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팀 켈러의 문화 변증적 설교 비평: 오순절 관점에서 : 오순절 관점에서

        배정호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1695

        본 논문의 목적은 팀 켈러의 변증 설교를 오순절 관점에서 비평하는 것이다. 현대 문화를 이끌고 있는 사조는 포스트모더니즘이다.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포 스트모더니즘은 ‘절대성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하는 단순한 이해다. 이런 단순한 이해로 인하여 현대 기독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구체적인 문제도 파악하지 못했으며 적절한 대 책 또한 마련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 결과 교회를 이탈하는 젊은이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이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음은 물론이요 절대적인 모든 것 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단순하게 이해하면 안 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복잡한 논리를 가 지고 있으며 문화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더 나아가 오늘날은 복잡하고 다양해진 문 화가 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세대이고 활발한 문화 교류를 통하여 진보하고 있으며 포스트모더니즘도 이러한 시대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오늘날 복 음 전도의 대상은 바로 이렇게 복잡하고 복합적인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이다. 이러한 현 세대를 향해서 복음이 감당해야 하는 목표는 절대적이고 유일하신 하나님을 전하는 것이 다. 모든 것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한다는 생각을 하는 세상을 향해 불변하시는 하나 님을 전해야 하고 그분의 뜻을 전해야 하는 것이 기독교의 현실이다. 이 상황에서 복음 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사고방식과 논리와 언어와 문화를 알아야 한 다. 그리고 그들과 담대히 논쟁할 수 있어야 하고 결국에는 그들보다 더 깊은 차원의 논 리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팀 켈러는 날카롭고 예리한 분석적인 통찰력으로 그들과의 논쟁에 임했다. 그리고 그들의 논리를 정면으로 비판하여 기독교의 진리를 방어했다. 이 때 팀 켈러가 사용한 방법론이 ‘변증’이다. 변증을 통한 대화는 그들과의 논쟁 시에 소통 을 가능하게 했고 그들의 잘못된 논리를 정확히 지적하는 도구가 되었다. 팀 켈러는 세 상이 변한다고 절대성이 사라진다고 한탄하는 일에 시간을 소모하지 않았다. 오히려 모 든 문화 위에 자존하시는 하나님을 앞세워 현대 문화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를 정 확히 드러내면서 복음의 우월성을 입증했다. 팀 켈러의 도시 선교는 말씀의 선교이다. 말 씀 변증 선교를 통해서 비신자들을 복음화 시켰다. 그의 변증 설교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성장 배경과 신학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그가 어떤 의문을 가지고 있었으 며 그가 가지고 있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어떻게 찾았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이 과정은 결코 단순한 것이 아니다. 먼저 역사 신학 안에서 변증 설교의 역사성을 다루어야 한다. 그의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의 배경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를 실 행하기 위한 기본적 전제는 삼위일체 신관이다. 세상을 향한 구원 사역의 주체가 누구이 고 실행자가 누구인지를 알아야 되기 때문이다. 오늘날 복음주의 개신교에서 믿는 삼위 일체 신관이 확립된 시기는 초대 교부들의 시대였다. 당시에 이단 논쟁은 성자와 성령의 존재에 대한 논쟁이었다. 이 시기에 삼위일체 신학을 확립했던 교부들의 치열한 노력은 주옥같은 신학적 결과물을 만들었다. 팀 켈러의 변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삼위일체 신학을 알아야 한다. 교부들은 삼위일체를 중심으로 설교했다. 삼위일체를 변증으로 가르 치고 선포했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흐름이다. 삼위일체 신관에 대한 교부들의 사상 과 그들의 변증을 살펴보는 연구는 팀 켈러의 설교를 연구하는 방법론이 될 것이다. 또 한 본 논문은 오순절 입장에서 팀 켈러의 설교와 사상과 선교를 비평하는 것이기 때문에 성령론적인 접근을 할 것이다. 성령론을 변증 설교에 접목하기 위해서 먼저 교부들이 가 지고 있었던 성령론의 입장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삼위일체 안에서 변형되지 않고 왜곡되지 않은 성령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야한다. 이 논문은 성령의 역사가 현대에 실 천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시기를 웨슬리의 시대로 보았다. 웨슬리는 현대 성령 운동의 시초가 되었다는 것은 복음주의 계열에서 누구나 동의하는 일이다. 우리의 시선을 집중 시키는 것은 웨슬리가 교부의 설교에 심취해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웨슬리의 배 경과 그가 강조했던 성령에 관한 것이 어떻게 팀 켈러에게 영향을 주었는가를 보는 것도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후에 본 논문의 중심이 되는 팀 켈러가 변증하기 위해서 세워 놓 은 설교 이론을 살펴볼 것이다. 그의 이론은 복잡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필요 한 분석을 위해 그가 작성한 도표도 분석하며 설명을 시도해 보려고 한다. 그리고 이러 한 변증이 도시 선교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할 것이며 이후에 팀 켈러의 변증 설교에 취약점으로 보이는 현대 성령론에 대하여 다루어 보고자 한다. 그리스도 중심으 로 사람들에게 신앙을 전달한 위대한 사명을 감당했지만 그의 신학에 성령론이 강화되었 으면 더 큰 결과를 기대할 수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결론 부분에 가서 팀 켈러의 도 시 선교에 어떻게 성령론과 대화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종합적으로 어떻게 성령론을 강화할 것인가를 논의 한 후에 결론을 맺고자 한다. ABSTRACT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Cultural Apologetic Preaching of Timothy Keller: From a Pentecostal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que Tim Keller's apologetic sermons from a Pentecostal perspective. The modern cultural trend is heavily influenced by postmodernism, which is often oversimplified as merely a rejection of absolutes. Due to this superficial understanding, contemporary Christianity has struggled to grasp the specific challenges posed by postmodernism and to develop appropriate responses. Consequently, the number of young people leaving the church is increasing exponentially.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at postmodernism does not necessarily reject the existence of God or all absolutes; rather, it embodies a complex logic that permeates contemporary culture. In today's world, characterized by complex and diverse cultures and active cultural exchanges, postmodernism continues to evolve in various forms. The target audience for evangelism today consists of individuals with such intricate worldviews. The goal of the gospel for this generation is to present the absolute and unique nature of God. The challenge for Christianity is to communicate the unchanging nature of God and His will to a world that perceives everything as constantly changing and evolving. To effectively share the gospel in this context, one must understand the audience's way of thinking, logic, language, and culture and be capable of engaging in deep, logical discussions with them. Tim Keller approached this task with sharp and keen analytical insights, He defended the truth of Christianity by directly critiquing the logic of his opponents. His methodology, known as ‘apologetics,’ allowed him to communicate effectively during debates and accurately identify the flaws in opposing arguments. Keller did not waste time lamenting the decline of absolutes in a changing world. Instead, he demonstrated the superiority of the gospel by precisely expos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modern culture, He placed God, who transcends all cultures, at the forefront. Keller's urban mission was fundamentally a mission of the Word, evangelizing non-believers through apologetic missions. To fully understand his apologetic sermons, it is essential to examine his background, the questions that shaped his theology, and how he found answers to those questions. This process is complex and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context of apologetic preaching within historical theolog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rist-centered nature of his preaching, which is rooted i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This understanding is crucial because it identifies the giver of salvation in the world. The doctrine of the Trinity, as believed in today's evangelical Protestantism, was solidified during the era of the early church fathers, amid debates over the existence of the Son and the Holy Spirit. The intense efforts of the early church fathers during this period produced significant theological insights. To grasp Tim Keller's approach to apologetics, one must first understand this Trinitarian theology. The early church fathers preached a Trinity-centered message, with apologetics playing a central role in their teaching and proclamation. Researching patristic thoughts on the Trinity and their apologetic methods will provide a framework for studying Tim Keller's sermons. Additionally, since this paper critiques Keller's sermons, thoughts, and mission from a Pentecostal perspective, it will adopt a pneumatological approach. To incorporate pneumatology into apologetic preaching, we must first understand the early church fathers' position on pneumatolog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Holy Spirit's unaltered and undistorted role within the Trinity. This paper considers the era of John Wesley as the period when the work of the Holy Spirit became particularly active in modern times. It is widely acknowledged within evangelical circles that Wesley marked the beginning of the modern Holy Spirit movement. Notably, Wesley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sermons of the early church fat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esley's background and how his emphasis on the Holy Spirit influenced Tim Keller. Following this examination, we will analyze the sermon theory established by Tim Keller for apologetics, which forms the core of this paper. To facilitate analysis, I will explain Keller’s complex theory by dissecting the framworks he created. We will explore how Keller's apologetics influenced urban missions and address the apparent underemphasis of modern pneumatilogy in Keller’s apologetic preaching. Although Keller accomplished the significant task of conveying faith that is centered on Christ, even greater outcomes might have been achieved if his theology had more robustly incorporated pneumatology. In conclusion, we will consider how pneumatology can be integrated into Tim Keller's urban missiology and how to comprehensively strengthen pneumatology.

