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악성종양에 사용되는 천연물약재의 항암효과에 대한 대체보완의학적 문헌고찰

        오선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에서는 본초에 관한 각종 문헌을 대상으로 선발된 418종의 천연약재를 1차적으로 항암활성 작용기전에 부합하는 암 종류로 분류하였으며, 2차적으로는 천연약재의 생리활성 물질 및 유효성분 등을 연구하였다. 총 418종류로 선발된 천연약재 중에서 111종류(26.55%)가 항암생리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폐암에 관련된 천연약재는 13종류(3.10%)로 가장많았고, 간암은 8종류(1.90%), 유방암은 7종류(1.67%), 자궁경부암, 백혈병, 전립선암, 위암은 5종류(1.20%)였으며, 대장암, 난소암, 고형암 등이 각각 4종류(0.95%)로 나타났다. 2014년 현재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은 암(악성신생물),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004년 이후로 매년 사망원인 1위는 암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나 암에 대한 현대의학은 꾸준하게 발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구 사회에서의 보완대체의학은 문화적, 교육적, 사회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으며, 이용 또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현대의학의 체계적 한계와 암 치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부작용에 대한 반발에서 우리나라에서도 보완대체의학의 존재감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으나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민간요법의 부작용 실태도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보완대체의학 차원에서 본 연구는 2차 암으로의 전이를 예방할 수 있는 식이요법과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천연약재 활용에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외상후 스트레스 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에 미치는 원지의 효능 연구

        조윤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50671

        외상후 스트레스 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에 미치는 원지의 효능 연구 조윤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학과 한의학전공 지도교수: 류재환, 맹성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는 극도의 스트레스성 경험 이후 지속적인 고통과 공포감을 느끼며,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질환으로 현재 심각한 문제로 알려져 있다. 다른 스트레스성 질환과는 달리 PTSD는 원인규명이 명확하여, 공포가 형성되고 소거되는 과정에서 공포기억의 응고와 재응고를 억제, 공포기억의 소거를 촉진, 공포기억의 재설립 또는 재생억제를 통해 공포기억을 경감하거나 소거함으로써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질환으로 다뤄진다. 현재까지 이에 대한 치료법으로 신경과학, 인지과학 분야에서 약물치료와 정신치료요법이 사용되어왔고 비교적 안전하게 병행 가능한 약물개발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으나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약물은 미비한 상황이여 동서의학분야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원지는 동양의학에서 신경계를 안정시키는 약물로써, 현대의학에서는 신경보호효과, 학습능력 개선 효과, 항우울〮•항불안 효과제로 사용되어진다. 특히 PTSD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과 관련된 행동학적 변화들을 감소시킨 보고는 원지가 공포감정과 관련된 스트레스성 질환에 효과적인 약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지가 공포기억의 형성을 감소시킨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따라 원지가 외상후 스트레스 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조건화 공포 패러다임 이용하였으며, 무조건적 자극(전기충격)과 조건적 자극(백색소음)의 조건적 자극에 따라 형성된 공포기억 형성기전에서 기억의 응고, 재응고, 소거, 재설립, 재생과정에 제어하는 원지의 효과를 단계별로 관찰하였다. 재응고 과정은, 맥락과 소리단서에 3분간 노출하여 생쥐의 공포반응을 측정하였다. 공포기억의 소거 효과는, 소리단서에 30회 반복노출 하거나 맥락에 30분간 노출한 후 생쥐의 공포반응을 측정하였다. 1회 전기충격으로 공포기억이 재생되어 발현이 되는 재설립 과정은, 30회의 조건적 자극으로 공포기억 소거 후 다른 맥락의 소리단서에 노출하여 측정하였다. 공포기억 형성기전의 과정별로 원지의 제어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단1회 원지투여로 진행된 맥락과 소리단서의 반복적 노출에 의한 공포기억의 재응고, 소거에 대한 원지의 제어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원지는 맥락과 소리단서의 반복적 노출에 의한 공포기억 소거를 촉진하지는 않았지만, 공포기억 소거 후 공포기억이 재설립 되거나 새 맥락에서 재생되어 발현되는 정도를 감소시켰다. 위의 결과에 따르면, 원지는 공포기억이 재응고되는 과정을 감소시키거나, 공포기억 소거를 촉진 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았지만, 공포기억이 재설립 되고 재생되는 것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 이였다. 이러한 결과는, 원지가 PTSD로 인한 기억의 흔적을 효과적으로 소거하여 공포기억이 재생되어 발현되는 것을 억제하며, 공포가 다시 재설립 되고 재생되는 과정에서 적용 가능한 치료약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본 연구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에서 정확한 투여 시점을 찾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고, 기존의 다른 치료들과 병행하여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천연약재임에 의의가 있다.

