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이버비행과 공격성이 현실비행에 미치는 영향 : 교사 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

        현동희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eacher attachment in the path from juvenile cyber delinquency to real-life delinquency.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is study obtained and analyzed data from the second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215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as of 2019,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panelists. The dependent variable used in the research model was “real-life delinquency”; which was further classified into status delinquency, violence delinquency, and property delinquency. In the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cyber delinquency,” the mediator variable was “aggression,” and the moderator variable was “teacher attachment.” In additi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father's education, mother's education) and individual, famil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elf-esteem, parenting attitude, friendship)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IBM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Hayes, 2013) V3.5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famil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perfor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real-life delinquenc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Scheffe-test, a post-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differences between group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In addition, PROCESS Macro model 4 was used to confirm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delinquency and real-life delinquency. The medi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 order to confirm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eacher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delinquency, aggression, and real-life delinquency, the PROCESS Macro model 14 was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real-life delinquency per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re as follow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real-life delinquency by gender wa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father's education level, and mother's education level. Real-life delinquency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the lowest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the lowest father's educational level, and the mother's education level is an associate degree-level, compared to other groups. Second, as cyber delinquency increased, real-life delinquency (overall) and real-life delinquency and its subtypes, status delinquency, violence delinquency, and property delinquency al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cyber delinquency was verified to be an explanatory variable of the model. Third,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between cyber delinquency and real-life delinquency show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aggression,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delinquency and violence delinquency.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delinquency, aggression, and violence delinquency, the examination result regard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 attachment is as follows. Cyber delinquency affects aggression as a mediator variable and violence delinquency, which is regulated by teacher attachment. Therefor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relationship. Per the abovementioned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social welfare studies-related discussion points as follows. First, cyber delinquency should be approached as one of the predictive factors of real-life delinquency; various preventive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Second, people need to pay attention to aggression pertinent to juvenile violence delinquency; a preventive and therapeutic social welfare approach should be taken for juveniles. Third, attachments to teachers are social resources to alleviate juvenile delinquency. Therefore, finding the measures to activat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is necessary. This study focused on not only the mediating role of aggression, a psychological factor of juveniles, but also the moderating role of teacher attachment, a social factor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delinquency and real-life delinquency. In addition, this study integrately examined the reinforcing factors and alleviating factors of delinquency and derived discussion points regarding social welfare studies. Nevertheless, there are a number of limitations in this study; to solve such limitation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follow-up studies are presented.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이버비행이 현실비행에 이르는 경로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와 교사 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의 2차년도 자료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2019년 기준 중학교 2학년 패널 중 2,215명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모형에 사용된 종속변수는 ‘현실비행’으로 지위비행, 폭력비행, 재산비행으로 유형화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사이버비행’, 매개변수는 ‘공격성’, 조절변수는 ‘교사 애착’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월평균 가구소득,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과 개인・가정・환경 특성(자아존중감, 부모의 양육 태도, 친구 관계)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IBM SPSS 21.0 및 PROCESS Macro(Hayes, 2013) V3.5를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개인・가족・환경 특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 현실비행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진행하고 사후검정인 Scheffe-test를 진행하여 집단 간 차이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주요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고,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ROCESS Macro의 모델 4번을 활용하였다.