      • 캠퍼스 선교를 위한 대학교회의 협력적 역할에 대한 고찰 : 대구대학교 대학교회를 중심으로

        홍민혁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논문의 목적은 대구대학교 선교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대구대학교는 기독교 정신으로 시작했지만 오늘날 그 정신이 많이 퇴색되어 있다. 하지만 명백한 사실은 다시 복음의 대학으로 거듭나는 것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바라는 것이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대학복음화에 도움이 되고자 본 논문을 시작하게 되었다.본 연구를 통해 먼저, 대학선교의 역사와 정의, 대학선교의 필요성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대구대학교와 대학교회의 초창기 역사를 돌아보며 대학의 기독교적 정체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구대학교 선교의 쟁점을 살펴보며 현재에 해결되어야 할 부분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미 협력적으로 대학선교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들을 조사했고 이 사례들을 교훈 삼아 앞으로 대구대학교 선교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direction for Daegu University’s mission work. Daegu University has been established with the spirit of Christianity. However its spirit has been faded away up to the recent times. It is mandatory that Daegu University needs to reconsider and recover its Christian mission in order to further develop as its founding spirit intended. Therefore, I set out this study to find out ways in which Youngkwang church(on-campus church) can contribute to the evangelization of Daegu University. To this end, I observe the history and missionary work of the University as rooted in the Christian tradition. Also, I identify the needs for and the tasks of mission work on the campus. In the next step, I re-emphasize the Christian identity of the University by tracing the history of the early days when it was founded and developed. Mission has always been the driving force for the sustainment of Daegu University. In addition, I examine the issues related to mission work of Daegu University and attempt to proposes issues to be resolved. Finally, I investigate the mission works of other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proved effective in working cooperatively with people and churches both inside and outside campus. This study also promote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for the evangelization of Daegu University with local churches off campus as well as organizations and people on campus. Therefore, it is expected in conclusion that Youngkwang Church would play a significant part in creating collaboration and recovering the University''s founding spirit and mission.

      • 튤립(TULIP)에 관한 칼빈과 칼빈주의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고찰 : 돌드레히트의 칼빈주의 5대 신조와 칼빈의 기독교 강요

        권바울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1695

        There is a reason why Calvin theology values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with Calvinism Calvin reformed religion amid the decadence of Roman Catholicism through the 1,000 years of Dark Ages in the Middle Age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Calvin's theological ideas which created the foundation and framework of Calvin's theology are pass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through his followers Calvinists and the inheritance of reformed theology While all kinds of heretical and pseudo-ideologies were rampant due to the tricks of Satan, the ruler of the world a report titled “tast” by Kornhert a Dutch civil servant in 1583 led Arminius to continue the liberal theory of humanistic thought caused by the Pelagius The reality is that the controversy between theocratic Calvinist theology and humanistic Arminianism continues to be chaotic in various ways TULIP was only the beginning of that debate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tinuity of Calvin's theology with TULIP created by Calvinists and the discontinuity with Augustine's theology and its mixture Unfortunately there are surprisingly many differences from 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a treasure trove of Calvin's theology and the TULIP created by Calvinists The purpose is to look into it by comparing the contexts. Chapter 1 corresponds to the introduction This is the motivation and purpose of this study As a prior study I tried to summarize the theologians involved in the study and because it was a difficult and sensitive area,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ULIP. Chapter 2 attempts to understand the Five Articles and their theological history which are the claims of the protestors, followers of Arminius. Chapter 3 says that 105 people gathered in Doltrecht to deal with the crisis in the Dutch church caused by Arminius and created the Doltrecht Creed (TULIP) after 154 meetings from November 13 1618 to May 9 1619 I am going to look into the context of the creed (TULIP) and theological history. Chapter 4 is the main body of this paper I will compare the context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y examining each of TULIP's five tenets To aid understanding I looked closely at Calvin's life and the origins of Calvinism. Chapter 5 meticulously evaluated theologically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ULIP And I will try to find out the lessons that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give us. TULIP's motivation was a very appropriate measure for its time At the time it would have been natural to create TULIP with Augustine's theology because Augustine's theology had a common denominator in Neoplantonism and Calvin's ideas But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y are Calvin's followers not Augustine's followers. What they overlooked was that Calvin's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which they followed held onto Augustine's theology even though it was the cradle of Calvin's theology leaving behind a blemish. Lastly through this thesis research my hope to rediscover TULIP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Institutes of Christianity the core of Calvin's theology. As the number of researchers conducting such research increases the faith and theology required in this era is rapidly becoming humanistic with a human-centered ‘postmodernism’ following Luther Calvin and Karl Barth, who declared the end of liberalism In order to return to the Bible, it is necessary to prove to the world through experiential faith theology from a biblical perspective. 칼빈신학이 칼빈주의와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중요하게 여기는데는 이유가 있다. 중세 1000년의 암흑기를 통해 로마카톨릭의 타락에서 칼빈은 종교를 개혁 하였다. 그 기초와 틀을 만든 칼빈의 신학이 그의 추종자들인 칼빈주의자들을 통하여 후대까지 전달되는 개혁신학의 계승이라는 당위성을 요구한다. 세상임금인 사탄의 궤계로 온갖 이단 사이비 사상들이 난무한 가운데 1583년에 네덜란드 공무원인 코른헤르트의 “테스트”(Tast) 라는 보고서 한 장이 펠라기우스로 야기된 인본주의 사상의 자유의지론을알미니우스로 하여금 대를 잇게 하였다. 신본주의인 칼빈신학과 인본주의인 알미니우스주의와의 논쟁은 지금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혼돈에 혼돈으로 존속되고 있는 현실이다. 튤립(TULIP)은 그 논쟁의 서막일 뿐이었다. 본 논문의 초점은 칼빈의 신학이 칼빈주의자들이 만든 튤립으로 연속되는 것과 어거스틴의 신학과 혼합으로 불연속되는것을 살펴보려는데 있다. 안타깝게도 칼빈의 개혁신학의 보고(寶庫)인 『기독교 강요』와 칼 빈주의자들이 만든 튤립(TULIP)과는 다른 부분이 의외로 많이 있다. 그 맥락을 비교함으로서 들여다보고자 함이다. 1장은 서론으로서 본 연구의 동기와 목적, 선행연구로는 본 연구와 관련된 신학자들을 간추려 보았지만 어렵고 예민한 부분인지라 연구범위를 튤립으로 제한하였다. 2 장은 알미니우스의 추종자들인 항론자들의 주장인 5개 조항과 그 신학 사(史)를 이해하려한다. 3장은 알미니우스로 인한 네덜란드 교회의 위기를 대처하려는 그들이 돌드레히트에 모인 105명은 1618년 11월 13일부터 1619년 5월 9일까지 154회의 회의를 거쳐 돌드레히트 신조(TULIP)를 만들었다. 그 신조와 신학 사(史)의 전후 사정을 들여다보려고 한다. 4장은 본 논문의 본론이다. 튤립의 5개 신조 하나 하나를 살피면서 연속성과 불연속의 맥락을 비교하려 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칼빈의 생애와 칼빈주의의 기원을 자세히 살폈다. 5장은 튤립(TULIP)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신학적으로 냉정히평가하였다. 그리고 그 연속성과 불연속성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찾아보았다. 튤립의 동기는 그 시대에 있어 매우 적절한 조치였다. 당시 어거스틴의 신학이 신플라톤주의를 칼빈의 사상과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어 어거스틴의 신학으로 튤립을 만드는 것이 당연하게 생각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들은 칼빈을 추종하는 칼빈추종자들이지 어거스틴의 추종자들이 결코 아닌 것이다. 그들이 간과(看過)한 것은추종하는 칼빈의 『기독교 강요』가 칼빈 신학의 요람(搖籃)임에도 어거스틴의 신학을붙들었다는 오점을 남긴 것이다. 본 논문이 소망하는 것은, 칼빈의 신학 모체(母體)인 『기독교 강요』의 눈으로 튤립을 재발견하는 것이다. 이런 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이 더욱 많아져 이 시대에 요구되는 신앙과 신학자들이 급물살을 이루어 급속히 사람중심의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인 인본주의화 되어가는 현실 속에서 루터와 칼빈, 자유주의의 종말을고한 칼바르트의 뒤를 이어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성경적 관점의 신학을 가지고 체험적인 신앙으로 세상에 변증(辨證)해야 할 필요성 때문이다.