      • 녹각 홍삼 복합물이 운동능력 및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박송이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要約 녹각·홍삼 복합물 운동능력 및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목표: 녹각·홍삼 복합물의 운동능력 및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4주령 SD rat으로 약물투여에 따른 Treadmill exercise test를 통해 운동시간을 비교하였고, 5주령의 ICR mouse로 Cold swimming test를 통해 수영 시간과 혈중 항피로 지표 lactic acid, Free fatty acid, LDH 및 근손상 지표 creatinine을 확인하여 비교하였다. 방법: 실험에서 사용한 녹각과 홍삼은 경희의료원 한방병원에서 구입하여 추출하여 사용하였고, CoQ10은 일동제약 코큐텐100mg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각 실험은 rat과 mouse에서 각각 대조군, 코큐텐 단독 투여군, 녹각·홍삼 복합물과 코큐텐 동시 투여군으로 나누어 실시되었으며, rat은 Treadmill exercise test를 통해 운동시간을 측정하여 운동능력의 향상 정도를 비교하였고, mouse의 경우 Cold swimming test를 통해 익수할 때까지의 수영 시간을 측정하고 혈중 항피로 지표 lactic acid, Free fatty acid, LDH 및 근손상 지표 creatinine을 확인하여 비교하였다. 체중은 주2회 측정되었고 1주간 적응시킨 뒤 2주간 사육하였다. 결과: (1) Rat을 이용한 Treadmill 실험에서는 녹각·홍삼 복합물과 CoQ10을 동시 복용하였을 때 운동능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상위 4개 개체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유의한 수준에서 녹각·홍삼 복합물과 CoQ10을 동시 투여한 Rat에서 현저히 운동능력이 늘어난다. (2) Mouse를 이용한 Cold swimming 실험에서는 CoQ10 단독 복용으로도 운동능력이 유의하게 늘어나고 녹각·홍삼 복합물과 CoQ10을 동시 복용하였을 때 유의한 수준으로 운동능력이 현저히 늘어난다. 운동능력이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근육의 피로도는 유의한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결론: 녹각·홍삼·CoQ10 복합물은 운동능력의 향상과 지구력에 유의한 향상을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녹각·홍삼 복합물이 개체 특이성을 갖는지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험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Ergogenic Effect of Extract with Old Antler and Red Ginseng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extract with old antler and red ginseng on exercise and endurance capacity in rats and mice. Methods: The extract of old antlers and red ginseng was manufactured by the pharmacy department of Kyung Hee oriental medical hospital, and CoQ10 was used, manufactured by Ildong pharmacy CoQ10 100mg. 24 rats and 30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ol, CoQ10 alone, extract with old antler and red ginseng and CoQ10. The ergogenic effect was evaluated by administering the extract with old antler and red ginseng and coenzymeQ10 to rats, and measuring the time to exhaustion during treadmill running and endurance capacity was assessed by measuring cold water swimming time and lactic acid, free fatty acid, LDH, and creatinine in each group's blood. One week from the end of treatment, we calculated time during the 2 weeks. Results: (1) In the treadmill test with rats, there is a tendency to increase in ergogenic effect, but it does no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2) In the cold swimming test with the mouse, coenzymeQ10 group has an effect on increasing, while the extract with old antler and red ginseng, and the coenzymeQ10 group also has a pronounced effect on increasing. (3) In blood test of the three groups, the degree of muscle fatigue decreased, although the ergogenic effect increased. Conclusions: There was an ergogenic effect using the extract of old antler and red ginseng, but we need to study that extract that contains old antler and red ginseng and determine the individual specificity.

