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의 과학교육분야 석사학위논문 경향분석

        류샛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지역 주요 4년제 대학교의 각 8개의 교육대학원 과학교과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중 2001년 2월에서 2010년 8월까지 10년 동안 발표된 논문을 연도별로 연구 분야별, 연구방법별, 연구유형별, 연구주제별 부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추출된 총 논문의 수는 1045편이며, 이를 전반 5년과 후반 5년의 발표 논문을 비교함으로써 과학교육 연구의 현황과 그 경향성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논문을 분야별로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분야는 생물교육 분야와 화학교육 분야로 각각 38%와 31%를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는 물리교육 23%, 지구과학교육 6%, 공통과학교육 2%의 순으로 나타났다. 후반 5년에는 전반 5년보다 생물교육 분야의 논문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화학교육 물리교육 및 지구과학교육 분야는 감소하였다. 공통과학교육 분야는 전체적으로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논문을 방법별로 분석한 결과 문헌 연구가 41.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실험연구가 29.4%, 기술연구가 27.3%로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였고, 역사연구가 1.8%의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전반 5년과 후반 5년을 비교하였을 때 방법별의 순위 변동은 없었다. 또한 역사연구방법이 전체적으로 매우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각 교육대학원 별로 비교를 해보았을 때에도 역사연구방법이 가장 적었다. 셋째, 연구 논문을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교육 분야가 아닌 각 과학영역의 전문분야가 연구된 논문이 19.6%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 외에 나머지 교육 분야에 관련된 논문 중 9가지 주제 중에서는 교육목표․정책․과정․평가의 주제가 18.9%로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교수방법 연구가 11.8%, 학교 밖 교육이 10.8% 그리고 교육공학이 10.0%로 10%내외의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전반 5년과 후반5년의 순위변동은 크게 없었으며, 교사교육의 연구가 전반적으로 2.8%로 가장 낮은 순위를 보였다. 연구주제의 특정 부문의 연구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교육대학원의 과학 교육연구는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고조시 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논문을 연구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는데, 과학교육의 발전과 연구자들의 연구를 위해서라도 각 학교 도서관마다 검색시스템이 개선되고, 자료를 공개적으로 제공하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의 읽기 영역에 나타난 소재 분석

        박용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 중 영어 교육 과정에서 제시되고 있는 19개의 소재 항목을 바탕으로 현재 영어 교과서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읽기 지문에 나타난 소재를 분석하고 그 연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4종의 교과서를 선택하여 영어, 영어Ⅰ, 영어Ⅱ 세 교과서의 읽기 지문들을 모두 분석하였으며, 최근 2010학년도부터 2012학년도까지 3차분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읽기 부분 지문을 모두 분석하였다. 영어 교과서 소재 분석 결과는 4종의 교과서 중 한 교과서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교육부가 제시한 19개의 소재 항목을 골고루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최근 3차분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읽기 부분 지문들을 분석해본 결과 교육부에서 제시한 19개의 소재 항목들이 특정한 몇 가지 항목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부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19개의 소재 항목 중에서 4종 출판사의 영어, 영어Ⅰ, 영어Ⅱ 교과서 전체에서의 소재 항목 제시 수를 살펴본 결과 두 종의 교과서가 15개의 소재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약 79%의 소재 제시율을 보였고, 나머지 교과서가 각각 14개와 10개의 소재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74%와 53%의 소재 제시율을 보였다. 