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원 환경 디자인을 통한 범죄예방(CPTED)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생활권 공원을 중심으로

        이화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Recently, interes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is increasing. However, as more crimes are committed against unspecified objects, fear of external activities is growing. A park created for the convenience of citizens is no excep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children's park, which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city parks in Daeje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nhance the crime prevention effectiveness in parks by investigating children's parks based on the CPTED principle and suggesting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e site survey was conducted with checklists prepared based on natural surveillance, natural access control, activity support, maintenance and management during the CPTED principle. Problems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① The blind spot is caused by a space covered by the structure, a corner, a space hidden from view by trees, a remote space on the perimeter and a parked vehicle. These blind spots are likely to be used as crime scenes. ② Lighting was found to be unsuitable as it was located away from the bench and rest area. ③ In some parks, CCTV cameras made it difficult to shoot the gates. It was also difficult to film the entire park with one CCTV. ④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significantly fewer emergency bells located inside the park, which can cause difficultie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⑤ Benches are located in remote areas, which can be underutilized. In addition, there could have been cases where a bench was monopolized by a particular person because there was no bench separation facility. The measures to improve the problem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facilities located in the blind spo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rk and the location of the blind spot, additional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CCTV is required,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ith lighting interval, illumination, and lighting color standards are also necessary. We need to transfer facilities that create blind spots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and fear in using the park. Second, we need an institutional system. A crackdown on parking vehicle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difficulties of two-way natural surveillance and inconvenience in using the park due to traffic parked around the park. Third, it is urgent to set up an emergency bell to cope with critical situations inside the park. An emergency bell must be installed inside the park in a convenient location. Users can feel safe just by installing an emergency bell, thereby increasing the use of parks. It should also facilitate the rapid response of critical situations in which they occur. Fourth, continuous attention and maintenance are needed. At the time of the site survey, the trees did not interfere with vision, and the garbage and surrounding areas were in good condition. Considering that it was winter when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however, the park could be exposed to the criminal environment unless continuously managed in other seasons. Considering that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in winter, the park is available in four seasons, but the conditions of the trees and the number of people using the park may vary during non-winters. An overall study will be needed, including further surveys of other seasons in the future.

      • 학교 밖 청소년의 대학 생활 중단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윤우영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3