      • 이동성 저하 노인의 스트레스 경로 및 회복탄력성의 대응효과 : 스트레스 대처 적응 모델을 중심으로

        엄사랑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Lazarus와 Folkman(1984)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델(Stress-Coping-adaptation Model)을 바탕으로 노인의 이동성 저하로 인한 스트레스 경로를 검증하는 하고, 스트레스 경로과정 중 스트레스를 대처할 수 있는 요인으로 회복탄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희대학교 고령친화특성화대학원에서 수집한 2017 노쇠이해능력 실태조사(Frailty Literacy Survey)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분석대상자로 403명이 선정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전 투입되는 변수들 중 상호 관련성이 있는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다음 이동성 저하노인의 스트레스 경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연구모형의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경험이 많은 노인일수록 이동성이 저하되었으며, 이동성 수준이 낮아질수록 우울감을 높아졌다. 또한, 높은 수준의 우울감을 가지면 삶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동성 저하로 따르는 스트레스 경로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우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우울감이 높더라도 회복탄력성의 수준에 따라 삶의 만족도가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은 노인의 이동성의 스트레스 경로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학문적·실천적 함의와 더불어 노년기 이동성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ased on the Lazarus and Folkman's Stress-Coping-adaptation theoretical framework (198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ping effect of self-resilience on the stress process of older adult from Mobility. The study selected the 403 people from the data of the 2017 Survey of the Frailty Literacy in Korea.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and AMOS 5.0 for conducting multi-group analysis. As a result, all path coefficients of the study model were significant. The mobility of the elderly who had experienced falls was decreased, and the lower the level of mobility was the higher the depression. Also, high levels of depression was decreased life satisfaction. Final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stress path following mobility degradation,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moderate effect. Namely, even though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as high, the satisfaction of life was controlled by the level of resilien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obilty in old age as well a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stress path of mobility of the elderly in Korea.

