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영철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는 탈북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사회적지지가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탈북대학생들이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과 역할을 구체화할 수 있는 근거를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조사대상은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대학생 4년제와 2년제 대학(재학생, 휴학생, 졸업예정자)의 학생들이며, 조사기간은 2017년 8월 9일부터 29일까지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123부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에서 사용된 종속변수는 ‘대학생활 적응’이며 독립변수는 ‘사회적지지’로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적특성(성별, 연령, 월평균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종교유무), 학업(북한에서 학업 여부, 현재 재학 여부), 탈북시기(제3국 거주기간, 한국입국시기)을 투입하여 대학생활 적응에서 사회적지지가 영향을 미치는지 통계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수준 차이에서 현재 재학여부와 월평균 소득이 대학생활 적응 수준 차이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들의 통제변수(일반적특성, 학업, 탈북시기)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생활 적응에 사회적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에서 사회적지지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 적응에서는 사회적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가 학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적응에서 사회적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월평균 소득이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정서적 적응에서 사회적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북한에서 학업 여부, 현재 재학 여부, 월평균 소득, 주관적 건강상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대학환경 적응에도 사회적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북한에서의 학업 여부, 현재 재학 여부, 한국입국시기, 월평균 소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대학생활 적응에서 사회적지지의 영향력이 여전히 나타나기 때문에 사회적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회적지지 체계를 발달, 연계, 강화시켜 주는 사회복지적 차원에서의 지원서비스 복합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탈북대학생들의 안정적인 대학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예비대학생 기초 학습 지원 프로그램, 대학교 내 행정전담 인력 배치와 지도교수 배정 등 지원시스템 구축, 탈북대학생 동아리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 등이 필요해 보인다. 현실적으로 일선 대학교의 지원시스템이 구축된다 하더라도 탈북대학생의 적응을 돕기 위해서 정부가 예산지원 등 정책적 지원과 대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college life of students from North Korea, and find out the grounds for embodying the social welfare intervention and role that can help them adjust to college lif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4-year and 2-year college students from North Korea, living in South Korea, including current students, students taking a temporary leave, graduates and the survey period were from August 9 to 29, 2017, during which, data were collected from 123 respondents. The dependent variable used in the research model was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ocial support'. In order to analyze the survey subject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monthly average income, subjective health status, religion), academic status (education level in North Korea and current status and the time of defection (period of residence in the third country, time of entry into South Korea) and understand how the social support affects the adjustment to the college life of students from North Korea through statistic analysis, from which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difference in level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current academic status and monthly average income show a significant impact. Second, social support for adjustment to college lif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with the highest lev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rol variables of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educational background and defecting period). Third, social suppor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daptation, but ag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Fourth,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djustment, along with monthly average income. Fifth,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dividual and emotional adjustment. Other factors were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such as educational background in North Korea, current academic status, monthly average incom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inally,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djustment to college environment. Besides, educational background in North Korea, current academic status, time of entry into South Korea, and monthly average incom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in adjustment to college life is still significant,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l support service in respect of social welfare to develop, network and enhance various programs and systems that can provide social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ive systems should be organized such as basic learning support program for pre-college students, students from North Korea support administrator and professor as well as enhancing group activities of students from North Korea. In reality, even if the support system is established at college, the government should sponsor policy support and alternatives to help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students from North Korea. Key words: college students from North Korea, adjustment to college life, social support, official support network, informal support network
데이케어센터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과 미인증 기관을 중심으로
김해림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4 국내석사
