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관광개발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박수향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지속가능 관광에 대한 선행연구와 기후변화가 미치는 관광레저분야의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비하고,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녹색성장을 주도하기 위한 환경과 경제 양축의 선순환구조를 수립하기 위한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관광개발의 지표(indicators)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단계는 선행연구, 국내․외 사례조사 등을 통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2단계로 관광, 도시계획․개발, 지역개발, 환경, 건축 등에 종사하는 전문가 및 공무원을 대상으로 Delphi조사를 실시하는 등 2단계에 걸쳐 진행하였다. 선정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정책․제도적, 개발 계획적 측면에서 관광개발 지표항목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Delphi 조사결과, 선정된 예비지표들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바탕으로 저탄소 녹색관광을 위한 관광개발 지표항목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지표는 총 87개로서, 경제적 측면에서 18개, 환경적 측면 18개, 사회․문화적 측면 18개, 정책․제도적 측면 15개, 개발 계획적 측면 18개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온 지표들을 관광개발 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지침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관광개발 계획수립에 있어 경제적, 환경적, 사회․문화적, 정책․제도적 측면에 있어 의사결정의 준거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요인도출시 단지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함으로써 다섯 가지 기준들의 상대적 중요도 및 적합도 크기에 대한 분석을 하지 못한 한계와 관광기준 및 지표항목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까지 고려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어 본연구가 가진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나오길 기대한다. Previous studies on sustainable tourism, climate change on the socio-cultural impacts of tourism and leisure field,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to deal with both environment and economic view of pre-circulation system to low carbon Green Growth Tourism Development Indicators (indicators) was presented. To achieve the goal, on the first stage was previous research, domestic & international case styles to undertake exploratory study, on the second stage was conducted tourism, urban planning & development, community development, environmental, construction of professional expert and government officials through Delphi survey. Selected economic, social, environmental, policy & systematic, and planned development views of tourism development indicators in terms of investigating three Delphi survey cases, Results were chosen finally based on low carbon Green Growth Tourism Development Indicators. Total selected indicators were 87, Eighteen of them were grouped into the field of economic, 18 were in the environmental view, 25 in the social and cultural view, 15 in the policy and systematic view, and 18 were in the planned development view.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ors are to promote tourism development project as applying a guideline. Tourism development planning in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 cultural, policy & systematic aspect will be used decision-making. However, occurring factors were analyzed only five kinds of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relative importance and suitable to meet limitation on the analysis of criteria and indicators, and other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could not be considered. Therefore, future study will be overcome the above limitation to expect further study.

      • 크루즈 관광 상품속성이 만족도와 행동의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입항 C크루즈 상품이용 중국인 관광객 중심

        윤효진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크루즈는 국제관광분야에서 급성장하고 하고 있는 산업으로 세계 해양 강국은 크루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인 불황속에서도 크루즈 관광객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 크루즈 산업의 발전은 해마다 빠르게 성장하여 2015년에는 70만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크루즈 상품을 이용 하였다.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은 다양한 측면에서 세계 크루즈 관광시장의 새로운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경제력과 관광성향에 비추어 잠재된 크루즈 관광의 수요 또한 많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인 크루즈 관광객들이 크루즈 상품을 이용할 때 어떠한 속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만족을 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행동의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중국 크루즈 시장에서 독특하게 나타나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상품 구매시 중요시 여기는 상품 속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상품 속성이 만족도와, 행동의도,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중국인 크루즈 관광객들을 상대로 한 크루즈 관광 상품 구성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여,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유도 하려한다. 연구의 결과 첫째, 중국인 크루즈 관광객들은 선사 서비스 요인과 비용 요인이 만족과 행동의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인 크루즈 관광객들은 선내 서비스 요인과 비용 요인 및 기항지의 매력이 선사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크루즈 관광의 저변 확대를 위해서는 선내 프로그램 서비스를 다양화하며, 합리적인 비용 책정 및 비용의 구성형태 변화 및 기항지 관광 프로그램 보완을 통해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C 크루즈 이용 중국인 관광객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 부분이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Cruise is an industry that is booming on the international tourism and the world's maritime powers are in fierce competition to dominate the cruise market. In addition, the cruise tourist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despite the global recession. Especially in China, the development of the cruise industry is growing annually and by the year 2015, 700,000 Chinese tourists took cruise tour. The Northeast region, mainly South Korea, China, and Japan , have the potential in many aspects to meet the new demands of the global cruise market. Also judging from their economic strength and the tourism tendencies, the potential demand for cruise tourism has also been rated as high. But at this point, our research of elements of satisfaction, behavior intention, and the brand loyalty of Chinese cruise tourists, who are growing fastest in numbers, are very limited. So this research will try to induce the better service by propose a strategy on understanding what unique attributes the Chinese tourists consider the most when they buy the products and how those attributes affect the satisfaction, behavior intention, and the brand loyalty. ​ First,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the on board programs of a cruise line, and a price affect the satisfaction as well as the behavior intention. As a result, in order to expand the markets based on chinese cruise tourists, we need to make persistent efforts to provide variety of on board program, and improve excursion program of port of call. This research is only based on the chinese tourists who are currently using C-cruise, so it is very limited and hard to generalize.

