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남천 연작소설 연구

        임희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고는 김남천이 소설 창작에 있어 연작소설의 서사 구성 원리를 지속적으로 차용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의 창작 양상을 ‘연작소설’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김남천의 작가의식과 시대에 관한 문제의식을 포괄적으로 구명하고자 한다. 김남천은 개별적인 의미를 지니는 작품들을 서로 접합하여 연작소설로 만들고, 작품의 연관관계 안에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냈다. 이러한 김남천의 작품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본고는 개개의 작품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작품들의 연결되는 양상을 다각도로 살핀다. 2장에서는 그의 초기 단편소설들과 첫 번째 전작 장편소설인 『대하』를 연작소설의 시각에서 분석한다. 초기 단편소설은 전형적인 연작소설로는 분류하기 어려우나, 인물재출법, 복수초점화 기법 등을 통하여 정치적 경험을 반복하여 문학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김남천 연작소설의 단초를 보여준다. 한편 장편소설 『대하』는 「개화풍경」과 『동맥』 연작의 1부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연작소설 창작의 시작 지점에 해당한다. ‘가족사 연대기 소설’로 기획 ‧ 창작된 『대하』는 각각의 에피소드를 연결하여 하나의 장편소설을 만든다는 점에서 연작소설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3장에서는 『대하』이후 본격적으로 연작소설이 창작되었다는 관점 아래 「누나의 사건」 연작(「누나의 사건」, 「오월」, 「항민」, 「어머니」, 「단오」)의 연계 양상과 그 의미를 고찰한다. 김남천에게 있어 『대하』 창작의 경험은 조선 사회의 모순을 사실적으로 드러낼 필요성을 강조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누나의 사건」 연작은 유기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사건의 시간들을 분절시킴으로써 서사의 연속성에 의문을 제기할 뿐 아니라, 유기적이고 일원적인 세계가 환상임을 폭로하고 현실적 한계를 직시하도록 이끈다. 4장에서는 단편 연작소설의 한계를 인식한 김남천이 소설과 시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산문형식’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살펴본다. 일원적 세계를 구현하는 것은 여전히 불가능에 가깝지만, 현실의 한계를 폭로하는 것만으로는 시대의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 김남천은 위기를 맞은 시대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총체적인 세계의 도래를 희망해야 한다는 역설적 인식에 도달한다. 이러한 인식은 소설들을 보다 중층적으로 접합하여 ‘총체적 세계’의 가능성과 현실의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는 ‘총화소설’을 창작하는 시도로 이어진다. 여기에 해당하는 연작소설이 바로 『사랑의 수족관』연작(『세기의 화문』, 「길 우에서」, 『사랑의 수족관』, 『낭비』, 「경영」, 「맥」)이다. 『사랑의 수족관』연작은 구성 과정에서 지성 긍정형 인물과 욕망 긍정형 인물들을 서로 충돌시킨다. 이러한 방식은 전환기를 극복하고 세계의 총체성을 실현하기 ‘개조된’ 지성의 문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하고자 했던 김남천의 문제의식을 그려낸다. 김남천 소설에 나타나는 연작소설의 특징들은 ‘개인과 사회의 조화 및 통일’이라는 리얼리즘적 문제의식에 꾸준히 천착했던 그의 문학적 행보를 보여준다. 그의 창작적 기반은 끝내 당대 사회주의의 자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일원적 세계라는 이상은 김남천으로 하여금 식민지 조선이라는 절망적인 현실을 견딜 수 있게 하는 힘이었으며, 소설을 창작하게 만드는 원동력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김남천은 당대 마르크시즘의 강력한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마르크시즘을 포함한 다양한 논의들을 접합하여 리얼리즘의 문제에 접근하는 자신만의 독자적인 시각을 구축했다. 특히 그의 연작소설 창작은 마르크시즘에 대한 그의 주체적인 문제의식을 가늠할 수 있는 중심축으로 기능한다. 그러므로 김남천의 연작소설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려는 본고의 시도는 ‘리얼리스트’이자 비평가, 소설가였던 김남천과 그의 작품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연작소설의 연계 교육 방법 연구 :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중심으로

