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분석 : 거점대학교를 중심으로

        이희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11

        세계화 정보화의 물결에 따라 교육의 여러 분야에서 국제경쟁력을 키우고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고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때 대학원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교육대학원은 현직 교원의 재교육 및 계속교육 기관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교육학 석사학원 취득과정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경우 우리나라 음악교육을 이끌어 나가는데 큰 공헌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교육과정을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것이다. 전국 각 도마다 국·공립대학이 있지만 거점대학교는 서울대, 충남대, 충북대, 전남대, 전북대, 강원대, 제주대, 부산대, 경북대에만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서울대와 부산대는 특별시와 광역시에 해당하는 학교이기 때문에 제외하였으나, 충북대에는 음악교육전공 학과가 개설되어 있지 않았으며, 경기도에는 거점국립대학조차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대학원의 일종인 교육대학원에 개설되어 있는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을 거점대학교 7개 학교 강원대학교, 경상대학교, 경북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남대학교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과정 과목위주로 실태를 파악하여 분석하고 운영상의 문제점과 그 개선책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나아가 좀 더 발전적인 교육과정 정립에 기본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교육과정 비교·분석에 있어서는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나누어 각 학교의 개설된 과목들을 비교하여 분석하였으며, 이해영역과 활동영역 2가지로 나누어 좀 더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각 대학원간 과목 수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과목의 비율이 학교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과목수가 많을수록 좋은 것이 아니라 음악교육전공에 맞게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비율이 적절해야하는 것이다. 각 대학원은 과목의 개설을 일률적으로 편성하여 뚜렷한 기준을 세우고 교과목을 설치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현행 교육과정은 교육부의 형행교육과정과 다소 차이가 있어보였다. 음악교사의 양성 및 현직교사의 재교육이라는 대학원의 취지를 고려하여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깊은 연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각 대학교마다 국악 관련 교과목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체계적이고 폭 넓은 교육을 위해 국악영역 교과목의 개설이 확대되어야 하겠다. 넷째, 연구에 속한 학교들은 각 도의 중심이 되는 거점국립대학으로써의 면모를 확실히 갖춤으로 각 도의 다른 학교들에 비해 발전적인 교과과정의 개선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거점국립대학 7개 학교에 한정되어 연구가 진행 되어 여러 학교를 대상으로 연구하지 못하였으나, 앞으로 다양한 학교를 대상으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사립교육대학원과 음악교육과정을 비교 및 분석하여 보다 다각적이고, 효율적인 교육과정 개발에 힘 써야 할 것이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교육과정을 구성한다면 교과과정의 정립과 균형 잡힌 음악교육의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wav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postgraduate education among various educational fields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at the moment that the need of higher education is emphasized to enhanc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pecial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agency which reeducates and educates continually for current teachers and equally, is playing important role as the course to acquire the Master of Education. Especially, music education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contributing to develop South Korea’s music education and in view of this,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urse of music education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ll be meaningful. Although every province has national/public universities, the universities which open music education major are onl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Busan National University, and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Since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usan National University belong to Seoul and metropolitan city, these two universities are excluded in this research. However, music education major is not opened in Chunbuk National University and moreover, Konggidodoes not even have national university. Thus, this research focus on comprehending and analyzing the actuality of subjects in music education major which is opened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find operation issue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and pursued basic direction to establish more constructive education course. In terms of a curriculum analysis and comparison, it is divided into proportion of music courses and music courses criteria. It is analyzed by the comparison with each University’s courses. Those courses are analyzed more in depth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and operation categor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are 4 facts were discovered. First, the number of subjects in proportion of music courses and music courses showed huge difference depending on each Post-graduate schools. Having more subjects does not mean the better quality. The more important fact is that the rate of proportion of music courses and music courses should be balanced. Each Postgraduate school should have a standard of uniform subjects opening. Second, the current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some of differences in comparison of Education Ministry's current curriculum. It is suggested the curriculum of Post-graduate school should be reorganized as the curriculum can be linked between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middle high and high school curriculum. Third, each postgraduate School has insufficiency of Korean classical music related subjects. To have a systematic and wide range of curriculum, the subjects in Korean classical music category should be open in each Graduate school. Forth, the postgraduate schools involved in the research should have superior aspects as key performing national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improved curriculum compare to other universit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limited 7 national universities so it was not able to cover various universities. Through the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more dynamic and efficient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nd if the more practical and segmented curriculum is developed, the well balanced musical education will be pursued.

