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락교회 김기동 목사의 삼위일체론 논쟁사

        우희찬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김기동은 1969년 성락교회를 창립하였고, 자신이 창시한 특유한 신앙인 베뢰아신앙을 통해 세계20대 교회에 선정될 정도로 성락교회가 부흥되었다. 베뢰아신앙에서 삼위일체론은 한국기독교계와의 논쟁을 통해 시대가 지나면서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 1987년을 시작으로 한 한국기독교계의 비판은 1992년에 정점에 달하였고,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은 1992년 이전과 1993년 이후에 어떠한 차이가 보인다. 1992년 이전의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은 거의 전적으로 김기동이 목회현장에서 진행한 강의와 저술에 의존하였다. 삼위일체와 관련한 용어 사용에 있어서 신학적 숙고가 많지 못했으나 그 제자들에 의해 신학적인 교정과 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1987년의 김기동의 변증과 1993년의 기독교남침례회 교단의 변증 내용을 보면, 1992년 이전의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이 본질적인 내용에서는 정통신앙과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으나 자신들이 당하는 비판의 핵심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문제를 어떻게 돌파해야 하는지를 파악하는 신학적 성숙이 아직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1993년 이후의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은 김기동이 성락교회 교역자들을 동원하여 성락교회와 관계된 여러 조직들을 설립함으로써 개선되었다. 자신들이 오해의 소지가 있게 표현한 부분들을 인정하고 해당 부분을 수정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을 타 교단이 인정하기도 하였다. 무엇보다 신학적 개념을 많이 동원하여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두드러지게 나 타났다. 김기동의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은 서방교회 전통의 삼위일체론과 유사함에도 동방교회적인 삼위일체론의 개념들을 동원하여 설명하려는 경향도 관측되었다. 삼위일체론의 근거로 삼는 일부 성경 구절에 대한 해석을, 삼신론을 피할 목적으로 새롭게 시도한 흔적도 보인다. 1992년 이전의 삼위일체론과 1993년 이후의 삼위일체론은 핵심적인 개념들은 사실상 같으나, 그 핵심적 개념들을 바탕으로 하여 부가적인 설명을 덧붙이는 변화도 보인다. 본 논문은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의 형성 과정을 통해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을 이해하고 그 역사 속에서의 교훈을 찾고자 한다.

      • 베뢰아 선교전략 수립에 대한 연구

        서우종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예수의 이름이 있는 교회요, 예수의 이름을 전파하는 교회다. 또한 예수가 원하는 대로 일하는 교회다.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의 승천 후 약속대로 그가 보내주신 성령을 받아 예수의 이름을 전파하였다. 예수의 복음은 예루살렘교회와 안디옥 교회를 통해서, 그리고 로마의 도로를 좇아 유럽과 소아시아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 하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평탄한 길을 걸은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온갖 고난과 역경을 감내해야 했고, 그것이 기독교회의 침체로 이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교회의 주인이신 성령의 역사는 그칠 길이 없어 온갖 격동의 시기를 거쳐 오늘 우리에게까지 전파되었다. 거기에는 믿음으로 세상을 이기며 기독교 신앙을 굳건히 지킨 믿음의 선진들이 있었다. 현대 교회는 이러한 초대교회의 신앙의 순수성을 이어가야 한다. 연구자는 이것을 일명 신약교회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물로 현대 교회를 염두에 둔 신약교회라는 개념이 온전히 정립된 것은 아니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현대의 신약교회를 구약교회와 대조되는 개념으로 예수의 사역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보는가 하면, 베드로에게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라' 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에 따라 사도들의 선교에 의해서 신약교회가 시작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또한 성령의 임재 후 사도들이 변화하여 복음을 전파한 시기를 신약교회의 시작으로 말하는 무리도 있다. 그러나 연구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에 기초하고, 성령의 도우심과 역사하심으로 순수한 신앙을 지키며, 진리를 전파되는 교회를 신약교회라고 하고 싶다. 거기에는 신약교회의 정신이 있기 있다. 신약 교회의 정신은 신약성경에 잘 나타난다. 사복음서와 사도행전, 그리고 바울 서신에서 그들의 믿음과 당시 신앙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한 신앙의 순수성은 중세시대에도 있었다. 다만 가톨릭의 막강한 세력 앞에서 그 빛을 드러내지 못했을 뿐이다. 그들의 기도와 순교가 밑거름이 되어 마침내 종교개혁으로 분출되었으며, 이어지는 개혁자들의 두려움 없는 강인한 신앙적 결단이 있었다. 중세 시대에 신약성서적인 신앙을 지킨 교회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세 교회사에서 콜롬바(Colomba)로 대표되는 켈틱 교회(Celtic church)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 교회는 중세 초기에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그리고 아일랜드를 포함하는 브리튼에서 신앙의 순수성을 지킨 신앙 공동체다. 그들은 로마 가톨릭의 교황권을 인정하지 않고, 교권에 의존하지 않았으며, 성경에 근거하는 비교적 순수한 신앙을 지키려 노력했다. 이 교회는 잉글랜드에서 복음을 전파하다가 결국 로마 가톨릭과 충돌한다. 여러 면에서 믿음의 순수성을 유지하려 했던 켈틱 교회는 영적인 세계뿐만 아니라, 정치적 영광까지 누리려 했던 로마 가톨릭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들의 신앙생활은 신약교회의 정신과 맥이 닿아 있다. 또한 왈도파(Waldensians)라 불리는 신앙의 집단이 중세의 중간 시점에 나타났으며, 이들의 신앙정신 또한 연구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 그들은 초대교회의 신앙을 지키려는 노력은 물론이고, 초대교회의 공동체 생활에 가까운 집단생활을 하였다. 이들도 물론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철저한 박해를 받고 순교하였다. 어떤 면에서 이들은 기타 중세의 몇몇 소수 집단과 함께 종교개혁의 근간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재침례파(Anabaptist)가 있다. 사실 교회사에서 이들만큼 잘못 소개된 단체는 드물 것이다. 그들은 루터에 의해 본격화된 종교 개혁이 제도적 형태의 종교로 잘못 진전됨을 느끼고 순수 신앙의 복귀운동으로 소위 개혁된 교회들로부터 박해를 받으며 믿음을 유지한 자들이다. 그들의 교회관은 개혁교회의 그것과 비교할 때 신약교회의 정신에 훨씬 더 가깝다. 세례가 아닌 침수에 의한 침례를 주장하고, 유아 세례를 반대함으로써 수많은 무리가 목숨을 잃는다. 이제 20세기 말에 들어와서 이러한 신약교회의 정신 아래 기존의 인간중심의 신학에서 탈피하여 하나님의 의도(意圖)를 밝히고자 하는 신본주의(神本主義)신학, 즉 성경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운동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서울성락교회를 중심으로 하여 펼쳐지고 있는 베뢰아 운동이다. 베뢰아운동은 사도행전 17장 11절의 신사적이고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매일 성경을 상고한다는 베뢰아 사람들의 신앙자세를 본받고자 하는 성경중심의 신앙 운동이다. 이 베뢰아운동은 철저히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신약교회의 정신을 현대교회에 불어넣으려는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명하시고 이 땅에 세워지기를 원하신 신약교회가 21세기 현재에 과연 어떤 형태의 교회일 것인가에 대하여 여러 논쟁이 있을 수가 있다. 그러나 하나님의 사정을 가장 잘 아는 분은 성령이시기에 성령만이 그분이 원하시는 교회의 상을 제시하고 우리를 이끄시는 것이 사실이다. 신약교회의 운동은 이런 면에서 성령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가 없다. 교회사는 인간을 통한 하나님의 역사이고, 그 안에서 순수한 신앙으로의 회귀하는 운동이 지속되고 있다. 현대 기독교회사에서는 베뢰아 운동이 그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is the Church which possesses the name Jesus, preaches the name of Jesus and works as He wills. The saints of the Early church who received the promised Holy Spirit preached the name Jesus to the world. The Church started in Jerusalem and continued in Antioch. And the Gospel was sprea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Roman Empire. It was after severe periods of persecution, depression and hardship that faith could be transmitted till today. In this history of faith, a great multitude of saints did not surrender to their oppressive environment and succeeded in preserving the faith that overcomes the world. The definition of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is not clearly established yet. In some respect, the concept as the opposite of the Old Testament Church, might be said to have started with the works of Jesus, but in another respect it started with Peter who obeyed the commandment of Jesus namely, "And on this rock you will build my church” and preached the Kingdom of God. In still another respect,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began at the Pentecost with the coming of the Spirit on the Spirit on the apostle and their empowerment for the ministry of the Gospel.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us, however is the spirit of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which consists in keeping pure faith through the help and work of the Holy Spirit on the basis of the Word of Jesus, and in spreading the Gospel. The spirit of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is well shown in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especially, the faith of the Early Church’s saints in the four Gospels and Acts. The common opinion among Christians is that faith started from the Early Church in purity, was damaged seriously in the Medieval age by Roman Catholics, strived to get back to get back to the right track in the Reformation and arrived to the present state. All along these times, there might have been, however saints who had pure faith and the spirit of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and thus, went through many hardship in trying to preserve themselves from spiritual corruption and not deviate from the original path. The Celtic Church, represented by Columba, was one of the community with pure faith in Britain which includes England, Scotland and Ireland. They endeavored their best to keep the virginity of faith based on the Bible only by the denial of papal sovereignty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In the evangelization of England, they eventually came into conflict with the Roman Catholics whose goal was political glory and spiritual domination, but could not win victory over them. But the faith of Celtic Church is as much significant as one deems it necessary to re-examine in connection to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Attention should be given also to a group called Waldeneses or Waldensians, in the middle of the Medieval age. In addition to their efforts to preserve the Early church faith, they led acommunity life that reminds of the Early Church. Waldensians were also martyred thoroughly by the Roman Catholics. In some respect, their faith laid the groundwork for the Reformation in the near future. The Anabaptists is one of the mostly misunderstood groups in the world. As they realized that the Reformation triggered by Martin Luther, had lost its way to the earthly united religion, they tried to return to pure faith in a movement that was persecuted by the so-called reformed churches. Their view of the Church wascloser to the spirit of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than the Protestant Church. Numerous Anabaptists were martyred because they advocated baptism by immersion, and not by aspersion or sprinkling, and rejected infant baptism. In the 21st century, there is a theocentric theology, a faith movement which casts off any anthropocentric theologies and aims at returning to the Bible by shedding light on the Picture if God’s Will. It is the “Berea Movement” form Seoul Sungrak Church in Seoul, Korea. The Berea Movement is Bible-centered and advocates to follow the faith attitude of the Bereans as described in Acts 17:11; these were noble and received the word with all readiness of mind, and searched the scriptures daily, seeing whether those things were true. This movement is a strict back-to-the Bible movement and presents a milestone to the Modern Church in that it aims at breathing in the spirit of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There could be some controversies as to how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that Jesus Christ commanded to build on earth should look in the 21st century. Since the one who knows God the best is the Holy Spirit, it is a matter of fact that the Spirit only can indicate the reality of the desired contemporary mission, and lead towards it.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contemporary mission is unthinkable without the Holy Spirit. The history of the Church is that of God working through humans because only the Holy Spirit can lead them into a movement which recovers pure faith, and make it come true.