본 연구는 데이케어센터의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질문을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기관의 종사자 처우경험은 어떠한가?', '미인증기관 종사자 처우경험은 어떠한가?'로 설정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사회복지사가 실천현장에서 경험하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지오르지(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위치한 데이케어센터에 재직 중인 3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사회복지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데이케어센터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을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기관에 재직 중인 사회복지사, 미인증기관에 재직하는 사회복지사의 경험으로 구분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연구 참여자의 상황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인증기관의 데이케어센터 사회복지사 처우경험은 7개의 인터뷰 영역, 7개의 본질적 주제, 15개의 드러난 주제, 46개의 의미 단위로 도출되었고, 미인증기관의 데이케어센터 사회복지사 처우경험은 7개의 인터뷰 영역, 7개의 본질적 주제, 14개의 드러난 주제, 41개의 의미 단위로 도출되었다. 본질적 주제와 드러난 주제를 토대로 데이케어센터의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분하여 [장기요양 제도적 측면], [미인증기관의 처우경험: 시장화의 문제], [인증기관의 처우경험: 차별화된 처우지원의 측면]으로 연구결과를 일반적으로 기술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장기요양제도의 시장화로 인해 가치절하된 돌봄의 모습과 현장의 낮은 처우와 근로환경의 경험을 파악하였다.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 기관에 재직 중인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이 미인증기관에 재직 중인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보다 더욱 풍부하고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연구 참여자의 목소리를 통해 실천현장에서 희망하는 처우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장기요양제도,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제도의 문제를 비판하고 개선사항을 제언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daycare centers and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its implic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explored: "What ar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Seoul-type Good Care Certification institutions regarding their working conditions?" and "What ar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non-certified institutions regarding their working conditions?".were A phenomenological study based on Giorgi's approach was employed Six social workers who have been working in daycare centers in Seoul more than three years were recru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indings were presented based on whether the participant work in Seoul-type Good Care Certification institutions or non-certified institutions. For the social workers in certified institutions, their experiences regarding working conditions resulted in seven interview domains, seven essential themes, 15 emergent themes, and 46 units of meaning. For the social workers in non-certified institutions, their experiences regarding working conditions resulted in seven interview domains, seven essential themes, 14 emergent themes, and 41 units of meaning. Based on the essential and emergent theme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daycare centers were identified and described in terms of [long-term care system], [issues of marketization for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non-certified institutions ], and [differentiated support in working conditions for social workers in certified institutions] This research portrayed the devalued appraisal of care work due to the marketization of long-term care and the experiences of poor working conditions in the field. It showed that the work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certified institutions, such as Seoul-type Good Care Certification institutions, were more positive compared to those in non-certified institutions. This research has some implications by critically analyzing the long-term care system and Seoul-type Good Care Certification system, com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providing some suggestions for a better working condition through the voices of research participants.
박준영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본 연구는 신체장애인 당사자들이 장애인복지서비스의 접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용경험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당사자들이 어떠한 경험들을 해왔는지에 대하여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신체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관한 질적연구”라는 질문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일반적 질적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신체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을 분석한 결과, 총 112개의 의미단위와, 43개의 중심의미, 12개의 범주 그리고 범주와 중심의미를 관통하는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신체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은 ‘100세 시대, 장애는 결코 강 건너 불구경이 아닌 우리 모두의 문제’, ‘누구를 위한 복지서비스인지 알 수 없음’, ‘장애인복지의 통제적 의미’, ‘수치심과 불편함의 딜레마에 빠짐’, ‘장애인이 주체가 된 권리의 장애인복지서비스를 원함’의 주제로 구성하였으며 신체장애인들 당사자들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관한 연구참여자들의 진술들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신체장애인 당사자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은 ‘사회적 배제와 자기비관적인 태도로 복지서비스 이용에 좌절을 경험하고 있음’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신체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관한 질적연구가 갖는 의미에 관한 논의와 함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hysically disabled utilizing welfare services provided to those who are disabled.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se experiences and to understand the subjective quality of welfare services. This study was proceeded as a general qualitative study and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using welfare services for physically disabled resulted in a total of 112 units, 43 core sensations, 12 categories, and 5 subjects that include the categories and centralities. These experiences of using welfare services for physically disabled were organized under the themes of ‘In the age of 100, disability is a problem for all of us’, ‘Cannot know who provide welfare service for others’, ‘The controlled meaning of welfare for the disabled’, ‘A dilemma of shame and inconvenience’ and ‘Want the welfare service that the disabled being the subject of rights’. The contents are organized into statements about the use of welfare services by physically disabled. In particular, the experience of using the welfare service of the physically disabled was found that social exclusion and self-deprecating attitude were frustrated in the use of welfare service.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a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qualitative research on the use of welfare services for physically disabl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made.
