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안동호의 생물학적 수질평가 및 군집안정성 분석

        조명호 안동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안동호 일대의 퇴적물 및 하상구조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통한 생물학적수질평가를 수행하고자 2017년 7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실시되었다. 조사지점은 안동호 7개 지점(L1, L2, L3, L4, L5, L6, L7), 유입하천 5개 지점(S1, S2, S3, S4, S5), 하류하천 2개 지점(A1, A2)으로 총 14개 지점에 대해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안동호 지점에서 총 3문 5강 10목 25과 39종, 유입하천 지점 4문 6강 15목 49과 90종, 하류하천 지점 4문 7강 14목 37과 45종이 출현하였다. 2. 안동호 지점은 수심이 깊고 유속이 거의 없으며, 퇴적물 유입으로 인한 Silt/Sand의 비율이 높은 하상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입하천에서 안동호를 거쳐 하류하천으로 가면서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미소서식처가 감소하고 하상구조가 단순화되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입하천에서 유수역을 선호하며 수환경 변화에 민감한 하루살이목과 날도래목의 종수 및 개체수 점유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안동호와 하류하천으로 가면서 느린 유속과 정수역을 선호하는 잠자리목, 딱정벌레목, 노린재목, 파리목의 종수 및 개체수 점유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평균 우점도지수(DI)는 안동호 지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류하천, 유입하천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다양도 및 풍부도 지수는 안동호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5. 섭식기능군(FFGs) 분석결과, 유입하천에서 안동호와 하류하천으로 가면서 주워먹는 무리(Gathering-collector; GC)와 잡아먹는 무리(Predator; P)는 증가하고, 긁어먹는 무리(Scraper; SC)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6. 서식기능군(FHGs) 분석결과, 유입하천에서 안동호와 하류하천으로 가면서 굴파는 무리(Burrower; BU)와 기어오르는 무리(Climber; CB)는 증가하고, 붙는 무리(Clinger; CL)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7. 군집안정성 분석결과, 안동호와 하류하천에서 저항력과 회복력이 낮은 Ⅱ, Ⅲ, Ⅳ그룹에 속하는 종들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 저항력과 회복력이 높은 Ⅰ그룹에 속하는 종들이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다. 8. 생물학적 수질평가 결과, BMI지수는 유입하천에서 안동호 및 하류하천으로 가면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BMI지수 비교분석 결과, 비교대상 호소는 평균 BMI지수는 안동호와 비슷하거나 낮은 지수의 범위를 나타냈다. 10. 유사도 분석결과, 안동호 및 하류하천(Ⅰ그룹)과 유입하천(Ⅱ그룹), 총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안동호가 하류하천의 환경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안동식혜의 전승 양상과 상품화 과정

        권나현 안동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ansmission aspects of Andong Sikhye (sweet rice drink), various changes occurring in its commercialization process,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 of Andong Sikhye, and its cultural meaning. The data on traditional Andong Sikhye was collected through a field survey of two natural villages of Maegok 2-ri, Pungsan-eup, Andong-si, Gyeongsangbuk-do. The data on the changing aspects of Andong Sikhye after commercialization was collected by surveying Andong Sikhye stores in downtown Andong and its surrounding regions. Andong Sikhye originated from Andong area during the pre-modern period and spread in Andong and its surrounding regions. Traditional Andong Sikhye was made by fermenting water infused with red pepper powder, malt, shredded radish, and cooked rice. It was a spicy and cold red-colored snack as well as dessert. Before refrigerators became available to the masses, the traditional consumption pattern of Andong Sikhye was to eat it as a snack or dessert in winter. Especially from the Lunar New Year’s Day to the first full-moon day, Andong Sikhye was made and enjoyed from house to house, and people also served Andong Sikhye to their guests. In the early 2000s, Andong Sikhye began to be commercialized in earnest. Compared to Andong Soju, Andong-style Bibimbap, Andong JJimdak, and Andong Salted Mackerel, the commercialization of Andong Sikhye began late. Compared to these types of food, Andong Sikhye is particularly unique, so it was difficult to achieve its commercialization aimed at the public. Along with the activation of tourism, Andong Sikhye became known gradually to the public as a local dish of Andong area. The commercialized Andong Sikhye changed quite differently from the traditional version in terms of taste and form. The phenomenon in which people consider Andong Sikhye a drink occurred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Andong Sikhye. This caused different perceptions of Andong Sikhye between the local people of Andong and outsiders. In the form of Andong Sikhye after commercialization, the amount of water increased, the color of red pepper powder was emphasized, and the radish was diced to make it easier to eat with a spoon. During this process, a perception that Andong Sikhye is a drinkable snack formed, and as Andong Sikhye was commercialized in earnest after the 2000s, it was naturally regarded as a type of traditional drink. Due to this, Andong Sikhye’s attributes as a drinkable dessert rather than a snack became stronger, and accordingly, the form changed to have more water than solid ingredients. Due to an unfavorable perception of red pepper powder, the character of Andong Sikhye was unstable for a long time. But as Andong Sikhye began to become known as a local dish of Andong area after it was commercialized, tourists started to perceive it as a noble dish or a luxury dish. The local people of Andong came to think Andong Sikhye is an important local dish after knowing that Andong Sikhye is a dish representing Andong and it is beneficial to health from experience. As a result, changes in Andong Sikhye stand out in the industrial society, and especially by commercialization, Andong Sikhye shows aspects such as standardization of taste, change in the radish cutting style, settlement as a drink with a lot of water, and increased intensity of red color according to the public taste. Also,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consumption pattern that is focused on winter holidays, Andong Sikhye is being settled as a drinkable dessert that can be enjoyed regardless of the season. Although the traditional consumption method and meaning of Andong Sikhye is disappearing, the commercialized Andong Sikhye is decontextualized in the industrial society. Its taste and form are standardized, but Andong Sikhye is changing into a drinkable dessert made and consumed regardless of the season in wider areas. Regarded as a meaningful traditional dish by both local people and tourists, Andong Sikhye’s consumption is being revitalized.