      • 김기동 목사의 목회 리더십에 관한 연구

        김성용 베뢰아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 교회에서 리더십은 그 조직과 기관의 생존에 필수 불가결한 조건이다. '교회의 성장은 목회자의 리더십에 달렸다'고 할 정도로 영적 기관인 교회에서의 목회자의 리더십 발휘는 교회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친다. 1980년대에는 주일학교, 심방 등의 프로그램 중심적 사역을 강조하였으나, 1990년대 이후 목회자의 리더십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성공한 목회자들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곧 교회성장은 목회자의 리더십의 역할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서울성락교회가 세계 최대의 침례교회로 성장한 것도 김기동 담임목사의 리더십이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여의도순복음교회의 조용기 목사, 소망교회의 곽선희 목사, 명성교회의 김삼환 목사, 온누리교회의 하용조 목사 등 한국 초대형 교회의 목회자들의 리더십과 그들의 목회 철학에 대해서는 이미 연구가 많이 되었다. 그러나 서울성락교회의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된 바가 없다.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은 그의 성역 41년간의 사역에 잘 나타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리더십에 대한 일반 이론과 목회 리더십에 대한 이론을 간략히 정리한 후, 김기동 목사의 사역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사역에 나타난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을 고찰하였다. 김기동 목사의 사역은 목회 사역과 베뢰아 운동, 신학을 통한 지도자 양성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역에 나타난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을 영적 권세와 목회경영능력, 개인적 특성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은 한마디로 어떤 유형에 속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다만 서울성락교회의 목회사역과 베뢰아운동, 신학을 통한 지도자 양성 등 그의 사역에 나타난 리더십은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특성과 최고경영자형 리더십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영적 권세 즉 카리스마이다. 그는 평신도 부흥사 시절부터 지금까지 변함없이 하나님의 의도를 내용으로 한 능력 있는 말씀을 선포하고 병자를 고치며 귀신을 쫓아내는 성령의 능력을 행하여 왔다. 하나님의 의도 신학은 김기동 목사의 목회신학으로 그의 절대적인 리더십의 바탕이 되었다. 그는 하나님의 의도 신학을 베뢰아아카데미를 통하여 많은 목회자와 평신도에게 가르쳐 왔고, 베뢰아대학원대학교를 통하여 하나님의 의도 신학으로 무장된 목회자를 배출하고 있다. 베뢰아 운동은 신본주의에 의거하여 하나님의 의도를 밝히고, 능력의 보편성을 증거하며, 침례를 주고 제자 삼는 것을 이상으로 한다. 그 내용은 신약교회운동, 성경 닮기 운동이며, 평신도 운동이다. 베뢰아 운동은 현재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중남미, 유럽 등 전세계로 힘있게 확산되고 있다.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 중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탁월한 목회경영능력이다. "베뢰아 운동의 전세계 확산"과 "일만 명의 평신도 지도자 양성"의 양대 비전을 제시하며 교인들을 독려하여, 전 교인이 동일한 비전 아래 결속되어 서울성락교회의 성장과 베뢰아 운동의 전개에 함께 참여하게 하였다. 또한 그는 개혁 마인드를 가지고 한국 교회의 예배의 변화와 전통 교리와 교권에 얽매인 교권주의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인간구원론 중심이며 바울 신학에 기초한 기존 신학에 대응하여 신본주의 신학인 하나님의 의도 신학을 내놓으며 신학을 개혁하고자 하였다. 그외에도 김기동 목사는 열정과 헌신, 인내, 겸손, 그리고 다재다능한 개인적 특성들을 가졌다. 김기동 목사의 이러한 개인적 특성들은 교인들로 하여금 더욱 그를 신뢰하고 존경하며 친밀감을 느끼며 따르게 하여, 그의 리더십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었다.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은 그 동안 교계에서 제대로 평가되지 못하였다.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은 날로 급변하는 21세기의 교회를 이끌어 가는 목회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많다. 앞으로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좀더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Leadership in the modern church is an indispensable factor for the survival of its organization and organs. The influence of the pastor's leadership display in the spiritual organ which is the church is such that one might say, "Church growth depends on the pastor's leadership". His ministry was program-centered - Sunday school, visitation and so on - in the 1980's, the importance of pastoral leadership has been embossed since the 1990's. Recent trends are that special researches on the leadership of successful pastors are actively been done. In other words, pastoral leadership plays a crucial role church growth. Seoul Sungrak Church grew to the largest Baptist congregation in the world. It can be said that the influence of the Rev. Kim Ki Dong's leadership was decisive. Researches on pastoral leadership and pastoral philosophy for Korean mega-churches were already done - the Rev. Yong Ki Cho of Yoeui Do Full Gospel Church, the Rev. Sun Hee Kwak of Somang Church, the Rev. Saham Hawn Kim of Myung Sung Church, the Rev. Yong Jo Ha of Onnuri Church and so forth. But there has been hardly no research concerning the leadership of the Rev. Kim Ki Dong of Seoul Sungrak Church. His leadership is well disclosed in his 41 years of pastorate. In the present thesis, I presented first theories about leadership in general and theories on pastoral leadership, then examined Kim's pastorate to finally consider the kind of leadership which was shown in it. I divided Kim's ministry into three parts - the pastorate of Seoul Sungrak Church, the Berea Movement, the training of leaders through theology. And I distinguished three parts in his leadership i.e., spiritual authority, ability for ministerial management, personal characteristics. It is difficult to conclude in one word that the Rev. Kim's leadership belongs to a certain type. One thing which is clear is that his leadership disclosed in his ministry - Seoul Sungrak Church, the Berea Movement, leaders' training etc. - shares the characteristics of charismatic leadership and the leadership of CEO type. The most prominent feature in the Rev. Kim's leadership is his spiritual authority, that is to say, charisma. From his days of layman revivalist till today, he has constantly proclaimed the powerful word of God based on the Picture of God's Will, healed the sick, and driven out demons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The theology of the Picture of God's Will as his pastoral theology has constituted for him the absolute ground of leadership. He taught laymen the Picture of God's Will in Berea Academy, reared pastors equipped with such theology in Berea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The Berea Movement sets up an ideal clarifying the Picture of God's Will and depending on theocentricism, verifying the universality of power, giving baptism, making disciples. It can be defined as the New Testament Church Movement, the Bible Examining Movement, a Laity Movement. This movement is currently being diffused to the whole world - southeast Asia, Africa. Latin America, Europe etc. Another important feature in the Rev. Kim's leadership is his ability for prominent ministerial management. He gathered all believers together under one vision and had them take part both in the growth of ten thousand lay leaders and the global deployment of the Berea Movement. The Rev. Kim also has the mind of reformation. He insisted upon the reformation of ecclesiastical authoritarians and stressed the needs for worship changes in Korean churches and reformation upon traditional doctrine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He introduced a theocentric theology through the Picture of God's Will and tried to reform the existing theology based on Paul's theology which asserts soteriology for humans. Besides, the Rev. Kim'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rdor, self-sacrifice, patience, humility, and other various traits led his church members to trust, respect and follow him whole-heartedly and strengthened all the more his leadership. The Rev. Kim Ki Dong's leadership has not properly evaluated in the circle of Korean churches until now though it would enlighten in many ways pastors who lead the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churches. Further and deeper research on the Rev. Kim's leadership needs to be undertaken in the near future.