      • 중학교 고전소설 교육 사례 연구 :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활용한 「김영철전」 수업을 중심으로

        황인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중학교 고전소설 교육 사례 연구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활용한 「김영철전」 수업을 중심으로- 황인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선보인 ‘한 학기 한 권 읽기’라는 독서 교육에 관한 내용을 바탕으로 중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고전소설 교육 제재로서의 「김영철전」의 가치를 확인하는 데 있다. 중학생이 되면서 고전소설에 대한 흥미도와 고전소설 읽기가 소홀해짐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여 고등학교 고전소설 교육을 할 때 학생들이 수월하게 고전소설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영철전」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홍세태가 「김영철유사」를 읽고 지은 고전소설이다. 17세기 명·청 교체기를 배경으로 일어난 명과 청 사이에 전쟁에 조선군으로 동원되어 인생 역정을 겪는 김영철의 일대기를 전의 형식으로 다루면서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사실주의 문학의 극치라는 평가를 받는 작품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들어 있는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온전한 책 읽기를 수업시간에 진행하고 생각을 나누고 표현하는 통합적 교수·방법으로 중학교 전 학년에서 시행 중이다. 교과서의 고전소설을 배울 때 고전소설의 묘미를 온전히 느끼게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전란 체험의 사실적 묘사, 전쟁 속에 흩어진 가족의 이산과 회복, 가혹한 군역의 문제, 효의 실천 문제 등 과거의 문제이지만 현재에도 유용한 삶의 문제가 담겨 있다. 이러한 주제 의식을 내재한 「김영철전」은 중학교 고전소설 교육 제재로서 충분히 가치가 있는 작품이다. 이렇게 교과서에는 실리지 않았지만 현재와 맞닿은 교육적 가치가 풍부하고 문학사적 의의가 있으며 전이라는 갈래를 가진 「김영철전」은 ‘한 학기 한권 읽기’를 통하여 교과서 고전소설의 단조로움을 해소해 주고,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대체로 알고 있는 전형적인 고전소설 틀에 대한 인식전환을 해주면서 중학교 과정의 고전소설에 대한 관심을 유지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Ⅱ장에서는 초등학교 중학교에서의 고전소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Ⅳ장에서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식전환을 위한 「김영철전」의 교수·학습을 설계하였다. 한 학기 한 권 읽기 모형 중 질문으로 깊이 읽기를 적용하되, 전체 토론에서는 비경쟁 독서토론의 모형을 사용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교수· 학습 단계는 읽기 전: 배경 열기, 읽기 중: 문학 탐구, 읽기 후: 문학 생활화로 진행하였다. 읽기 전: 배경 열기에서는 역사 교과와 융합 수업을 계획하였으며, 읽기 중: 문학 탐구에서는 질문으로 깊이 읽기를 활용하여 모둠별로 질문 만들기 활동을 하였다. 읽기 후: 문학 생활화 단계에서는 비경쟁 독서토론을 하여 학생들이 「김영철전」에서 다루는 문제들에 대하여 공감과 비공감의 의사를 표현해 보는 활동과 내면화하는 글쓰기 활동을 하였다. 학생들은 질문으로 깊이 읽는 과정과 모둠 토의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생각과 친구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줄거리를 추리거나 모르는 낱말을 익히는 과정에서 학생중심의 모둠학습이 효과적임을 경험하였다. 읽기 후 활동의 비경쟁 토론과 내면화하는 활동을 통하여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되고, 고전소설이 우리의 삶의 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학생들은 명확히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읽기 경험은 고전소설에 대한 흥미와 관심으로 이어졌다.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기르고자 하는 역량 중 고전소설이 기를 수 있는 역량은 다양하다. 중학교 때 교과서에는 접하지 않지만 교과서 내용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고전소설들을 찾아내어 읽음으로써 고전소설에 대한 인식을 전환할 수 있으며,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역량을 가진 학생들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Case study of middle school classic novel education -Focusing on the class KimYeongCheol-Jeon using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In-kyung Hwa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value of KimYeongCheol-Jeon as an educational sanction for classic novels that can be applied to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content of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newly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urpose is to make it easier for students to access classic novels when they are in high school by recognizing that interest in classic novels and reading classic novels become neglected as they become middle school students. KimYeongCheol-Jeon is a classic novel written by Hong Se-tae from the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ies after reading The History of KimYeongCheol(金英哲遺事). This work is evaluated as the pinnacle of realism literature by depicting the KimYeongCheol-Jeon who was mobilized as a Joseon army in the 17th century during the Ming and Qing transition period as a background and goes through life's hardships in the same way as before.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an integrated teaching method that conducts full reading in class, shares thoughts and expresses ideas, and is being implemented in all grades of middle school. It is an effective way to fully feel the charm of classical novels when learning classical novels from textbooks. It contains the problems of the past, such as realistic descriptions of war experiences, separation and recovery of families scattered by war, harsh military service, and practice of filial piety, but also contains useful life problems in the present. KimYeongCheol-Jeon, which has such a theme consciousness, is a work of sufficient value as a middle school classic novel education sanctions. Although not included in textbooks like this, KimYeongCheol-Jeon which is rich in educational value that touches the present, has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and has a genre of Jeon relieves the monotony of classic textbook novels through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It will also be able to maintain interest in classical novels in the middle school course while changing the perception of the typical classical novel framework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generally know. Chapter Ⅱ examines the perception of classic novel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chapter Ⅳ designs teaching/learning of KimYeongCheol-Jeon to change percep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deep reading model with a question was applied in the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but the class was designed using the non-competitive reading discussion model in the overall discussion. In the teaching/learning phase, before reading: opening the background, during reading: exploring literature, and after reading: literary life were carried out. Before reading: History and fusion classes were planned in Open Background, and in Reading: Literature Exploration, in-depth reading was used as a question to create a question by group. After reading: In the literary life stage, non-competitive reading discussions were conducted to express sympathy and non-sympathy for the issues addressed by the students in KimYeongCheol-Jeon and writing activities to internalize them. Through the process of deep reading with questions and group discus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ir own thoughts and the thoughts of their friends could be different. In addition, students experienced the effectiveness of student-centered group learning in the process of deducing the plot or learning unknown words. Through non-competitive discussion and internalization activities after reading, students can understand the content in depth, and students clearly recognized that classic novels can help with problems in our lives. This reading experience led to interest and interest in classical novels. Among the competencies to be nurtur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the competencies that classic novels can cultivate are diverse. By finding and reading classic novels that help them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extbooks more deeply, although they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extbooks in middle school, they can change their perception of classic novels, and also develop students with the competencies pursued by the curriculum.