특이한 점은, 전체 4종의 교과서 모두에서 한 번도 제시하지 않은 소재는 17번 항목으로 애국심, 평화, 안보 및 통일에 관한 내용으로 뒤에서 살펴보게 될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소재 분석에서도 마찬가지로 단 한 번도 제시되지 않은 소재로 분석되었다는 점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소재들을 분석한 결과는 2010학년도부터 2012학년도까지의 읽기 부분 시험 문항들과 관련한 지문들이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소재 항목 중에서 일부 특정 소재 항목에 편중되어 내용이 구성됨으로써 교육부의 소재 제시가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0학년도와 2011학년도, 2012학년도 모두 공통적으로 18번 항목인 정치, 경제, 역사, 지리, 수학, 과학, 교통, 정보 통신, 우주, 해양, 탐험 등 일반교양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의 소재와 19번 항목인 인문학, 사회 과학, 자연 과학, 예술 분야의 학문적 소양을 기를 수 있는 내용의 소재가 다른 내용의 소재 항목보다 월등히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3차분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중 단 한 차례도 출제되지 않은 소재 항목이 다섯 항목이나 된다는 점이다. 그 항목들을 살펴보면, 학교생활과 교우 관계에 관한 내용(항목 3), 우리 문화와 다른 문화의 언어적 문화적 차이에 관한 내용(항목 9), 우리의 문화와 생활양식을 소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항목 10), 진로 문제, 직업, 노동 등 개인 복지 증진에 관한 내용(항목 15), 애국심, 평화, 안보 및 통일에 관한 내용(항목 17) 등이다.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인 자유로운 의사소통 능력과 좋은 인성, 세계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소재들이 교과서와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적절하고 다양하게 적용되어 제시되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EBS영어교육방송을 활용한 초등 방과후 영어의 인지적·정의적 효과

        이정경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EBS영어교육방송은 정규영어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정규 수업뿐만 아니라 방과후 영어 교육에 필요한 체계적인 교재 및 콘텐츠를 제공하여 방과후 영어 교육이 활성화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EBS영어교육방송을 활용한 방과후 초등 영어 수업이 영어를 처음 접하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I지역에 위치한 한 초등학교 3학년 20명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 사전 실태 조사의 결과를 거쳐 정규 영어 수업 외 EBS영어교육방송을 활용한 방과후 영어 수업과 영어 사설 학원을 병행하는 학생과 EBS영어교육방송을 활용한 방과후 영어 수업만 하는 학생을 A와 B로 나누어 2개의 실험집단을 선정하였다. 실험 수업은 동일한 정규영어 지도교사와 EBS영어교육방송 내용을 총 8단원을 총 8주간에 실시하고 학습한 결과들에서 나타난 인지적․정의적 측면에서의 효과를 분석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측면의 효과 분석을 위해 영어 학습 성취도를 5회에 걸쳐 평가를 하고 사전 평가와 비교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렇지만 EBS영어교육방송이 정규영어교육과정과의 연계로 영어 학습을 보조하는 성격으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정의적 측면의 효과 분석을 위해 영어에 대한 동기, 흥미와 관심, 자신감으로 인한 학습참여도에 관해 사전, 사후 학습 실태 설문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자신감을 제외하고 EBS영어교육방송을 활용한 방과후 영어만 참여한 학생에게 더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결론적으로 사교육을 통하지 않아도 학교에서 제공한 EBS영어교육방송을 활용한 방과후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으로 보아 이러한 결론을 근거로 지속적인 인지적․정의적 측면에서의 효과를 위해 EBS영어교육방송을 활용한 방과후 영어 수업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계속되어야할 것이다.