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우, 사이버비행, 공격성과 현실비행의 관계에서 교사 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ROCESS Macro의 모델 14번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현실비행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통해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현실비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월평균 가구소득,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에 따른 현실비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소득이 가장 낮고, 아버지 학력이 가장 낮으며, 어머니 학력이 2~3년제 대학 졸업인 집단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현실비행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비행이 증가할수록 현실비행(전체)과 하위유형인 지위비행, 폭력비행, 재산비행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이버비행이 현실비행의 설명변인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 사이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이버비행과 폭력비행의 관계에서만 공격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사이버비행, 공격성과 폭력비행의 관계에서 교사 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이버비행이 공격성을 매개로 폭력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 애착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사회복지적 논의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비행을 현실비행의 예측요인으로 확장하여 접근함과 동시에 예방적 차원의 다양한 노력을 시도해야 한다. 둘째, 청소년의 폭력비행과 관련하여 공격성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예방과 치료에 초점을 둔 사회복지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사와의 애착이 청소년 비행을 완화하는 사회적 자원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이를 형성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의 소통을 활성화하고 관계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심리적 요인인 공격성의 매개 역할뿐 아니라 사회적 요인인 교사 애착의 조절 역할에 주목하였으며, 비행의 강화와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적 논의점을 도출한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부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후속 연구에서 개선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 노숙인의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 Mandelbaum의 생애사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박강수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87

        This study reviews the use experience of social welfare service for homeless people by utilizing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and explores the meaning how homeless people to be homelessness through what channel and to be preparing to return to community by which kinds of social welfare supporting system. To do this, I performed the in-depth interview with five homeless people using the life history research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analyzed the data based on it. Participants showed various forms of dimension of living, turning point and the ability of adapt as per research participants in accordance with Mandelbaum(1973)’s life history analytical technique. There were the severance of society, alienation from labor market and deviant behaviors and it was of help to healthcare service, employment and housing assistance in use experience of social welfare service.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it is verified that comprehensive support is required for homeless people in a field of welfare services including emotional program development, employment connection and housing support from its practical and politic perspective because homeless people went through homeless course in accordance with organic and complicated reason such as personal weakness and lack of social safety ne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which explores the homeless cause, course and usage experience of welfare services based on research participants’ in-person narrative and provides the important baseline data when to be intervened in issue of homeless people in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본 연구는 노숙인의 복지 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하여 생애사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이들이 어떤 과정과 경로를 거쳐 노숙인이라는 상황에 이르렀고 노숙 후에는 어떠한 사회복지서비스 지원체계를 통해 지역사회로 복귀를 준비하고 있는지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생애사 연구(life history research)를 활용하여 노숙인 5명을 심층 면접하고 이를 토대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Mandelbaum(1973)의 생애사 분석 기법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삶의 차원, 전환점, 적응은 연구 참여자별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단절, 노동시장으로부터의 소외, 일탈행위 등이 드러났고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에 있어서는 보건의료, 취업 및 주거지원 등이 도움이 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노숙인은 개인적 취약성부터 사회 안전망의 부재까지 유기적이고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노숙의 과정을 거쳤으므로 복지서비스 역시 정서 프로그램 개발부터 고용연계와 주거지원까지 실천적, 정책적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지원되어야 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노숙인 생애사 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의 생생한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노숙의 원인부터 과정 그리고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까지 탐색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노숙인 문제를 개입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 탈북대학생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영철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탈북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사회적지지가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탈북대학생들이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과 역할을 구체화할 수 있는 근거를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조사대상은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대학생 4년제와 2년제 대학(재학생, 휴학생, 졸업예정자)의 학생들이며, 조사기간은 2017년 8월 9일부터 29일까지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123부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에서 사용된 종속변수는 ‘대학생활 적응’이며 독립변수는 ‘사회적지지’로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적특성(성별, 연령, 월평균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종교유무), 학업(북한에서 학업 여부, 현재 재학 여부), 탈북시기(제3국 거주기간, 한국입국시기)을 투입하여 대학생활 적응에서 사회적지지가 영향을 미치는지 통계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수준 차이에서 현재 재학여부와 월평균 소득이 대학생활 적응 수준 차이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들의 통제변수(일반적특성, 학업, 탈북시기)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생활 적응에 사회적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에서 사회적지지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 적응에서는 사회적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가 학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적응에서 사회적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월평균 소득이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정서적 적응에서 사회적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북한에서 학업 여부, 현재 재학 여부, 월평균 소득, 주관적 건강상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대학환경 적응에도 사회적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북한에서의 학업 여부, 현재 재학 여부, 한국입국시기, 월평균 소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대학생활 적응에서 사회적지지의 영향력이 여전히 나타나기 때문에 사회적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회적지지 체계를 발달, 연계, 강화시켜 주는 사회복지적 차원에서의 지원서비스 복합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탈북대학생들의 안정적인 대학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예비대학생 기초 학습 지원 프로그램, 대학교 내 행정전담 인력 배치와 지도교수 배정 등 지원시스템 구축, 탈북대학생 동아리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 등이 필요해 보인다. 