      • 베트남인들의 한국관광 선택속성이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효숙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number of Vietnamese tourists who visit Korea have increased steadily since Dec. 22, 1992,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 of Korea and Vietnam opened.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established a branch office in Hanoi on April 2011. Hanoi office aims to promote Vietnam tour market, which has been successful so far by increasing the tour market over 10% every year recently. Stable political environment, high economic development, and booming of Korean streams(Han-ryu) are the strong factors which make Vietnamese visit Korea. We expect the number of Vietnamese visitors in Korea will be double for 5 years in the near future. Regardless of these hospitalizing conditions, the actual Vietnamese tour market is very small. Korean travel infrastructure is not well organized enough to impress Vietnamese at present. Vietnamese tourists are not satisfied with Korean facilities or foods during their tour activities in Korea. The gap between the fantasy of Korean tour and reality is enormous for Vietnamese tourists. The Korean government tour policy for Vietnamese is not targeting the Vietnamese tourists, but it treats them as same as Chinese and Southeastern country citizens. Official data for Vietnamese tourists have not been researched or established for many years. Moreover, precise scientific analysis have not been made at all. Thus, this study suggest the purpose of the study as follow; First of all, this study shows the concept of the factors why the Vietnamese tourists choose Korea as their tour destination, and the concept of tour restraints they have.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Vietnamese tourist's favorite factor of choosing Korea as their tour destin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 of demography and the character of travel types. Third, this paper shows the analysis of what kind of the factors are considered as restraint's factors when they visit Korea an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on the character of demography and the character of travel types. Fourt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choosing Korea and the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 by Vietnamese tourists is presented. These are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and real data which can be a guideline for the special goods for Vietnamese tourists who visit Korea. Fifth and the last, this study discusses the tactical solution to promote the Vietnamese tour market with the empirical analysis. We sampled 450 persons with the age range from 21 to 60, who habitate Hanoi city in northern Vietnam and Hochiminh city in southern Vietnam. The sampling period was from 17 October, 2011 to 29 October, 2011, for about 2 weeks. The tools of the study were the questionnaire papers which was consisted of references which was written by former researchers with some modification and additional questions, which has been implemented for this study from the data which was interviewed with 90 Vietnamese who lived in Vietnam.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ost effective factor which attracts the Vietnamese tourists for less than a year and three years from the present is the experiencing advanced technologies. Also, the attraction of tourism is the second effective factor for less than a year. This paper is concluded by providing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Vietnamese inbound tourism and suggestion to expand the Vietnamese tour market in Korea.