노숙인의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 Mandelbaum의 생애사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박강수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This study reviews the use experience of social welfare service for homeless people by utilizing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and explores the meaning how homeless people to be homelessness through what channel and to be preparing to return to community by which kinds of social welfare supporting system. To do this, I performed the in-depth interview with five homeless people using the life history research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analyzed the data based on it. Participants showed various forms of dimension of living, turning point and the ability of adapt as per research participants in accordance with Mandelbaum(1973)’s life history analytical technique. There were the severance of society, alienation from labor market and deviant behaviors and it was of help to healthcare service, employment and housing assistance in use experience of social welfare service.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it is verified that comprehensive support is required for homeless people in a field of welfare services including emotional program development, employment connection and housing support from its practical and politic perspective because homeless people went through homeless course in accordance with organic and complicated reason such as personal weakness and lack of social safety ne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which explores the homeless cause, course and usage experience of welfare services based on research participants’ in-person narrative and provides the important baseline data when to be intervened in issue of homeless people in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본 연구는 노숙인의 복지 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하여 생애사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이들이 어떤 과정과 경로를 거쳐 노숙인이라는 상황에 이르렀고 노숙 후에는 어떠한 사회복지서비스 지원체계를 통해 지역사회로 복귀를 준비하고 있는지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생애사 연구(life history research)를 활용하여 노숙인 5명을 심층 면접하고 이를 토대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Mandelbaum(1973)의 생애사 분석 기법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삶의 차원, 전환점, 적응은 연구 참여자별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단절, 노동시장으로부터의 소외, 일탈행위 등이 드러났고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에 있어서는 보건의료, 취업 및 주거지원 등이 도움이 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노숙인은 개인적 취약성부터 사회 안전망의 부재까지 유기적이고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노숙의 과정을 거쳤으므로 복지서비스 역시 정서 프로그램 개발부터 고용연계와 주거지원까지 실천적, 정책적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지원되어야 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노숙인 생애사 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의 생생한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노숙의 원인부터 과정 그리고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까지 탐색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노숙인 문제를 개입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재난을 경험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영향요인 탐색
김진배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본 연구는 재난을 경험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 영향요인을 탐색하여 사회복지학적 실천의 함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고 심리정서적 요인으로 연구대상자의 우울감과 주관적 삶의 질을, 대처방식 및 행동 요인으로 음주와 규칙적 운동을, 사회적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활동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개념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는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가 2017년 실시한 ‘4.16세월호참사 피해자의 건강 및 생활실태조사 연구’ 자료 중 단원고유가족 총 23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를 토대로 재난 경험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울(PHQ-9)과 사회적지지(FSSQ), 종교유무가 외상 후 성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우울감이 낮을수록,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종교를 갖고 있을 경우 외상 후 성장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지지는 전체 변수 중 외상 후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재난을 경험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재난 경험 유가족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기 위해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는 당사자 옹호 관점을 바탕으로 유가족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개선과 당사자와의 연결점을 모색하는 사업 운영이 필요하다. 더불어, 기존 대인관계의 회복도 중요하지만, 새로운 대인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유가족 모임의 활성화를 지원하거나, 다른 재난 유가족과의 모임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 외에도 재난 이후 변화된 가족 관계로부터 발생되는 갈등에 개입할 수 있도록 관련 프로그램 운영과 사회복지실천가를 대상으로 애도와 가족치료에 대한 기본적 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둘째, 재난을 경험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심리지원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자연적 사별에 비해 예기치 못한 사고로 가족과 사별할 경우 더욱 강력한 고통과 장기간의 심리지원을 필요로 한다. 이에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는 재난 경험 유가족에 대한 장기적 심리지원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더불어,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의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지원과 관련되어 축적된 자료가 안산마음건강센터에 온전히 이관되어 서비스의 연속성이 보장되도록 노력해야한다. 