        학교 밖 청소년의 대학 생활 중단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윤 우 영 대전대학교 대학원 아동교육상담학과 지도교수 박 성 옥 세계로의 출발’,‘꿈꾸었던 대학 생활은 일장춘몽’,‘또다시 학교생활 중단, 돌아온 도돌이표’,‘‘재도약을 위하여 되돌아본 나’, ‘꿈을 향한 재도약’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이론적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 ž 고등학교 중단 경 험에서는 개인의 심리적 문제 및 지지가 없는 가정환경, 학업 흥미 상실이 있었고, 획 일화된 학교 교육체계에서 진로 실현의 어려움과 또래와의 갈등, 교사에 대한 실망감 이 나타났다. 또한 학업중단숙려제는 학교중단을 고민하거나 확정한 청소년 모두에게 실효성이 없었으며 학교 밖으로 나오면서 진로 고민으로 막연하였다. 아울러‘학교에 가야 할 대상’이라는 편견을 심어주는 명칭 변경의 필요성, 운영 방식과 목표 수정이 필요하였다. 둘째, 학업 지속 과정의 경험에서는 학교중단 후 사회적 낙인감으로 우 울하였고, 노동 현장에서 낮은 임금과 차별 대우를 받았다. 이후 학교 밖 청소년지 원센터를 통해 소속감과 검정고시 지원 등 새롭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하였으 나, 형식적이며 단 회기의 프로그램 운영과 심리상담 지원 부족의 문제점이 노출되 었다. 체계적인 교육커리큘럼이 갖추어지지 않아 검정고시 지원 외 교육지원이 제 공되지 않았고, 대학 진학에 도움이 되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입 정보와 진로지 도를 받지 못하였다. 셋째, 대학 생활 중단 과정의 경험에서는 개인의 심리적 문제 및 기초학력 부족으로 인한 학업 흥미 상실이 있었다. 적성에 맞지 않는 전공 선택으 로 진로 실현이 어렵고, 선 ž 후배 및 교수와의 교류 부족으로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 고 대인관계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대학 생활 중단 후 진로를 다시 모색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체계의 사각지대에 놓여 막막하였으며, 적성에 맞는 진로를 찾기 위해 각 자의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 결과와 논의점을 바탕으로 대학 생활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이 학교생활에 적응하고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도울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 고자 한다. 첫째, 정규 교육과정과 대학 생활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이 재도약을 위 해 선택한 또 다른 삶을 지지하기 위해서 후기 학교 밖 청소년으로 지원을 확대하여 사회에서 고립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불안과 우울감 완화 및 진로 포부를 높일 수 있는 상담과 가족 간 건강한 상호작용을 도울 수 있는 가족프로그램 실시가 필요하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는 심리적인 문제에 지 원을 강화하여 정서적 안정감을 바탕으로 사회적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도 와야 한다. 더불어 안정된 교육 프로그램 제공으로 학교에 다니는 청소년과 동등한 교 육 기회를 부여하여 학업 역량을 강화하고 현실적인 맞춤형 진로지도가 필요하다. 아 울러 학교 밖 청소년의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커리큘럼 개발과 청 소년생활기록부 매뉴얼을 제작 ž 배부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 밖 청소년의 실태 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대안학교 지원센터 등의 개설을 위한 제도적 지원으 로 학교 밖 청소년에게 균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대학은 실 효성 있는 교수, 선 ž 후배 간 멘토링 제 실시로 심리적 안정감과 학교 적응력을 도 울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생활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 여 구체화시킴으로써, 학업의 지속을 도울 근본적인 상담적, 교육적 함의를 제공한 다는 면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과정에서 마주친 한계를 설명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주요어 : 학교 밖 청소년, 학업 지속, 대학 생활, 중단 경험, 질적 사례연구

      • 직장탁아시설 이용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大田廣域市 女性公務員을 中心으로

