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립스틱 색채정보의 일관성을 위한 매체별, 소비자 유형별 발색효과 연구 : H브랜드를 중심으로

        한우리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679

        This study has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lor of lipstick surface and the applied color, for the users’ fundamental lip colors vary, to provide the standard for expecting each lipstick’s applied effect. Therefore, the study sheds the light on the fact that device dependent color system has distorted the lipsticks’ color thus the consumers had to receive incorrect color information. For the experiment, each lipstick from beige, orange, light pink, vivid pink, purple groups of domestic cosmetic brand H brand has chosen. The web image, the printed image and the real content of each lipstick are measured with ColorEYE spectrophotometer. Also measured lipstick-applied the middle part of under lip of 31 twenties women, and the followings are the analyzed results: On the website, every lipstick shows the higher Lightness(L*) and Redness(a*) than the content, and the Yellowness(b*) is also higher except the purple lipstick. Lipstick color information on the website shows higher Chroma(C*) according to Redness(a*)and Yellowness(b*) both increased. On the printed paper, lipstick shows comparatively accurate color information in Lightness(L*) category. However, the Redness(a*) of every lipstick, the gap depends on the color, presents lower value, causing the lower Chroma(C*) than the content. Based on the study of Min(2010), this study categorized Korean women lips into 3 groups-the first group with higher Lightness(L*), Yellowness(b*)and lower Redness(a*), the second group with middle Lightness(L*), higher Redness(a*), and the last group with lower Lightness(L*) and higher Redness(a*). The Lightness of face skin and that of the middle part of under lips has meaningful correlation with 0.68 figure, implying that the brighter skin you have, the brighter lips you might have. In the result of the lipstick applying, the first group shows the highest Lightness(L*), and comparatively high Yellowness(b*) and low Redness(a*), reflecting its own fundamental lip base. The second group presents the highest Redness(a*) and the lowest Yellowest(b*) in every color, and the third group shows the lowest Lightness(L*). The goal is set to provide the predictable guideline for lipstick manufacturers to color control of the lipstick, and for lipstick consumers to expect the applied result on the lips, by correcting distorted lipstick information on the website and the printed PR contents. 본 연구에서는 디바이스 종속체계에 따른 립스틱의 색채 정보 왜곡으로 인해, 구매 사전 정보와 실제 립스틱의 색채간의 간극을 살펴본 후, 립 메이크업 시 동일한 색상의 립스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고유한 입술 바탕색으로 인해 실제 립스틱과 발색 결과 색채간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는 립스틱의 소비자들이 립스틱의 웹 상, 인쇄물 상의 이미지와 실제 제품 외관색과의 간극에 혼란스러워하고, 실제 제품 외관색을 알더라도 입술 위에서의 발색 효과를 예측하지 못해 구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립스틱의 색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H브랜드의 베이지, 오렌지, 연핑크, 진핑, 퍼플 색상군에서 대표 립스틱을 선정하여, H브랜드가 공식 관리하는 웹 상에서의 이미지, 공식 인쇄물 상에서의 이미지를 측색하였다. 또한, 서울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31명을 대상으로 아랫입술 중앙 부위와 선정된 립스틱을 도포한 발색 결과를 각각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웹상에서의 립스틱 색채는 컬러군을 불문하고 모두 실제 외관색에 비해 명도(L*) 값과 적색도(a*)값이 높게 표현되며, 황색도(b*)값은 퍼플 색상을 제외하고 모두 높게 표현되었다. 퍼플 립스틱의 경우, 황색도(b*)값이 실제 외관색이 비해 웹 상에서의 황색도(b*)값이 낮게 표현되었는데, 이는 차가운 색의 경우 청색도(-b*) 값이 더욱 배가되어 표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웹상에서의 립스틱 색채 정보값은 실제 외관색에 비해 적색도(a*)와 황색도(b*)값이 모두 증가함에 따라 채도(C*)값 역시 실제 외관색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한다. 인쇄물 상에서의 립스틱 색채는 실제 외관색에 비해 명도(L*)값은 모두 근사치에 머물러 비교적 명도(L*)값이 정확히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적색도(a*)의 경우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모든 컬러에 있어 인쇄물 상에서의 적색도(a*)가 실제 외관색에 비해 낮게 표현되고 있었다. 따라서, 인쇄물 상에서 표현되는 립스틱의 색채 정보값은 실제 외관보다 적색도(a*)가 낮아짐에 따라 채도(C*)도 낮게 표현되는 경향이 뚜렷했다. 황색도(b*)의 경우 일정한 패턴 없이 변화값을 보였다. 민혜조(2010)의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여성의 입술색 대표 유형을 3개-명도과 황색도가 높고 적색도가 낮은 제 1유형, 중명도에 적색도가 높은 제 2유형, 명도가 낮고 적색도가 높은 제 3유형-로 분류하였다. 아랫입술 중앙 부위와 피부색을 측색하여 상관관계지수를 분석한 결과 0.68로 명도(L*)값이 정비례 관계로, 피부색이 밝으면 입술바탕색이 밝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유추된다. H브랜드의 베이지 립스틱을 각 유형별로 도포하여 측색한 값을 분석한 결과, 유형 1은 가장 높은 명도(L*)값, 가장 낮은 적색도(a*)값, 그리고 가장 높은 황색도(b*)값을 보였다. 유형 2는 가장 높은 적색도(a*)와 가장 낮은 황색도(b*)를, 유형 3은 세 유형 중 유형 2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면서 최저 명도(L*)을 기록했다. H브랜드의 오렌지 립스틱의 경우, 유형 1은 세 유형 중 가장 높은 명도(L*)값, 가장 낮은 적색도(a*)값, 그리고 가장 높은 황색도(b*)값을 보였다. 유형 2는 세 유형 중 적색도(a*)가 가장 높고, 황색도(b*)가 가장 낮았으며, 유형 3은 세 유형 중 유형 2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면서 최저 명도(L*)을 기록했다. H브랜드의 연핑크의 경우, 유형 1은 세 유형 중 가장 높은 명도(L*)값, 가장 낮은 적색도(a*)값, 그리고 가장 높은 황색도(b*)값을 보였다. 유형 2와 유형 3은 상대적으로 높은 적색도 값과 낮은 황색도 값을 보이며 비슷한 양상의 효과가 나타났는데, 다만 명도값에서 유형 2가 유형 3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H브랜드의 진핑크 립스틱의 경우, 세 유형 간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요소는 명도(L*)값이었다. 본연의 립스틱 내용물의 적색도(a*)값이 다른 색상군에 비해 높고 채도가 높은 데 비해, 실제 발색 효과는 내용물에 비해 채도가 낮게 표현됨을 알 수 있었다. H브랜드의 경우, 유형 1은 세 유형 중 가장 높은 명도(L*)값, 가장 높은 황색도(b*)값을 보였다. 유형 2는 세 유형 중 명도값과 적색도 값이 가장 실물과 비슷하게 표현되었으나 다소 높은 황색도로 인해 실제 립스틱 색의 차가운 톤이 중화되었다. 유형 3은 세 유형 중 가장 낮은 황색도를 보였고, 특히 모든 색상을 통틀어 유일하게 립스틱 내용물보다 발색효과의 채도가 높게 표현되었다. 결론적으로 제 1유형의 입술은 모든 립스틱 도포 결과에서 가장 높은 명도(L*)값을 지니고, 비교적 높은 황색도(b*)와 낮은 적색도(a*)를 띤다. 유형 2는 모든 컬러에서 가장 높은 적색도(a*)값과 가장 낮은 황색도(b*)값을 타나내고, 유형 3은 모든 컬러에 있어 가장 낮은 명도(L*)값을 보인다. 이상의 결과는 립스틱의 색채 정보를 전달하는 웹 상의 이미지와 인쇄물 상의 이미지의 정보 왜곡을 바로 잡고 피부에 따른 입술 유형 분류와 유형에 따른 립스틱의 발색 효과를 예측하는 기준이 되어, 향후 립스틱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립스틱의 색상정보를 바로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메디컬(병원용) 제품 패키지의 색채디자인 연구 : 상처치료 제품과 합성골이식재 제품의 패키지 중심으로