셋째, 재난을 경험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에 있어 종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영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종교를 가진 유가족에게는 지속적으로 종교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종교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 다른 활동을 통해 영적 성장이 촉진되도록 다양한 사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재난을 경험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 영향요인을 탐색하여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of families who have lost loved ones due to disasters. The study examined emotional, behavioral, and social factors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The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d depress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behavioral factors included alcohol use and daily exercise, and social factors were comprised of social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and interpersonal stress. A total of 233 family members' data from the ''Survey on the health and living conditions of the 4.16 Sewol ferry disaster victims' conducted by the Ansan Mental Health Trauma Center in 2017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 post-traumatic growth of family member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depression (PHQ-9), social support (FSSQ), and having a relig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lower depression, higher social support, and religious affili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amily member's post-traumatic growth. Among all variables,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showed the highes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Study findings yielded the following social work practice implications. First, findings indicated the need to find ways to expand social support to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bereaved families. In order to prevent social isolation of the family members, programs and project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local community's awareness of the victims of disasters, and to seek connections based on the advocacy of the trauma victims. In addition, restoration of exis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as assisting to form support groups with other disaster victims to build new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ay be useful. Second, long-term and continuous psychological support is needed to promote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bereaved families. In general, the death of a family member due to an unexpected accident requires more intense and long-term psychological support. Therefore, long-term psychological support should be advocated based on continuous research on victims of the 4.16 Sewol ferry disaster.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e continuity of services to support victims of the 4.16 Sewol ferry disaster. Third, the study found that religion is a meaningful factor i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bereaved families which speaks to the need for promoting spiritual growth. It may be necessary to support families to continue with their religious activities, and to develop various projects to promote spiritual growth through other activities for those without religious affiliation.
사이버비행과 공격성이 현실비행에 미치는 영향 : 교사 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
현동희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eacher attachment in the path from juvenile cyber delinquency to real-life delinquency.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is study obtained and analyzed data from the second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215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as of 2019,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panelists. The dependent variable used in the research model was “real-life delinquency”; which was further classified into status delinquency, violence delinquency, and property delinquency. In the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cyber delinquency,” the mediator variable was “aggression,” and the moderator variable was “teacher attachment.” In additi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father's education, mother's education) and individual, famil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elf-esteem, parenting attitude, friendship)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IBM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Hayes, 2013) V3.5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famil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perfor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real-life delinquenc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Scheffe-test, a post-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differences between group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In addition, PROCESS Macro model 4 was used to confirm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delinquency and real-life delinquency. The medi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 order to confirm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eacher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delinquency, aggression, and real-life delinquency, the PROCESS Macro model 14 was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real-life delinquency per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re as follow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real-life delinquency by gender wa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father's education level, and mother's education level. Real-life delinquency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the lowest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the lowest father's educational level, and the mother's education level is an associate degree-level, compared to other groups. Second, as cyber delinquency increased, real-life delinquency (overall) and real-life delinquency and its subtypes, status delinquency, violence delinquency, and property delinquency al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cyber delinquency was verified to be an explanatory variable of the model. Third,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between cyber delinquency and real-life delinquency show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aggression,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delinquency and violence delinquency.