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 검정형과 과정평가형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연구

        이승미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으로 구성된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 검정형과 과정평가형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를 설문지를 활용하여 비교․분석하여 연구하였다. 첫째. 미용사(일반) 국가자격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교육. 훈련 프로그램 훈련생의 이해정도와 필요성을 알아본다. 둘째. 미용사(일반) 국가자격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교육. 훈련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을 알아본다. 셋째. 미용사(일반) 국가자격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교육. 훈련 학습자의 만족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검정형 미용사(일반)과정 학습자들과 과정평가형 미용사(일반) 학습자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교육. 훈련과정과 교육환경, 훈련시설, 교육 강사에 대한 요구사항과 기술력 향상 등 다양한 요구사항과 문항이 필요하여 검증된 선행 연구 자료를 참고하게 되었다. 학습자의 만족도 연구를 위하여 2019년 3월 1일〜2020년 6월 30일 약 15개월 동안 부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신 분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지 조사방법은 직업 교육, 훈련을 받은 교육. 훈련생을 대상으로 2019년 3월부터 2020년 6월까지 기간으로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총 16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지 8부를 제외하고 152부를 본 논문의 연구에 사용하였다. 국가 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자료실과 한국 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 자료실, 한국 산업인력공단의 수탁연구 과정평가형 운영실태 및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선행 연구를 수정. 보완하고 2016년 한국 산업인력공단의 과정평가형 자격의 성과분석과 개선방안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교육 훈련기관 훈련생용 설문지를 인용하였다. 검정형과 과정평가형의 만족도 차이 검증에서 훈련교육내용, 훈련교육 강사, 환경운영체계, 훈련과정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과정평가형 보다 검정형이 높게 나왔는데 만족도 항목별 직무능력 강화를 위해 교육에 투자하는 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항목별 참여했던 훈련 프로그램의 직무능력 강화를 위해 교육에 투자하는 시간은 훈련과정 전반적인 만족도, 훈련 교육내용 만족도, 훈련 교육 강사 만족도, 훈련 교육 환경 만족도, 훈련 운영 체계 만족도, 전체 훈련과정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훈련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기본이 되는 기술을 배우고 습득하여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증 취득하고자하는 학습자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미용사(일반)국가기술자격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자격증은 산업현장에서의 활용도와 만족도가 높아 적응력이 높아지리라 사료된다. 검정형과 과정평가형의 교육. 훈련시간과 기간은 차이가 있지만 적합한 직업훈련과정 편성을 통한 직업훈련기관이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교육. 훈련강사와 학습자들이 원활하게 소통하고 노력한다면 앞에서 나온 결과처럼 성별의 차이가 없이 훈련과정 전체의 만족도가 높아지기를 바라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과정의보완 및 개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미용사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인 두피, 모발관리, 헤어샴푸, 헤어 커트, 헤어 퍼머넌트 웨이브, 헤어 컬러, 헤어드라이 등의 서비스제공을 통하여 고객의 심리적, 정서적,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도록 전문적인 인력으로 양성되길 바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좀 더 현실적인 부분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정부 정책과 교육생 요구에 맞춰 교육과정이 개설되고 지원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장 맞춤으로 교육이 진행되고 현장에 맞춘 정책이 수정ㆍ보완되어 교육의 질이 높아지길 바라며, 후속 연구로는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을 위해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교육. 훈련프로그램을 선택함에 있어 좀 더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부분까지 고려하여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test type and the process evaluation type of beautician (general), which were composed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First. Hairdresser (general) national qualification test type and course evaluation type education. To find out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need of training program trainees Second. Hairdresser (general) national qualification test type and course evaluation type education. Find out the requirements for the training program. Third. Hairdresser (general) national qualification test type and course evaluation type education. To study the satisfaction of training learners. Education to compare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of the certified cosmetologist (general) course learners and the course evaluation cosmetologist (general) learners. Various requirements and questions such as training courses, educational environment, training facilities, requirements for education instructors, and technical improvement were needed, and thus verified prior research data were referred to. In order to study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from March 1, 2019 to June 30, 2020, Busan for about 15 months. A survey was conducted on people living in the Gyeongnam area.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s vocational education, trained education. A questionnaire was surveyed for trainees from March 2019 to June 2020. A total of 1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52 copies were used for the study of this paper, excluding 8 questionnaires that gave an unfaithful response. Revision of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data room on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s website, the website data room of the Korea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and the research data on the operation status and performance analysis of the entrusted research process evaluation type of the Korea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In addition, a questionnaire for trainees of a course evaluation-typ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 was cited as a result of analysi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2016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In the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 between the certification type and the process evaluation type,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training education content, training education instructor, environment operation system, and training cours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urse evaluation typ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ver time. The number of learners who want to acquire a hairdresser (general)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by systematically learning and acquiring basic skills through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is constantly increasing, and the beautician (general)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test type and course evaluation type certificate are industrial It is believed that the adaptability will increase due to high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field. Education in the screening type and process evaluation type. Training hours and durations vary, but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open programs and provide education through appropriate vocational training courses. If training instructors and learners communicate smoothly and make efforts, as in the previous result, we hope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entire training process will increase without gender differences, and based on this, education to foster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By providing basic data for sup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the training process, we provide services such as scalp, hair care, hair shampoo, hair cut, hair permanent wave, hair color, and hair dryer. I hope that they will be trained as professional manpower to satisfy their aesthetic needs. Based on this study, I think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 research is conducted in a more realistic area, and that the curriculum is established and supported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 policy and the needs of trainees. We hope that the education will be tailored to the field, and policies tailored to the field will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s a follow-up study, the qualification type and process evaluation type education for acquiring the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for beauticians (general). In selecting a training program, in-depth research is necessary considering more systematic and detailed parts.