        노해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1970년대 들어서면서 소설의 기법과 양식상의 변화를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연작성이라고 하는 특이한 이완적인 형식을 활용하고 있는 연작소설의 증가를 주목할 수 있다. 그 이전까지는 단편소설 형식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이에 대한 한계를 자각한 작가들은 연작 형식을 활용한 소설 장르의 확대와 대하적 장편 양식을 추구하게 된다. 연작소설이란 문자 그대로 여러 편의 독립된 삽화들을 모아 더 큰 하나의 이야기가 되도록 결합시켜 놓은 소설을 말한다. 연작의 형태로 묶여지는 모든 작품들은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갖게 되는데 그것은 배경에서 비롯될 수도 있고 등장인물을 통해 성립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작가가 의도하고 있는 주제의식의 방향에 의해서도 상호관계가 성립된다. 바로 연작소설의 가장 큰 특징은 각 독립된 단편소설들이 연계성을 가지고 이루어져 있으며, 그 연계성을 바탕으로 전체 소설이 다시 재구성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 문학교과서에 실린 연작소설은 하나의 주제를 향해 여러 단편들이 엮어져 있는 형식으로, 각 작품 간의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연작소설의 가장 큰 특징이 고려되고 있지 않다. 연작소설에 관한 갈래에 대한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연작소설 작품의 내용에만 치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연작소설의 장르적 특징에 대한 고려 없이 교육이 이루어질 경우, 연작소설의 장르적 특징에 대한 이해 없이, 단순히 하나의 단편의 단면을 확대 해석하거나 편향된 시각에서 작품을 분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현 문학교과서에서 연작소설로서의 교육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으므로, 연작소설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각 단편 간의 연계성을 고려한 연작소설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학교 교육 특성 상 연작소설의 모든 텍스트를 제시할 수 없음을 감안하여, 연작소설의 단편들에서 가장 연계성이 높은 작품 두 작품을 제시하여 연계성을 고려한 작품 읽기 방안을 제시하였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서는 인물이해의 균형적인 시각을 갖도록 하고, 「뫼비우스의 띠」에서는 소설의 구성적 측면에서 연계성이 높은 작품을 통해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주제를 학습자 스스로 찾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increase in serial novels which exploit an unique flexible format called seriality, the distinct change in technique and style of novel since 1970's, is quite worthy of notice. While the novels of the time mainly featured short stories, the authors who came to realize the limitation of such novels started to pursue the expansion of genre on the exploitation of serial format as well as full-length novel. Serial novel is, to the literal sense of the word, a type of novel which compiles a number of different episodes to form a bigger story. All the works compiled in the form of seriality tend to have close correlation which may possibly be derived from the background or formed through the characters of those works. Also there exists a mutual relationship in the direction of thematic consciousness at which the author aims. That is, the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serial novel is that each independent short story has a correlation with another and that the entire novel is reconstituted through such correlation. However, the serial novels contained in the current literary textbook are of the format which a series of short stories are compiled for a certain theme, which fails to consider the mutual relationship among stories, the biggest characteristics of the serial novel. What is more, the current literary textbook attaches importance only to the contents of works without deliberation on the features of section in each serial novel. In the event that the education proceeds without consider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of novel, the analysis on the works shall be made on the basis of biased perspective such as far-fetched interpretation on the fragments of short stories. As the education on the serial novels in current literary textbooks is poorly made, I have suggested an ideal teaching plan for serial novels in consideration of mutual relationship among short stories,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serial novel. Considering that the entire body of serial novel may not be presented in school education, I have suggested two works with the highest inter-connectivity in order to propose a method of reading a serial novel in consideration of mutual correlation. I have exploited 「A ball shot by a midget」 to suggest a balanced view for understanding different characters of the novel, and have suggested 「Moebius strip」 to provide learners with a method to find out the theme of 「A ball shot by a midget」 through the work with high inter-connectivity in term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novel.

      • 한설야 연작소설 연구

        박용권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카프(KAPF,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의 대표적 작가인 한설야의 연작소설의 전개양상과 담론 특성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작소설을 소설장르의 확고한 하위 유형으로 보고, 특히 한설야가 이 유형을 즐겨 창작한 작가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작소설의 장르적 인식에 기초한 구체적 텍스트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과, 한설야의 작품에 접근하는 데 있어서 실제 작가의 전기적(傳記的) 사실을 여과없이 텍스트에 적용하는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한설야 연작소설의 전개 양상에서 작품의 미적 구조를 나타낼 수 있는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전경화(前景化)하여 살펴 보았다. 첫번째 연작소설언 <과도기>·<씨름> 연작에서는 전편(前篇)에서 서사시적 세계의 구축(構築)과 파괴의 이항대립 구조를 볼 수 있었다. 속편(續篇)에서는 인간의 신체를 중시하고 이를 통한 건강한 민중의 생산성과 재생성을 부각시키면서 기존 지배체제의 전복(顚覆)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카니발적 세계가 드러났다. 또 <사방공사>·<추수후> 연작에서는 임금노동자들의 계급적 각성과 착취구조의 진상을 깨달아 가는 모습을 통해 '낙관적 전망'이 나타나 있었다. 전향소설인 <임금>·<철로교차점> 연작에서는 전망 부재의 상황에서 자아 정체성 회복과 전향 극복의지의 노력이 엿보였다. 《탁류》 연작에서는 서술주체와 주인물의 '경향성'이 끝끝내 살아 있음을 살펴보았다. 《탁류》 연작은 '경향소설과 무관한 신변소설'이라기보다는 '경향소설'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설야 연작소절의 첫번째 담론 특성으로, 전편의 결말에서 후속 작품 서사진행의 실마리를 마련하는, '열린 결말'의 결합을 들 수 있다. 연작 소설의 구성적 특성은 여러 개의 이야기를 차례로 연속시키는 배열방식인 '사슬식 배열'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서양의 피카레스크 소설의 구성 방식에서도 보여진다. 한설야 연작소절의 두번째 담론 특성은 서술주체가 3인칭 제한적 전지와 인물의 초점화를 통해 서술대상에 대해 객관적인 태도를 견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주로 특정 사건이나 서사의 후반부에서 서술자의 목소리를 노출시키거나 담론 속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규칙성을 보임으로써 결국 서술주체의 담론으로 수렴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사건의 비약적 결말에서 주로 나타나며, 결과적으로 서술주체의 권위적 담론에 의한 단일 논리적인 텍스트를 만들고 있다. 한설야 연작소설의 세번째 담론 특성은 연작소설의 원형질이며 의미동위소로서의 '빈궁' 모티프가 대상 텍스트에서 '확장' 또는 '전이'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텍스트들이 이데올로기 의미화 과정을 통해 지배 이데올로기와의 쟁투를 기획하고, 이를 해체하여 반일 반식민주의로의 이데올로기 전이에 일단 성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30년대 후반에 한설야 작품들에서 보여지는 결말의 하강구조는 전망 부재의 텍스트 외적 상황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의 논의에서 연작소설은 소설장르의 하위 유형으로서 다른 유형과 구별되는 담론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한설야의 연작소설에서 이러한 특성은 더욱 선명하게 발견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at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aspects of Roman-cycle and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istic discourse of Han Seol-Ya, one of the major writers in KAPF. Roman-cycle are regarded as a definite sub-type of the novel genre, and it is noticed that Han Seol-Ya was a writer who willingly created this type of work. This thesis points out the fact that the concrete text-researches are hardly existed on the basis of genre recognition and that the biographical realities of the real author are applied to the text without filtering. And then, it is intended to overcome those faults. About the development aspects of Han Seol-Ya's Roman-cycle, some elements showing aesthetic structure of the works are abstracted. In the first Roman-cycle,<The Transitional Period(過渡期)> · <The Wrestling(씨름)>, we see binomial antagonism between the construction and the destruction of the world of descriptive poetry and we also see the carnival-like world where we can see the productivity, reproductivity of healthy people and overthrow of ruling system. In his second Roman-cycle; <The Erosion Control Work(砂防工事)> · <After Harvest(秋收後)>, we find optimistic prospects through wage workers' awakening of their class consciousness. <Apples(林檎)> - <A Railroad Intersection(鐵路交叉點)>,which are conversional stories, show endeavors to recover self-identity in the situation of absence of prospects. 《A Muddy Stream(濁流)》 shows that the tendency of narration subject and that of the characters. We can say that 《A Muddy Stream》 is never just a personal side story but surely a tendency novel.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e novelistic discourse of Han Seol-Ya's Roman-cycle is the combination of open ending where the conclusion of the previous story gives a clue of the following story.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Roman-cycle is the `enchainment' where several stories are arranged in sequence. This example also can be searched in the picaresque novels.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his novelistic discourse is that the subject of narration tries to keep an objective viewpoint through the third person restricted omniscience and character focalization. But these efforts are ultimately astringed to the discourse of subjective narration by showing regulations which actively intervene in the discourse and exposing narrator's voice to the specific accidents or latter part of the story. These aspects mainly make the rapid conclusion of the accident. Consequently, it makes monologic texts by the authoritative discourse of narration subject. The third characteristic of his novelistic discourse is that 'destitution' motif, protoplasm and Isotopy of Roman-cycle, shows 'extension' or 'trans' in the texts. This means that these texts make plans to struggle against ruling ideology and dissolve it in the course of getting meaning. So it makes a success of trans of ideology to anti-Japan and anti-colonialism. Nevertheless, the falling structure of conclusion which appeared in his works in the latter 1930s reflects the external situation of non-prospects. In conclusion, Roman-cycle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novelistic discourse as a sub-type of novel genre,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types. These characteristics are clearly shown in the Han Seol-Ya's Roman-cycle.