      • 고지방식이유도 실험용 Rat에서 Statin 및 한약2종 투여에 따른 혈중 지질, 조직 변화 비교 연구

        박성운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주요한 고지질혈증 약물인 pravastatin과 병용 투여하였을 때 고지혈증 치료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한약재를 찾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한의학에서 한습사(寒濕邪)로 인한 질환에 많이 사용되며 주요성분으로 담즙 분비 증가 등의 약리 효능이 입증된 후박(厚朴)과, 상대적으로 연구가 덜 되었지만 고지혈증에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는 하수오(何首烏)를 실험에 함께 이용하였다. 실험용 쥐를 일반 식이를 섭취하는 그룹(10마리), 고지방식이(45% fat diet) 섭취 대조군(10마리), 고지방식이와 함께 statin을 투여하는 그룹(10마리), 고지방식이와 함께 후박-하수오, statin을 병용투여하는 그룹(10마리)으로 무작위하게 나누어 실험에 이용하였다. 열흘간의 적응 기간 후 체중 측정, 고지방식이 및 시약 투여를 2주간 병행하며 1주 간격으로 체중 측정하였고, 시약 투여 그룹의 경우 시약을 2주간 1일 1회 경구투여하였고 고지방식이 섭취 대조군의 경우 동량의 물을 공급하였다. Pravastatin은 쥐 1마리당 매 회 3mg을 물 4cc에 녹여 투여하였고, 후박-하수오는 쥐 1마리당 매 회 후박 가루 400mg, 하수오 가루 400mg을 섞어 물 4cc에 녹여 투여하였다. 실험 마지막 날 모든 동물을 ether 흡입 마취 하에 심장 채혈 후, CBC 검사는 ㈜녹십자랩셀에, 생화학 검사는 ㈜옵티팜에 의뢰하였다.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청의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간(肝)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청의 AST, ALT 함량을 분석하였고, 신장(腎臟)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BUN, Creatinine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외에 영양 지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Total Protein, Albumin, CBC를 분석하였다. 채혈 후 복부 절개하여 Liver와 Aorta를 적출해 formalin 시약에 넣어 고정시킨 다음 ㈜옵티팜에서 조직 절편을 만들었다. 실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고지방식이 투여 기간(2주)이 너무 짧아 Normal군과 Control군의 실험 전후 체중이 거의 비슷하였지만, 후박-하수오, statin 병용 투여군의 결과를 통해, 후박-하수오 제제가 실험용 Rat의 체중 증가를 억제한다고 볼 수 있다. 후박-하수오 제제는 HDL-cholesterol 증가에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LDL-cholesterol과 Total cholesterol을 증가시킨다. 한편 후박-하수오가 statin과 병용될 때에는 Triglyceride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후박-하수오 및 statin의 2주간 투여는 간(肝) 및 신장(腎臟) 손상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영양에 미치는 악영향 또한 없었다. 조직 검사 결과에서는 Normal군과 Control군에서 간의 지방축적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Statin 단독 투여군과 후박-하수오, statin 병용 투여군을 상대 비교했을 때 후박-하수오 병용 투여가 지방간 발생 감소에 도움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이상 결론은 실험용 rat을 이용한 in vivo 실험으로 한약의 약효가 서서히 나타나는 특성 상 후박-하수오 단독 투여 그룹은 2주 안에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 실험에서 제외하였기 때문에 한약에 독립적인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다. 또한 고지방식이 투여 기간이 짧아 Normal군과 Control군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정확한 비교가 어려웠다. 향후 후박-하수오를 단독 투여하는 그룹을 추가하고 고지방식이 투여 기간을 늘린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preclinical study is aimed to compare dyslipidemic effect of pravastatin with that of herbal medicine in rats. Methods: The powder of the cortex of 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and the root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 was manufactured by the pharmacy department of Kyung-Hee Korean medicine hospital, and Pravastatin (CJ pharmaceutical) was used. In total, 40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Normal (10 rats), Control (10 rats), Statin alone (10 rats), the powder of the cortex of 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and the root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 and pravastatin (MO-PM-S group. 10 rats). Control group, Statin alone group, MO-PM-S group were made obese by giving high-fat (45%) diet. After 2weeks of drug administration, we compared dyslipidemic effect of pravastatin with that of herbal medicine in rats by analyzing lipid profiles, measuring body weights and taking biopsies (liver, aorta). Results: Change of body weight of MO-PM-S group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MO-PM-S group got a little higher HDL-cholesterol level, LDL-cholesterol level, and Total Cholesterol level than the other three groups. On the other hand, Statin alone group’s Triglyceride level was much higher than the other three groups. In biopsies, 30% of Statin alone group and 10% of MO-PM-S group showed mild histopathologic findings in the liver. And no remarkable lesions were observed in the aortas of all the groups. Conclusions: The cortex of 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and the root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 have a lowering effect on body weight, and a raising effect on HDL-cholesterol level. However, the herbal mixture has a raising effect on LDL-cholesterol level and total cholesterol level. On the other hand, the herbal mixture has a lowering effect on Triglyceride level when it is used with statin. In liver biopsies, the group administered with both herbal mixture and statin showed less histopathologic findings tha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statin alone. This means herbal mixture helps to prevent fatty degeneration of liver. Key words: Dyslipidemic effects, Pravastatin, Herbal medicine, Magnolia officinalis, Polygonum multiflorum

