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금융기관의 문화예술마케팅 인지도 제고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국내 카드사를 중심으로

        김서이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03

        최근 기업들 사이에서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차별화가 어렵기 때문에 문화예술 마케팅을 수단으로 활용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20세기가 정보․ 기술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기 때문에 제품의 기능에 문화적감성을 더하여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여야한다. 그래서 문화예술 마케팅을 통해 신뢰도 있는 기업 이미지 제고와 확고한 브랜드를 확립을 해나가야 선점우위를 할 수 있고, 경쟁사들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이 연구는 금융 상품을 사용하는 고객들이 문화예술 마케팅을 통해 카드사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나 인지도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 파악하는가를 연구했다. 이를 위해 설문 조사를 하였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중점 추진할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정리하였다. 주요 내용은 고객 유지 및 유치를 위한 인지차이 극복방안, 새로운 홍보 매체에 대한 접근, 기업 이미지 마케팅 활성화, 전략적 특성화 장르 발굴, 고객을 세분화한 니치마케팅, 여성고객의 특별 배려 방안과 같은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전략들이다. 이로서 카드사의 문화예술 마케팅 활동을 해나간다면,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것은 물론 자연스럽게 고객과의 문화적 커뮤니케이션 소통으로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해 나아갈 것이다. 또한, 차별적인 전략들은 기업의 독특한 이미지 확립과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심어주어 기업의 가치를 자연스럽게 높이는 홍보 전략과 이윤창출을 늘리게 되는 효과를 거두게 될 것이다. The corporations of the current era is showing a movement toward using culture and art as a marketing means due to difficulty in differenciation among competing products and services. If the 20th century was the time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cultural context, therefore, the product's function is no longer the main factor to move the potential customers. Therefore, through culture and art marketing, firms can build trust to clients, enhance corporate image and establish firm brand to gain superiority amongst the competitors to survive. In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ajor factors in brand image and image recognition are influenced by culture and art marketing in credit companies by the users who purchases their financial products. Then from the analysis, implications are extracted and arranged into 6 major activation plans for firms; By utilizing innovative and original strategies such as overcoming recognition differences for client maintenance and attraction, access to new advertisement means, activating image marketing, excavating original strategic genre, categorizing clients for niche marketing, and special consideration to female customers, credit firms can imply culture-art marketing to fulfil customer needs and naturally communicate with customers with culture and create ongoing relationship. Differentiation strategies will bring unique corporate image and positive brand image and increase a firm's value through advertisement strategies, leading to higher revenue creation.

      • 자치구 지역문화시설 전시실 활성화 방안연구 : 해운대문화회관 중심으로

        배현주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87

        1990 onwards, establishing municipal corporation with changing of policy in cultivation of cultural foundation were regarded, as a result, many of cultural facilities has been established all over the countries intending to gain competitiveness of between regions in the country. There are more than 160 of Culture and Art Centre were built in the country at present but they are not running efficiently owing to the absence of experts in the fields, operational difficulties and inefficiency of the system. To improve operation, frequent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and suggesting creative and cultural chances to local people have to be considered as particularly regarding regional Culture and Art Centre are utilised by a few number of people in reality. To study improvisation of local cultural facility, a case study will be presented first. Also, as regarded by researchers in statistic, a chosen case of introducing experts in the field, temporary exhibitions and various programs shall be studied. As the chosen cases, where experts are present and various program is active, were analyzed, distinction from others were clear but difficulties in participation of visitors were still an issue. To suggest resolving the problems, managing visitors; building visitor’s database and launching membership which would inform visitors all activities in centre, may be necessary. This suggestion, which might motivate visitors to participate and understand their desire in cultural activities, may help role and identity as a local cultural facility. Through the result of the case studies, a well-balanced culture and art development for Haeundae cultural center and spreading the benefits for the local people shall be proposed in this study. The proposals are divided into 5 categories, first, employ experts in the fields for creative and efficient operation, second, establishing appropriate systemically operation to the local condition, third, self-project ability and varied programs for various visitors, fourth, marketing and promotional strategy, finally, managing current visitors and building potential visitors. This proposal to help foundation of Haeundae cultural center and one expects well-balanced development as a cultural and art complex facility. 1990년대 들어오면서 문화기반시설 정책의 변화와 지방자치제의 실시로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국 각지에 문화예술회관 등 많은 지역문화시설들을 건립하였다. 2009년 말 현재 우리나라는 이미 160여개가 넘는 문화예술회관이 운영 중이며 그 규모나 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개관 이후 조직구조의 비효율성 및 전문인력 부재 등의 운영상의 문제로 인해 그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자치구의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은 대부분이 소수 관람객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는 현실이므로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민들의 참여 빈도를 높이고 지역주민의 문화복지와 예술창작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설정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서 우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활성화요인으로 간주하는 전문인력 확보와 기획전시 및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는 자치구의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을 중심으로 현황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프로그램과 전문인력들의 열정으로 타 자치구의 지역문화시설 전시실과는 차별성을 두고 운영하고 있었으나 관람객개발에 있어서는 운영상의 한계점을 보였고, 그에 따른 개선방향에 대해 모색해보았다. 각 기관들은 교육대상별 관람객관리가 필요하며 회원 제도를 도입하여 관람객데이터를 구축을 함으로써 높은 참여율을 유도하고 지역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파악할 때 비로소 지역문화시설로서의 역할 정립과 정체성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례분석의 결과를 통해 해운대문화회관 전시실의 균형 있는 문화예술발전과 지역민들의 위한 시각예술의 확산을 목적으로 전시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해운대문화회관전시실 활성화 방안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는 첫째, 전시와 관련된 전문 인력의 적극적 수용을 통해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도모, 둘째, 지역실정에 맞는 적정한 조직운영체계의 정착, 셋째, 다양한 관람객을 개발을 위한 자체 기획전시와 프로그램 활성화 넷째, 전략적 문화마케팅과 전시홍보, 다섯째, 잠재적인 관람객을 유치하고 고정관람객을 확보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관람객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위와 같은 활성화방안들은 해운대문화회관 전시실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의의를 두고 있으며 해운대문화회관이 복합문화시설로서 공연과 더불어 전시가 균형 있게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기대한다.