      • 인체친화형 논클라스프형(Nonclasp type) 전자동 의치성형기 개발연구

        김남용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배경은 전 세계적으로 노인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실버산업(Silver industry)이 각광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0년도에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2.5%를 차지해 이미 고령화 사회에 본격 진입하면서 실버산업이 급성장 가도를 달리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다양한 실버인구를 위한 산업들이 늘어 날 전망으로 구강건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제품은 의료분야인 치과에서 치아를 상실한 노인과 환자들의 인체 친화적인 의치를 성형해주는 제품을 개발하는 것으로써 치과에 의뢰를 받아 의치를 성형 가공해주는 치과기공소에서 주로 사용하는 제품이다. 치과 병·의원 내에 기공실을 두고 있는 국내 치과계의 특성상 기공소를 보유한 치과 병·의원에서도 제품 도입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개발 시제품은 기존 의치성형 작업과정에서의 불편함 해소는 물론 실제 사용자인 노인이나 환자가 장착했을 때 위와 같은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인체 친화적인 논클라스프형 전자동 의치성형기 개발기술로 과제수행에 성공할 경우 국내뿐 아니라 해외시장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춘 기술이라 평가할 수 있다.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at the silver industry is in the spotlight as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around the world. In Korea,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ged 65 and over in the total population in 2020 was 12.5%, and the silver industry is rapidly growing as it has already entered an aging society in earnest. At this point, as industries for various silver populations are expected to increase, research on oral health is necessary. The prototype developed in this study develops a product that molds human-friendly dentures for the elderly and patients who have lost teeth in the medical field of dentistry. Due to the nature of the domestic dental industry, which has laboratories in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that have laboratories will also introduce the product. This research and development prototype can not only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existing denture molding process, but also solve the above side effects when the actual user, an elderly person or a patient, is wearing it. In addition, if it succeeds in carrying out the task with the human-friendly, non-clasp type fully automatic denture forming machine development technology, it can be evaluated as a technology with sufficient competitiveness not only in the domestic market but also in the overseas market.

      • 부케플라워 문양을 응용한 웨딩네일아트 디자인 개발

        한원경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55

        As women advance into society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women's desire for beauty is constantly evolv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the beauty industry is changing rapidly and its form has diversified. As each person's individuality grows stronger, the desire for consumption has increased, and the concept of total coordination such as hair, makeup, and nails is emerg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rides preparing for marriage, there is a trend to complete total coordination through nail art along with wedding dresses, hair, and makeup to complete the image. At the wedding, a special day, brides want to complete the most gorgeous and beautiful appearance of themselves that will be recorded in the frame for the rest of their lives through not only the wedding bouquet, but also the hair style and make-up suitable for the dress, skin care, and wedding nail. As more and more brides pursue their individuality, interest in wedding nails is also rising as a factor to maximize their bride's image. In particular, wedding nails are designed and completed by considering the overall image of the bride and the bride's wedding dress style, hair, and makeup when filming and proceeding with the wedding or the main ceremo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practical wedding nail art materials by producing nail art works using wedding flowers. By categorizing wedding flowers by each season and designing by combining them with nail art design, it is thought to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wedding industry and the nail art industry. First, I studied bouquet design. Popular bouquet designs include Round Bouquet, Oval Bouquet, Shower Bouquet, Ring Bouquet, Cascade Bouquet, Basket Bouquet, Hogarth Line Bouquet, Ball Bouquet, Crescent Bouquet, Crutch Bouquet, Sunburst Bouquet, Trianglar Bouquet, Freeform Bouquet, Muff Bouquet, Presentation Bouquet, Glamelie Bouquet, Experimental Bouquet, and the most used bouquet is Round Bouque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the materials used for wedding bouquets, additional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have also increased in a variety of ways, and the range of choices to suit individual tastes has also increased. Second, by classifying wedding bouquet flowers by season, which flowers are most often used in bouquets according to the season, each flower type was selected one by one and divided into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to produce works. Third, in <Artwork 1>, I tried to express the pure and gentle feeling of spring. I tried to express the color of the lily of the valley and the bell-shaped petals in detail. Lily of the valley is a flower with a neat and elegant feeling. In <Artwork 2>, I expressed summer hydrangeas in various colors neatly, and used lace to bring out an elegant feeling. In <Artwork 3>, I took the luxury and loveliness of autumn roses as a motif and designed and expressed them using gel design techniques and watercolor art. In <Artwork 4>, I expressed the colors and petals of the winter collar simply and neatly. In particular, I wanted to express the petals of the collar as it is, and I made it to give a wedding nail feeling by drawing an additional lace. Nail art has the strength to produce various nail art designs through various techniques and materials. Using various materials and gels, I was able to create wedding nail designs with wedding flowers. Through this study, I learne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bouquet types and wedding flowers, and I expressed various nail art designs with various techniques and materials based on the flowers of wedding flowers. In addition to this study, various studies on wedding nail design are needed, and we look forward to continuing the development of various wedding nail art designs. Through this study, I found out that bouquet types and wedding flowers are closely related, and I tried to express various nail art designs using various techniques and materials using the wedding flowers.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various studies on wedding nail design are needed, and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various wedding nail art designs will continue. 현대 사회의 발전과 함께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늘어남에 따라 아름다움에 관한 여성들의 욕구는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미디어의 발달로 인하여 뷰티산업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 형태도 다양해졌다. 각자의 개성이 강해지면서 소비에 대한 욕구가 높아졌고 헤어, 메이크업, 네일 등 토털 코디네이션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결혼을 준비하는 신부의 경우 이미지를 완성시키기 위해서 웨딩드레스와 헤어 그리고 메이크업들과 함께 네일아트를 통해 토털 코디네이션을 완성하는 추세다. 특별한 날인 결혼식에서 예비 신부들은 웨딩 부케뿐만 아니라 드레스에 어울리는 헤어, 메이크업, 피부관리, 웨딩 네일까지 마무리하여 평생토록 액자 속에 기록 될 자신의 모습을 가장 화려하고 아름답게 완성 하고자한다. 이처럼 신부들은 자신의 개성을 추구하려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신부 이미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요소로 웨딩 네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웨딩 네일은 웨딩촬영이나 본식 촬영 및 진행할 때 신부의 전반적인 이미지와 신부의 웨딩드레스 스타일, 헤어, 메이크업 등을 고려해서 디자인하여 완성한다. 본 연구는 웨딩 플라워에 맞는 네일아트 작품을 제작하여 네일디자인을 실용적인 웨딩 네일아트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웨딩 플라워를 계절별로 분류하고 네일아트 디자인을 개발하여 웨딩산업과 네일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 결과 첫째, 웨딩부케의 종류는 형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였으며, 그중 가장 많이 사용된 부케는 라운드형이다. 뷰티산업의 발전으로 웨딩부케에 활용되어지는 소재도 무궁무진하며 부가적인 재료와 방법 또한 다양하고 개개인의 취향에 맞게 선택의 폭도 늘어났다. 둘째, 계절별 웨딩부케플라워를 분류하여 어떤 꽃들이 계절에 맞춰 부케에 많이 쓰이는지 정리하여 계절별로 꽃 종류를 하나씩 선별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어서 작품 제작을 하였다. 셋째, <작품 Ⅰ>의 웨딩 네일 봄은 순결하고 여리한 느낌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은방울꽃의 색상과 종 모양의 꽃잎을 디테일하게 표현하였다. 은방울꽃은 깔끔한 느낌과 우아한 느낌이 나는 꽃이다. <작품 Ⅱ>의 여름 수국은 다양한 색과 맞추어 깔끔하고 레이스를 이용하여 우아한 느낌을 살려서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 Ⅲ>의 가을 컨셉의 장미는 고급스럽고 사랑스러운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젤 디자인 기법과 수채화 아트로 디자인하였다. <작품 Ⅳ>의 겨울 카라 꽃은 색상과 꽃잎을 심플하면서도 깔끔하게 표현하였다. 카라의 꽃잎을 그대로 표현하고자 하였고 레이스를 그려서 웨딩 네일 느낌이 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네일아트의 다양한 소재와 젤을 사용하여 웨딩 플라워 디자인의 웨딩 네일을 제작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부케의 종류와 웨딩 플라워의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웨딩 플라워의 꽃들을 소재로 다양한 기법과 재료를 활용하여 웨딩 네일아트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외에도 웨딩 네일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다양한 웨딩 네일아트 디자인 개발이 지속되기를 기대해 본다.