      • 목회자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은급제도에 관한 연구 :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교단 중심으로

        조금자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교단의 목회자의 노후소득보장에 대한 은급제도에 관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목회자의 노후소득보장에 영향을 미치는 노후 연금가입 요인 을 분석하는 것이다. 목회자라는 직위의 특성을 고려한 요인 연구가 많지 않았다. 이러 한 상황에서 일반적인 특성요인과 함께 목회자의 신학적 가치관, 목회자의 재정적 노후 준비인식, 목회자의 은급인식이라는 세 요인이 목회자 소득보장의 노후 연금가입에 미치 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로 목회자의 노후소득보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요인과, 독립변수로 목회자의 신학적 가치관, 목회자의 재정적 노후준비 인식, 목회자의 은급인식을 변수로 설정하고 종속변수로 노후소득보장의 국민연금, 은급 제도, 사보험(민간보험)가입 여부로 구성하여 변수를 준비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교단 내의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추출은 이용가능 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며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교단 내의 각 목회자 단위와 교단 총회 주소록을 기반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집방법은 방문을 통한 집합조사법을 기본으로 하였다.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교단 내의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전국지역총연합회, 서울강남지방회, 서울중부지방 회, 서울남부지방회, 경기동1지방회, 부천지방회, 순복음부흥사회, 전국여교역자회 등, 교 단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2024년 3월 1일부터 2024년 3월 30일까지 수집하 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전체 420명 응답자가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 응답 14 명을 제외한 406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조사 자료는 SPSS 27을 사용하여 각 변수간의 기술통계, 신뢰도, 교차분석, 분산분 석, 사후검증(Scheffe), t-test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 고 이에 각 독립변수가 목회자의 노후 소득보장에 연금 가입여부가 미치는 영향들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의 신학적 가치관은 15개 항목으로 최하 1점, 최고 5점 중에 전체 평균 4.775로 높게 나타났다. 목회자들로부터 무소유가 미덕이며, 노후 준비를 하고 계획하는 것이나 갑작스런 사고와 사망, 빈곤등으로 적금통장을 갖는 것, 위험에 대비하여 보험에 드는것은 목회자로서 믿음이 없는 것이며, 일평생을 하나님과 교회에 맡기고 목회에 전 념할 것을 가르침을 받아 왔다. 그러나 연구결과 전통적인 생각은 약화 되었음을 보였 다. 은급제도가 도입되고, 빈곤이나 사각지대 위험의 고통을 경험하면서 목회자들의 의 식이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목회자들의 재정적 노후 준비 인식은 최하 1점, 최고 5점 중에 전체 평균 3.000 으로 중상위 수준이었다. ‘안정적인 노후의 생활을 위해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 항목 평균은 3.092점, ‘부동산 자산 외에 금융이나 연금 등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항목 평 균은 2.814점으로 미흡한 수준이었다. 또한, 노후 준비 수준은 평균 0.900점, 저축액의 경우 5천만원 이하 응답이 246명(62.1%)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목회자는 재정적으로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대다수의 미자립 교회 목회자 들이 노후 준비인식을 못하고 있을 것이라는 예측의 결론을 할 수 있다. 학력이 높을수록, 월 소득이 많을수록 재정자립교회 목회자가 미자립교회 목회자보다 재정적 노후 준비인식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력이 높을수록 월 소득이 높을 가능성이 많으며, 노후 준비인식도 높고 의사결정을 합리적으로 할 가능성이 많아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월 소득은 수입이 늘면 생계유지로 노후 준비를 위한 밑바탕으로 저축량도 많아질 것이며, 재정적 노후 준비인식을 갖고 대비하기 쉬울 것이 라고 예측할 수 있다. 셋째, 목회자의 은급인식은 4개 항목으로 평균은 3.697로 중상위로 나타났다. 은급제도 에 관한 긍정적 필요성 81.8%, 부정적 응답은 4.5% 이다.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교단 에 관심도 71.0%으로 높았고 8.9%는 관심이 없었다. 신뢰도 설문에 40.6%으로는 ‘신뢰 한다’였으며 28.7%는 부정적이었다. 교단에서 부정적인 응답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은급제도의 만족하는 질문에는 긍정적 32.2%, ‘만족하지 않는다’의 부정적 37.4%으로 비교적 낮았다. 넷째, 목회자의 노후 소득보장의 노후 연금가입과의 결과는, 국민연금 가입은 ‘76세 이 상’에서 31.6%으로 가장 많았고, 월 소득과(p=0.001), 주거형태(p=0.032), 교회 재정자 립여부(p=0.005), ‘150만원 미만’에서 38.0%으로 가장 많았고, 미가입은 ‘200만원 초과 300만원 미만’ 87.2%으로 가장 많았다. ‘무상임대’ 52.2%으로 가장 많았고, 미가입은 ‘교회’ 에서 81.0%으로 가장 높았다. ‘미자립’에서 32.1%으로 다소 높았고, 미가입은 ‘자립’ 80.5%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은급제도 가입은 ‘대졸 미만’ 92.9%으로 가장 많고, 미가입은 ‘박사 수료’ 에서 38.5%으 로 가장 많았다. 성별, 연령, 월소득, 가구원수, 주거형태, 교회 재정자립여부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보험(민간보험) 가입은 ‘76세 이상’ 94.7%, 미가입은 ‘51세 이상 55세 이하’ 7.1%으로 가장 많았다. 주거 형태와 ‘무상임대’ 91.3%, 미가입은 ‘개인 월세’ 46.3% 으로 가장 많았다. 노후 연금가입의 경우 국민연금 가입 여부는 74.4%로 가입하였고, 지역가입방식 51.9%로 대부분이였다. 은급제도 가입 여부에 대해서는 가입 응답이 17.5%으로 미가입 응답 82.5% 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보험(민간보험)의 가입 여부 응답이 40.6%으 로 미가입 응답 59.4% 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3종류의 노후 연금 미가입 이유를 살펴본 결과, ‘재정적인 여유가 없어서’ 응답이 평균 72.8%으로 가장 많고, ‘개인적인 노후 소득보장을 하고 있어서’ 평균 13.3%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연금 미가입 여부가 경제적어려움과 은급제도, 사보험(민간보험) 가입 이유에 따른 부담이 가중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성별, 학력, 월 소득, 가구원수, 교회 재정자립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목회자의 신학적 가치관의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나타났다. ‘45세 이하’의 목회자의 신학적 가치관(3.764점)이 그 외 모든 집단보 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적 노후준비 인식의 차이는 월소득의 경우 ‘150만원 미 만’ 집단의 노후대비 인식이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회’ 집단의 노후대비 인식이 ‘무상임대’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개인 자가’ 집단의 노후대비 인식 ‘개인 전세’, ‘개인 월세’, ‘무상임대’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립’ 의 노후대비 인식이 ‘미자립’ 보다 높은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 났다. 은급인식의 차이의 특성은 ‘여성’ 의 은급제도 인식이 ‘남성’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무상임대’ 의 은급제도 인식이 ‘개인 자가’, ‘개인 월세’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회 재정자립은 외부지원 없이 헌금으로 교인들이 교회를 운영하는 것으로, 교회가 재 정자립한다는 것은 어느 정도 교회 재정도 여유를 갖고 목회자의 재정적 노후를 위한 준비인식으로 재정 수준도 노후 준비인식에 대처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독교대한하나님 의성회 교단의 은급제도에 관한 목회자들의 현재 목회 현장에서 필요성(81.8%)과 관심도 (71.0%)는 아주 높다. 설문에 대한 목회자들의 노후준비에 대해 ‘좋을 것이다’, 353명 (88.7%)의 응답은 다른 교단에 비해 출발이 늦은 점은(2004년) 있으나 교단 은급제도에 대 한 기대는 밝다. 정년을 맞는 은퇴한 노후 목회자들의 은퇴 생활은 교단 뿐만 아니라 목회자 개인들에 게도 중요한 관심사이다. 그러므로 현역 목회자들은 출발 시점부터 교단의 재정 지원을 통해 노후 준비를 인식하여 노후 부담을 줄이면서 동시에 교단의 목회자의 재정적 노후 안정에 도움이 된다는 관점에서 목회자 노후 은급제도에 관한 논의가 매우 중요하다.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교단은 세계 최대의 단일교회인 여의도순복음교회(이영훈 담임 목사,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 소재)가 속해 있는 교단이다. 그동안 양적 성장에 비해 취약했던 목회자들의 복지에 대해, 하나님 나라를 확장하는데 일생을 헌신한 목회에 전 념해 온 총회 산하 목회자 및 퇴직자들의 은퇴 후의 풍요로운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목 회자의 노후 소득보장에 대한 정책의 제도적인 부분들이 향후 더 보충되었으면 하는 연 구 후의 바램을 가져 본다. 주제어: 목회자, 노후소득보장제도, 국민연금제도, 은급제도, 교단,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신학적가치관 This study is about the retirement income security pension system for pastors of The Assemblies of God of Korea. Specifically,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joining the retirement pension that affect the retirement income security of pastors. Few factor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storal position. In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ree factors such as the pastor’s theological values, the pastor’s 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perception, and the pastor’s perception of the pension system, along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 on retirement pension subscription of pastor’s income security. This study is a quantitative study that se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s factors that affect the pastor’s retirement income security, the pastor’s theological values, the pastor’s financial preparation retirement perception, and the pastor’s perception of the pension system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national pension, pension system and private insurance of retirement income security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pastors within the Assemblies of God of Korea. The sampling used was availability sampling method and sample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address book and each pastoral unit within the Assemblies of God of Korea. The sampling method was based on a collective survey method through visits. The survey was collected from March 1 to March 30, 2024, from pastors from the National Association of Regions, Seoul Gangnam District Council, Seoul Central District Council, Seoul Southern District Council, Gyeonggi-dong District Council, Bucheon District Council, Full Gospel Revival Society, National Women Ministers Association, etc residing in large and small cities within the Assemblies of God of Korea, and a total of 420 respon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of which 406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the 14 unfaithful