      • 노인문화활동 가치확충을 위한 전문화 연구

        이민아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87

        Korea is expected to reach ultra aged society in 2026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medicine development. Followed by such aging society, it is inevitable to renew our socio-cultural awareness and access. In this context, cultural approach is needed to solve problems and to deal with new demands that occur in the aged society while securing a variety of social services and expertise. However, most studies are just dedicated to issues of the elderly regarding, senior welfare, lifelong education, recreation, and such.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ultural activities of the elderly. First, cultural activities of the seniors create social values, cultural values, and industrial and economic contribution values. Through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the elderly can regain social roles that have been once lost and be granted and in this process they can solve psychological and mental problems. In addition, the cultur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act as an intermediary connecting past and present so that the elderly can become the dependent members of society that can maintain creative lives. In terms of successful aging, the elderly can perform the role of economically active members for the local community contributing to the industry and economy of the society. In order to determine realization of the elderly cultural activities, examples of the national project ‘Senior Programs in the Regional Culture Center’ were examined, in which the elderly cultural activities have been contributing to the success in senior job creation, expansion of cultural enjoyment in activities, opportun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generation cross-communication, voluntary and spontaneous cultural activities by virtuous cycle structure management. As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cultural center that performs the business on awareness and progress of the elderly cultural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he expertise of senior cultural activities needs to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First, the agencies and organizations that perform those programs must setup mid-and-long-term performance goals, philosophy, and strategy and develop professionals by educating people of the senior cultural activities. In other words,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workshops are needed to educate the lecturers of activities which enhance the artistic and cultural understanding as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hem. In addition, more specialized senior cultural programs must be secured by planning the programs in-depth and in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leading program focused on beneficiary needs.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senior cultural activities must be considered by strengthening assessments and by improving supports and institutional networks. Finally, it is needed to establish ‘National Senior Creative Center’ or an operational organization dedicated to the integrity of information in operations and management of the contents above. The center can perform as a base for the elderly to obtain cultural information and also a center to provide forums and cultural events with seniors related research, material development, and social discourse. By securing expertise on such cultur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senior citizens can as proactive cultural members while they can take lead in the positive and creative lives. 의학발달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우리나라는 2026년이면 초고령사회(Ultra Aged Society)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인구고령화에 따라 우리는 사회문화적인 인식과 접근을 새롭게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양한 사회 서비스와 전문성을 확충하고 고령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수요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화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노인복지, 평생교육, 여가활동 등의 관점으로 노인문제를 접근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노인들의 문화활동에 초점을 두었다. 우선, 고령화 사회 노인문화활동은 크게 사회적 가치, 문화적 가치, 산업 경제적 기여가치를 창출한다. 노인들은 문화를 통한 사회참여활동을 통해 상실한 사회적 역할을 다시 부여 받을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심리적·정신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노인 문화활동은 노인을 경제적 부양자가 아닌 문화권을 가진 사회 구성원으로써 창조적인 삶을 영위하고 과거와 현재를 잇는 중간자로서 역할을 돕는다. 또한 성공적 노화의 관점에서 노인은 지역 활성화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으므로 산업 경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노인문화활동의 가치 실현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국정과제 대상 사업인 ‘지방문화원 어르신문화프로그램’ 사례를 살펴본 결과, 노인문화활동은 선순환구조운영을 통해 노인문화향유기회 확대, 사회참여유도, 세대 간 소통, 일자리창출 및 자발적·자생적 문화활동 저변 확충 등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동 사업을 수행하는 문화원의 노인문화예술활동에 대한 가치인식 및 확충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방안을 통해 노인문화활동의 전문성을 확보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수행기관·단체는 중장기적 성과를 고려한 이념과 전략목표를 설정해야 하며 노인문화활동과 관련된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즉 노인이수자의 강사활동, 문화예술강사의 노인에 대한 이해 제고, 기획자들의 역량 강화 등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 워크숍이 필요하다. 그리고 수혜자 욕구중심, 선도적 프로그램 등 다양한 관점에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심층화함으로써 노인문화프로그램의 전문성을 확보해야한다. 또한 유관단체·기관의 네트워크 강화, 지원시스템 확충 및 평가 강화를 통해 노인문화활동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위의 내용을 통합적으로 운영·관리·지원 할 수 있는 전담운영기관인 ‘국립노인창작센터’의 설립이 필요하다. 이때 센터는 노인들의 정보 구심점이자 노인문화와 관련된 연구 및 교재개발, 사회적 담론 형성을 위한 포럼이나 문화행사 개최를 통해 노인문화활동이 거점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인문화활동의 전문성 확보를 통해 향후 노인들은 능동적 문화 활동자로 활동 할 수 있으며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노년의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 예술아카이브의 정책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메타 기관 형성을 중심으로