      • 홍대지역에 대한 인식이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문종숙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홍대지역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더욱더 다양한 문화와 예술이 공존하는 젊음이 넘치는 공간으로 갤러리, 화랑, 거리미술전, 버스킹 공연 등 많은 종류의 볼거리와 세계 전통음식을 제공하는 먹거리 문화 그리고 개성 있는 카페 등 차별화된 공간을 제공하는 특별한 장소가 되었다. 합정역 메세나폴리스몰, 홍대 엘큐브, 연남동 화교거리, 그리고 최근 조성된 경의선 숲길공원은 젊은 중국인 관광객들의 유입을 촉진시키는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한류문화와 더불어 대중교통의 편리성과 깨끗한 숙박시설, 그리고 쇼핑 및 편의시설 등이 중국인 관광객들이 홍대지역을 선호하고 즐겨 찾는 결정적인 이유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인 중국인 관광객이 인지하는 홍대지역에 대한 장소성, 지각된 가치, 행동의도와 관련하여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직접 기입하여 회수하는 실증분석 방식을 진행하였다. 통계분석결과 인적서비스, 물리적 장소성, 장소이미지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품질․가격가치가 높아짐을 알 수 있으며, 장소이미지 인식은 사회․감정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홍대지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의 장소성 인식이 높을수록 재방문의사, 구전효과, 타인추천 등이 많아진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중국인 관광객들이 홍대지역을 재방문하거나 주위사람들에게 좋게 이야기하는 구전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홍대지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형성이 필요하며, 홍대지역의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광객이 많이 방문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 인적서비스, 장소성이미지 등 다양한 지원과 오래 머무르게 하는 전략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 최근 마포구청에서는 서울시의 종합대책에 부응하여 홍대상권의 지속적인 발전과 홍대지역만의 특별한 문화를 이끌어왔던 예술가들과 소상공인들이 비싼 임대료로 인해 내몰리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해소를 위해 홍대지역 상인과 문화예술인, 사회적 경제조직들과 함께 ‘문화예술관광 체험 비즈니스 모델 구축사업’ 추진과 ‘문화예술영향지표화’그리고 젠트리피케이션 포럼 등을 통해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Hongdae area has been a special place since 2000. It is the coexistence of a variety of youth culture and art space full, gallery, art galleries, street art exhibitions, busking, such as the many attractions and eateries and a differentiated space. Mecenat polis Mall, El cubes, Chinese streets, and Gyeong-ui line Forest Road Park has a bridgehead to promote the influx of young Chinese tourists. In addition, the ease of public transportation, clean accommodation, shopping and amenities with Korean culture was the decisive reason for Chinese tourists prefers to find and enjoy the Hongdae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place of the Hong-dae area that the Chinese tourists also investigate the impact of values and behavior. And I would like to propose a strategy and supporting policies for developing the commercial area through the Chinese tourist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arget Chinese tourists and proceed to the empirical method for collecting direct intervention. The results of Analysis, human services, physical location, and the image of place the more positive the higher the value of quality and the price. The image of place was a factor to improve the social emotional value. The perception of place is higher, the greater the revisit, word-of-mouth effects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Chinese tourists to revisit or raise the word of mouth effect, first it is necessary to form a positive perception and attitude about the Hongdae area. This wide range of support, including the physical environment, human services, and strategic marketing image of place that can stay for a long time a lot of tourists is needed to enable commercial. Recently, in Mapo-gu Office, to eliminate gentrification phenomenon, the Hongdae area merchants and cultural artists,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made ‘Culture and Art Tourism Experience Business Model Development Project' , ‘artistic influence indexing’, and ‘gentrification forum’ We are making efforts to recognize and resolve the issue.