      • 제1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발행과 내용 서술

        지영은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제1차 교육과정은 1954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 공포된 ‘교육과정 시간배당기준령’ 이후 1963년 2월 15일 문교부령 제120호로 개정된 ‘교육과정령’이 공포되기 전까지 시행된 교육과정이다. 제1차 교육과정은 해방 이후 미 군정기를 벗어나 대한민국이 수립된 후 정부가 처음으로 주도해서 만든 교육과정이다. 해방 이후 일제에 의해 파괴된 민족 정통을 복구하고 교육 체제를 바로 세우는 일은 매우 중요했다. 이에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12월 교육법을 공포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제정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미뤄졌고, 결국 한국전쟁이 끝난 이후 1954년 4월 ‘교육과정 시간배당기준령’이 공포되고 이듬해에 각급 학교 교육과정이 공포됨으로써 제1차 교육과정이 등장하게 되었다. 제1차 교육과정기의 국사 교과서 집필은 역사학자들이 주도하였다. 교과서는 역사의 시작점부터 현재까지의 내용을 다루어야 하는 교재이다. 그러므로 당시 교과서 집필자들은 자신의 전공 분야를 포함한 전체 시기에 대해서 서술해야 했다. 역사학자들이 교과서를 집필함에 따라 교과서 서술에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았다. 이 때문에 제1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과서에서는 교과서 용어 또는 내용의 불통일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비교적 집필자의 재량이 반영된 교과서 서술로 인해, 교과서마다 같은 주제를 두고 설명하는 내용이 조금씩 상이했다. 학교 현장에서는 국사교육 내용의 불통일로 인한 혼란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에 본고는 제1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과서의 내용 서술이 차이가 나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고에서 제1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를 연구하기 위해 살펴본 주요 자료는 고등학교 8종 국사 교과서와 제1차 교육과정 문서, 대한민국 󰡔관보󰡕, 그리고 「국사교육 내용의 통일」이다.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첫째, 교육과정과 교과서 발행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제1차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문교부 󰡔관보󰡕를 통해 교과서 검인정 목록을 정리하였다. 1956년에 유홍렬 󰡔한국사󰡕, 이병도 󰡔국사󰡕, 이홍직 󰡔우리나라 문화사󰡕, 홍이섭 󰡔우리나라 문화사󰡕의 4종 교과서가, 1957년에는 김상기 󰡔고등국사󰡕, 조좌호 󰡔우리나라 문화사󰡕, 최남선 󰡔고등국사󰡕, 역사교육연구회 󰡔고등국사󰡕의 4종 교과서가 검정 통과한 사실을 확인하여, 고등학교 8종 교과서의 검정 연도와 발행 종수를 정확하게 정리하였다. 둘째,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체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당시 교육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각 8종 교과서의 대단원명 구성을 비교하며 교육과정과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각 단원별 비중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8종 교과서마다의 다양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과서 집필자와 교과서 내용 서술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비교 분석 주제는 고조선, 삼국통일전쟁, 동학농민운동 등 3개였다. 이는 당시의 역사학적 사정과 집필자의 연구 성과를 교과서의 내용 서술과 대조해봄으로써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3개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마다 같은 사건을 두고 서술하는 방식이 다소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집필자의 역사관에 따라 사건을 해석하는 데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동시에 당시 교육과정의 규정성은 그리 높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제1차 교육과정기 각 교과서에서 드러나는 차이점은 결국 제2차 교육과정기에 들어서 「국사교육 내용의 통일」에 의해 교육 내용의 통일로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역으로 「국사교육 내용의 통일」에서 통일된 내용을 확인하여 제1차 교육과정기의 국사교육 내용의 다양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고를 통해 제1차 교육과정과 더불어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 대한 이해, 그리고 역사학 성과가 교과서에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당시 교육과정에 대한 면모와 특징에 대한 이해는 물론, 당시까지의 역사학의 사정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curriculum is the curriculum from the "Standard Decree for Curriculum Time Dividend" enacted and promulgated by Ordinance No. 35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April 20, 1954, to the promulgation of the "Curriculum orders" revised by Ordinance No. 120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February 15, 1963. The first curriculum was the first curriculum led by the governm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outside the U.S. military period after liberation. It was very important to restore the national authenticity destroyed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after liberation an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system. According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in 1948, the Education Act was promulgated in December 1949 and a new curriculum was enacted. However, it was delayed due to the Korean War, and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the "Curriculum Time Dividend Standard Decree" was promulgated in April 1954, and the school curriculum at various levels was promulgated the following year, resulting in the first curriculum. Historians led the writing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first curriculum. Textbooks are teaching materials that must deal with the contents from the beginning of history to the present. Therefore, Textbook writers at that time had to describe the entire period outside their major field. In this regard, Textbooks at that time were likely to reflect the historical views of textbook writers. What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first curriculum was the inconsistency of textbook terms or contents. Due to the textbook description reflecting the author's discretion, the contents of explanation with the same topic were slightly different for each textbook. At the school site, confusion occurred due to the inconsistency of the contents of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dif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of the history textbook during the first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main materials examined to study the history textbooks of high schools during the first curriculum are the eight types of history textbooks, the first curriculum documents, the official gazette of Korea, and the unification of history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se material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issuance was examined. By examining the first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at that time was subdivided, and the textbook accreditation list was confirmed thr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s official gazett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 content system was examined. By looking at the curriculum at the time, the composition of the large-scale name of each of the eight textbooks was compared to confirm the difference from the curriculum. An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each