현실적으로 일선 대학교의 지원시스템이 구축된다 하더라도 탈북대학생의 적응을 돕기 위해서 정부가 예산지원 등 정책적 지원과 대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college life of students from North Korea, and find out the grounds for embodying the social welfare intervention and role that can help them adjust to college lif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4-year and 2-year college students from North Korea, living in South Korea, including current students, students taking a temporary leave, graduates and the survey period were from August 9 to 29, 2017, during which, data were collected from 123 respondents. The dependent variable used in the research model was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ocial support'. In order to analyze the survey subject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monthly average income, subjective health status, religion), academic status (education level in North Korea and current status and the time of defection (period of residence in the third country, time of entry into South Korea) and understand how the social support affects the adjustment to the college life of students from North Korea through statistic analysis, from which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difference in level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current academic status and monthly average income show a significant impact. Second, social support for adjustment to college lif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with the highest lev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rol variables of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educational background and defecting period). Third, social suppor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daptation, but ag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Fourth,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djustment, along with monthly average income. Fifth,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dividual and emotional adjustment. Other factors were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such as educational background in North Korea, current academic status, monthly average incom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inally,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djustment to college environment. Besides, educational background in North Korea, current academic status, time of entry into South Korea, and monthly average incom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in adjustment to college life is still significant,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l support service in respect of social welfare to develop, network and enhance various programs and systems that can provide social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ive systems should be organized such as basic learning support program for pre-college students, students from North Korea support administrator and professor as well as enhancing group activities of students from North Korea. In reality, even if the support system is established at college, the government should sponsor policy support and alternatives to help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students from North Korea. Key words: college students from North Korea, adjustment to college life, social support, official support network, informal support network

      • 신체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박준영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신체장애인 당사자들이 장애인복지서비스의 접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용경험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당사자들이 어떠한 경험들을 해왔는지에 대하여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신체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관한 질적연구”라는 질문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일반적 질적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신체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을 분석한 결과, 총 112개의 의미단위와, 43개의 중심의미, 12개의 범주 그리고 범주와 중심의미를 관통하는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신체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은 ‘100세 시대, 장애는 결코 강 건너 불구경이 아닌 우리 모두의 문제’, ‘누구를 위한 복지서비스인지 알 수 없음’, ‘장애인복지의 통제적 의미’, ‘수치심과 불편함의 딜레마에 빠짐’, ‘장애인이 주체가 된 권리의 장애인복지서비스를 원함’의 주제로 구성하였으며 신체장애인들 당사자들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관한 연구참여자들의 진술들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신체장애인 당사자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은 ‘사회적 배제와 자기비관적인 태도로 복지서비스 이용에 좌절을 경험하고 있음’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신체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관한 질적연구가 갖는 의미에 관한 논의와 함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hysically disabled utilizing welfare services provided to those who are disabled.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se experiences and to understand the subjective quality of welfare services. This study was proceeded as a general qualitative study and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using welfare services for physically disabled resulted in a total of 112 units, 43 core sensations, 12 categories, and 5 subjects that include the categories and centralities. These experiences of using welfare services for physically disabled were organized under the themes of ‘In the age of 100, disability is a problem for all of us’, ‘Cannot know who provide welfare service for others’, ‘The controlled meaning of welfare for the disabled’, ‘A dilemma of shame and inconvenience’ and ‘Want the welfare service that the disabled being the subject of rights’. The contents are organized into statements about the use of welfare services by physically disabled. In particular, the experience of using the welfare service of the physically disabled was found that social exclusion and self-deprecating attitude were frustrated in the use of welfare service.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a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qualitative research on the use of welfare services for physically disabl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made.