      • 유튜브 댓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외국인 관광객의 북한관광 인식 및 관광지 이미지 분석

        박경진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Interest in North Korea is growing around the world as the 2018 inter-Korean summit and the U.S.-North Korea summit have created an atmosphere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rapidly changed the mood in Northeast Asia surrounding the two Koreas. With such interest, North Korea, which has been struggling to earn foreign currency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U.N. Security Council's resolution to impose sanctions on the North, seems to be actively seeking to attract foreign tourists using tourism as a means of earning foreign currency during the Kim Jong-un regime. Even if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recently, North Korea is still a country that maintains a closed socialist system, and due to such soci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related to North Korean tourism is very scarce and the safety of North Korean tourism is not fully guaranteed. 'Why do foreign tourists want to travel to North Korea despite these uncertainties?' 'What is the attraction of North Korea as a tourist destination?' This study began with curiosity about the previous questions. We also hope to help establish an overall marketing strategy for North Korean tourism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when tours to the North may be more free, and to draw up and discuss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formation of an image as a differentiated and competitive tourist destin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foreign tourists traveling to North Korea, while approaching and interpreting the image of North Korean tourist destinations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that foreign tourists who have traveled or want to travel to North Korea are aware of North Korean tourism. In addition, this study sough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urvey method, which has a special material called North Korean tourism, by utilizing the method of content analysis and big data analysis. After selecting related videos of YouTube channels related to North Korean tourism, we first identified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n tourism and the image of North Korean tourist sites that YouTubers intend to deliver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followed by conducting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the users' comments on the video to analyze and compare the words that form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n tourism and the image of the North's tourist destination. In this study, the web crawling function of Textom, a general-purpose big data analysis tool, was used to collect big data and based on unstructured data collected, only the text that is deemed to be able to produce meaningful results in this study was selected and refined. With the final refined data, we used Textom and UCINET6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concentration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and deduced the inherent meaning and specific associations among related words by visualizing the network between word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YouTuber showed North Korean tourism as a tourist destination of North Korea's own social and political ideologies, which cannot be experienced at existing tourist sites, along with indirect experiences of the lives of North Koreans. In addition, the YouTuber recognized North Korean tourism as a special and rare tourist destination, and was able to confirm through the video that although there are some safety fears, he is interested in the closeness and speciality of North Korea and shares his mind to explore tourist attractions that cannot be easily experienced. The reviewers who saw the video of big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the North Korean tourism itself in the comments, and that the special political and ideological environment that only North Korea has was perceived as a unique tourist destination image. In addition, I could see that he had positive feelings about North Korean tourism in the YouTube video itself and about the North Korean tourism in the video. In addition to the political ideologies of North Korean society, there is a high interest in the lives and lifestyles of North Koreans, and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n tourism through video and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are more likely to be related to positive images in general. However, even if the frequency of expression of positive images through comments is high, it can be seen that distrust of North Korean society and doubts about safety are still being discussed as a part of the unstable elements of North Korean tourism and the image of tourist destin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d to approach North Korea tourism academically for foreign tourists who have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so far, and it is also meaningful to try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n tourism and the image of North Korean tourist sites by targeting YouTube, a video-oriented social media platform. In addition, the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phenomenon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by dividing the images and images of tourist destinations that YouTubers wanted to deliver on North Korean tourism 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tourists into those of tourist destinations that were accepted by reviewers through comments. Through this, it provided meaningful results that should be further subdivided and objectified the current status of foreign tourists dealing with North Korean tourism, the perception of foreign tourists on North Korean tourism, and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In addition, in the future, tourism in southern relation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ourism in North Korea were presented. 