      • 베뢰아 신유론에 대한 이해

        홍수연 베뢰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독자의 '베뢰아 신유론'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약과 신약에서의 신유의 어원적 의미를 살펴 봄으로써 신유에 대한 성경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한편 신유에 대한 성경적·신학적 고찰을 통해 성경에서나 역사에서 신유는 계속적으로 일어남을 입증하려 하였다. 또한 제 3장에서는 신유 이적이 계속 일어나는지의 여부에 관한 견해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의 가장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제 4장에서는 베뢰아 신유론과 기존의 일반적인 신유론의 신유 이해에 대해 살펴 보았다. 베뢰아 신유론과 일반적인 신유론의 신유에 대한 공통적인 견해는 첫째, 죄사함으로써의 신유 둘째, 하나님의 능력으로써의 신유 셋째, 하나님의 성품으로써의 신유 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신유론에 대해 베뢰아 신유론의 신유 이해에 대한 차이점은 첫째, 은사로써의 신유라기보다는 보편적인 능력으로써의 신유 둘째, 그리스도의 현재성으로써의 신유 셋째, 하나님과 영혼의 관계성을 우선시하는 신유 넷째, 타락한 천사가 아닌 불신자의 사후존재인 귀신에게서 자유케 하는 신유로 볼 수 있다. 베뢰아 신유론은 신유에 대한 이해를 성경적이면서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귀신이 불신자의 사후 존재라는 주장이 미신적이라고 하면서 베뢰아 신유론을 오해하는 사람들에게 베뢰아 신유론이 샤머니즘과 다름을 좀더 보여 줄 수 있는 연구가 미흡하다. 이것을 밝힘으로 베뢰아 신유론이 더욱 광범위하게 한국교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를 바라면서 이 논문을 마무리 짓고자 한다. This thesis is aim to help people understand on 'the healing theory of Berea' For this reason, I examined the etymology of holy healing both in the old and new testament to know biblical meanings of holy healing. Though this biblical and theological research, I want to prove that holy healings are still taking place. In chapter 3, I studied on various opinions on the subject. I mentioned the comparison of general understandings and those of Berea which is the core of this paper in chapter 4. General understandings and those of Berea on holy healings share these as follows: 1. holy healings as forgiveness 2. holy healings by power of God 3. holy healings as God's nature Different points of view of Berea's from general understandings are as follows: 1. holy healings not as a special gift but as a common gift 2. holy healings which shows the presence of Jesus Christ 3. holy healings which emphasis on the relations of God and believers 4. holy healings which let believers be free from demons who are not corrupted angels but unbelievers' spirit after the death. Understandgings about holy healings of Berea are biblical and systemic. I think continuous studies are needed to show that Berea's view is different from shamanism to people who misunderstand Berea. I want uninterrupted searches on holy healings of Berea to have an positive effect on many Korean churches.

      • 캠퍼스 사역의 지속을 위한 리더십 연구 : 포스트모던 시대의 X세대와 밀레니엄 세대의 대학생 사역

        김창효 베뢰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의 목적은 캠퍼스 사역의 쇠퇴 또는 소멸을 가져오는 캠퍼스 사역의 특수한 난점을 극복하고 진리의 절대성을 부인하는 포스트모던 대학생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리더십을 발견함으로써 캠퍼스 사역의 지속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다. 먼저 캠퍼스 사역이 성경에 근거한 사역임을 알아보았다. 캠퍼스 사역은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의 "모든 족속"에 포함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캠퍼스 사역의 대상인 대학생들은 캠퍼스가 위치하는 지역 출신들뿐만 아니라 여러 지역과 여러 나라와 민족과 여러 방언에서 온 사람들이므로 캠퍼스 사역은 지리적인 면에서 볼 때 행1:8의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에 이르는 사역이며 World A 지역 사람에게도 복음을 전할 수도 있는 등 세계선교의 기능도 감당하는 사역이다. 그러므로 캠퍼스 사역은 성경적이고 무시되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사역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3년의 사역으로 땅 끝까지 이르는 사역을 완성하지 않고 그 미완의 사역을 제자들에게 맡겼는데, 핵심적인 소수 그룹을 사도로 삼고 권능을 부여하고 함께 있게 하면서 리더들로 키운 다음에 미완의 사역을 위임하여 사역을 지속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대로 제자를 삼는 제자는 리더를 키워서 사역을 위임함으로써 사역을 지속시키는 사람이다. 이러한 원리는 사도 바울에게도 이어지는데, 바울은 디모데를 제자 삼았고, 그에게 딤후2:2에서 "충성된 사람들"이 "또 다른 사람들"을 제자 삼을 수 있게 하라고 함으로써 사역 지속의 원리인 리더십 훈련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캠퍼스 사역도 지속되어야 하는데 사역의 지속에 제도적인 난점이 있다. 대학생들의 학년과 연령 구조상 고학년 학생들이 지도적 위치에 있게 되는데, 대학생들은 보통 2-4년의 학업 과정을 마치면 캠퍼스를 떠나게 된다. 이는 잘 훈련 받아서 후배들을 제자 삼을 수 있는 핵심 리더들이 사역지인 캠퍼스를 떠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리더의 부재나 부족으로 전도와 양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캠퍼스 사역이 쇠퇴나 소멸로 이어짐을 뜻한다. 캠퍼스 사역의 지속을 위해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 지속 원리인 핵심 리더들을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핵심 리더들은 학교를 졸업하고 떠나는 문제를 극복한 사람들이어야 하는데, 캠퍼스 출신으로서 핵심적인 리더 훈련을 받고 X 세대와 밀레니엄 세대를 잘 이해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대학을 졸업하여 캠퍼스 사역에 전념할 수 있는 전문사역자가 합당해 보인다. 이러한 전문사역자를 키우기 위해서는 충성스러운 리더들 중에서 선발하여 예수가 소그룹의 제자들을 특별히 양육한 것처럼 훈련시켜야 할 것이다. 대학생 복음화 운동사를 볼 때에도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 지속의 원리가 적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대각성 운동과 애즈베리와 브라운우드의 부흥을 통해서는 좀 특이한 리더십 훈련 과정으로 부흥의 확산을 볼 수 있었다. 세계선교에 지대한 영향력을 주었던 학생지원자 운동은 대학생들에게 꿈을 심어주는 것과 동시에 리더십 훈련을 시행함으로써 성공적인 선교사역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 운동은 지도층의 잦은 교체로 말미암은 힘의 지속성의 파괴와 사회와 경제 문제로 눈을 돌려서, 제자 양성을 통한 세계복음화 사명을 놓쳐버림으로써 소멸하게 되었다. 젊은이 교회 회귀운동은, 급격하게 변하는 젊은이들을 교회로 끌어들여서 정착시키는 방법이 적절하지 않을 때에 교회들에는 젊은이들이 거의 없게 되지만, 젊은이들을 잘 이해하여 그들이 교회에서 만족감과 존재 의미를 느끼도록 할 때에는 큰 성과가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지금의 대학생들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X 세대와 밀레니엄 세대이다. 이들은 진리의 절대성을 인정하지 않고 진리를 상대적으로 보고 다양성을 추구하는 세대이다. 패러다임의 전환을 대표하고 다른 문화 코드를 가진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면서 캠퍼스 사역의 지속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포스트모던 세대 대학생들이 체험을 통해 진리를 알게 하는 방법이 그 해결책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캠퍼스 선교단체 즉 UBF와 네비게이토와 CCC와 CBA의 전도방식과 새신자 변화 방법을 비교할 때, 일대일 양육과 소그룹 중심의 모임이라는 공통적인 면도 있고 각각 나름대로의 효과적인 다른 사역 방법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절대적인 진리를 인정하지 않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X 세대와 밀레니엄 세대에게는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들이 행했던 것과 같이 영적인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절대적인 진리를 알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전략이라고 판단된다. 그런 면에서 볼 때 CBA가 대학생들에게 복음을 전하여 예수를 영접하게 한 다음에 성령을 받게 하여 방언을 말하게 하고 예수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내고 병을 고치는 사역이 예수와 사도들의 사역의 모습에 더 근접한 것으로 보인다. 포스트모던 세대 대학생들이 체험함으로써 진리를 확신하는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CBA의 사역과 같은 사도적 리더십에 근접한 리더십 전략이 포스트모던 시대의 캠퍼스 사역 지속을 위해 적절한 전략으로 판단된다. This thesis aims at exploring ways of continuing Campus Ministry through overcoming its unique challenges and through finding the appropriate type of leadership that can change postmodern college students who deny the absoluteness of truth. First of all, this paper suggests that Campus Ministry is based on the holy Bible. Campus Ministry targets all college students who are included in the "all nations" of the Great Commission. In addition, college students are not only from the neighboring region of the college but also from various nations, peoples and tongues. Therefore, in terms of geography, Campus Ministry fulfills the goal of World Mission since it is done "in Jerusalem, and in all Judea and Samaria, and to the ends of the earth" and since it also preaches the gospel to the people in World A. In this sense, Campus Ministry is truly biblical and should not be overlooked. Jesus Christ did not finish his mission during his three years of public life but entrusted the unfinished task to his disciples. He first designated a small group of people as apostles, gave them authority, let them be with him, taught them to become leaders and then entrusted the unfinished task. This is how Jesus fulfilled the continuity of his mission. Those who follow the Great Commission of Jesus Christ make disciples to entrust them the mission. One good example of continued mission is the case of the apostle Paul. He made Timothy a disciple and asked him to entrust the things he heard to "reliable men who will also be qualified to teach others(Timothy 2:2)." By doing so, leadership training, the important principle of mission continuity, was kept being implemented. Campus Ministry also needs to be continued but it has inherent challenges. In most cases junior or senior students are in the leadership position since they are older and trained in the campus. However, when these leaders complete their courses of two or four years, they have to leave the campus, which means that those who are well trained and able to make younger students disciples have to leave their place of ministry. This often leads to lack or absence of leaders to carry out evangelism and nourishment and to the decline in or even termination of Campus Ministry.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required to nurture core leaders who stay in the campus after gradu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mission continuity. A graduate who has been trained as a core leader and well understands the Gen. Xers and millennials will be appropriate to become a professional minister who can focus only on Campus Ministry. In order to foster a professional minister,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train a small number of devoted leaders as Jesus did with his disciples. Also in the Student Evangelical Movement, we can find the principle of mission continuity applied For example, student movements such as the Great Awakening and the Asbury Revival of 1970 and the Brownwood Revival of 1995 accomplished the spread of revival through unique processes of leadership training. In the case of the Student Volunteer Movement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world mission, the missionary work was successfully achieved through inspiring college students and implementing leadership training at the same time. However, this movement was terminated when the mission was not continued due to frequent change of the leadership and when it turned its eyes on the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thus failing the mission of evangelizing world through making disciples. As for the Christian Endeavor, it showed that a great number of youths, otherwise would leave church, would stay when they were well understood, satisfied and led to find the reason of their existence in the church. College students these days are mostly the Gen. Xers and millennials of the postmodern era and they pursue relativeness and diversity rather than absoluteness of truth. They represent the paradigm shift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and they have different cultural codes compared with previous generations. Considering this, Campus Ministry nowadays needs an approach that is suitable for evangelizing these postmodern era students. One such approach is to let college students know the truth through experience. When CBA(Campus Berea Academy) and other major missionary groups in Korea such as UBF(University Bible Fellowship), the Navigators Korea, and CCC(Korea Campus Crusade for Christ) are compared with one another in terms of the ways of evangelizing, nurturing, etc., all the groups are common in that they are small group-oriented and carry out one to one teaching. They also have their own effective systems of ministry. However, as for the Gen. Xers and millennials who do not acknowledge the absolute truth, having spiritual experiences can be a good strategy to make them know the absolute truth. This is a strategy being employed in CBA where evangelized students are led to receive the Holy Spirit, speak in new tongues, drive out demons and heal disease, which is close to the approaches of Jesus and his apostles. And through these experiences, students become sure of truth.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is leadership strategy of such as CBA's ministry like a apostolic leadership is truly appropriate in the postmodern era for the continuity of Campus Ministry.