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delinquency, aggression, and violence delinquency, the examination result regard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 attachment is as follows. Cyber delinquency affects aggression as a mediator variable and violence delinquency, which is regulated by teacher attachment. Therefor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relationship. Per the abovementioned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social welfare studies-related discussion points as follows. First, cyber delinquency should be approached as one of the predictive factors of real-life delinquency; various preventive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Second, people need to pay attention to aggression pertinent to juvenile violence delinquency; a preventive and therapeutic social welfare approach should be taken for juveniles. Third, attachments to teachers are social resources to alleviate juvenile delinquency. Therefore, finding the measures to activat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is necessary. This study focused on not only the mediating role of aggression, a psychological factor of juveniles, but also the moderating role of teacher attachment, a social factor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delinquency and real-life delinquency. In addition, this study integrately examined the reinforcing factors and alleviating factors of delinquency and derived discussion points regarding social welfare studies. Nevertheless, there are a number of limitations in this study; to solve such limitation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follow-up studies are presented.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이버비행이 현실비행에 이르는 경로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와 교사 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의 2차년도 자료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2019년 기준 중학교 2학년 패널 중 2,215명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모형에 사용된 종속변수는 ‘현실비행’으로 지위비행, 폭력비행, 재산비행으로 유형화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사이버비행’, 매개변수는 ‘공격성’, 조절변수는 ‘교사 애착’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월평균 가구소득,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과 개인・가정・환경 특성(자아존중감, 부모의 양육 태도, 친구 관계)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IBM SPSS 21.0 및 PROCESS Macro(Hayes, 2013) V3.5를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개인・가족・환경 특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 현실비행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진행하고 사후검정인 Scheffe-test를 진행하여 집단 간 차이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주요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고,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ROCESS Macro의 모델 4번을 활용하였다.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우, 사이버비행, 공격성과 현실비행의 관계에서 교사 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ROCESS Macro의 모델 14번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현실비행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통해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현실비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월평균 가구소득,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에 따른 현실비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소득이 가장 낮고, 아버지 학력이 가장 낮으며, 어머니 학력이 2~3년제 대학 졸업인 집단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현실비행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비행이 증가할수록 현실비행(전체)과 하위유형인 지위비행, 폭력비행, 재산비행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이버비행이 현실비행의 설명변인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 사이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이버비행과 폭력비행의 관계에서만 공격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사이버비행, 공격성과 폭력비행의 관계에서 교사 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이버비행이 공격성을 매개로 폭력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 애착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사회복지적 논의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비행을 현실비행의 예측요인으로 확장하여 접근함과 동시에 예방적 차원의 다양한 노력을 시도해야 한다. 둘째, 청소년의 폭력비행과 관련하여 공격성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예방과 치료에 초점을 둔 사회복지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사와의 애착이 청소년 비행을 완화하는 사회적 자원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이를 형성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의 소통을 활성화하고 관계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심리적 요인인 공격성의 매개 역할뿐 아니라 사회적 요인인 교사 애착의 조절 역할에 주목하였으며, 비행의 강화와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적 논의점을 도출한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부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후속 연구에서 개선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가치비평적 접근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 복지정책 개선 방안 연구
송태운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5 국내석사
다문화 청소년의 인구가 증가하고 다문화 청소년의 유형이 다양해지면서 다문화 청소년 복지정책에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다문화 청소년 중심의 복지정책 지원 방안 연구는 제한적으로 논의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 복지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정책을 분석하기 위해 가치비평적 접근을 활용하였다. Chambers와 Bonk(2018)의 정책분석은 사회문제와 정책에 대한 가치비평적 분석 기준을 제공하여 본 연구에 분석도구로써 적합하였다. 본 연구는 Chambers와 Bonk(2018)의 2단계 모형을 활용하여 사회문제 분석과 정책 분석을 차례로 실시하였다. 사회문제 분석 결과, 문제 정의에서는 다문화 청소년 복지의 의미를 확인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목표를 설정하고 정책의 대상이 되는 다문화 청소년 인구 집단을 파악하였다. 원인과 결과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제점과 관련된 사건 간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념과 가치에서는 청소년기본법, 교육기본법, 다문화가족지원법을 통하여 다문화 청소년 복지정책의 핵심 가치 이념을 확인하고 사회통합관점과 교육관점을 확인하여 보편적 복지의 관점을 확인하였다. 이득과 손실에서는 다문화 청소년 복지를 통해 얻는 이득과 손실을 확인하고 국가의 장래성을 위해 다문화 청소년 복지지원에 적극적으로 재원을 투입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정책 분석 결과, 목적은 사회통합과 교육지원을 통한 민주시민으로 성장시켜 사회구성원으로 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가치를 잘 내포하였다. 문제 사항을 반영하지 못한 목적 설정과 사회통합관점과 교육관점의 목적이 균형을 이루지 못했다. 목표는 정책목표의 달성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게 설정되었다. 서비스의 경우 대상 효율성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회문제를 잘 반영하였다. 그러나 편중된 서비스 제공으로 인한 복지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였으며 서비스에 대한 전문성 부족을 확인하였다. 자격 요건은 별도 조건이 없지만 사업의 다양성이 떨어지며 다문화가족 유형별 프로그램의 부족으로 소외받는 집단이 발생하였다. 