        박연진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최근 급속하게 팽창하고 있는 문화예술시장의 인프라 구축 과제 중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예술아카이브의 정책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이다. 기록관리 분야에서 문화예술영역은 아직 초기 준비단계로서 문화예술 산업의 발전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으며, 더욱이 각 문화예술분야의 현장에서 예술자료의 체계적인 수집과 보존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정적인 어려움, 예술자료의 가치 인식부족, 전문 인력의 부족 등의 이유로 예술아카이브가 활성화, 체계화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예술자료와 정보 자체는 인류의 오랜 경험과 예술적 상상력이 총체적으로 녹아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으로서 이러한 문화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 보존하여 동시대 또는 후대의 예술 창작자, 연구자, 향유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은 정보와 지식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오늘날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는 일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예술아카이브는 예술에 대한 정체성과 역사를 올바로 정립하고, 수집된 과거의 기록들을 통해 현재와 미래에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여 예술자원의 가치와 근원적 기준을 만드는 든든한 토대의 기능을 맡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현 상황에서 아카이브(archives)의 혼재된 여러 개념들을 정리하고 이에 따라 예술아카이브의 새로운 개념 정의를 내리어 국내외 예술아카이브의 현황과 대표사례를 살펴보고 기관별, 정책별 분석을 통해 예술아카이브의 필요성을 도출하여 예술아카이브 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예술자료는 장르별, 분야별로 다양한 특성과 내용을 담고 있을 뿐더러 시간이 지날수록 그 물량 또한 엄청나기 때문에 예술아카이브의 운영정책 수립에 있어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역할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더불어 본 연구자가 제안하고자 하는 예술아카이브의 정책개선 방향은 자료들의 수집과 보존의 기능에 그치는 기존의 수동적인 기관에 머물 것이 아니라 예술자료의 체계적인 수집과 보존, 활용에 이어 이용자를 위한 효과적인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예술적 가치를 재생산하는 창조적인 공간으로서, 더 나아가 예술분야에 관심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정보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아카이브 기능을 지향하는 예술아카이브라고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를 토대로 예술아카이브가 우리나라 문화예술을 전 세계로 알리는 문화콘텐츠로서 사명을 갖고 국제적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예술아카이브 정책 개선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본격적인 예술아카이브와 예술아카이브 정책의 발전을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면 한다. This research will investigate a direction to improve the policies of arts archives which should take precedence over other infrastructure assignments in recent, quickly expanding cultural arts market. The cultural arts section in the archive-management field is in its initial preparation stage yet, so it does not keep up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rt industry. Furthermore, in reality, arts archives are not activated or systematized because of financial difficulties, insufficient recognition of value of arts materials, and lack of experts, even though it is pointed out that the systematic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arts materials are important and necessary on each cultural arts field. However, art materials and information themselves are precious cultural heritage, in which human's long experience and artificial imagination are immersed, so providing it to contemporary or future generation's creators, researchers, and enjoyers, through systematic collection, arrangement, and preservation of these cultural resources, will certainly enhanc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where information and knowledge create a high value-added business. Therefore, arts archives will establish the correct identity and history of art and, based on collected past records, they will indicate directions for us to head for at the present and in the future, and function as the solid foundation for creating value of art materials and essential criteria. This research will explain several confusing concepts about arts archives at this point, and, accordingly, make a new definition of arts archive, and examine current situations of arts archives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and their typical examples. It will also suggest a direction to improve policies of arts archives by drawing its necessity through the analysis of respective divisions and policies. Since art materials not only contain diverse properties and contents by the classification of genres and fields, but also increase in volume as time passe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specialized and systematic roles in establishing the policies of operating arts archive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improvement policies of arts archives this researcher wants to suggest is not to make a passive organization which only serves to collect and preserve materials, but to make a creative space which provides users with effective service, along with systematic collection, preservation, and where artistic value is reproduced and thereby to further make multi-functioning digital archive where all people interested in art field can have access to useful information. In the end, it is hoped that more research on future, full-blown arts archive projects and new developments in policies should go on, so that arts archives, based on this research, may play an important role as cultural contents which can let Korean cultural arts known worldwide and become an opportunity to be recognized internationally for their value, by suggesting a direction of better policies of arts archives.

