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교육 전공자들을 위한 피아노 교수법 연구 : 중국 닝샤대학교 음악교육학 전공 1, 2학년을 대상으로

        단해연 계명대학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피아노는 탄생한 이래 이미 300여 년의 발전 역사를 가지고 있다. 피아노는 과거 귀족의 집에서만 접할 수 있었던 ‘악기의 왕’에서 현재 수많은 음악 애호가들의 필수 악기가 되었다. 피아노 교육은 사람들이 논하는 중요한 주제가 되었고, 고등교육기관에서도 중요시하는 교육 항목이 되었다. 피아노 교육은 음악교육 전공의 주요 교과 중 하나로, 음악 교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이라 할 수 있으며, 피아노 연주에 관한 지식과 피아노 연주 테크닉 뿐만이 아니라 학생의 음악적, 문화적 소질을 더욱 중요하게 키워주어야 한다. 이는 피아노 연주에 대한 지식 전수나 연주기술만 전수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 학문의 내용이 더 풍부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피아노 교육에서는 학생 개개인의 연주 실력을 훈련시키는 것을 주요 교육의 목표로 삼았고 교육적 특징은 무시해 왔다. 본문은 닝샤대학교 음악대학 음악교육과 1, 2학년 학부생의 피아노 의무 이수 과목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음악교육 전공의 실제 교수현황분석을 통하여 교육의 각 단계별 피아노 교수법을 탐구하여 피아노 교육이 가지는 문화적·사상적·이론 탐구적 의미를 구체화하고, 피아노 교육이 음악 교육과정에서 가지는 교육적 특징을 강조하였다. Piano has experienced more than three hundred years of development since its birth. It has changed from the "King of Musical Instruments" only seen in the royal family in the past to a necessary tool for tens of millions of music lovers now. Piano teaching has become a key topic for people to talk about, and gradually becomes a teaching subject that colleges and universities must pay attention to. As an important course of music education, piano teaching should cultivate the attributes of music teachers. In addition to the cultivation of general piano playing skills and piano playing ability, it pays more attention to the cultivation of students' comprehensive musical cultural quality. It is not only the teaching of piano performance knowledge and playing techniques, but also needs to cover more abundant related academic content. For a long time, the traditional piano teaching mode only takes the training of students' individual performance ability as the main teaching direction, but ignores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In recent years, the education of piano has gotten certain development in China. Seeking a “based on students, stimulating students’ interest and flexible teaching methods” become a kind of piano teachers’ responsibility. A famous Swiss music educationist and composer, Emile Jaques-Dalcroze, founded Dalcroze teaching method, which is a kind of posture teaching method to teach music. German composer and music educator, Carl Orff , is for this kind of teaching method that advocate the nature. Hungary's famous music educator and composer, ethnic music theorist Kodaly has started the teaching method of being rooted in the folk music-folk music teaching method, which is the basis for teaching. All the three music teaching methods are known at home and abroad. According to these three methods which advocate to mobilize students' learning interest and improve students learning efficiency, the author tries to analyze and compare these teaching methods to find a music teaching method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did a NingXia university music college music education bachelor's piano grade 1 and 2 as the research object, through professional education practical teaching present situation analysis, explore the piano teaching in music education of each link, make the piano teaching more explore the connotation of culture, thoughts and theory, emphasizes the piano teaching in music education professional educational characteristics.

      •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Traits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유용 계명대학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혁신 국가 건설을 추진하는 것은 여러 국가의 전략적 목표가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대학생의 기업가 정신 함양과 기업가 정신 교육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대학생들은 기업가정신의 실천을 통해 자신의 가치 실현뿐만 아니라 경기 침체로 인한 고용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혁신적 국가 건설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기업가 정신을 함양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중국 정부가 비교적 늦게 기업가 정신을 지원하였기 때문에 학자들은 5가지 성격 특성, 기업가 환경 인식 및 기업가 의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통일된 결론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기업가적 환경인식이 성격특성과 기업가정신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실증분석이 필요하다. Bandura의 상호결정론과 Ajzen의 계획 행동 이론을 결합하여 대학생의 성격특성, 기업가적 환경인식, 기업가적 의도 사이의 관계를 고찰한다. 성격특성과 기업가적 환경인식이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가적 환경인식이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기업가적 의도 사이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확인한다. 연구결과, 성격특성이 기업가적 환경에 대한 인식과 기업가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개방성, 외향성, 성실성 등 성격특성이 창업환경인식과 대학생의 창업의도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가 환경 인식은 기업가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업가적 환경인식은 성격특성과 기업가적 의도 사이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업 의향을 향상시키는 세 가지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성격특성을 키우고 기업가 환경을 개선하며 대학 기업가 정신을 위한 사회와 가족의 지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강화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an innovative country has become the strategic goal of various countries. The Chinese government pays great attention to cultivating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educating college students on entrepreneurship knowledge, cultivating their positive entrepreneurial thinking, and promoting their entrepreneurial vitality. Through entrepreneurial practice activities, college students can realize their value and help alleviate the employment problems brought about by the economic recession. Therefore, cultiva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college students is essential for promoting an innovative country construction. As the Chinese government started to advocate and support entrepreneurship relatively late, scholars have not reached a unified conclu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 personality trait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particular, empirical analysis is needed to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Combining the triadic reciprocal determinism of Bandura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f Ajzen,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and whether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plays an intermediary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impact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Furthermore, the three personality traits-openness, extroversion and conscientiousness-have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Additionally,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impacts entrepreneurial intention. Finally,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 personality trait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suggests three specific ways to enhanc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by cultivating the entrepreneurial personality traits, improving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strengthening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entrepreneurial support in society and family.

