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 : 부산·경남지역으로

        임예지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50년 역사를 통해서 많은 성장을 한 교육대학원은 우리나라의 교육발전에 많은 공헌해왔다. 교육대학원의 학생유치 경쟁은 앞으로도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사실과 각 교육대학원은 생존을 위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만족할 만한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교육에 있어 교육과정 만족도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재학생들이 수강하고자 하는 교과목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지, 연장선상에 이뤄지고 있는 학습 과제가 적절한지, 성적평가에 있어서 학생들이 만족하고 있는지 등의 여러 요인과 교육 만족도는 수요자들의 교육의 질적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경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래의 교육대학원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부산·경남 4개의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교육대학원 재학생들은 진학동기 이유 중 교사가 되기 위해 진학했다는 답이 가장 많았으며,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고 졸업 후 교사로 활동하기 원하는 학생들이 진학하는 만큼 교육대학원에서는 수요에 따른 질 높은 교육과정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부산·경남 소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재학생들의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 분석에 의한 불만족 요인들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기초로 하여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이 더욱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 다문화관점에서의 미술교육 실태 및 방안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문지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나라는 급속히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다원화되는 세계 속에서 교육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타문화를 존중하며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의 개념과 이미 선행된 다른 나라의 배경, 다문화 교육, 우리나라의 특수한 현황을 살펴보고 시행 중인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다문화적 관점이 포함된 내용을 분석한다. 그 후 중학교 검·인정 교과서 3종의 상세 목차별 단원을 바탕으로 다문화 미술교육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더 나아가 다문화적 내용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단원을 바탕으로 다문화적 관점의 미술 교과 지도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에 나타나고 있는 다문화 현상이 부드럽게 발전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미술 교과서를 토대로 미술교육의 방향과 대안 등을 나타낸다.