      • 여행사 브랜드의 한·중 비교 연구

        최열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55

        코로나 팬데믹으로 한국과 중국 여행산업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코로나 장기화 속에서 여행사 간의 경쟁이 더욱 심화되면서 여행사 브랜드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0년 한국과 중국 여행사 브랜드 각각 상위 5개를 분석대상으로 브랜드 구성요소인 로고, 색상, 서체, 슬로건을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여행사 브랜드에서 한·중 양국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여행사 브랜드의 동향을 알아보고 여행사 브랜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로고디자인 컨셉에 있어서 한국은 주로 여행과 관련된 요소를 모티브로 하며 그 다음이 하트 모양이다. 반면에 중국은 주로 동물을 모티브로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색상은 한·중 모두 ‘경쾌한’ 영역에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서체에 있어서 고딕체는 한·중 양국 여행사 브랜드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다. 슬로건에 있어서 한국은 가치 제시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다음이 특성 제시형이다. 반면에 중국은 주로 특성 제시형과 명칭 제시형을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op five Korean and Chinese travel agency brands in 2020, focusing on brand components such as logos, colors, fonts, and slogans, and aims to understan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ravel agency brands. Based on this, it examines the trends of travel agency brands and presents implications for travel agency brand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erms of the logo design concept, Korea is mainly based on elements related to travel, followed by a heart shap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China mainly expressed animals as motifs. The color is most distributed in the ‘light’ area in both Korea and China and has ‘dynamic’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ypeface, Gothic style is the mainstream of travel agency brands in both Korea and China. In terms of slogans, the value presentation type was used the most in Korea, followed by the characteristic presentation type. On the other hand, China mainly used the characteristic presentation type and the name presentation type.