        이은주 大田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여성공무원들은 직업인으로서 그에 필요한 특수한 지식과 기술을 교육받고 이와 더불어 끊임없는 노력과 자기 연수가 필요한 반면 주부로서의 역할도 수행해야 하는 많은 부담과 갈등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자녀양육의 애로를 느끼며 근무하는 여성공무원들에게 있어서 직장내 탁아시설의 필요성은 더욱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전국에서 양적으로 가장 많은 수의 공공기관내 탁아시설 보유율을 보여주고 있는 대전광역시에 초점을 두어 탁아시설을 실제 이용하고 있는 여성공무원들의 직장내 탁아시설에 대한 만족도와 욕구를 진단해 봄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제시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공공기관 중 직장탁아시설(종일반)을 이용하고 있는 대전시청, 동구청, 중구청, 유성구청, 여성회관의 여성공무원 11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연구의 목적에 맞는 내용을 발췌하거나 수정·보완해서 작성한 질문지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Computer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카이제곱 검증(χ² - TEST), ANOVA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어머니의 경우 30대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전문대 및 대졸이 60% 이상 이었으며, 자녀수는 1∼2명이 대부분이었다. 가족구성은 부부+자녀의 구성형태가 가장 많았다. 탁아시설에 보내는 보육아동의 특성은 남아가 여아보다 10%이상 수가 많았고, 연령은 만 3세 이하 아동보다는 만 4세 이상∼ 만 7세 미만의 아동 수가 많았다. 출생순위는 남아와 여아 모두 첫째와 둘째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어머니들은 직장탁아시설의 보육프로그램과 보육교사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보육프로그램에 있어서 아동의 기본생활 습관지도에 대하여, 보육교사가 아동을 대하는 태도에 대하여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반면에 보육교사와 아동보호자와의 활발한 정보교환이나 보육교사와 아동의 비율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직장탁아시설을 이용함에 있어서 가장 좋은 점은 아이와 가까이 있으므로 심리적으로 안정되어 일에 집중할 수 있다를 가장 큰 장점으로 꼽았으며, 다음으로 경제적으로 탁아비 부담이 적다, 아이와 출퇴근할 수 있어 편하다. 다른 보육시설보다 보호를 잘해 준다의 순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탁아시설에 대한 어머니의 불만족 요인으로는 보육교사와 아동의 비율에 있어서 비율이 너무 높고, 교사가 아동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서 편애하거나 무관심하다는 것이 어머니가 생각하는 불만족의 가장 큰 이유였다. 또한 보육프로그램의 구성이나 놀이기구에 있어서 그 종류와 수가 너무 적거나 다양하지 못하여 불만이다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 직장내 탁아시설에 보내고 있는 자녀의 성별, 연령, 형제순위, 가족형태에 따라 어머니는 보육프로그램과 보육교사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는데 이와 같은 조사결과는 현대 가정의 자녀수가 한 두명이 되어 성별이나 형제순위에 따라 자녀 양육방식 및 자식에 대한 기대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직장탁아소에 대한 만족도에 형제순위나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어머니의 직장탁아시설에 대한 요구사항은 보육프로그램에 있어서 영아반은 보호를 위주로, 유아반은 보호와 교육을 함께 중점을 두어구성하기를 요구하였으며, 연령의 구성에 있어서 영아반 유아반 모두 같은 연령대 별로 구성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월평균 탁아비용으로는 10만원 미만을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사항은 교사의 학력이 전문대졸 정도면 좋겠다는 의견이 약 50%로 가장 많았으며, 교사-아동의 비율은 영아반의 경우 1:5 이하로, 유아반의 경우 1:10 이하로 구성되기를 원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연령은 30대를 가장 많이 원하였으며, 결혼여부는 별로 개의치 않았으며, 교사경력은 3∼5년 정도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다. 바람직한 교사상으로는 자상하게 아이를 보살펴 주는 교사와 어린이를 좋아하는 교사를 원하였고 교사의 역할로는 아동의 신체적, 심리적 안전과 보호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에서는 몇 가지 직장탁아시설의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우선 직장탁아시설에 대하여 이용자인 대전시 여성공무원들은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직장내 탁아시설의 설치 확대를 통하여 취업여성의 가정-직장의 이중역할 갈등 중 가장 갈등수준이 높은 자녀양육의 문제를 해소해 줄 수 있어야 하겠다. 그러나 현재 직장내 탁아시설이 기존 건물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어 내부시설 공간을 활동 영역별이나 아동의 연령에 의해 구분하기가 어렵고, 실외 놀이공간도 협소하거나 부족하며 아동들의 안전을 위한 장치나 아동들에게 적합한 크기의 시설확보가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탁아시설 설치시 사용 가능한 공간의 확대 및 탁아아동만을 위한 실외 놀이공간의 확보와 안전시설을 갖추어 직장내 탁아시설의 환경개선을 통한 질적 수준 향상의 도모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 2014년도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에 입원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 대한 후향적 통계분석

        정정교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문요약 2014년도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에 입원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 대한 후향적 통계분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2014년도 일개 한방병원에서 입원 치료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증상 개선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특성과 치료적 특성을 후향적으로 통계 분석하여 한방 의료 서비스 개선에 도움이 되는 임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4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1년간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에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입원수속을 마친 환자 중 2일 이상 입원 치료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지와 전화 설문을 통하여 수집된 인구학적 변인과 치료적 변인을 IBM SPSS 21.0을 이용하여 후방제거법을 이용한 로지스틱 다중회귀 분석과 공분산분석(ANCOVA)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 1. 입원치료일수는 통증이 경감되는 정도에 부(-)적 영향을 주어 입원치료일수가 길어질수록 퇴원 이후 통증의 경감 정도를 잘 유지하거나 더 경감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 연령은 퇴원 이후 시술이나 수술 등의 서양 의학적 치료를 받지 않을 확률에 부(-)적 영향에 주어 연령이 낮아질수록 한의학적 치료 이후 시술 또는 수술을 받을 확률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대부분의 인구학적 변인과 치료적 변인 중 퇴원이후 현재까지 요통 치료를 받는지 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인구학적 변인과 치료적 변인 중 일부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한의학적 치료를 받은 환자의 1년 이상의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주제어 : 요추 추간판 탈출증, 한의학적 치료, 후향적 통계분석, 로지스틱 다중회귀분석, 공분산분석(ANCOVA)