      • 평생교육강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매개 효과

        배은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in the relationships that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fluences to Career Commitment. S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like this. First, measure the recognition level about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reer Commitment and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second, check the relationships of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reer Commitment and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and through this,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in the relationships of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Commitment. Through this study, find out the influence factors that are concerned individual's Career Commitment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oretically, suggest the implications that contribute to Career Commitment that is lifelong education teacher's individual demand and improvement of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practically. In doing so, this survey used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Inventory'(Hatala, 2008),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ventory: SDLAI' (Bae & Lee, 2010), and 'Career Commitment Inventory'(Balu, 1989).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lecturers who teache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in Incheon, lasting from April 8th to 19th, 2013. using the methods of percentage sampling of institution type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concretely. The target for this study was 390 life-long education teachers, and 376 final data excluding 14 insincere and missing value ones, were used for analysis.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form this survey, the statistical package application SPSS 15.0 and AMO 7.0 were used. First, to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teachers' demography, frequency analysis was accomplished. Second, to verify the measurement tool's validity of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reer Commitmen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ere accomplished and produced Reliability Coefficient(Cronbach'α). Third, to comprehend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vel and Career Commitment level and to verify group's difference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ost verification using Scheffe were accomplished. Fourth, to know cross correlation among factors in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vel and Career Commitment,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accomplished. Fifth, to verify the influences that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ffects Career Commitment based on the mediator effect of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structural equation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and recognition level of Career Commitment, the first was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the second wa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last was Career Commitment in the level of gender recognition, and male group's recognition is higher than female's one. As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age categories recognition level, the first was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the second wa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last was 'Career Commitment' and the recognition of age group more than 50 is higher than the age group below 40, 40 to 50. As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recognition level, the first was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the second wa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last was 'Career Commitment' and graduate school members' recognition is higher than others. As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career of lecture, the first was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the second wa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last was 'Career Commitment' and the group's recognition more than 10 years is higher than the group 5 to 10. Second, as the result of correlations to find out relation degree among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Commitment, all they have static correlations. As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the correlation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actors,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and lower factors of Career Commitment, have meaning static correlations with all lower factors statically. As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Career Commitment factors,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and the correlation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over factors, have a static correlations in the relationship of all lower factors. Thir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ake effects to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directly, also to Career Commitment directly and indirectly. Not only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influences to Career Commitment directly, but als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fluences to Career Commitment indirectly carried by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As the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in the relationships that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fluences to Career Commitment, Part Mediation Model was supported as research model.