경은 고객, 공급자, 파트너 등 다수 기업과의 관계적 협업관계가 중시되는 수평적 통합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관계적 협업이 중시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기업은 급변하는 사용자와 시장 요구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적응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협업관계를 가능하도록 동적 환경에서 배치와 재구성이 가능한 모델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맨틱 웹 서비스 기술을 이용하여 필요한 서비스들을 의미적으로 발견하고 동적으로 재구성한다. 웹 서비스 발견 및 재구성 프토토타입을 통하여 본 모델의 유효성을 보인다.

      • 웹 응용을 제품 계열로 재공학하기 위한 도메인 요구사항 추출 방법

        이광우(Kwangwoo Lee),김진한(Jinhan Kim),이창호(Changho Lee),이병정(Byungjeo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제품 계열 공학은 재사용에 기반을 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으로서 웹 응용들에서 요구되는 비용 절감 및 시장 적시성의 성취를 이루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웹 응용의 개발을 제품 계열로 이루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웹 응용이 가진 핵심 자산들을 확인하고, 정의하는 체계적인 절차를 제안하지는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해 웹 응용 도메인에 적합한 핵심 자산으로서의 체계적인 도메인 요구사항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 KCI등재

        베이지언 사용한 패키지 소프트웨어 인증을 위한 시험 메트릭 선택 기법

        이종원(Chongwon Lee),이병정(Byungjeong Lee),오재원(Jaewon Oh),우치수(Chisu Wu)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3 No.10

        오늘날 급속한 패키지 소프트웨어 제품의 증가 추세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제품에 대한 품질시험 요구 또한 증가하였다. 소프트웨어 제품 시험 시 중요한 요소는 무엇을 시험할지 기준이 되는 메트릭의 선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패키지 소프트웨어 종류를 특성 벡터들로 표현하여 메트릭들과의 연관 관계를 확률로서 세밀하게 표현한다. 특성 벡터란 소프트웨어의 형식 분류 지시자라고 할 수 있으며 특정한 패키지 소프트웨어가 다른 것들과 어떻게 구별되는지 나타낼 수 있다. 분류된 각각의 소프트웨어 형식별로 메트릭을 선정하기 위해서 과거 시험 데이타를 분석하여 활용한다. 베이지언망이 과거 데이타 분석에 이용되며 특성 벡터와 메트릭 간의 의존 관계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구축된 베이지언망은 새로운 패키지 소프트웨어 시험 작업에 적절한 메트릭을 찾아내는데 활용된다.

      • 사용자 세션을 이용한 효과적인 웹 응용 테스팅

        이춘우(Chunwoo Lee),이병정(ByungJeong Lee),김희천(Heechern Kim),우치수(Chisu Wu)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B

        웹 응용은 현재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큰 분야이다. 잘 못 동작하는 웹 응용은 사회적은 큰 손실이 될 수 있다. 이에 웹 응용의 검증 방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검증 방법으로는 코드 분석과 테스팅이 있다. 허나 시장에 제품이 출시되는 시간이 매우 짧고, 관련 기술의 발달이 빠른 웹 응용 개발의 특성상 코드 분석은 꽤 정확한 검증 결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적절하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테스팅을 검증 방법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렇다고 해도, 테스팅에 들이는 시간과 노력이 코드분석과 비슷하다면 이 또한 적절한 검증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테스팅의 비용을 줄여 전체적인 개발 비용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테스팅의 비용은 테스트 케이스를 수행하는 시간과 테스트 케이스르 생성, 분석하는 시간으로 측정 가능하다. 이 논문에서는 이 시간들을 줄이기 위해 전체 웹 응용의 경로 중 사용 빈도가 높은 경로를 테스트 케이스로 하여 테스트 케이스 실행 시간을 줄이고, 각 페이지에 맞는 입력 값으로 빈도가 높은 사용자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의 생성을 자동으로 할 수 있게 하여 테스터가 직접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는 것보다 시간을 줄였다.

      • OWL-S와 문맥 정보를 가진 에이전트를 사용한 웹 서비스 발견 기법

        이창호(Changho Lee),김진한(Jinhan Kim),박동민(Dongmin Park),이병정(Byungjeo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C

        로봇이 적응성을 위해 웹 서비스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때, 웹 서비스는 서비스의 의미로 서비스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아서 원하는 기능의 서비스를 찾기가 어렵다. 하지만 시멘틱 웹에서는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의미를 표현하기 때문에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OWL-S를 이용하면 웹 서비스의 표현을 용이하게 해준다. 하지만 문맥(Context) 정보를 고려한 서비스의 검색이나 검색을 통해 가져온 서비스를 검증하는 수단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OWL-S과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하여 적합한 서비스를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 능동적 정보 교환을 위하여 행 응용을 래퍼 기반 아키텍처로 재공학

        이광우(Kwangwoo Lee),이병정(Byungjeong Lee),김희천(Heecheon Kim),우치수(Chisu Wu)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Ⅱ

        오늘날 웹 응용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웹 응용들은 웹의 가장 기본적인 목적인 정보의 공유를 충분히 만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응용통한 능동적인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기존의 웹 응용을 래퍼 아키텍처에 기반하여 재공학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