전달체계는 가족센터 내 청소년 상담사를 중심으로 연계하는 전달체계를 구축하였으나 수요자의 이용률 낮음과 접근 가능성의 문제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재원은 기금을 통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 있으나 기금의 고갈과 유동성의 문제와 재원 투입에 비해 효율성이 낮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보편적 복지를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전 방안을 제안하며, 첫째, 이주배경청소년지원센터 설치와 전달체계 통합해야 한다. 둘째,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대상과 서비스가 확장되어야 한다. 셋째, 청소년 전문가의 다문화 역량 강화를 통한 전문인력 양성하고 배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청소년 복지정책에 맞는 평가체계를 개선하고 구축해 나가야 한다. As the popul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creases and the typ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diversify, it is time for changes in multicultural youth welfare policies. However, research on welfare policy support measures focused on multicultural youth has been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multicultural youth welfare policies and to explore development measur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value-critical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the policies. Chambers and Bonk's (2018) policy analysis provided value-critical criteria for analyzing social problems and policies, making it suitable as an analysis tool for this study. The study used the two-stage model of Chambers and Bonk (2018) to conduct social problem analysis and policy analysis sequentially. In the social problem analysis, the problem definition involved identifying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youth welfare, setting goals that should be prioritized, and identifying the target population of multicultural youth for the policy. In analyzing causes and consequences, causal relationships among events related to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youth were analyzed. In terms of ideology and values, the core values and ideology of multicultural youth welfare polici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Framework Act on Youth,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Universal welfare perspectives were confirmed by examining the viewpoints of social integration and education. Regarding gains and losses, the benefits and losses gained from multicultural youth welfare were identified, and the importance of actively investing resources in multicultural youth welfare for the future of the country was emphasized. In the policy analysis, the policy objectives were well embedded with values aimed at fostering multicultural youth as responsible members of society through social integration and educational support. However, the objectives were found to be inadequately set in terms of reflecting the issues and lacked balance between the perspectives of social integration and education. The goals were set in a way that made it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y were being achieved. In terms of services, the policy provided positive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target efficiency, reflecting social issues well. However, welfare blind spots emerged due to uneven service provision, and there was a lack of expertise among service providers. Although there were no specific eligibility requirements, the diversity of projects was lacking, and marginalized groups emerged due to the insufficient programs for different type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delivery system was established to connect services through youth counselors at family centers, but issues of low usage rates and accessibility problems for users were identified. The financial resources were stably secured through funds, but problems such as fund depletion, liquidity, and low efficiency compared to the investment were no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velopment measures to achieve universal welfare are proposed. First, a support center for migrant background youth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delivery system should be integrated. Second, the expansion of the target and services should be promot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governance. Third, professional personnel should be trained and produced by strengthening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of youth experts. Finally, an evaluation system suitable for multicultural youth welfare policies should be improved and established.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권다래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had emerged as key concep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ut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programs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he study subjects were 38 elderly people living alone recruited from a Senior Welfare Center in Seodaemun-gu, Seoul.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enhanc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based on reminiscence and collaboration, and was administered to study participants. In order to examine 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liability tes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paired sample t-test and Kruskal Wallis test were conducted.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earcher also analyzed the process of the program using journal records prepared by volunteers who helped to conduct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Among the sub-categorie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ub-categories of resilience, meaningfulness, equanimity, and existential isolatio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examination of program process notes showed that the connection and servic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volunteers continued even after the program ended. This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s formed in the program can be developed into a lasting resource. This study was the first program conducted in-person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immediately after a long period of social distancing due to COVID-19. The social work practic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program developed with frontline social workers who