      • <명주보월빙> 연작 연구 : 운명관과 초월계의 성격을 중심으로

        유인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0

        The Myeong-ju-bo-wol-bing(明珠寶月聘) series is the longest series novel(total of 205 volume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The series, consisting of Myeong-ju-bo-wol-bing(明珠寶月聘) and Yun-ha-jeong-sam-mun-chwi-rok(尹河鄭三門聚錄), is a representative work that shows the achievement Korean classical novels attained. Through the narratives of three families ― Yun, Ha, and Jeong family,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focuses on how the actual Confucian norms affect on the fate of individuals and families, and thereby highlights the issues of life and fate. This dissertation attempted to analyz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and investigate the view of fate and the nature of the transcendental world expressed in the works. The contents of this dissert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II,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Myeong-ju-bo-wol-bing are considered from three aspects as follows. First, in Myeong-ju-bo-wol-bing, the narratives of the three families tend to emphasize public aspects such as the external prestige and symbolic importance of the families. This tendency is intensely revealed in each narrative. The ideological symbol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re emphasized in the narrative of the Yun family. The narrative of the Ha family stresses political trials and overcoming. The narrative of the Jeong family displays this tendency in that the family remains to be a prestigious family by placing value on faithfulness. Second, Myeong-ju-bo-wol-bing shows the ideology of the era and the desires against it by highlighting the normative and non-normative figures in contrast. Third, Myeong-ju-bo-wol-bing presents the transcendental world as a sacred space where the fate of human beings is governed, and the transcendental being is highlighted as a guide of fate. In Chapter III,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Yun-ha-jeong-sam-mun-chwi-rok are considered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s of the three families in Yun-ha-jeong-sam-mun-chwi-rok focus on continuation and prosperity of family, looking into the internal issues of the families such as succession issues, conflicts between filial piety and love, and suffering of women. Second, Yun-ha-jeong-sam-mun-chwi-rok highlights ‘liminal figures’ who stand on the boarder between conformity and deviance, between good and evil. Thereby it captures complex and subtle aspects of human beings in reality and formalizes multifaceted characters. Third, in Yun-ha-jeong-sam-mun-chwi-rok, the transcendental world tends to function as a means of emphasizing the performance of the main characters, and the action of the transcendental world enhances probability and interest to the narrative through methods such as reincarnation. Chapter IV examines how the view of fate and the Confucian norms are combined in Myeong-ju-bo-wol-bing series based on the previous analyzations. This can be viewed from three aspects: ‘personal fate’, ‘destiny of family’, and ‘correspondence between social norms and the transcendental world’. First, in terms of personal fate,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shows how fate of individual is strongly combined with Confucian ideology. Although the characters in the work generally accept their fate, they do not passively conform to or avoid but actively approach their own destiny, which results in following the Confucian ideology of the time. Second,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deals with the rise, trials, and another leap forward of the three families to show how each family continues the destiny in the state and society. The destiny of the family can be understood from two aspects: the internal solidarity through the harmony of the family members, and the prosperity and continuity in the state and society. This shows that the destiny of a family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efforts of its members, and is related to the activeness to shape their own destiny. Third, in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the transcendental world acts as a projection of reality, reflecting and protecting the social norms of Confucianism. Simultaneously, the transcendental world functions as a narrative device that fulfills the surreal desires of human beings such as 'reincarnation'. It therefore reflects the desires and consciousness of the readers of the time, which gives importance to this work. Chapter V examin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While reflecting the tendency of cre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novel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pursues changes in its own way as well. This work has following significances. First,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shows a tendency to strengthen the narrative continuity through the series by establishing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work and its sequel. This interdependency distinguishes this series from other novel series in