2018년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의 성사로 인해 한반도에 화해와 협력의 분위기가 조성되고 남북한을 둘러싼 동북아시아의 분위기가 급변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북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 관심과 더불어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이 이행된 후 외화벌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은 김정은 체제 이후 외화벌이의 수단으로써 관광을 활용한 외래 관광객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모양새이다. 최근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해도 아직까지 북한은 폐쇄적인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나라로 그러한 사회적, 정치적인 특수성으로 인해 북한관광과 관련된 정보는 매우 부족한 현실이며 북한관광에 대한 안전 또한 완벽하게 보장되지 않는 여행지라고 할 수 있다. ‘왜 외국인 관광객들은 이러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북한을 여행하려 하는 걸까?’ ‘북한이 가지고 있는 관광지로서의 매력은 무엇일까?’ 본 연구에서는 앞선 질문들에 대한 호기심에서 출발하였다. 또한 북한관광이 좀 더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도 있을 미래에 대비하여 북한관광의 전체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 추후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 관광지로서의 이미지 형성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는 바람이다. 본 연구는 외국인 관광객의 북한관광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 한편, 북한을 여행한 경험이 있거나 여행하고자 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북한관광에 대한 인식과 북한관광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북한관광지 이미지를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해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과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북한관광이라는 특수한 소재가 가지는 설문조사법의 표본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북한관광과 관련된 유튜브 채널의 관련 영상을 선정한 후, 먼저 관련 영상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유튜버가 전달하려는 북한관광에 대한 인식과 북한 관광지 이미지(projected image)를 파악해본 후 다음으로 관련 영상에 대한 이용자들의 댓글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여 북한관광에 대한 인식 및 북한의 관광지 이미지(perceived image)를 형성하는 단어를 분석 및 비교하고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추론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범용 빅데이터 분석도구인 Textom의 웹 크롤링 기능을 활용하여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비정형데이터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텍스트만을 선택해 정제 단계를 실시하였다. 최종 정제된 데이터를 가지고 Textom과 UCINET6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집중도 분석 및 CONCOR 분석을 실시하고 단어들 간의 네트워크를 시각화를 통해 관련 단어들 간의 내재된 의미와 구체적인 연관성 등을 추론해 보았다. 내용분석 결과 유튜버는 북한관광을 기존 관광지에서는 경험 할 수 없는 북한만의 사회적이고 정치이념적인 성격의 관광지로 보여주고 있었으며 그와 함께 북한 주민들의 생활 모습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부분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유튜버는 북한관광을 특수하고 희소성이 있는 관광지로 인식, 북한을 관광한다는 자체에 의미를 두고 있었으며 안전상 두려운 부분이 있지만 북한만이 가지는 폐쇄성과 특수성에 대해 흥미로워하며 쉽게 경험할 수 없는 관광지를 탐험한다는 마음을 영상을 통해 보여주고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영상을 본 리뷰어들은 댓글을 통해 영상 속 북한관광 자체에 대해 관심이 높았으며 북한을 북한만이 가지는 특수한 정치이념적인 환경이 독특한 관광지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북한관광 유튜브 영상 자체 및 영상 속 북한관광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음을 파악 할 수 있었다. 그 외에도 북한사회의 정치이념적인 모습과 더불어 북한주민들의 삶과 생활방식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영상을 통한 북한관광에 대한 인식 및 관광지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이미지와 연관되어 있을 확률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댓글을 통한 긍정적인 이미지에 대한 표현의 빈도가 높다고 해도 여전히 북한사회에 대한 불신과 안전에 대한 의구심이 북한관광에 대한 불안한 요소와 관광지 이미지의 한 부분으로 논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비교적 덜 주목을 받았던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북한관광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하려 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북한관광을 동영상 중심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유튜브를 대상으로 하여 북한관광에 대한 인식 및 북한 관광지 이미지를 분석하려한 새로운 시도 또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인 관광객의 시각에서 바라 본 북한관광에 대해 유튜버가 전달하려는 관광지 이미지(projected image)와 영상을 본 리뷰어들이 댓글을 통해 받아들인 관광지 이미지(perceived image)로 나누어 현상에 대해 다차원적으로 비교 분석하려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를 통해 최근 증가하고 있는 북한관광을 대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현주소와 북한관광에 대한 외국인 관광객의 인식 및 관광지 이미지에 대해 좀 더 세분화하고 객관화 시켰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추후 남부관계에 있어서 관광을 통한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결과를 토대로 북한관광에 대한 다양한 관광학적인 측면에서의 학문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SNS 정보 품질 특성이 관광정보 신뢰, 만족 및 관광 지식 공유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태경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관광을 SNS와 연계하여 관광객의 경험을 공유하고, 콘텐츠를 기반으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는 ‘스마트 관광’의 시대로 진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SNS 관광정보 중심의 품질 특성을 다각적으로 고찰하여 국내 관광 소비자들의 관광정보 신뢰와 만족, 관광 지식 공유간의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통해 국내 관광 소비자에게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SNS 운영 방향의 전략적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SPSS를 이용해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측정변수들 간의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가설검증을 위해서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정량적 검증을 토대로 네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 관광정보 품질 특성이 관광정보 신뢰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SNS 관광정보 품질 특성 6개요인 중 이해용이성, 적시성, 경제성, 정확성 4개의 요인이 신뢰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SNS 관광정보를 제공 시 지각된 비용, 오류 없는 정보 제공, 읽기 쉬운 형태, 지속적 업데이트, 카테고리별 구분 등을 최대한 고려하여 운영해야 할 것이다. 