work with the elderly living alone on a daily basis. It considered various aspect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cluding their characteristics, needs, and situations. Second, since the elderly living alone lack social support compared to other elderly persons, it is necessary to build a social support system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needs, and furthermore, to establish a sustainable social network and care plan within the community. Third, in preparation for future possible disaster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countermeasures or online programs that can increase th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코로나19 재난 사태에서 주요한 개념으로 부상한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서대문구 소재의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독거노인 38명으로 회상과 협동 요소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각 변수들의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 대응표본 t-검정,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Kruskal Wallis test)을 실시하였고, 정규성 검정을 위해서는 샤피로 윌크 검정(Shapiro-Wilk test)을 사용하였다. 또한, 양적 분석의 한계성을 보완하기 위해 프로그램 제공자인 자원봉사자가 기록한 관찰일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과정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결과, 본 프로그램이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에서는 물질적 지지를 제외한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와 더불어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에서는 자신에 대한 믿음 및 인내를 제외한 의미부여, 평정심, 실존적고립의 변화가 유의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관찰일지를 통한 과정 평가에서 주목할 점은 프로그램 종결 이후에도 독거노인과 자원봉사자 간에 결연 및 기획봉사가 지속되어 프로그램에서 형성된 관계가 지속적인 자원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장기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었다가 완화된 직후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대면 프로그램으로 진행한 연구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사회복지 현장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일선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독거노인을 매일 마주하는 사회복지사들과 함께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진행한 연구로 독거노인의 특성과 욕구, 상황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독거노인은 타 유형의 노인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부족하므로 이들의 특성과 욕구에 기반한 사회적 지지 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지역 사회 내에서 지속가능한 사회적 관계망 구축 및 돌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향후 감염병 또는 국가적 재난에 대비하여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 및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대응책 마련 또는 비대면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이용동기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 연구 : 게임선용집단과 비선용집단 비교
김경미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이용동기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에 대한 게임선용 여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컨텐츠진흥원에서 조사한 게임이용자패널조사 2018년 10차 자료 중 중학생과 고등학생 571명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해 3단계 회귀분석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변인들 간의 직접·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및 의의는 첫째, 청소년의 게임이용동기는 게임선용군과 비선용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게임이용동기의 몰두, 사회적 동기, 성취감 모두 이용동기 수준이 게임선용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게임이용동기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 분석을 살펴보면, 게임선용군에서는 게임이용동기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비선용군에서는 자아존중감을 감소시켰다. 비선용군에서 몰두와 사회적 동기, 성취감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진다는 결과는 가상세계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이 낮아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게임이용동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역시 게임선용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게임선용군은 게임이용동기 중 몰두와 사회적 동기는 사회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성취감 동기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비선용군은 게임이용동기의 사회자본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속형 사회자본과 교량형 사회자본 모두 게임선용군과 비선용군에서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사회자본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게임이용동기에 관한 중립적 관점에서 사회자본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고, 더 나아가 게임이용동기들이 모든 이용자에게 일관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게임선용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influence of Youth’s motivation in playing online game on self-esteem by comparison of between groups of good use and bad use in playing gam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571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used among the 10th data in the 2018 Game User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Contents Promotion Agency. Th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is verified by the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First of all,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ood use and bad use of game playing. The level of immersion, social motivation and achievement are higher in a good use group.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influence of Youth’s motivation to play online game on the self-esteem, the motivation to play games decrease the self-esteem in a bad group while the motivation doesn’t affect the self-esteem in a good use group. Third, the effect of game playing motivation on the social capital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game usage. In a good use group, immersion and social motivation among game playing motivations affect social capital positively and achievement doesn’t affect it. In a bad use group, the game playing motivation affect the social capital negatively. Lastly, both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affect the self-esteem positively in both good use and bad use group, which shows that the social capital is the important factor to raise Youth’s self-esteem.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how the motivation in playing games affect the social capital and self-esteem in the neutral point of view. The three kinds of motivation affects the Youth according to the types of game usage.