responses. The survey data used SPSS 27 to analyze the impacts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on pension subscription on a pastor’s retirement income security through descriptive survey, reliability, cross-tabulation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post-hoc(Scheffe), t-test,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stor’s theological values were high in 15 items with an overall average of 4.775, with 1 being the lowest and 5 being the highest. We learned from that not owning anything is a virtue, preparing for and planning for retirement, having savings account in case of sudden accidents, death, poverty, etc or purchasing insurance to prepare for risk is a lack of faith as a pastor, and that one should entrust to God and church and devote their entire life to the ministry. However,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raditional ideas have weakened. It showed that pastors’ consciousness is changing with the introduction of pension system and by experiencing the pain of poverty or blind spot risks. Second, the pastor’s financial preparation retirement perception was at the upper middle level with an overall average of 3.000 with 1 being the lowest and 5 being the highest. The average of the ‘I am preparing for retirement for a stable retirement life’ question was 3.902, and the average of the ‘I own financial or pension assets in addition to real estate assets’ question was 2.814, which was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average level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was 0.900, and in the case of savings, 246(62.1%) people responded that the amount of savings was less than 50 million won. Pastors are not financially preparing for retirement, and it can be concluded that most of pastors of non-independent churches do not prepare for their retirement.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and the higher the monthly income, the better the pastors of financially self-sufficient churches were in recognizing financial preparations for retirement than the pastors of non-independent churches. appears to have an impact because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the higher the monthly income is likely to be, the higher the retirement preparation perception, and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making rational decisions. Third, the pastor’s perception of pension system was in the upper middle level with an average of 3.697 in 4 items. 81.8% responded to the positive need and 4.5% to the negative need of the pension system. Interest within the Assemblies of God of Korea was also high at 71.0% but 8.9% were not interested. In the reliability survey, 40.6% said they trusted it while 28.7% said they did not. An alternative to the negative response from the denomination is needed. Fourth, as a result of the pastor’s retirement income security to retirement pension subscription, national pension was highest among those aged 76 or older at 31.6%, monthly income(p=0.001), housing type(p=0.032), church financial independence (p=0.005), ‘less than 1.5 million won’ is the highest at 38.%, highest among non-subscription was ‘over 2million but less than 3million won’ at 87.2%, ‘rent free’ was the most common at 52.2%, and among the non-subscription ‘at church’ is the highest at 81.0%. ‘Non-independent’ was slightly higher at 32.1%, and 80.5% of ‘self-dependent’ in non-subscription were the most common. The majority of those who subscribed to the pension system were ‘college undergraduates’ at 92.9%, while the largest portion of non-subscribers was ‘Doctorate graduate’ at 38.5%. Gender, age, monthly incom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housing type, and church financial independence had no effect. The majority of those who subscribed to private insurance were ‘over 76 years old’ at 94.7%, while non-subscribers were highest at 7.1% among ‘51 to 55 years old’. Housing type and ‘rent free’ were the most common at 91.3% and non-subscription was ‘personal monthly rent’ at 46.3%. In the case of retirement pension subscriptions, 74.4% of respondents subscribed in a national pension and mostly registered with the local subscription method at 51.9%. Regarding whether they subscribed to the pension system, 17.5% of respondents said they subscribed which was less than 82.5% who did not subscribe. 40.6% responded that they had subscribed for private insurance which is less than those 59.4% who did not subscrib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hree types of reasons for not subscribing to retirement pension,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because of lack of financial resources’ with an average of 72.8%, and an average of 13.3% responded ‘they have personal retirement income security’. This is because non-subscription to the national system increases the burden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the pension system, and the reasons for subscribing to private insurance. Gender, educational attainment, monthly incom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church financial independence had no effect. Fifth, the theological values of past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theological values of pastors ‘under 45 years old’(3.764) were lower than those of all other groups. The difference in the 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perception is that in the case of monthly income, the retirement preparation perception in the ‘less than 1.5 million won’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3 million to 4 million’ and ‘4 million won or more’ groups. The ‘church’ group percep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free rent’, and the ‘individual owner’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personal key money deposit’, ‘personal monthly rent’, and ‘rent free’. The retirement preparation perception of the ‘independent’ ‘non-independ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pension system, women’s perception was higher than men’s. Perception of the pension system of the ‘rent free’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private’ and ‘personal monthly rent’. Church financial independence means that church members run the church through offering without external support, and the church is financially independent means that the church has a certain level of financial leeway and is financially prepared for the pastor’s retirement, and the financial level seems to cope with the perception of retirement preparation. The need(81.8%) and interest(71.0%) of the pension system in the Assemblies of God of Korea among pastors are very high. In response to the survey, 353(88.7%) responded that it would be good for pastors to prepare for retirement, though it started late compared to other denominations(2004), but the expectations for the denomination’s pension system are bright. The retirement life of retired pastors who are reaching retirement age is an important concern not only for the denomination but also for individual pastors. Therefore, active pastors need to discuss the pastor’s retirement pension system from the perspective that it reduces the burden of retirement by recognizing the church’s financial support from the time of departure and at the same time helps the pastor’s financial retirement stability. The Assemblies of God of Korea is the denomination to which the world’s largest single church, Yoido Full Gospel Church(Senior Pastor Lee Young-hoon, located in Gukhoe-daero, Yeongdeungpo-gu, Seoul) belongs. I hope that the institutional parts of the policy of the retirement income system will be further supplemented in the future for the welfare of pastors who have been vulnerable compared to quantitative growth,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fter retirement for pastors and retirees affiliated with the General Assembly who have devoted their lives in the ministry to expand the kingdom of God. Keywords: Pastors, Retirement Income Security pension system, national pensio