      • 서화문화재 보존처리에 이용하는 풀가사리의 기능성 연구

        임인경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서화문화재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뿐 아니라 제작에 사용된 재료, 양식 등 다양한 자료를 포함하고 있는 귀중한 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현재 전래된 서화문화재는 유기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제작된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수축과 팽창, 수분의 영향에 의한 곰팡이 및 유해생물에 의해 소멸되어 박리, 박락, 균열 등의 상태로 훼손되어져 있다. 훼손된 서화문화재의 보존처리작업에는 화면보호조치 작업이 우선적으로 행하여지며 작업에 사용된 접착제는 가역성의 문제이외에도 문제점이 발생되면 원형 복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선택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접착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예로부터 접착제나 식용 및 한약제 등 실생활에 다방면으로 사용된 풀가사리의 활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에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소맥전분 풀의 제작기법과 접착제로서 활용법 등과 풀가사리를 이용한 접착제의 가공방법을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소맥전분 풀과 풀가사리 접착제를 상호 비교분석하여 장, 단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풀가사리와 소맥전분의 pH와 염도 측정 결과 풀가사리는 염도 0∼0.2%, pH6.29∼6.61, 소맥전분은 염도 0%, pH5.15∼6.05가 측정 되었다. 풀가사리는 염도가 측정되는 반면, 중성을 띄고 있었고, 소맥전분의 경우 약산성을 띄나 염도는 측정되지 않았다. 풀가사리와 소맥전분과의 접착력 비교실험결과 풀가사리(냉수가공)의 측정값(N/25mm)이 0.82∼2.55, 풀가사리(온수가공) 1.17∼2.79, 소맥전분은 2.10∼3.85이 나타나 결과적으로 풀가사리(냉수가공) < 풀가사리(온수가공) < 소맥전분의 순으로 접착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풀가사리로 제작된 접착제는 같은 농도의 소맥전분 풀보다 접착력이 약하며, 온수가공으로 제작된 풀가사리 접착제가 접착력이 강함을 알 수 있었다. 풀가사리와 소맥전분과의 가역성 비교를 위한 세척 후 접착력 변화 측정값(N/25mm)은 풀가사리(냉수가공) 0.12∼0.66, 풀가사리(온수가공) 0.70∼2.51, 소맥전분 2.03∼3.38이 나타나 소맥전분 < 풀가사리(온수가공) < 풀가사리(냉수가공)의 순으로 변화의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맥전분과 온수가공한 풀가사리 접착제의 경우 세척 후에도 접착력이 남아있는 반면 냉수가공한 풀가사리의 경우 물에 쉽게 씻겨나가 서화문화재보존처리에 완전한 제거를 전제로 한 임시적인 접착에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연도 측정결과 동일 농도의 조건에서 저장탄성율(MPa)이 풀가사리(냉수가공) 5127∼6674, 풀가사리(온수가공) 5436∼7138, 소맥전분 6685∼8011이 나타나 결과적으로 풀가사리(냉수가공) < 풀가사리(온수가공) < 소맥전분의 순으로 측정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측정값은 유연도와 반비례함으로 비슷한 농도에서는 소맥전분보다 풀가사리가 유연도가 좋으며, 냉수가공한 풀가사리가 가장 유연도가 낫다고 할 수 있었다. 미생물 열화실험 결과 풀가사리(온수가공) < 풀가사리(냉수가공) < 소맥전분의 순으로 변화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소맥전분의 경우 곰팡이의 생육이 활발하였으나 풀가사리의 경우 곰팡이의 생육이 나타나지 않았고, 온수가공으로 제작한 풀가사리 접착제는 가장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백색도 측정결과 소맥전분 < 풀가사리(냉수가공) < 풀가사리(온수가공)의 순으로 측정값의 변화가 나타났다. 소맥전분풀이 원래의 색에 비해 적은 변화 값이 도출되었고, 풀가사리는 냉수가공한 풀가사리보다 온수가공한 풀가사리의 경우 더 진한 색을 띄고 있음이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풀가사리 중 시판되는 한 가지만을 선택하여 전체를 대신한 부족함과 검출된 물성에 대한 보다 세분된 분석을 진행하지 못한 실험의 한계가 있었다. 또한 서화문화재 보존처리에 사용한 재료는 가역성이 있다 할지라도 잔류되는 물질이 주변 환경과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진행하지 못하였다. 풀가사리 접착제가 서화문화재 보존처리재료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보다 세부적인 열화관련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s valuable legacy including versatile materials, not only age circumstances but also used materials and patterns. Currently inherited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s composed of organic substances when influenced by surrounding environment contract and expand as long time passes by. It is in deteriorating condition showing desquamation, exfoliation and cracks, becoming extinct by noxious organisms and fungus influenced by moisture. For damaged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conservation handling works, screen protection measure is conducted preferentially and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election since glue used in operation can not be restored to original figure when problems other than reversibility issue arise. This paper recognizes significance of such glues and we centered our research on applicability review of Gloiopeltis tenax used as glue, food and medicinal herbs in various practical lives of people.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we compared and organized glue manufacture process utilizing Gloiopeltis tenax against conventionally used wheat starch glue manufacture technique and utilization of this as glue. Also we came up with good and bad sides of wheat starch glue and Gloiopeltis tenax glue after mutual comparison analysis. According to pH salinity measurement results of Gloiopeltis tenax and wheat starch, salinity of Gloiopeltis tenax was 0~0.2%, pH 6.29~6.61, and salinity of wheat starch was 0%, pH 5.15~6.05. while salinity of Gloiopeltis tenax was measurable, it was neutral and for wheat starch salinity level was unmeasurable though it showed slight acidity. For the comparative experiment of adhesion strength of Gloiopeltis tenax and wheat starch, the measured value fo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N/25mm) was 0.82~2.55, 1.17~2.79 for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and 2.10~3.85 for wheat starch. Consequently adhesion strength was in the following order :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 warm water process) < wheat starch. Through this experiment, we came to know Gloiopeltis tenax adhesives have less adhesion strength than wheat starch of same concentration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warm water showed higher adhesive quality. Adhesive strength variation measurement after cleaning for reversibility comparison between Gloiopeltis tenax and wheat starch was 0.12~0.66 fo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0.70~2.51 for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and 2.03~3.38 for wheat starch, indicating higher variation gap in the following order: whear starch <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Some adhesive strength could be found after cleaning in the case of wheat starch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warm water. However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proved to be applicable for temporary adhesion , being able to be easily washed to provide complete removal of the adhesion as pre-requisite for preservation process of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For flexibility measurement, under same concentration condition, storage modulus (MPa) fo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was 5127~6674, 5436~7138 for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and 6685~8011 for wheat starch. Consequently the measurement result was in the following order: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 wheat starch. Measurements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flexibility. So under similar concentration condition, Gloiopeltis tenax is more flexible than wheat starch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ranked highest in flexibility. Micro organism degradation experiment results was in the following order with the latter showing more variation: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wheat starch. In case of wheat starch, fungus growth and development was brisk. However In Gloiopeltis tenax case, no fungus was detected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maintained most balanced. For whiteness index measurement, the result was in the following order: wheat starch < Gloiopeltis tenax(cold water process) < Gloiopeltis tenax(warm water process). Compared with the original color, wheat starch showed less variation and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warm water showed darker colors in comparison with Gloiopeltis tenax processed in cold water. This paper had experimental limitations, being unable to conduct more departmentalized analysis on the detected property of the matter and selecting only one Gloiopeltis tenax out of various Gloiopeltis tenax currently in use to represent all Gloiopeltis tenax adhesives. Also even if the materials used for preservation process of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shows reversibility, we failed to conduct stability issue of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sidues. For utilization of Gloiopeltis tenax as preservation process materials for Con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more detailed heat-relat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supplementally.