      • 신라오기 마당극 공연에 나타난 분장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은주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신라 말기의 문인(文人)인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시 <향악잡영(鄕樂雜詠)> 5수(五首)에서 읊은 다섯가지 놀이인 금환(金丸), 월전(月顚), 대면(大面), 속독(束毒), 산예(狻猊)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특징을 분석하고, 분장 디자인을 개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노천에서 시작되어 실내라는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분장의 중요성이 높아진 만큼 마당극의 정확한 캐릭터 분석과 그에 걸맞은 분장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역사적 문헌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마당극의 개념과 <향악잡영> 오수에 나타난 캐릭터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분장 디자인을 연구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 및 선행 연구, 인터넷 사이트를 중심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치원의 <향악잡영> 오수를 분장 측면에서 분석하면 오수는 신라시대 마당에서 연희되었던 금환, 월전, 대면, 속독, 산예의 다섯 가지 놀이로 분류되었다. 둘째, <향악잡영> 오수를 바탕으로 신라오기의 캐릭터를 분석하면 금환 캐릭터는 묘기를 펼치는 서커스단의 곡예사나 광대로 분석되었다. 월전 캐릭터는 민중의 희로애락을 표현하는 가면희로 해석되었고, 대면 캐릭터 또한 네 개의 눈을 가진 황금색 가면을 쓰고 귀신을 부리는 춤을 추는 가면희로 해석되었다. 속독 캐릭터는 신령 시 되는 새의 형상을 한 청색 가면을 쓰고 춤을 추는 군무로 분석되었고, 산예 캐릭터는 속특국에서 장무로 행해지다 신라로 유입되면서 북청사자놀음의 사자탈로 전승되었다. 셋째, 마당극 신라오기의 캐릭터를 분장 디자인 개발 측면에서 접근하면 금환의 분장은 한국적인 광대를 표현하기 위해 가면의 모양처럼 흰색 파운데이션을 얼굴에 도포하고, 눈은 하회탈의 이미지를 적용하였다. 헤어는 오방정색을 컬러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월전의 분장은 민중의 희로애락을 연출하기 위해 여덟 가지 표정의 가면을 제작하여 해학적으로 표현하였다. 대면의 분장은 캐릭터 연구결과 네 개의 눈을 가진 황금색 가면을 쓴 사천왕상이었으나 대본이 요구하는 바를 수행하기 위해 도깨비의 형상을 분장으로 표현하였다. 얼굴의 중앙부에 오방정색 중 서쪽에 해당하는 레드 계열이나 동쪽에 해당하는 청색 계열을 포인트로 도포하였다. 속독의 분장은 객석을 향한 일면에 새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청색 계열의 판타지 메이크업을 하였고, 헤어의 연출은 금색 오브제를 사용하였다. 산예의 분장은 벽사진경의 상징성을 담아 전승된 북청사자놀음의 사자탈을 제작하여 표현하였다. 비록 최치원의 <향악잡영> 오수인 금환, 월전, 대면, 속독, 산예의 연희가 우리 고유의 것이 아니라 할지라도 이는 여러 시대를 거쳐 우리의 미풍양속을 담은 전통연희로 계승되어 발전하였다. 연희 공간인 마당을 통해 관객과의 적극적인 소통과 유연한 움직임을 특징으로 우리의 양식이 깃든 마당극의 명맥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마당극의 분장 디자인은 분장사에 의해서 결정이 되지만 무대 환경이나 연출 의도에 의해서도 다양한 캐릭터로 변형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신라오기와 같이 전승되어 오는 마당극의 경우 올바른 캐릭터의 분석을 우선시하여 마당극의 활성화와 더불어 분장 디자인의 발전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ve characters Geumhwan, Woljeon, Daemyeon, Sokdok, and Sanye, which appear in five poems from the <Hyang-ak-jabyoung> written by Choi Chi-won, a writer of the late Silla Period and to develop make-up designs for the characters. As Madanggeuk started outdoors and moved into the indoor space, the importance of make-up increas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mphasizing the need for accurate analysis of characters and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make-up. As a study method, we analyzed the concept of the Madanggeuk and the character shown in five poems of the <Hyang-ak-jabyoung>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of historical literature, and researched and developed the make-up design accordingly. To this e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roun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prior research, and Internet si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alyzing Choe Chiwon's five poems from the <Hyang-ak-jabyoung> in terms of make-up, it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plays: Geumhwan, Woljeon, Daemyeon, Sokdok, and Sanye, which were performed in madang during the Silla Dynasty.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characters based on five poems from the <Hyang-ak-jabyoung>, Geumhwan was analyzed as an acrobat or clown in a circus performing tricks. The character of Woljeon was interpreted as a mask play which expressing the joys and sorrows of the people. Daemyeon's character was also interpreted as a mask play which is driving out a ghost, wearing golden mask with four eyes. Sokdok's character was analyzed as a group dance with a blue mask in the shape of a sacred bird. Sanye's character was transfeerred to the lion mask of Bukcheong-saja-noreum when it was introduced to silla after it was conducted as Jangmu in Soghd.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pproaching the character of the Madanggeuk Silla Ogi in terms of make-up design development, Geumhwan's make-up was applied a white foundation like a mask to express the Korean clown. And the eyes applied the image of a Hahoe mask, and the hair used color spray to express the five cardinal colors. Woljeon's make-up was humorously expressed by producing masks with eight facial expressions to express the joys and sorrows of the people. The character sudy found that Daemyeon make-up was a four-eyed, golden masked statue of Four Heavenly Kings. But, to fulfill the script's requirements, the shape of Dokkebi was expressed in make-up. The center of the face is covered with a red or blue color corresponding to the west or the east. The Sokdok make-up was done with a blue series of fantasy make-up to express the image of a bird on the front page of the audience, while hair's production used gold objet. The costume of Sanye was expressed by producing a lion mask of BukcheongSajaNoreum, which was inherited with the symbolism of Byeoksajingyeong. Even if the performance of Geumhwan, Woljeon, Daemyeon, Sokdok, and Sanye, which appear in five poems from the <Hyang-ak-jabyoung> written by Choi Chi-won is not intrinsic to us, throughout history, it was inherited and developed into a traditional performance containing our aesthetic customs throughout many eras. Through the madang, a performance space, it has maintained its reputation as a Madanggeuk with our lifestyle, having active communication and flexible movements with the audience. The costume design of this Madanggeuk was determined by the make-up artist, but it was also transformed into various characters by stage environment and intention of production. However, in the case of Madanggeuk like the Silla Ogi which has been handed down, it is hoped that the analysis of the correct characters will be prioritized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stume design as well as the revitalization of Madanggeuk.