      • 재난을 경험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영향요인 탐색

        김진배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재난을 경험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 영향요인을 탐색하여 사회복지학적 실천의 함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고 심리정서적 요인으로 연구대상자의 우울감과 주관적 삶의 질을, 대처방식 및 행동 요인으로 음주와 규칙적 운동을, 사회적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활동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개념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는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가 2017년 실시한 ‘4.16세월호참사 피해자의 건강 및 생활실태조사 연구’ 자료 중 단원고유가족 총 23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를 토대로 재난 경험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울(PHQ-9)과 사회적지지(FSSQ), 종교유무가 외상 후 성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우울감이 낮을수록,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종교를 갖고 있을 경우 외상 후 성장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지지는 전체 변수 중 외상 후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재난을 경험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재난 경험 유가족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기 위해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는 당사자 옹호 관점을 바탕으로 유가족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개선과 당사자와의 연결점을 모색하는 사업 운영이 필요하다. 더불어, 기존 대인관계의 회복도 중요하지만, 새로운 대인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유가족 모임의 활성화를 지원하거나, 다른 재난 유가족과의 모임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 외에도 재난 이후 변화된 가족 관계로부터 발생되는 갈등에 개입할 수 있도록 관련 프로그램 운영과 사회복지실천가를 대상으로 애도와 가족치료에 대한 기본적 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둘째, 재난을 경험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심리지원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자연적 사별에 비해 예기치 못한 사고로 가족과 사별할 경우 더욱 강력한 고통과 장기간의 심리지원을 필요로 한다. 이에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는 재난 경험 유가족에 대한 장기적 심리지원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더불어,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의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지원과 관련되어 축적된 자료가 안산마음건강센터에 온전히 이관되어 서비스의 연속성이 보장되도록 노력해야한다. 셋째, 재난을 경험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에 있어 종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영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종교를 가진 유가족에게는 지속적으로 종교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종교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 다른 활동을 통해 영적 성장이 촉진되도록 다양한 사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재난을 경험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 영향요인을 탐색하여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of families who have lost loved ones due to disasters. The study examined emotional, behavioral, and social factors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The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d depress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behavioral factors included alcohol use and daily exercise, and social factors were comprised of social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and interpersonal stress. A total of 233 family members' data from the ''Survey on the health and living conditions of the 4.16 Sewol ferry disaster victims' conducted by the Ansan Mental Health Trauma Center in 2017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 post-traumatic growth of family member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depression (PHQ-9), social support (FSSQ), and having a relig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lower depression, higher social support, and religious affili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amily member's post-traumatic growth. Among all variables,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showed the highes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Study findings yielded the following social work practice implications. First, findings indicated the need to find ways to expand social support to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bereaved families. In order to prevent social isolation of the family members, programs and project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local community's awareness of the victims of disasters, and to seek connections based on the advocacy of the trauma victims. In addition, restoration of exis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as assisting to form support groups with other disaster victims to build new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ay be useful. Second, long-term and continuous psychological support is needed to promote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bereaved families. In general, the death of a family member due to an unexpected accident requires more intense and long-term psychological support. Therefore, long-term psychological support should be advocated based on continuous research on victims of the 4.16 Sewol ferry disaster.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e continuity of services to support victims of the 4.16 Sewol ferry disaster. Third, the study found that religion is a meaningful factor i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bereaved families which speaks to the need for promoting spiritual growth. It may be necessary to support families to continue with their religious activities, and to develop various projects to promote spiritual growth through other activities for those without religious affiliation.

      • 데이케어센터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과 미인증 기관을 중심으로

        김해림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데이케어센터의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질문을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기관의 종사자 처우경험은 어떠한가?', '미인증기관 종사자 처우경험은 어떠한가?'로 설정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사회복지사가 실천현장에서 경험하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지오르지(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위치한 데이케어센터에 재직 중인 3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사회복지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데이케어센터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을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기관에 재직 중인 사회복지사, 미인증기관에 재직하는 사회복지사의 경험으로 구분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연구 참여자의 상황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인증기관의 데이케어센터 사회복지사 처우경험은 7개의 인터뷰 영역, 7개의 본질적 주제, 15개의 드러난 주제, 46개의 의미 단위로 도출되었고, 미인증기관의 데이케어센터 사회복지사 처우경험은 7개의 인터뷰 영역, 7개의 본질적 주제, 14개의 드러난 주제, 41개의 의미 단위로 도출되었다. 본질적 주제와 드러난 주제를 토대로 데이케어센터의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분하여 [장기요양 제도적 측면], [미인증기관의 처우경험: 시장화의 문제], [인증기관의 처우경험: 차별화된 처우지원의 측면]으로 연구결과를 일반적으로 기술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장기요양제도의 시장화로 인해 가치절하된 돌봄의 모습과 현장의 낮은 처우와 근로환경의 경험을 파악하였다.