that a preceding work and its sequel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in most cases. This feature is meaningful as it reflects one aspect of the writing trends of Korean novel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Second,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shows the sophisticated lengthening method of Korean novels in late Choseon Dynasty through the combination of Sam-mun-lok(三門錄, stories of three families) and Sam-dae-rok(三代錄, stories of three generations). This is meaningful as it shows that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constantly tried to change in order to find a new direction based on the richly accumulated tradit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Third,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reveals concerns and reflections about life and fate.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seemingly follows the trend of novels in their heyday when families prospered in a harmonious world. On the other side, however, it reveals the anxiety and frustration caused by the worries of decline of the family, the skepticism about the reality that good people are not rewarded, and the anxiety and frustration caused by epidemics, natural disasters, and disturbances in the social system.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is a significant work that reveals concerns about the fate of individuals and families, as well as life and death amidst these social phenomena. To conclude, Myeong-ju-bo-wol-bing series is a remarkable work that attempts new changes while inheriting the achievements of Korean classical novel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and also represents the interests and concerns about lives and fates of the readers at the time. <명주보월빙> 연작은 <명주보월빙>, <윤하정삼문취록>(총 205권)으로 구성된 조선후기의 최장편 연작소설로서, 한글장편소설의 성취가 집약된 대표적인 작품이다. <명주보월빙> 연작은 윤・하・정 세 가문의 서사를 통해 현실의 유교적 규범이 개인과 가문의 운명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함으로써 삶과 운명의 문제를 부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명주보월빙> 연작을 대상으로 작품의 서사적 특징을 분석하고, 작품에 나타난 운명관과 초월계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Ⅱ장에서는 <명주보월빙>의 서사적 성격을 다음과 같이 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명주보월빙>에서 윤・하・정 세 가문의 서사는 가문의 대외적 위상과 상징성 등 공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각각 충효라는 이념적 상징성이 부각되거나[윤부], 정치적 시련과 극복이 강조되며[하부], 신의를 중시함으로써 명문가를 실현하는[정부] 서사로 집약된다. 둘째, <명주보월빙>은 규범적 인물과 탈규범적 인물을 대립적으로 부각시킴으로써 당대의 이념과 이에 반하는 욕망을 조명한다. 셋째, <명주보월빙>에서 초월계는 인간의 삶과 운명을 주관하는 신성한 공간으로 제시되며, 초월적 존재는 운명의 인도자로서 부각되는 양상을 보인다. 제Ⅲ장에서 <윤하정삼문취록>의 서사적 성격을 고찰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윤하정삼문취록>에서 윤・하・정 세 가문의 서사는 ‘종통계승과 원비의 문제’, ‘효와 애정의 대립’, ‘여성의 수난’이라는 가문 내부의 문제에 주목하며, 가문의 지속과 번영에 관심을 기울인다. 둘째, <윤하정삼문취록>은 규범과 탈규범, 선과 악의 경계에 선 ‘경계적(境界的) 인물’을 부각시킴으로써, 어느 한쪽으로 정의할 수 없는 다면적인 인물 형상을 보여준다. 셋째, <윤하정삼문취록>에서 초월계는 중심인물들의 활약을 강조하기 위한 도구적 측면이 강화된 경향을 보이며, 초월계의 작용은 환생 등을 통해 서사에 개연성과 흥미를 부여하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제Ⅳ장에서는 앞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명주보월빙> 연작의 운명관과 유교규범이 결합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이 개인의 운명과 가문의 운명, 사회적 규범과 초월계의 조응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명주보월빙> 연작은 개인의 운명이 유교적 이념과 강하게 결합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작중의 인물들은 대체로 운명을 인정하되, 수동적으로 운명에 순응하거나 회피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자신의 운명에 다가서는 모습을 보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당대의 유교이념을 추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명주보월빙> 연작은 윤・하・정 세 가문의 부상(浮上)과 시련, 재도약을 다룸으로써 각 가문이 국가와 사회집단 속에서 그 운명을 지속하는 것에 관심을 기울인다. 가문의 운명은 가문구성원들의 화합을 통한 내부적 결속과 국가와 사회집단 속에서의 번영과 지속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가문의 존속이 그 구성원들의 노력 여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며, 자신의 운명을 적극적으로 만들어가고자 하는 태도와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명주보월빙> 연작에서 초월계는 현실 투사체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유교적 사회규범을 반영하고 수호하는 성격을 지닌다. 동시에 초월계는 환생 등과 같은 인간의 초현실적인 소망이 충족되도록 하는 서사적 장치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당대 향유층의 소망과 의식성향을 보여준다는 의의를 지닌다. 제Ⅴ장에서는 <명주보월빙> 연작의 소설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명주보월빙> 연작은 조선후기 한글장편소설의 창작경향과 특징을 잘 반영하는 동시에 독자적인 변화를 모색한 작품으로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명주보월빙> 연작은 상호의존적인 연작 관계를 보임으로써 전편과 후편의 서사적 지속성이 강화된 경향을 보인다. 이것은 전편과 후편이 연작을 이루면서도 각각 독립적인 작품으로서 존재하는 다른 연작소설들과 대별되는 부분으로서, <명주보월빙> 연작의 특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명주보월빙> 연작은 삼문록과 삼대록의 복합 양식을 완성함으로써 형식과 내용의 측면에서 끊임없이 변화를 모색하던 조선후기 한글장편소설의 창작경향을 반영한다. 셋째, <명주보월빙> 연작은 삶과 운명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성찰을 드러낸다. <명주보월빙> 연작은 표면적으로 조화로운 세계 속에서 가문의 번영을 구가하던 전성기 소설들의 경향을 따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가문의 쇠락에 대한 불안감과 선량한 인물들의 삶이 보장되지 않는 현실에 대한 회의, 전염병과 자연재해 및 사회제도의 문란에서 야기된 좌절감과 불안의식이 드러난다. <명주보월빙> 연작은 이러한 사회적 제 현상 속에서 개인과 가문의 운명 및 삶과 죽음에 대한 고민을 드러낸 작품으로서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명주보월빙> 연작은 조선후기 한글장편소설의 성취를 계승하는 가운데 새로운 변화를 모색한 작품으로서, 한글장편소설의 저류에 흐르는 당대 향유층들의 삶과 운명에 대한 관심과 고민을 형상화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 윤흥길 연작소설의 서사구조 연구 :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를 중심으로