        안미화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79

        포장디자인은 소비자가 가장 먼저 제품에 대해 인지 할 수 있는 디자인의 요소이다. 단순히 제품을 보호하고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었던 포장디자인은 현대에 들어서는 사람들의 높은 소비수준과 문화수준에 따라 단순히 제품을 보호하는 기능외에도 패키지디자인 자체에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있다. 특히 사람은 눈을 통해 거의 모든 것을 인지하기 때문에, 패키 지 디자인의 적용된 그래픽이나 색채가 해당 제품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료산업은 고령화 시대와 의료기술이 비약적인 발전으로 더욱 확대되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국내의 의료기기 제품의 개발과 포장에도 패키지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그 범위가 제한적이다. 의료관련 제품중 약국에서 판매되는 의약품에 대해서는 약물의 오남용의 문제 때문에 용기 구조 및 재질, 색채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상처치료 제품이나 합성골이식재와 같은 병원용 의료기기 제품은 수술, 처치, 화상등 여러 분야의 의사 및 간호사들인 의료전문인들이 사용하는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제품 패키지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관심이 매우 낮은 상태이다. 해당 의료기기 제품들은 빠른 시간내에 수많은 회사와 다양한 제품군 속에서 원하는 제품을 인지하고 찾아야 한다. 현재 의료기기 패키지디자인 또는 색상은 각 기업의 디자인 시스템으로만 구별될 뿐이며,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디자인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색채에 있어서도 무분별한 색의 사용으로 심각한 색채 공해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색채가 신체에 미치는 요소 및 영향등을 고려하여 메디컬 카테고리내 제품 패키지에 있어서 사용자가 좀 더 인지가 쉽고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색채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이미 출시되어 사용하고 있는 상처치료와 합성골이 식재 제품을 대상으로 색채현황 분석을 통해 각 제품의 목적과 전문성에 맞는 색상 및 톤(Tone), 배색이미지를 포함한 색채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또한 해당 제품이 의료기기인 만큼 정보적 요소를 부각하여 전체적으로 체계적인 디자인 적용방안을 모색하여 색채디자인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Packing design is elements of design to customer to take cognizance of products firstly. The packing design has been designed simply a facilitating the transport function and protect the products. But in modern times, it changed to be granted value such as depending on consumption levels and high cultural level of the people. Applied graphics and color of the packaging design are important to selection of the product because of people should recognize specially that almost all through the eyes. The medical industry for Aging Society and the advancement of medical technology ever widening. Changing rapidly with the times, Korea(Domestic) medical devices are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medical device’s development and package design but its rage is limited. The medical products have been studied for drug container structures and materials, colors, etc because of the problem of abuse of drugs sold in pharmacies. However, hospital products such as wound care products and synthetic bone grafting material covered in this research, despite doctors and nurses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al professionals are using the product in surgery, treatment, and burn etc., they are interested in very low about the importance of product packaging. The medical professionals should seek to recognize the corresponding products within a short time among the many companies and variety of products. Current medical device package design or color is only distinguished only by the design system of their respective companies. This is a situation that is not made up of a systematic and deliberate design system. Also even in color, sometimes it causing serious color pollution to the use of indiscriminate color. Therefore, in the medical category within the product package is needed colors design research with colors in consideration of the elements and effects of the body for the us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easily recognize more. In this research presented a color and tone, color scheme imaging to fit purpose as professionalism of each product through the wound dressing product and synthetic bone graft material product which is already used in existing releases’ current color analysis of the product. Furthermore, it aim to presenting an improvement of color design to explore the systematic design methods plan generally to highlight the information elements as a medical device.

      • 컬러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본 공공도서관 사인의 시인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내 8개 도서관 기명, 안내사인을 중심으로

        최영민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79

        현대의 공공도서관은 본래의 역할인 문헌정보 및 보관과 제공의 기능에서 현재는 문화, 예술을 지원하고 주민들의 취미와 여가할동을 돕는 등 지역사회의 커뮤니티공간으로 역할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현대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연령별, 문화별, 인종별, 능력별 차이와 상관없이 모든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어야 한다. 공공도서관은 공간의 특성상 점점 증가하는 정보를 이용자에게 빠르고 효율적으로 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서관내의 기명, 안내사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사인의 구성요소중 색채는 인간의 시각인지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요소로 사인시스템 내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문자나 형태에 비해 효과가 크고 인지하는 대상에 따라 받아들여지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대상별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기명, 안내사인의 색채가 모든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데 있어 효과적이고 편리함에 적합한 색을 적용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본다. 또한 컬러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사인의 시인성을 조사하고 각기 다른 시각적 환경을 가진 사람들에게 시각적 정보가 얼마나 공평하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펴 문제점을 제시하고 방향을 제안함으로서 다양한 이용자에게 시각적 편의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조사 결과로는 전반적으로 컬러유니버설디자인 평가항목에 적합하게 디자인이 되어져 있었으나 몇몇의 사인에서는 그렇지 못하였다. 특히 기명사인의 경우 전체적인 평가결과는 좋은 편이었으며 한색계열의 바탕색 사용이 많음에도 사인의 시인성에 큰 불편함을 주지는 않았는데 이는 문자색과의 적절한 명도, 채도차를 사용함으로서 사인 인식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안내사인에서는 몇몇의 공공도서관들이 컬러유니버설디자인 평가에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하였다. 특히 특별한 색 사용이 없이도 높은 점수를 받은 안 내사인의 경우 색의 오류가 없는 무채색을 사용하고 명도차를 크게 주어 시 인성을 높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안내사인은 구성상 언어적 내용이 많기 때문에 가독성이 좋아야하나 다양 한 색의 사용과 낮은 명도, 채도차는 가독성을 저하시키고 많은 정보를 신 속하고 명쾌하게 전달하기에 어려움을 주었다. 또한 검은 바탕에 흰 문자의 사용은 고령자의 가독성을 저하시켰으며 지각하기 어려운 근소한 색의 배색 은 시인성을 떨어뜨렸다. 이에 공공도서관의 안내사인은 바탕색과 문자색을 사용함에 있어 근소한 색의 배색을 피하고 다양한 색상 사용의 수를 줄이며 반드시 뚜렷한 명도차 를 주어 모든 이용자를 대상으로 문자 가독성과 식별성을 높여야 한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기명, 안내사인의 경우 고령자보다는 색각이상자와 저시력자 의 시인성이 보다 낮게 나타난 것을 후에 색채 선정에 있어 참고하여 색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Public libraries today have evolved into a community center that supports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s well as leisure activities of community members from the storage facility of documented information. In order for public libraries to more effectively function as a community center as stated above, they must be designed for users of all ages, cultural backgrounds, ethnic backgrounds, and abilities to be able to access and use them without difficulty. A public library is required to provide an ever increasing amount of information to its users in a speedy and efficient manner. Identification Signs and Guide Signs in a librar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sense. In particular, colors, among all the design elements of a sign, are viewe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our visual recognition and play a central role within the sign system. Colors are more effective than text or shapes and are recognized differently by each individual. Thus, it is necessary to take different target groups into consideration when studying colors. As such,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whether colors applied to Identification Signs and Guide Signs at public libraries are effective in delivering information to all users. This study also aims to look into visibility of various signs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Color Universal Design; check whether visual information is being provided fairly to people with varied conditions of vision; propose solutions for the problems detected; and ultimately bring forth improvements in the designs of signs so that they can be more readily and comfortably recognized by different types of us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ost signs in general were designed in a manner that scored high on the Color Universal Design evaluation. However, some failed to meet the standards. In particular, the evaluation results for the Identification Signs were favorable overall. Visibility of these signs was considered fairly high even though many had a background of a cold color. This was because the differences in value and chroma between the background color and text color worked to make the sign easily recognizable. Guide Signs of some public libraries received low scores on the Color Universal Design evaluation. The signs that received higher scores without using notable colors are found to have employed achromatic colors that can be reproduced error-free and to have enhanced visibility by utilizing great differences in value. Guide Signs must be easy to read as they frequently contain many text messages. It is not desirable to use too many colors at a time or colors that show little difference in value and chroma as they can compromise readability and pose difficulties in delivering multiple messages promptly and accurately. White letters set against a black background were found to compromise readability for senior users. The arrangement of two hard-to-distinguish colors next to each other also decreased visibility. In conclusion, directional signs in public libraries must avoid the application of similar colors to the background and text; avoid the use of too many colors at a time; and employ colors that show clear differences in value in order to ensure readability and visibility for all users. Lastly, it must be remembered that it was more difficult for those with dyschromatopsia and low vision to recognize directional signs with text in public libraries, and improvements must be made accordingly.