둘째, SNS 관광정보 품질 특성이 관광정보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SNS 관광정보 품질 특성 6개 요인 중 이해용이성, 상호작용성, 적시성, 경제성, 구조성 5개의 요인이 관광정보 만족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SNS 관광정보를 제공 시 알기 쉽게 표현,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정보 제공 등을 최대한 고려하여 운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관광정보 신뢰가 관광정보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관광정보 신뢰는 관광정보 만족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용자는 정보 홍수 시대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검증되지 않은 정보의 빠른 확산은 결국 사용자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SNS 관리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시점이다. 넷째, 관광정보 신뢰와 만족이 관광 지식 공유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관광정보 신뢰와 만족 모두 관광 지식 공유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장기적으로 기업의 효율적 홍보마케팅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SNS 소비자가 생산자로서의 역할로 확대되어 적극적인 참여와 지식 공유 활동이 필요하다. 스마트 미디어 환경으로의 변화에 맞춰 이에 대응하기 위한 관광기업의 SNS 관리자는 신속, 정확하며 고객과 빠르게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고객에게 가치 있는 지식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과 고객 간에 신뢰형성으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커뮤니티에 기반한 이용자들 간의 관광경험의 지속적 상호작용을 통해 축적된 경험적 지식 정보는 관광기업의 경쟁력의 원천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SNS 정보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져감에도 불구하고, 관광분야의 SNS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SNS에서 관광정보를 얻고자 하는 이용자들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으며, 앞으로 관광기업에서는 이러한 자신만의 관광정보를 개발하고 운용해야 할 필요성이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관광업계에서는 이용자의 심리적 욕구를 먼저 파악하여 보다 차별화되고 신뢰성 있는 SNS 관광정보 사이트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we are in the era of 'Smart Tourism' in which experiences of tourists are shared by connecting tourism with SNS and participants in tourism seek two-way communication based on cont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information trust and satisfaction as well as tourism knowledge sharing by reviewing quality characteristics of SNS tourism information in various viewpoints. Thought the identification of such relationships, this study eventually aims at seeking out strategic implications of the direction of SNS operation that can provide tour consumers in Korea with conveniences and benefits. For the methods of this study, the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plorative factor analysis between measured variables, reliability analysis and analysis of correlation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were employed using SPSS. The four significant implication derived from these quantitative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about the effects of SNS tourism information quality characteristics on tourism information trust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of effects of ease of understanding, timeliness, perceived sacrifice, and accuracy - four factors out of the six tourism information quality factors - on tourism information trust. When providing SNS tourism information, it ought to be operated by considering the following factors as much as possible: perceived cost, providing error-free information, form that is easy to read, continuous update, classification by categories. Second, the analysis about the effects of SNS tourism information quality characteristics on tourism information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of effect of ease of understanding, interaction, timeliness, perceived sacrifice, and architecture - five factors out of the six tourism information quality factors - on tourism information satisfaction. When providing SNS tourism information, it ought to be operated by considering easily comprehensible expressions and providing much information in short period time as much as possible.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ourism information trust on tourism information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of the effect of tourism information trust on tourism information satisfaction. As a user is under massive amount of information, quick proliferations of unverified information have eventually direct impact on satisfaction of a user. In order to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the role of SNS administer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urth,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ourism information trust and satisfaction on tourism knowledge sharing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of the effect of both tourism information trust and satisfaction on tourism knowledge sharing. For SNS to be the effective promotion and marketing tool of a tour company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hat the role of an SNS consumer should expand to the role of a producer so that he or she participate actively and involve in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In order to properly respond to the changes to smart media environments, an SNS administer of a tour company should communicate with consumers with speed and accuracy so as to transmit valuable knowledge to consumers. This implies the significance of maintaining consumers to use SNS continuously by forming trust between a company and consumers. In conclusion, accumulated experiential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continuous mutual reactions of tour experiences of users based on a community will become the fundamental source of competitiveness of a tour company. Yet even if the importance that SNS information has across the board in our everyday lives is becoming larger and larger, the studies on SNS as to tourism are still insufficient to say the least. Here lies i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operating its own tourism information by a tour company as users who want to obtain tourism information through SNS. Therefore, the tourism industry should seek a means to operate an SNS tourism site that is differentiated and reliable rather than figure out psychological desire of users.