      • 외상성 뇌손상을 받은 3주령 생쥐에서 성년기의 행동 변화 및 풍부 환경의 효과

        방수용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50655

        Either environmental enrichment in an adapted Marlau cage (n=16) or standard housing (n=20) was provided for five weeks following moderate (n=18) or sham (n=18) traumatic brain injury in 3-week C57Bl/ 6 mice using an electically controlled cortical impact device with 3-mm metal impounder driven into a 5-mm left parietal craniectomy at target velocity of 4 m/s, depth of 2 mm, and dwell of 255 ms. Four weeks following surgery, motor function and activity in the rotarod, pole test, and open field test; spatial and visual memory in the water plus maze and novel object test; and anxiety- and depression-like behavior in the elevated plus maze and tail suspension test were assessed. In addition, Simple Neuroassessment of Asymmetric impairment (SNAP) tests conducted 96 hours following surgery were used as a subacute measure of injury severity. Traumatic brain injury was found to reduce function in the SNAP test, ability to balance in the rotarod test, and anxiety-like behavior in the elevated plus maze. Environmental enrichment appeared to generally enhance motor coordination in the rotarod, spatial memory in the novel object test, anxiety-like behavior in the open field test and elevated plus maze, as well as attenuated the decrease in exploratory behavior of novel objects relative to empty spaces.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factors were found, suggesting the failure of environmental enrichment to conditionally enhance the functional abnormalities of brain-injured relative to control subjects. These results beg further study of the limitations of environmental enrichment with regard to post-traumatic regeneration of neural structures and recovery of associated functions. Keywords: Traumatic brain injury, Environmental enrichment, Behavioral tests 3주령 C57Bl/6 생쥐를 대상으로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을 유발시킨 후, 4주간 풍부화 환경(Environmental Enrichment)을 제공한 후, 운동 기능, 인지 기능, 감정 기능을 평가하여 환경 풍부화가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환경 풍부화 케이지는 Marlau사의 디자인을 응용하여 자체 제작 하였으며 피질 충격기를 이용하여 외상성 뇌손상을 가하였다. 실험군은 일반 케이지에서 사육한 SHAM 수술군 (n = 10)과 TBI군 (n=10) 그리고 환경 풍부화 케이지에서 사육한 SHAM 수술군 (n = 8), TBI군 (n = 8)으로 구성하였다. 외상성 뇌손상의 손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신경행동지수 평가(SNAP)를 시행하였으며, rotarod, open field test, pole test, water plus maze, novel object test, elevated plus maze, tail suspension test 측정하여 운동기능, 인지기능, 감정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TBI 그룹은 SNAP test에서 운동능력, 감각기능, 평형 유지력, 반사기능과 rotarod test에서 운동균형 능력, EPM에서 불안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환경 풍부화 그룹은 rotarod에서 운동균형, WPM에서 습관성 학습, OFT center zone와 EPM에서 불안 행동을 향상시켰다. 외상성 뇌손상 후 환경풍부화 환경은 운동기능, 인지기능, 감정기능 장애에 직접적인 행동 변화에 향상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서 외상 후 신경구조의 재생과 관련된 기능 회복에 관한 환경 풍부화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키워드 : 외상성 뇌손상, 환경 풍부화, 행동 검사