      • 20세기 발간된 도서 산성화에 대한 조사연구 : 명지대학교 도서관 장서를 중심으로

        주미연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소장 도서의 보존관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명지대학교 소장 도서(1901-2000년) 559권을 대상으로 산성도 측정, 열화도 평가, 백색도 측정, 주사전자현미경(SEM) 촬영을 하여 연도별(10년 단위)·국가별(국내도서·미국도서·프랑스도서·일본도서·중국도서)로 도서의 보존상태를 조사하였다. 산성도 측정결과 명지대학교 소장 도서의 81.4%가 pH 5.4 이하로 산성화 되었으며, 1980년대 이전의 도서(86.6%)들이 대부분 pH 6.0 이하를 나타내고 있어 보존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열화도 평가 결과 명지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도서는 대체로 1921-1930년에 발행된 도서의 열화도(1.15)가 가장 심하였고, 1960년(2.17)을 전후해서 열화도 평점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열화도는 명지대학교 소장 도서의 84.1%가 보존 관리 및 보존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색도는 명지대학교 소장 도서의 65.3%가 황변화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색도 측정 결과 대체로 장기 보관될수록 백색도가 낮았으며, 특히 1921-1930년대 백색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1980년 이후의 자료일수록 백색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사전자현미경(SEM) 촬영 결과 훼손된 종이의 섬유조직에서는 표면침식과 잔주름이 많이 나타났으며, 비틀림으로 인한 섬유형태의 변형이 관찰되는 반면 훼손이 되지 않은 종이의 섬유조직에서는 훼손된 종이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명지대학교 도서관에서 조사된 도서의 보존상태는 국내외 기록보존기관에서 주로 접할 수 있는 기록물의 훼손 유형과 비슷하였으며 가장 큰 열화원인은 산성용지로 된 도서의 산성화와 보관 중에 생기는 자연적인 산성화로 밝혀졌다. 이는 산성지의 계속적인 증가와 명지대학교 도서관의 보존환경 관리가 시스템 미비로 도서의 산성화를 더욱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도서관에서는 도서의 보존을 위해서 외부의 온습도 변화, 대기오염, 외부 충격 등을 예방해주는 보존환경 유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향후 관리비용 절감과 미래의 자료보존을 위해서 중성지의 사용도 제안하고자 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books in university libraries, this study measured the acidity, degradation and whiteness of 559 books (1901-2000) in the library of Myongji University, took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SEM) photographs and examined the preservation condition of books by age (10 year unit) and by country (Korea, USA, France, Japan and China). According to the result of measuring acidity, 81.4% of books in the library of Myongji University were acidified below pH 5.4 and most (86.6%) of books before 1980 were below pH 6.0. This suggests that it is urgent to take an action for proper preserv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measuring degradation, among books in the library of Myongji University, those published between 1921~1930 were degraded most severely (1.15) and the mean score of degrad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oks published after 1960 (2.17). The result on degradation suggests that 84.1% of books in the library of Myongji University need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treatment. As for discoloration, 65.3% of books in the library of Myongji University appeared be yellowed. The result of measuring whiteness showed that whiteness was low in old books and particularly those in the 1920s and 1930s and was high in books published after 1980s. According to SEM photographs, fibrous tissue of damaged paper had surface erosion and a large number of fine wrinkles, and the fiber was deformed by twist. On the contrary, such phenomena were hardly observed in fibrous tissue of undamaged paper. In conclusion, the preservation condition of books investigated in the library of Myongji University was similar to the pattern of damage in documentary literature kept in domestic and overseas archives and the biggest reasons for degradation were acidification of books made of acidic paper and natural acidification. As it is expected that the acidification of books will be accelerated by the continuous increase of acidic paper and the inadequate preservation system in the library of Myongji University, it is important to maintain preservation environment that protect books from change in outside temperature and humidity, air pollution, external impact, etc.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neutral paper to reduce the cost of maintenance and to preserve literature in the future.

      • 2012 여수세계박람회 전시시설 사후활용 방안 제안 : 지역박물관 건립제안을 중심으로

        강은영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As a ground where a multitude of people gather to show culture and things and to exchange information, the World Expo has driven human civilization to evolve. Since its commencement in London in 1851, the World Expo has signified modernity after industrial revolution. A successful World Expo has become a means of Western superpowers to boast of national strength and assumed a status as the most efficient medium for exchanging information on the latest things and culture. However,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advancement of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and mass media has diminished such a status of the World Expo, which in turn has been considered a political means for local development. Due to such changes in the status and characters of the World Expo, recent World Expos tend to be organized in a way that local developmental orientation or application of facilities are determined first so that the facilities can be used properly after the event. That is, a successful World Expo now implies that the event itself is a success to the extent that it takes effects on local development and sustainable activation with its relevant facilities used properly after the event. The past 20th century was the century of nations, whereas the present 21st century is the century of cities. World-class cities are in pursuit of transformation through diverse strategies with a view to a 'city of creation' fitted with self-sustained creativity. In May 2012, the World Expo is held in Yeosu Jeollanamdo a second time in Korea. For Yeosu City to soar up as a 'city of creation for marine culture and art' after the Expo, a cultural space needs building for creative human resources. If Yeosu World Expo becomes a chance to present a discourse on such a futuristic city, utilizing Expo-related facilities after the event is to help adopt new cultural assets, which will revive the city and lay a ground for its rebirth as a creative city. As the most effective way to develop into a futuristic city, a successful Expo and further application of its facilities would first require a plan to use such facilities after the event. In that sense, the present study suggests building a local museum succeeding to the theme and influence of 2012 Yeosu World Expo as a way to successfully use the event and relevant facilities, and seeks other measures to develop the local society in Yeosu City through building cultural infrastructure. To support the suggestion, the values of the strategy to turn the event facilities into a museum are analyzed here, and the current state of Yeosu City's cultural resources and its policy for cultural development are also analyzed. Besides, a questionnaire survey is used to find out the status of cultural nostalgia among local citizens and their opinions on building a museum using the facilities after the event is over. 세계박람회는 다중이 모여 문물을 전시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장으로서 인류문명의 발전을 이끌어 왔다. 산업 혁명 이후 근대적 의미를 갖는 세계박람회는 1851년 개최된 런던박람회로부터 시작된다. 이 박람회의 성공으로 세계박람회는 서구 열강의 국력과시 수단이 되었고 최신 문물의 정보를 교류하는 가장 효율적인 매체로서 위상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이후 교통과 통신, 대중매체의 발달 등에 의해 세계박람회는 그 위상을 상실하게 되고 지역개발을 위한 정책 수단의 하나로 고려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세계박람회의 위상과 성격변화로 최근 개최된 세계박람회들을 살펴보면, 지역의 개발방향이나 용도를 먼저 설정 한 후 그에 부합하는 사후활용을 전제로 박람회 시설을 조성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박람회의 성공적 개최 요건이 이벤트 자체로서의 성공여부와 지역개발의 효과, 그리고 사후활용에 따른 지속적인 지역 활성화 등으로 변화·확대되어진 것이다. 지난 20세기가 국가의 세기였다면 지금 시작된 21세기는 ‘도시의 세기’이다. 세계적 도시들은 자생할 수 있는 창의성을 가진‘창조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통해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그 전략의 기반에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2012년 5월, 전라남도 여수에서 우리나라 두 번째 세계박람회인 여수세계박람회가 개최된다. 박람회 이후 여수시가 지속적인 유효가치를 창출하는‘해양문화예술의 창조도시’로 웅비하기 위해서는 창조적 인재들을 위한 문화공간의 조성이 필요하다. 여수세계박람회의 개최가 이러한 미래도시의 담론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었다면, 박람회의 사후활용을 통해 새로운 문화적 자산을 도입하는 것은 도시를 재생시키고, 창조도시로 거듭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미래 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박람회의 성공적 개최와 사후활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전에 사후활용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2 여수세계박람회 이후 세계박람회의 주제와 효과를 계승하는 성공적인 사후활용 방안의 한 가지로, 전시시설 사후활용을 통한 지역박물관 건립을 제안하고, 문화기반시설 확보를 통한 여수시의 지역사회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제안의 타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박물관화 전략의 가치 분석하였으며, 여수시 문화자원 현황 조사와 문화개발 정책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민의 문화향수 실태와 사후활용을 통한 지역박물관 건립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 한국 사진 잡지 『사진문화』연구 : 1948년부터 1950년까지