      •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연구

        유재열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경험, 만족도 및 요구내용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참여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참여 만족도는 어떠한가? 셋째,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요구내용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평생교육에 관한 국내ㆍ외의 문헌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평생교육의 개념과 이념적 속성, 대학평생교육의 발전, 대학평생교육의 국제적 동향과 우리 나라 대학평생교육의 발달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살펴보았다. 조사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관련 자료를 참작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의 강좌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6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미회수 및 무성의한 응답지를 제외한 471부를 이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포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는 유의수준 1%와 5%에서 검증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10.1 통계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프로그램의 참여경험에 대한 결과로서 성인학습자들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목적은 지식 및 정보의 습득, 직업능력의 향상, 기타, 여가선용, 대인관계의 증진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라서도 전체적인 반응양상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단지, 학생의 경우에는 지식 및 정보의 습득(45.5%)보다 직업능력의 향상(50.9%)이 더 높게 응답되었다. 이는 직업 및 취업과 관련한 자기계발을 목적으로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참여경로는 아는 사람의 소개를 통해, 홍보물을 통해, 대중매체를 통해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50대 이상의 경우 아는 사람의 소개를 통해서가 다른 연령 대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이는 50대 이상의 경우 젊은 연령층에 비해 대중매체나 홍보물을 접할 기회가 다소 제한 받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한 생활의 도움 정도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86.2%가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을 선택한 이유로서는 유명 강사진, 기타, 저렴한 수강료, 편리한 교통, 우수한 시설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그러나 월평균 수입이 2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유명 강사진 보다 저렴한 수강료를 더 많이 선택하였다. 저소득층 성인학습자의 경우 수강료가 평생교육기관을 선택함에 있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성인학습자의 95.1%가 필요하다고 응답함으로써 대부분의 성인학습자들은 평생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프로그램 수강 중 겪은 애로사항으로서는 시간 부족, 거리상의 문제, 수강료 부담, 학습능력의 부족,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성인학습자의 선호시간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프로그램의 개설시간을 편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직장인을 위한 주말 반을 개설하는 등 프로그램의 개설시간을 보다 다양화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성인학습자의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에 대한 결과로서 성인학습자의 대부분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보다는 남성이, 미혼보다는 기혼이, 세대 구성원이 많은 학습자가 세대 구성원이 적은 학습자 보다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 대해 살펴보면 수업분위기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업의 질, 수강인원, 강의방법 및 강사의 강의준비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난 반면, 교육기간, 교육시설, 수강료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수강료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은 성인학습자들이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을 이용함에 있어서 수강료 부담을 큰 애로점으로 여기는 것과 일치된 반응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성인학습자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의 적정 수강인원은 10-20명 미만, 20-30명 미만, 10명 미만, 30명-40명 미만, 40명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1회 수업시 적정 교육시간으로는 2-3시간 미만, 1-2시간 미만, 3-4시간 미만, 1시간 미만, 4시간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당 적정 교육횟수로는 주2회, 주1회, 주3회, 주4회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의 적정 교육기간으로는 2-3개월 미만, 5개월 이상, 3-4개월 미만, 4-5개월 미만, 2개월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강의방식으로는 실습 및 현장교육, 강의식 수업, 토론식 수업, 발표식 수업,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적정 수강료는 10-15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월평균 수입이 100만원 미만인 성인학습자는 5-10만원 미만(54.1%)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월평균 수입이 적은 성인학습자들의 경우 고소득 성인학습자에 비하여 수강료에 대한 부담을 많이 느낄 수밖에 없으므로 저렴한 수강료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보완해야할 사항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시설·설비, 수강료 부담, 강의방법, 강사자질,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은 다른 교육기관에 비해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외로 많은 성인학습자들이 시설·설비의 보완과 수강료 부담을 해소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대학은 지역사회의 봉사자로서 평생학습체제의 구출과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운영에 있어 이러한 성인학습자의 요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To help develop and run programs that meet adult learners' demand on continuous learning in the local community, with the subjects of adult learners enrolled in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universities in Busan,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ir experiences about and satisfaction with programs offered and their suggestions and demand on programs. The study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 goal are as follows: (ⅰ) what kinds of experiences do adult learners have who are enrolled in programs offered by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universities in Busan?; (ⅱ) how much these adult learners are satisfied with the programs they are in?; (ⅲ) what they think need to be improved to make better programs? To answer these questions, efforts were made to study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on the programs of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nd construct the questionnaires circulated to 600 adult learners of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in Busan. With the exception of uncollected and unsatisfactorily answered questionnaires, 471 copies were examined in two methods: first,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explore the general property of the subjects and then cross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made to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to develop a variety of high-quality programs to meet adult learners' demand on continuous learning and run those programs effectively. This sounds reasonable in that most of the adult learners of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take classes to develop themselves and learn more. Second, there is a need to offer various classes at different time, given that adult learners surveyed pointed out the lack of time as the most serious problem they have. It is suggested that the time zone preferred by adult learners be investigated and reflected in scheduling classes and that weekend classes be offered for those who are not available during weekdays. Third, now that there are many people who wish to enroll but can't for financial reasons, it seems that mor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in need to encourage more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At the same time, universities themselves should put more focus on the service function of their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to the society than on their commercial aspects. Fourth, universities are advised to open more school facilities to the students of their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nd make more efforts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s in various ways. More validity is given to this suggestion by the fact that contrary to the general belief that most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 services based on their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 great number of the center students think that the university facilities they can use are not fully satisfactory in terms of number and quality.