      • 김기동 신학의 예수 죽음에 대한 성격 이해

        김명호 베뢰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07

        김기동의 하나님의 의도(意圖) 신학은 기존 신학 체계와는 전혀 다른 형태를 취한다. 예수의 죽으심을"십자가(十字架) 신학"인 예수 죽음의 측면만을 강조하고 있는 기존 신학과는 달리 김기동의 신학은 예수의 부활(復活)을 강조한다. 이는 예수의 죽음을 인간 구원을 위한 죽음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부활로 하나님 아버지의 뜻을 이루심으로 하늘 보좌를 유업으로 상속받게 하신 하나님 아버지의 실존(實存)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므로 예수의 죽음이 가져다 주는 의미 또한 매우 크며, 예수 죽음의 성경적 이해가 부활 신앙으로 이어진다 하겠다. 김기동 신학의 이해는 하나님의 의도를 중심으로 한 베뢰아 운동이다. 베뢰아 아카데미는 하나님의 의도(意圖)를 삼중구조로 제시한다. 제1의 하나님의 의도는 예수의 죽음을 인간구원을 위한 죽음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부활로 하나님 아버지의 뜻을 이루심으로 하늘 보좌를 유업으로 상속받게 하신 하나님 아버지의 실존을 드러내고 있다. 제2의 하나님의 의도는 하나님의 이름의 영광을 회복시키기 위한 마귀진멸(魔鬼盡滅)이다(요일 3:8). 아들은 십자가의 죽음을 통해 불법자를 정죄하였으니 예수는 의인의 죽음이요, 마귀는 의인을 대적한 불의(不義)한 자가 된 것이다(요 13:2). 하나님의 제3의 의는 인류에게 베푸신 하나님의 은혜이다. 본래 인류는 창세 전에 예수를 위해 존재하기로 계획된 예수의 첩경이다. 이와 같이 김기동의 하나님의 의도는 하나님께서 예수를 통해 이루어 가시는 경륜 속에서 인간의 존재 의미를 찾게 한다. 그러므로 예수의 공생애는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사역과 그리스도의 사역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예수 이해와 사역자로서의 그리스도인 것이다. 그의 신학에 있어 예수의 죽음 이해는 기존 신학이 추구해 온 인간 구원만을 위한 예수 죽음 위에 또 다른 깊이를 가진 신학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김기동은 거의 모든 설교마다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을 언급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전제하에서 김기동의 예수 죽음의 성격(性格) 이해(理解)를 살펴보고, 예수 죽음으로 말미암은 하나님 아버지와 아들과 인류의 관계를 정립해 보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또한 성경에서도 신약성서 그리고 그중에서도 예수의 공생애가 기록된 4복음서와 성령으로 기록된 바울 서신을 통해 예수의 죽음에 대한 성경의 증거를 얻고자 한다. 본 논문은 예수 죽음에 관한 언어적 고찰을 하되, 예수 죽음의 배경을 외적 동인과 내적 동인을 고찰(考察)한 후, 신학적 이해를 통해 초대교회와 바울의 이해를 연구한다. 마지막으로 김기동 신학의 예수 죽음에 대한 성격 이해를 하나님의 의도신학으로서 새롭게 구별해 본다. 예수 죽음의 종교적 동인으로는 예수를 실제로 십자가형에 처한 로마총독 빌라도는 예수의 무죄를 확신했으나, 유대인들의 강청에 못 이겨 예수를 처형한 것으로 되어 있다. 예수가 십자가에 처형된 원인을 하나님 아버지가 아들에게 부여한 죽음이며, 아들로서 당연히 행하신 것을 하나님이 부여하신 뜻이라고 주장하는 이도 있다. 이상과 같이 예수가 유대교와 충돌로 죽음을 당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예수는 그의 활동이 정치적 활동으로 잘못 해석되었기 때문에 처형되었다고 주장한다. 예수 죽음의 정치적 동인에 대하여는 예수의 죽음을 종교적이거나 정치적인 어느 한 분야에서만의 갈등이 아니라 두 분야 모두에서 일어난 갈등의 결과로 보고 있다. 그는 예수의 죽음은 로마 당국과 유대 종교 지도자들, 그리고 귀족들의 협력의 결과이며, 예수의 죽음의 책임은 유대교의 전통적 지혜 사상에 있다고 한다. 또한 예수는 유대교의 율법해석을 자유로이 구사함으로써, 성전 숙청 사건을 통해 유대교 지도자들과 충돌했다. 하나님이 친히 세우신 그리스도의 속죄 제사에서 비로소 대속된다. 예수의 십자가의 죽음을 통해서, 지체 없이 율법에서 발생하여 모든 죄인 위에 도사린 저주의 죽음으로 이끌어가는 세력이 무너지는 것이다. 예수의 죽음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위해 먼저 바울신학 이전에 주장되어진 초대교회의 전승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예수의 죽음은 부활의 경험을 통하여 회고하기 시작하였다. 예수의 죽음과 부활의 사건은 그들의 기억 속에 잠재해 있던 예수의 수난 암시가 하나님의 구원 행위인 부활 사건과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의식하게 만들었다. 따라서 제자들은 예수의 죽음이 무의미한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을 구원하기 위한 죽음, 곧 모든 사람을 위한 죽음이었다고 고백하게 되었던 것이다. 예수의 죽음에 관한 고백은 먼저'우리를 위한 죽음'으로 형성되었고 점차 이사야서 53장과 관련하여 해석되어 갔을 것이다. 예수 죽음에 대한 바울의 이해는 그러면서도 바울은 기독론의 중심으로 그의 신학을 전개했고 예수 죽음 이해는 실존적인 인간적일뿐 아니라, 구원사의 측면에서 이해하며 하나님의 구원행동의 능력을 강조했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의 화목제물의 죽음 때문이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은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신 하나님의 의요, 약속의 성취라고 할 수 있다(롬 1:2). 예수의 죽음은 속죄의 죽음과 화목제물로의 죽음 그리고, 종말론적 죽음으로 볼 수 있다. 로마서 5:9이하에 의하면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은 인류 구원사적에서 죄와 죽음과 하나님의 진노에서 해방하는 것이다. 예수의 죽음에 대한 김기동의 이해를 성경과 성령을 중심으로 한 하나님의 의도(意圖)신학을 통해 조명해 본다. 김기동은 하나님의 의도 신학을 통해 하나님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사랑과 순종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는 성경을 통해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로서 아버지의 뜻을 겸손(謙遜)과 순종(順從)으로 성취하신 분이심을 밝히고 있다. 성경은 예수께서 하나님이심을 증거하고 있다. 성경은 예수를 증거하는 말씀이다(요 5:39). 바로 선악과 계명이다. 성경은 모든 인간이 죄 아래 있음을 기록하고 죄인의 모습으로 오신 예수께서도 이 땅에서는 모든 인간과 똑같이 출생과 죽음을 경험했다. 다만 성경이 기록한 예수와 인간이 다른 점은 부활이 있음을 기록한 것이다. 이 부활이 바로 하나님 아버지의 아들을 향한 뜻이며, 아들이 아버지의 뜻에 순종의 죽음을 하게 하는 동인(動因)인 것이다(히 5:7-8). 김기동은 예수가 순종 죽음의 의미를 하나님 아버지의 뜻을 알고 순종함으로 해석하고 있다. 예수께서는 장차 자신이 죽음에 대해 알고 있었기에'나는 죽어야 한다'고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제자들은 낙심했으나 이는 예수께서 아버지께 가는 방법이다. 성경은 예수의 부활을 기록하고 있다. 요한일서 3: 8에 기록된 것과 같이 하나님의 아들로 오신 예수는 하늘에서 하나님의 이름을 훼방한 마귀를 멸하고 하나님의 이름의 영광을 회복하기 위해 오셨다. 결국 세상 임금인 마귀는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알고도 예수를 대적했고, 십자가에 못 박았으나(요 13:2), 하나님께서 예수를 살리심으로 그가 의인이심을 증거하셨기에 의인을 죽인 마귀는 불법자로 심판을 받은 것이다. 그러나 인류 구원은 하나님 아버지의 소관이시다. 예수의 아버지에 대한 복종의 죽음은 하나님 아버지에 대한 무조건적 신뢰(信賴)에 기인한 것이다. 예수의 대속의 죽음은 창세 전에 작정된 하나님의 뜻이나, 인간 구원을 위해서 고난의 죽음이 된 것이다. 하나님께서 인류의 속죄에 대해 약속하신 것은 예수의 피이다. 그는 예수와 인간과의 관계를 예수의 피로 맺어진 영원한 관계임을 말하고 있다. 결국, 하나님께서 인류에게 주시고자 하시는 은혜의 피는 예수의 피밖에 없다. 김기동의 하나님 의도(意圖)신학은 이런 부분에 있어 설득력과 함께 성경적 근거를 뚜렷이 제시하고 있음을 본다. 예수 죽음은 하나님의 죽음이며, 인간의 이성 밖의 사건이다. 이런 이유로 하나님의 의도 신학으로 바라본 예수 죽음의 성격 이해는 예수 죽음과 그 생사를 함께 하는 우리의 신앙에 커다란 전환점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예수 죽음의 성격을 순종(順從)의 죽음과 복종(服從)의 죽음으로 구별함으로, 아들을 사랑하시는 하나님 아버지의 심정과 죽기까지 순종하시는 예수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예수께서 하나님 아버지의 뜻에 복종하여 십자가에서 죽으신 복종의 죽음은 인간을 향하신 하나님 아버지의 긍휼하심을 보게 하였다. 예수께서는 겟세마네 동산의 기도를 통해 인류 구원에 대해서는 다른 길이 없음을 알게 하셨다. 예수께서는 인류를 구원하실 하나님 아버지의 뜻에 자신을 복종시켜 고난의 죽음을 택하셨고, 그의 고난의 죽음은 인류에게 생명(生命)으로 역사했다. 그러므로 인류는 예수 고난의 죽음의 증인이 돼야 한다. Ki Dong Kim's Picture of God's Will theology has a totally different theological system as compared to traditional ones in that it emphasizes on Jesus' resurrection whereas "cross theology" focuses on Jesus' death. This theology does not insist on the salvation of humankind, but in the disclosure of the real existence of God the Father who allowed him to inherit the heavenly throne upon his resurrection. Therefore, the meaning of Jesus' death is significant and its biblical understanding might lead to the faith of resurrection. Understanding Ki Dong Kim's theology means to understand the Berea Movement centered on the Picture of God's Will which is explained in Berea through three priorities as follows. The first priority is the will of God the Father who wants the Son to inherit the heavenly throne as the latter accomplishes his will by death on the cross. The second priority