      • TV 드라마 시청행태가 관광지 이미지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체류형(滞留型)관광객을 중심으로

        이석호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opular Korean TV-Drama on the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tourist Behavioral Intention with an emphasis on the Long-Term tourists coming to Korea to see the Korean tourist resorts made known through the Korean popular culture like the TV dramas and so on. That is,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culture of the Korean TV-drama and the tourist destination image, the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the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 with a focus on the influence of the Long-term tourists' awareness of the Korean TV-drama on the Korean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the relation of influence between the Korean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the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 the intention to visit and the intention to recommend and furthermore to seek the regional or national programs to increase the foreign tourist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tourist destination image.

      •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한류관광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안소현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한류는 1기, 2기, 3기를 거치면서 잠깐의 유행이 아닌 하나의 현상으로 자리잡고 있으나 스포츠 한류, 디지털 한류, 경제 한류 등 한류에 대한 다양한 용어들이 파생되고 있어 그 실체 및 범위를 명확히 규정짓기 어려워지고 있다. 한류에 대한 명확한 범위가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한류관광 역시 한류 콘텐츠 체험을 이유로 방한한 관광에 국한하여야 하는지,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에 호감을 갖고 일반적인 관광행위를 하는 관광까지 포함해야 하는지 그 범위가 명확하지 않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에 적합한 한류관광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협의의 한류관광은 방한 목적을 한류콘텐츠, 대중문화로 설정하였으며, 광의의 한류관광은 한류콘텐츠, 대중문화, 역사/문화유적, 음식, 쇼핑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한류관광 범위설정에 따른 경제적 효과의 논란 여지를 줄이고자 하였다. 한류관광객수 도출과 한류관광객 지출액 추정은 「2011 외래관광객 실태 조사」와 「한국관광위성계정」보고서 등 2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추정 결과 2011년 방한 한류관광객 1인의 평균 국내 지출액은 US 1,297이며, 이는 낸드플래시 16기가 반도체 725개를, 40-42인치 LCD 8.6대를 수출한 것과 같은 수출효과를 나타냈다. 2011년 협의에 의한 방한 한류관광객의 국내 총지출액은 약 5,093억 원이었으며, 광의에 의한 방한 한류관광객의 국내 총 지출액은 4조 2,659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한 한류관광객의 국내지출액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직, 간접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09년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07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기본부문 403부문을 33개 부문으로 통합하여 생산승수, 소득승수, 고용승수, 부가가치승수, 세수승수, 수입승수를 도출하였으며, 2011년 방한 한류관광객의 국내 지출액을 최종수요화 하여 생산파급효과, 소득파급효과, 고용파급효과, 부가가치파급효과, 세수파급효과, 수입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한류는 단시간 동안 한국에 대한 급속한 홍보효과를 가져온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한류영향 산업 중 하나인 한류관광산업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범위 설정조차 되어 있지 않으며 이는 효과적인 정책 및 지원을 이끌어 내기 어렵게 한다. 한류관광의 실질적인 효과는 한류에 호감을 가진 사람의 실질적인 관광행위를 창출하도록 하여 LCD 8대를 수출하는 것과 같은 경제적 효과를 가져온다는 단순한 수치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한류관광을 통해 한국에 대한 호감이 더욱 강해져 한국산 제품을 선호하는 현상까지 유발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수준 낮은 한류 관광상품으로 인해 한국에 대한 신뢰를 상실시키며 반한감정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이는 앞으로의 대한민국의 이미지, 대한민국의 수출품 구매에까지도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한류 관광상품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한류관광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정부의 정책과 지원을 위해서는 한류관광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때문에 본 연구는 한류관광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여 한류관광에 대한 관심과 지원의 공감대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의료기관 직무환경이 의료관광 전문인력의 직무만족과 인지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와 마케터를 중심으로

        권병전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해외의료관광객 유치 및 대응 업무를 수행하는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및 마케터 등 의료기관 전문인력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의료관광 직무환경의 개선을 도모하고 경영성과 제고를 위한 대책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존 선행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Herzberg의 2요인 이론에 근거를 두고 연구를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로 직무환경을 설정하고 5개 하위요인(조직방침 및 행정, 보상, 직무자체, 인정, 성장가능성)을 구성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인지된 경영성과를 설정하였고, 매개변수로 직무만족을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018년 5월 3일에서 11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의료관광 업무수행 의료기관 200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및 마케터에 한정하여 응답토록 하였으며, 유효설문지 130부를 확정하고,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조직 특성에 따라 각 집단 간에 직무만족과 인지된 경영성과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직무환경 요인 중 「조직방침 및 행정」변수와 「인정」변수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환경이 인지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조직방침 및 행정」,「직무자체」,「인정」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세 변수 모두 인지된 경영성과에 대해 정(+)의 방향성을 보였다. 셋째, 직무만족이 직무환경과 인지된 경영성과 사이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지 검증한 결과, 직무환경 변수 중「조직방침 및 행정」,「인정」에 대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조직방침 및 행정」과「인지된 경영성과」 간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며, 「인정」과 「인지된 경영성과」간에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조직 특성에 따라 각 집단 간의 직무만족과 인지된 경영성과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에 있어서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 변수는 월 소득이었다. 인지된 경영성과에 있어서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 변수는 성별, 연령, 전공, 최종학력, 월 소득, 근무 의료기관 종별이었다. 앞으로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의료관광 전문인력의 직무만족 및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 직무환경 요인을 연구하고, 설문조사 범위도 수도권 이외에 전국 의료기관을 포괄하여 폭넓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핵심용어 : 의료관광, 직무환경, 직무만족, 인지된 경영성과

