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입문기 한국어 학습자의 자음자 교육 방안 :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으로 -

        이명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입문기 한국어 외국인 학습자 대상으로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를 한국어 자음 지도에서 활용하여 학습자의 재미를 일으키면서 좀 더 알기 쉽게 체계적으로 접근하고자 하고 어휘 학습 지도에 능률적인 PPP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한국어 기본 자음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입문기 한국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자음자의 특징과 한국어 자음자의 지도방안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제Ⅰ장 서론에서는 입문기 한국어 학습자의 교육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는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알아보며, 연구의 방법과 구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제Ⅱ장은 한국어 자음자의 특징에 관련한 이론적 고찰이다. 먼저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한 개념과 의미, 속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한글 자음 특성에 대한 고찰로서 각 자음자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Ⅲ장에서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를 활용한 한국어 자음자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자음자와 발음 교육 지도방안을 알아보고 자음자의 학습 순서를 알아보았다. 제Ⅳ장에서는 앞서 각 장에서 서술한 주요 내용을 다시 정리하면서 PPP 수업모형과 TBI 수업모형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입문기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자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제Ⅴ장에서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입문기 한국어 학습자의 자음자 교육 방안이라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한글 낱자 지도’의 원리에 대한 연구에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정리하였고 그 시사점을 확인해 보며 마무리하였다. * 키워드: 입문기 한국어 외국인 학습자, 훈민정음 제자 원리, 자음자 교육 * 본 논문은 2022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천문분야에 관한 예비교사 및 교사들의 이해도 조사

        강인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천문분야에 관한 예비교사 및 교사들의 이해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천문내용과 관련된 15개의 세부문항을 소 주제별로 작성하여 B교육대학교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183명과 부산 및 인근지역에 근무하는 228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룻밤 동안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를 한 계절 및 두계절의 별자리만 관측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태양의 밝기가 별들 중에서 밝다고 생각하거나 전혀 모르고 있었다. 셋째, 태양은 자전하지 않고, 우리나라의 여름철에 태양 빛이 수직으로 비친다고 생각하였다. 넷째, 여름철이 더운 이유 중 고도의 변화는 잘 이해하는데, 낮의 길이의 변화는 잘 모르고 있었다. 다섯째, 달의 위성변화의 원인을 반 정도만이 이해하고 있었다. 여섯째, 별의 모양을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하고 있었다. 일곱째, 별의 개념을 잘 이해하지 못하였고, 별빛의 색깔과 온도와의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는 비율이 높았다. 여덟째, 별빛이 반짝거리는 이유에 대하여 알고 있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이러한 응답의 경향으로 볼 때 천문분야에 관한 예비교사나 교사들의 교육이나 재교육에서 올바른 과학개념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하겠고, 재미있고 이해하기 쉬운 교재의 보급이 중요하며, 교육대학에서의 천문분야에 관한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짜야 하겠다. 주요어 : 유년적 사고, 별, 자전, 위상변화 ※ 본 논문은 2002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levels of understanding of the future teachers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area of the astronomy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method.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15 questions which were selected from the area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the 183 future teachers who attended at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22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orked in Busan and its neighboring c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Many of the futur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some misconceptions in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1. They did not know how many seasons' constellations could be observed through one night. 2. They did not know the brightness and rotation of the sun. 3. They thought the altitude of the sun was vertical during summer in Korea. 4. They understood that the one of the causes why the summer was hot was the variation in the altitude of the sun, but did not understand the variation in the length of daylight. 5. Only the half of them understood the reason of the lunar phases. 6. Most of them did not understand what the stars we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temperature of the star. 7. They did not know the reason why the stars were twinkling. This study suggests that college educator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get right scientific conceptions should be given. Also, it is important to supply interesting and understandable teaching materials.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s college should be made by correlating with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key words; misconception, star, rotation, lunar phases

      • 부산지역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의 박물관 활용 방안