      • 鄕土地緣産業 育成 方案에 관한 硏究 : 民俗酒 安東燒酎를 중심으로

        김연박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I. Introduction These days, the prevalence of new liberalism, globalization, and the information phenomenon across the world have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gap not only between the nations but between the central region of Seoul and its neighboring and other local regions in Korea. Measures to narrow down and get rid of the gap can be drawn from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s and the promotion of region-related industrie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realities of region-related industries and focuses on the Minsokju Andong Soju (Folk Liquor Andong Soju), and prepared some plans to promote this industries related to the region. The Minsokju Andong Soju which still employs the original distilling method handed down from the period of the Silla Dynasty, has taken its place as a representative industry related to the Andong area since it first launched products on the first of September, 1990. It is still in business as of November 2008. II. Theoretical Background and Frame of Analysis Region-related industries form industrial clusters characterized by the region, and are defined as small and medium size enterprises producing consumer products utilizing the regional resources such as the raw materials, capital, labor and technology for that region.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region-related industries, it is necessary for the nation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and to play a positive role in doing so. Region-related industries have an effect on the economy, finance and social culture of that region. They are regarded as the special products and treasures of the region. Finding measures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focusing on the Minsokju Andong Soju, a representative industry related to Andong. Region-related industries are expect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solving the problems of the region's falling behind and an increasing gap between regions, and in unifying the nation and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o understand these roles of the industries, the attitudes of people in general toward the Minsokju Andong Soju, and the roles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national government in promoting region-related industries have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items analyzing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Minsokju Andong Soju are as follows: (ⅰ) the degree of their understanding the product, (ii) their experience of the product (iii) ways to raise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market it. The items analyzing the policies of the local government are (i) the fun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ii) the system for regional cooperation and (iii) organizations connected to region-related industries. The items analyzing the policies of the national government are (i)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ii) comprehensive plans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iii) other ways to support region-related industries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III. Analysis of the Realities of Region-Related Industries: Focusing on the Minsokju Andong Soju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Minsokju Andong Soju. The subjects of the study's questionnaires were 870 adult male and female, aged residents in Andong city, aged Daegu, Gyeongbuk area, Seoul and other regions 20 or more. They were sampled at random.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nd collected by mail or by visiting the subjects in person for 53 days between July 4, 2008 and August 25, 2008.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 14.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It was processed using frequency analysis to produc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The data was processed using a Chi-Square test in order to investigate, by age and by plac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Minsokju Andong Soju, the difference of the product from other products of Andong soju,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and drinking the product, the product price, raising the product quality, and ways to market the product,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ata was proved. As for the degree of understanding the product, the Minsokju Andong Soju has taken its place as a pronoun representative of soju (a Korean liquor) and food because the product of the Minsokju Andong Soju is a reputable hard drink, it i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it is distilled by Cho Ok-hwa herself who is a master of Korean traditional food. However, young people have a poor understanding and are ill informed of the kinds of liquors and can't distinguish the product of the Minsokju Andong Soju from soju made by other companies in Andong. With reference to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and drinking the product, they purchase the product to give as a present for others rather than for drinking it themselves, which is the most prominent feature. The product is recognized as a strong spirit with a high level of alcohol, but the younger they are, the less experience of drinking the product buyers hav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reate consumers. Speaking of raising the product quality and ways to market the product, the response that drinking the product causes little hangover is prevalent. The product is recognized as an expensive and high quality liquor. IV. Plans to Support and Fostering Region-Related Industries Plans to foster region-related industries are as follows: an exact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product, supports for the quality product,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nd increasing the support of the national government. To improve the product quality,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oduct. Through advertisement of the product, young people need to be better informed of the product, and marketing strategies are needed to raise the value of the brand of the Minsokju Andong Soju. In particular, as people can't distinguish genuine the Minsokju Andong Soju from other kinds of soju made in Andong, measures to differentiate the product are needed: application for a patent, strengthening product advertisement, making the product the Minsokju Andong Soju brand, and improvements in the design of the product need to be implemen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and drinking the product, motivation to buy the product is regarded as a measure to vitalize the product marketing. Purchase by age, and the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drinking the product show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to secure future consumers. With respect to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its marketing, people need to be informed that the Minsokju Andong Soju is a distilled liquor of high quality, and that the liquor tax accounts for 72% of the price of the product. Marketing strategies need to be developed linking the Minsokju Andong Soju. In order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There are several ways to do so: investigating the region,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plan, building up a system for regional cooperation, and organizing and operating a region-related industry promotion center. Promoting region-related industries needs stronger support from the national government, for which the following are suggeste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for fostering region-related industries should be improved. A department fully responsible for region-specializing industries should be established. There should be supports for developing technology,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a job training center, and for creating markets for the product. V.