      • 大田市 女性政策의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김경희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valuate women's policy in Daejeon by means of a gender-recognized viewpoint and to suggest a correct direction in the local women's policy which is real and improves reality.This thesis is based upon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books and preceding studies that have treated the theory and the evaluation of women's policy to examine how women's policy has performed its function and rol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nd status in women's life. To evaluate women's policy in Daejeon I interviewed the public officials related to women's policy and was provided the materials by them. An evaluating-framework which was developed by the discussion in the feminism-organization was prepared, and Kwangju that was most similar to Daejeon in the aspect of size of land and formation of population and as a center of democratization the citizens' participation to society was more active than Daejeon was compared and evaluated. Based upon its results, the correct direction and problem were suggested to evaluate establishment of women's policy and its performance in Daejeon more objectively and to accomplish them more positively. The correct direction and problems of women's policy in Daeje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consideration of public recognition in women's problems, secondly,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 taking exclusive charge of the women's policy and the cultivation and arrangement of professional workers, thirdly, the reinforcement of connection with business matters between a city of great-sphere and a basic local autonomy and the activation of local women's businesses, fourthly, the expansion of women's participation in the policy-decision process, fifthly, the expansion of a day-care centers, sixthly, the abolition of the practice discriminating women officials, seventhly, a regular evaluation of women's policy, eightly, the immediate expansion of budget. The community has demanded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and autonomy more strongly, and women's absolute participation will be needed to keep and develop a community with the real advancement of a local autonomy. The interest toward the real situation and the evaluation of local women's policy has risen, and by examining and inspecting the process and the result that women's policy is planned and performed, the task to improve a plan, a performance and a result is more active. The City of Daejeon have to plan and promote women's policy to suit the level of recipient of women's policy and have to know the situation to perform women's policy by developing a scientific and systematic evaluation-framework and evaluation standard. From now on through the continuous and repetitive evaluation of women's policy, such tasks as the establishment of the evaluation direction in women's policy in Daejeon, details-promoting plan, and a performing situation will be carried out continuously to devise the development of women's policy in the City of Daejeon.