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 기관에 재직 중인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이 미인증기관에 재직 중인 사회복지사의 처우경험보다 더욱 풍부하고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연구 참여자의 목소리를 통해 실천현장에서 희망하는 처우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장기요양제도,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제도의 문제를 비판하고 개선사항을 제언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daycare centers and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its implic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explored: "What ar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Seoul-type Good Care Certification institutions regarding their working conditions?" and "What ar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non-certified institutions regarding their working conditions?".were A phenomenological study based on Giorgi's approach was employed Six social workers who have been working in daycare centers in Seoul more than three years were recru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indings were presented based on whether the participant work in Seoul-type Good Care Certification institutions or non-certified institutions. For the social workers in certified institutions, their experiences regarding working conditions resulted in seven interview domains, seven essential themes, 15 emergent themes, and 46 units of meaning. For the social workers in non-certified institutions, their experiences regarding working conditions resulted in seven interview domains, seven essential themes, 14 emergent themes, and 41 units of meaning. Based on the essential and emergent theme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daycare centers were identified and described in terms of [long-term care system], [issues of marketization for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non-certified institutions ], and [differentiated support in working conditions for social workers in certified institutions] This research portrayed the devalued appraisal of care work due to the marketization of long-term care and the experiences of poor working conditions in the field. It showed that the work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certified institutions, such as Seoul-type Good Care Certification institutions, were more positive compared to those in non-certified institutions. This research has some implications by critically analyzing the long-term care system and Seoul-type Good Care Certification system, com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providing some suggestions for a better working condition through the voices of research participants.

      •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권다래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87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had emerged as key concep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ut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programs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he study subjects were 38 elderly people living alone recruited from a Senior Welfare Center in Seodaemun-gu, Seoul.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enhanc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based on reminiscence and collaboration, and was administered to study participants. In order to examine 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liability tes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paired sample t-test and Kruskal Wallis test were conducted.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earcher also analyzed the process of the program using journal records prepared by volunteers who helped to conduct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Among the sub-categorie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ub-categories of resilience, meaningfulness, equanimity, and existential isolatio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examination of program process notes showed that the connection and servic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volunteers continued even after the program ended. This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s formed in the program can be developed into a lasting resource. This study was the first program conducted in-person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immediately after a long period of social distancing due to COVID-19. The social work practic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program developed with frontline social workers who work with the elderly living alone on a daily basis. It considered various aspect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cluding their characteristics, needs, and situations. Second, since the elderly living alone lack social support compared to other elderly persons, it is necessary to build a social support system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needs, and furthermore, to establish a sustainable social network and care plan within the community. Third, in preparation for future possible disaster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countermeasures or online programs that can increase th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코로나19 재난 사태에서 주요한 개념으로 부상한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서대문구 소재의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독거노인 38명으로 회상과 협동 요소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각 변수들의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 대응표본 t-검정,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Kruskal Wallis test)을 실시하였고, 정규성 검정을 위해서는 샤피로 윌크 검정(Shapiro-Wilk test)을 사용하였다. 또한, 양적 분석의 한계성을 보완하기 위해 프로그램 제공자인 자원봉사자가 기록한 관찰일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과정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결과, 본 프로그램이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에서는 물질적 지지를 제외한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와 더불어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에서는 자신에 대한 믿음 및 인내를 제외한 의미부여, 평정심, 실존적고립의 변화가 유의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관찰일지를 통한 과정 평가에서 주목할 점은 프로그램 종결 이후에도 독거노인과 자원봉사자 간에 결연 및 기획봉사가 지속되어 프로그램에서 형성된 관계가 지속적인 자원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장기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었다가 완화된 직후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대면 프로그램으로 진행한 연구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사회복지 현장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일선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독거노인을 매일 마주하는 사회복지사들과 함께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진행한 연구로 독거노인의 특성과 욕구, 상황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독거노인은 타 유형의 노인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부족하므로 이들의 특성과 욕구에 기반한 사회적 지지 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지역 사회 내에서 지속가능한 사회적 관계망 구축 및 돌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향후 감염병 또는 국가적 재난에 대비하여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 및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대응책 마련 또는 비대면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공감능력을 매개효과로