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raise the product quality and to form marketing strategies but also for the local government to make plans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and to set up a department fully responsible for promoting such industries. In addition, the national government has to strongly support the promotion of region-related industries by laying down laws to encourage them.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to better understand the realities of region-related industries and to aid in the preparation of preparing measures to promote them. 오늘날 세계는 신자유주의의 만연, 세계화.정보화 현상으로 국가 간, 중앙과 지방의 격차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은 지역의 균형발전과 향토지연산업의 육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향토지연산업의 실태를 민속주 안동소주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육성방안을 마련하였다. 신라시대부터 전승되어 온 민속주 안동소주는 안동의 대표적인 향토지연산업으로서 위치를 지니고 있으며, 1990년 9월 1일에 출시되어 2008년 11월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다. 향토지연산업은 지역적인 기업집단을 형성하고 당해 지역을 특징짓는 산업으로서 그 지역의 자원(원료, 자본, 노동력, 기술 등)을 활용하여 소비재 상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으로 정의를 내렸다. 향토지연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향토지연산업을 육성시키려는 의지와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 지역의 특산물과 고유한 관련성이 있는 향토지연산업은 경제적·재정적·사회문화적 효과가 있는 중요한 산업이다. 향토지연산업의 육성방안의 모색은 안동의 대표적 향토지연산업인 민속주 안동소주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역의 낙후성, 지역 간의 격차를 해소하고 국민통합과 국가경쟁력의 강화 측면에서 향토지연산업은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민속주 안동소주에 대한 태도분석, 지방정부의 정책 분석, 중앙정부의 정책 분석이다. 민속주 안동소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기 위한 요소로, (ⅰ) 제품에 대한 이해도 (ⅱ) 제품에 대한 경험 (ⅲ) 제품에 대한 품질 제고 및 마케팅 방안이다. 지방정부의 정책분석 요소로 (ⅰ) 지방정부의 기능 (ⅱ) 지역협력체계 (ⅲ) 향토지연산업 관련기구이다. 중앙정부의 정책분석 요소로 (ⅰ) 법.제도 (ⅱ) 종합계획 (ⅲ) 기타지원방안이다. 민속주 안동소주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자는 안동시, 대구·경북지역, 서울, 기타지역 등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남녀 870명을 무작위 표본 추출방식을 사용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기간은 2008년 7월 4일부터 8월 25일까지 53일간 직접 방문 또는 우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으며,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 분석을 했다. 또한 소재지별, 연령별 민속주 안동소주의 제품에 대한 이해도, 타 제품과의 차이점, 제품에 대한 구매 및 사용경험, 제품의 가격, 제품의 품질 제고 및 마케팅 방안을 조사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카이제곱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제품에 대한 이해도의 경우 민속주 안동소주가 명실상부한 유명한 술이라는 점, 고급전통주라는 점, 경북 무형문화재·전통식품명인 조옥화씨가 만드는 안동소주라는 점 등이 소주와 음식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젊은층의 경우 주종에 대한 이해와 홍보가 부족하고 민속주 안동소주와 타 안동소주와의 구별에 있어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제품에 대한 구매 및 사용경험의 경우, 실제 음용(먹고 마심)이 낮고 선물용 구매가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도수가 높은 독한 술이라는 인식이 자리매김하였으나 젊은층일수록 마셔본 경험이 없어 고객 창출에 곤란을 야기하고 있다. 제품의 품질 제고 및 마케팅 방안의 경우 음주 후 뒤 끝이 깨끗하다는 반응이 나타나고 고급술인 비싼 술로 인식되고 있다. 향토지연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품질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지원, 지방정부의 기능 합리화, 중앙정부의 지원강화이다. 품질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제품에 대한 이해도 증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젊은 층에 대한 홍보강화와 브랜드 가치의 향상을 위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 특히 타 제품과의 인지도에서 혼란을 겪고 있으므로 특허의 출원, 홍보강화, 브랜드화, 디자인의 개선 등 차별화에 대한 대책마련과 홍보강화가 필요하다. 제품사용에 대한 경험의 측면에서 육성방안은 구매 동기의 부여가 필요하다. 연령에 따른 구매, 사용경험의 차이 때문에 미래의 고객 확보를 위한 새로운 상품개발이 필요하다. 제품에 대한 품질 및 마케팅의 측면에서 육성방안은 민속주 안동소주가 고급술 증류식소주며 주세가 72%라는 제품에 대한 이해를 위한 홍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향토음식과 연계해 개발하는 마케팅 전략도 필요하다. 향토지연산업의 육성을 위해 지방정부의 기능을 합리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향토지연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조사와 종합계획의 수립, 지역협력체제구축, 향토지연산업 육성센터 설치·운영이다. 향토지연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중앙정부의 지원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향토지연산업육성법 등의 법·제도 개선, 지역특화산업 전담부서 설치, 직업훈련소 운영 등 기술개발 지원, 판로 개척 지원 등이다. 향토지연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대한 품질 제고와 마케팅 전략의 수립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에서 향토지연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계획과 기관의 설치가 필요하며 중앙정부에서는 향토지연산업 육성법의 제정을 통해 이를 적극 지원함으로써 지역의 균형발전과 지역 간의 격차해소에 행정력을 집중하여야 한다. 앞으로 각 지역별로 향토지연산업에 대한 현황파악과 육성방안마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안동 태사묘 소장 유물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송진호 안동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안동 태사묘에 소장 유물을 활용하여 안동의 상징성을 나타낼 수 있는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문화상품의 특징은 그 시장의 가치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문화상품이 경험재의 속성을 지니고 있어서 소비자의 완전한 소비가 끝냈을 시점에서 그것의 가치가 인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은 문화상품 소비시장의 예측이 어렵고, 그 만큼 성공할 가능성이 적다.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문화상품을 위한 선진화 노력과 전략적 노력이 필요하다. 선진 문화상품에 대한 벤치마킹과 포장 디자인과 상품의 품질 수준의 향상이 필요하다. 지역의 정체성과 역사의 의미를 담은 문화가 지니고 있는 힘은 일률적인 공산품과 같은 상품에 비하여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지역의 문화 자원을 활용한 문화상품은 그 지역만의 차별성을 대표할 수 있고 소비자가 가질 수 있는 만족도가 높기에 경쟁력 또한 높다고 하겠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안동의 문화자원은 타 지역에 비해 다양하고 방대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통 문화는 방대하나 지역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지역의 특징적 문화상품의 개발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태사묘에 소장 유물인 태사 유물 2종, 공민왕 하사품 12종, 추가 유물 7종을 대상으로 고문헌과 논문 및 보고서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안동의 상징성을 나타 낼 수 있는 문화상품으로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고려시대의 유물인 태사 여지금대, 공민왕의 하사 유물인 자수 화문 소능, 초록단, 모란금대, 교지를 문화상품 개발의 모티브로 사용하였다. 선행 연구와 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 트랜드에 맞는 패션ㆍ잡화, 생활소품, 문구ㆍ사무용품으로 문화상품 개발의 아이템으로 선정하였다. 태사묘 소장 유물에서 추출한 단위문양을 활용하여 아동용 T셔츠, 드레스 셔츠, 파우치, 넥타이, 선물상자, 문구류(다이어리, 노트, 마스킹 테이프) 상품을 안동의 문화상품으로 개발하였다. 그동안 안동은 지역의 많은 문화 자원과 유ㆍ무형의 자산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전통과 역사는 보존하고 간직하여야 한다는 생각에서 활용하고 현대적 감각에 맞는 문화로 거듭 발전해 나가야 한다. 지역 정체성과 이미지를 반영한 문화상품으로 타 지역과 차별화되고 지역성의 의미가 부각된 상품들이 많이 출시되어 지역의 문화상품 관련사업이 활성화 되고 문화상품 시장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안동시는 안동의 우수한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상품의 개발과 동시에 전시와 판매를 위한 전문 상품점을 준비함과 동시에 온라인 전문 상품점의 개설도 필요하다. 지역문화에 관심을 갖고 활동하는 개별 활동가의 문화상품들이 더욱 많이 세상에 나타나기를 기대하며, 문화상품의 개발을 통해 안동 문화산업의 발전으로 지역 경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하지 못한 태사묘 소장 유물을 더욱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다양한 문화상품들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cultural goods that can work as symbols of Andong by using the relics found in Taesamyo Tomb in Andong. Traditional and cultural resources of Andong are more diverse than any other areas. Although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re extensive, in reality, there is a lack of development of local and specific cultural goods. In comparison with uniform industrial products, the power of culture containing a local identity and history has unlimited potentials. Cultural goods using local culture can represent the distinctiveness of the area and the competitiveness will be high as satisfaction levels of consumers are high.