        신명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문화는 인간이 지닌 외적 생활 양태의 총체적인 모습이란 측면과 함께 그 안에 담긴 고유한 정신이나 제도 , 관습 등을 전체적으로 지칭하고 있다. 문화는 사회구성원에 의해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변화하며 발전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개인이나 사회 집단은 지적 정신적 심미적 계발을 위해 문화적 행위를 통해 창의적 산출물을 창출하였다. 이러한 문화 활동은 문화정책을 통해 발전해 왔다. 오늘날 문화 정책은 국민생활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문화 환경의 조성과 여건 형성에 목표를 두면서 문화예술지원법의 제정과 함께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도입되었다. 문화예술교육은 학습자가 자신의 내적 문화예술 요구에 기초하여 자신을 바르게 이해하고 자신과 문화예술작품과의 만남을 통해 소통을 형성하며 나아가 자신의 창작 활동을 통해 자기를 표현하고 실현해 가는 교육활동이다. 그러나 지금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은 이론적 정당성과 방향의 부재 속에 예술 영역에 한정된 기능 습득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문화교육의 산실인 박물관 교육과 연계하여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성격을 파악하고 박물관 교육과의 접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우리 부산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연구 학교 중에서 ‘금성초’와 ‘송운초’를 선정하였는데, ‘금성초’의 경우는 작은 학교와 대안교육의 방향 속에서 체험과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주제통합중심의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발과 모델을 제시한 점과 ‘송운초’는 지리적으로는 대도시 내에 위치하고 있지만 문화 경제적으로 소외된 지역에 해당되어 정책적으로 공교육에서의 지원과 노력이 요청되는 교육복지투자지역이기 때문이다. 분석 과정에서는 연구 학교 자체 결과 보고서와 부산교육청 자료 및 활용하였다. 연구학교 운영 결과 보고서외에 실제적 운영 모습을 알아보고자 담당자와의 면담과 인터뷰 등의 방법으로 보고서의 형식성을 보완하였다. 두 학교의 운영 사례와 분석 속에서 문화예술교육 중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온 문화교육을 위한 박물관 활용 방안의 모색과 활동이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박물관의 열악한 조건과 학교 교사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통일된 인식과 노력, 정책적인 지원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나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예능 관련 교과와는 다른 통합교과로서의 성격과 학습자의 체험을 강조하는 원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한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교육과정 속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편성 운영되어져야하며 박물관과 학교가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연계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는 노력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Culture refers to a way of life of people and also the sum of total of spirits, systems, customs, and so on. Culture moves, changes, and develops in a dynamic way by members of society. A person or a group of people composing society have produced creative outputs through cultural activities for intellectual, spiritual, and aesthetic development. These cultural activitie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cultural policies. Cultural policies of today place object on establishing cultural environment and building conditions in a bid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people, and accordingly the Law for Support of Culture & Arts Education has been enacted, and culture & arts education in schools has been adopted. Culture & arts education is the education activities with which learners can understand themselves based on their internal demand for culture & arts education, have communication between themselves and cultural artworks, and moreover express and realize themselves through their own creative activities. However, culture &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limited to the education for acquisition skills in arts amid lack of theological justifiability and direction, and it fails to be linked to the museum education, which is a cradle of culture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culture & arts education and look into a contact point with the museum education. Especially, 'Geumseong Elementary School' and 'Songun Elementary School' have been selected out of schools for culture & arts education in Busan area, as 'Geumseong Elementary School', which aims for the small school and alternative education, has emphasized on experience and humanity education and proposed development of new education curriculum and relevant model centering on thematic integration, and 'Songun Elementary School' which is located in a big city, but is in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region, as it is in the culturally and economically-underprivileged area, and thereby requiring politic support and efforts. In the process of analysis, reports of the schools related to this study and materials of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have been utilized as data. In an attempt to figure out real operation status of the above-mentioned schools, meeting and interview with the persons-in-charge of those schools have been conducted to supplement the reports.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examples of operation of two schools, it was found out that to devise a plan on utilization of museum and develop relevant activities, which have been overlooked comparatively, are important for cultural education. Centering on the issues appeared such as poor conditions of museums, lack of unified recognition and efforts for culture & arts education of school teachers, and insufficient politic support, I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or this research.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noticed that culture & arts education has a characteristic as an integrated subject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art education, and thereby it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principle placing emphasis on experiences of learners. School culture & arts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in a more diversified manner, and systematic efforts should be exerted so that education by linking museums and schools can be conducted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organic collaboration between them.