      •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에 대한 정보만족이 잠재관광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대불일치이론 관점에서

        유서희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that the value of lectronic word of mouth(e-WOM) tourism information has over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in the perspective of the expectancy-disconfirmation theory(EDT), in order to find an effective way of providing tourism information. For this research, literature review, a study of preceding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statistical analysis were do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EDT;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disconfirmation,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were identified through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In addition, varied opinions on EDT and recent usage trend of e-WOM tourism information were reviewed through the study of preceding research.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ublic who had experience on using e-WOM tourism information. With respect to statistical research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done to confirm the influence of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on information satisfaction(which is based on EDT model) and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satisfaction on behavior inten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ctation of the value of e-WOM tourism info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e-WOM tourism info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disconfirm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disconfi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abov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potential travelers became thorough and active on information search and pursuit of various information value dimensions to make prudent travel decisions, this study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applying the intangible featured value of e-WOM tourism information to EDT and verified the influence on information satisfaction. Second, in practical ter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to tourism-related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in providing information which can meet potential travelers’ needs with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most used e-WOM tourism information source. It will help them to find a way to choose an effective tourism information source and make the best use of it, and also to develop it continuously. Third, this study reveals that identifying, assessing information value dimensions and recognizing travelers’ perceived values can be useful to the marketers of tourism-related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in creating publicity campaigns and planning for sales promotions. Moreover, it can provide abundant information and improve traveler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which would facilitate their subsequent travel decision making. 본 연구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가 정보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을 기대불일치이론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관광정보 제공의 효율적인 방법을 모 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문헌고찰과 선행연구조사 그리고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기대불일치이론의 구성요인인 기대, 지각된 성과, 불 일치, 만족 간의 관계 및 만족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선행연구조 사를 통해 기대불일치이론에 대한 다양한 견해 및 최근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이용 동향을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 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통계조사분석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함께 기대불일치 이론을 토대로 기대, 지각된 성과, 일치성과 정보만족, 정보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에 대한 기대는 지각된 성과와 일치성 모두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에 대한 지각된 성과는 일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일 치성은 정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정보만족 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중한 관광의사결정을 위한 잠재관광객들의 면밀하고, 능동적인 정보 검색과 다양한 정보가치를 추구하는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바탕 으로, 무형의 특성을 갖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를 기대불일치이론에 적용 하여 정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로 나타난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원과 관련하여 관광기업들이나 기관들은 잠재관광객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 하는데 있어 관광정보원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활용, 지속적으로 발전시 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온라인구전 관광정보의 가치 차원을 구분하고 잠재관광객들이 중요하 게 생각하는 정도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정보를 제공하게 될 관광기업, 관 련기관이 관광상품 또는 관광지 홍보 및 판촉활동을 계획할 때 유용하게 활용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잠재관광객들의 필요에 적합한 정보를 풍부하게 제 공할 수 있으며, 정보탐색 행동 향상 및 추후 관광의사 결정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