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author studied antique documents, papers and reports about two relics found and kept in Taesamyo Tomb, 12 royal gifts from King Gongmin and seven additional relics. For this study, the author chose six relics as motives that could represent Andong, including Taesa Yeoji Golden Bands, Soneung the embroidered flower patterns offered by King Gongmin, Chorokdan, Moran Golden Band and royal edict. By referring to other previous studies, the author selected the items for development of cultural goods, including fashion and miscellaneous goods that fit consumers' purchase trend related to cultural goods, daily consumables, stationery and office supplies. Also, by using the patterns excavated as relics in Taesamyo Tomb, products like children's T-shirts, adult T-shirts, dress shirts, pouches, neckties, gift boxes and stationery (diary, notebook, masking tape) were developed as cultural goods of Andong. It is anticipated that cultural goods reflecting the local identity and images will be produced even more, facilitating related local projects pertaining to local cultural goods and extending the cultural goods markets. At the same time, it is expected that establishing online shops as well as gift shops for exhibition and sales will contribute to local economy of Andong.

      •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의 문화실천적 의의와 과제

        김민기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안동에서 시작된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실천적 의의와 과제를 살펴본 것이다.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의 주체와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매달 이루어지는 ‘안동문화지킴이’의 정기활동을 참여관찰하고 정기간행물인 『사람과 문화』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의 문화실천적 의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안동문화지킴이’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 책임의식이 재발견한 것이다.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지역민이 문화유산 보호의식을 가지고 참여하는 집단적 문화실천이기 때문이다. 이 활동에 참여하는 지역민은 안동문화유산의 보호에 대한 책임의식을 가진다. 이들은 이런 의식을 가지고 더 많은 지역민이 문화유산 보호 책임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 책임의식을 재발견 하도록 하는 것은 지역민이 지역정체성의 유지에 참여하도록 하고, 지역민이 국가나 소유자와는 다른 목조건축물 보호주체가 되며, 안동사회에 문화유산 보호와 활용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둘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목조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보호와 관리 운동으로 평가된다. 활동주체가 지역민이므로 국가주도의 문화유산 보호보다 지속 가능성이 크다. 이 활동은 지역민의 자원봉사로 이루어지며 지속 가능한 보호와 관리를 지향하고 있고, 이를 위해 제도적 지원을 받고 있다. 셋째, ‘안동문화지킴이’ 활동은 문화유산의 공공적 가치 찾기와 활용 기반을 만드는 것이다. 이들은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교육하기 위해서 활동 대상을 선택하면서 문화유산이 가진 공공적 가치가 무엇인지 고민한다. 그리고 문화유산을 직접 보호·관리하고 지역민에게 교육해서, 문화유산의 공공적 가치를 알리고 그에 맞게 사용되도록 한다. 또한 정기간행물인 󰡔사람과 문화󰡕에 문화유산의 공공적 가치를 설명하고 있다. 다음으로 ‘안동문화지킴이’ 활동의 어려움과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활동 후속 세대 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은 지역민에 의한 문화유산 보호활동이 지속되기 위해서 후속 세대 양성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여, 청소년과 청년층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노력에도 청년층의 활동 참여는 그 연속성을 장담하기 어렵다. ‘안동문화지킴이’는 이런 과제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비교적 젊은 지역민을 실무진으로 초빙하거나 안동대학교에 문화유산 보호동아리를 결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둘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표방하는 목적과 실제 활동 사이에 거리감이 있다. 이들의 활동은 주목적과 실제 활동내용이 좀 다르고, 대표 활동인 ‘한 가족 한 문화재 지킴이’ 활동의 대외적 위상과 실제 활동도 좀 다르고, 정기간행물인 『사람과 문화』에서 다루어지는 내용과 실제 활동내용이 좀 다르게 나타난다. 셋째, ‘안동문화지킴이’ 활동은 문화유산 보호활동을 위한 문화운동으로서 일정한 한계를 드러낸다. 그것은 엘리트 중심의 활동이라는 점, 국가의 지원을 받으며 제도권에 포섭되는 점, 다량의 문화유산을 소유하고 있는 안동의 주요 문중구성원들이 활동에 거의 동참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안동문화지킴이’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 방문한국어교육 효율성 제안 방안 연구 :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박기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was focused on proposing some suggestion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 study population was 72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were previously or currently involved in the Korean language program provided by the Andong Cit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By interviewing the women, this study analyzed the following three main issues: what were the populational statistical feature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what kinds of basic variables were there for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nd how much were related to the recognitio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with the Korean educational need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Andong. This study set consisted of 9 assumptions in order to state the relationship of how much the main variables gathered through the data produced an effect on those women's Korean educational needs. SPSS 20.0 was used to perform multipl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data includ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analyzing the data statistically, among the 9 assumptions, three of the assumptions such as the age variable in assumption 1(F=0.694, P-value=0.503), the educational level variable in assumption 2(F=1.194, P-value=0.322), and the job experience in their own country variable in assumption 3(T=-0.917, P-value=0.362)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while, the visiting tutor variable in assumption 4(r 0.311, P-value 0.009), the support of family variable in assumption 5(r=0.311, P-value 0.009), the possession of internet at home variable in assumption 6(T/F=-4.484, P-value ,0.001), the possession of a driver's licence variable(T/F=-2.161, P-value= 0.035) and the convenience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variable(T/F=2.832, P-value=0.031) in assumption 7, the support of outsiders variable in assumption 8(r-0.286, P-value=0.016), and the participation of programs variable(r=-.336, P-value=0.004) along with the satisfaction of programs variable(r=0.321, P-value=0.007) in assumption 9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examining the research on the And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actual conditions and on the base of assumption verifications, there are some suggestions to develop the efficiency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City area. Firs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should offer not only the basic daily lifestyle conversation in order to adjust easily to the early stages of transition, but also high level Korean education such as writing and composition in order to help them find a job later in Korea. Second, practical and economical rewards to Korean tutors must be secured by the government or related local self-governing bodies. The teacher variable was proved to be very strong and had powerful effects on female marriage immigrants' Korean educational needs(r=0.319, P-value=0.009). Third, programs that actually encourage female marriage immigrants' husbands to join and participate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husband variabl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Korean educational need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r=0.311, P-value=0.009). Fourth, publicity activities for the programs which are offered b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examining the data, this study found that program recognition rate was quite low, however, once they joined the programs their program satisfaction rate was rather high(r=0.321, P-value=0.007). Fifth, a more flexible management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class times and the period of the classes should be considered. 