      • 柑橘類에서 추출한 auraptene의 casepases 활성과 Mcl-1저해를 통한 전립선 암세포주에서의 세포사멸효과

        이재철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Auraptene 은 柑橘類에서 추출한 prenyloxycoumarin으로 항산화 효과, 항균효과, 항염증효과와 암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런 여러 효과가 알려져있지만 전립선 암에서의 항암 효과의 기전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다. 그래서 본 연구를 통해 auraptene의 PC3와 DU145전립선암 세포에서 항암효과의 기전밝혔다. Auraptene은 두 세포암주 모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을 감소시켰다. Auraptene 처리군에서 세포사멸과 관련된 세포주기에서의 sub-G1 분포도와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TUNEL)-양성 세포의 수가 증가하였다. PARP 와 caspase-9, -3의 분절 발현량이 auraptene 처리군에서 늘어남을 확인하였다. Auraptene은 Bcl-2 family 단백질들을 조절하는 마이토콘드리아 매개 세포 사멸 신호를 이용함을 발견하였다. 이런 auraptene의 항암효과는 는 siRNA transfection을 이용한 Mcl-1 과발현을 통해 억제되는 바, auraptene의 효과는 Mcl-1의 기전을 이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auraptene은 PC3, DU145 전립선 암세포주에서 Mcl-1억제를 통한 caspases활성과 Bcl-2 family단백질의 발현량을 조절하여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본 연구는 auraptene이 전립선암에서의 암예방물질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Though auraptene, a prenyloxy coumarin from Citrus species, was known to have anti-oxidant,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 activities, the underlying anti-tumor mechanism of auraptene in prostate cancers still remains unclear. Thus, we have investigated the anti-tumor mechanism of auraptene in PC3 and DU145 prostate cancer cells. Auraptene suppressed the viability of PC3 and DU145 prostate cancer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lso, aurapten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sub-G1 population and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TUNEL)-positive cells as features of apoptosis in two prostate cancer cells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Consistently, auraptene cleaved PARP, activated caspase-9 and caspase-3, attenuated the expression of anti-apoptotic proteins such as Bcl-2 and Mcl-1 and also activated pro-apoptotic protein Bax in both prostate cancer cells. However, overexpression of Mcl-1 reversed the ability of auraptene to increase sub-G1 population and induce caspase-9/3 in both prostate cancer cell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auraptene induces apoptosis in PC3 and DU145 prostate cancer cells via activation of caspases and inhibition of Mcl-1 as a potent chemopreventive agent for prostate cancer treatment and prevenion.

      • Effect of moderate left parietal cortical contusion injury at 3 weeks of age on behavioral responses to addictive drugs in the adult male C57Bl/6 mouse