      • 지역사회정신보건에서의 자원봉사활동 실태 조사 : 대전광역시 정신보건관련기관을 중심으로

        박인아 大田大學校 經營行政·社會福祉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3

        최근 정신장애인의 치료가 입원과 수용격리 위주에서 탈시설화, 탈수용화 정책으로 바뀌어 지역사회 복귀 통합으로 전환되면서 정신장애인들은 병원이나 시설에서 지역사회로 그 위치를 옮기게 되었다. 특히 정신장애인의 인권적인 측면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어 정신재활 부분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와 재 적응을 돕고, 탈수용화의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역사회 내 정신보건시설의 확충과 그 역할 그 역할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1995년에는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는 정신보건법이 제정되어 서울시와 경기도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이 시행되었으며, 대전은 현재 4개의 정신보건센터와 8개의 사회복귀시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 속에 시설확충과 인력양성을 위한 노력이 꾸준히 지속되고는 있지만, 정부의 저 예산 정책과, 전문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련시간이 필요하다는 어려움으로 인해 아직도 사회복귀시설이나 정신보건센터와 같은 지역사회 정신보건시설에서는 소수의 전문가들만이 근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부족한 전문 인력만으로 지역사회정신보건을 활성화시키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고, 현실적으로 단기간에 충분한 정신보건전문 인력을 확보하는 것도 불가능하므로 최대한 지역 내에서 자원봉사를 할 수 있는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한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즉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점점 높아지는데 비해 복지재원은 한정된 상황에서 자원봉사자를 활용하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효율적이라는 분위기이다. 정신보건센터나 사회복귀시설에서 자원봉사자를 충분히 활용한다면, 현재 지역에 방치되고 있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관리와 치료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가 있고, 의료와 사회복지를 연결시킬 수도 있게 된다. 또 지역주민들은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정신장애인은 위험한 사람'이라는 편견을 해소하게 되며, 정신장애인들은 다양한 삶을 살고 있는 많은 자원봉사자들을 접하게 되면서 긍정적 대인관계형성의 기회를 가질 수도 있어 그들의 사회복귀에 좋은 영향을 끼치므로, 사회통합 및 정신장애인들의 자립생활의 촉진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에서 자원봉사 동기, 경험, 교육, 자조모임, 전문인력이 원하는 보상, 자원봉사자들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정도 등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에 있는 4개의 정신보건센터와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 등 정신보건관련기관에서 봉사하는 150명의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 활동 현황과 관련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 대부분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고, 반 이상이 정신보건관련 기관의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대부분이 전공분야 활동과 관련하여 자원봉사에 참여하였거나 이웃에 봉사하기 위하여 자원봉사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의 전문인력 활용현황과 관련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원봉사활동과 관련된 전문인력을 활용함과 관련하여 제일 우선 순위로 자원봉사자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응답한 조사대상자의 비율이 약1/3, 전문관리자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항목에 응답한 조사대상자의 비율이 1/3을 차지하였다. 그러므로 응답자의 약 2/3이상이 자원봉사자들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관리자를 양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자원봉사활동의 전문인력 참여현황과 관련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많은 수가 봉사활동과 관련한 최소의 지원 및 봉사활동기간의 경력 인정, 봉사활동을 취업과 연계 또는 포상에 반영시켜 주는 데는 매우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봉사활동 시 보험 가입하는 것에 대해서도 대체로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유상 자원봉사 제도를 도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선뜻 긍정하지도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봉사활동 시 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주 긍정적인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자원봉사자의 정신장애인 인식내용과 관련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은 정신치료를 경험한 사람을 친구로 여기고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정상인처럼 신뢰하고 있었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은 정신병원에 입원한 것을 인생의 실패자로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았으며 정신과치료를 받은 사람이 자녀를 돌볼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긍정도 부정도 아닌 식으로 대답하였다. 정신병원에 입원했던 사람들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보고 있지는 않았으며 정신과 치료를 받은 사람들도 직장을 가질 수 있는 지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은 정신과 치료를 받은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대해 차별을 두고 있지 않았다. 정신과 입원치료 사실을 안 후에도 긍정적으로 존중하고 있었으며 정신질환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시각으로 보고 있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약 50%정도만 자원봉사활동을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자원봉사자들이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강구하여야 한다. 둘째, 응답자 중 대부분이 정신보건센터나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시설 등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자원봉사자들이 정신보건과 관련된 다양한 기관에서 참여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원봉사자가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계기를 살펴보면, 기존의 자원봉사자가 소개를 하거나, 친구가 소개하는 경우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더 많은 사람들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존의 자원봉사자들에 대해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고 자원봉사활동의 긍정적인 부분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자원봉사 교육에 대해서는 응답자 중 교육을 받지 않았거나 한번 이하로 교육을 받은 사람의 비율이 60% 이상이었다. 그리고 높은 비율의 응답자가 자원봉사자 교육이 도움이 된다고 한 것을 볼 때, 자원봉사자들의 교육을 지속적으로 자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섯째, 자원봉사자들이 능력과 적성에 맞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과 자원봉사자 전문 관리자를 양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자들은 꼽고 있다. 그러므로 자원봉사자들이 자신의 능력과 적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게 하여 이에 따른 프로그램에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자원봉사자들을 전문적이고 조직적으로 관리하는 사람들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조사대상자들은 자원봉사활동에 대해서 최소한의 지원을 해주고 봉사활동 기간을 경력으로 인정해 주며 봉사활동을 취업과 연계시켜 주는 것, 또한 봉사활동을 각종 포상제도에 반영하는 것 등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상에 대해서 아주 찬성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자원봉사자들을 모집하는데 있어서 보상과 관련한 부분을 반영하도록 강구하여야 하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기관 및 시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전국으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유의하여야 한다.