unit, the diversity of each of the eight textbooks was confirm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book author and the textbook content description was examined. The analysis topics were based on a total of three themes: Gojoseon, the Unification War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and the differences in descriptions for each of the eight textbooks were compared. It was intended to grasp the relationship by comparing the achievements of historical studies according to the authors' majors with the content description in the textboo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ree topics,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same event was slightly different for each textbook. This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interpreting events according to the author's view of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regulation of the curriculum at the time was not very high. The main data examined in this paper to study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first curriculum are eight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the first curriculum documents, the Korea Gazette, and the Unification of History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se material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issuance was examined. The first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examined, and the textbook certification list was organized thr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s official gazette. In 1956, it was confirmed that four textbooks, Yoo Hong-ryul 󰡔Korean History󰡕, Lee Byung-do 󰡔Korean History󰡕, Lee Hong-jik 󰡔Korean Cultural History󰡕, Hong Yi-seop 󰡔Korean Cultural History󰡕 were approved. In 1957, it was confirmed that four textbooks of Kim Sang-ki 󰡔High School Korean History󰡕, Cho Jwa-ho 󰡔Cultural History󰡕, Choi Nam-sun 󰡔High School Korean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High School Korean History󰡕 were approved. The year of examination and the number of issuance of eight high school textbooks were accurately summariz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 content system was examined. By looking at the curriculum at the time, the composition of the large-scale name of each of the eight textbooks was compared to confirm the difference from the curriculum. An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each unit, the diversity of each of the eight textbooks was confirm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book author and the textbook content description was examined. The subjects of comparative analysis were Gojoseon, the Unification War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This attempted to grasp the relationship by comparing the historical situation at the time and the author's research results with the content description of the textboo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ree topics,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same event was somewhat different for each textbook.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interpreting events according to the author's view of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regulation of the curriculum at the time was not very high. The difference revealed in each textbook of the first curriculum eventually appears as the unific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 by "unification of the contents of national history education" in the second curriculum. Conversely,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diversity of the contents of national history education during the first curriculum by confirming the unified contents in 「Unification of the contents of national history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we can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along with the first curriculum, and how much the achievements of history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s. Such research will enable not only an understanding of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at the time, but also an understanding of historical achievements up to that time.

      • 중등 역사교육에서의 탐구학습 활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최유영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1970년대이래 역사교육에서 탐구학습이 매우 강조되어왔다. 이는 교사가 교과서의 학습내용을 일방적으로 가르치기보다는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사고능력을 신장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에 탐구학습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뤄왔고 교육과정에서 탐구학습을 강조해 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정작 현장에서는 탐구학습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높으며, 그 원인으로 탐구학습의 개념이 불분명한 점, 역사의 특수성을 간과할 우려가 있다는 점, 학급당 인원수 과다, 교사의 수업시수 부족, 보조 자료의 개발 부족, 교사의 수준과 자질 문제 등의 지적이 있었다. 탐구학습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요소가 필요하지만 수업을 이끌어 나가는 주체인 교사가 탐구학습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활동하는가가 탐구학습의 성패를 가름하는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사의 탐구학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은 현장에서 탐구학습의 실천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충청도와 강원도 지역의 교사(79명)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분석하는 한편, 기존의 연구들을 현 연구와 비교함으로서 교사들의 탐구학습 인식 및 운영 실태와 그 변화를 확인하려고 하였다. 통합적 분석에서는 정석중(1988)의 논문, 강선옥(1999)의 논문, 그리고 필자가 분석한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시기별 변동사항을 파악했는데, 그 결과 세 가지로 요약할 수가 있다. 첫째, 여전히 강의식 수업이 주도하고 있으나 점차 다양한 탐구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둘째, 1988년도에는 교과서를 탐구 자료로 거의 사용하지 않았으나 1999년도에는 거의 주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2009년도에는 매 수업시간에 교과서를 활용하는 동시에 ‘탐구활동 풀이’가 중요했다. 다만 ‘탐구활동 풀이’를 하는 사례가 과반수 이하인 것으로 보아 교과서에서 제시한 탐구활동을 충분히 수행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탐구학습의 개선점에 관해서는 ‘입시위주의 교육풍토 개선’, ‘ 탐구자료 개발’, ‘ 교사의 자질 향상’ 등이었으며, 그 외의 의견으로는 ‘학급당 인원수 축소’, ‘ 교과내용 축소’, ‘ 다양한 수업지도안 개발’ 등으로 교사들의 인식의 변화에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보아, 현장 여건의 개선이 적극적으로 이뤄지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룹별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 그룹에 대한 분석에서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남교사와 여교사의 성향이 유사하였다. 