        김세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71

        단편소설이 주류를 이루던 한국에서 70년대 들어 연작형식이 확산된 것은 당시 사회적 현실과 연관지어 볼 수 있다. 급속도로 이루어진 경제성장으로 절대적 빈곤은 저하되었으나 산업화의 과정에서 사회 구조적으로 소외된 계층이 느끼는 상대적 빈곤감은 오히려 확대되었다. 당시 문단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기울인 ‘70년대 작가군’이 나타났으며 이들은 70년대에 두드러진 활약을 하면서 그들 나름의 고유한 문학적 성격을 획득해 나갔다. 연작의 가장 큰 특징은 이중성이다. 각 작품이 가지고 있는 단일한 서사적 구조는 각 작품을 독자적 개체로 만든다. 그러나 이들 작품이 모이면 복합적인 서사적 구조를 띠고 심층화된 주제를 내포한 하나의 통합적 개체가 된다. 각각의 단편 속에 등장하는 반복적 인물들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자아 성찰을 통한 자기 발전을 경험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작가는 장편이나 단편에서는 보일 수 없었던 주제의 심화와 확장을 독자에게 보여준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이중성이 잘 드러난 윤흥길의「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연작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이 연작은 1970년대 후반 들어 산업화 과정에서 드러나는 도시변두리의 도시빈민층과 노동계급의 소외와 갈등의 문제를 소설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직선과 곡선」「날개 또는 수갑」「창백한 중년」에는 파행적인 산업화가 초래한 사회적 모순을 비판적 시선으로 바라보며, 주인공이 소시민 의식에서 탈피하여 노동현장에 투신하고 좌절하면서 새로운 자기각성을 이루는 과정을 그려 현대사회의 정신적 단면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연작에서 공간으로 상징되는 수직이동에의 욕망을 가진 인물의 내면이 시간을 타고 어떻게 변화하는지 고찰한다. 또한 주제가 서사의 거리 축소와 확대를 통해 심화되는 점을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작가가 포착한 당대적 현실이 인물에게 물질적 욕망과 정신적 욕망을 통해 어떻게 투영되는지, 현실 인식에서 부딪치는 개인과 사회, 개인과 집단, 그리고 개인의 내면적 갈등 양상이 형상화되는 과정을 연작이 갖는 이중적 특성인 ‘독자성’과 ‘통합성’에 맞추어 고찰한다. This can try to relate social actuality with it listens to them in 70's, and multi-faceted form having spread in Korea where a novelette achieved the mainstream at that time. The absolute poverty was lowered by economic growth to have consisted of a burst speed, but that a level estranged with a social structure enemy in a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went for relative poverty to feel was rather expanded. Age writer group 'appeared in these social problems in the literary world in the '70 that leaned to an interest at that time, and they are conspicuous in 70's || acquired unique literary character in their own way while being active, and went out. The largest characteristics of a multi-faceted novel are the dual natures. The single description enemy structure that an each work has makes an each work from an independent object. However, it becomes one integrated object which it has composite description a little structure if these works gather, and contained the deeper subject. Repetitive persons appearing in each short novel experience compunction own development with self reflection in stream of time. As for the writer, a long piece or a short piece shows the audience deepening and expansion of the subject that was not able to look with these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studies「the nine shoes of a man」multi-faceted novel of Yun Heung-Gil that dual anger was exposed well in this sentence. This multi-faceted novel is showing that the city poor floor where the city that it listens to them in the latter half of 1970's, and is exposed in an industrialization process is suburban and an alienation of labor world class and a problem of a trouble.「The nine shoes of a man」「Straight line and a Curve」「Wing or Handcuffs」「To the middle age when it is pale」, it sees the social contradiction which the limping industrialization brings about with criticism gaze and close to the social contradiction that industrialization to have let there be a little it caused imbalance 「To the middle age when it is pale」by critical eyes with 「The nine shoes of a man」multi-faceted novel. Also, it achieves new own disillusionment while a main character casts off its skin in petit bourgeois consciousness, and engage in frustrated to the labor spot. A figure of a main character shows the cut end that a contemporary history meeting is mental. Therefore, this studies the inside of the person who had greed for a vertical movement「the nine shoes of a man」multi-faceted novel symbolized at the space it puts out, other change it investigates this hour how. Also, this studies what is deepened through street reduction and expansion of a theme song description. Finally, this studies the following contents. How does the social actuality that a writer reads appear with a person through material greed and mental greed? Individual and society, individual and group and personal inside a few trouble fits a figure to appear in a novel to 'indivisuality' and the 'integration' which are dual a few characteristic that a multi-faceted novel has and studies them.