      • 국내 대학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충북대학교 심벌마크 리뉴얼을 중심으로

        김명신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Universities have come to the age of ‘survival of the fittest’ in these days. In order to survive competition with other universities, establishing strategic identities that can give consumers a stronger awareness and managing sustainable brand image have become a necessity, not an option. Universities are choosing college symbol mark renewal as the most efficient way to re-leap through brand rejuvenation, hoping to change the bored and aged college brand image to young and fresh. The symbol mark renewal improves the image of the university to the circumstances and purpose of the university and creates a new image. A well-made symbol mark enhances the public's sense of good feeling and awareness, and positively affects the image of a sustainable university as a means of good communic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think again if the renewal of the symbol mark is carried on to the trend of the times and it changes indiscreetly without philosophy and symbolism. The symbol mark of a university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guarantees the image of the school and represents the symbol and identity of the university at the same time. It can be rather dangerous to maintain the identity of the university if it is deviated from the intolerance only to attract differentiated and new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guideline based on the symbol mark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to show how to renew the symbol mark of university.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largely composed of three parts, reference research, case study, and empirical research through questionnaires. In reference research, the concept of brand identity and brand renewal was theoretically examined and the environment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the changes of college symbol mark also. In the case study, I analyzed the development status and renewal tendency by examining 41 renewed symbol marks of domestic four - year universities since 2000, and compared them with the symbol mark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The empirical study was divided into the case of the university renewal of the symbol mark and the case of the symbol mark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irst of all, the symbol mark was evaluated for the 4 universities in Korea (Kookmin Universit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by 5 items that are differentiation, high quality, appropriateness for college mark, attention, symbolism. In addition, the university image associated with the symbol mark was evaluated by 5 items as 'traditional', 'futuristic', 'international', 'large', and 'academic'. Through this process, I have identified the college that has improved the image of college relatively after the renewal, and the university that has become worse than the one before the renewal, and suggests points and guidelines for efficient symbol mark renewal. Secondly, the evaluation of the university image based on the symbol mark and the symbol mark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with the same evaluation items. As a result, I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symbol mark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nd examined how the present symbol affects the formation of university image and how the symbol mark and the university image differ according to the survey subject.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ld college symbol marks need to be renewed in a sustainable form, and at the time of renewal, it should be changed while maintaining core identity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In short, it was proposed as a direction and a guideline of renewal to maintain the "appropriateness for college mark" and "symbolism" of the symbol mark, but to have differentiation, high quality, and attention to the old image. However, There were two limitations in this study in th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was located in Cheongju area and 41% of this university students were involv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오늘날 대학은 그야말로 ‘적자생존’의 시대를 맞이하였다. 타 대학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소비자에게 강한 인식을 줄 수 있는 전략적인 아이덴티티의 수립과 지속가능한 브랜드 이미지 관리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대학들은 지루해지고 노후화된 대학 브랜드 이미지를 시대에 맞추어 젊고 신선하게 바꾸고 수험생의 선택을 기대하고 있으며, 브랜드 재활성화를 통한 재도약을 위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대학 심벌마크 리뉴얼을 택하고 있다. 심벌마크 리뉴얼은 대학의 이미지를 그 대학이 처한 환경과 목적에 맞게 개선해주며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잘 만들어진 심벌마크는 대중으로 하여금 호감도와 인지도를 높여주며 좋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지속가능한 대학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노후화된 심벌마크는 차별성을 상실하여 경쟁에서 밀리거나 사람들의 기억에서 지워지기 때문에 브랜드의 주기별로 알맞은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사회의 변화와 고객의 욕구에 따라 브랜드의 이미지를 재정립하는 전략이 중요하다. 즉, 브랜드 리뉴얼이 필요하다 하겠다. 그러나 심벌마크의 리뉴얼이 시대적 트렌드에 편승하여 철학과 상징성이 없이 무분별하게 변한다면 그것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대학의 심벌마크는 학교의 이미지를 보증함과 동시에 그 대학의 상징과 정체성을 나타내주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자칫 차별화되고 새로운 디자인으로 시선을 끌기 위한 것에만 편협하게 치우치다 보면 오히려 대학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에 위험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구성요소 중 심벌마크를 어떻게 리뉴얼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충북대학교 심벌마크를 중심으로 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조사 그리고 설문을 통한 실증적 조사연구 등 크게 세 가지가 병행되었다. 문헌연구에서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리뉴얼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국내 대학이 처한 환경과 대학 심벌마크의 변천사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사례조사에서는 국내 4년제 대학 중 2000년 이후 심벌마크를 리뉴얼 한 41곳을 조사하여 개발 현황 및 리뉴얼 경향을 분석했으며, 충북대학교 심벌마크와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짚어보았다. 실증연구는 심벌마크를 리뉴얼 한 대학의 경우와 충북대학교 심벌마크의 경우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먼저 심벌마크를 리뉴얼한 국내 4곳(국민대학교, 전북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양대학교)의 대학을 대상으로 심벌마크의 조형적 이미지를 ‘차별성’, ‘고급성’, ‘대학마크다움’, ‘주목성’, ‘상징성’ 5가지 평가항목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심벌마크에서 연상되는 대학 이미지는 ‘전통적이다’, ‘미래지향적이다’, ‘국제적이다’, ‘규모가크다’, ‘학술적이다’의 5가지로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심벌마크의 리뉴얼 전과 후, 심벌마크에 대한 이미지와 대학 이미지는 어떻게 변화하는지 5점 리커트척도법을 통해 차이점을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리뉴얼 후 비교적 대학의 이미지가 개선된 대학과 리뉴얼 전보다 개악된 대학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심벌마크 리뉴얼에 있어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또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로 충북대학교 심벌마크와 심벌마크에서 연상되는 대학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 위의 평가항목을 동일하게 반영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충북대 심벌마크의 현주소를 파악했으며 현재의 심벌이 대학 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심벌마크와 대학 이미지에 대한 평가가 설문조사 대상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낡고 오래된 대학 심벌마크는 지속가능한 형태로 리뉴얼할 필요가 있으며, 리뉴얼 시에는 시대의 요구를 반영하되 핵심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면서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심벌마크의 ‘대학마크다움’과 ‘상징성’을 유지하되, 낡은 이미지의 형태를 다듬어 ‘차별성’과 ‘고급성’ 그리고 ‘주목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리뉴얼의 방향이자 가이드라인으로 제안하였다. 한편, 이번 연구의 설문조사 대상에 있어 충북대학교가 위치한 청주 지역이 대부분인 점, 이 대학 구성원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충북대학교 심벌마크와 대학 이미지에 대한 평가에 있어 자의적인 해석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한 점 등에서 한계가 있었다.