        손켈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TBI) 환자는 일반인보다 높은 약물 사용률을 보인다고 여러 연구에서 관찰된 바 있다. 하지만 이 현상의 인과관계의 방향성은 명확하지 않은데, 특히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이 외상 전에도 평균 이상의 약물 및 술을 사용했다는 기타 근거를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또한 이전의 미발표 연구결과가 시사한 바에 따르면, 3주차 C57Bl/6 쥐의 운동 및 공간 기억력 저하와 유관한 왼쪽 두정엽 피질 타박상은 성체 쥐의 이동 기능이 암페타민 2 mg/kg에 더 높은 행동감작을 유발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바로 최소 한 종류의 외상성 뇌손상은 최소 한 종류의 중독성 약물에 대한 생리적 반응과 연관된 신경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환자에게의 적용성을 제고하고자 하면서, 코카인 사용 시 상기 결과가 반복 가능한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불안증 유사 행동 (상승 플러스 미로, 오픈 필드 검사), 우울증 유사 행동 (꼬리 매달기 검사), 신규성 선호 (신규 물건 검사) 등 인간과 설치류에서 중독의 행동적 프록시와 연계된 바 있는 감정적 특성, 그리고 중독성 약물에 대한 행동적 반응 (0.789 g/kg 에탄올 또는 12.5 mg/kg 염산 코카인에 대한 조건부 장소 선호도 및 행동 감작)에 대한 여러 외상 프로토콜의 영향을 검사하였다. 기존 연구와 외상의 강도를 비교하기 위해 기능적 손상 검사(simple neuroassessment of asymmetric impairment; SNAP, 로타로드, 막대기 검사, 그리고 수중 플러스 미로)를 사용하였다. 제1실험에서는 기존 연구와 비슷한 정도의 기능적 손상을 받도록 중도 왼쪽 두정엽 피질 타박상을 받은 쥐(n=10)가 허위TBI를 받은 쥐(n=10)에 비해서 불안증 유사 행동, 우울증 유사 행동, 신규성 선호, 그리고 12.5 mg/kg 염산 코카인 투여 시 행동적 반응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중도 TBI 수술은 대칭 기능성 무결성, 운동 협응 및 공간 기억 검사에서의 성적을 저하시켰고, 또 허위 TBI에 비해 불안증 유사 행동을 감소시키고 코카인 투여시 과운동 반응을 증진시키는 것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식염수 투여시에는 차이가 없었다). 제2실험에서는 제1실험의 결과가 부유 환경 Marlau 우리에서 길러진 쥐에게서 반복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부유 환경에서는, 제1실험에서와 비슷한 정도의 운동 협응과 공간 학습 저하를 유발시킨 중도 왼쪽 두정엽 피질 타박상(n=8)이 허위 수술(n=8)에 비해 기억력에 대한 불안증 효과를 감소하고, 새로운 환경에서 운동을 촉진하고, 그리고 코카인 투여 후 과운동을 증진시킨다는 (하지만 식염수 투여 후에는 차이 없음) 것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제1실험의 주요 결과가 보다 더 생태적으로 적절한 환경에서 사는 쥐에게도 반복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3실험에서는 허위 피질 타박상을 받은 쥐(n=11)가 수술을 받지 않은 쥐(n=9)에 비해 기능적 손상, 불안증 유사 행동, 우울증 유사 행동, 신규성 선호, 그리고 0.789 g/kg 에탄올에 대한 행동적 반응에 있어서 수술 자체의 추가적 영향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기 항목에서 허위 TBI의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는 상기 검사에는 수술의 추가적 영향이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처 분석, 행동적 결과, 그리고 이전 연구 자료는 본 연구의 외상 프로토콜이 코카인 투여 후 과운동을 증진하는 데 있어 노르아드레날린성 또는 세로토닌성 신호가 아닌 중뇌피변연 도파민 신호의 관여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하지만 처치 관련 약동학 혼란변수가 없었다는 것이 완전히 입증된 것은 아니다. Several lines of evidence suggest that traumatic brain injury (TBI) patients exhibit higher substance use rates than those seen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direction of causality behind this correlation is, however, unclear, especially given that other evidence also supports an above-average incidence of drug and alcohol use in TBI patients pre-injury. Previous unpublished findings suggest that left parietal cortical contusion injury associated with motor and spatial memory deficits in 3-week C57Bl/6 mice may result in enhanced locomotor sensitization to 2 mg/kg amphetamine in adulthood, implying that at least one type of traumatic brain injury may indeed affect neural systems associated with physiological response to at least one addictive drug. In this investigation we attempted to explore the replicability of these findings with regard to cocaine while attempting to enhance the generalizability of our data to the human patient. The effects of various injury protocols on emotional traits previously associated with behavioral proxies of addiction in humans and rodents, namely anxiety-like behavior (elevated plus maze, open field test, water plus maze strategy test), depression-like behavior (tail suspension test), and novelty preference (novel object test), and finally behavioral responses to addictive drugs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and behavioral sensitization to 12.5 mg/kg cocaine hydrochloride or 0.789 g/kg ethanol) in adulthood were assessed. Measures of functional deficit (simple neuroassessment of asymmetric impairment or SNAP, rotarod, pole test, and water plus maze) were used to compare injury severity with that of the original study. In Experiment I, we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recipients of moderate left parietal controlled cortical impact (n=10) resulting in functional deficits comparable with those of the original study might differ from sham TBI operates (n=10) in anxiety-like behavior, depression-like behavior, novelty preference, and behavioral response to 12.5 mg/kg cocaine hydrochloride. Moderate injury that reduced performance on tests of symmetric functional integrity, motor coordination, and spatial learning was also found to attenuate anxiety-like behavior and enhance locomotor responses to cocaine but not saline relative to sham. In Experiment II, we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the results of Experiment I could be replicated in mice raised in an enriching adapted Marlau cage environment. In these environmental enrichment conditions, moderate left parietal controlled cortical impact (n=8) resulting in similar decrements in motor coordination and spatial learning to those seen in Experiment I was also found to attenuate anxiety effects on memory, increase locomotion in a novel environment, and enhance post-cocaine but not post-saline hyperlocomotion relative to sham operates (n=8), replicating the main effect of Experiment I in a possibly more ecologically valid cohort of subjects. In Experiment III, we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sham controlled cortical impact operates (n=11) might demonstrate additive influences of surgery relative to naive mice (n=9) on functional deficit, anxiety-like behavior, depression-like behavior, novelty preference, and behavioral response to 0.789 g/kg ethanol. No effect of sham TBI was found on these measures, suggesting the absence of additive surgical influences on these tests. Lesion analysis, behavioral results, and data from previous research suggested the possible involvement of mesocorticolimbic dopaminergic relative to noradrenergic or serotonergic transmission in the enhancing effects of our injury protocols on post-cocaine hyperlocomotion, though treatment-related pharmacokinetic confounds have not been definitively ruled out.