36 women(50.0%) out of the 72 interviewed hoped that the Visiting Korean Education Program could be continued if they wanted to study for more than a year. The longer they stayed in Korea, the stronger they had this desire. Also, when they study Korean for more than a year, they want to study a deeper level of Korean. To meet their needs, they wanted visiting tutors to have a professional knowledge of Korean. Final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Korean educational needs through a fact-finding survey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get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se women becaus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In order to assist future research, a method for obtaining data specifically for research without violating privacy laws should be considered. This research paper has embodied the different variables of the Korean educational needs of 72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Currently there are few studies focusing specifically on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is study allowed for suggestions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studying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It is also anticipated that by overcoming the limits of this study, a more comprehensive research study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방문한국어교육의 효율성 방안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현재 안동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안동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한국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여성을 주요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논 논문은 설문조사를 통해서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방문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 요인들을 구체화하였으며,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인지도, 선호도, 만족도에 따른 한국어교육 요구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에서 나타난 주요 요인들이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도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아래의 9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자 개인 요인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2>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자 개인 요인에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3>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자 개인 요인에서 모국에서 직업 경험 유무에 따라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4> 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 요인에서 교사의 지지도가 높고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5> 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 요인에서 가족구성원의 지지도가 높을 때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6>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요인에서 정보접근성이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7>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요인에서 교통 편리성이 좋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8>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요인에서 주변인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9> 여성결혼이민자의 방문교육 요인에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 참여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결과분석을 통해서 <가설 1>의 연령별 차이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F=0.694, P-value=0.503). <가설 2>의 분석결과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학력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F=1.194, P-value=0.322). <가설 3>의 분석결과는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직업경험 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T=-0.917, P-value=0.362). <가설 4>의 분석결과는 교사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한국어교육 요구가 높아지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r= 0.311, P-value 0.009). 여성결혼이민자는 교사의 지지도와 교사와의 관계에 따라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5>의 분석결과에서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경우에는 가족구성원의 지지도에 따라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r=0.311, P-value 0.009).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구성원의 지지도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6>의 분석결과는 인터넷의 연결 유무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T/F=-4.484, P-value=0.001). 반면, 인터넷 사용의 자신감(T/t=0.808, P-value=0.525)과 인터넷의 주요 사용 목적(T/F=0.685, P-value=0.605)은 한국어교육 요구에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 <가설 7>의 분석결과에서 자동차의 소유 유무는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T/F=-0.264, P-value=0.793). 반면, 운전면허증 보유 유무(T/F=-2.161, P-value= 0.035)와 대중교통 편리성은 한국어교육 요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T/F=2.832, P-value=0.031). <가설 8>의 분석결과 주변인의 지지도가 한국어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r-0.286, P-value=0.016).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주변인의 지지도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9>의 분석결과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r=-.125, P-value=.299). 반면, 프로그램 참여도(r=-.336, P-value=0.004)와 만족도(r=0.321, P-value=0.007)는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그램 참여도와 만족도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조사 및 한국어교육 요인에 관한 조사, 그리고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기초로 몇 가지 논의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은 단계별로 차별화를 두어서 실시되어야 한다. 초기에는 적응을 위한 실생활 위주의 간단한 의사소통의 한국어교육을 제공하고 적응단계 이후에는 말하기, 듣기 위주의 범주를 넘어서 읽기와 쓰기 그리고 작문 등의 고급 한국어 교육을 함께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한국어방문지도사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실력을 향상시키고 초기 적응을 돕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한국어방문지도사를 위한 실질적이고 현실화된 보상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교사 요인은 상관계수( r=0.319, P-value=0.009)로 통계적으로 가장 높은 유의미성 관계가 검증되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교육 요구에 있어서 교사 요인은 매우 중요하고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어방문지도사들이 한국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소유하기를 원하는 여성결혼이민자(24명, 33.3%)가 많은 만큼 한국어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겸비한 한국어지도사의 적극적 활용을 통해서 고급수준의 한국어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것을 강력히 제안한다. 셋째, 남편의 프로그램 동참을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여성결혼이민자 배우자의 지지가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에 미치는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결과가 검증되었다(r=0.311, P-value-0.009). 넷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가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인 홍보활동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프로그램 인지도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지만 한번 프로그램에 참가하게 되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r=0.321, P-value=0.007)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과 더불어 인터넷, SNS 등의 매체 활용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방문교육의 수요자인 여성결혼이민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한 탄력적인 방문교육 기간 설정을 제안한다. 여성결혼이민자 72명 중 36명(50.0%)이 방문교육을 통해서 한국어를 배우고 싶으면 계속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거주기간이 긴 여성에게서 더 많이 분포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대부분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학습에 대한 기회 및 시간의 연장을 원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문적이고 정확한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학문 연구 목적을 위한 제도적 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실태조사를 통해서 향후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그러나 논문 연구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인 여성결혼이민자 정보가 개인정보법에 따라 제한되어 있어서 표본 추출의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도출한 결론을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 위와 같은 한계 및 연구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조사가 많지 않은 가운데 안동지역에서 한국어 교육에 참여한 7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요구에 관한 요인들을 구체화하였고 한국어교육 효율성 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향후 연구에서 본 논문의 한계를 극복하고 적절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보다 수준 높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밑바탕이 되길 바란다.