      • 그림책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 그림책 <슈퍼거북>을 중심으로

        정서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ABSTRACT A study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picture book -Focusing on Picture book called<Super Turtle>- Jeong seo yeon Major i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Kim jun hyung A paper states the efficiency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picture books. It means that the Korean education by picture book is great method to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y and multicultural children. In addition, the paper clarifies the educational value and efficiency based on the picture book. Finally it come up with an efficient way to educate. It endeavors to devise and applicate efficient education method by presenting the picture book to students. It shows how educational「Super Turtle」is especially to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y that is not experience with Korean. In the aspect of literary benefit,「Super Turtle」can make students learn a lesson through interpretation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increase imagination and expressive language skills. In chapter Ⅳ, the study presents a guideline centred on teaching and learning following application of「Super Turtle」in education. It devides class into 50 minutes twice that plan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 by focusing on speaking lesson. In first class, lesson was organized of understanding the context, and expressing text or speech after learning simple vocabulary and pronouncation. In second class, it was organized of difficult speech to become further in degree. But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ho aren't native couldn't utilize Korean grammar for themeselves. Consulting the problems encountered, it provides another guidelines adapting to beginners, which are intermediate expression and elemetary grammar focusing on speaking lesson. In results of new guidelines, students get the efficient of decreasing of fault, improving the reading ability, and literary emotion by repeated learning. Therefore the picture book named 「Super Turtle」helps to expand thinking ability and cultivate emotion in the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ing. If female marrige immigrant family consistently participate in Korean education by the picture book, they will resolve the communication problems in Korean and have an positive effects on their children. * keyword : picture book, Korean education,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y, communication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그림책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그림책 <슈퍼 거북>을 중심으로- 정 서 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준 형) 본고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효용성을 밝히고 여성결혼이민자들과 다문화 아동에게 한국어 교육의 일환으로 그림책이 언어교육에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또 그림책 교육의 가치와 효용성을 밝히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살펴보았다. 그림책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응용한다. 특히 한국어가 서툰 여성결혼이민자에게 그림책『슈퍼 거북』의 활용 교육은 한국어 교육 자료로서 언어 표현력 확장에 도움이 되고 상상력과 다양한 관점의 해석은 문학적 효용성을 가져다주었다. 그림책 활용 교육을 토대로 Ⅳ장에서는『슈퍼 거북』을 응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를 통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수업 시간은 50분씩 2차시를 나누어 말하기 위주의 수업으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도모하였다. 1차시 수업은 책 내용을 이해하고 간단한 어휘와 발음을 배워 말이나 글로 표현하는 수업을 진행하고, 2차시 수업은 더 심화하여 표현학습 즉 말하기 위주로 진행했다. 하지만 2차시 수업을 한 후 국어학습자와는 달리 문법 활용이 자유롭지 못한 것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한국어 교수-학습을 다시 마련한 다음, 표현하기 활동은 중급 수준으로, 문법은 초급수준으로 맞추어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직접 수업에 적용해 본 결과 반복 학습으로 오류가 줄어들었고 읽기 능력의 향상과 문학의 정서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림책『슈퍼 거북』은 다양한 형태의 교수-학습 지도를 통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사고력 확장과 정서함양에도 도움을 준다. 여성결혼이민자가 지속적으로 그림책을 통한 한국어 교육에 참여한다면 한국어를 통한 소통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그들의 자녀에게도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 키워드 : 그림책, 여성결혼이민자, 의사소통, 학습 지도안, * 이 논문은 2019년 8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폴라니(M. Polanyi)의 지식의 통합성에 기초한 놀이 중심 교육 고찰