다른 점은 크게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역사 수업에서의 이상적인 수업방법으로 A그룹(여자)은 문답식(54.3%), B그룹(남자)은 사료(61.8%)를 강조했다. 둘째, 교과서 외의 보조자료 활용에서 ‘학습 자료를 재구성한 프린트’ 사용에 있어서 남교사(61.8%)보다 여교사(85.7%)가 더 활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재량활동 시간에 두 그룹 모두 수업을 하지만 남교사보다 여교사(11.4%)가 영화(EBS)시청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넷째, 학생들이 탐구수업 후의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이유에 대해 여교사는 소란스러움(34.3%)을, 남교사는 탐구수업의 이해부족(32.3%)을 선택하였다. 다섯째, 탐구학습이 정착되기 위해 필요한 여건에 대한 차이점으로 여교사는 업무량의 축소(37.1%), 남교사는 교사의 인식변화(50%)를 선택하였다. 이상과 같은 인식의 차이는 체력이 강하고 통솔력이 있으며 사회성이 강한 남성과 섬세하고 언어적 감각이 앞서는 여성이란 통상적인 인식이 교육에서도 상당히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별 그룹에 대한 분석에서도 대부분의 항목에서 A그룹(강원)과 B그룹(충청)이 유사하였다. 다른 점은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습자 중심으로의 교육전환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 A그룹은 100%, B그룹은 68.2%가 찬성하였다. 둘째, 탐구수업의 활용횟수에 대해 A그룹은 1년에 한 번 정도(66.7%), B그룹은 3·6개월의 한 번 정도(31.8%)로, B그룹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셋째, 탐구학습 후 학생들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이유로 A그룹은 ‘대학입시에 도움이 안 되서’(58.3%), B그룹은 ‘탐구수업의 이해부족’(31.8%)과 ‘자료가 어려워서’(31.8%)를 선택하였다. 넷째, 탐구학습을 저해하는 제도적·환경적 요인으로 A그룹은 대학입시제도(75%), B그룹은 과중한 수업부담(54.5%)을 선택했다. 이상과 같은 차이가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을 제시하기 어려우나 상대적으로 B그룹의 표본이 많고 경력도 5년 이하가 많기 때문에 성향의 차이가 더 크게 드러난 것으로 추정된다. ‘경력’별 분석 역시 대부분의 항목에서 A그룹(16년이하)과 B그룹(16년이상)이 유사하였다. 다른 점은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과서 외의 보조자료 활용 횟수에 대해 A그룹은 매 수업시간(61.8%)에 활용하는데 반해 B그룹은 일주일의 한 번(34.3%) 정도 활용하는 것으로 보아 A그룹이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탐구학습 후 학생들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이유에 대해 A그룹은 탐구수업의 이해부족·자료가 어려워서(28.6%), B그룹은 수업시간의 소란함(28.6%)을 선택하였다. 셋째, 탐구수업 후의 수행평가에 대해, A그룹은 시험, 정리해서 제출하기, 포트폴리오 등을 실시하고, B그룹은 시험을 실시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탐구학습을 저해하는 학습자 측면 요인으로 A그룹은 과중한 시험부담(47.1%), B그룹은 학생들의 의지부족(34.3%)을 들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은 경력에 따라서 미세하지만 교육관, 학생관, 교육제도 및 시험제도 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학습자 중심에 대한 찬·반’별 역시 대부분의 항목에서 A그룹(찬성)과 B그룹(반대)이 유사하였으나, 다른 점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역사교육에서의 강조점으로 탐구능력 신장을 선택한 사례가 A그룹 52.8%, B그룹 9.1%로,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찬성자 집단이 사고력 신장도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과서 이외에 활용하는 보조자료로 A그룹이 학습자료를 재구성한 프린트(77.4%)와 PPT자료(77.4%)를, B그룹은 동영상(72.7%)을 사용한다고 응답했다. 셋째, 정선영이 제시한 탐구모형을 이용하여 수업에 적용한 사례는 A그룹 67.6%, B그룹 20%였으며, 또 A그룹 35.3%, B그룹 17.1%가 이 모형이 교육여건상 실시가 불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학습자중심 교육에 대한 인식이 탐구학습의 실시와도 비교적 밀접하게 관련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Since the 1970s,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inquiry learning have been carried and emphasized in 7theducation program. However it has come under increased criticism that inquiry learning method is not being well. As a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 problems of inquiry learning are the meaning is uncertain and peculiarity of history could be overlooked. The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per a classroom, shortage of the school days, the faculty and capabilityincluding insufficiency of case study on inquiry learning continued to make another problem as being applicable to classroom. This study is aimed to mainly investigate the practicable possibility of inquiry learning by checking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actual condition for inquiry learning. Above all, main point of inquiry learning is located in the classroom and the awareness of teachers to lead the inquiry learning could be very important in order to build a new paradigm. There are many methods for predict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wareness of present teachers to inquiry learning, such as visiting class and personal interview. However, the questionnaire method has been prepared to closely examine the awareness of inquiry learning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survey from questionnaire method was conducted with a representative 79 teachers in Chungcheong and Kangwon area. In this study, the time-variant characteristicson the inquiry learning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existing paper suggested by other researchers such as Cheong (1988) and Kang (1999). As a results, firstly, instructor led classes are still performed, but a great variety of inquiry-based training are utilized. The second, many advanced materials for inquiry learning are being developed. The third, the awareness of present teachers are not differentwith existing ideas. This was why the systems for inquiry learning in classroom are not changed, so environmental improvements are were unsatisfactory. Moreover, to closely investigat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on inquiry learning for each group tendency, for example, centered on the sex, career and opinion o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단원 구성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 '문학과 삶' 단원을 중심으로

        김용섭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A Study on Unit Composition of Literature Textbook of High School - Focused on Unit, 'Literature and Life' of Literature Textbook Based on Revised Curriculum in 2009 - YONG SEOB KIM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What literature should aim is just to be intentionally involved in meaningful growth of humans being achieved together with literature and to endeavor so that such growth could be accomplished in more meaningful way' and to analyze whether literature textbooks revised in 2009 properly reflect the purpose of revised curriculum. Total unit composition and learning development pattern of 12 kinds of literature textbook based on revised curriculum in 2009 were summarized by each textbook and unit composition of 'Literature and Ego', 'Literature and Community', 'Literature and Culture' that are sub categories, contained literary works and learning development pattern and activity were comparatively analysed by focusing on unit, <Literature and Life> in literature II textbook and then, whether literature textbooks revised in 2009 properly reflect the purpose of curriculum revision was analysed by evaluating compatibility of curriculum, appropriateness of volume and contents level, unit linkage and sequence, systemicity, effectiveness of visual materials, diversified and useful learning activities and editing design.