      • 民俗酒 安東燒酎 醱酵의 釀造學的 特性糾明 및 自家 누룩製造의 最適化

        배경화 安東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8655

        민속주 안동소주는 1987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 12호로 지정되었으며, 국내 민속주 중에서도 높은 알코올 함량(45%), 및 특유의 맛과 향으로 유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민속주 안동소주 제조 및 곡자 생산의 오랜 경험과 전통을 체계적,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전통의 계승, 발전과 함께, 고품질의 안동소주 제조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안동소주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의 생육 특성과 발효학적 특성을 검토하여, 유용 생물자원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전통으로 부터 얻을 수 있는 과학적인 여러 가지 지식들을 체계화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안동소주 발효는 고두밥과 자가 제조된 누룩의 혼합으로 시작되며, 순차적인 미생물 대사에 의하여 진행된다. 2. 안동소주 발효액으로부터 4종(Saccahromyces cerevisiae ADS-9, -10, -11, 및 Issatchenikia orientalis ADS-12)의 발효효모를 분리, 동정, 확보하였으며, 이 중 ADS-11 균주가 가장 우수한 발효학적 특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3. 전통적으로 제조된 안동소주 자가 제조 누룩으로부터 전분 분해활성이 우수한 5종의 곰팡이(ADS-M1, -M2, -M3, -M4 및 -M5)를 분리, 확보하였으며, 이 중 ADS-M3 균주가 누룩에서 가장 중요 우점종이었으며, 이 균주는 누룩의 제조 및 알코올 발효시에 지속적인 전분 분해 활성을 나타내어 발효 성공을 결정짓는 주요 곰팡이였다. ADS-M3는 동정결과 Aspergillus oryzae로 확인되었다. 4. 전통적으로 제조된 안동소주 자가 제조 누룩으로부터 누룩 세균 7종을 분리하였으며, 그 중 Bacillus amyloliquefaciens ADS-8세균이 가장 강력한 전분 분해활성을 나타내었다. 5. 누룩의 제조 및 고두밥의 분해에는 초기 Bacillus amyloliquefaciens ADS-8가 주요 작용을 하며, 누룩 띄움 후기 및 알코올 발효 후기에는 Aspergillus oryzae ADS-M3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6. 누룩에는 안동소주 발효를 위한 다양한 곰팡이와 세균 및 효모들이 성장하며, 이들의 적절한 성장 및 기능조절이 고품질 누룩 유지에 필수적이다. 7. 안동소주 발효를 위한 고품질 누룩 제조를 위해서는 수분 증발 억제, 누룩 미생물 성장, 전분 분해효소 활성도 등을 고려하여 4.0~5.5 cm 두께로 누룩을 자가 제조하여 2~3주간 띄움이 적당함을 확인하였다. 8. 최종적으로 민속주 안동소주의 전통과 우수성을 체계적으로 과학화하려는 시도는 전통과 과학이 공존하면서 민속주 제조를 하나의 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기존 전통 발효로부터 고부가가치 바이오산업을 위한 유용 생물자원을 개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ndong-Soju, which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Gyungsangbukdo province from 1987,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distilled liquor. It is famous for high ethanol content (45%), bitterness, and characteristic flavors.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role of different microorganisms, such as fermentation yeasts, starch saccharifying molds and bacteria in Andong-Soju fermentation broth and nuruks, to understand the ferm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Andong-Soju and to achieve the useful microorganism resources from traditional fermentation products. Also, the optimization of nuruk production was investigated, especially the thickness and maturation period of nuruks, for high quality and homogeneous Andong-Soju production.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Andong-Soju is produced by mixing nuruk with steamed rice, and the following fermentation process involves different metabolic activities of microorganisms (sequential metabiosis). 2. Four different fermentation yeasts, named as ADS-9, -10, -11, and -12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enological and fermentational researches. The ADS-9, -10, and -11 strains were identified as Saccahromyces cerevisiae and ADS-12 was identified as Issatchenikia orientalis based on 26 rDNA sequencing results. 3. Five different saccharifying molds, named as ADS-M1, -M2, -M3, -M4, and -M5) were isolated from the Andong-Soju owned nuruks, which were prepared by traditional methods in Andong-Soju factory and characterized by enological and fermentational researches. Among them, ADS-M3 was predominant and showed higher saccharifying activity for starch, wheat bran and steamed rice. ADS-M3 was identified as Aspergillus oryzae based on 5.8S rDNA sequencing results. 4. Seven different saccharifying bacteria, named as ADS-1, -2, -3, -4, -5, -7, and -8, were isolated from the nuruks, which were prepared by traditional methods in Andong-Soju factory and characterized by enological and fermentational researches. Among them, ADS-8, identifi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sed on 16S rDNA sequencing results, showed higher saccharifying activity. 5.Bacillus amyloliquefaciens ADS-8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arch degradation only at the early stage of nuruk maturation and ethanol fermentation of Andong-Soju. When the ethanol concentration is high and pH of fermentation broth is low, the cell growth is rapidly decreased with activity loss of amylase. In a while, the Aspergillus oryzae ADS-M3 is active during the end-stages of nuruk maturation and ethanol fermentation, since the cell growth and amylase activity is maintained under high ethanol and low pH environments. 6.In sequential metabiosis, the sequential-controlled growth of normal microflora, including Saccahromyces cerevisiae ADS-11, Aspergillus oryzae ADS-M3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ADS-8 are necessary. 7. The optimization of nuruk production revealed that 4.0~5.5 cm thickness of nuruk is necessary and 2~3 weeks maturation period is suitable. 8.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liquors could be developed to one of modern industry by combination of tradition and science, which can exist together. Also, my study provided that the traditional fermentation products could be used as valuable sources of useful microorganisms. These results would be applied to production of homogeneous, and high quality of Andong-Soju.