        김금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ABSTRACT A Study of Play-Centered Education based on M. Polanyi's Integrity of Knowledge Kim, Keum-Ra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Lee, Jo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lay-centered education based on the integrity of knowledge, which is Polanyi's theory of knowledge, and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his theory for play-centered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elementary school educators and early childhood educators with information on the successful and systematic articu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on play-centered education. This study placed an emphasis on the limitations of objectivist epistemology suggested by Polanyi and relativist epistemology separately by analyzing major books, and to shed light on the integrity of knowledge as an integrated curriculum by analyzing the nature of tacit knowledge and personal knowledge and by analyzing subsidiary awareness and focal awareness that make up them.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major books on the concept, utility, integrity and importance of play-centered education related to Polanyi's discussions, to analyze the connection between Polanyi's theory based on the integrity of knowledge and play-centered education, and ultimately to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olanyi's theory on actual play activities. It could be said that Polanyi's epistemology is a new epistemology, which is the integration of epistemology and ontology, because it seeks after truth as an intellectual zeal through the positive participation of preschoolers, because it explains the possibility of discovery through tacit knowledge, and because it is comprehensive of the whole person. The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is a translation of "personal knowledge" mentioned by Polanyi, and the two perfectly coincide with each other. As for the core concept of personal knowledge as a nature of knowledge, it consists of subsidiary awareness and focal awareness. Focal awareness refers to a state of mind that the person is immersed in what he or she does and is united with it. Subsidiary awareness refers to knowledge of which the person is oblivious when the focal awareness is utilized. Accordingly, the integrity of knowledge mentioned by Polanyi is the ultimate nature of personal knowledge, and that refers to the tacitness of knowledge, namely the integrity of knowledge that is comprehensive of everything without distinguishing one from another. According to Polanyi's knowledge theory, the play-centered education is based on four aspects the concept, effectiveness, integration, and significance of play- centered education. Play-centered education is child-centered education considered a child being the owner of learning and it is the integrated statu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for child to acquire knowledge through play. Play with developmental educational therapeutical and evaluative function impacts children's whole development. Play-centered education has effectiveness in that children obtai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learning opportunities. Integrity in play-centered education also is advocated by the theories of Dewey, Bruner and Tyler. The importance of play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lso is advocated by the constructivist theories of Piaget and Vygotsky. Indeed, the importance of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previous literature in that young children's whole development occurs through play. The implications of Polanyi's theory of knowledge for play-centered education are as follows the concept of play-centered education:-and the connection of it’s characteristics. Polanyi's integrity of tacit level refers the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namely the integrity of knowledge, and that articulates with play-centered education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that young children learn knowledge by spontaneous and positive play and that their cognitive development takes place in an integrated manner. Besides, play-centered education that centers arou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curriculum articulates with Polanyi's theory, namely integrity of explicit level, which states that an integrated approach is necessary for children whose thinking and mind aren't yet developed. Polanyi's theory and play-centered education