      • 영화제 포스터의 시각적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 부산국제영화제 중심으로

        이하늘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39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2021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진행된 국제행사인 부산국제영화제는 코로나 사태 이후 1,000명 이상의 일반 관객이 참여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제행사였다. 명실상부의 우리나라 최초의 국제 영화제인 부산국제영화제의 질적 성장과 더불어 영화제를 홍보하는 대표적인 매체인 포스터 디자인 또한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본 연구는 국제영화제 포스터의 구성요소를 조형적 구성요소(이미지, 로고, 컬러, 여백, 레이아웃)와 내용적 구성요소(타이틀 위치, 서체, 형식)로 분류하여 알아보고 부산국제영화제 포스터 26종의 메인 이미지 유형과 작업에 참여한 작가들의 원화 작품을 조사하여 타 국제영화제 포스터와의 차별화된 점을 알아보았다. 부산국제영화제 포스터의 시각적 표현 유형이 포스터 선호도에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의 목적에 맞는 국제영화제 포스터를 세 가지 유형(원화, 사진, 그래픽)으로 실험 포스터를 제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원화를 사용하여 제작한 포스터가 가장 높은 선호도(5.02)로 나타났으며 사진은 4.67로 나타났고 그래픽은 4.20으로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의하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하는 영화 제 포스터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콘셉트와 대중들에게 이미 익숙하고 예술성도 있는 원화 이미지를 사용하여 부산국제영화제 포스터를 제작하였을 때 원화 고유의 속성이 결합하여 원화를 감상할 때 얻는 심미적 만족감을 충족시켜 포스터에 집중하게 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매년 개최되는 부산국제영화제 포스터를 디자인할 때 차별화된 정체성을 가진 포스터가 대중들과 관객들에게 흥미와 공감을 유발하고 예술성을 함께 아우를 수 있는 디자인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first international event held in Korea in 2021 amid the COVID-19 pandemic, was the first international event in Korea with over 1,000 general audiences participating since the Corona crisis. In addition to the qualitative growth of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Korea's first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oster design, a representative medium to promote the film festival, has also brought many developments. This study classified the components of the posters of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to formative components (image, logo, color, margin, layout) and content components (title position, typeface, format) and examined the main image types of 26 types of posters of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the original works of artists participating in the work to find out the difference from other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oster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posters in the visual expression types of posters at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survey was conducted by producing experimental posters with three types (original painting, photography, and graphics) of the posters at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at fit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posters made using original painting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5.02), the picture was 4.67, and the graphics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with 4.20. According to the result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posters for movies that require communication with unspecified majority, when the posters of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ere produced using a clear concept and a Korean image that is already familiar to the public and artistic, the unique attributes of the Korean won combined to satisfy the aesthetic satisfaction obtained when appreciating the Korean won, which will lead to a positive response. When designing posters for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eld every year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a poster with a differentiated identity will arouse interest and sympathy for the public and audience and will help develop a design that can embrace artistry.

      • 문제성 피부의 에스테틱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박미애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39