      •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대전광역시 대학생을 중심으로

        윤정애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활동과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를 통한 보다 효율적인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고,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통해 자아존중감 형성과 사회성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이를 연구하기 위하여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활동과 개인적 변인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의 차이를 알고,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으로는 대전지역 내 3개 대학 선정 후 대학생들을 임의 표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44부의 설문지를 조사하여 활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통계패키지(SPSSWIN 12.0K)를 이용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자원봉사활동 등을 조사하여 백분율, 빈도,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일반적 특성과 자원봉사정도에 따른 차이검증을 위하여 t검증, 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Scheffe를 통해 사후검증 하였다. 인구 사회학적인 특성과 자원봉사 참여정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검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개인적 변인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는 학년별, 생활정도별, 전공계열별, 성적별, 대학생활 만족도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집단 내 차이에서는 생활정도에서 중간정도 집단과 ‘잘사는 편’인 집단에서, 학년에서는 1학년 집단과 2학년 집단에서, 전공계열에서는 보건계열 집단과 자연과학계열 집단에서, 성적에서는 ‘중간정도 집단’과 ‘못하는 편’인 집단에서, 봉사 만족도에서는 ‘만족한다’는 집단과 ‘만족하지 못한다’는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활동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는 자원봉사 시간, 기간, 횟수, 참여태도, 만족정도 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자원봉사 참여유무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들의 개인적 변인과 사회성과의 관계에서는 생활정도별, 성적별, 대학생활 만족도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집단 내 차이에서는 먼저 생활정도에서 매우 잘 사는 편, 중간정도, 못 사는 편에서, 성적에서는 매우 잘하는 집단과 못하는 편인 집단 그리고 매우 잘하는 집단과 잘하는 편 집단, 대학생활 만족도에서는 ‘매우 만족한다’는 집단과 ‘만족하지 못한다’는 집단, 그리고 ‘전혀 만족하지 못한다’는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활동과 사회성과의 관계에서는 자원참여유무, 봉사기간, 참여횟수 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자원봉사 참여시간, 자원봉사 참여태도, 자원봉사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집단 내 차이에서는 먼저 참여시간에서 10시간~29시간 집단과 10시간 이하 집단, 참여태도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편’인 집단과 ‘보통이다’ 라는 집단, 자원봉사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에서 ‘꼭 필요하다’는 집단과 ‘필요하다’ 라는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섯째, 자아존중감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인구사회학적특성과 자원봉사활동과의 관계를 회귀분석한 결과 대학 생활에 만족할수록 자원봉사 참여 후 보람을 많이 느낄수록 참여태도가 적극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사회성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인구사회학적특성과 자원봉사활동과의 관계를 회귀분석한 결과에서는 생활정도가 높을수록 사회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을 살펴보면,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변인은 학년별, 생활정도별, 전공계열별, 성적별, 대학생활 만족도 등이며 자원봉사 활동에서는 자원봉사 참여유무가 영향을 주고 있는데 이는 대학생들에게 세분화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자원봉사프로그램을 만들어 참여할 수 있게 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대학생들의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변인은 생활정도별, 성적별, 대학생활 만족도 등이며 자원봉사 활동에서는 참여시간, 참여태도, 자원봉사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 등이 영향을 주고 있다. 이는 대학생 자원봉사 활동에 있어서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시간의 제공과 인식도 제고를 위한 교육을 통한 제도적인 뒷받침 또한 필요한 부분이다.