develop into a form of discovery instruction in the midst of children teacher interactions. At that time, the teacher and the young children acquire knowledge in the course of relying on each other and interacting, namely through persuasion by the teacher as teaching and discovery by the child as learning. Polanyi's theory has frequently been presented in integrated curriculums at elementary, middle, and secondary levels but it has rarely been addres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t proves that Polanyi's knowledge theory values children's interests and motivation and ultimately supports child- and play-centered education considering a child as being an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Polanyi's knowledge theory provides the fundamental resources on play-based education as to connect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 Keywords: the tacitness of knowledge, personal knowledge, the integrity of knowledge, play-centered education, articulation.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논 문 요 약 폴라니(M. Polanyi)의 지식의 통합성에 기초한 놀이 중심 교육 고찰 김 금 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지도교수 이 주 옥 ) 본 연구는 Polanyi의 지식이론인 지식의 통합성에 근거하여 놀이 중심 교육에 대해 고찰해보고 그것이 놀이중심 교육 활동에 미치는 시사점을 통해 유아교육자들에게는 물론 초등 교육자들에게도 체계적인 유·초 연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주요문헌을 통해 Polanyi가 주장하는 암묵지와 자득지의 성격과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보조식과 초점식을 통해 통합 교육과정으로서의 지식의 통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Polanyi의 논의와 관련된 놀이 중심 교육의 개념과 효용성, 통합성 및 중요성에 대한 주요 서적을 살펴보고 지식의 통합성을 바탕으로 한 Polanyi의 이론이 놀이 중심 교육과의 연계성 및 실제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Polanyi의 인식론은 유아의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 지적 열정으로서의 진리를 추구한다는 점과 발견의 가능성을 암묵적 지식을 통해서 설명하며 전인(whole person)을 내포했다는 점에서 인식론과 존재론을 통합한 새로운 인식론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식을 다루는 교육에서는 유아로 하여금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내면화 과정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지식의 내면화는 Polanyi가 주장하는 「personal knowledge」라는 용어의 번역어로 자득지와 완전히 일치한다. 지식의 성격으로서의 자득지의 핵심개념은 보조식과 초점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초점식은 당사자가 활동에 몰입해 활동의 대상과 혼연일체 되는 마음상태를 말하고, 보조식은 초점식이 활용될 때 의식의 대상이 되지 않는 지식을 말한다. 따라서 Polanyi가 말하는 지식의 통합성은 자득지의 최종적인 성격으로 일체의 구분 없이 모두를 포괄하고 있다는 지식의 암묵성, 즉 지식의 총체성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Polanyi의 지식 이론이 놀이 중심 교육의 실제에 시사하는 바를 놀이 중심 교육의 개념, 효용성, 통합성, 중요성으로 구분하여 제시할 수 있다. 놀이 중심 교육이란 교육의 주체인 유아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으로 이는 유아가 놀이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는 이론적 교육과 실천적 교육이 통합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놀이는 발달적, 교육적, 치료적, 평가적 기능을 토대로 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영향을 주고 유아들은 통합된 놀이를 통해 발달에 적합한 학습의 기회를 얻는다는 점에서 놀이 중심 교육은 효용성이 있다. 놀이 중심 교육에 있어서 통합성은 Dewey, Bruner, Tyler의 이론을 통해서 나타난다. 유아의 발달에 있어서 놀이의 중요성은 Piaget와 Vygotsky의 구성주의이론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유아교육에서 있어서 놀이의 중요성은 여러 측면에서 강조되고 있으며 유아는 놀이를 통해 총체적으로 전인발달을 해나간다고 할 수 있다. Polanyi의 지식이론이 놀이 중심 교육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은 놀이 중심 교육의 개념과 특징의 연계성으로 구분하여 제시할 수 있다. Polanyi의 암묵적 수준의 통합은 지식의 내면화 즉, 지식의 통합성을 의미함으로 이것은 유아의 자발적, 능동적인 놀이를 통해서 지식이 학습되고 인지 발달이 총체적으로 일어난다는 철학적 관점에서 놀이 중심교육과의 연계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교육과정의 중심에 두는 놀이 중심 교육은 ‘아동 존중’이라는 아동관을 가지고 있는 Polanyi의 이론 즉, 미분화된 사고와 마음을 지닌 아동에게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명시적 수준의 통합과 연계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Polanyi의 이론과 놀이 중심 교육은 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견적 수업의 형태로 나아간다. 이때 교사의 가르침으로서의 설득과 아동의 배움으로서의 발견을 통해 교사와 유아는 서로 의존하고 상호작용하면서 지식을 획득하게 된다. 그러므로 Polanyi가 말하는 온전한 지식의 획득인 자득지 즉, 총체적 지식으로서의 통합성은 유아의 경험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주제와 활동 간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놀이 중심 교육과 닮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Polanyi의 지식이론은 초·중등의 통합교육과정에는 많이 등장하지만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거의 거론되지 않고 있는 이론이다. 하지만 본 연구의 고찰을 통해서 Polanyi의 지식이론은 아동의 흥미와 동기 유발을 중요시하고 능동적이며 자발적 참여로서의 아동을 중요시하는 놀이 중심 교육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Polanyi의 지식이론은 놀이 중심 교육을 통해 유·초 연계를 실행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겠다. * 키워드 : 지식의 암묵성, 자득지, 지식의 통합성, 놀이 중심 교육, 연계성 * 이 논문은 2019년 8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임.