      • Antiangiogenic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Vigna angularis via inhibition of pVEGFR2, pAkt and eNOS

        권오성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Though dietary azuki bean (Vigna angularis) seed containing antioxidant proanthocyanidis was known to have multi-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nt, hypotensive,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the anti-angiogenic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Vigna angularis (EVA) was never reported so far. Thus,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anagigenic mechanism of EVA was examined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EVA showed weak cytotoxicity in HUVECs, while it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VEGF induced proliferation of HUVECs. Consistently, wound healing assay revealed that EVA inhibited the VEGF induced migration of HUVECs. Also, EVA abrogated the VEGF induced tube formation of HUVEC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fashion. Furthermore, matrigel plug assay showed that EVA significantly reduced the hemoglobin level of matrigel plug in mice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Of note, EVA effectively attenuated the phosphorylation of FLK-1 for VEGFR2, and Akt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eNOS in VEGF treated HUVECs. Overall, our findings suggest that EVA inhibits angiogenesis in VEGF treated HUVECs via inhibition of pVEGFR2, pAkt, pERK and eNOS. 일상에서 자주 복용하는 적소두에는 항산화작용의 프로안토사이아닌 등을 포함한하여 항산화, 혈압강하, 항염증, 및 면역조절 작용 등 다양한 생리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혈관형성저해 작용은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소두 에타놀추출물의 혈관형성저해작용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1. 적소두 에타놀추출물은 사람탯줄유래내피세포[HUVECs]에 약한 세포독성을 보였다. 2. 적소두 에타놀추출물은 혈관내피성장인자[VEGF] 처리된 사람탯줄유래내피세포[HUVECs]의 비정상적 증식을 대조군에 비해 유효하게 억제하였다. 3. 적소두 에타놀추출물은 Wound Healing Assay법에 의해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처리된 사람탯줄유래내피세포[HUVECs]의 수복을 위한 이동성을 대조군에 비해 유효하게 억제하였다. 4. 적소두 에타놀추출물은 Tube Formation Assay법에 의해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처리된 사람탯줄유래내피세포[HUVECs]의 수복을 위한 이동성을 대조군에 비해 유효하게 억제하였다. 5. 적소두 에타놀추출물을 1주간 C57BL6생쥐에 전처치한후 수행된 Matrigel Plug Assay법에 적소두 에타놀추출물은 혈관형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한 헤모글로빈 정량에서 헤모글로빈수치를 대조군에 비해 유의히게 억제하였다. 6. 적소두 에타놀추출물은 Western blotting법에 의해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처리된 사람탯줄유래내피세포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수용체2[VEGFR2] 및 Akt인산화를 억제하고, eNOS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적소두 에타놀추출물은 혈관내피성장인자수용체2 [VEGFR2] 및 Akt인산화를 억제하고, eNOS의 발현을 억제작용을 통해 혈관형성저해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려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