      • 부산 소재 대학 성악교육의 교육과정 연구

        박혜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9663

        1997년 우리사회의 각 분야가 1993년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 타결로 개방의 일로에 들어서면서 교육도 예외일 수 없는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아래 우리의 음악 대학 교육도 음악적 경쟁력과 교육 질적 향상을 위해 교육과정의 진단을 해보아야 할 필요성이 발생해 우리 전문 음악교육기관인 대학에서 성악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바람직한 성악교육과정을 제시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요약되었다. 첫째, 좀 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교육과정을 편성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교과 과정을 제시해야 한다. 셋째, 전공실기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 넷째, 과목의 전문성을 지향해야 한다. 다섯째, 학생의 보다 많은 연주회 참여로 교육적 경험을 함양하게 해야 한다. 여섯째, 교육과정에서의 과목선택을 신중하고, 면밀하게 편성해야 한다. 이러한 결혼으로 우리의 성악교육은 유능한 음악가와 음악 교육가를 양성하는데 보다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과목을 교육 과정에 도입하여야 한다. According to the opened way of our every field of society by the Urug-uay round negotiation settlement in 1993, Our education also can be confronted to enter the way of openness. Under such circumstances, Our education of the college of music, also arised its necessity for the diagnosis of course of study and for qualitative elevation of music education and musical competitive power and in order improve and resolve educational institution's point at issues, and as an object to suggest derivable vocal music education, the study summarized its contents as follows : First : A little more shall organize systematic and by stages of course of study. Second : There must present various the course of study. Third :There must expand exclusive practical technique. Fourth : There must aspire. Specialty of the subject. Fifth : There must build up educational experience by the participation at recital more for the students. Sixth : There must organize the selection of subject as prudent and minutely. with this convulsion, our vocal music education must induce professional and practical subject to cultivate capable musicians and music educators.

      • 2015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와 제주도교육청 교육 자료의 제주 4·3사건 서술 분석과 수업 방안 모색

        양금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2018년에 중학교 『역사』①·②, 고등학교 『한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교과서가 발행되었다. 현행 교과서에서 주목할 점은 기존과 다르게 중학교 교과서는 전근대 중심으로, 고등학교 교과서는 근현대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제주 4·3사건이 고등학교 한국사의 학습 요소로서 선정되어, 기존과 비교했을 때 서술 분량이 증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와 현행 한국사 교과서의 제주 4·3사건 서술을 검토했다. 제주 지역에서는 교사들의 계기 교육 형태로 4.3교육이 지속해서 전개되었다. 2016년 진보성향 교육감이 선출되면서 제주 4·3 평화·인권 교육을 표방하고, 교육청 주도의 교육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제주도교육청은 제주 4·3 초등교재 『4·3 이야기』와 중등교재 『청소년 4·3 평화의 길을 가다』를 2017년에 발행하였고, 4·3주간을 운영하며 학교 단위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재인 『청소년 4·3 평화의 길을 가다』를 통해, 제주도교육청에서 제주 4·3 사건을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전달하였는지 분석했다. 처음 평화·인권 교육을 표방하였을 때에는 제주 4·3사건에 대한 역사적 사실 전달을 지향했으나 최근에는 세계시민교육으로서 4·3 평화·인권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보여주는 제주 지역 수업 사례들도 함께 분석했다. 한편 역사교육 내에서도 민주시민 사회의 발전에 맞춰서 인권·평화·민주주의 등의 보편적 가치를 역사 수업에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도덕적 가치를 역사의 기준으로 바라보자는 것이 아니며, 역사 속에서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려는 사람들의 노력과 행동을 통해 학습자가 역사적 사고와 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제주 4·3사건은 역사적 사실 속에서 인권과 평화를 추구하려는 사람들의 모습을 이해하는 방향으로 교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역사 교과서, 제주 지역 교육 자료 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제주 4·3사건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충분히 살리는 수업 방안을 모색하였다.