        홍주리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 유아의 사회적유능감, 교사의 공감능력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교사의 공감 능력의 관계는 상관이 있는가? 둘째,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와 인천,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8명이었다.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UN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에 근거해서 Hart & Zeider(1993)가 연구 개발한 척도를 기초로 하여 윤진희(2006)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이혜원(2005)이 개발한 ‘교사용 사회 유능감 평가도구’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교사의 공감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Davis(1980)의 대인관계반응지수(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 IRI)를 박성희(1980)가 번안하고 황인호(2010)가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주요변수들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 유아의 사회적유능감, 교사의 공감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과 유아의 사회적유능감, 교사의 공감능력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과 유아의 사회적유능감, 교사의 공감능력이 서로 간의 정적인 상관을 보이고 있다. 둘째,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이 유아의 사회적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다.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이 교사의 공감능력을 통하여 유아의 사회적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아교사가 유아의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을 지각함과 동시에 유아교사가 관점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관심, 개인적고통이 충족되며, 유아교사의 아동인권인식과 공감능력의 충족은 유아의 사회적유능감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별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인지적 공감에 해당하는, 관점취하기와 상상하기는 완전매개를 하였고, 정서적 공감에 해당하는, 공감적관심과 개인적고통에는 부분 매개를 나타냈다. 이는 유아교사이 아동인권인식이 교사의 공감능력을 통하여 유아의 사회적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human rights, young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and teachers' empathy 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human rights,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eachers' empathy ability? Secon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empathy ability in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human rights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Based on the scale researched and developed by Hart & Zeider (1993) based on the UN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ren's human rights, Jinhee Yoon (2006)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criteria us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 measuring tool was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it was measured using the ‘Teacher’s Social Competency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Hyewon Lee (2005). In order to examine the empathy ability of teachers, Davis (1980)'s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was used as a questionnaire adapted by Park Seong-hee (1980)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Hwang In-ho (2010). For the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describ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human rights,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eachers' empathy abil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human rights,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eachers' empathy ability,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empathy ability in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human rights on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it has a fully mediating effec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human rights affects young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through the teacher's empathy ability. Appropriate interest and personal suffering are satisfied, and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human rights and fulfillment of empathy have an effect on forming young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sub-factor of empathy ability, taking a viewpoint and imagining, corresponding to cognitive empathy, were fully mediated, and empathic interest and personal pain, corresponding to emotional empathy, were partially mediated. This suggest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human rights affects young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through teachers' empathy ability.

      •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이용동기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 연구 : 게임선용집단과 비선용집단 비교

        김경미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이용동기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에 대한 게임선용 여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컨텐츠진흥원에서 조사한 게임이용자패널조사 2018년 10차 자료 중 중학생과 고등학생 571명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해 3단계 회귀분석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변인들 간의 직접·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및 의의는 첫째, 청소년의 게임이용동기는 게임선용군과 비선용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게임이용동기의 몰두, 사회적 동기, 성취감 모두 이용동기 수준이 게임선용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게임이용동기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 분석을 살펴보면, 게임선용군에서는 게임이용동기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비선용군에서는 자아존중감을 감소시켰다. 비선용군에서 몰두와 사회적 동기, 성취감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진다는 결과는 가상세계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이 낮아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게임이용동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역시 게임선용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게임선용군은 게임이용동기 중 몰두와 사회적 동기는 사회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성취감 동기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비선용군은 게임이용동기의 사회자본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속형 사회자본과 교량형 사회자본 모두 게임선용군과 비선용군에서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사회자본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게임이용동기에 관한 중립적 관점에서 사회자본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고, 더 나아가 게임이용동기들이 모든 이용자에게 일관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게임선용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influence of Youth’s motivation in playing online game on self-esteem by comparison of between groups of good use and bad use in playing gam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571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used among the 10th data in the 2018 Game User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Contents Promotion Agency. Th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is verified by the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First of all,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ood use and bad use of game playing. The level of immersion, social motivation and achievement are higher in a good use group.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influence of Youth’s motivation to play online game on the self-esteem, the motivation to play games decrease the self-esteem in a bad group while the motivation doesn’t affect the self-esteem in a good use group. Third, the effect of game playing motivation on the social capital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game usage. In a good use group, immersion and social motivation among game playing motivations affect social capital positively and achievement doesn’t affect it. In a bad use group, the game playing motivation affect the social capital negatively. Lastly, both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affect the self-esteem positively in both good use and bad use group, which shows that the social capital is the important factor to raise Youth’s self-esteem.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how the motivation in playing games affect the social capital and self-esteem in the neutral point of view. The three kinds of motivation affects the Youth according to the types of game usage.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유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