      • 열린 신학(Open Theism)에 관한 연구 : 복음주의 신학에서의 평가

        김병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1695

        ABSTRACT A Critical Evaluation of Open Theism from The Evangelical Theology Perspective Kim Byung Kee Department of Theology Westminster Graduate School of Theology First of all, open theism presupposes libertarian freedom in the sense that free human choices and decisions are unknown even to God, and denies God's exhaustive foreknowledge. In order to theologically support this negation of God's foreknowledge, open theists claim first, voluntary self-limitation of God's sovereignty. This introduces the concept of God's openness, that the future is also open to God. Second, it is explained that this self-limitation of God is for the give-and-take relationship of love between God and humans. Third, for this purpose, it is argued that love is the essence of God and the best attribute. Fourth, since God cannot know the choices and decisions of human libertarian freedom, a risk model for divine providence is introduced. God takes risks in the sense that He allows things to happen that He did not intend. As a result, God experiences failure and setbacks. Fifth, it insists on presentism for the foreknowledge of God. So God knows the past and the present perfectly, but is ignorant of the future, which requires human libertarian freedom to choose and decide. God only predicts these futures with high possibility and probability. Sixth, they modify traditional divine attributes accordingly. For example, they assert that God's omniscience knows all that can be known (the future is not known because it does not yet exist), and that omnipotence is God's ability to cope with any situation. Finally, they claim that open theism is biblical, interpreting Bible passages such as God's regret and change of mind literally. Open theism, which has received the attention of 21st-century American theology, is one of the most fascinating trends in modern evangelicalism. But open theism leaves believers with a God who has nothing to do with our faith and life, and a God who is thoroughly misl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oint out and correct the errors of open theism based on orthodox theology and the Bible. In this respect, research on open theism has important significan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first, to prove that open theism is a theology that accepts many theories from process theology, and it deviates from historical and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because it completely denies the paradigm of traditional theology. Second, open theism argues that the Bible should be in dialogue with post-modern culture and emphasizes the need for an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at fits with modern culture, but rather maximizes human freedom and does not mention God as judge at all. It emphasizes only God the Father who experiences failure and learns through frustration through this relationship. I would like to reveal that it is a post-modern theology that fits the current trend of American society. Third, open theism limits God's sovereignty and denies God's meticulous providence. In addition, while criticizing theological determinism, it denies God's exhaustive foreknowledge and maximizes human freedom. This open theism claim is in direct conflict with the Reformed viewpoint. Reformism adheres to theocentrism, but open theism advocates an anthropocentric view. Accordingly, I would like to critique the claims of open theism on God's sovereignty and providence, predestination and foreknowledge, which are the core subjects of theology, while comparing them with the reformed viewpoint. Fourth, although the debate over whether open theology can be viewed as an evangelical theology continues, by examining the debate on the theological standpoint of open theism, open theism has become the category of Arminian theology that claims to have its own theological roots, would not be considered. In conclusion, open theism is thought of as a theology whose content is full of process theology and whose packaging is Arminian theology. Through this critique of open theism, it is expected that the value of the orthodox theology formed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after the Reformation will be further enhanced. Lastly, although open theism has many theological errors, the researcher wants to appreciate its theological motives. Because, first, it tried to connect theology with the practical aspect of faith while trying to give answers to the believers' religious life (especially the problem of prayer) and the problem of evil. And second, It g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and third, it provided a friendly God to modern people through the dynamic model of God responding to human needs. 논문개요 열린 신학은 무엇보다 먼저 인간의 자유로운 선택과 결정들은 신조차도 알 수 없다는 의미에서, 자유의지적 자유(libertarian freedom)를 전제하고 신의 완전한 예지를 부정한다. 열린 신학자들은 이러한 신의 예지의 부정을 신학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첫째, 신의 주권에 대한 자발적인 자기 제한을 주장한다. 이를 통해 미래가 신에게도 열려 있다는 신의 개방성의 개념을 도입한다. 둘째, 이러한 신의 자기 제한은 신과 인간의 호혜적인(give-and-take) 사랑의 관계성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셋째, 이를 위해 사랑이 하나님의 본질이며 최고의 속성이라고 주장한다. 넷째, 신도 인간의 자유의지적 자유의 선택과 결정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신의 섭리에 대한 모험 모델을 도입한다. 신이 의도하지 않은 것들이 일어나는 것을 허용한다는 의미에서 신은 위험을 감수한다. 따라서 신도 실패와 좌절을 경험한다. 다섯째, 신의 예지에 대해 현재주의(presentism)를 주장한다. 그래서 신은 과거와 현재를 완전하게 알지만, 인간의 자유의지적 자유의 선택과 결정이 필요한 미래에 대해서는 무지하다. 신은 단지 이러한 미래를 높은 가능성과 확률로만 예측한다. 여섯째, 이에 따라 전통적인 신의 속성들을 수정한다. 예를 들면 신의 전지성은 알려질 수 있는 모든 것을 안다는 것이며(미래는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알려질 것이 없다), 전능성은 신이 어떤 상황에도 잘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후회, 마음 바꿈 같은 성경 구절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면서 자신들의 신학이 성경적이라고 주장한다. 21세기 미국 신학계의 주목을 받은 열린 신학은 현대 복음주의에 있어서 가장 매혹적인 경향들 중 하나이다. 그러나 열린 신학은 우리의 신앙과 삶과는 아무런 상관없는 하나님, 그리고 철저히 오도된 하나님을 신자들에게 남겨놓았다. 따라서 정통적인 신론과 성경에 근거하여 열린 신학의 오류를 지적하고 바로잡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점에서 열린 신학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열린 신학은 과정 신학에서 많은 이론을 수용한 신학으로, 전통적인 신론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부정하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에서 일탈했음을 입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열린 신학은 성경이 포스트모던 문화와 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현대 문화와 맞는 성경해석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지만, 오히려 인간의 자유를 극대화하고 심판자로서의 하나님은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사랑하고 관용하며 대화하는, 이런 관계를 통해 실패를 경험하고 좌절하면서 배워나가는 아버지 하나님만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열린 신학은 현대 미국 사회의 시류에 영합한 포스트모던 신론임을 밝히고자 한다. 셋째, 열린 신학은 하나님의 주권을 제한하고 하나님의 섬세한(meticulous) 섭리를 부정하고 있다. 또한, 신학적 결정론을 비판하면서 하나님의 완전한 예지를 부인하고 인간의 자유를 최대한 신장하고 있다. 이러한 열린 신학의 주장은 개혁주의 관점과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론의 핵심 주제인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 예정과 예지에 관해서 개혁신학을 비판하는 열린 신학의 주장들을 논박하면서 비평하고자 한다. 넷째, 복음주의 신학 안에서 일어난 열린 신학에 관한 논쟁을 고찰함으로써, 열린 신학을 복음주의 신학으로 볼 수 있느냐의 논쟁은 계속되고 있지만, 열린 신학이 자신들의 신학적 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알미니안 신학의 범주로는 간주 될 수 없음을 밝히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열린 신학은 과정 신학의 수용으로 인해 내용물은 과정 신학으로 가득 차 있고, 포장은 알미니안 신학으로 되어있는 신학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연구자는 열린 신학에 관한 이러한 비평을 통해서 종교개혁 이후 개혁주의 관점에서 형성된 정통적인 신론의 가치가 더 고양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열린 신학이 많은 신학적 오류를 가지고 있음에도, 연구자는 그 신학적 동기는 높이 사고 싶다. 왜냐하면, 첫째, 신자들의 신앙생활(특히, 기도의 문제)과 악의 문제에 답변을 주고자 하면서 신학을 신앙의 실천적인 면과 연결을 시도했으며, 둘째, 범재신론의 관점이 아닌 의미에서 보면, 관계적 신론을 통해 하나님과 인간의 인격적인 관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주었고, 셋째, 인간의 요구에 응답하는 역동적인 하나님의 모델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친근한 신관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 聖書朝鮮의 主祈禱의 硏究에 나타난 김교신의 신학연구