      • 유아교육기관 학부모들의 다문화 수용성 정도와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김숙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학부모들의 다문화 수용성 정도와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대해 파악하여 부모들의 다문화 교육 필요성을 고취 시키고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교육 시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어린이집 15곳을 임의로 선정하고 그곳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 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거된 211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SPS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학부모들의 다문화 수용성 인식을 확인한 결과, 보편적 차원에서 ‘이중적 평가’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고 ‘세계시민행동의지’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다양성 차원에서 ‘문화개방성’, ‘고정관념 및 차별’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으며, ‘국민정체성’을 묻는 문항을 통해서는 학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국민정체성은 뚜렷한 편이었다. 관계성 차원에서 ‘일방적 동화기대’ 정도를 묻는 문항은 일방적 동화기대 경향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거부 회피정서’ 정도를 묻는 문항을 통해 이주민에 대한 학부모들의 거부 회피정서 정도는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상호교류행동의지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으며, 이주민과 가까운 관계를 맺고자 하는 의지는 보통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부모들의 다문화 수용성 평균의 차이를 학력과 경제적 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학력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보편성, 다양성, 관계성 차원의 하위변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보편성 차원의 수준에서 대학원을 졸업한 학부모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학부모보다 다문화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제적 수준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 역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보편성, 다양성, 관계성 차원의 하위변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하위변인인 관계성 차원에서 하층의 학부모가 중층, 상층의 학부모보다 다문화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부모들의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을 확인 한 결과 어린이집의 학부모들은 다문화 교육이 편견 없는 긍정적인 태도와 긍정적인 정체감을 발달시키고, 국제화 시대에 유능한 인재 양성을 위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의 평균 차이를 학력과 경제적 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학부모의 학력과 경제적 수준에 따른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부모들의 다문화 수용성 정도와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 간에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면 다문화 보편성 차원과 다문화 관계성 차원이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다문화 보편성 차원이 다문화 관계성 차원보다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수업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 동아대학교 가상대학을 중심으로

        박경미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재의 동아대학교 가상대학은 온라인수업 위주의 인터페이스로 설계되어있다. 따라서 실험, 실습을 위주로 하는 교과목을 담당하는 교수자는 가상강의를 개설한다해도 오프라인수업을 따로 병행해야하고 이때 오프라인으로 행하는 수업에 대해서는 출결처리나 성적처리 같은 부분에서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학습자들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가상대학의 여러 가지 이점들 때문에 가상강의를 선택하고자 하는 의욕이 높지만 개설된 강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가상대학을 이용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교수자의 입장에서는 완전한 온라인수업만으로 진행되기 어려운 교과내용을 담당하거나 평가의 어려움 및 온라인수업과 오프라인수업의 이중 준비에 따른 부담 등의 원인으로 가상대학을 이용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따라서 어떤 교과내용이거나 가상강의를 개설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온라인강의 전용 인터페이스와 오프라인강의 및 온라인강의 병행 인터페이스를 처음부터 2개로 분리 설계하여 교수자의 교과내용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교수자가 자신의 교과내용에 맞도록 온라인수업만을 하는 강의를 개설할 것인지 오프라인강의와 온라인강의를 병행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하여 그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현재의 가상대학과 동아대학교 전체 행정망 데이터베이스가 분리되어 있어서 가상대학에서의 성적처리 작업이나 강의관련 작업을 중복 처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를 연동시키는 문제 또한 중요하다. 이러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동아대학교 가상대학이 구현된다면 교수자의 부담은 줄어들게 되고 어떤 교과내용의 강의이던지 강의를 개설할 수 있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교수자들은 자연적으로 가상강의를 개설할 것이며 학습자들의 수요에 따라 가상대학은 활성화 될 것이다. The existing Dong-A Cyber University is designed by interface centered of on-line instruction. Therefore, professor in primary charge of experimentations, practical exercises experiences a lot of inconveniences, that is, cyber instruction need to be paralleled with off-line sides and resulted in disposing attendance and attainment record in the off-lines, even if the cuber lecture is opened. Although learners, as referred in above, are highly motivated by cyber lectures with various advantages, they and actually restricted in making use of them because of limited opened lectures. In the meanwhile, professors also have boundaries connected in the cyber instruction and they are also hindered applying this; inadequate subjects only with on-line lectures, difficulty of grading & classifying and charges of dual preparations for on & off services. Whichever the curriculums or the lectures are opened, if every course is designed two ways of interfaces(independent interface only for on-line lectures & dual(parallel) interface for off-line and on-line lecture) from the beginning. and so if the professors can be available the way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the limitation will be settled. That is to say, the professors adjust to introduce both independent interface and dual ways and then offer appropriate interface to learners. In addition, the existing system has an inefficiency of duplication handling about curriculum or recording because of the separation of database for the cyber university's network from Dong-A University's Whole administration's. Consequently, it is as well important that the system is connected in the database. With this idea, if Dong-A Cyber University is actualized, professors will get out of the diverse instruction demands with these interface.