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influences to Career Commitment directl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fluences to Career Commitment mediating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indirectly. So Given those results of the study, there were several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s on relationship among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reer Commitment and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First, Preceding research considered overall the relationships of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vel, Career Commitment level and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level, and through this, not onl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influences to Career Commitment, but also analyz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fluences to Career Commitment mediating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clarifying complex relations among factors. Second,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must be preceded to promote qualitative improvement of lifelong education through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bring up the necessity of network formations about diverse human network, organizations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s for lifelong education teachers' proper and prompt learning activities. In brief, Llifelong education teachers take part in learning activities with interest and confidence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nstruct learning environment and manage learning course personally, improve the ability to assess the learning results, contribute to qualificative improvement of lifelong education through lifelong education teachers' qualificative improvement.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suggest some proposals for the follow-up study that will be conducted. First,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lifelong education teacher in Incheon, so, needed to expand study target to nationwide at hereafter research and needed to study design like the change of check time about measurement target factors or diversity of response sources. Second, as the survey items that were used to measure the Career Commitment were used in foreign literature, it may not be adequate in nation situations and required the development of adequate measurement tools in nationwide for the measure of Career Commitment. Third, the factors that influences to Career Commitment of members exists diverse factors besid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o, a research of diverse factors is needed besid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ased on this, the bases of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ill be created. 이 연구는 평생교육강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경력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평생교육강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및 경력몰입도에 대한 인식수준을 측정하고, 둘째, 평생교육강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및 경력몰입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평생교육강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경력몰입도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하여 이론적으로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이 개인의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밝히고, 실천적으로는 평생교육강사들의 개인적 요구인 경력몰입과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Hatala(2009)가 개발하고, 배을규, 이형우, 강명구(2011)가 한국어로 번안하고 보완하여 사용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측정도구, 배을규, 이민영(2010)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측정 도구, Blau(1989)의 경력몰입도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관유형별, 행정구역별 비율 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2013년 4월 8일부터 동월 19일까지 인천 지역의 평생교육기관에 출강 중인 평생교육강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90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나, 이 중 많은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14부를 제외하고 37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SPSS 15.0과 AMO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평생교육강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평생교육강사의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수준, 자기주도학습능력 수준과 경력몰입도 수준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하고, 신뢰도 계수(Cronbach'α)를 산출하였다. 셋째, 평생교육강사의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수준, 자기주도학습능력 수준과 경력몰입도 수준을 파악하고 집단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e를 이용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넷째, 평생교육강사의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수준, 자기주도학습능력 수준과 경력몰입도 수준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평생교육강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경력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매개효과에 의거하여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절차를 거쳐 얻은 연구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강사의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경력몰입도에 대한 인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성별 인식도 수준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자기주도학습능력. 