      • 중국 대학생의 기업가적 학습과 기업가적 성향의 관계에서 기업가적 자기 효능감과 성취 동기의 매개 및 조절 효과

        호서정 계명대학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China vigorously promotes mass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has gradually become the core driving force for social development. In this wave, college students have unique advantages and are the backbone of Chinese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in response to the policy. Therefore,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of college students is the best way to cultivate potential entrepreneurs. Influencing factor studies on entrepreneurial propensity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focus mainly on static factors such as person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and studies on dynamic influence factors are lacking.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learning on entrepreneurial propensity, a future-oriented variable of entrepreneurial behavior, an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based on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entrepreneurial lear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propensity. Also, it confirmed that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medi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ween entrepreneurial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propens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was a factor that moderat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learning on entrepreneurial propensit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learning opportunities for entrepreneurship in universities to promote the entrepreneurship propens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for entrepreneurial learning to promote entrepreneurial propensity, it is required for parents to let college students experience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by raising awareness of entrepreneurship at home. Finally, the government is recommended for policy establishment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promote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socially, it calls for cooperation in establishing an environmental foundation for nurturing entrepreneurs. 중국은 대규모 기업가 정신과 혁신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가 정신이 점차 사회 발전의 핵심 원동력이 되고 있다. 중국의 대학생들은 잠재적인 기업가로서 중국 혁신 및 기업가 정신의 핵심 대상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혁신과 기업가정신의 개발을 촉진하는 것은 미래의 창업가를 양성하는 지름길이다. 기존의 대학생 창업 성향 영향 요인에 관한 문헌 연구는 주로 개인의 배경과 대학생 특성 등 정적인 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동적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논문은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업가적 행동의 미래 지향적 변수인 기업가적 성향에 기업가적 학습이 미치는 영향과 자기 효능감과 성취동기의 매개 및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기업가적 학습이 기업가적 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가적 자기 효능감이 기업가적 학습과 기업가적 성향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였으며 성취동기는 기업가적 학습이 기업가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기업가 성향을 촉진하기 위해 대학에서 대학생들 대상의 기업가 정신에 대한 학습 기회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또한 기업가적 학습이 기업가적 propensity를 촉진하기 위해 대학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기업가 정신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해 대학생들이 자기 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여건의 조성도 요구된다. 정부는 기업가적 교육 촉진을 위한 정책 수립과 제도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사회적으로도 기업가 양성을 위한 환경 기반 구축에 협력해야 함을 요구한다.