      • 오경훈 연작소설 <제주항> 연구

        김소영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Jeju Port>, a series of novels by Oh Kyung-hoon from 2002 to 2006, focusing on Jeju Port and its surrounding space.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placeness around Jeju Port, which appears in a series of <Jeju Port> is related to the local history of Jeju and the mental structure of Jeju people. Furthermore,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reveal Oh Kyung-hoon’s author consciousness as Jeju writer. For this, first of all, I first examined how the port and seas have been recognized by the writer himself and the Jeju people, and how this shows one aspect of the locality of Jeju literature. Next, in connection with various spatial awareness of ‘Jeju island’, I examined the life-world and history of Jeju people in the work in terms of the destruction/formation of the placeness of Jeju Port. In particular, in terms of destruction/formation of placeness, it was intended to reveal the aspect of totalization and re-meaning of Jeju’s locality by overlapping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solving and weaving them into individual microhistory. First, the sea in front of Jeju Port, which is full of optimism and sadness, has been repeatedly embodied in Oh Kyung-hoon’s literature because it was a landscape that reflected the a mental picture of a writer. This is not only an individual’s internal awareness but also shows one aspect of the locality of Jeju literature. It is said that Jeju Port and the sea were embodied as hotbeds of the marginal consciousness that gave both a sense of isolation as an island and a desire to go to another world. Second, Jeju Port is closely related to the reality and historicity of the place, and accordingly, it appears in the work with the awareness of ‘marginality’, ‘resistance’, ‘extinction’, ‘development’, ‘anti-communism’, and ‘coexistence’. In a series of works, Oh Kyung-hoon effectively embodies the antagonism of placelessness and placeness that have accumulated in one place by showing that such spatial awareness is complexly intertwined and present beyond time and space. Third, the <Jeju Port> series draws concretely the placeness around Jeju Port in ‘before and after port opening –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 after development’ based on this spatial awareness. At this time, several situation of Jeju’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elected by the author through the form of a series are introduced centered on the places around Jeju Port. It is confirmed that they appeared in contrast with placelessness and sense of place. From what we’ve seen so far, the discrimination of Oh Kyung-hoon’s series of <Jeju Port> is that it describes the life of Jeju people, which encompasses the previous pre-modern history and the later modern history, focusing on ‘port’ the main material of Jeju literature. Jeju’s fundamental dual nature as an ‘island’, the geopolitical context and humanities context that work in combination within it are embodied in detail by mediating an excellent symbolic space called ‘port’. In other words, it stands out in that the long historical time from pre-modern to the present, various events from ban on migration to the mainland to corruption of port transportation union, and different life-worlds and mental worlds of characters living in different spatiotemporal layers are organically joined and reconstructed through ports. In addition, it highlights the placeness of Jeju Island, which metonymizes Jeju Port, so that microhistories are not only viewed within it, but are thought extensively within a larger historical horizon. The inner form of the novel called series expands the historical horizon by collecting this discursive continuity through segmented and fragmented narratives through a one space(Jeju Port) and creating an integrated and heterogeneous narrative. In this process, the fragmentary historical tragedies of Jeju Island and the current events of the islanders are newly meaningful in a huge temporal layer and in a complex link of spatial awareness. Therefore, this series shows that communityism, spirit of resistance and counter-discussion against externally-given placelessness are not independent, but one of the overall ‘locality’. 이 연구는 오경훈이 2002~2006년에 발표한 12편의 <제주항> 연작소설을 제주항 포구와 그 주변 공간 속 역사와 일상에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연작에 나타나는 제주항 주변의 장소성이 제주의 지역사, 그리고 제주 사람들의 심성구조와 어떻게 연관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를 통해 제주 작가로서 오경훈이 지닌 작가의식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작가 자신과 제주 사람들에게 항구와 바다가 어떻게 인식되어왔으며, 이것이 제주문학이 갖는 지역성의 한 단면을 어떤 방식으로 보여주는가를 살폈다. 다음으로 '제주'에 대한 다양한 공간적 인식과 연계하여 제주항의 장소성 말살/형성 측면에서 작품 속 제주인들의 생활세계와 역사를 살펴봤다. 특히 이렇게 장소성 말살/형성의 측면에서 과거와 현재를 중첩시키고 이를 개개인의 미시사로 풀고 엮는 방식 속에 제주의 지역성(locality)이 총체화되고 재의미화되는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논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낙관과 슬픔이 가득한 제주항 앞바다가 오경훈의 문학에 반복적으로 구현되어온 것은 작가의 심상이 반영된 풍경이었기 때문이다. 이는 개인의 내면적 인식일 뿐 아니라 제주 문학의 지역성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섬으로서의 고립감과, 다른 세계로 향하고자 하는 열망을 양가적으로 갖게 하는 이른바 ‘변방’의식의 온상지로서 제주항과 바다가 형상화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제주항은 그 장소가 지닌 현장성과 역사성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그에 따라 ‘변방’, ‘항거’, ‘절멸’, ‘반공’, ‘개발’, ‘상생’의 등의 인식으로 작품에서 나타나고 있다. 오경훈은 연작 속에서 이러한 인식들이 특정 시공간의 층위를 막론하고 복합적으로 얽히고 현재화되는 양상을 밝힘으로써, 하나의 공간 안에 누적되어온 무장소성과 장소성의 길항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셋째, <제주항> 연작은 이러한 공간 인식을 바탕으로 ‘개항 전후-해방 직후-개발 이후’의 제주항 주변의 장소성을 구체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이때 연작의 형식을 통해 작가가 선정한 제주 근현대사의 몇 가지 국면들이 제주항 주변 장소를 중심으로 도입되는데, 먼저 외부로부터 주어진 사건들을 통해 무장소성이 강조되고, 이에 대응하는 인물들의 행동양식과 내면 인식이 장소상실과 장소감으로 대비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오경훈의 <제주항> 연작이 갖는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오경훈의 <제주항> 연작이 갖는 차별성은 제주문학의 주요 소재인 4·3뿐 아니라 그 이전의 전근대사와 이후의 현대사를 두루 포괄하는 제주인의 삶을 ‘항구’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제주라는 공간을, 특히 ‘섬’으로서의 근원적인 이중 속성과 그 안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지정학적 맥락, 인본지리학적 맥락을 ‘항구’라는 탁월한 상징공간의 맥락을 활용해 이처럼 구체적으로 형상화한 경우는 일찍이 제주문학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즉 전근대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장구한 역사적 시간과, 출륙 금지령부터 항운노조 비리에 이르기까지의 다채로운 사건들, 상이한 시공간적 층위를 사는 인물들의 서로 다른 생활세계와 정신세계가 항구를 매개로 유기적으로 접합되고 재구성되고 있다는 점에서 돋보인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주항으로 환유된 제주섬의 장소성 부각을 통해 미시적인 사건들과 역사들을 그 안에서만 바라보지 않고 더 큰 역사적 지평 안에서 확장적으로 사유하게 한다는 점이다. 연작이라는 소설의 내적 형식은 이러한 담론적 연속성을 분절적이고 파편화된 서사들을 통해 하나의 공간(제주항)을 매개로 모아내고, 통합적이면서 이질적인 서사체로 만들어내는 방식으로써 그 담론적 지평을 확장시킨다. 이런 과정 속에서 제주섬의 단편적인 역사적 비극들과 섬사람들의 현재적 사건들은 거대한 시간적 층위에서, 그리고 복합적인 공간 인식 간의 연관고리 속에서 새롭게 의미화된다. 이로써 <제주항> 연작은 외부로부터의 무장소성에 대항하는 공동체주의와 항거의식 또는 대항담론이, 각각 독립된 것들이 아니라 총체적인 ‘지역성’의 한 모습들임을 보여준다.