is the destruction of the devil aimed at the recovery of the glory of God's name (John 3:8). Since the Son condemned the unlawful one by death of the cross, Jesus' death is that of the righteous one and the devil became the unrighteous who opposed him (John 13:2). The third priority is God's grace bestowed upon humankind who was originally planned in the beginning to exist for Jesus and to constitute the shortcut for his coming. In this manner, Ki Dong Kim's Picture of God's Will finds the reason of the existence of humankind within God's dispensation accomplished through Jesus. Therefore, the public life of Jesus can be separated in two, one being the ministry as the Son of God and, the other the ministry of Christ. In other words, it can be understood as Jesus, the Son of God and Christ as God's servant. Kim's theology indicates another depth in Jesus' death as all his sermons mention about Jesus Christ's death and resurrec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Jesus' death in Kim's theology upon the above backgrounds,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the Father, the Son and humankind. It also aims at obtaining biblical proofs on Jesus's death through the four Gospels which contain his public life and through the epistles of Paul recorded by the inspiration of the Holy Spirit. The present thesis will go through the linguistic examination of Jesus' death upon the study of external and internal causes in the death background and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Paul and the Early Church. It will end by stating that Kim's theology concerning the character understanding of Jesus' death is a new distinction worthy of notice. The religious cause of Jesus' death was due to the strong request of the Jews in spite of the Ponce Pilate's belief on his innocence. Some assert that the condemnation on the cross was the will of God the Father upon the Son and the duty for the latter. One recognizes that his death was caused by his conflict with Judaism and at the same time by the fact that his activities were politically misinterpreted. As for the political cause of Jesus' death, one regards it as being linked to the religious one. In other words, it was the result of the cooperation of the Roman authorities, Jewish religious leaders and noblemen and its responsibilities lay in the traditional wisdom ideology of the Jews to which Jesus opposed by his free interpretation of the Law in the incident of the temple. God's direct expiation sacrifice is finally realized. Through Jesus' crucifixion, all authority that led to cursed death caused by sins disclosed in the Law were destroyed. As for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Jesus' death, traditions of the Early Church before the writing of Pauline theology are informative whereas records started upon his resurrection.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allowed to realize the close link between those two events. Disciples confessed then that his death was not meaningless but was meant for the salvation of all humans. It was first interpreted as "death for our sake" and later in connection to Isaiah, chapter 53. Paul's understanding of Jesus' death was christological and emphasized God's power of salvation because it was a sacrificial death. Therefore, this death is the accomplishment of God's righteousness, and of His promises (Romans 1:2). Jesus' death can be regarded as a redemptional, reconciliatory and eschatological one. According to Romans 5:9, it frees from God's wrath, sins and death. Ki Dong Kim's regards Jesus' death by means of the Picture of God's Will theology which is centered on the Bible and the Spirit, and which expresses the relationship of God the Father and the Son as one of love and obedience. He demonstrated through the Bible that the Son accomplished the Father' will with humility and obedience. The Bible testifies to Jesus (John 5:39) and his being God. It tells that all humans are under sins and that Jesus experienced birth and death as any human on this earth. The only difference recorded by the Bible is that Jesus was raised again. Resurrection is the Father's will toward the Son, the cause for which the Son obeyed to death (Hebrews 5:7-8). Kim regards Jesus obedience till death as knowledge and obedience to the Father's will. Jesus said to his disciples that he had to died because he had known about it. It was his way to go to the Father. The Bible records about Jesus' resurrection. Just as 1 John 3:8 says, Jesus who came as the Son of God for the purpose of destroying the devil who tarnished in heaven God's name, and of recovering its lost glory. The prince of this world, the devil recognized Jesus and opposed him and crucified him (John 13:2), but was eventually condemned as unlawful by God who raised him from the death and testified to his being righteous. The salvation of humankind is in the authority of God the Father, though. Jesus' submission to death comes from his unconditional trust to God the Father. Though his redemptory death was planned in the beginning, that death became the Passion for the salvation of humankind. The promise of God for redemption is Jesus' blood which constitutes the very link in the eternal relationship between Jesus and humankind. God's grace to humans is Jesus' blood only. In this part Kim's Picture of God's Will theology is very persuasive and provides undeniable biblical evidences. Jesus' death is God's, an event being human reason. In this sense such biblical understanding on the character of Jesus' deaths brings a significant turning point to ones' faith. The present thesis distinguished obedience from submission in the character of Jesus' death and allowed to discern the obeying mind of Jesus and God's love for the Son and His mercy toward humans. The prayer in Gethsemane shows that there was no other method for Jesus than to submit to the will of the Father for the crucifixion of sufferings which would bring out life to humankind. Consequently, humans must all become witnesses of Jesus' death of Passion.