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erms of curriculum compatability, most of the textbooks were acceptable as those textbooks were compatible with nature and goal of subjects of revised curriculum of 2009 and faithfully reflected teaching-learning method suggested in curriculum and evaluation contents but in terms of appropriateness of volume, some textbooks showed unsatisfactory unit composition. In selecting learning contents, diversified methods were attempted in a way that contents to be learned in each unit was generally guided by suggesting achievement standard of major unit, interest of learners was induced and their curiosity was stimulated by selecting cartoons as teaching material. Appropriateness of contents level may be controversial depending on individual point of view but the contents was composed of teaching material activity through which learning goal could be attained and sympathized and thinking area (domain) could be expanded. In terms of unit linkage and sequence, the contents was evaluated to be generally acceptable but some textbooks were found to be composed differently from the system of curriculum contents. In systemicity and effectiveness of visual material, diversified and fresh materials were presented. In learning activity, it was composed so that learning goal could be approached through the cases of actual life and self-directed learning was guided by encouraging learners to feel interest in learning and some textbooks were composed so that required activity was guided to be selected through self-monitoring. Diversified activities of suggesting useful learning activity and promoting participation of learners including discussion, debate were contained in unit composition of most of the textbooks but unsatisfactory textbooks were also found. In editing design, diversified characteristics were represented. Generally developed image could be found in a way that some textbooks secured blank space sufficiently by expanding book format (size), some textbooks contained clear and useful photo material and other textbooks gave a refreshing feeling by containing emotional beautiful illustration.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mind the people concerned that a study on unit composition more faithful to curriculum contents system, discovery of contents containing diversified literary works, improvement in selecting learning contents and development of fresh and useful learning activity inducing interest and learning motivation to the learners is required to be performed consistently.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단원 구성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 ‘문학과 삶’ 단원을 중심으로 김 용 섭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는 바로 문학과 함께 이루어지는 인간의 의미 있는 성장에 의도적으로 관여하는 것이며, 그것이 좀 더 의미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다.’라고 제시하고, 이를 위하여 2009개정 문학교과서들이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12종 문학 교과서의 전체 단원 구성과 학습 전개 양상을 각 교과서 별로 정리한 다음, 문학Ⅱ교과서의 <문학과 삶> 단원에 초점을 모아서 아래 범주인 ‘문학과 자아’, ‘문학과 공동체’, ‘문학과 문화’ 단원 구성과 수록작품 분석, 학습 목표 비교, 그리고 학습 전개 양상과 학습 활동을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부합성과 분량의 적절성, 내용 수준의 적절성, 단원 연계 및 계열성, 시각자료의 체계성 및 효과성, 다양하고 유용한 학습활동, 편집 디자인 등을 평가하여 2009개정 문학교과서들이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2종 문학교과서의 전체적인 단원 구성의 특징을 살펴보면 지학사(권영민) 문학Ⅰ은 총 6개 단원 중에 ‘문학의 성격’ 범주에 1개 단원을 배치하고, ‘문학 활동’ 범주에 5개 단원을 배치했는데 2단원에 ‘문학 활동’ 범주의 하위 내용인 문학의 수용, 문학의 생산, 문학과 매체를 설명하고, 3단원부터 6단원까지는 서정, 서사, 극, 교술 등의 장르 별로 나누어 문학의 수용과 생산을 집중적으로 배치하였다. 문학Ⅱ는 총 5개 단원 중 ‘문학의 위상’ 범주에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역사와 갈래, 세계 문학의 흐름,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등 4개 단원을 배치하고 ‘문학과 삶’ 범주는 1개 단원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문학의 본질에 대한 지식 목표를 추구하는 ‘문학의 성격’ 범주와 인간의 실천적 삶과 문학의 밀접한 관련성을 지향하는 ‘문학과 삶’ 범주의 단원 구성이 문학 활동 능력 목표를 추구하는 ‘문학 활동’과 문학의 실체적 양상에 대한 이해를 지향하는 ‘문학의 위상’ 범주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소홀이 다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양상은 지학사(최지현), 두레교육(윤석산), 미래엔(윤여탁), 비상(박영민), 비상(유병환), 신사고(이승원), 창비(박종호), 해냄(조정래)에서도 공통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천재(고형진)는 문학Ⅱ의 총 6개 단원 중에서‘문학과 삶’ 범주에 문학과 자아, 문학과 공동체, 문학과 문화의 3개 대단원, 9개 단원, 23개 작품을 수록하여 범주 간에 단원 구성에 있어서 균형을 잡고 풍부하게 작품을 수록하여 인간의 실천적 삶과 문학의 밀접한 관련성을 탐구하는데 매우 유용한 단원구성으로 평가된다. 천재(김윤식)과 천재(정재찬)도 ‘문학과 삶’ 범주 단원 구성에 있어서 이런 경향을 보인다. Ⅲ장에서는 교육과정 내용체계 중 인간의 의미 있는 성장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문학과 삶’ 단원을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문학과 자아, 문학과 공동체 그리고 문학과 문화로 나누어 각각 단원 구성과 수록 작품 분석, 학습 목표 비교, 학습 전개 양상과 학습 활동을 비교하였다. 전체적으로 학습 전개 양상을 살펴보면 단원의 길잡이를 통해 학습 흥미를 유발하고, 단원 준비 학습에서 그림과 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배경 지식을 활성화함으로써 학습동기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단원 학습에 들어가서는 문학이론과 작품에 대한 풍부한 해설을 제공하고 시대, 갈래, 지역, 주제, 매체 등 다양한 범주별로 균형 있게 안배한 주요 정전과 참신한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었다. 다만 수록 작품 수의 편차는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평가되었다. 대단원에서부터 소단원까지 상세하고 명확하게 제시된 학습 목표는 학습의 길잡이로서 역할을 잘 하고 있었다. 제시된 활동을 실제 수업 시간에 수행하기는 시간과 난이도에 무리가 있어 운영의 지혜가 필요해 보였다. 가장 아쉬웠던 점은 단원의 구성 문제였다. 특별히 ‘문학과 자아’ 단원의 구성에 있어서 출판사별로 차이가 컸는데, ‘문학과 자아’, ‘문학과 공동체’, ‘문학과 문화’ 범주를 대단원으로 구성하고 각각 3단원씩 모두 9개의 소단원으로 구성하여 12개의 풍부한 수록 작품 감상과 함께 적극적으로 ‘문학과 자아’단원을 수용한 교과서들이 있었던 반면에 동일한 범주에 소수의 단원을 배치하고 소수의 작품을 수록한 교과서도 있었다.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교육과정의 부합성에 있어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목의 성격 및 목표에 부합하고,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수학습 방법, 평가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여 대부분의 교과서가 적합했으나, 분량의 적절성에 있어서는 미흡한 단원 구성을 보이는 교과서가 있었다. 학습내용 선정은 대단원의 성취기준을 제시하여 각 단원에서 학습할 내용을 개괄적으로 안내하고, 만화를 제재로 선택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다. 