        박혜성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Sajin-Munhwa』was a Korean photography magazine founded in July 1948. It was produced by Yi Kyu-wan of the Chosun Photographic Culture Institute. From July 1948 to June 1950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it published 12 issues and 6 more issues after the war but ceased publication after 18th issue. In this study I dealt with discourses on photography issued in『Sajin-Munhwa』from 1948 to 1950. In the wake of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Korean society saw vigorous moves toward social and financial independence. Korean photographers of the era also tried to develop a vision for the next generation. 『Sajin-Munhwa』 reflected these efforts and ideas as a whole. Articles in the form of opinion column published in 『Sajin-Munhwa』 clearly showed the contemporary photographers' conception of 'photography'. It was a basis for and a starting point of current Korean discourse on photography. 『Sajin-Munhwa』is worth studying as an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that prefigures trends in modern Korean discourse on photography. For photographers of that time, obtaining photographic materials and equipments was a priority task. Koreans had no supply chain of their own since they had to rely on goods imported by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rticles in 『Sajin-Munhwa』 shows that attempts to create the domestic supply chain for photographic materials such as paper were made right after the liberation.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of bringing in foreign photographic culture, Korean photographers showed an attitude that held their own perspective as a subject. People who can read books in English didn't wanted to understand foreign photographic culture through Japan any more but on their own. They tried to accept foreign photographic culture in the context of Korea as well. This stimulated Korean discourses on photography to expend its range and depth. Besides, 『Sajin-Munhwa』 provided a place for photographers to share informations about operating photo studio or club activities and exchange ideas. In the first issue it suggested photography should develop into an industry rather than just becoming a pastime or an artistic activity. This is a valuable reference that gives us a glimpse of what established the current position of photography in the society. Such various views that present social aspects of that time as well as parts of the Korean history of photography are recorded in 『Sajin-Munhwa』. For researchers studying Korean history of photography 『Sajin-Munhwa』is an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which sheds light on Korean modern visual culture, i.e., the photographic culture. We'll see how Korean photographic culture developed in a particular context of post-liberation era through 『Sajin-Munhwa』. 『사진문화』지는 1948년 7월에 창간된 한국의 사진전문잡지이다. 조선사진문화소의 이규완에 의해 1948년 7월부터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지 12권이 발간되었고, 전후 1956년 5월부터 다시 6권이 발간되어 총 18권을 마지막으로 폐간되었다. 1948년부터 1950년까지 발간된 12권의 『사진문화』를 통해 발표되었던 사진 담론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해방 직후의 대한민국에서는 경제적, 사회적 자립을 이루고자 하는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동시대 한국의 사진가들도 역시 한국사진의 다음 세대를 위해 새로운 비전을 세우고자 했다. 『사진문화』에는 당시 사진가들의 그러한 노력과 생각들이 총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사진문화』에 실린 논단 형태의 글 속에는 ‘사진(photography)’에 대한 당시 한국 사진가들의 생각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 오늘날 한국사진담론의 근거이자, 본격적인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사진문화』는 현대 한국사진담론의 흐름을 짐작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서 연구 가치를 지닌다. 또한 사진가들은 사진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재료들과 물품들의 공급 문제를 최우선으로 해결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제 강점기 동안은 일본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한국인들만의 자율적인 공급 노선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해방 직후 곧바로 약품, 인화지 등의 재료들을 국내에서 자체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움직임들이 구체화되기 시작했음을 『사진문화』에 실린 기사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외국의 사진 문화를 수용하는 문제에서도 당시 한국의 사진가들은 주체로서의 관점을 유지하려는 태도를 보여준다. 영어로 원서를 읽을 수 있었던 사람들은 더 이상 일본을 통하지 않고 직접 외국의 사진 문화를 이해하고자 했던 것이다. 또한 그들의 문화를 한국의 상황에 맞게 수용하려는 시도가 이어진다. 이는 한국사진담론의 범위와 깊이를 좀 더 확장시키는 새로운 자극이 되었다. 그 밖에도 『사진문화』는 전국의 사진가들이 사진관 운영이나 동호회 활동에 대한 정보를 나누고, 사진에 대한 의견 교환의 장을 만들어 주는 정보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사진이 취미활동이나 예술 활동에서 그치지 않고 산업으로서의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내용의 창간사는 현재 사진이 차지하고 있는 사회적 위상이 정립되기까지의 시작과 동기를 짐작하게 하는 귀중한 참고 자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사진문화』에는 당시의 사회상과 함께 한국사진사의 단편을 고찰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들이 기록되어 있다. 한국사진사를 연구하는 연구자의 입장에서는 『사진문화』지가 당시 한국의 근대 시각문화, 즉 사진 문화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사료이다. 『사진문화』지가 갖고 있는 사료적 가치를 존중하고 『사진문화』속의 내용을 통해 해방 후라는 특정한 시대상황 속에서 한국의 사진 문화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박물관 뮤지엄샵 문화상품개발 및 활성화 방안