      • 국내 거주 외국인 선교 방법 연구 : 서울성락교회 서인천예배당을 중심으로

        이병수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07

        국문초록 국내 거주 외국인 선교방법 연구 - 서울성락교회 서인천예배당을 중심으로 - 신 학 과 이 병 수 지도교수 김 정 태 현대 사회는 급격히 다문화(多文化) 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한국 또한 현재 100만 명이 넘는 국내 거주 외국인이 있다. 이는 다문화에 대한 관심과 고찰이 깊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한국을 다문화권으로 인식하고, 국내 거주 외국인을 선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기독교의 전도활동에 다문화 사람들의 참여를 접목시킴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을 찾고자 한다. 실례로 서울성락교회 서인천예배당의 외국인 전도활동을 토대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시다.” 이 고백은 그리스도인에게는 영생과 직결되는 것으로서, 자신의 개인적인 체험이 없으면 불가능한 고백이다. 이 고백은 한민족(韓民族)만이 아닌 다른 민족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신앙중심의 선교방법”을 선택하여 국내거주 외국인이 헌신된 그리스도인으로 변화되고, 성경으로 돌아가는 베뢰아 사람처럼 신사적인 신앙을 갖게 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예배와 교회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당면문제를 교회와 대화로 풀어나가고 인격적이고 신뢰가 있는 교제를 통해서 복음이 전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내거주 외국인에 대한 발견은 더 이상 드문 일이 아니다. 이제는 그들을 주 예수의 은혜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며, 교회에 출석하여 정착하도록 하기 위한 신실한 노력이 필요하다. 성락교회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도, 양육, 교회 정착 방법은 여타의 기존 교회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성락교회의 방법은 영혼에게 접근하는 것이 단도직입적이라 말할 수 있다. 문화 및 기타 방법으로 선교하는 교회는 그 나름대로 주님께 합당하게 쓰임 받을 것이다. 그러나, 성락교회는 베뢰아 운동의 사명을 가진 교회로서 한 영혼을 변화시켜 주께로 인도하는 일을 가장 시급하게 다루고 있다. 복음을 역수출한다는 자부심을 갖고 있는 한국교회나 선교단체가 파송 선교사로 먼 나라까지는 못 간다고 할지라도 타 문화권에서 온 외국인들을 전도하고 잘 양육하여 미래에 자국(自國)의 선교사로 파송될 수 있는 전략을 수립 할 것을 염두에 두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나님이 주신 귀한 기회를 놓치지 말고, 국내거주 외국인을 통한 세계선교가 가능하도록, 다각적이고 치밀한 준비와 행동의 결단이 한국교회가 당면한 과제임을 제시하는 바이다.

      • 지역교회와 학교선교단체의 관계성 연구

        김여가 베뢰아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논문의 목적은 지역교회와 학생선교단체가 뿌리 깊은 갈등과 반목을 그치고 진정한 이해와 화합으로 서로를 인정하고 협력하여 유기적 관계성을 형성해 나갈 때 캠퍼스 복음화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 이 문제의 근본적인 핵심은 교회론에 있으므로, 올바른 성경적 교회관을 회복함으로써 서로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벗어버리고 온전한 이해가 이루어질 때 진정한 연합으로 가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동안 학생선교단체가 한국교회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을 인정하고 필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지역교회와의 연합과 동역을 주장하고 있지만, 많은 경우 몸된 교회의 한 지체로서 선교단체를 인식하기보다는 교회는 지역교회가 전부이며 선교단체는 하나의 수단에 불과한 것으로서 교회에 종속시키려는 입장을 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아직도 개혁되지 못한 개혁주의 교회론적 전통의 한계로서, 연합을 향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산재되어 있는 지역교회와 선교단체 간의 갈등의 원인에 대한 근본적인 근거를 제공한다. 역사적으로 종교개혁자들이 선교를 상실하는 중대한 과오를 남겼고, "회중구조 전부 그리고 선교구조 무"라는 결론을 내림으로써 근 3세기동안 개신교 선교가 없었으며 일부 교파에 아직도 그 잔재를 남기고 있음을 볼 때, 이렇게 선교를 상실했던 개혁주의 교회론적 시각으로는 지역교회와 선교단체의 관계성을 논함에 있어 그 인식의 한계를 벗어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먼저 교회와 선교단체에 대한 신학적 고찰을 통해, 교회와 선교단체의 본질적인 이해에 있어서 기존의 개혁주의 교회론적 입장에서 바라보던 시각에서 벗어나 보다 성경적인 교회관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신학적 고찰을 통하여 얻게 된 결론들을 역사적 고찰을 통해 검증해 보았다. 이러한 논거를 바탕으로 한국교회와 학생선교단체의 관계성 현황을 논의하고 대학선교 활성화를 위한 관계성 방향과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제는 교회의 본질에 대한 뿌리깊은 오해를 벗어나 그리스도의 몸은 모든 개교회와 교단들의 총합보다 크다는 사실과, 지역교회와 함께 다른 선교구조와 연관되어 있는 모든 구성원이 교회를 구성한다고 하는 근본적인 진리를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교회의 구조에 절대적인 것은 없으며 절대적인 것은 오직 눈에 보이지 않는 우주적인 교회뿐이다. 이 교회의 구조에는 다양한 교파의 교단과 지역교회, 선교단체가 다 포함되어 있다. 구조적 교회는 머리되신 그리스도에게 연합되어 자라가는 하나의 몸을 이루는 것으로서 서로 유기적으로 연합해야 한다. 사역에 대해 서로 책임을 지며 관계 면에서 상호 독립성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지역교회만이 신적인 기원을 가진 하나님의 교회이며 선교단체는 인간적인 수단에 불과하다는 지역교회 우위의 교회론적 시각이 바뀌지 않는다면 결코 양측간의 관계성에 있어서 온전한 연합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또한 하나님의 몸된 교회에 대한 지체의식과 섬김의 마음이 없이는 수단론적 접근방법을 벗어나기 어려우며 결국 자신의 몸을 세우는 자가 되고 말 것이다. 지역교회와 선교단체는 서로의 존재를 부정하고 비판하고 경쟁하는 관계가 아니라, 한 몸의 지체로서 서로의 부족함을 인식하고 채워줌으로서 자라가는 유기적 관계이다. 지역교회와 학생선교단체는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하나님 나라의 공동체로서 모두 그리스도의 몸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몸이란 지체들의 유기적인 협력과 동역으로 세워지고 유지된다. 그러므로 지역교회와 학생선교단체는 서로간의 관계가 공생공조의 유기적 관계임을 분명히 인식하고 지체의식과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것을 기본전제로 삼을 때, 비로소 온전한 연합과 동역을 통한 캠퍼스 복음화의 비전이 성취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at campus evangelization will be achieved effectively when both parties, local church and student mission organization, which have confronted with ingrained conflict and antipathy for many years, establish the organic relationship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and affection. Furthermore, the fundamental cores of this dispute lie in biblical ecclesiology. Accordingly, this paper verifies that both parties could reach an agreement on the genuine cooperation only when each side gets rid of the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s with regard to another by means of restoring the biblical ecclesiology. In today, most people acknowledge the positive impact of the student mission organization on Korean church and maintain the joint and the cooperation with local church, but in many cases, some people, maintaining the local church is the whole, try to subordinate to church as a mere mean of it rather than a part of one body. However, this is the limitation of the traditional reformist that failed to reform itself, which is attributed to the causes of wide-spread conflict between local church and student mission organization despite the effort toward unity. Historically, the reformist ended in failure to underestimate the mission and concluded 'All Congrational Structure & No Mission Structure'. As a result of this, mission has been disappeared for the last three centuries and the trace of this tradition still remains among some churches. Within the point of view of the reformed ecclesiology which dismissed the mission, it does not seem to be relevant to the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cal church and student mission organization. Therefore, this paper will focus on theological research on church and parachurch(mission organization) firstly and put an effort on understanding fundamentally about church and parachurch not through the current reformed ecclesiology, but through biblical ecclesiology. Thes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ological research will be supported by empirical cases. On the basis of arguments mentioned above, the discussion on the present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church and student mission organization and suggestion on the concrete measures to facilitate the student mission follow. We need to outgrow the rooted mis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of the ecclesia and restore the basic truth that the body of Christ is bigger than the total of all the local churches and denominational conventions and the ecclesia consists of other parts connected with parachurch. The structure of the church is not necessarily absolute; the only absolute thing is the universal ecclesia. This includes various denominations, local churches and parachurches. The structural ecclesia should unite to form the one body to grow into Christ who is the Head. In terms of work, each part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and mutual exclusiveness is necessary with regard to relationship. In conclusion, It seems to be impossible to establish the complete unity unless ecclesiastical view arguing that the local church is the only one that owns the godly origin exclusively and parachurch is nothing but the humane means changes. Additionally, if they do not have membership of one body and serving mind, they will be failed in building the body of Christ.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church and parachurch does not consist with the ignorance, denunciationand competition, but with complementarity, which enables to grow into one body. In short, it is an organic whole. The local church and student mission organization are the part of body of Christ, as the member of community of God. The body can be sustained through the systematic cooperation and joint between parts. The local church and student mission organization should realize the indispensability for each other and restore the unity. Consequently, the vision of evangelization will be achieved through a complete unity and cooperation.