      • 문화적 도시재생에서의 지역정체성을 위한 경관색채에 관한 연구 : 인천시 동구 금창동을 중심으로

        정학준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79

        Main cities in the world have attained the current appearances, via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histories and backgrounds. The spaces which once served urban functions were, therefore, transformed into old downtown, various traces on historical layers disappeared under the cloak of development, and local communities were also disintegrated. As such problems have been accumulated, local identity has disappeared and the sociocultural aspect rather began to fall. Korea enacted the「Special Act on Urban Improvement Promotion」in 2005, as a measure for improving several problems such as loss of downtown’s function and imbalanced urban expansion, occurring in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Such an act-based improvement project was conducted with a full-scale development mode rather than preservation and regeneration, leading to local contextual interruption. To overcome such a limit of physical development, a culture-based urban regeneration method emerged a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iven the urban organic trait. The urban regeneration with such an aim promotes the balanced development and the formation of local identity, since the methodology using the locally inherent culture and history is an effective measure for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The formation of locally inherent identity has been valu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maintenance projects in many regions, as the environment of dwelling areas has been improved by the government-led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since 2017. It is essential to reflect the locally inherent color images in the formation of each local identity based on landscap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the landscapes by applying colors derived from the humanistic environ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ces. In this context, an approach considering a right direction of development, by integrating the problems regarding the culture-based urban regeneration, local identity and colors. This study, therefore, intended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of landscape colors and suggest an improvement, by selecting Geumchang-dong, Dong-gu, Incheon Metropolitan City as a case of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Hence, it aim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forming the local identity and suggest the importance of landscape colors. The streetscape of a main district studied was examined to show the lack of unity, caused by improper variations between the use of colors and the continuity of landscapes. It could be found that the category of colors, different from the identity of the whole district of Geumchang-dong, was scattered. To improve this problem, this study drew inherent color images, which can be preserved and used for a long time, from the modern historical cultural properties. Then, it reviewed the concept plan made by Incheon-si and set the representative and recommended color for forming the local identity of Geumchang-dong. By applying the recommended scope of colors, it attempted to improve recklessly used colors and for the identity of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rea, by developing the landscape reflecting its locality. In addition, it suggested an improvement by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wall paintings in the area and proposed how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implementing the plan of colors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Th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moting the landscape colors, to form the identity of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rea. It is thought to be able to draw an improvement, by applying the issue of this study, and the methods and results of research to the early stage of the landscape pla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landscape colors of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rea, and therefore, an advanced follow-up study will be conducted. 세계의 주요 도시들은 다양한 역사와 배경에 따라 산업화와 근대화 과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도심 기능을 하던 공간들은 구도심으로 바뀌었으며 역사적 지층의 다양한 흔적들은 개발이라는 미명하에 사라지고 지역의 커뮤니티 또한 해체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이 축적되면서 지역의 정체성은 사라져갔고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오히려 쇠퇴의 길로 접어들기도 하였다. 우리나라는 도시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원도심의 기능 상실과 불균형적인 도시 팽창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으로「도시 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법률에 의한 정비사업은 보존과 재생이 아닌 전면개발 방식으로 시행되었으므로 지역 맥락 단절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물리적 개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도시의 유기적인 속성을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개발로서의 문화 중심 도시재생 방식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방향성의 도시재생은 균형개발 및 지역정체성 형성을 지향하는데 이는 지역 고유의 문화와 역사를 활용하는 방법론이 문화적 도시재생에 있어서 효과적인 수단이기 때문이다. 2017년 이래 정부의 국정과제에 의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추진으로 주거지 환경개선 등이 시행되면서 다수의 지역에서 경관 정비사업이 전개됨에 따라 지역 고유의 정체성 형성을 중요시하게 되었다. 경관을 통한 지역정체성 형성에서 지역 고유의 이미지를 반영하는 것은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이를 위해서는 인문적 환경과 장소의 특성에 따른 색채 의 적용을 통해 경관을 형성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 중심의 도시재생과 지역의 정체성, 색채에 관한 문제를 통합적으로 연계하여 발전 방향을 고민하는 접근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적 도시재생의 사례지인 인천광역시 동구 금창동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경관색채 현황과 색채 이미지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경관색채의 중요성을 시사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지 주요 구역의 가로경관을 중심으로 조사를 진행한 결과, 고채도의 색채 사용과 경관 연속성의 부적절한 편차 발생으로 인한 통일성 부재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금창동의 전 구역에서 지역의 정체성과 상이한 범주의 색채가 산재하고 있는 현황이 조사 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근대 역사 문화재로부터 장기적으로 보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고유의 색채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이후 인천시의 상위계획을 검토하고 금창동의 지역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대표색 및 권장 색채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색채의 권장 범위를 적용하여 무계획적인 색채를 개선하고 지역성이 반영된 경관을 조성하여 문화적 도시재생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역 내 벽화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도시재생을 통한 색채계획의 실행과정에서 주민참여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화적 도시재생 지역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경관색채 조성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의 논점과 조사 분석의 방법 및 결과를 경관계획의 초기 단계부터 적용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가 문화적 도시재생 지역의 경관색채 개선에 기여하고 이를 토대로 발전된 후속 연구가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 SNS 품질 및 개인 성향이 SNS 신뢰도와 만족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직원을 중심으로

        신아영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emergence of SNS (Social Networking Sites) has changed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ast government, which had focused on one–way communication with using mass media, to a two-way communication. Currently,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re actively utilizing SNS platforms for effective spread of their campaign messages and information. Through SNS, in which the users can freely share their ideas and opinions as well as form lively mutual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re able to enhance the users' understanding of the policies and create mutual consensus on major agendas. There have been studies focusing on identifying a variety of SNS characteristics and the intention of its continuous use along with the increasing influence and necessity of SNS. However, research on SNS of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is quite limited to the topic of usage patterns simply based on user awareness such as plans for SNS application, analysis of the network structure and political implications, and strategic plan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social media. To fill this research gap,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how SNS quality factors and individual differences such as user innovativeness and regulatory focus influenced on SNS trust, SNS satisfaction of the institutions' SNS, and further, word–of-mouth effect, respectively. A total of 234 internal employees in the public institutions in Daejeon-si and the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in Sejong-si joined this study.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SNS quality factors and individual differences that influenced SNS trust, factors including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and emotional quality, and user innovativeness had significant impacts on it. These results show that via SNS platforms, it is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the users and promptly provide them with useful information, thereby establishing steady trust and bond with them. In other words, SNS managers should offer users easy-to-understand and accurate information in a timely manner and faithfully engage in interactions with the users . Second, regar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d SNS satisfaction, information quality, and emotional quality had positive influences on it, meanwhile service quality showed a margin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i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ot only providing accurate and prompt information via SNS, but also engaging in two-way interactions with the users are matters to increase users’ SNS satisfaction.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SNS trust and SNS satisfaction that influenced word–of-mouth effect, these two factors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it. It illustrates that users’prompt acquisition of accurate and useful information via the institutions' SNS and the close interactions based on the SNS managers' quick feedback are positively related to SNS trust, SNS satisfaction, and seubsequently, results in word–of-mouth effect. Finally, SNS trust and SNS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 the effects of information quality and emotional quality onword–of–mouth effect. Also, emotional qualit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trust and word-of-mouth effect. Among the individual difference factors, only innovativeness was found to positively affect word–of-mouth effect with a full mediation via SNS trust.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SNS qu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 employees on SNS trust, SNS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effec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develop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internal and external public. In addition, this study willshed light on preparing strategic plans to increase SNS trust and SNS satisfaction of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 ​ ​ ​ SNS(Social Networking Sites)의 등장은 매스미디어 중심으로 일방향적으로 수행해왔던 과거 정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변화시켰다. 현재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는 효과적인 메시지 확산과 소통을 위해 기관 SNS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자유로이 공유하고 활발한 상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SNS를 통해 정부 및 공공기관은 이용자들에게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 주요 의제에 대한 상호 간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SNS에 대한 필요성과 영향력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SNS의 특성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정부 및 공공기관의 SNS 대한 연구는 이용자 인식을 기반으로 한 SNS 활용방안, 네트워크 구조분석 및 정책적 함의, 소셜미디어 도입에 관한 전략적 방안 등 주로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로 한정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세종시 부·처와 대전 공공기관의 내부직원 234명을 대상으로 SNS 품질요인과 개인성향의 요인이 기관의 SNS 신뢰도와 만족도 나아가 구전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연구해 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SNS 품질 요인인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 감성 품질과 개인성향 요인인 혁신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기관들이 이용자 소통 플랫폼으로 SNS를 적극적 활용하여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과 지속적인 신뢰감과 유대감을 구축한 결과이다. 즉, 기관의 SNS 신뢰도 제고를 위해 이용자들이 이해하기 쉽고, 정확한 정보를 빠르게 제공해야 하며, 동시에 SNS 담당자는 이용자들과의 상호작용에 충실하게 대응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SNS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정보 품질, 감성 품질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서비스 품질은 한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기관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제공과 이용자와의 상호작용이 SNS 만족도를 높이는 데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구전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SNS 신뢰도와 SNS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두 요인 모두 구전효과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기관 SNS를 통해 이용자가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때 구전효과로 이어짐을 보여준다. 더불어 SNS 담당자의 빠른 피드백을 통한 상호작용들이 SNS 신뢰도와 만족도 및 이후 구전효과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SNS 품질 요인과 구전효과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SNS 신뢰도와 SNS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전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정보 품질과 감성 품질이 SNS 신뢰도와 SNS 만족도를 부분매개로 구전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감성품질은 SNS 신뢰도를 부분 매개하여 구전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개인성향 요인 중 혁신성만이 SNS 신뢰도를 완전매개하여 구전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 및 공공기관 임직원의 SNS 품질 인식과 개인성향이 SNS 신뢰도, 만족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내·외부 공중들과의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이론적, 실무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향후 정부 및 공공기관의 SNS 신뢰도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 방안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 재도장아파트 외관 색채 변화추세 분석과 경관별 조화로운 색채디자인 연구