        김훈경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1695

        본 논문은 김교신에 관한 역사신학적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그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聖書朝鮮」중에서 성경연구 관련하여 심도 있게 정리한 ‘主祈禱의 硏究’라는 내용에 관한 개혁 신학적 분석과 정리이다. 이를 통하여 김교신의 신학과 그 배경 그리고 그 내용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다루는 것이다. 기존의 김교신 관련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그의 신학에 대한 관심보다는 일본인 스승 우치무라 간조(内村鑑三)와의 연관성 곧 무교회주의와 조선적 적용이라든가 아니면 조선적 기독교로 대표되는 기독교의 조선토착화를 중심적으로 논하고 있거나 또는 민족주의 교육자로써의 교육에 관련 연구였으나 최근에서야 김교신의 신앙연구도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김교신의 활동과 삶을 볼 때 이러한 연구들이 가능하겠지만, 본 연구는 김교신의 신학과 그 내용을 연구함으로서 그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에 한 측면을 감당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내용은 김교신이 「聖書朝鮮」에서 추구한 신학은 종교개혁 전통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밝히는데, 구체적으로 루터의 신학적 고민과 틀에 기초한 개신교(Protestantism)라는 점이다. 이는 김교신 당대 일반교회에서 그와 그의 활동에 대하여 무교회주의라고 비판할 때, 이에 대해 김교신은 변론하면서 무교회주의를 정의하고 있다. 그것은 로마 가톨릭교회를 반대한 루터의 신학인 오직 성경(sola scriptura)에 따라서 교회를 바르세 세워가려는 노력과 활동인데, 이를 루터 당시에는 저항(Protest)이라고 표현된 것이다. 이처럼 일제 강점기의 상황 속에서 당시 교회가 멍들고 혼란에 있을 때 사람이나 조직에 의한 것이 아니라 성경에 따라 교회를 세워나가려는 노력으로 즉 보편교회를 강조하는 의미에서 무교회주의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는 교회가 필요 없다거나 지상의 교회가 무의미함을 강조하는 것이 아님은 그의 스승 우치무라의 신학에서도 잘 드러난다. 우치무라는 자신의 신학이 루터에게 큰 영향력을 받았다고 밝히며, 그의 교회론 역시 철저한 성경의 진리에 기초한 교회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깊은 고민과 성찰의 결과였음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김교신 스스로가 밝힌 「聖書朝鮮」의 주요목적은 성경의 본문연구와 주해(註解)였다. 즉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인 성경본문을 정확히 해석하고 이를 통해 조선인의 삶에 적용하여 조선을 살리고자 하는 노력과 열정의 산물인 것이다. 이것은 루터가 게르만민족에게 독일어 성경을 통해 민족을 깨웠던 것처럼 김교신 역시 루터의 길을 따라 조선에게 바른 번역의 성경을 주고자 노력하였다. 전체적으로 김교신은 루터처럼 철저하게 하나님 중심의 신앙과 신학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그의 신학배경을 정리하면 루터와 칼뱅, 벵겔, 고데 등으로 연결되는 개혁주의적인 복음주의 신학이 밑바탕에 깔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bout historical theology study of Kim Kyo Shin. Specifically, his「Sungsuh-Chosun」 in relation to biblical studies in depth of the “Lord''s Prayer” appeared in studies. This Kim Kyo Shin theology, background and the content will be dealt comprehensively. Most of the Kim Kyo Shin was about relationship about his teacher Uchimura Kanzō (内村鑑三) or the non-church movement. rather than his theology. In this study, the overall content is revealing what theology Kim Kyo Shin is pursuing from the「Sungsuh-Chosun」began from the Reformed tradition. In the time of Kim Kyo Shin while general church criticized Kim Kyo Shin and his activities about non-church movement, Kim Kyo Shin defence and defined the non-church movement.It is that Luther ‘s theology opposed Roman catholicism, which is efforts and activities to stand church right according to “sola scriptura” It was expressed as resistance Protest in the age of Luther.Uchimura revealed that his theology was influenced by Luther so his ecclesiology which is based on biblical truth speak his mind of essence of church through agony and self-examination.Kim Kyo Shin, by himself said that the purpose of「Sungsuh-Chosun」is interpret bible text and annotation In other words, through translating the body of bible perfectly which is the revelation of God’s word was to apply to the live of Chosun, and it was the result of effort and passion.Kim Kyo Shin work hard to give a right bible of Choson like Luther. gave german bible to the germanic race to wake them up.Therefore, if you cleaned up his theological background, Luther and Calvin, connected to the reform such as the idealistic to evangelical theology.

      • 연역법적 설교에 대한 재고 : 한국청중을 중심으로

        유헌종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51679

        설교의 목적은 하나님의 말씀을 통하여 하나님을 만나 삶의 변화에 이르게 하는 데 있다. 설교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설교자가 청중에게 전달되는 말씀을 해야 한다. 전달되지 않는-들리지 않는- 설교는 설교가 아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설교의 최종목표가 잘 전달되는 것이라면, 어떻게 해야 설교자가 청중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잘 전달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이 질문에 대해 신설교학자들은 연역법적 설교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Craddock은 연역법적 설교의 비판을 통해 귀납법적 설교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그러나 정말 연역법적 설교는 지양되어야 하며, 귀납법적 설교만 지향해야 하는가? 한국인 청중에게 귀납법적 설교가 효과적인가? 본 논문은 오히려 한국인 청중에게는 귀납법적 설교보다 연역법적 설교방식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 결론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먼저 설교의 근본적 구성요소인 설교의 각 요소들을 확인한다. 또한 설교에서 실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하나님 말씀과 설교자, 그리고 설교자의 말씀에 관한 자기이해와 신학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 이유는 설교자에 따라 하나님의 말씀이 인간의 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설교자의 자기이해의 측면에서 William H. Willimon이 제시한 ‘사제로서의 설교자’의 이미지를 설교자의 이미지로 제시한다. 왜냐하면 사제로서의 설교자는 기능적으로 사제적 행동(기능)과 목회적 행동(기능)들을 상호 연관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이다. 연역법적 설교 방식은 한국인 청중의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함께해 온 종교의 영향에서도 찾을 수 있다. 특히 무속신앙과 유교는 한국 청중의 커뮤니케이션에 많은 영향을 미친 종교로 연역법적 설교 방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연역법적 설교는 한국교회 설교 상황에 비추어 보았을 때, 설교 작성시간이 장시간 걸리고, 많은 예시를 통해 도달해야 하는 귀납법적 설교방식보다 쉽고, 실용적이며, 효과적인 설교방식이다. 물론 연역법적 설교 역시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설교는 목적이 있는 행위이다. 연구를 하면서 귀납법적 설교 방식보다 연역법적 설교 방식이 청중들에게 설교의 목적을 좀 더 명확하게 전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연역법적 설교방식에서 몇 가지 단점을 보완한다면 한국 교회 안에서 훌륭하게 그 역량을 발휘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The purpose of preaching is for the audience to meet God through His Word, which will lead them to change their lives In order to deliver a sermon effectively, the preacher must get his message across to the audience. Undeliverable, inaudible preaching is not a sermon.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If the final goal of the sermon is to communicate well, how can the preacher communicate the word of God to the audience well? In response to this question, theologians argue that they must now depart from the deductive way of preaching. Craddock, in particular, stresses the importance of inductive preaching by criticizing deductive preaching. But should deductive preaching really be avoided, with preachers only taking the inductive preaching route? Moreover, is inductive preaching effective for Korean audiences? this study, concludes that deductive preaching is more effective for Korean audiences than inductive preaching. In reaching this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first identifies each element of a sermon; which each in itself is a fundamental component of a sermon. The study also looks at self-understanding and theology of the Word of God, the preacher, and the words of the preacher, who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preaching. The reason is that depending on the preacher, the word of God can be the word of man. To this end, this study presents the image of 'the preacher as priest', which is presented by William H. Willimon; in terms of the self-understanding of the preacher. For the preacher, as a priest, performs both functionally correlated priestly action(function) and pastoral action(function). Deductive preaching can also be found in the influence of religion, an influence that has been affected by the Korean audience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that they prefer to be preached to in. In particular, Shamanism and Confucianism have both used a deductive way of preaching, both being religions that have greatly influenced the communication of the Korean audience. First and foremost, though, deductive preaching is easier, more practical, and more effective than inductive preaching, the latter style requiring lengthy sermon writing time. Furthermore, a myriad of metaphor and illustration is needed when preaching in the Korean church. Deductive preaching, of course, also has many limitations. However, preaching remains a purposeful act. The research finds that the deductive preaching method is more clearly communicated to the audience than the inductive method. Thus, the dissertation convinces that deductive preaching will continue to strive in the Korean church, as long as any sticking points can be dealt with.