        Due to environmental effects and excessive management due to poor knowledge, there have been many problems with sensitive skin or skin areas recently. Esthehic skin care is carried out to prevent skin problems and to revve skin’s original function to improve and maintain skin. Therefore, research was conducted to diversify esthetic work areas and develop esthetic programs through the development of esthetic management programs for prlblematic skin. The details of this study include the skin condition qestionnaire you feel for customers visiting the author’s workplace for the flrst time, part 1. 24 Ouestions. Questionnaire section 1 and 23 questions were conducted to show the purpose and prior status of the visit. Categorized as problematkc skin, sensitive skin, aging skin, and pigmented skin through surveys by tatgat the age of the subjecst, the age of the subjects, the environment of the subjects, the skin condition of the subjects, and the skin interest rate of the subjects are measured by statistics on the frequency and proportion of the skin interest we analyzed it, developed programs for problematic skin, and developed home care program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cne skin recognition status. most eople think the T-zone area is always shiny Next, there were concerns about pores and redness, and the sensitivity was high when acne customers somplained of dryness. The main ingredients used for filling management of the management program were high in the order of mandelic acid, lactoperin, azeloglycine, and salicillinic acid among home care, cleansing products are important and improvement is higher than other skin when you have been treated shile using recommended home care. Second, sensitive skin recognition. Most often, l thought my skin was thin and dry. Next, l was worried about skin trouble and redness Sensitive customers often showde sensitivity to alcohol- based products, and among htem, toner was the most common. The filling of the management program was effective when the main ingredients used in management were in the order of retinol, mandelic acid, laticic acid, and salicylic acid. Cream is the mast important part pf home care, improves barrier management the level pf imprlvement over other skin. Third, aging skin recognition status. Most of the time, people think that makeup is good for hteir skin. Next, l was worried about fine wrinkles and dryness, and the aging customers preferred moistuzers, especially cream. The filling of the management program was effective shen the main ingredients of the management were put in the order of retinol, mandelic acid, pyruvic acid, and lactobiosic acid spot serum is the most imporhant part of home care it improves skin regeneration and the level of improvement compared to other skin types. Fourth, it is the condition of perception of hypertrophic skin. Most people thought that makeup was good for their skin. Next, there was a concern that the skin was thin, dry, and there was a skin stain, and the hyper- pigmentation skin, preferred watery skin, especially serum sontaining vitamin C. The filling of the management program was effective when the main ingredients used in management were in the order of mandelic acid, pitic acid, and retiol. Among home care products, spot serum and snoose products with low irritation, vitamin C, and high retinol content it also improves dead skin and dryness, and it improves nerve-racking comparde to other skin types. In this study, the age, environment, skin condition, and skin interest lf the subjects were analyzed, and the development of management programs for problematicskin, and the method and effectiveness of home care programs were derived. Thus, these results are signficant in the establishment of esthetic management programs for provision lf marketing materials. 환경적인 영향과 잘못된 지식으로 인한 과도한 관리 등으로 최근에는 예민피부나 피부 부위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피부의 문제점을 방지하고 피부 본래의 기능을 되살려 피부를 개선해 유지하는 목적으로 에스테틱 피부관리를 한다. 이에 문제성 피부의 에스테틱 관리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에스테틱 업무 영역을 다양화하고 에스테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세부 사항으로는 에스테틱을 운영하는 저자의 사업장에 방문하시는 고객들에게 자신이 느끼는 피부 상태 설문지 1부 24문항, 방문 목적과 사전 상태를 알 수 있는 설문지 1부 23문항을 실시하였다. 대상별 조사를 통하여 문제성 피부로 분류된 여드름 피부, 예민피부, 노화피부, 과색소 피부로 분류된 문제성 피부 200명을 대상으로 연구 대상의 연령, 연구 대상의 환경, 연구 대상의 피부 상태, 연구 대상의 피부 관심도를 빈도와 비율로 통계하여 분석하고 문제성 피부의 프로그램 개발, 홈 케어 프로그램 개발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드름 피부 인식 실태이다. T존 부위가 항상 번들거린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모공, 홍반에 고민이 있었으며 여드름 고객이 건조함을 호소한 경우 예민도가 높았다. 관리프로그램의 필링 관리 시 들어가는 주성분의 함유량을 만델릭산, 락토페린, 아렐로글내이신, 살릭 실린 산 순으로 했을 때 효과가 높았으며 홈 케어 중에서 세안제가 중요하며 권장 홈 케어를 같이 사용하면서 관리를 받으신 경우 개선도가 다른 피부보다 높았다. 둘째, 예민 피부 인식 실태이다. 피부가 얇고 건조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피부 트러블, 붉어짐에 고민이 있었으며 예민 고객이 알코올 기반 제품에 민감함을 보인 경우가 많았으며 그중에서도 토너가 가장 많았다. 관리 프로그램의 필링은 관리 시 들어가는 주성분의 함유량을 레티놀, 만델릭산, 라틱산, 살리실릭산 순으로 했을 때 효과가 높았으며 홈 케어 중에서 크림이 가장 중요하며 장벽 관리와 건조함을 개선하며 관리를 받으신 경우 개선도가 다른 피부보다 높았다. 셋째, 노화피부 인식 실태이다. 화장을 하면 피부가 좋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잔주름, 건조함에 고민이 있었으며 노화 고객은 보습제를 선호하며 그중에서도 크림을 가장 선호하였다. 관리 프로그램의 필링은 관리 시 들어가는 주성분의 함유량을 레티놀, 만델릭산, 피루빅산, 락토바이오닉산 순으로 했을 때 효과가 높았으며 홈 케어 중에서 스팟 세럼이 가장 중요하며 피부 재생력과 건조함을 개선하며 관리를 받으신 경우 개선도가 다른 피부 보다 높았다. 넷째, 과색소 피부 인식 실태이다. 화장을 하면 피부가 좋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피부가 얇고 건조함, 피부 얼룩이 있다는 고민이 있었으며 과색소 피부는 물광 피부를 선호하며 그중에서도 비타민C 성분이 들어있는 세럼을 가장 선호하였다. 관리프로그램의 필링은 관리 시 들어가는 주성분의 함유량을 만델릭산, 피트산, 레티놀 순으로 했을 때 효과가 높았으며 홈 케어 중에는 스팟 세럼과 크림이 중요하며 저자극과 비타민c, 레티놀 함유량이 높은 제품을 선택하고 각질과 건조함을 같이 개선하며 관리를 받으신 경우 개선도가 다른 피부 보다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의 연령, 환경, 피부 상태, 피부 관심도를 분석하고 문제성 피부의 관리프로그램 개발과 홈 케어 프로그램의 방법과 효과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문제성피부의 에스테틱 관리프로그램 구축과 마케팅 자료의 제공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생수브랜드 구성요소에 관한 한국·중국 탐색연구