        김수영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79

        Among the various elements that give a city its distinctive qualities, architec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partments, which account for a large majority of visible architecture, began their early stages of rapid development in Jongam and Mapo, where quantitative growth in supply was prioritized to resolve housing shortages amid the rapid urbanization of the 1960s. However, from a qualitative perspective, poor residential conditions were being created. Since then, as the proportion of high-rise apartment blocks has increased, the color plans of the apartments’ exterior have strongly influenced the cre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urban landscape, and to date has led to a diversified use of color. According to Korean Content Media, on account of the 30-year average replacement-life span of apartments, a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number of apartment househol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of 2020 is 7,034. In particular, the number of apartments constructed up to 2015, during which time repainting was recommended every 5 years under the Multi-Family Housing Act’s detailed enforcement regulations, included 6,104 households,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ewly constructed apartments; this has had an even greater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aesthetics in the urban landscape. Accordingly, numerous construction companies are developing beautiful exterior designs every year in a variety of attempts to break from the uniform design of apartment facades and specialize their brand image. In particular, they are attempting change through various designs and color plans by repainting the exteriors of not only newly constructed apartments, but also previously constructed apartments, to raise their value. This means that systematic color design, such as that of newly constructed apartments, must come first even when repainting projects.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exterior color of repainted apartments and observe the preferences and regional guidelines that affect the design selection stage. Therefore, this study, through a focus on repainted apartm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imed to examine the external color by year and study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hile studying the harmonious color and design schemes of each landscape according to the Seoul Color Guideline. In addition,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in two main stages. First, repainted apartments were grouped by the 2000s, early 2010s, late 2010s, and 2020s, and the current condition of their external colors by year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using the natural color system. Second, using Munsell notation for the color palettes recommended by the Seoul Color Guideline, a survey was conducted of external color and design schemes in harmony with natural, waterfront, historic-cultural, and heavy urban landscapes. The results of the repainted exterior color analysis and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dominant colors in the trend of repainted apartments mainly used YR colors with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from the 2000s until the early 2010s, and N colors with high brightness and no chroma from 2010. The secondary colors mainly used in the 2000s until the early 2010s were YR colors of medium brightness and low chroma, and after 2010, N colors of medium brightness and no chroma. As for the accent colors, YR colors of medium brightness and medium chroma were frequently used in the 2000s, YR and GY colors of medium brightness and medium chroma in the early 2010s, RB colors of low brightness and medium chroma in the late 2010s, and, finally, both RB colors of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and N colors with low brightness and no chroma in the 2020s. I n this way, with dominant and secondary colors applied using the same color series, and with the accent colors reflecting the yearly trend, the distribution of various color series is presented. Second, based on the combined frequency of the secondary colors, accent colors, and design scheme in harmony with each region’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or natural landscapes, secondary Y colors, 10G 4/4 accent colors, and a basic color scheme were most chosen, while w secondary N colors, 7.5B 7/4 accent colors, and a striped color scheme were most chosen for waterfront landscapes. Historic-cultural landscapes showed highest frequencies of secondary R colors, 2.5YR 6/1 accent colors, and a basic color scheme. Lastly, heavy urban landscapes frequently showed secondary N colors, 10B 5/0.5 accent colors, and a basic color scheme. In addition, with regard to gender, most men and women selected the same color or a similar color at a high frequency, while by age, there was a large variation in the colors selected. Current repainted apartments in city landscapes have not been separately reviewed by local authorities, causing the city landscape to appear inconsistent as colors jar with the landscape’s particular qualities but studies proposing a specific design direction have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a plan to harmonize the color and design schemes with each landscape when repainting the exteriors of apartment buildings as a way of maintaining urban identity. In addition, as an observation of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external colors of repainted apartments by year,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of a color and design scheme in harmony with each landscape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in practice when proposing a repainted apartment design in the future. Based on the urban color guidelines of each local government, it is hoped that color research on repainted apartments highlighting the landscape’s distinctive qualities inherent to the region will continue 도시 특성을 이루는 다양한 도시적 요소 중 건축물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건축물 중에서도 시각적 점유율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아파트는 1960년대 급격한 도시화 과정에서 주택난 해소를 위해 양적 공급이 우선이었던 초창기 종암, 마포 아파트로 시작되어 급속도로 발전해 왔지만, 질적으로는 열악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고 있었다. 이후 고층 아파트군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아파트 외부 색채계획은 도시경관의 미관 조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어 현재까지 다양한 색채로 변화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아파트 평균 교체수명인 30년 연한을 기점으로 한국콘텐츠미디어(2020)에 따르면 2020년도 기준 서울수도권 아파트의 세대수는 7,034세대이다. 특히 공동주택관리법 세부시행규칙에서 5년 주기로 권고하는 재도장 시기인 2015년도까지의 구축아파트는 6,104세대로 신축아파트보다 현저히 많아 도시경관의 미관조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건설사에선 획일화된 아파트 입면 디자인을 탈피하고 브랜드의 이미지를 특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로 매해 수려한 외관 디자인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신축아파트뿐만 아니라 구축아파트도 가치를 높이기 위해 외부 재도장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과 색채계획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는 재도장 사업에서도 신축아파트와 같은 체계적 색채디자인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는 재도장 아파트의 외관 색채에 대한 분석과 디자인 선정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선호도 및 지역 가이드라인의 파악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수도권 재도장아파트 중심으로 연도별로 외관 색채를 확인하고 재도장아파트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서울시 색채 가이드라인에 따른 경관별 조화로운 색채 및 배색디자인 연구를 하였다. 또한, 실증적 연구는 크게 2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재도장아파트를 2000년대, 2010년 초반대, 2010년 후반대, 2020년대로 나누어 연도별 외부색채 현황을 NCS 표색계를 사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서울시 색채 가이드라인에서 권장하는 색채 팔레트 중 먼셀표기법을 이용하여 자연ㆍ수변ㆍ역사문화ㆍ시가지경관과 조화로운 외부색채 및 배색디자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재도장 외부색채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도장아파트의 변화 추세는 주조색은 2000년대와 2010년 초반대까지는 고명도ㆍ저채도의 YR계열, 2010년 이후로는 고명도ㆍ무채도의 N계열 색을 주로 사용되었다. 보조색은 2000년대와 2010년 초반대까지는 중명도ㆍ저채도의 YR계열, 2010년 이후로는 중명도ㆍ무채도의 N계열 색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강조색은 2000년대는 중명도ㆍ중채도의 YR계열, 2010년 초반대는 중명도ㆍ중채도의 YR계열과 GY계열, 2010년 후반대는 저명도ㆍ중채도의 RB계열, 2020년대는 저명도ㆍ 저채도의 RB계열과 저명도ㆍ무채도의 N계열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주조색과 보조색은 동일 색상계열로 적용이 되었으며, 강조색은 연도별로 트렌드에 반영하여 다양한 색상계열의 분포도가 보였다. 둘째, 각 권역별 특성에 조화로운 보조색, 강조색 그리고 배색디자인의 종합빈도로 자연경관은 보조색 Y계열, 강조색 10G 4/4, Basic 배색이 가장 많은 선택을 하였다. 또한 수변경관의 보조색은 N계열, 강조색은 7.5B 7/4, Stripe 배색이 가장 많은 선택을 하였으며, 역사문화경관의 보조색은 R계열, 강조색은 2.5YR 6/1, Basic 배색이 빈도수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시가지경관의 보조색은 N계열, 강조색은 10B 5/0.5, Basic 배색이 빈도수가 가장 높았다. 또한, 성별에 따라서는 남녀 대부분 동일색 혹은 유사색 계열의 선택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비교적 다양한 색을 선택하였다. 현재 도시경관에서 재도장 아파트는 지자체의 별도 심의를 받지 않아 경관 특성에 조화롭지 못한 색채들로 도시경관의 불규칙한 모습이 보이고 있으나 이에 따른 구체적인 디자인 방향을 제시한 연구는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정체성을 유지하는 방안으로 외부 재도장 시 경관별 조화로운 색채 및 배색디자인의 실현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재도장아파트의 연도별 외관 색채 현황을 파악하여 경관별 조화로운 색채와 배색디자인 제시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재도장아파트 디자인 제안 시 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연구이다. 각 지자체 도시 색채 가이드라인에 근거하여 지역 고유의 경관 특성을 부각시킨 재도장 아파트에 대한 색채연구가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연구가 확대되길 기대한다.