내용 수준의 적절성은 관점에 따라서 여러 가지 의견이 있을 수 있지만 학습 목표를 성취하고, 공감하며, 사고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제재와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단원 연계 및 계열성에서는 대체로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교육과정 내용 체계와 다르게 구성한 교과서도 있었다. 시각자료의 체계성 및 효과성에서 다양하고 참신한 자료들이 배치되었다. 학습 활동에서는 실생활의 사례를 통해 대단원의 학습 목표에 접근하며,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하도록 조직되었고, 자기 점검을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활동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교과서도 있었다. 유용한 학습 활동을 제시하고, 토의·토론 등 학습자의 참여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활동이 대부분의 교과서 단원 구성에서 이루어졌지만 미흡한 교과서도 보였다. 편집 디자인에서는 다양한 특징을 보였다. 판형을 키우고 여백을 충분히 확보한 교과서도 있었고, 선명하고 유용한 사진자료를 수록한 교과서, 그리고 감성적인 아름다운 삽화를 수록하여 참신한 느낌을 주는 교과서등 전반적으로 발전된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보다 충실한 단원 구성과 다양한 수록 작품의 발굴 그리고 학습 내용 선정의 개선과 학습자에게 흥미와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참신하고 유용한 학습 활동의 계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환기시키는 것이다.

      • 화법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 : 수시 개정 교육과정기를 중심으로

        황지원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화법 교육에서 내세우고 있는 교육과정상의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 담화 유형,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등에 대한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화법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모습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수시 개정 체제 도입 이후의 교육과정인 2007년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년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국어과 듣기·말하기 교육과정과 화법 교육과정을 살펴보면서 화법 교육의 변화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해당 교육과정의 범위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2015년 개정 교육과정까지로 제한한 이유는 많은 화법 연구 성과가 2000년대에 쏟아져 나왔고, 학위 논문도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표되어 화법 교육 연구자의 저변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관련 연구가 집대성되고 체계성을 수반하게 되면서 교육과정상에 반영되기 시작한 시기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라고 보았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먼저 수시 개정 이전의 화법 교육과정 전개 양상을 고찰함과 동시에 수시 개정 이후 국어과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변화를 간략히 살펴 논의의 배경으로 삼았다. 다음으로 국어과 교육과정의 체계를 토대로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 담화 유형,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 변화를 주요 특징별로 분석하였다. 성격 및 목표는 진술의 추상성을 배제하고 중복되는 내용을 체계화하는 방향으로 바뀌었으며, 내용 체계는 범주의 신설과 삭제, 듣기·말하기 영역의 통합 제시 등의 변화가 있었다. 담화 유형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래 큰 변동 없이 유지되어 왔고, 성취기준은 양과 수준의 적정성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변화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는 영역을 통합한 일반적 지침 사항을 제시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각 영역별로 방법 및 유의사항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세부 설명의 부족, 듣기·말하기 교육과정과 화법 교육과정의 연계성 부족, 내용 체계 범주 설정의 비체계성, 특정 담화 유형의 편중, 일부 성취기준 간 수준의 위계성 미확보,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와 성취기준의 불완전한 연계 등 아직 미흡한 점이 발견되었다. 이에 차후 교육과정 구성의 과제로 교육 일반과 구별되는 구체화된 국어과 성격 설정, 듣기·말하기 교육과정과 화법 교육과정의 연계성 강화, 화법 영역의 특성을 반영한 고유의 내용 체계 범주의 설정, 담화 유형 선정의 체계화와 적절성 마련, 성취기준 간 수준의 위계성 및 양의 적정성 강화,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 다양한 예시와 적용 사례 추가 설정 등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directions and forms th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should be headed by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 system, discourse types,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speech education were critically discussed by examining Korean language, listening and speaking curriculum and speech education curriculum from 2007 revision curriculum after revision system introduction to revision education curriculum of 2015. Therefore, the speaking and listening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discourse curriculum from 2007 revised curriculum to 2015 revised curriculum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tant revision system is critically discussed. The reason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curriculum from 2007 education curriculum to 2015 education curriculum is because many discourse research performance and theses were intensively published in the 2000s which led to the expansion of the base of discourse education researchers and activists. The related research was integrated, systemized and reflected in the education curriculum starting from 2007 education curriculum. A study on the discourse education development appearance with a brief analysis of the overall change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fter the constant revision set the background of the discussion prior to the research. Next, based on the system of th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the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 system, discourse types,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were analyzed by main characteristics. The abstractness of the statement was excluded and overlapping contents were systemized regarding characteristics and goals. The changes in the contents system include the establishment and deletion of the category, the integration of the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etc. The types of discourse remained without major changes since the 2007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have transform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ppropriateness of quantity and level. The eval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ave also exited from the previous way of suggesting general guidelines on an integrated area, but rather suggested cautions and methods for each separate area. However, the lack of detailed explanation, the absence of a connection between listening and speaking curriculum and narrative education curriculum, the non-systematic nature of setting content system category, the bias of specific discourse types, the uncertainty of the hierarchy between some achievement standards, inadequate linkage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remain as limitations. Therefore, as a task of constituting the futur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fic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from general education and increase linkage between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curriculum and discourse education curriculum. Also, a unique content system categor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area, a provision of systemization and appropriateness of discourse type selection, enhancement hierarchy of levels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adequacy of quantity, and various exam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additional application examples are needed.