      • 〈玄氏兩雄雙麟記〉連作 硏究

        이영택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A series of〈HyunShiYangWoongShangLinKi〉doesn't show 'absence of patriarch' or 'deficit' unlike the early family novels. And, through the vertical conflict which is a core of family novels, they focus on 'conflict between husband and wife' in comparison with early family novels focusing on ‘family awareness’. By considering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a series of〈HyunShiYangWoongShangLinKi〉commonly, conflict aspect of characters and writer's recognitio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series is to expand the members of family firstly, they are reduced and then expanded again. The second, the series showed the narration that conflict is increased and decreas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or antagonists. The third, in the narration, there is unrealistic view of the world from the aspect of transformation, dream, supporter of transcendental ability, etc. The conflict aspect of the series can be divided into individual conflict and social conflict. Individual conflict is shown by individual personality or desire and social conflict is formed by stratum consciousness, external situation or environment. The conflict by each person is caused by personality flaw or distortion as well as character, maid, etc. who promote actively sexual desire. Social conflict is caused by stratum consciousness such as relationship between nobleman or commoners and nobleman families, relationship between imperial family and upper-class nobleman families, relationship between civil servants and military officers, etc. And, the conflict caused by external situation is shown in conflict of father-in-law and son-in-law with bad parents, relationship with hostile character which is external situation. Like that, stratum consciousness means the conflict caused by differences of status or position and the reason of the conflict caused by external situation is misunderstanding or intervention of the third parties. A writer shows firstly family sense and judgement sense for the contradiction of patriarch right. The second, it judges female awareness distorted by contrast and the third, it accuses of male corruption through the active and passive resistance for male violent and authority. The forth, like the heroine novel, it shows female superiority by suggesting heroine, but there is a limitation. Our series family novel is aimed to family expanded from each person. A series of〈HyunShiYangWoongShangLinKi〉 is significant because it has an unique structure expanded and reduced. Also, family novel thoroughly emphasizes on and is positive for family awareness, but 〈HyunShiYangWoongShangLinKi〉seems to be positive for family awareness and there is significantly thorough awareness of problem internally. In addition, the conflict between wife and concubine which is appeared daily in family novels is not nearly emphasized and the conflict between men and women is emphasized. It is significant that realism is strongly appeared as the base of family.