      • 스마트폰 흑백모드 사용에 따른 사용시간과 과의존도 및 의지력 변화에 관한 연구

        김영호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79

        Thanking to smartphone’s overall diffusion, nowadays we can get information more easily without bound by time or space. That means, smartphone has become a new kind of media allowing access to various kind of life services and recreations. Doubtlessly, the smartphone device has made our life far richer than before. However, neither we can ignore side effects caused by its spreading along with prevalence of its cultural and industrial dominance. But among various problems it causes, especially, the most serious one would be over-dependency on it, which has risen as a pan-social problem by which the affected population-rate kept increasing continuously, from 2012 to 2021. Considering all those aspects, this study aimed at discovering smartphone-dependency impact on color perception, comparing smartphone-duration before and after adapting black-and-white mode. As well, we would like to provide data for smartphone’s correct use with recognition on dangers involving smartphone-dependency and increasing duration. Regarding over-dependency’s impact on users, it has been already addressed by numerous previous studies. Unlike them, the present study focuses more on the smartphone-duration’s decrease, conducing analyses in three steps as follows. First, checking daily use-duration based on the time-screening function that smartphone provides, we compared and cross-analyzed the smartphone-duration in color-mode for a week (for 168 hours), with the one in black-and-white mode for a week (samely, for 168 hours). Secondly, applying sentence completion test to study participants who used the smartphone for less time in black-and-white mode, we gave them six questions to find main factors explaining decrease of duration, allowing enough time to answer distributing questionnaire in anticipation. And then, we conducted qualitative untact interview on related subjects. Thirdly, based on the scale of smartphone-dependency developed by Korea Network Information Center, and using modified version of Korean self-control scale, we measured participants’ willpower with six questions, respectively after the week of usage in color-mode and in black-and-white mode. Comparing those two periods, we drew out two different data allowing comparison on the participants’ over-dependency tendency and willpower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change in usage time, dependence, and willpower according to the use of black-and-white mode of smartphones were as follows. First, in average, the participants’ smartphone duration was of 382 minutes per day in color-mode, while it was of 274 minutes per day in black-and-white mode. That means, the latter’s adaptation led to 30% decrease in daily smartphone-duration, showing its obvious effects. Secondly, for duration-decrease effect by black-and-white mode’s adaptation, its main factors were as follows: the reduction of interest level, that of flow degree, and non-distinguishing of colors. And the apps covering the following areas reported largest decrease in usage time — social media, shopping the areas having reported the largest decrease of usage time were: social media, shopping, and game application, while all participants reported the decrease of recreative-application usage. And those factors brought positive effects on life by allowing time-saving and regularity, while there were negative sides like increasing dependency on informative application and discomfort with stress relief.\ Thirdly, after using color-mode for a week, the average score of smartphone dependency was of 23.7, while it was of 21.8 after using black-and-white mode for a week. That is, the latter mode’s adaptation resulted in 8% decrease of dependency degree. However, it did not alter the long-term propensity of over-dependency, significantly. Fourthly, after color-mode use for a week, the average willingness-score was of 13.9, while it was of 16.3 in black-and-white mode; the score, in the latter case, was 17% higher than in the former case. But that degree does not seem enough to alter participants’ willingness in the long term, fundamentally. Furthermore,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change in smartphone duration and its dependency degree. Meanwhile, we also found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change in usage-time and change in willingness degree; that is, the more willingness they have, the better they can control their smartphone use. Unlike most of previous studies which exclusively focused on dependency impacts on users, this study developed analyses on the change in duration, dependency, and willingness. Besides, it is also differentiated with analy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sence of saturation and time usage. And by addressing effect of black-and-white mode’s adaptation for usage-time decrease, we are sure that we suggested certain clues for providing campaigns and programs to solve social problems coming from smartphone‘s over-dependency. 스마트폰의 보급은 시간과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였다. 스마트폰은 새로운 미디어가 되었으며 스마트폰으로 다양한 생활 서비스를 이용하고 여가 생활을 즐긴다. 이처럼 스마트폰 기기는 인간의 삶은 윤택하게 만들었다. 급격한 스마트폰의 보급과 스마트폰 문화, 산업의 초고속 성장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 다양한 부작용 중 스마트폰 과의존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스마트폰 과의존군의 비율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과의존도, 의존도에 대해 흑백모드 사용하기 전과 후를 비교해 채도의 유무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려고 함과 동시에 계속해서 높아지는 스마트폰 의존도와 사용시간에 대한 위험을 인지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스마트폰 사용을 지향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마트폰 과의존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사용시간 감소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는 3단계로 나누어 진행했다. 첫째. 스마트폰 기능 중 스크린 타임을 확인하여 하루 사용량을 알아볼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해 스마트폰을 컬러모드로 1주일(168시간) 동안 사용하고 그 후 흑백모드로 1주일(168시간) 동안 사용한 다음 컬러모드를 사용했을 때 시간과 흑백모드를 이용했을 때의 사용시간을 비교, 분석했다. 둘째, 흑백모드 이용으로 사용시간이 감소한 피험자에게 완성법을 이용하여 사용시간 감소의 요인을 확인할 수 있는 총 6문항을 제작하고 미리 질문지를 주어 충분히 대답을 준비할 수 있게 요청한 후 비대면으로 질적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셋째, 스마트폰을 컬러모드로 1주일 동안 사용한 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와 한국판 단축형 자기통제 척도를 수정하여 의지력에 관한 6개의 문항을 조사하고 흑백모드로 1주일 동안 사용한 후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와 의지력에 관한 6개의 문항을 조사했고 그 후 수집된 두 가지 데이터로부터 피험자의 스마트폰 과의존도와 의지력을 비교, 분석했다. 스마트폰 흑백모드 사용에 따른 사용시간, 과의존도와 의지력 변화 연구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컬러모드를 이용했을 때 피험자의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382분(6시간 32분)이다. 흑백모드를 이용했을 때 피험자의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274분(4시간 34분)이다. 흑백모드를 이용해 스마트폰을 사용했을 때 평상시보다 스마트폰 사용량이 30% 감소했다. 흑백모드 이용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했다. 둘째, 피험자들이 흑백모드에 따른 사용시간 감소 요인은 흥미도 감소, 몰입도 감소, 색을 구분하지 못함이다. 흑백모드 사용 중 가장 많이 시간이 감소한 부분은 소셜미디어, 쇼핑, 게임 애플리케이션 사용이었고 모든 피험자는 여가 추구형 사용에 속하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시간이 감소했다. 흑백모드 사용의 긍정적 요인은 시간 절약, 규칙적인 취침이고 흑백모드 사용의 부정적 요인은 정보 추구형 애플리케이션 사용과 스트레스 해소에 대한 불편함이다. 셋째, 컬러모드를 1주일 사용한 후 피험자의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 점수의 평균은 23.7이고 흑백모드를 1주일 사용한 후 피험자의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 점수의 평균은 21.8이다. 흑백모드 사용한 후 스마트폰 과의존도는 8% 감소했다. 1주일간 흑백모드 사용은 스마트폰 과의존도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넷째, 컬러모드를 1주일 사용한 후 피험자의 의지력 점수의 평균은 13.9이고 흑백모드를 1주일 사용한 후 피험자의 의지력 점수의 평균은 16.3이다. 흑백모드 사용한 후 의지력 점수는 17% 증가했다. 1주일간 흑백모드 사용은 의지력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스마트폰 사용시간 변화량과 과의존도 변화량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음을 확인했고 스마트폰 사용시간 변화량과 의지력 변화량 사이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상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지력이 높아질수록 스마트폰 사용 제어를 잘할 수 있다고 보인다. 기존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집중된 연구들의 접근방식에서 벗어나서 본 연구는 흑백모드 사용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시간 변화와 과의존도, 의지력 변화를 분석하고 고찰했다. 스마트폰 이용에 있어서 채도의 유무와 사용시간 변화의 관계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가지며 사용시간 감소를 위해 흑백모드를 적용함으로 스마트폰 과의존이라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캠페인, 프로그램 개발의 발전과 보급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화이트 웨딩드레스 소재의 시각적 질감과 선호도에 따른 퍼스널컬러 유형별 적용 연구