      • 중·소도시 초등영재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김원선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 중·소도시에서 실시되고 있는 초등영재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강원 중·소도시 초등 영재교육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하여 영재의 정의 및 개념을 정리하여 그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영재교육 제도 및 강원 영재교육의 운영에 대해 알아보고 강원 중·소 도시 지역 초등영재교육의 실태 및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도시 지역의 초등영재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중·소도시 지역의 초등영재교육의 문제점은 어떠한가? 셋째, 중·소도시 지역의 초등영재교육의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원 중소규모 도시의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일반교사와 영재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은 모든 교사가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담당 교사들은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학생선발 시 관찰평가 방식은 선발 교사들에게 어려움을 준다. 둘째, 중소도시 소외계층의 영재학생들을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영재교육은 지역공동영재학급으로 운영 방식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셋째, 영재담당교사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충분한 지원과 상위교육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운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별로 다양화된 학생선발 방식을 통하여 좀 더 많은 학생들이 영재교육의 기회를 접할 수 있도록 소규모 학교의 영재학생을 선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소도시의 영재교육 운영에 있어 지역공동의 영재학급이 활성화되어야 하며 지역교육지원청과 거리가 먼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공동의 영재학급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이버 영재교육의 운영 방식을 바탕으로 강원 으뜸영재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사교육처럼 일정학생을 배정 받고 정기적으로 담당교사와 만나서 개인별로 연구 프로젝트를 점검 받고 추후 발표하는 과정을 병행하여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넷째, 파견교사 제도를 활용하여 영재교육원의 운영 및 업무를 담당하게 함으로써 운영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과학교실 및 수학교실, 지역의 연구 기관 및 대학과의 연계를 통한 교육시설 대여 및 고급프로그램 지원을 통한 상위 수준의 교육이 이루어져 영재교육의 수준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of Gangwan Province in order to devise a plan to improve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of the province. For this purpose, an attempt was made to present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the gifted, investigate the gifted education system and operation of gifted education in Gangwon Province, and present the actual state of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n small and middle-sized cities of Gangwon Province and the direction for the education. To do thi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is the actual state of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n small and middle-sized cities? Second, what are the problems of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n small and middle-sized cities? Third, what are improvement schemes for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n small and middle-sized cities? To answer these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general teachers and gifted education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in small and middle-sized cities of Gangwon Province;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SPSS WIN (12.0) was used to estimate basic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determine the general distribution of data, followed by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to see differences in perception by background variables for each question and post-test to identify a group having differences. The analyse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need of gifted education is perceived by all teachers, and teachers concerned need to try to enhance their expertise. Teachers concerned have difficulties with the observation-based evaluation for selecting students. Second, the current cyber gifted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in the underprivileged bracket needs to have its operation mode improved. Third, operation based on association with superio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ufficient support is necessary to reduce the burden of tasks for teachers in charge of the gifted and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is desirable to have more students get a chance for gifted education through diversified types of students selection for each reg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ate community-based gifted classes in operating gifted educ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it will be effective in operating gifted educ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o operate community-based gifted classes around regions away from a local educational assistance office. Third, on the basis of operation of cyber gifted education, it will be effective for some gifted students to meet a teacher concerned regularly, check a research project personally, and make presentation later like tutoring in the top gifted education in Gangwon Province. Fourth, it is desirable to ensure internal stability of operation by using the teacher dispatch system to take charge of operation and tasks of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of gifted education by borrowing educational facilities through association with mobile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es and local research institutions and colleges and providing the high level of education through support for advanced programs. It is also necessary to devise an efficient plan to analyze differences and efficiency of operating systems for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esent association and characterization between school gra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