      • 창세기 6:1∼4의 '네피림' 연구

        박욱주 베뢰아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591

        '네피림'(◁외국어▷(원문을 참조하세요))이라는 용어는 성경해석상 난제(難題)로 취급되는 문제들 중 하나이다. 창세기 6:1-4에는 이 '네피림'이라는 용어 외에도, 이와 관련된 '하나님의 아들들'(◁외국어▷(원문을 참조하세요)□ □□□), '사람의 딸들'(□□□□ □□□□), '나의 신(□□□□)', '120년' 등의 의미가 모호한 용어(用語)들이 많이 기록되어 있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이 단 한 가지의 전제, 즉 창세기 1장과 2장의 사람, 아담과 하와가 동일한 존재들이라는 전제하(前提下)에서만 이루어졌다. 이러한 전제는 고고학적(考古學的) 고증과 과학적(科學的) 증거들에 의해 그 신빙성의 근거가 흔들리고 있고, 이를 통해서는 정확한 성경해석에의 접근이 힘들다고 본다. 창조기사에 대한 자세하고 정확한 이해만이 창세기 6:1-4의 내용에 대한 명확한 전제를 제시해줄 수 있다. 그러므로 먼저는 창세기 1장과 2장의 창조기사를 자세히 살펴보고, 두 창조기사를 하나의 사건으로 동일하게 취급하기에는 상당한 무리가 따른다는 것을 본 연구는 밝힌다. 그 창조의 순서(順序), 그리고 창조의 내용(內容)들은 크게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창세기 1장에서는 인격이 있는 피조물(被造物)을 '사람'(□□□)이라고 기록했다. 반면 2장에서는 '사람'이 '생령'(□□□ □□□)이 되었다고 해서, '사람'과 '생령'을 구분하고 있다. 이에 대해 1) 그 성별을 구분하는 용어의 차별화(差別化)에 대해, 그리고 2) 부모의 유무(有無)에 대한 언급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본 논문은 이 두 가지 근거를 통해서 이 두 부류의 존재가 분명히 서로 다른 존재들임을 증명한다. 또한 이러한 차이는 바로 '생기'(□□□□ □□□□), 곧 하나님의 영(靈)을 받았는가, 받지 않았는가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것임을 증명한다. 이러한 해석의 입장에서 볼 때, 성경의 여러 난제(難題), 특히 가인이 '두려워했던 자들'의 정체에 대한 명확한 해석이 가능해진다. 창세기 6:1-4에는 바로 이 '사람', 곧 창세기 1장의 '사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두 구절의 연결 고리는 바로 '번성'(□□□)이라는 용어에 있다. 창세기 1장의 '사람'은 이 '번성'의 복을 받았고, 그 결과로서, 창세기 6:1에는 '사람'이 '번성'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용어적 연관성을 통해서, 창세기 6:1의 '사람'과 창세기 1장의 '사람'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지적한다. 기존의 신학적 입장에서는 성경적 용례(用例)와 성경 외적인 근거들 - 외경(外經), 고대 근동(近東)의 사회적 관습과 신화(神話)와의 유사성 등 - 을 제시하여 창세기 6:2에 기록된 '하나님의 아들들'을 천사로, 혹은 인간으로 해석해왔다. 이러한 해석들은 모두가 '사람'과 '생령'을 구분하지 않은 해석들이다. 창세기 6:1-4에 대해, '사람'과 '생령'을 구분하는 입장에서 설명한다면, '사람의 딸들'은 창세기 1장의 '사람'의 후손들이며, '하나님의 아들들'은 창세기 2장의 '생령'의 후손들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바로 창세기 6:3의 '나의 신'(□□□□)과 창세기 2:7의 '생기'(□□□□ □□□□)와의 의미적 연관성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본 연구는 밝힌다. '하나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에 대해 지금까지와는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여, '네피림'이라는 용어에 대한 해석도 새롭고 명확하게 밝힌다. 또한 '네피림'의 어원적 의미인 '나팔'(□□□)의 '떨어지다'라는 뜻을 통해, 이들이 영적인 탈락자, 곧 하나님의 '생기'가 그 속에 존재하지 않는 자임을 본 연구는 밝히고 있다. 즉, '네피림'은 하나님의 '생기'가 그 속에 없는 자들을 통칭하는 용어임을 유추해낸 것이다. 창세기 6:1-4의 내용들에 대해, 특히 '하나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의 결혼에 대해 성경은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네피림'이라는 용어가 도덕적(道德的) 강포와 패괴함의 수준 이상인, 영적(靈的)인 추락을 언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창세기 6:3에 기록된 바에 따라, 분명 이 시대에는 '네피림'의 수는 늘어가고, 하나님의 뜻에 따라 준비된 '생령'들은 그 수가 갈수록 줄어들었을 것이다. '생령'들은 마침내 사라질 지경에 처했을지도 모르는 데에까지 이르렀을 것이다. 이러한 성경적 고찰을 통해 또한 알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은 의인이었으며 영적인 사람 노아와 그의 가족을 제외하고는 전부 몰살시키는 방법으로 홍수를 택하셨다는 사실이다. 이는 노아에 대한 기록을 통해서도 유추할 수 있는 사실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민수기 13:33에 다시 '네피림'이 언급되어 있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여기에 기록된 것은, '네피림'을 직접적으로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아낙 자손에 대한 묘사의 방편으로서 '네피림'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이다. 하나님의 뜻에 따라, 또한 창세기 7:20-24의 내용상 '네피림'이 생존했으리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사실들과, '네피림'의 비영적(非靈的) 성격을 연계하여 홍수 이후에 그들이 살아남았을 수 없었다는 결론을 도출해냈다. 본 연구는 '네피림'에 관련된 많은 해석들을 먼저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시도를 성경에 입각한 주석적(註釋神學的) 해석법으로 다룬 것이다. 본 연구의 논리전개는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서론으로서 본 연구를 위한 문제제기, 연구목적, 연구방법과 내용소개 등이 간단하게 소개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창세기 1장과 2장의 창조기사가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을 기초로 창세기 1장과 2장의 인간이 서로 다른 존재임을 보였다. 아울러 이러한 사실이 창세기 6:1-4의 난해구를 해석할 수 있는 정확한 대전제(大前提)의 역할을 할 수 있음도 강조했다. 제3장에서는 먼저 창세기 6:1-4의 해석에 대한 기존의 신학적 주장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뒤에 새로 정립한 대전제를 통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진단해 놓았다. 이를 통해 기존의 해석들이 가지고 있는 약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해석에 대한 가능성을 입증해 놓았다. 제4장은 결론으로서, 지금까지 연구한 '네피림'의 정체에 대해 종합적으로 언급하였다. 향후 '네피림' 연구에 있어서는 두 가지의 과제가 남아있다. 첫째는 '네피림'을 멸망시켜서 지키려고 했던 '거룩한 자손'은 무엇을 의미하는가의 문제이다. 이를 앎으로써 '네피림'의 멸망의 근본적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둘째로는 창세기 6:4와 민수기 13:33에 기록된 '네피림'의 육체적, 문화적 특징들에 대한 연구이다. '네피림'의 영적 속성뿐만 아니라, 그들의 물리적 속성에 대한 이해도 성경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이 같은 연구를 통해 성경의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네피림'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The word 'Nephilim' is one of the difficult problems dealt in hermeneutics. In Genesis 6:1-4, there are many other perplexing terms like 'Sons of God', 'Daughters of men', 'My spirit', '120 years' including the term 'Nephilim'. By now, many theologists have tried to translate but it was only done by one premise; that the item 'man' in Genesis chapter 1 and 'Adam' written in Genesis chapter 2 are one accord existence. This above written premise is very threatening to its reliability, for there are many other archeological evidences and scientific evidences which are contradicted to this premise. Therefore, to its certain estimation it would be impossible to translate the Bible with such standardized premise. A more accurate and detailed explication of God's Creation can only lead us to a more clarified premise for narrative translation of Genesis 6:1-4. So, above all, I'll observe the scriptures of Genesis 1 and Genesis 2 in detail, and will show the difficulty in interpretation between the two scriptures due to different layer of description written as similar incident. Since the order and the details of creation in Genesis chapter 1 and Genesis chapter 2 are different. In Genesis 1, a creation possessing personality was recorded as 'man'(□□□). But in Genesis 2, there appears a phrase recorded as 'a living being', which is distinguished from 'man' by showing the item 'man' converting transitionally to a 'living being'. Upon this, 1)I'll inspect the discrimination in differentiation of item in sexuality of 'man' and 'living being'. 2)And will research the references of the 'living being's ancestry evidences. With these two premises, I'll prove the two differentiation meaning under between the lines in item according to 'man' which is outstanding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discrimination hinges on whether the 'living being' received the spirit of God or not. On this specific standardized point of view, several difficulties in translation of Genesis will be solved. Especially, a more clarified identification of certain being whom Cain feared will be possible. In Genesis 6:1-4 writes 'men', the same term of 'men' written in Genesis 1. The link of these two 'men' is supported by the phrased term 'to multiply'. The 'men'(hebraic translation meaning equal to male and female) of Genesis 1 received the blessings of multiplying, and as a result of it, in Genesis 6:1, 'men' started to multiply. To this linguistic link, we can notice to indicate that 'men' of Genesis 1 and 'men' of Genesis 6 are intensively related. By now, scholars has translated 'Sons of God' of Genesis 6:2 as angels or as human beings through standardized fixation theological view by presenting biblical examples of this item and of bible external evidences(pseudepigrapha, silmilarity between this scripture of bible and mythologies). To these interrelation, explications in interpretation of 'man' and 'living being' are non equivalent to one accord being. If we translate Genesis 6:1-4 in the viewpoint that discriminate 'man' from 'living being', we can guess that 'daughters of men' are the descendants of 'men' of Genesis 1, and that 'sons of God' are the descendants of 'living being' of Genesis 2. This research shows that this translation can be suppor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my spirit' of Genesis 6:3 and 'the breath of life' of Genesis 2:7. If we translate Genesis 6:1-4 by the viewpoint of discriminating 'man' from 'living being', we can estimate 'daughters of men' could be the offspring of 'men' of Genesis 1, and 'sons of God' as the offspring of 'living being' of Genesis 2. This research shows that this explication can be validated by the interrelation sense between 'my spirit' of Genesis 6:3 and 'the breath of life' of Genesis 2:7. Through the new premised researched translation of 'sons of God' and 'daughters of men', we can identify the 'Nephilim' to a more precise meaning in clarification. By the meaning of 'nafal'(□□□), the etymology of 'Nephilim', 'to fall', shows that 'Nephilim' are spiritual dropouts, those in whom 'the breath of life' of God does not dwell to find throughout this research. Thus I analogized that 'Nephilim' is the term indicating those all who doesn't possess 'the breath of life' of God. We can confirm that 'Nephilim' caused the Flood by Malachi 2:15. And through this evidential confirmation, we can estimate of the word 'Nephilim' can mean more than moral violence and corruption, but as spiritual corruption. We can surely estimate in certain that in those days, the 'Nephilim' had increased and 'living beings' who were created according to the righteous will of God had decreased day by day in perish. By this explicit explication, we can confirm, God adopted the Flood as the way of sweeping all the people except for Noah and his family, who was righteous and perfect. Then, how does the 'Nephilim' appear once again in Numbers 13:33? Here the word 'Nephilim' indicates not the genuine, same 'Nephilim' in identity, but indicates the people who were very tall and strong, looking much alike the 'Nephilim' describing the Anakites. According to the advancing will of God written in the bible, and also of Genesis 7:20-24, 'Nephilim' couldn't have any reasons for survival in the great flood. Therefore I'll come to the conclusion that 'Nephilim' must have been swept by the Flood where there eventually cannot be any no existence of Nephilim left behind after in the days of Numbers. For this research, I collected, researched and analysed many commentary translations on 'Nephilim', dealing explanatory explication of interpretation on the word 'Nephilim'. The framework of this research is as mentioned below. Chapter 1 is the precise introduction, which shows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topical research. In Chapter 2, dealt with the reality in differentiation of 'man' of Genesis 1 and Genesis 2, through the basis of the differentiation in the creation order layer of the two scripture texts of Genesis 1 and Genesis 2 emphasizing these explicit differentiation in conceptual frame and through the narrative explication of 'man' for accurate premise of explication in translation according to Genesis 6:1-4. In Chapter 3, above all, researched many scholars' translation of Genesis 6:1-4. And by through this new premise - that 'man' of Genesis 1 and 'Adam' of Genesis 2 are non equivalent in identity - proving the difficulties of explication in translation of Genesis 6:1-4 to be solved. In Chapter 4, came to the conclusion entering and bringing results of this topical research. From now on, two subjects are to be researched on 'Nephilim'. First, research for identification of 'godly offspring', whom God preserved and protected from the destruction of 'Nephilim'. This will enable us to explain the essential reason of 'Nephilim' destruction. Secondly, researching on physica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ephilim', which are commented in Genesis 6:4 and Numbers 13:33. Not only understanding spiritual character of 'Nephilim', but also that of their physical character, which is indispensible to understand the bible. Through these researches,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Nephilim' in coherences of the whole bible.