경력몰입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성 집단이 여성 집단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령별 인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자기주도학습능력, 경력몰입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50세 이상 집단이 40세 미만 집단과 40세 이상 50세 미만의 집단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최종학력별 인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자기주도학습능력, 경력몰입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원졸 이상 집단이 대졸 이하 집단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강의경력별 인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자기주도학습능력, 경력몰입도로 나타났으며, 10년 이상 집단이 5년 미만 집단과 5년 이상 10년 미만 집단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평생교육강사의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자기주도학습능력, 경력몰입도 간의 관련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이다. 먼저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자기주도학습능력, 경력몰입도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과 경력몰입도,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경력몰입도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변인과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경력몰입도 하위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하위 변인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주도학습능력 변인과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및 경력몰입도 하위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하위변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몰입도 변인과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하위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하위변인과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에는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며, 또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경력몰입도에는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이 경력몰입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을 매개로 하여 경력몰입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평생교육강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경력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연구모형인 부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직ㆍ간접적인 효과로는,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이 경력몰입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을 매개로 하여 경력몰입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평생교육강사의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자기주도학습능력, 경력몰입의 관계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과 의의를 갖는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가 개별적으로만 고찰해오던 자기주도학습능력 수준,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수준, 경력몰입도 수준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고, 이를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이 경력몰입도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을 매개로 하여 경력몰입도에 미치는 영향까지 분석함으로써, 이들 변인 간의 복합적인 관계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평생교육강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통해서 평생교육의 질적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강사 스스로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배양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는 강사 스스로 보다 적절하고 신속한 학습활동을 위해 주변의 다양한 인맥, 기관 및 정보활용에 대한 네트워크 형성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요컨대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통해 평생교육강사 스스로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고 학습활동에 참여하며, 스스로 학습환경을 조성하고 학습과정을 운영하여 학습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 평생교육강사의 질적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향후 수행 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인천지역의 평생교육강사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측정 대상 변수들의 측정 시점을 달리하거나 응답의 출처를 다양화하는 연구 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경력몰입 측정도구는 외국에서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평생교육강사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경력몰입도의 측정도구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평생교육강사에 적합한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개인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외에 다양한 변인이 존재한다. 따라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도 외에 다양한 변인들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평생교육강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촉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중국 초등학교 語文 교과서에 수록된 寓言 교육방법

        박지은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寓言이라는 문학의 정의는 각 세계마다 다양하고, 寓言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 선도 매우 포괄적이라고 할 수 있다. 寓言은 아동에서부터 성인까지 감상할 수 있는 문학이다. 현재 寓言이 한 문학으로 자리를 잡으므로써 중국 초등학교 語文 교과서에의 교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국어 교과서에도 寓言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학교교육에서 교과서를 통한 교육은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교육에서 교과서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寓言의 주제와 가치 그리고 寓言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寓言 교육의 단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국의 사상과 문화, 역사와 선인들의 지혜 등이 두루 포함되어 있고 그것을 바탕으로 탄생된 어휘 및 표현들이 담겨있어 寓言에는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많고 교훈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상력 신장, 언어능력의 신장, 가치관 함양 등 문학교육적인 의미가 크다. 중국 초등학교 語文 교과서에 실린 寓言은 26편인데, 중국고전寓言, 민간寓言, 현대寓言, 외국寓言이 수록되어 있다. 저학년 일때 寓言이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고, 동물을 의인화 시켜 교훈을 주는 寓言이 대부분이다. 