        한국희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정보매체의 발달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사람들의 의식수준이 높아지면서 박물관을 향한 요구는 더욱 다양화 되고 있다. 관람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박물관·미술관의 운영비는 더욱 증가하게 되는데, 운영재정은 오히려 감소하기 때문에 심각한 운영난을 겪게 된다. 운영재정이 열악한 상태에서 문화기관의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감당할 수 없기에 지역의 문화발전 및 문화선진국으로 나아가는데 저해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열악한 운영재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박물관·미술관 활성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수익사업개발 및 발전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국외 선진국들의 박물관·미술관 운영사례를 분석해 보면 다양한 수익사업을 개발, 운영함으로써 재정증대 및 활성화에 도움을 얻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이 뮤지엄샵 문화상품개발 및 판매이다. 문화상품은 전시유물과 연계 되고, 박물관·미술관 고유 이미지를 담고 있기 때문에 시중의 상품이나 기념품과는 구별되며 뮤지엄샵에서의 문화상품 판매는 재정증대뿐만이 아니라 박물관·미술관의 발전에 기여하게 된다. 국내박물관·미술관들은 비영리 기관이라는 특성 때문에 입장료 외에 다른 수익사업에 대하여 적극적이지 못했다. 이제 국내박물관·미술관들도 다양한 수익사업을 전개함으로써 운영재정 및 질 높은 문화 기관으로써의 역할 감당을 위해 노력해야한다. 또한, 국내·외 뮤지엄샵 운영사례 및 상품개발현황을 분석하여 각 박물관·미술관의 현실에 맞는 문화상품 개발 및 판매을 위해 좀 더 적극적으로 임해야 할 것이다. 각 박물관·미술관들이 수익사업을 운영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부족한 운영재정의 확보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관람객들이 가장 선호하고, 매출증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상품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문화상품의 기능과 역할은 다양하기 때문에 문화상품 매출증대는 곧 박물관·미술관 발전을 도모하게 되고 활성화를 이끌어 내게 될 것이다. 관람객 재방문 유도, 박물관 브랜드이미지를 통한 홍보, 교육적 기능 및 문화의 보급, 전시연장으로써의 역할과 기능 등, 박물관·미술관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다. 관람객들은 이제 더 이상 수동적이지 않다. 박물관·미술관을 방문했을 때 전시물을 감상하는 것만으로 만족하지 않는다. 지식의 증대 및 문화의 향유와 더불어 더 많은 볼거리, 즐길 거리를 요구한다. 그렇기 때문에 관람객을 만족시킬 수 있고 재정증대를 통한 박물관·미술관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문화상품개발이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결론적으로 뮤지엄샵 문화상품은 박물관·미술관 고유 이미지를 담고 있으며, 박물관고유의 정체성이 체화되어있을 때 이런 역할을 감당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화상품이 직접 개발되어 기성의 상품과는 다른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상품이 만들어져야 한다. 그러나 국내의 현실에서 문화상품을 직접 개발하고 제작한다는 것은 오히려 박물관·미술관 운영 재정에 더 큰 어려움을 가져 올 수 있기 때문에 문화상품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기피하게 된다. 국내의 문화상품과 관련된 여러 문제점이 해결된다면 박물관·미술관들이 문화상품개발에 주력하게 될 것이고 이것은 곧 국내 뮤지엄샵 문화상품 발전에 원동력이 될 것이다. 문화상품은 수익창출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통한 국내박물관·미술관발전에 기여하기 때문에 문화선진국으로 한 걸음 다가서기 위해서는 기관이나 정부 모두 문화상품 개발을 기피하는 국내의 현실을 직시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In rapidly changing society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al media, people's culturalc on sciousness is elevated and their expectationsfrom museum becomediversified.Themanagementexpenses in museumsand artmuseumsincreaseto meetvariousdemandsofthe audiences,whereastheallocated financesarecontinuously curtailed;whatresults is serious difficulties in museum maintenance. Poor financialconditionsmakeithardformuseumstoundertaketheroleandfunctionasaculturalinstitution,which,inturn,posesanobstacleforustorealizea culturallyadvancedcountry.Seriousstudiesarerequiredtofindsourceofrevenueformuseumsinordertorehabilitatetheirrolesandfunctions.Itisnotablethatforeign museumshavepreparedlong-term revenueproducing enterprisesto augmentmanagementfinances.Oneofthemostprevalent and prolific enterprises with such purpose is the sale of cultural commodities in museum shop.Culturalcommodity is distinguished from ordinary goods and souvenirs in thatithas directconnection with the materialsonexhibitionandrepresentthedistinctiveimageofthemuseum where it is sold.In this regard,the sale of culturalcommodities at museum shop contributes not only to themuseum's financial stability but also to its publicityas well. Domesticmuseumsand artmuseumshavenotbeen allowed tolaunch revenue producing activities because oftheirlegalstatus as a nonprofitinstitution. However, it is time to permit the museums to conduct profit-making enterprises to augmentfinances and improve theirservice qualities. The foreign as well as domestic instances of museum management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mmodities are to be examined to prepare strategies forthe developmentand sale ofcultural commodities that fit with the practical circumstances in which an individualmuseum issituated. Theprimary reason ofprofit-making activitiesconducted by museums and art museums is to find sufficientfunds for management.So the effortsshouldbefocusedonthedevelopmentofculturalcommoditiesthat attractaudiencesandboostsales.Sincetherolesandfunctionsofcultural commodities vary, the sales of cultural goods is conducive to the developmentand dynamization of museums and artmuseums.Cultural commoditiescontributetoattracting audiencestorevisitthemuseum and publicizingthemuseum'sbrandimage.Beingconnectedwiththedisplayed materials,culturalcommodities play educationalrole by circulating the informationaboutthematerialsonexhibition:insodoing,theybecomean extension ofexhibition.Culturalgoods serve notonly to secure needed funds butalso to develop potentialaudiences.Forthese reasons,it is imperative to develop the culturalcommodities and putthem on sale. Museum audiencesarenolongerpassive;theydonotstopatappreciating the items on display. With their knowledge on culture and cultural artifacts accumulated,the audiences actively demand increasingly more materials to see and experience. Apart from fund raising, audience satisfaction submits another reason for us to develop cultural commodities. In conclusion,a culturalcommodity is able to perform the roles and function sillustrate daboveas longas it contain stheunique identity of the museum.This is why the uniqueness and originality of the cultural commodity is important. Under present circumstances, however, the museums in Korea cannot afford to produce their own cultural commodities because of budget shortage; it is rather dangerous to undertake such enterprise.Therefore,two-fold assignmentin which the museums are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nd allowed to conduct profit-making activities is to be undertaken prior to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mmodities. Cultural commodities are not merely for profit-making,but play a variety ofotherrolesandfunctionsforthedevelopmentofmuseumsand artmuseumsinKorea.Theyareawayofbuilding aculturallyadvanced country.The governmentand the institutions concerned are required to face the reality of underdevelopment of domestic museums and make combined efforts to surmount the problem.