      • 고등학교 발명영재학급 운영 현황과 요구 조사

        서호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고등학교 발명영재교육의 운영 현황과 요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설치되어 있는 12개 고등학교 발명영재학급 설치기관과 각 기관의 발명영재학급 지도교사 61명(발명영재학급 담당교사 12명, 강사 4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발명영재학급의 운영 현황, 발명영재학급 교사 실태,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실태, 발명영재학급 운영 개선을 위한 교사들의 의견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에 고등학교 발명영재학급은 총 12개에 불과하였다. 영재교육원 2개와 지역공동 영재학급 3개 그리고 단위학교에 5개의 발명영재학급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고등학교 발명영재학급 학생들을 선발하는 방법으로 추천이나 선발고사, 면접 등 3단계 이상의 과정을 거치는 곳이 6개 학급이며 5개 학급에서는 2단계 이하 과정으로 선발하고 있었다. 선발이 대부분 추천과 선발고사에 의존하고 있어 다양한 방법을 도입하여 발명의 창의성이나 기술적 문제해결력 등 학생의 영재성을 바르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셋째, 발명영재학급의 학생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선발되지 않았더라도 고등학생 시절부터 선발되어도 된다고 90.5%의 교사가 응답하였고, 이는 지도교사가 발명은 창의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하며 시작 시기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발명영재학급 담당교사들이 제시한 운영상의 가장 많은 애로점은 교육 프로그램의 부족이었다. 교사의 34.9%는 학사학위를 소지한 자이고 발명영재학급 지도경력이 2년 미만이 56.8%이며 발명관련 연수경력은 52.1%가 120시간이 되지 못하였다. 72.1%가 본인의 희망에 의해 발명영재학급을 담당하게 되었으므로 발명영재교육 연수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여 전문성을 높여 줄 필요가 있다. 다섯째, 발명영재학급의 활동주제는 고등학생들의 지식재산권 창출에 적합하다고 92.8%의 교사가 응답하여 고등학교 발명영재학급에서 실제 출원하는 학생들이 있고 또한 어린 나이에 지식재산권을 다루면 발명에 대한 부정적 사고가 커질 우려도 있지만 유의미한 경험을 제공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고등학교 발명영재학급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지도영역으로 지식재산권 교육이 7%로 가장 낮게 나타나 지식재산권 교육을 위한 연수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여 지식재산권에 대한 전문성을 높여 줄 필요가 있다. 여섯째, 고등학교 발명영재교육은 발명 분야에 관심이 있는 고교 교사(54.5%)가 체계적인 발명영재교육 연수나 대학원 발명영재교육 전공을 하여(77.3%) 전문성과 자격을 갖춘 다음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있는 교사(70.5%)가 발명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운영에 참여해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2014년 11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의 초등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소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이 병행되는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교사별 피드백이 용이하면서 영재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블렌디드 러닝 프로그램 예시자료를 개발 · 보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초등수학영재에게 적용해 볼 수 있는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수 · 학습자의 반응과 특징을 분석한다. 먼저 블렌디드 러닝의 개념과 필요성, 이러닝과 에듀테크, 원격 영재교육의 특성 등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B광역시 교육청 영재교육원의 초등수학교실 12차시 교안을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의 초등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B광역시 M초등학교 5-A 일반학급 학생 25명에게 적용하였으며, 이 학급의 영재 학생 5명을 대상으로 집중 관찰 및 분석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 수업 장면 및 학생의 반응 등을 세 명의 영재교육원 지도 교사에게 제시한 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학생들은 오프라인 수업으로만 진행했을 때보다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온 · 오프라인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보다 높은 흥미, 관심, 의욕을 보이며 수업에 참여하였다. 또한 영재학생들은 LMS와 여러 가지 온라인 수업 도구들을 개별화 학습, 탐구과정, 협업에 적극 활용하였으며, 원격수업 시 교사의 개입 없이도 자기주도적으로 발견 · 탐구 학습을 진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영재교육원 수업 시 교사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도록 이러한 프로그램의 개발 · 보급이 필요하며,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에 모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과정안과 구체적인 온라인 수업도구 사용법 안내 등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의 초등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키워드 : 블렌디드 러닝, 초등수학영재교육, 원격수업, LMS * 이 논문은 2020년 1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disseminate examples of blended learning programs applicable to actual gifted education sites to facilitate feedback by teachers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where on-line classes and off-line classes are mixed.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develop a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Second, after applying that gifted education program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 analyze the rea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or and learners. After conducting precedent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blended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edu-tech and on-line gifted education, the 12 teaching plans of the elementary math class of the B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as reconstructed as a 'program for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25 students in general class of 5-A at M Elementary School in B Metropolitan