      •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 대전광역시 영재교육 담당지도교사를 중심으로

        류봉선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운영기관을 지역교육청 산하 영재학급 및 교육청 부설 영재교육원을 실제로 운영하고 있는 초․중등 영재학급 및 영재교육원 담당지도교사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인식을 조사하여 연구하였다. 우리나라 초․중등학교에 실시하고 있는 현행 영재교육에 대한 운영 실태를 영재교육 담당 지도교사를 중심으로 그들의 인식을 통해 조사하여 연구함으로서 영재교육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영재교육에 대해 여러 자료의 분석 활용과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다른 나라의 영재교육 현황을 알아보고 우리나라에서 실시되는 현행 영재담당지도교사들의 설문을 통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현재 대전광역시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역교육청 산하 동․서부 수학․과학․정보로 나눠진 초등 42개 영재학급과 중등 36개 영재학급 그리고 동․서부 교육청 산하 수학․과학 분야의 초․중등 영재교육원 8개와 대전교육과학연구원 영재교육원 8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내용은 영재교육을 맡아서 지도하는 교사들의 영재교육 연수 현황과 연수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우리나라 초․중등학교에서 사용 중인 영재선발 방법 및 절차, 현재 초․중등학교에서 실시 중인 영재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방법, 산출물 및 평가, 초․중등 연계성, 학습 환경 및 시스템 등에 대한 영재교육 운영실태를 지도 교사들의 인식을 통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것은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영재교육 담당 지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교사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영재교육 이수현황, 영재학생들의 선발 및 절차, 교수학습방법, 산출물 및 평가, 학습 환경, 영재교육의 연계성, 시스템 및 전반적인 것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실태를 대전시의 영재교육을 통하여 조사하여 연구해 보았는데 대전은 다른 시도에 비해 영재교육을 받는 대상은 많은 편이나 질 높은 교육이 이루어지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많다. 시급한 문제는 우수교원을 확보하기위한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연수기회와 이 자원을 잘 활용하기 위한 교사들의 이동이며 다음은 영재학생들의 선발방법 및 절차이다. 영재를 선발하려면 교사들의 노력과 수고가 필요한데 절차가 복잡하고 업무가 과중되며 또한 방학을 이용하여 애로사항이 많고 전문성의 부족도 문제가 된다. 또 영재학생들의 연계성도 고려해 봐야 될 문제인데 초등학교에서는 뛰어났던 영재가 중학생이 되면서 묻혀버리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현행 교육제도의 문제점이다. 다른 나라는 나이에 상관없이 진급이나 조기졸업을 시켜서 사회활동을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도 영재교육을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조기진급이나 조기 졸업제도가 정착되어야 한다. 또 ‘1명의 영재가 많은 수의 국민들을 먹여 살린다’는 생각을 가지고 빠른 시일에 눈부신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이․공계발전에 노력하며 영재 또한 수․과학영재를 더 육성시키고 있는 우리는 나라의 발전을 위해 영재들을 키우고 있다. 이것은 다른 선진된 나라의 영재교육에서는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목적이다. 영재교육도 정신지체부자유아가 개별교육을 받는 것처럼 한사람의 인격체로서의 그 사람의 능력에 맞게 특별한 교육의 기회를 주어야만 될 것이다. 그래서 영재들의 삶이 좀더 인간다운 삶,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길 기대한다.