      • 기업박물관의 전시연출기법 특성 연구 : 기업문화마케팅의 활용에 따른 전시연출 현황을 중심으로

        박현준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revious marketing strategies which focuses on pricing and benefits are currently undergoing turmoils due to lesser gap between products and services. Therefore, the ever increasing interests are being focused to differentiation marketing factors. In this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the customer's consumption bahaviors are becoming more customized and quality focused and as a differentiation factor,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is increased. Also, today's corporations stature was heightened from simple benefit-oriented organization to an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our society's every day survival and development. The heightened social stature of corporations are now required to have more involvement in having corresponding social responsibility of a firm.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 firm's performance and corporate image is ever increasing. In ever so changing social environment, having a long term image of top-raking company, and national corporation has become as important as achieving quality service and product, therefore becoming an important success factor to a firm. In response, as a part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solution to ever changing marketing environment, many companies are utilizing cultural marketing. Operating corporate museum is a branch of cultural marketing strategy in long term strategic and investment perspective of a firm, but also, the role of corporate museum basis as a public institution, serving the local community with cultural benefits. Furthermore, serving the role of educational institute provid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industry which the firm is included. The socio-educational institution concept and function is also included in this corporate museums. This dissertation will discuss the paradigm from culture marketing and supports on cultural contribution without benefits in return to a evolutionary form of collaboration of marketing strategy or managerial strategic factors. The strategic objectives of culture marketing is divided into 'social contribution strategy,' 'marketing strategy,' and,'managerial strategy.' Through case studies of each categories of corporate museums, the direct exhibition characteristics will be analyzed. Based on this case research results, this dissertation will propose the most logical and effective direct exhibition method to achieve co-existence of corporation and society and hope that this dissertation will be used by firms in their future endeavors of planning a corporate museum. 제품, 서비스 간의 차이가 점차 줄어들어, 가격, 편익에 치중한 과거의 마케팅 전략으로는 차별적 경쟁우위를 가지기 어려운 상황에서, 최근 차별화된 마케팅 요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들의 소비행태도 개성화, 고급화 추세로 전환되고 있으며 차별화 요소로서 문화예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오늘날 기업은 단순한 이익 추구 집단의 차원을 넘어 우리 사회의 생존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사회적 위상이 높아졌다. 이러한 사회적 지위의 상승과 더불어 그에 상응하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기업의 대외 이미지가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또한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급속한 사회 변화 속에서 장기적으로 우량기업, 국민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심는 것은 기업의 탁월한 품질이나 일류서비스 못지않게 중요한 기업의 성공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의 일환이자 마케팅 환경 변화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문화마케팅을 활용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박물관의 운영은 기업에 있어 장기적이고 전략적・투자적 관점의 문화마케팅 전략중 하나이지만, 기업박물관은 박물관의 역할을 근간으로 하는 공공기관으로서 지역사회에 문화적 혜택을 제공해야한다. 또한 기업이 영위하는 산업에 대한 정보와 지식의 전달자 역할을 하는 교육기관으로서 기능해야 하는 사회 교육기관의 개념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마케팅의 패러다임이 반대급부 없이 문화예술을 후원하던 사회공헌에서 시작되어 마케팅 전략 또는 경영 전략 요소가 결합된 형태로 진화함에 따라, 문화마케팅의 전략적 목적을 ‘사회공헌 전략’, ‘마케팅 전략’, ‘경영 전략’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기업박물관의 사례조사를 통해 전시연출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 사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과 사회가 함께 공존하는 데 있어 가장 합리적으로 효과적인 전시연출기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본 논문이 미래에 기업박물관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활용되어지길 바라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