고학년으로 갈수록 고사성어로 유래된 寓言이야기가 대부분이다. 또한 인물寓言이 대부분 이였고, 역사적인 사실에서 나온 것이 많다. 이는 중국인들이 역사를 어떻게 인식하는 지를 명백하게 보여준다. 역사는 중국인들에게 있어 사람을 깨우치고 설득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다시 말하면, 상대방에게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데 허구적인 사물 혹은 동물보다는 역사적 사실이 설득력과 신뢰성을 주는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중국 초등학교 語文 교과서에 수록된 寓言을 분석하였는데 분석 방법은 중국 초등학교 語文 교과서의 지도용 교과서를 참고하였다. 현행 교사용 지도서를 보면서 실행되고 있는 寓言교육을 살펴보고 분석해 보면서 寓言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를 연구해 보았다. 중국 초등학교 語文 교과서에 실린 寓言들은 모두 주제의식이나 목적을 갖고 교육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 교과서에 실린 寓言을 살펴보면 저학년, 중학년, 고학년 단계별로 알맞은 교육적 의미와 교훈을 전달하고 있다. 특히 寓言은 지금 학생들의 인성과 올바르게 자라는 데에 그 목적이 있었고, 寓言을 통해 그 교훈을 실생활에 접목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저학년 때는 읽기 교육 중심으로 寓言의 전체이야기를 크게 잡아 지도하고 있었고, 고학년으로 갈수록 토론과 분석을 통해 寓言을 지도하고 단락별로 자세히 분석을 하면서 이해시키고 있었다. 중국 초등학교 語文 교과서에 실린 寓言의 주제를 교육적 의미로 분석해 보면 일단 크게 교과서에 실린 寓言은 본보기 교육 寓言이 있고 반면 교육 寓言으로 나눌 수 있다. 본보기 교육 寓言에서의 교육 포인트로 성실 근면, 지혜, 계획성, 남을 돕는 마음 등등 이였다. 교육의 첫걸음이 되는 초등학교 단계에서 요구하는 바람직한 인간상에 부합하는 최고의 덕목으로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교육 寓言은 부정적인 형상 다시 말해 거짓되고, 악하고, 우둔한 것을 판단하고 알게 하는 것이 교육에 있어 중요한 의미라고 할 수 있는데, 어리석고 무지한 인간의 유형이 가장 많은 주제로 차지하고 있었다. 자기세계에 빠진 유형, 남의 충고를 듣지 않은 인물 유형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상적인 인격을 갖춘 사람이 되기 위해서 추구해야 할 가치관 내지 교육적 내용을 寓言에서는 담고 있는데, 중국 寓言 교육을 인성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중국 寓言 교육 방법을 분석해 본 결과 몇 가지 특징이 있었다. 三环적 寓言교육 방법을 볼 수 있다. 明理(정확하게 이해하다) - 启智(교훈을 얻다) - 导行(실행하다) 로 정리할 수 있는데 이것은 寓言은 줄거리 안에 寓意가 담겨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먼저 寓言의 줄거리를 통해 寓意를 이해시키고, 그 寓意를 깨닫으므로써 교훈을 얻게 하고 실생활에 적목 시켜 실행하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이 현행 초등학교 語文 교과서에 실린 중국식으로의 해석인 寓言 문학을 고찰해 봄으로써 중국 문학을 이해하는데 의미를 두고 모국어가 중국어인 학생들에게 寓言을 지도하는 방법을 참고하여 모국어가 한국어인 학생에게도 寓言 문학을 효과적으로 교육 할 교육방안의 단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寓言 안에 지닌 여러 가지 덕목을 초등학교 단계인 학생에게 지도할 수 있는 교육 포인트를 제시하고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게 지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인천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저탄소 녹색생활의 인지와 실천이 올바른 식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손은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인천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저탄소 녹색생활의 인지와 실천이 올바른 식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손 은 주 본 연구에서는 저탄소 녹색생활에 대한 인지와 실천의 중요성을 알리고, 저탄소 녹색생활 인지와 실천이 우리의 식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에 따라 녹색성장 생활 실천 및 인지도, 식사예절 지수, 건강 식행동, 식생활 태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녹색성장 생활 실천 및 인지도, 식사예절 지수, 건강 식행동, 식생활 태도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녹색성장 생활 실천 및 인지도, 식사예절 지수가 건강 식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녹색성장 생활 실천 및 인지도, 식사예절 지수가 올바른 식생활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섯째, 건강 식행동 지수가 올바른 식생활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인천지역의 일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저탄소 녹색생활의 인지와 실천이 올바른 식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녹색 성장 생활 실천 및 인지도, 식사예절지수, 건강 식행동, 식생활 태도를 조사하였고, 이들 상호간의 관련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52.9%로 여자 47.1%였으며, 연령은 18세 미만이 59.1%로, 18세 이상이 40.9%로 나타났다. BMI는 정상이 63.8%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가족형태는 핵가족이 86.4%로 확대가족 8.2%보다 높은 분포를 보였다. 가족과 함께 식사 여부는 한 번도 없다가 44.1%로 가장 많았으며, 자가진단 건강상태는 아무 병 없이 아주 건강하다가 43.1%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 성장에 대해 ‘알고 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녹색 성장을 위해 우리나라가 실천하고 있는 일들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녹색식생활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향후 녹색식생활 실천 의향에 ‘실천할의향이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녹색 성장 교육을 받은 학교가 받지 않은 학교보다 건강 식행동 지수, 식사예절지수, 올바른 식생활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자가 남자보다 녹색 성장 생활 실천 태도와 녹색 식생활 생활 인지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 식행동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녹색 성장 생활 실천 및 인지도, 식사예절지수, 건강 식행동은 올바른 식생활 태도에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녹색 성장 생활 실천 태도가 높을수록, 녹색 식생활 생활 인지가 높을수록, 식사예절지수가 높을수록, 건강 식행동 지수가 높을수록 올바른 식생활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녹색 성장 생활 실천 및 인지도, 식사예절지수는 건강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녹색 성장 생활 실천 태도가 높을수록, 녹색 식생활 생활 인지가 높을수록, 식사예절지수가 높을수록 건강 식행동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녹색 성장 생활 실천 및 인지도, 식사예절지수가 올바른 식생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녹색 식생활 생활 인지가 높을수록, 식사예절지수가 높을수록 올바른 식생활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건강 식행동 지수가 올바른 식생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 식행동 지수가 높을수록 올바른 식생활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녹색 성장 생활 실천 태도, 녹색 식생활 생활 인지, 식사예절지수, 건강 식행동 지수는 올바른 식생활 태도에 각 영역별로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므로, 녹색 생활의 인지와 실천이 높을수록 올바른 식생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요즘 같이, 녹색성장과 녹색 식생활의 중요성이 대두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가정과 학교에서도 녹색생활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을 알고 점차적으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교육이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녹색생활 교육 프로그램이 더 많이 개발 되어야 하고, 창의적·활동적인 재량활동을 통해 실천할 필요가 있다.