      •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바울의 연보 사역 연구

        이재연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591

        본 논문의 목적은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바울의 연보 사역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그것이 갖는 신학적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바울의 연보 사역과 직접적인 관련을 갖고 있는 성경 본문을 중심으로 주석적으로 접근한다. 바울의 연보 사역의 일차적이고 표면적인 목적은 예루살렘 교회의 경제적 구제를 위함이었다(행 11:28, 고후 8:14, 갈 2:10). 그러나 바울의 연보 사역은 단순히 예루살렘 교회의 가난한 자들을 돕기 위한 구제 행위 그 이상의 신학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바울의 연보 사역은 그가 세운 이방 교회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바울은 이를 통해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의 친밀하고 굳건한 연대를 확보함과 동시에, 유대인들을 자극하여 구원에 이르도록 하려고 했다. 또 이것은 서로를 향한 구체적인 사랑의 표현이었고, 바울 자신을 이방인의 사도로서 증명해 주는 중요한 증거가 되었다. 바울은 연보와 관련해 다양한 신학적 의미를 내포한 개념을 사용했는데, 그것은 바울의 연보 사역의 신학적 토대와 함께 바울의 신학과 목회 및 선교 전략 등을 모두 묶어서 하나로 볼 수 있는 요약된 내용을 우리에게 제시해 주고 있다. 또한 바울의 연보는 오늘날 교회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연보의 원리 즉 오늘날 연보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며 어떠한 마음과 태도로 참여할 것인가 등을 제공함으로써 연보의 올바른 기능을 회복하도록 일깨워 준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Paul's collection ministry for the Jerusalem Church overall and to clarify its theological meaning. For this, commentarial methods were approached for the biblical text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offering of Paul's ministry. In Paul's collection ministry the primary and superficial purpose was for the economic assistance of Jerusalem (Ac 11:28, 2Co 8:14, Gal 2:10). However, Paul's collection ministry is more than just simply helping the poor people of Jerusalem Church, it implicates a theological significance. Paul's collection ministry was accomplished centering the foreign churches that he founded, and through this as well as confirming an intimate and firm regiment between the Jews and gentiles, Paul tried stimulating the Jews to reach salvation. Also this was a concrete expression of love towards each other and important evidence that Paul proved himself as an Apostle of the Gentiles. Paul uses various theological concepts and implicit ideas that relates with collection.. As well as this being a theological underpinning for Paul's collection ministry, the pastoral theology and mission strategy which is tied together so one can see, is summarized and presented. In addition, Paul's collection restores and awakens us on the principle of collection and supplies how to prepare your mind and attitude to participate in any such offering, which can be applied in the churches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