City, and was intensively observed and analyzed on five gifted students in this class. I presented development programs, class scenes, and students' responses to the guidance teacher of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According to the study,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with higher interest, attention, and motivation when they attended in organically connected programs with on and off-line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an when they conducted off-line classes alone. In addition, gifted students actively utilized LMS and various online class tools for individual learning, exploration process, and collaboration, and conducted self-directed discovery and exploration learning without the involvement of teachers in on-line classes. From the teacher's point of view, it was analyzed that it is urgent to develop and disseminate such programs to reduce the burden on teachers in the gifted education center class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nd it is necessary to add a teaching course plan and detailed instructions on on-line teaching tools that can be applied to both on and off-line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s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Keywords: blended learning,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programs, on-line classes, LMS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보드게임에서 초등수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규칙 이해와 전략 사용의 비교 연구

        배성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 문 요 약 보드게임에서 초등수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규칙 이해와 전략 사용의 비교 연구 배 성 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수학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동 환) 본 연구는 초등수학영재와 일반 학생 간 차이를 보드게임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보드게임의 규칙과 전략을 파악하는 능력과 몰입하는 정도에 얼마만큼의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초등수학영재와 일반 학생은 규칙을 찾고 이해하는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나. 초등수학영재와 일반 학생은 전략을 파악하는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다. 초등수학영재와 일반 학생은 몰입을 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초등수학영재와 일반 학생이 보드게임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그들 모두 흥미를 가질만한 보드게임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했다. 따라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 하기에 적합한 난이도의 보드게임을 택하였다. 각 게임은 다음의 이유로 선정하였다. 가. 학생들이 규칙을 생각하고 이해해야 하는가 나. 학생들이 전략을 파악하기 용이한가 다. 학생들이 흥미로워하는가 위의 준거를 통해 위해 선정된 보드게임은 젝스님트, 쉐입스업, 콰르토였으며 추가 실험으로 스트림스까지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 시 학생들이 보인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녹음 및 관찰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실시한 후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규칙 이해 부분에서 초등수학영재는 게임 규칙을 자세히 찾고 정확하게 게임을 수행하려는데 반해 일반 학생은 게임 규칙을 정확히 이해하지 않더라도 게임을 그대로 수행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둘째, 전략 파악 부분에서 초등수학영재는 게임을 진행하면서 자신만의 전략을 세워 게임을 진행하는 반면 일반 학생은 초등수학영재와 같은 경우도 있으나 단지 다른 친구를 이기지 못하게 하려고 전략을 짜는 경우도 있었다. 셋째, 몰입 부분에서 초등수학영재는 매 게임마다 집중력 있게 참여하고, 게임 속성 자체에 흥미를 느끼는 경우가 있던 반면 일반 학생은 게임에 흥미를 가지지 못할 경우 게임 규칙을 준수하지 않거나 게임을 포기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초등수학영재와 일반 학생 간에 보드게임을 대할 때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고. 그 항목을 위의 3가지 요소로 판별해 보았다. 해당 항목들에서 초등수학영재와 일반 학생 간의 차이를 발견하였고, 이는 문제해결역량과 정보처리역량 등 수학 교과 역량에도 차이가 날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중 일부를 선정하여 진행하였기에 이를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을 수 있고, 보다 많은 학생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야 한다. 그리고 검사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두 집단 간 차이를 보다 명료화할 필요가 있으며, 초등수학영재가 보이는 특성을 적극 발견하여 일반 학생이 발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도록 반영해야 한다. * 주요어 : 규칙 이해, 전략 파악, 몰입 * 이 논문은 2023년 6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부산광역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발전방안

        문남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은 다문화사회에서의 사회통합의 의미와 다문화주의·상호문화주의의 개념적 고찰을 토대로 부산광역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의 정책적 기반과 정책현황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정책 구현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문화시대의 사회통합이란 다양한 관점이나 신념체계, 관심영역 등이 상호 열린 소통을 통해 이루어내는 또다른 차원의 정체성이다. 통합의 정도에는 개인차나 상대적인 부분도 있겠지만, 그 본질은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이민자와 기존 사회구성원과의 상호성에 있다. 이를 구별하지 않으면 통합의 개념은 쉽게 동화나 포섭의 의미와 혼용될 수 있게 된다. 사회통합은 다차원적 개념으로 social inclusion, social integration, social cohesion 세가지 차원에서 구성요소를 정의하면 이민자에게도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사회적 포용성’ 차원,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다양성의 조화’ 차원, 이민자들이 소속감을 느끼고 우리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는 ‘사회적 결속’ 차원으로 정리할 수 있다. 