        최문천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생수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업체 간 경쟁도 치열하며 생수시장 세분화, 차별화, 기능화 추세가 날로 뚜렷해진다. 기업들이 다양한 소비층 수요에 부응하고 있는 제품을 생산하고 브랜드 파워와 제품의 품질이 중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생수브랜드 구성요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2022년 3월 기준, 한국과 중국 생수브랜드평판 상위 각 5개 생수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의 언어적 요소인 네이밍과 슬로건, 비언어적 요소인 로고타입, 타이포그래피, 일러스트레이션, 컬러와 레이아웃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언어적 요소에서 네이밍은 한국과 중국이 비슷하게 수원지 유형을 많이 사용하였다. 한국은 제품 특성을 표현한 제품품질 유형을 선호하며, 중국은 기업명을 강조하는 유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슬로건은 한국이 대부분 명칭 제시형으로 브랜드명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은 가치 제시형으로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를 표현하였으며 다양한 슬로건 형태를 제시하였다. 비언어적 요소에서 로고타입은 한국과 중국이 모두 언어와 시각의 결합 방식으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워드마크와 콤바네이션 유형을 사용하였고 심볼마크 유형과 앰블렘마크 유형이 전혀 없다는 것을 확인될 수 있다. 타이포그래피는 한국 생수브랜드가 가로와 세로획의 굵기가 같기 때문에 가독성이 높은 산세리프를 더 많이 선호하며, 중국은 한국과 달리 곡선미를 강조하는 세리프로 조금 더 많이 사용했지만, 산세리프로 비슷하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러스트레이션은 한국이 자연이미지를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하며, 중국은 간단한 그래픽이미지 유형과 자연이미지를 균형적으로 사용하였다. 컬러는 한·중 양국은 모두 깨끗한 물과 시원한 맛을 강조하기 위하여 한색 계열을 더 많이 이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라벨의 레이아웃은 한국은 모두 상단형 배치로 나타났다. 중국은 한국에 비해 다채롭고 다양한 라벨 배치를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한국 생수브랜드는 비슷한 디자인이 많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진 것이 아니라 특정한 유형 안에서 디자인 요소를 더해 차별화를 강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은 다양한 디자인 형태를 활용하지만, 대체적으로 기업 위주의 디자인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다. 마케팅 측면에서 한국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중시한다. 반면에 중국은 아직 기업의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하여 CI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생수브랜드 사례의 비교분석연구를 통해 마케팅에서 브랜드 구성요소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향후 생수 브랜드이미지 표현전략 수립과 생수의 디자인 제작 방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로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mineral water market shows steep growth, competition among companies is fierce, and the trend of segmentation, differentiation, and functionalistic of the mineral water market is becoming increasingly obvious. Companies are producing products that meet the demands of various consumers, and brand power and product quality are being emphasized. As a resul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top five mineral water brands in Korea and China's linguistic elements, such as name and slogan, and nonverbal elements, such as logo type, typography, illustration, color, and layout, as of March 2022.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or verbal elements, the names are similar to those of South Korea and China, and many types of water sources are used. Korea prefers product quality types that express product characteristics, and China uses types that emphasize corporate names. The slogan emphasizes the brand name, as do most of the names in Korea. China expressed the value pursued by companies in the form of value presentation and presented various slogan forms. In nonverbal elements, it can be confirmed that both Korea and China used word and combination types that effectively communicated information in a language-visual combination manner and that there are no symbol and emblem types at all. Typography prefers highly readable Sans-Serif because Korean mineral water brands have the same width and vertical strokes; unlike Korea, China used it a little more as a serif that emphasizes curved beauty, but it was found to be similar to Sans-Serif. For illustration, Korea uses natural images overwhelmingly, and China uses simple graphic image types and natural images in a balanced manner. As for the color, it can be seen that both Korea and China used more color to emphasize clean water and a cool taste. The layout of the labels in Korea was all shown in a top-down arrangement. Compared to Korea, China has a variety of colorful labels. Overall, it can be seen that Korean mineral water brands have many similar designs and do not have various forms, but emphasize differentiation by adding design elements within a specific type. China uses various design forms, but it is generally approaching the direction of corporate-oriented design. In terms of marketing, Korea values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China, on the other hand, continues to emphasize CI by sending a unilateral message from companie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f Mineral Water brand cases, we hop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brand components in marketing and use them as data that can help establish strategies for expressing Mineral Water brand images and the direction of design production.

      • 성인 남성의 두피·모발상태 인식과 외모관리 실태에 대한 연구

        김나희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39

        As the interest in beauty increases day by day in the rapid changes of modern society, adult men regard appearance as much as women. As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hairstyle as a part of the appearance in the social competition due to the spread of the appearance lookism, the hair and scalp care play an important role.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scalp and hair recogni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adult men. To this end, 206 adult men in their 30s or older living in Busan city were surveyed about their perception of hair condition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ir hair related appearance management statu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re were many respondents in Busan who did not understand the condition of their scalp and hair properly and did not receive proper care. These results show that men are not interested in scalp and hair care and that their interest does not lead to actu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lso, the expenditur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relatively low.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can draw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even though men are aware of the problems and importance of scalp and hair care, they do not make any financial or time-consuming effort or investment to actually improve the problem. It can be assumed that the reason is due to the lack of relevant knowledge and the cos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men should spread their knowledge about scalp and hair so that they can increase their daily interest in scalp and hair health and lead to actual management behavior. Second, it is also a problem that adult males often do not know exactly what their scalp and hair condition is. Hair-related workers have professional knowledge of scalp, hair, and know the accurate product. Therefore, as a specialist, it will be necessary to raise consumer awareness by they have a sense of mission to spread the knowledge of management needs and future home care methods.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male cosmetics by examining the scalp and hair recogni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adult males at the point of popularization and activation of the beauty industry due to the change of active attitude of 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aluable for the management of the men's beauty market and the marketing data of the cosmetics industry, which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core consumer segment. However, since it is limited to the scalp and hair recognition survey of adult men in Busan city, there is a limit to expending the results for all ma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into various regions. 현대사회는 급격한 변화속에서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면서 성인 남성은 여성 못지않게 외모를 중요시 여기고 있다. 외모지상주의가 확산되면서 사회 경쟁에서도 외모의 한부분인 헤어스타일을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고 인식하면서 두피 모발관리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남성의 두피·모발 인식과 외모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성인 남성 206명을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에 따른 모발상태에 대한 인식 정도와 그들의 헤어 관련 외모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질문지를 이용한 실태조사 분석 결과 부산지역 남성들은 첫째, 성인 남성이 인식하는 두피 타입은 정상이 많았고, 30대가 정상, 40대는 민감성, 50대는 지성 두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 모발 관리 행동 정보 수집은 미용실 등 전문 관리샾,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용실에서 두피 모발 관리를 받는 경우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남성들이 사용하는 샴푸로는 일반 샴푸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천연 샴푸, 탈모 방지 샴푸 순으로 샴푸 시 두피 모발 상태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샴푸 방법은“ 두피와 모발을 지문을 이용해 잘 문지른다.〞잘 숙지하지만 샴푸 후 물로 충분히 헹구지 않은 것으로 응답했다. 스트레스와 운동정도에 따른 두피 및 모발상태를 인식의 차이·를 분석 결과 스트레스가많고 운동 횟수가 많을수록 두피 상태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고 하지만 스트레스나 운도정도가 모발 상태 인식에는 크게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피· 모발 관리 행동 조사 결과 ,결혼여부에서 기혼자가 미용실에서 두피 모발 관리를 받는다는 응답이 많았고, 월 소득 수준이 높고 , 직업별로는 자영업자가 관리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 관리 행동에서는 결혼여부에서 미혼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신헤어 스타일, 염색 등 헤어관련에서는 미혼이 적극적으로 나타났다. 흡연여부로는 흡연자는 두피 상태는 좋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지만 두피 모발관리에는 소홀한 것으로 조사 되었고 , 외모관리는 적극적으로 나타났다. 흡연자일수록 외모관리뿐만 아니라 모발 관리에 관심을 가질 필요사 있을 것이다. 성인 남성의 두피 모발 개인 특성을 포함한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발 상태가 좋은 것으로 인식할수록 두피 모발관리 행동에 적극적이며, 연령대와 월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두피 모발관리 행동에 적극적임을 알 수 있다. 외모관리 행동에 대한 두피·모발 상태 인식의 영향을 살펴보면, 두피·모발 상태 인식은 외모관리 행동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두피·모발의 상태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응답자가 많았고, 제대로 된 관리를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남성들은 두피·모발 관리에 대한 관심이 그다지 높지 않은 편이며, 그 관심이 실질적인 외모관리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외모관리 행동에 지출하는 비용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성인 남성은 두피·모발관리의 문제점과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더라도, 문제를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금전적, 시간적 노력이나 투자는 거의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관련 지식의 정확한 인지 부족과 관리비용의 문제 때문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남성들 자신이 두피·모발 건강 상태에 대한 일상적인 관심을 높이고 실제 관리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두피·모발 관련 지식의 확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헤어 관련 종사자들은 두피와 모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정확한 제품 숙지하고 있는 전문가로서 고객들에게 관리의 필요성과 차후 홈 케어 방법 등의 지식을 전파해야 하는 사명감을 가짐으로써 두피 모발 관련 산업의 마케팅 측면에서 소비자의 인식을 고취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남성의 적극적인 태도 변화로 인해 미용 산업의 대중화와 활성화 되고 있는 시점에 성인 남성의 두피 및 모발 인식과 외모관리 실태에 관한 조사를 통해 남성미용 관련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새로운 핵심 소비자 층으로 주목되는 남성미용 시장의 관리와 미용 관련 업계의 마케팅 자료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부산지역 성인 남성의 두피·모발 인식조사에 한정된 결과이므로 모든 남성에 대한 결과로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지역으로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유압실린더 내 진공 제거를 위한 이중 밸브 시스템의 개발