      • 1960년대 이후 안동지역 무속의 변화 양상과 현재적 특징

        임경지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의 목적은 1960년대 이후 안동지역 무속의 전반적인 변화 양상을 살펴 보고 현재적 연행 양상과 특징을 논의하는 것이다. 안동은 경상도 내륙지역으로 다른 지역의 무속의례에 비해 뚜렷한 특색이 없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또한 기존의 안동지역 무속 연구는 성주풀이 무가에 치우쳐 있고, 단순히 무당 들의 생애사를 바탕으로 한 사례 조사와 단편적인 정리에 그친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안동지역 무속에 대한 종합적 연구의 필요성이 막중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현장 연구와 기존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안동지역 무속에 대해 총체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했다. 먼저 이 연구는 안동지역 무속 연구의 시작점인 1960년대 이후를 연구 배경으 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변화 양상을 살피기 위해 1960~70년대, 1980~90년대, 2000년 이후로 시기를 구분하였다. 시기별로 나타나는 무당의 활동 기반 및 방 식, 의례 형식과 연행 장소, 성무 과정과 몸주신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60~70년대는 근대화의 영향을 받으며 무당 유형이 단순화되기 시작하였다. 1980~90년대는 ‘앉은굿’으로 진행되던 의례 형식이 ‘선굿’으로 변하기 시작하였 으며, 가정에서 행해지던 굿이 전문 굿당이 생겨남으로써 연행장소를 옮겨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00년대 이후부터는 지역적 기반이 약화되고 의례 용품 및 제물 등이 시장화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안동지역 무속의 현재적 상황과 종합적 특징을 논의하였다. 우선 오 늘날 안동에 근거지를 두고 활동하는 무당들의 생애사와 그들이 연행하는 무속 의례를 정리하였다. 또 그들이 지역사회와 관계 맺는 방식은 무엇인지 살펴보았 다. 안동지역 무당의 유형은 대체로 ‘세습적인 강신무’이며, ‘안동굿’에서는 특히 하늘신과 조상신이 강조된다. 하늘신을 모시는 ‘천왕거리’는 안동굿의 핵심 굿거 리이자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조상 망자를 상징화한 무구인 ‘오구말이’는 안동무속에서 조상의 성격과 위치를 가장 잘 보여주는 연행 방식의 특이성이다. 한편 지역적 특징이 두드러지는 굿거리와 연행 방식의 특이성이 있는 것과 별 개로, 현재 안동지역 무속은 근현대 사회문화체제에 일정한 영향을 받으며 의례 의 상호교류와 혼종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례로 동해안의 오구굿과 전라 도의 씻김굿이 섞여 ‘안동오구말이씻김굿’이라는 새로운 의례가 연행되는 것과 한국의 무속과 서구의 타로가 혼종적으로 섞인 ‘신점타로’가 유행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안동지역에서 무속이 차지하고 있는 종교적 역 할과 문화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기존 안동지역 무속 연구의 한계와 공백을 채우는 중요한 연구 성과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안동지역 무속은 사회 및 시대적 환경과 요구에 부응하며 함께 변화되어 왔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여전히 살아 숨쉬는 종교적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주제어: 안동무속, 안동굿, 근대화, 세습적 강신무, 몸주신, 천왕거리, 오구말이, 문화교류, 혼종성

      • AHP를 이용한 철도 폐선부지 활용 우선순위 실증분석 : 안동시 예정 철도 폐선부지를 중심으로

        배수빈 안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우리나라의 철도교통은 1970년대까지 여객 및 운송에 있어서 절대적인 역할을 도맡았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도로교통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철도경기가 침체기로 접어들었고, 1990년대 후반부터는 철도 고속화 및 복선화를 위한 철도개량화 사업이 실시됨에 따라 철도 폐선부지들이 급속히 늘어났다. 이와 같은 철도 폐선부지는 한동안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하고 방치되다가 최근에 이르러 일부 지자체들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방안으로 철도 폐선부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철도 폐선부지의 활용 사례들로, 광주 푸른길 공원, 곡성군 섬진강 기차마을, 정선군 레일바이크 등을 들 수 있다. 안동시에서도 2019년에 중앙선 복선화 사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철도 폐선부지 유휴공간 활용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안동역 인근 철도 폐선부지는 안동역부지, 4개의 간이역, 폐선 등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는데 특히 원도심 중심부에 위치한 안동역이 공간적으로 다시 활용되면 구도심 활성화의 효과까지 누릴 수 있어 안동시와 안동시민들에게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발표된 철도 폐선부지 활용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도시재생, 산업유산, 제도적인 측면, 국내·외 사례 분석, 대도시와 외곽에 있는 철도 폐선부지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중소도시의 구도심에 위치한 역사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안동시와 비슷한 중소도시의 도심에 위치한 안동역과 그리고 간이역과 폐선들에 관하여, 이전예정단계에서 철도 폐선부지활용 우선순위 실증분석을 하고 안동시 예정 철도 폐선부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실증분석절차로 2016년 7월 10일부터 8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안동시 철도 폐선부지 담당자를 중심으로 한 안동시 공무원, 안동시 시민, 현재 안동역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 전문가는 철도 폐선부지 활용 관련 경험이 있는 대학교수, 연구원, 타지역 공무원 등으로 조사대상을 정하였다. 즉 제1그룹(안동시 공무원), 제2그룹(안동역 종사자), 제3그룹(안동시민), 제4그룹(관련전문가)의 네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요인들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설문에 대한 답을 구할 때, 직접 방문하는 것이 기본적인 방법으로 하되, 직접 방문이 어려운 경우에는 E-mail로 설문을 전송하였으며 설문대상자들에게 전화로 부탁·확인하여 E-mail로 설문지를 받는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안동시 예정 철도 폐선부지 우선순위 실증분석 결과 상위계층인 개발주체, 개발효과, 재원조달, 개발방법 중에서 재원조달이 1위로 나타났다. 