다문화주의는 한 지리적 공간에 둘 이상의 복수문화가 공존 내지 병존하는 현상을 가리키며, 정태적인 문화의 경계(cultural boundary)를 전제로 한다. 그에 반해 상호문화주의는 한 지리적 공간에서 둘 이상의 복수문화가 서로 접촉하여 서로의 경계를 허물고, 상호접촉과 상호대화와 상호작용과 상호융합을 통해 새로운 혼종문화(hybrid culture)를 탄생시키는 역동적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는 이질적인 문화들이 부딪히고 섞이는 사회나 국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다루는 과정에서 제출된 사회통합 모델로 대립적 관계 혹은 대안적 관계보다는 각각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함께 어우러져야 할 패러다임이 되어야 한다. 부산지역 결혼이민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부산광역시에서정책환경과 제도적 기반 확충은 물론 다양한 지역 특색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다차원적 사회통합 구성요소에서 언급한 사회적 포용성 차원, 다양성 조화 차원, 사회적 화합 차원에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프로그램 내용을 살펴보면 사회적 포용성과 다양성 조화 차원의 한국문화 적응에 초점을 맞추어 자녀 양육 관련 영역,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영역, 한국어 교육 관련 언어영역 등의 정책에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020년 부산시민의 외국인주민 수용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주민에 대한 세부 정책의 필요와 개선에 대한 요구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경제활동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외국인주민에 대한 부산시민의 수용성은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외국인과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 외국인과 접촉 경험이 있는 사람,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 학생과 사무·경영·전문직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런 수용성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발전방안을 4가지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결혼이민자에게 복지혜택을 제공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하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적응 지원이 아닌 실질적인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에 통합의 한 축인 내국인주민의 참여가 있어야 하고 결혼이민자와 내국인주민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상호소통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결혼이민자와 내국인주민 간 상호이해를 위한 소통 촉진으로 양자 간 소통 공간의 확대는 기초 기반을 튼튼히 한다는 점에서 꼭 필요하다. 셋째, 상호문화 수용성 향상을 위한 다문화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내국인주민들이 결혼이민자의 문화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결혼이민자에 대해 편견을 갖지 않도록 타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예산의 효율적 운용이라는 측면에서 결혼이민자 지원사업 시행 관련 중앙부처의 유관기관과 민간기관과의 유기적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다양한 연계,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라고 본다. 결혼이민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공공과 민간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은 단지 결혼이민자에게 복지혜택을 제공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정책의 방향성과 과정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정책의 방향과 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논의는 내국인주민의 합의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해야 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 역량중심 초등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지구과학 영역 분석

        김예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역량을 지닌 인재를 요구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핵심역량 중심 프로그램으로 개편되었다. 이에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ED)에서 제공하는 역량중심 초등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의 5가지 핵심역량에 따라 개발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GED에서 제공하는 역량중심 초등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지구과학 영역에 초점을 두어 개발된 3개의 프로그램에 과학과 핵심역량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정량 분석 및 정성 분석하고 논의한다. 이 연구가 영재수업에 역량중심 지구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고자 할 때, 학생들이 길러졌으면 하는 핵심역량에 따라 주제를 선정하는데 지침이 되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의 역량중심 지구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는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중심 지구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과 과학적 사고력의 반영 비율이 가장 높고,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순이며,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능력은 상대적으로 반영 빈도가 낮다. 둘째, 역량중심 지구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활동이 여러 핵심역량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가 영재수업에 역량중심 지구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고자 할 때, 학생들이 길러졌으면 하는 핵심역량에 따라 주제를 선정하는데 도움이 될 정보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역량중심 지구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반영 빈도가 낮았던 역량을 보완함으로써, 영재 학생들이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 과학과 핵심역량을 골고루 함양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키워드 : 지구과학, 초등과학, 핵심역량, 영재교육 프로그램,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ED) * 본 논문은 2021년 8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