        이자령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6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eply and objectively study the application of personal color types according to the visual texture and preference of white color wedding dress materials. First, this study classified the white color wedding dress materials according to visual texture factors and extracted the upper model of sensory image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the images. In addition, it confirm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visual textures,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olor types to analyze how material preferences for wedding dress materials affect white preferences. Lastly, it analyzed the effect of images by personal color types on visual texture and preferences. As the stimulus of this study, this study selected 13 kinds which are classified by materi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our visual texture images. And it divided visual texture images into sensory images and emotional images and extracted each of the five pairs. This study investigated visual texture images and preferences using a SD method and a 7-point Likert Scale, and the analysis of personal color types for the subjects were carried out thorough sensory evaluation by a personal color exper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the entire female subjects over 20 years of age from January to September 2019.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white wedding dress material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visual texture images according to materials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white color shown in materials was confirmed to make visual texture images different. Second, the evaluation of visual texture by personal color type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sory images, wherea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images. This implies that when studying the materials by personal color types, the evaluation of emotional images rather than sensory images may act as the main criterion.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and emotional images was found. The sensory image of material unevenness, soft-hard sense, gloss, and warm-cold sense affected emotional image, but the sensory image such as weight was found to have no correlation with emotional image. Fourth, the material preference and white preference were found to influence each other. In addition, the material preference according to visual texture was also confirmed to affect white preference. The material preferences by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by personal color types were also confirmed to affect white preference. Fifth, not only preference for the visual texture of materials but also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visual texture by personal color types were also confirmed to affect material preference. This study was analyzed through the correlation with abstract and subjective emotional image and relatively objective sensory image in order to schematize the wedding image pursued by consumers. In addition, it also analyzed visual texture imag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olor type and preference and between material preference and white preference. Based on this, it examined the method of applying the materials according to personal color types. This is significant in that differentiated materials can be developed according to consumers’ preferred image in the case of wedding dress product planning that is very sensitive to changes in consumer sensibilities, and in that it can be applied objectively to the needs of consumer's various personalities by schematizing personal color types, material preferences, visual texture, material characteristics, etc. In addition, the material proposal through matching the image by personal color types with the emotional image of materials is expected to increase consumer satisfaction and preference. 본 연구는 화이트컬러 웨딩드레스 소재의 시각적 질감과 선호도에 따른 퍼스널컬러 유형별 적용을 심층적이고 객관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우선 화이트컬러 웨딩드레스 소재를 시각적 질감 요인에 따라 분류하고 감각이미지와 감성이미지의 상위 모델을 추출해서 이미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웨딩드레스 소재에 나타난 소재선호도가 화이트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각적 질감, 소재특성, 퍼스널컬러 유형별 간의 유의한 관계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퍼스널컬러 유형별 이미지가 시각적 질감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극물은 4가지 시각적 질감이미지에 따른, 소재 특성에 따라 분류된 13종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시각적 질감이미지를 감각이미지와 감성이미지로 분류하여 각각 5쌍을 추출하였다. 시각적 질감이미지와 선호도는 SD 법과 7점 리커트척도(Likert Scale)를 활용하여 조사하였고 실험 대상자들에 대한 퍼스널컬러 유형은 퍼스널컬러 전문가에 의한 관능평가를 통해 분석되었다. 전체 실험 대상자는 20세 이상의 여성으로 실험 기간은 2019년 1월부터 9월까지 진행하였다. 화이트 웨딩드레스 소재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와 소재 특성에 따른 시각적 질감이미지의 인식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소재에 나타난 화이트 컬러의 차이가 서로 다른 시각적 질감이미지의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퍼스널컬러 유형별 시각적 질감 평가에서 감각이미지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고 감성이미지는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는 퍼스널컬러 유형별 소재를 연구할 때 감각이미지보다는 감성이미지의 평가가 주요 기준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감각이미지와 감성이미지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소재의 요철감, 경연감, 광택감, 온도감의 감각이미지는 감성이미지에 영향을 주었지만 무게감 등의 감각이미지는 감성이미지와 상관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소재선호도와 화이트선호도는 서로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시각적 질감에 따른 소재선호도 역시 화이트선호도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소재특성별 소재선호도와 퍼스널컬러 유형별 소재선호도 또한 화이트선호도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소재의 시각적 질감에 대한 선호도뿐만 아니라 소재 특성별 시각적 질감, 퍼스널컬러 유형별 시각적 질감도 소재선호도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추구하는 웨딩 이미지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감성이미지를,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감각이미지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시각적 질감이미지, 소재특성, 퍼스널컬러 유형과 선호도의 관계, 소재선호도와 화이트선호도 간의 관계 또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퍼스널컬러 유형에 따른 소재 적용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는 소비자 감성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웨딩드레스 제품 기획 시, 소비자가 선호하는 이미지에 따라 차별화된 소재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점, 퍼스널컬러 유형, 소재선호도, 시각적 질감, 소재 특성 등을 도식화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개성에 따른 요구에 객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퍼스널컬러 유형별 이미지와 소재의 감성이미지 간의 매칭을 통한 소재 제안은 소비자의 만족도와 선호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 천연염료의 디지털 프린팅을 위한 색재현성 실험 연구 : 합성염료와 천연염료의 날염 비교 실험을 중심으로