중위계층에서는 개발주체의 하위계층인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민·관 협력 추진기구 중에서는 공공기관이 1위를 차지했고, 개발효과의 하위계층인 도심공동화 방지, 지역경제 활성화, 새로운 일자리 창출, 관광객 유입 중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가 1위를 했으며, 재원조달의 하위계층인 국비, 지방비, 민자, 기금 중에서는 지방비가 1위를 차지했고, 개발방법의 하위계층인 기존시설을 활용한 개발, 전면 재개발, 재생과 개발의 혼합 중에서는 재생과 개발의 혼합이 1위를 했고 마지막으로 활용 방향의 하위계층인 주거환경복합시설, 공원시설(주민친화공간), 문화·관광시설(상업적공간), 공공인프라(도로, 주차장) 중에서는 문화·관광시설이 1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안동시 예정 철도 폐선부지를 활용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주체와 관련하여 안동시가 철도 관련 공공기관인 한국철도시설공단 또는 코레일관광개발과 공동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며, 이들 기관은 이미 철도 폐선부지의 개발과 운영의 경험이 있기에 안동시는 재원조달, 개발방법 등의 부문에서 있어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둘째, 안동시 예정 철도 폐선부지를 활용에서 효율적인 자금이 사용하기 위해서 안동시는 철도 폐선부지를 부지매입 하기 보다는 점용허가나 사용허가를 받아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할 수 있다. 철도시설공단과의 협업추진 가능성, 임대료 등의 특성을 고려해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셋째, 개발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안동시 예정 철도 폐선부지 중 안동역에는 보물 제56호인 안동운흥동오층전탑과 등록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된 안동역 급수탑을 보존하면서 안동역 주변의 문화유산(임청각, 태사묘, 신세동칠층전탑 등)들뿐만 아니라 원도심의 문화의 거리, 시장 등을 연계한 원도심의 활성화 관점인 도시 재생적인 개발방법을 진행해 가는 방향으로 가야할 것이다. 간이역 주변 지역의 환경과 역사성을 고려한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넷째 개발 방향과 효과성에 관련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원도심의 문화산업진흥지구, 전통시장 등과 연계한 문화·관광의 상업시설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안동역을 개방형 공간으로 문화생태공원을 조성하고 기존의 철도시설을 활용해 안동역과 간이역을 연결한 관광철도를 운행하며 문화쇼핑몰과 숙박시설을 조성해 새로운 형태의 복합관광명소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복합관광시설이 만들어진다면 자연적으로 관광객의 유입은 증가하고 지역경제가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효과가 있을 것이며 또한 안동역 이전에 따른 도심공동화 문제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안동·임하호 주요 유입지천의 수질평가와 생물군집분석

        유혁 안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적 요 본 연구는 안동호와 임하호의 생물군집구조와 수질을 파악하고,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2015년에 4개 지점(AD1, AD2, IH1, IH2)을 5월부터 9월까지, 2016년에 4개 지점(AD3, AD4, IH3, IH4)을 5월부터 9월까지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점은 안동호와 임하호의 주요 유입지천으로 안동호(4개 지점), 임하호(4개 지점)을 선택하여 시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 안동호에서는 총 4문 6강 15목 55과 114종 59.913.7 개체/m2가 조사되었고, 임하호에서는 총 5문 7강 17목 57과 112종 39.038.4 개체/m2가 조사되었다.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안동호와 임하호는 유수역을 선호하는 줄날도래과. 납작하루살이과에 속하는 종들과 정수역을 선호하는 깔따구과, 먹파리과에 속하는 종들이 높은 개체수 밀도를 나타냈다. 3) 안동호는 임하호에 비해 평균 다양도지수, 균등도지수, 풍부도지수가 낮은 값을 나타냈고, 평균 우점도지수는 높은 값을 나타냈다. 4) 섭식기능군(FFGs) 분석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주워먹는무리(Gathering collector)에 속하는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AD1, AD4, IH1은 3차 조사 시 썰어먹는무리의 종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서식기능군(FHGs) 분석 결과, 유속이 빠르고 다양한 하상구조를 가지는 대부분 지점에서 붙는무리의 종수, 개체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SP, CB의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6) 군집안정성 분석 결과, 안동호와 임하호는 상대적 저항력과 회복력이 높은 특성군 I 그룹에 속하는 종들의 출현율은 비슷하게 나타났고, 상대적 저항력과 회복력이 낮은 특성군 III에 속하는 종들의 출현율은 임하호의 특성군 III에 속하는 종들의 출현율 보다 낮게 나타났다. 7) 생물학적 수질평가(ESB)에서 안동호와 임하호는 조사 시기별 증감의 폭은 높게 나타났고, I 등급의 `양호`한 환경상태를 나타냈다. 2. 이화학적 수질분석 1) 안동호와 임하호의 평균 수온은 15.8℃~28.3℃의 범위를 보였다. 안동호는 평균 수온 3.4℃~9.9℃의 범위를 나타냈고, 임하호는 평균 수온 4.2℃~6.0℃의 범위를 나타냈다. 2) 안동호의 용안동호의 용존산소량은 9.8mg/L로 나타났고, 임하호의 용존산소는 10.3mg/L로 나타났다. 3) 수소이온농도는 전 조사지점에서 6.9~9.3의 범위를 보였고 `I~II` 등급으로 나타났다. 4) 전기전도도는 조사기간 중 평균 173~448μS/cm의 범위를 나타냈고, 안동호는 평균 276.8μS/cm, 임하호는 273.2μS/cm의 범위를 나타냈다. 5) 생화학적 산소요구량은 AD3, AD4, IH3, IH4에서 3차 조사 시 값의 최대치를 나타냈다. 6)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AD3, AD4, IH3, IH4에서 3차 조사 시 가장 최소값을 나타냈다. 7) 총 질소는 AD1, AD3, AD4에서 `III` 등급의 `보통` 등급에 속하였고, AD2는 `Ia` 등급의 `매우좋음` 등급에 속하였다. IH2, IH3은 `Ib` 등급의 `좋음` 등급에 속하였고, IH1은 `Ia` 등급의 `매우 좋음` 등급에 속하였다. IH4는 `II` 등급의 `좋음` 등급에 속하였다 8) 총 인은 AD3, AD4, IH1, IH3, IH4는 4차 조사 시 총 인의 양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부유물질은 전반적으로 IH1을 제외한 전 지점에서 3차 조사 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상관관계 분석 Pearson’s rank correlation analysis 결과, 전기전도도는 종수, 다양도지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BU의 개체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DO는 ESB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T-N은 ESB와 다양도지수, SP의 개체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