      • 유아교육기관 내 CCTV 설치가 유아교사의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강선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내 CCTV 설치와 유아교사의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교사의 일반적 업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CCTV 설치를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문제로는 첫째, 유아교사들의 CCTV설치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둘째, CCTV가 유아 -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CCTV가 유아교사의 일반적 업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CCTV 설치 의무화에 대한 유아교사의 대처방안은 어떠한가? 의 4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본 논문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인천시 B구 소개 2곳의 어린이집 교사 4인과 경기도 A시 소개 1곳의 유치원 교사 2인, 총 6명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의 과정은 인터뷰 내용을 모두 전사, 자료 분류 및 분석 단계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인터뷰 내용을 녹음한 뒤 전사한 후 바르게 전사되었는지 전사한 내용과 녹음내용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대학원 동료에 재차 확인을 거치고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이후 전사된 내용, 모든 자료를 읽어보면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업무 중 불편하거나 어려웠던 경험, CCTV에 대한 교사들의 생각, CCTV 이외의 대안방법의 내용 등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내 CCTV 설치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는데, CCTV에 대한 유아교사의 전반전인 인식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었다. 하지만 경력이 높은 교사는 CCTV는 교사를 보호해주고, 교사가 미처 보지 못했던 상황을 보충해 줄 수 있다면서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둘째, CCTV가 유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태도를 취한 교사들은 교사행동의 위축으로 교사와 아동 간에 거리감이 증대하고 유대감이 약화 되는 것을 우려하였으며, 비슷한 의미로 교사들이 유아들을 진심으로 대하지 않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이 되었다. 긍정적인 측면에서는 생활하는 동안에 미처 살피지 못한 유아 행동의 추가 관찰을 통해서 상호작용을 강화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 CCTV가 유아교사의 일반적 업무에 미치는 영향은 두 가지 방향으로 보았는데, 교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부분에서의 부정적인 측면은 훈육의지가 저하된다고 하였다. 구체적인 이유는 교사들이 불필요한 오해를 피하기 위해 유아와의 신체접촉을 기피하는 등 , 행동이 위축되면서 유아에 대한 관심이 저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측면에서는 자신 및 유아의 행동에 대한 관찰을 통해 교육방법 개선이 가능하다고 나타냈다. 따라서 교권 보호 장치가 마련이 된다면 CCTV가 교사 자신 및 유아의 행동 관찰을 통해 교육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학급운영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자기장학, 교사 대변의 도구로 가능하기 떄문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넷째, CCTV의 효과적인 이용방안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CCTV의 효과적인 이용방안 및 대안을 효과적으로 사용한다면, 부모와 교사와의 신뢰도가 높아지고, 교사에 대한 오해가 해소 될 것이라고 나타났다.

      •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학습준비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혜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which is representing variables of organization effectivenes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that affect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from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of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Specifically, First, measure individual's level of awareness to know abou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of lifetime education practitioner’s at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Se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practitioner’s control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from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of continuing education practitioner’s at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Based on this analysis, will introduce suggestion to improve organization learning level and direct learning ability of lifetime education staff also through this will suggest that can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target for this study was 325 practitioners in cultural center of department store⋅hypermarket and 321 final data excluding 4 insincere and missing value on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perceived level abou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practitioner’s showed in order of learning resource utilization⋅management, learning environment, self-concept, course management,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outcomes evalu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persistence. And the result of examining each group, permanent employee group indicated higher recogni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use and manage learning outcomes assesment, persistence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resources than contract worker group. Thus,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practitioner’s should improve self learning ability through self directed learning activities and should make evaluation system that can recognize and reward performance which will help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Also to improve contract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uld provide back up of support, working conditions, composition, and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etc for self-development to activate the elf-directed learning skills. Second, as a analysis results of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s perceived level o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showed in order of team structure, organizational cultu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essment, leadership, systems and structures. Therefore, to promote the enabling organizational learning from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manager should support continuing education officer of voluntary learning and encouragement to try new and challenge. Will need leadership to support long-term changes, avoided the organization's existing formalistic organizational culture, and will require organization at the level of care and attention so the organization members can participate general educational activities and tasks perform to become a participatory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ird, as a analysis result of perceived level ab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for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practitioner’s showed in order of affectiv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The result of examining each group, long employment years of field indicated higher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in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an with shorter years employment. Therefore, to improve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practition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should