      • 조나단 에드워즈의 "구속사" 설교를 통한 역사 해석 연구

        강희권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51679

        Jonathan Edwards''s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is considered an unfinished work because it was a draft of what he had planned to write as an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This book that was titled and aimed to be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was a collection of the series of his thirty consecutive sermons. After Edwards'' junior had dictated over his father''s writing later after Edwards'' passing, John Erskine, the Scottish clergyman, perfected the compilation and published it in Edinburgh. So, the book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Containing, The Outlines of a Body of Divinity” was published in 1774, fifteen years after Edwards'' death. But this book hadn''t gathered any particular attention except few followers of Edwards´ in the backdrop of the times that was generally against the Calvinism, during which the thoughts of deism, rationalism, and materialism from England and France as well as the liberalism from Germany were flowing in to America. Fortunately, Edwards in the mid-20th Century has had renaissance. Perry Miller (1905-1963) who was a professor at Harvard University started to introduce the works and theologies of Edwards at that time. In addition, Yale University press had just started making Edwards'' final edition(1957) though it was not meant to be the theological work. This effort was just for the university lectern, philosophy department and the students of US history - preindependence era. When his life and ideas were introduced and newly revalued, so was people''s interest in theological concern with his works. At around the 300th anniversary of Edwards'' birth, Korea also shed new lights on Edwards'' life and thoughts and, for example, Professor Nak-Hong Yang presented "The life and Theology of Jonathan Edwards" After this publication, ''Revival & Reformation bookstore'' has been publishing the series of Edwards'' works. Other presses too, of course, does publish the books about Edwards but this particular publishing company ''Revival & Reformation bookstore'' is very conducive to the research for Edwards by keep publishing many books in the subject of Edwards. However, the phase of the research on Edwards must be deemed still very inchoate stage. Therefore, this research on Edwards among many reformational theologians will certainly contribute to the reintroduction of his theology in fresh perspective to the Korean church communities. This research is purported to present how history should be viewed and interpreted through the study on Edwards'' "A history of the Works of Redemption" First, this paper recapitulated the general conception of history to help understand history as a subject matter, followed by the description of various types of historical viewpoint about it. When those viewpoints are arranged this paper specifically focused on as to how they are reformed as the time changes and analyzed on what would be the reason or factors that they had to be changed. Also, to help understand about the quality of the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sermon, the background of the contemporary time including the notable growth of the country as a nation as well as the specific situation of Northampton Church where Edwards served as a pastor and the peculiarities of that specific sermon are reviewed. Then the research peruses on how Edwards takes on and interprets history, which is understood and interpreted based upon the Bible. And in addition to the commentary with this respect, a positive alternative is suggested. Hence, the writer elucidates that the viewpoint on history based on the Bible is the one and only viewpoint which could be regarded as truthful Christian viewpoint on history. Furthermore, the writer extends his argument to the point on how history should be viewed and taken as one of those Christian values. On this line of argument, therefore, history itself is the providence of God who is a sovereign power of universe and also the prophetic providence to reveal himself - the God Jehovah. History, the writer clearly points out, is the event of providence that could only be constituted by God''s intention and predetermination. And this ‘history’ proceeds linearly towards the end, of which God promised. In conclusion, this thesis points out that history is neither circular procession nor evolutionary should the Christian''s historical viewpoint is strictly stipulated. Therefore it proves that the real conductor of history is not a human but one and only God. History is simply, he exclaims, the prophetic providence as a mean of revelation for the declaration of his glory. This thesis, hence, leads the believers who live in this unavoidable realm of providence of God to where one can live as a sincere Christian by holding fast on this legitimate viewpoint about history and acknowledgement of reality therein. 조나단 에드워즈의 “구속사” 설교는 미완성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에드워즈가 집필하려고 계획하였던 “구속사”의 초고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에드워즈가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라고 이름을 붙이고 집필을 계획한 “구속사”는 그가 교회에서 한 30편의 연속 설교이다. 이 설교를 그가 죽은 후 조나단 에드워즈 2세가 옮겨 썼고, 스코틀랜드의 목사인 존 어스킨이 에든버러에서 편찬하였다. 그리고 에드워즈가 죽은 뒤 15년 후인 1774년 에든버러에서 처음으로 『구속사, 완전히 새로운 방법으로 신학 체계를 개관함』이라는 책이 출간되었다. 그러나 이 책은 자연신론과 합리주의 그리고 유물론 사상이 영국과 프랑스로부터 미국으로 유입되었고, 독일로부터는 자유주의 사상이 유입되고 있던 당시의 시대적 배경 속에서 칼빈주의에 대하여는 적대적이었기 때문에 에드워즈를 추종하는 소수의 사람에게만 관심을 받았을 뿐 빛을 보지 못하였다. 다행히 20세기 중반에 에드워즈 르네상스가 일어났다. 하버드 대학교의 교수였던 페리 밀러(Perry Miller, 1905-1963)가 에드워즈의 작품과 신학을 소개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예일 대학 출판부는 1957년부터 에드워즈의 결정판을 내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활동이 신학적인 것에 목적을 둔 것은 아니었다. 예일 대학의 강단과 대학 철학과 그리고 미국 독립 前 역사를 연구하는 美國史 학도들을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생애와 사상이 소개되고 새롭게 평가되면서 그의 작품에 대한 신학적 관심도 늘어났다. 한국에서도 2003년에 조나단 에드워즈 탄생 300주년을 맞이해서 양낙흥이 『체험과 부흥의 신학자 조나단 에드워즈의 생애와 사상』을 출판하였다. 그리고 그 뒤를 이어서 에드워즈 시리즈가 출간되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도 에드워즈에 관한 연구는 시작 단계라고 보아야 한다. 그러므로 자유주의 신학이 범람하고 있는 이때 에드워즈에 관한 연구는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조나단 에드워즈의 “구속사” 설교 연구를 통하여 역사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석해야 할 것인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먼저 역사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역사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정리한다. 그리고 사관의 여러 유형에 관하여 정리한다. 사관의 유형을 정리할 때에, 시대에 따라 사관이 어떻게 변모해왔는지 살펴봄과 동시에 사관을 달리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또한 “구속사” 설교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게 하고자 “구속사” 설교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미국의 상황 그리고 에드워즈가 시무했던 노샘프턴(Northampton) 교회의 상황에 대하여 살펴봄과 동시에 “구속사” 설교의 특징에 대하여 대략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고 난 후에 성경을 근거로 역사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에드워즈가 역사를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에 대한 평가와 함께 조심스럽게 발전적인 제안을 할 것이다.