경기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연구 :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을 중심으로
이승태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concept of job satisfaction as to what performers think and judge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ISOL" that was implemented in 2020. To this end,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ISOL" performance personnel was divided into two variables based on Herzberg's "synchronous hygiene theory" and analyzed how each factor affects job satisfaction. For each variable, the motivation factor was determined as a sub-component, responsibility, social recognition, hygiene factor as a sub-component, and Hertzberg's theory states that "ISOL" 110 institutions in Gyeonggi-Province, 3,850 people, and 244 of them were selected. The statistical program, IBM SPSS Statistics v26.0, excluding one part of the 244 questionnaire collected, was processed using frequency analysi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las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which is a sub-component of motivation, social recognition, and hygiene, government policy, work environment and subordinate variable, with the highest correlation of 0.790, with the lowest correlation of government policy and responsibility. In addition, the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sponsibility was 0.339, the social recognition 0.176, the achievement was 0.151, and the work environment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government's statistical system, with six independent parameters: achievement, accountability, social recognition, and work environment. In other words,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high impact on motivation, responsibility, social recognition, and fulfillment, and hygiene factors such as work environment and supervisory techniques had a low impact. Therefore, we want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First, the assumption that motivation, sense of accomplishment, responsibility, and social recognition will have a static impact on job satisfaction of "ISOL" performance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second, supervision, government, and business environment are responsibilities. Third, the assumption that achievement, responsibility, and social recognition will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ISOL"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overnment policy, so the standardization factor is 0.355, 0.163, and 0.156, respectively. The above study results show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and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performing personnel. First, in order to strengthen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responsibility of the "ISOL" performers,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best practices of service provis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encourage the performing personnel, and make the project and operating expenses available as autonomously as possible. Second, a two-track strategy of specializing in performing human resources and changing the perception of elderly care is needed to increase the social recognition of "ISOL" performing personnel and improving the job value of performing personnel. Third, since neglecting sanitation factors can lead to job dissatisfaction, it is also necessary to solve realistic problems such as hygiene factors through continuous improvement efforts for sanitary factors such as supervisory techniques and work environment. 본 연구에서는 2020년 전격적으로 시행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하여 수행인력들이 어떤 생각과 판단을 하는지 직무만족도라는 개념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직무만족도를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을 바탕으로 한 동기요인, 위생요인 두 가지 변수로 구분하여 각 요인들이 직무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각 변수별 하위요소로는, 동기요인은 성취감, 책임감, 사회적 인정을, 위생요인은 감독기법, 정부정책, 업무환경을 하위요소로 정했으며 Herzberg의 이론에 따라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직무만족에는 위생요인보다 동기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이다.” 라는 가설과 함께 동기요인과 위생요인 각각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경기도 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은 110개, 수행인력은 3,850명이며 그 중 244명을 선정하였으며, 수집된 244부 설문지 중 1부를 제외한 243부에 대해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Statistics v26.0을 사용하여 처리하였고, 일반적인 특성을 일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후 변수 간 다중공선성을 확인하기 위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세부적인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동기요인의 하위요소인 성취감, 책임감, 사회적 인정과 위생요인의 하위요소인 감독기법, 정부정책, 업무환경과 종속변수인 직무만족도 간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인정과 책임감 간 상관관계가 0.79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정부정책과 성취감 간 상관관계가 0.519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종속변수인 직무만족도와는 책임감과의 상관관계가 0.77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부정책과의 상관관계가 0.59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동기요인의 하위요소인 성취감, 책임감, 사회적 인정, 위생요인의 하위요소인 감독기법, 정부정책, 업무환경 등 6개를 독립변수로 두고 직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표준화계수를 살펴보면 책임감이 0.339, 사회적 인정이 0.176, 성취감이 0.151, 업무환경이 0.148, 감독기법이 0.146의 영향력을 가졌으며 정부정책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직무만족도에는 동기요인인 책임감, 사회적 인정, 성취감이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위생요인인 업무환경, 감독기법이 낮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분석한 통계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첫째, 동기요인인 성취감, 책임감, 사회적 인정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성취감, 책임감, 사회적 인정 세 변수 모두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둘째, 위생요인인 감독기법, 정부정책, 업무환경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정부정책을 제외한 업무환경, 감독기법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직무만족도에는 성취감, 책임감, 사회적 인정이 감독기법, 정부정책, 업무환경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정부정책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으므로 제외한다면, 표준화계수로 봤을 때 책임감 0.355, 감독기법 0.163, 사회적 인정 0.156 성취감 0.144으로, 업무환경 0.127 순으로 더 큰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동기요인이 위생요인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일부 입증되었으며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은 본 연구에서도 성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서비스 질을 높이고 수행인력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함의는 아래와 같다. 첫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성취감과 책임감을 강화를 위해 중앙정부 차원에서 서비스 제공 우수사례에 대한 대대적인 홍보와 수행인력 격려가 필요하고 사업·운영비를 최대한 자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사회적 인정을 높여주기 위해 노인돌봄 분야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수행인력의 직업가치를 향상시키는 수행인력의 전문화와 노인돌봄 인식의 변화라는 투 트랙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위생요인을 방치할 경우 직무불만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감독기법, 업무환경 등의 위생요인들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개선 노력으로 위생요인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 역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