      • ICT 활용 음악교육에 관한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이미지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ICT 활용 음악교육에 관한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Trend of Master's Theses on ICT Applied Music Education 음악교육전공 이 미 지 지 도 교 수 김 명 규 본 연구는 최근 5년(2008년~2012년)동안 ICT 활용 음악교육을 주제로 하여 발표된 석사학위논문들을 중심으로 ICT 활용 음악교육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ICT 활용 교육의 개념에 대해 고찰한 후 매체유형별, 연구연도별, 내용체계별, 연구대상별 네 가지 분류기준을 설정하고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분류방법을 범주화시켰다. 국회전자도서관과 KERIS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이러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논문수와 백분율로 제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체유형별 분석에서는 통합 ICT 유형의 연구가 46편(37%)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응용소프트웨어 유형 27편(22%), 멀티미디어유형 23편(19%), 인터넷 유형 17편(14%), 코스웨어 유형 6편(5%). 스마트 콘텐츠 유형 4편(3%)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연도별 분석에서는 2009년에 30편(24%)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2008년 27편(22%), 2010년~2012년 22편(18%)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내용체계별 분석에서는 교수방법 및 적용 영역이 27편(22%)으로 가장 많았으며, 감상 영역 25편(20%), 창작 영역 19편(15%), 기타 영역 18편(15%), 국악 영역 11편(9%), 기악 영역 9편(7%), 가창 영역 7편(6%), 이해 영역 4편(3%), 다문화 영역 2편(2%). 평가 영역 1편(1%)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별 분석에서는 중학교가 45편(37%)으로 가장 많았고, 초등학교 30편(24%), 고등학교 25편(20%), 통합 21편(17%), 유아 2편(2%)으로 나타났으며 대학교(원)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위와 같은 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ICT 활용 음악교육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주로 두 가지 이상의 매체를 활용한 통합ICT 유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교수방법 및 적용 영역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중등학교 대상 논문을 포함하면 연구비율이 더욱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동향 분석이 ICT 활용 음악교육의 논제선정과 앞으로의 방향설정에 도움을 주어 한 영역에 편중되지 않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또한 연구자의 분류방법 검토가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ICT 발달에 부합하는 기준체계가 정립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음악교육, ICT, 매체, 동향

      • 컴퓨터 교양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윤은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미래사회가 정보화사회로 급변하면서 정보화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업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동적인 컴퓨터 교육을 위하여 각 대학의 컴퓨터 교양 교육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수업방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대학의 컴퓨터 교양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대학의 컴퓨터 교양 교육의 실태를 문헌과 웹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하고 분석함과 동시에 교내ㆍ외 컴퓨터 교육에 대한 수업형태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개선 방안은 컴퓨터 교양 교육의 교과 내용적 측면, 실습 환경적 측면, 교육 과정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현재보다 나은 내용으로 효율적인 컴퓨터 교양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점들을 제안하고 있다. As society changes rapidly to the age of information the future, class mode of new form for each university's computer-related courses is required for dynamic computer education that can improve productivity of business coping spontaneously in the age of information. This research is tendencious to propose improvement way by this analyzing present condition of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university's computer culture education hereupon. Investigate through documents, web and question investigation and analyze actual conditions of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university's computer-related courses to achieve such research purpose. And Presenting improvement method in reply on the basis of problem that deducible problem of class form about computer-aided education and is deduce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o present in this thesis that proposing to classify viewpoints into in the subject contents side, in the practice environment side, in the course of study side of computer-related courses to efficient computer-related courses should be enforced to better contents than pre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