      • 칼빈의 욥기 주해와 설교에 관한 연구

        조윤제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칼빈의 설교 방법론을 살펴보고 그의 욥기 설교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 설교의 목적을 하나님의 목적에 일치시키기 위한 균형감각을 갖는 데 도움을 얻고, 설교의 영광을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설교의 영광을 회복하기 위하여 먼저 우리는 우리 자신의 설교를 돌아보아야만 한다. 그렇다고 하면 우리가 자신의 설교를 돌아볼 때 기준으로 삼을 것이 있어야만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의 앞에 칼빈 같은 설교자가 있었다는 것이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칼빈의 설교를 통해 우리는 우리가 어디로 치우쳐 있는지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는 신학자로서의 칼빈을 먼저 생각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인지 칼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 왔지만 대부분 기독교강요를 중심으로 한 그의 신학사상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온 경향이 없지 않다. 그러나 빌헬름 노이저 교수의 지적대로 우리는 기독교 강요만을 가지고 칼빈의 모든 것을 말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할 것이다. 칼빈에게 있어서 설교는 기독교강요 이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그의 설교에 대한 관심은 그 중요성에 비추어 매우 일천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칼빈의 다른 모습에 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것은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지금까지 칼빈의 성경 해석에 관한 관심이 더 해가면서 해석학적 입장에서 칼빈을 연구하는 시도가 있어 왔고, 특히 파커의 ‘칼빈과 설교’는 이러한 연구의 한 결실이라고 보인다. 앞으로 칼빈을 신학자로서가 아니라 설교자로서 바라보는 연구가 많이 진행될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도 그러한 시도의 일환이라고 하겠다. 칼빈은 설교학에 관한 책을 저술한 일이 없으나 가장 위대한 설교자요, 설교학자라고 해도 지나친 표현이 아닐 것이다. 그의 설교를 한마디로 정의 할 수는 없지만 그의 설교는 ‘성경을 중심으로 당시의 청중들에게 하나님의 뜻을 드러내고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 앞에서 살도록 결단하게 한 강해설교’라고 표현해도 좋을 것이다. 칼빈은 성경만이 하나님의 계시를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길임을 확신하였던 것이며, 설교를 통해서 그것을 청중들에게 전하고, 설교를 들은 청중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게 하려는 높은 뜻을 가진 설교자였다. 그는 성경 본문에 충실한 설교자였다. 그래서 그는 힘을 다해 ‘성경 전부(Scriptura tota)’를 설교하려고 했으며, ‘성경만을(Scriptura sola)’ 설교하고자 했던 것이다. 칼빈은 하나님의 뜻을 전달함에 있어서 죽어 있는 사자처럼 무력한 자가 아니었다. 그는 원어에 대한 통찰을 가지고 쉴 새 없이 구약과 신약을 넘나들었으며, 직유와 은유, 그리고 수사적인 질문 등을 통하여 살아 있는 생생한 언어로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려고 애썼다. 그러면서도 그는 성경을 벗어나 다른 데로 한없이 달려가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그는 언제나 그리스도 중심의 복음적 내용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었던 것이다. 욥기를 설교함에 있어서도 칼빈은 이러한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그는 욥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한마디 한마디를 깊이 들여다보면서도 성경 전체의 교훈이라는 중심을 흐트러뜨리지 않았을 뿐 아니라 그리스도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으려고 했던 것이다. 특별히 고난의 의미에 관하여 분명한 이해를 위하여 ‘징벌’이란 단어와 ‘징계’란 단어를 대비시킨 점은 의미심장한 것이 아닐 수 없다. 특별히 지금처럼 어려운 시대에 고난의 의미를 밝혀 줄 칼빈의 욥기 설교를 연구하는 것은 뜻있는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칼빈의 욥기 주해와 설교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필자는 설교자와 설교에 대하여 다시 한번 점검해 보는 기회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욥기를 통해 우리 앞에 다가오는 삶의 정황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이해해야 할 것인지 새롭게 짚어보는 기회를 가졌다. 다만 우리가 이 시대에 욥기를 설교함에 있어서 현대 신앙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고 하겠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looks into sermon methodology of Calvin, and to analyze his sermon from Job. So gets help in order to have a balance sense it is done, and to conform a purpose of our sermon to a purpose of God through the sermon of Calvin, and it is so to be going to recover glory of the sermon. We must look back at our own sermon first in order to recover glory of the sermon. It must be to consider a basis when we look back on own sermon if we say that we are so. It can be very fortunate work that there was a preacher as Calvin in that kind of point at our front. The reason is because we can find where we are giving way to through the sermon of Calvin. In the meantime, it is true to have thought about Calvin as a theologian to infuse first. There has been a lot of study about Calvin throughout being so, but trend achieved his theology thoughts to have mostly did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to the center with the object is. However, We must admit that we were not able to speak all thing of Calvin only with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as indication of a Billhelm Neuser professor. A sermon had holden more important position tha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to Calvin. Nonetheless an interest about his sermon reflects itself in the importance, and being a few interest is very true. It can be very fortunate work that we listens to that kind of point recently, and an interest about other figure of Calvin is becoming large. Until now, it is a fortunate an interest about biblical interpretation of Calvin were added more, a try to study Calvin in analysis position, and it is looked the fruits that this study especially did the `Calvin and the sermon' of Parker. Prospective with what is proceeded very much and will do this study a part of that kind of try in the future. Calvin does not have the work that wrote a book about Theoly of Sermon, but he is one person among the greatest preachers and sermon scholars. Definition cannot do his sermon in a word, but his sermon is indicate a meaning of God and let take decide to live at the existence of God to the audiences in those days. The Calvin was convinced of the street where only the Bible can know a revelation of God clearly and introduced it into the audiences through a sermon, and it was the preacher who had a meaning to be high in order to let did a sermon with the audiences and live according to a meaning of God. He was the preacher who was faithful to the Bible text. Therefore, exhaust force, and he was going to preach `Bible whole (Scriptura tota)', and 'Bible only (Scriptura sola)'. The Calvin was not the ruler which was powerless like a lion dying in communicating a meaning of God. He had insight about the original word and was between an old promise and the New Testament continuously and exerted in order to deliver a meaning of God by a fresh language to be effective through questions to have let there be a simile and metaphor. Though is so, he endeavored not to make a mistake to gets out of the Bible, and run to other way endlessly. He is not to have been getting out of gospel contents centered in Christ all the time. The Calvin did not get out of these principles in preaching Job either. Though he looked deeply into a word and a word of the persons who appeared in Job, dosed not get out of the center of the all teachings in Bible, and the center of Christ. It can be significant thing to have let you contrast 'a disciplinary action' and `a disciplinary punishment' for clear understanding about extra thorny meaning. Specialy, It may be work studying Job sermon of Calvin bringing thorny meaning to light for the hard times as now in particular. Through the study on the Calvin's Exegesis and Sermons from Job I had an opportunity that tries to check on a preacher and a sermon once again and a opportunity to understand that problem of the life through Job. A problem will remains to apply to the life of modern faith in merely our preaching Job for these times.

      • 욥의 고난에 대한 신학적 이해

        김교만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논문은 욥이란 인물을 통해 하나님께서 자신의 모습을 어떠한 섭리로서 우리에게 보여 주시는지 그 분의 심오한 말씀을 통한 이해와 가르침의 내용에 관한 연구이다. 욥기에 나타난 욥의 고난은 죄의 결과로 인한 인과응보적인 고난이 아닌 천상회의에 의한 욥의 경건성의 시험에서 온 고난이다. 따라서 욥의 고난은 지혜 전통의 가장 지배적인 인과응보적 고난관을 부인한다. 또한 욥기는 인간이 고통의 한 가운데서 어떻게 하나님을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해 답변을 제시하는 책이다. 이 논문은 제 1 장 서론, 제 2 장 성경에 나타난 고난, 제 3 장 욥기에 나타난 고난, 제 4장 고난에 대한 신학적 이해, 제 5장 결론의 순서로 전개 되었다. 논문의 간략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난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알리고자 하는 것은 욥을 통하여 인간 속에 있는 종교적, 신학적인 사고와 그 주위의 친구들의 비판을 가지고 어떻게 욥이 하나님의 섭리를 받아들여서 인생의 문제를 해결하는가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욥기서는 전통적인 인과응보의 고난관을 훨씬 뛰어넘는 심오한 사상을 전개한다. 바로 대속적 고난관을 통하여 하나님을 만나고 고난 속에서 하나님을 보게 된다. 욥은 자신의 문제를 지혜로 해결하지는 못했지만, 하나님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주시는 분이라는 확신을 얻게 된다. 하나님을 만남으로서 욥의 영혼은 하나님의 전능하심과 무한한 자유로움을 맛보게 된다. 우리는 욥을 통하여 하나님은 천지를 주관하시고 지금도 역사하시는 것을 배운다. 우리에게 고난이 닥칠 때 우리는 왜라는 질문보다는 그분을 믿고 그분의 섭리에 완전히 맡기는 믿음이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고난 뒤에서 하나님은 사랑과 은혜로 역사하시고, 고난의 비밀을 통하여 인간에게 오셔서 고난 속에 감추어진 하나님을 이해하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This thesis represents the study of the understanding and teaching of God through His profound words, which were revealed to us by His Providence through a biblical figure Job. Job's suffering written in the Book of Job is not the result of his sins in the form of retributive justice, but the result of heavenly meeting at which the test of Job's devotion was decided. Therefore, the suffering of Job does not belong to the view of retributive justice which is dominant in the wisdom tradition. Also Book of Job gives the answer for the men's question regarding how one can explain God in the middle of suffering. This thesis consists of chapters :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sufferings in the Bible, chapter 3, sufferings in the Book of Job , chapter 4,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suffering, and chapter 5, conclusion. Summary of the thesis is as follows. First, through suffering, God lets us know how Job accepts God's Providence and solve his human problems, which is based on the religious and theological thinking and critics of his friend. The Book of Job shows a view of suffering which goes beyond the traditional view of retributive justice. Job meets God through the view of suffering as the Atonement, and Job understands God's message in the suffering. Job was not able to solve his problems with human wisdom but became convinced that only God could lead him to the solutions of those problems. By seeing God, Job's soul have the taste of God's Omnipotence and unlimited freedom. Through Job's story we learn that God manages universe and does constructive works even now. When we face suffering we should have faith of entrusting everything to God's Providence instead of asking "Why?" Therefore, it is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that God works with love and grace once the suffering passes, and that we must understand the works of God hidden in the human suffering, which approaches us as the secrets of the suffe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