      • COVID-19 전후에 따른 지역별 대전대학교 한방병원 외래 환자에 대한 통계적 분석

        차현지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Purpose This study is designed to statistically analyze outpatient by year, month, gender, age, visit type (frist visit or revisit). The data was for patients visited to the Daejeon·Cheonan·Cheongju Korean Medicine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for 3 years from January 1, 2018 to August 31, 2020.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endencies of patients who visit the hospitals before and after COVID-19.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452,487 patients who visited to the Daejeon·Cheonan·Cheongju Korean Medicine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for 3 years from January 1, 2018 to August 31, 2020. The data is classified according to year, month, gender, age, and visit typ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25.0.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452,487 patients for the past 3 years a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visiting the hospitals decreased in 2020 compared to before 2020, and the number of patients in each hospital also decreased from the previous year. 2. As a result of analysis the number of patients according to the year of each hospital, the difference by yea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Daejeon Korean Medicine Hospital, and the number of patients of Cheonan Korean Medicine Hospital and Cheongju Korean Medicine Hospital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year. 3. The change in monthly patient changes according to the year by hospital has continued to decrease from January to March in 2020, unlike the previous year, which recovered from a decline in March. 4. In the analysis of patients by ag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tients in the 50s or older according to the year, while those under 50s have a tendency to significantly decrease. 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in the number of patients divided into internal medicine(IM) and general surgery(G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tients by year according to the department. Conclusion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in analyzing effects of COVID-19 at health care utilization.

      • 대전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서비스 품질이 사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동희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국문초록 대전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서비스 품질이 사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 구 자: 김동희 지도교수: 윤경아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과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경우 이용 대상이 주로 노인, 아동‧청소년,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이기 때문에 서비스 품질에 대한 관리 및 이용자의 사업 만족도 제고방안이 더욱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전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서비스 품질이 사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서비스 가치가 서비스 품질과 사업 만족도의 관계에서 어떤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이용자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 ver. 23, Amos ver. 23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조사 자료를 분석한 후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서비스 품질 요인 중 사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요인은 적절성, 접근성, 지속성, 전문성, 효과성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서비스 품질이 서비스 가치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비스 품질 요인들 중 화폐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요인은 적절성, 접근성, 효과성으로 분석되었다. 서비스 품질 요인들 중 서비스 가치 요인인 비화폐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품질 요인은 신뢰성, 적절성, 접근성, 전문성, 효과성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제공받는 서비스의 품질, 이용 공간, 시간의 편리성 등이 서비스 품질과 적절히 연계될 때 이용자의 사업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가치 요인인 화폐적 가치 요인과 비화폐적 가치 요인 모두 이용자의 사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화폐적 가치가 화폐적 가치보다 이용자에게 영향을 더 많이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에서 지역 특성을 고려해 의도적 표집을 하였다. 대전광역시의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이용자들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특히, 시·군·구를 포함하고 있는 광역도가 빠져있어 이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다양한 이용자(아동·청소년, 장애인 등)를 대상으로 각 대상마다 서비스 가치가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먼저,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은 제공인력의 역량에 따라 서비스의 품질이 결정되는 휴먼서비스이다. 제공인력의 보수 인상 등 처우 개선을 통한 사회서비스의 안정적 제공이 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둘째, 사회서비스 공공성 강화를 통한 품질향상을 위해 민간의 전문성과 공공의 투명성을 결합한 공급주체가 필요하다. 셋째, 충분한 예산 확보를 통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전략 및 계획 수립이 서비스의 가치를 높여서 서비스 품질향상과 이용자의 사업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하다. 실천적 제언으로는 먼저, 급변하는 복지환경에 대응하고 복지 불균형 및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복지정책 개발 및 사회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서비스 표준모델을 개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전달체계 개선 및 민‧관 협력 지원과 사회서비스 공공성 강화 사업을 통해 사회서비스 가치를 높임으로써 서비스 품질향상과 이용자의 사업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내실 있는 사업 운영을 위해 체계적인 제공기관 관리 및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자체 담당자 업무 일원화 및 제공기관 형평성을 위한 평가 체계 마련을 통해 서비스 품질향상을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제공인력의 역량 강화 교육을 통해 서비스 품질향상과 이용자의 접근성 확대로 사업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공기관 유형별 집중관리제를 통한 사회서비스 부정사례 예방체계 마련, 현장 모니터링 및 컨설팅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