        김선철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on teacher-infant attachment st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eacher-infant attachment?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on teacher-infant attach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2 copies of the survey conducted for 4 days from April 26 to April 29, 2022 for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288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ept for inappropriate and missing responses. To find out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Shin Hye-young (2004) used a scale developed based on D'Arienzo, Morraco, and Krajewski (1982)'s 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aire and Kim Jung-hwi's (1992) teacher's job stress scale. In order to find out the attachment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90 questions of attachment Q-sort developed by Waters and Deane (1985) based on Bowlby's attachment theory were reconstructed by Park Cha-sun (2006) to a total of 25 questions, and the scal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Cho Moon-soon (2007) was used as a teacher. In order to find out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the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 (K-CTJSS) developed by Cho Sung-yeon, Baek Eun-joo, Kim Hye-geum, Kwon Yeon-hee, and Jung Ji-na were used. A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reliability between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infant attachmen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infant attachm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ub-factors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on teacher-infant attachment st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and teacher-infant attachment,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and teacher-infant attach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eacher-infant attachment,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eacher-infant attach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ird, among the sub-variables of job stress, work overload factors were significant, and among th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social perception and treatment variables, childcare environment, and welfare variables were significant.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stress experienced by childcare teachers, the lower the teacher-infant attachment, and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heavy work of childcare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the teacher-infant attachment. Various support is being provided at the childcare site,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extended teachers and support for auxiliary teachers to reduce the work of childcare teachers, but actual childcare teachers still feel the weight of work, so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i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the higher the teacher-infant attachment, and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treatment such as salary when childcare teachers are socially recognized, and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elfare benefits affect teacher-infant attachment. As some teachers' social controversial actions are reported in the media, social awareness of all childcare teachers and poor working conditions and welfare benefits reduce their self-esteem and motivation, 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ir status and improve their working environmen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유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교사-영유아 애착과의 상관관계는 어떠 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유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 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22년 04월26일부터 04월29일까지 4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02부를 회수하였다. 부적절한 응답과 누락된 응답을 제외하고 유효한 설문지 288부를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해 신혜영 (2004)이 D'Arienzo, Morraco와 Krajewski(1982)의 교사직무스트레스 질문지(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aire)와 김정휘(1992)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등을 바탕으로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와 영유아의 애착을 알아보기 위해서 Waters와 Deane(1985)이 Bowlby의 애착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한 90문항의 애착 Q-sort를 박차선 (2006)이 총 25문항으로 재구성하고 조문순(2007)이 교사용으로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조성연 et al. (2011) 등(조성연, 백은주, 김혜금, 권연희, 정지나)이 개발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 : K-CTJSS)를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고, 변인들간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교사-영유아 애착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교사-영유아 애착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이 교사-영유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유아 애착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유아 애착은 서로 간의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영유아 애착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영유아 애착은 서로 간의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중 교사-영유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으로 업무과부하 요인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교사-영유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사회적 인식 및 처우 변인과 보육환경과 복지 변인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보육교사가 겪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애착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육교사들의 과중한 업무가 교사-영유아 애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육현장에서는 보육교사들의 업무 경감을 위해 연장교사 도입 및 보조교사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 지고는 있지만, 실제 보육교사들은 여전히 업무의 과중함을 느끼고 있기에 이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애착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육교사들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때와 급여 등 처우개선, 그리고 근무환경과 복지혜택이 교사-영유아 애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부 교사들의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행동들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전체 보육교사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나빠지는 점과 열약한 근무환경과 복지혜택은 보육교사들의 자존감과 의욕을 떨어뜨리게 되고, 영유아들과의 애착형성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에 보육교사의 위상을 높이고 근무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