        김진출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In general, if the piston is back-warding in the reverse direction after applying pressure to the pisto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backward itself is impossible due to vacuum inside the cylinder or the operation is carried out in a very slow state. Due to this phenomenon, it takes a lot of time in the work process, and a lot of strain is applied mechanically. Therefore, in this study, a double valve system was developed to remove the vacuum state that occurs during the reciprocating operation of the piston inside the cylinder. A method of making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of the fixed valve that moves the piston axi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diameter of the movable valve that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was developed. In addition, the fixing valve has a hole of a certain size in the middle of the plate so that it is pushed together with the movable valve in the positive direc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fixing valve and the moving valve are ope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ressure on both parts of the valve is instantaneously the same value, thereby removing the vacuum. In order to prove the developed method objectively, the patent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and the grease injection device were actually produced. In addition, the actual grease was filled in the hydraulic cylinder manufactured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Backward was possible at a very high speed. Therefore, we solved the speed problem that was slowly back-ward as well as the noise and vibration that emerged as the most problematic problem for all products generated from hydraulic pressure in a simple way. It is believed that this can provide a very innovative and advanced method in the fast-responsiveness part of the piston's reciprocating motion, which has emerged as the biggest problem with hydraulic equipment. In the future, when this system is applied to various field facilities or machines using hydraulic pressure, it is expected that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s well as economic value can be expected because actors can proceed with the fast work proces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실린더는 피스톤을 정방향으로 압력을 가한 후 역방향으로 Back­ward를 하게 되면 실린더 내부가 진공으로 인해 Back­ward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속도가 매우 느린 상태로 운전하는 현상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인해 작업 공정상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기계적으로도 많은 무리가 가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린더 내부에서 피스톤의 왕복 운전 시 발생하는 진공상태를 제거하기 위해 이중 밸브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중 밸브는 피스톤 축을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고정 밸브의 지름 크기와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가동 밸브의 지름의 크기를 미소하게 차이를 두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고정 밸브는 판의 중간 부분에 일정 크기의 홀(Hole)을 두어 가동 밸브와 서로 정방향일 때는 함께 밀려가도록 하였다. 역방향일 때는 고정 밸브와 가동 밸브가 일정 간격을 둔 상태에서 개방이 될 때 밸브의 양쪽 부분에 있는 압력이 순간적으로 같은 값이 되도록 함으로써 진공이 제거되도록 하였다. 개발된 방식의 객관적인 입증을 위해 특허의 출원 및 등록 및 그리스 주입장치를 대상으로 실제 제작을 하였다. 그리고 실험 결과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제작된 유압실린더에 실제 유체를 채운 후 운전을 시킨 결과에 따르면 매우 빠른 속도로 Back­ward가 가능하다는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압으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제품에 가장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던 많은 소음과 진동은 물론 느리게 Back­ward되었던 속도 문제를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하였다. 이는 유압 관련 기기에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던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른 속응성 부분에 있어서 매우 획기적이고 진보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향후 이 시스템을 유압을 사용하는 각종 현장 설비 또는 기계에 적용할 경우, 매우 빠른 작업 공정을 진행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이로 인한 경제적인 가치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