conduct variety access of core value education, develope appropriate organization program and have a reward system so members can have some attachment at organization to think as a family member and should consider organization’s problem just like theirs to be able to match the value of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 Forth, as a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for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practitioner’s, between the two positive correlation was appeared. I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improve than organization memb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lso can be improved. In other words, if the organization has supportive and participative culture to share and communicate knowledge with others and has a supportive leader to create learning conditions, like those factors will facilitate organizational learning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refore,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should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to create environment of ability to exert self-directed learning then lifetime practitioner’s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y development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of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will also have a positive effect. For the last, as a result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at the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affected b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search model of freedom model was dominant. From the group with a high degree o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showed greater than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rather than with low level o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group was confirmed. From this research,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on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when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examined individually only. And can give a meaningful that through above proved moderating effects on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from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result, should enhance the organization learning readiness of the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itself to reinforc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department store⋅hypermarket lifetime representative so in order to enhance the contribution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이 연구는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조직학습준비도 및 조직효과성의 대표변인인 조직몰입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더불어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학습준비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조직학습준비도 및 조직몰입도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인의 인식수준을 측정하고, 둘째,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조직학습준비도 및 조직몰입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조직몰입도의 관계에서 조직학습준비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의 조직학습 수준과 평생교육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 시키고 이를 통해 조직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 4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25부를 회수하고 이 중 32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유효 자료율: 71%). 설문지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측정하는 문항, 조직학습준비도를 측정하는 문항, 조직몰입도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절차를 거쳐 얻은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인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원 이용⋅관리, 학습환경조성, 자아개념, 학습과정관리, 학습동기, 학습결과평가, 학습활동지속성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집단별로 살펴본 결과, 정규직 집단이 계약직 집단보다 학습결과평가와, 학습활동지속성, 학습자원 이용⋅관리에 있어서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들이 자기주도학습 활동을 통하여 스스로 학습 능력을 높이고 조직의 효과성 제고에 도움이 되는 성과를 인정하고 보상해주는 평가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계약직 구성원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지원과 근무 여건 조성 및 교육 기회의 확대 등 계약직 구성원들의 자기주도학습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의 조직학습준비도에 대한 인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팀제, 조직문화, 정보와 소통, 평가, 리더십, 체계와 구조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의 조직학습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문화센터 관리자나 상사들이 평생교육 담당자들의 자발적 학습을 지원하고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격려하며,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변화를 지원하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또한 조직의 관료적 조직문화는 지양하고, 평생교육 담당자들이 일상적인 교육활동과 업무 수행과정에서 참여적이고 혁신적인 조직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조직차원에서의 배려와 관심이 필요하다. 셋째,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조직몰입도에 대한 인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집단별로 살펴본 결과, 분야재직년수가 긴 구성원이 분야재직년수가 짧은 구성원들보다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있어서의 조직몰입도를 더 높게 인식했다. 따라서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조직몰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가족의 일원이라고 생각하며, 조직의 문제를 자신의 문제처럼 생각하고 개인의 가치와 조직의 가치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핵심가치 교육 등 적절한 조직개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보상체계를 갖추는 등의 다양한 접근이 실행되어야 한다. 넷째,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조직학습준비도 및 조직몰입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조직학습준비도, 조직몰입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조직학습준비도가 높아지면 조직 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아 질수 있는 것이다. 즉, 조직에서 협력적이고 참여적인 조직 문화와 타인과의 지식을 공유하고 소통하며, 학습 여건을 조성해주는 리더의 역할 등, 조직학습을 촉진 시키는 요인들이 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는 조직문화를 개선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준다면 평생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및 역량 개발과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의 학습조직 구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조직학습준비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연구모형인 자유모형이 우세했고, 조직학습준비도가 높은 집단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은 조직학습준비도가 낮은 집단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별적으로만 고찰해 오던 자기주도학습능력, 조직학습준비도, 조직몰입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고, 이를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조직학습준비도의 조절효과까지 입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이 결과에 따라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강화하여 조직효과성 기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자체의 조직학습준비도를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