        오현애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63

        In the present age where environmental problem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eco-friendliness in various industries is a challenge in this era. The textile industry is trying to find solutions by improving some of the pollutants tha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Typical examples are the problems of industrial wastewater and organic compound emissions from fiber dyeing and processing. And These problems are closely linked to the lack of drinking water and Emissions of organic compounds that generate fine dusts using organic solvents and it is recognized as an environmental problem to be solved. For this reason, there is a growing trend to reduce the use of chemical dyes and return to natural and harmless natural dyes, It is intended to express the nature-friendly tendency of natural dyes and the biodegradation characteristics that are decomposed into biologically harmless substances, especially the deep and rich colors originating from nature, and act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in Europe and the like. However, the natural dyeing of Korea is proceeding with the conventional dyeing method which has been passed down from the past and the dyeing process is complicated by sticking to the use of the mordanting agent and the color expression is limited due to separation and instability of the dye component, So The development of natural dyeing is delayed due to these disadvantage. On the other hand, The market share of digital printing, DTP (Digital Textile print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DTP") is gradually expanding in the printing of textile and Such DTP eliminates the existing processes such as drafting and plate making, It is eco-friendly by reducing the amount of wastewater and garbage by omitting it. so it is regarded as an innovation in the field of textile dyeing with high efficiency in terms of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energy saving. If natural dyes are used as dyes for digital printing, which is a modern dyeing method, the development of natural dyes and the eco-friendliness of fiber dyeing can be further accelerated, and such studies are being started.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to be solved such as clogging of nozzles due to sedimentation or aggregation of natural dyes in a machin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of ink, and compatibility with head structure. In this study, the natural dye was prepared with standard CMYK dye, and the color reproduced by the primary color decomposition printing method was scientifically and systematically measured,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color reproduction of the natural dye was analyzed, Respectively. In other words, natural dyes that realize four standard colors of Cyan, Magenta, Yellow, and Black are made, and the design image is printed on cotton fiber through silk screen by the principle of DTP, 4 Color separation. And we tried to experiment on how the CIE Lab values of various colors reproduced are measured, how they differ from the RGB color of the monitor, and how they change within the ranges of RGB and CMYK Gamut. We tried to experiment on the implementation of color in the digitization of natural dyeing. The colors displayed on the monitor are RGB colors of light, which are wider than those of the CMYK color of the dyes. In some cases, the colors reproduced on actual fibers may differ. This experiment shows how the color difference differs between natural dyes and synthetic dyes Respectively. The natural dyes used in the experiments are natural dyes prepared by self-consultation and are the colorants extracted from Hwasoomok Company, a natural coloring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nd natural dyes of color within the 5% tolerance range based on CMYK standard color is Produced. To print on the same principle as inkjet piezo digital printing, I decompose the design image into CMYK and create a halftone effect. The M&R Diamondback XL automatic rotary printers prints natural dyes of yellow, cyan, magenta, black Print in sequence. It also prints on manual silkscreen with the same principle. And the synthetic dyes to be compared were directly printed with DTP using ARTISTRI® P5000 series Pigment Ink for DTP by Dupont co. The images used for printing were two printed images of William Morris, a British textile designer who preferred natural dyes. Through this study, we aim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natural dyeing of digital printing by performing color reproducibility analysis of natural dyes through CMYK primary color separation printing. In generally, CMYK 4 color-separated silk screen printing enables the expression of multiple colors with natural dyes, and the color reproduced in this way is not an exact value but has a similar directional CIE Lab color value. And in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printed color and the monitor's color, the natural dyes that show better results than synthetic dyesis more than 30% and the color difference is expected to be further reduced if CMS is performed between input and output devices.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 groups and companies have been trying to replace natural dyes in place of chemical dyes in DTP. I hope this experimental study for the color reproducibility of natural dyes will be of small help for the digitization of natural dyes. I hope that the dyeing of the fibers that are always in contact with our lives can be made easily with natural dyes harmless to nature and human body, and hope to be a small chance to change the natural dyeing industry. 환경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여러 산업에서의 친환경화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과제이다. 섬유산업에서도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그 해결책을 찾고자 하는데 대표적인 예로 섬유 염색 및 가공 공정에서 발생하는 산업 폐수와 유기 화합물 배출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지구의 식수 부족을 가중시키는 산업폐수와 미세 먼지를 생성하는 유기 용제의 사용으로 인한 유기 화합물 배출은 꼭 해결해야 하는 환경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화학염료의 사용을 자제하고 자연과 사람에게 무해한 천연염료로 회귀하려는 움직임이 점점 확산되고 있는데, 이는 천연 염료의 환경 친화적인 성향과 생물학적으로 무해한 물질로 분해되는 생분해 특징, 특히 무엇보다도 자연으로부터 비롯된 깊고 풍부한 색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유럽 등지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천연염색은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적인 염색방법으로 진행하거나 매염제등의 사용을 고집하여 염색공정이 복잡하고, 색소성분의 분리나 안정성이 낮아 색 표현이 제한적이며 염색물의 견뢰도가 낮고 세탁이나 광원에 퇴색되기 쉽다는 단점으로 개발이 미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에서는 섬유 날염(Printing)분야의 디지털 기계화로 염색 방법의 현대화가 이루어져 디지털 프린팅, DTP(Digital Textile printing, 이하DTP)의 시장점유율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DTP는 기존의 제도, 제판 등의 공정을 생략하고 폐수 및 쓰레기의 양을 줄여 환경 친화적이고,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도 높은 효율을 보여 섬유염색분야의 혁신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현대의 염색방법인 디지털 프린팅(Printing)의 염료를 천연염료로 사용하게 된다면 섬유 염색분야에서의 친환경화는 물론 천연염색의 발전이 더욱 가속화 될 수 있어 이와 관련한 연구가 국책사업으로도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천연염료의 점도, 표면장력 등의 물리적 성질 및 입자크기, 염분성분 등이 DTP기계 안에서 염료의 흐름을 막거나, 또 염료의 침전이나 응집으로 인한 노즐(Nozzle)의 막힘이나 헤드(Head) 구조와의 적합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아직 많이 남아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염료를 표준 CMYK 염료로 제조하고, 원색 분해 날염방법으로 재현되는 색채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측색하여, 천연염료의 색재현의 특성을 분석하여 디지털 날염에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실험하고자 하였다. 즉 Cyan, Magenta, Yellow, Black 4가지 표준컬러를 구현하는 천연염료를 만들어 DTP의 원리인 원색분해 (4 Color separation) 방법으로 실크스크린을 통해 디자인 이미지를 면섬유에 날염하고, 재현되는 여러 색상의 CIE Lab값을 측색, 모니터의 RGB색상과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지, 또 RGB, CMYK Gamut의 범위 안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색재현의 특징을 확인하여 합성염료로 날염 할 때의 색상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천연염색의 디지털화에서 색상의 구현을 실험하고자 하였다. 모니터에 표현되는 색상은 빛의 의한 RGB색상으로, 염료의 CMYK색상의 영역보다 더 넓어 실제 섬유에 재현되는 색상에서는 다소 차이가 나기도 하는데 이 실험을 통해 천연염료와 합성염료에서 그 색차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천연염료는 (주)화수목 부설 천연색소 기술연구소에서 추출한 색료와 자문을 받아 자체 제조한 천연염료를 사용하였다. 먼저 CMYK 표준 색상을 기준으로 5 % 허용 오차 범위 내 색상의 천연 염료를 제조한다. 그리고 잉크젯 피에조(Piezo) 방식의 디지털 인쇄와 동일한 원리로 날염하기 위해, 날염할 디자인 이미지를 CMYK로 원색분해하고 망점효과(half tone effect)를 주어 M&R Diamondback XL 자동 날염기에서 Yellow, Cyan, Magenta, Black의 순서대로 천연염료를 사용하여 인쇄한다. 또한 같은 원리로 수동 실크스크린을 통해 날염한다. 그리고 비교대상인 합성염료는 듀폰(Dupont)의 DTP용 ARTISTRI® P5000시리즈 Pigment Ink를 사용하여 국내의 DTP기계회사인 WTS사의 잉크젯 방식의 평판프린터 NEOFLEX 800을 사용하여 직접 날염하였다. 날염에 사용한 이미지는 천연염료를 선호한 영국의 섬유 디자이너, 윌리엄 모리스의 작품 2개를 날염이미지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CMYK 원색분해 날염을 통해 천연 염료의 색 재현성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천연 염색의 디지털 날염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전체적으로 CMYK 원색분해 실크스크린 날염을 통해 천연염료로 여러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였고, 이렇게 재현되는 색상도 정확한 값은 아니지만 비슷한 방향성의 CIE Lab 색상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쇄된 색상과 모니터의 색상의 색상 차이에서 천연염료가 합성염료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 색상이 30% 이상으로, 입출력장치간의 CMS를 실시한다면 색상차는 더욱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많은 연구단체와 기업에서 DTP로 화학염료대신 천연염료를 대체하고자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고 이번 천연염료의 색재현성을 위한 실험연구가 천연염료의 디지털화를 위한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생활 속에서 우리가 항상 접촉하고 있는 섬유의 염색이 자연과 인간에게 무해한 천연염료로 손쉽게 이루어져 천연염색 산업의 변화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