      • 明珠寶月聘 連作小說 硏究

        최길용 全北大學校 1984 국내석사

        RANK : 248623

        Myung Joo Bo Wal Bing novel cycles are composed of 235 volumes in all, which include Myung Joo Bo Wal Bing(100 Volumes ), Yoon Ha Jung Sam Nun Chwee Rok(105 Volumes), and Um Si Hyo Hun Cheong Haeng Rok(30 Volumes). Such a saga novel of a long story is rarely to be found in the world history of literature. These novel cycles with Chinese Song Dynasty as its setting deal with the lives of characters in the family of Yoon, Ha, Jung, So, and Um; these works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clan novel type as most of the long stories which were written in the late Cho Sun Dynasty. But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study these works in entirety as yet. This study aims to examine not only the plot-structure of Myung Joo Bo Wal Bing novel cycles but also the principles and ideals of their life that the leading characters reveal in these cycles. At the same time the writer’s attempt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novel cycles and to make a search of the possibility of Genre establishment as a novel cycles in this study. Also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fact that Myung Joo Bo Wal Bing novel cycles are Korean literary works written by a Korean in the Chosun Dynasty.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Novel cycles are perceived as a type of novel that has the following conceptions or features : a) This novel cycles are type of novel that is written by a writer who created another novel in addition to an independent novel with a intentional will of cycles. b) Each of the novels composed of these novel cycles not only has its own title but also has functions of independent works. c) With the repeats of these works the significance of their characters, settings, and central ideas is deepened, and there comes forth a solid linking through the whole of cycles. 2. The examination of the possibility of establishment of novel cycles Genre in Korean literature shows that there are many works with a mode of novel cycles among the Korean ancient and modern novels. The establishment of novel cycles Genre makes it possible to study these works by pattern. Furthermore it is considered to be helpful in writing and understanding the novel cycles, and it is thought possible to establish the novel cycles Genre in Korean literature. 3. Many similar aspects are, observed in the modes between the novel cycles of Chosun Dynasty and modern novel cycles. 4. In order to prove the fact that Myung Joo Bo Wal Bing novel cycles are Korean literary works, the writer has made an attempt to present, as a evidence, the document of Je Il Gi Eon, in which Myung Joo Bo Wal Bing is shown as a Korean novel. Secondary Korean systems, customs, conventions, proverbs and expressions of language among these novel cycles were broadly investigated and examined in this study. This examination led to the confidence that these novel cycles belonged to Korean literary works, and on the basis of this confidence, it was made clear in this paper that these novel cycles were Korean literary works written in Korean Alphabet(Han Geul) by a Korean writer before 1835. 5.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these novel cycles are composed of the similarity of characters and reiterations of plot frame-works and similarity of polt solution patterns. 6. The whole structure of Myung Joo Bo Wal Bing novel cycles was found to be made up of collections of records of clans, which were composed of collected records of families, which were made up of individual biographies collected together from collections of motifs, fragmental pieces of individual life. 7. The final attempt was to clarify the principles of life presented by the leading characters and their ideals of life they were seeking after in the Myung Joo Bo Wal Bing novel cycles, which were the ultimate propositions of this study. Consequently the lives of these leading characters were founded with their ontological bases of life on the construction of orderly world based on the Confucian views of ethics and on the Confucian views of world ; so male group made filial piety, fraternity, loyalty and faith, their principles of life, and on the other hand female group made filial piety, virtue and family concord, their principles of life. With these principles of life everyone of them overcame their fatal trials and realized their earthly ideals as a man, strengthening the basis of their own existence as an individual in their own groups. And the ideals of life which the leading characters as an individual were seeking after were noble lineage, rising in the world and winning fame, almighty man, poligamy and enjoyment of five virtues, etc , on the other hand their ideals as a group were realized by accomplishing Sam Mun Yeol Hoi Chon, which means the Utopia of a high ranking noble family at that time, and which at the same time was their common ideals, the Good World full of the Confucian ethics order. As shown in this study, Myung Joo Bo Wal Bing novel cycles take on not only features of a strong ethical novel with the theme of realization of Confucian ethical ideals but also those of idealistic literature in pursuit of the earthly ideals of the high ranking noble classes.

      • 『채식주의자』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 연구

        김미연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2

        이 논문은 한강의 연작소설 『채식주의자』를 분석하여 각 작품을 관통하고 있는 에코 페미니즘적 요소를 연구하고자 한다. 『채식주의자』는 한강에게 이상문학상, 맨부커상(인터내셔널 부문) 등을 안겼으며 대중적인 작가로 발돋움하는데 크게 기여한 작품이다. 또한 이 작품은 여성 인물의 저항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한강이 자주 사용한 생태적 요소가 차용되어 있다. 『채식주의자』 는 「채식주의자」, 「몽고반점」, 「나무불꽃」 세 작품이 연작 형태로 묶여있으며 각각 다른 화자의 시점을 통해 병렬적인 완결성을 이룬다. 연작 소설의 중심에는 식물적 이미지와 상상력이 심어져 있다. 또한 폭력과 억압으로 표상되는 기존의 세계를 거부하고 공존과 조화를 추구한다. 이렇게 각 작품은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점층적으로 의미와 가치관이 심화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작품 분석을 위해 여성과 자연의 공통점을 인식한 에코페미니즘 이론을 주로 원용하였다. 에코페미니즘은 남성중심의 지배 담론에서 타자화 되는 것은 비단 소수자나 여성뿐만 아니라 자연과 생명 그 자체도 포함된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사이의 조화와 균형을 위해 억압된 존재를 해방하고자 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한강의 『채식주의자』또한 기존 지배담론을 벗어나 타자화된 여성을 해방하고자 하는 시도가 나타난다. 이 시도를 연작 소설의 순서대로 나열한다면, ①기존의 육식 이데올로기를 거부하는 ‘채식’과 ②식물적 이미지로의 치환, ③생태주의의 과정인 ‘나무 되기’ 가 있다. 「채식주의자」에서 유년의 트라우마를 자각한 후 자아를 찾기 위해 강행한 ‘채식’은 기존 지배 질서를 거부하는 행위이다. 그리고 이러한 저항은 「몽고반점」을 통해 ‘육체와 식물적 이미지의 결합’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나무불꽃」에서 ‘나무 되기’를 통해 육체의 굴레를 벗어난다. 이 세 가지는 에코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볼 때 자연과의 융합을 통하여 갈등을 해결하려는 시도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의 기저에는 기존의 폭력적 육식세계에 대한 거부와 희생적 자연에 대한 긍정이 깔려 있다. 또한 기존 지배 체계를 배격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자연적 여성성이 발현되는 체계를 추구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작품은 훼손당한 여성성에 대한 자각을 기반으로 하며 여성과 생태의 공통점에 주목, 나아가 여성과 자연의 관념적 융합으로 나아간다. 자연과 여성 모두 동일하게 주변부적 존재이며 타자성과 피지배성을 공유하고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여 여성의 몸은 자연과 동일시되고 자궁과 유방도 자연의 재생산과 다산의 원형적 공간으로 치환된다. 에코페미니즘은 과학의 자본주의와 환원주의로 인해 자연과 여성성 모두 훼손당해 왔다고 지적했으며 기존의 위계화된 서열구조를 혁파하고 생태와 여성, 소수자가 평등하게 공존하는 세계를 지향한다. 이와 같이 한강의 소설 속에서 여성의 갈구와 주체적인 행동을 통해 진행되는 일련의 생태적인 메세지들은 작품 외적으로도 성별을 막론하여 오늘날 물질문명이 하에 있는 사회가 어떠한 세계로 나아가야 하는지 시사점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