      • 비음악전공 대학생들을 위한 중국 전통음악 교육체계 개선방안 연구

        소영위 계명대학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Through full analysis and research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Education’s current situation, curriculum system, teaching modes, and teaching cases in common universities and colleges,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onstruction of curriculum system and reform of teaching modes of traditional music.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phases: First, it aims to establish a rationally and clearly structured curriculum system which can satisfy the aesthetic needs of students of different specialties; Second, it aim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curriculum settings, contents, management and teaching process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put forward feasible plans and improvement strategies. The specific research content is as follows: Firstly, explore the problems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by questionnaire surveys about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non-music major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Secondly,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acquire a full and multi-dimension understanding about college students’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The result indicates that college students show little interest in traditional musical culture in music educational activitie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the teaching contents are mainly about western musical system. As educators of university music educati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usion of traditional music and art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constantly explore new ways to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continually improve the quality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Thirdly, after analyzing college students’ aesthetic value and attitudes toward traditional musical culture,the experience degree and expectation of the course, and the teaching practice of traditional music in schools, several main reasons are finally concluded: (1) the influences of Europe-centralism still exist; (2)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of cultural identity needs to be strengthened; (3) utilitarian is prominent i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4) the construction of teaching textbooks needs to be perfected; (5) traditional music education lacks of innovation impetus. Therefore, in terms of these problems, the specific improvement plans and strategies are as follows: (1) change people’s concept of traditional musical culture; (2) establish college students’ cultural confidence and strengthen their recognition of cultural identity; (3) turn back to ultimate source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4) perfect traditional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system and reinforce the construction of traditional musical culture on campus; (5) improve teachers’ appreciation ability of traditional culture and intensify cultural ecological consciousness in art education. Finally, combining the teaching case “ A Beginners’ Guide to Chinese Traditional Music”, this research analyzes the specific teaching problems. The teaching practice shows that hybrid course teaching can effectively improve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intensify interaction among teachers and students, encourage more college students to love study and be willing to learn Chinese traditional music, then achieve the goal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t is mainly reflected in the following points: (1) it helps promote students’ initiative of learn traditional music, improve their learning experience, thus creates a good atmosphere among teachers and students; (2) it helps enhance students’ comprehension and command of knowledge, knowledge transfer and knowledge consolidation; (3) it helps foster students’ autonomous learning ability, capacity of independent thinking and the ability of using learned knowledge to solve problems. Thus it can be seen that something about traditional musical culture are missing in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For most non-music majors, traditional musical culture only holds small share in optional courses, so they can not deeply understand the humanistic spirit of Chinese traditional musical culture. So,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uld incorporate teaching practice. (1) University and college’s traditional music teaching should be based on modern educational system, further improve their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system, and innovate traditional music courses. (2) Innovate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s and reinforce teaching practice. (3) Innovate traditional music teaching forms and methods and carry out online music education on internet teaching platforms. Use more visual and picturesque ways to present traditional music and interpret the humanistic spirit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4)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amalgamation of multifold subjects. First, modern teaching methods should be reinforced, teaching concept be renewed, teaching materials and contents be integrated, and interdisciplinary and cross-professional course groups about traditional music, art, literature, drama and psychology be established to continually broaden students’ horizon. Second, combine relative knowledge and research methods of psychology of music and dig deep into the positive influence of traditional music on college students’ emotional experience. (5) Fuse together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aesthetic, and remodel Chinese traditional music’s modern aesthetic means of expression to deepen comprehension of the cultural connotation and traits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대학의 중국 전통음악 교육현황, 과정체계, 수업모델, 그리고 수업사례 등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하여 전통음악 교육과정체계의 구축과 수업모델의 개혁을 시도해 보고자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단계로 나누어 진행 되었다. 그 하나는 교육기능, 교육목적, 심미적 요구, 과정체계, 수업실시 등 방면에서 일반대학 전통음악 교육의 효율을 제고하고, 음악전공 학생들의 다양한 심미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교육과정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현 대학교육에서 전통음악관련 과정개설, 과정내용, 관리, 그리고 강의와 수업과정에 존재하고 있는 문제들을 찾아내어 실현 가능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대학의 비음악전공 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일반대학 전통음악 교육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수업개혁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둘째, 개방형 인터뷰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중국 전통음악에 대한 인식과 수용 실태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조사 결과, 대학 음악수업에서 대학생들은 전통음악문화에 별로 흥미를 느끼지 않고 있었으며, 음악교육의 내용은 여전히 서양음악 위주였다. 대학에서 전통음악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 사람으로서 전통음악과 대학 예술교육의 융합을 통하여 전통음악 교육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일반대학 전통음악 교육의 질적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보고자 하였다. 셋째, 대학생들의 심미적 가치관과 전통음악 문화에 대한 태도, 수업에서의 체험감, 기대치, 그리고 전통음악 강의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현 일반대학에서의 전통음악 교육에서 다음 몇 가지 문제점들을 발견하였다. (1) 음악교육에서 유럽 중심론의 영향이 여전히 남아있다. (2) 현 대학생들의 문화적인 정체성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3) 전통음악 교육분야에서 공리적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4) 효과적인 전통음악 교육을 위한 교재의 편찬이 부족하다. (5) 전통음악 교육 혁신의 원동력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로서는 (1) 전통음악문화에 대한 관념의 전환이 필요하다. (2) 대학생들의 문화적인 자신감과 문화적인 정체성을 증대시켜야 한다. (3) 전통음악 교육 원래의 정신과 취지로 되돌아가야 한다. (4) 전통음악 교육체계를 완비하고 대학 캠퍼스에서 활발한 전통문화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5) 교수들의 전통문화 소양을 제고하고 예술교육에서 문화생태적인 관념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는 필자가 개설한 국악사랑 강좌를 전통음악 강좌의 사례로서 분석하였다. 동 강좌는 온·오프라인 혼합형 강좌가 학생들의 강의실 수업참여도를 효과적으로 높여 주고, 교수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더 많은 대학생들이 전통음악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주도적으로 중국 전통음악을 공부하게 되었다. 이로써 전통음악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동 강좌를 통하여 (1) 학생들의 전통음악 학습에 대한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유발하고 음악수업에서의 체험감을 증대시켜 훌륭한 수업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었다. (2) 학생들의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와 지식전달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3) 학생들의 주도적 학습능력과 독립적인 사고능력, 그리고 지식을 활용한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할 수 있었다. 현재의 대학 음악교육에서는 전통음악 문화에 대한 교육과정이 결여 되어 있거나 미흡하여 대부분의 비음악전공 학생들이 중국 전통음악문화의 인문정신을 이해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태를 바탕으로 (1) 대학 전통음악 교육은 현대교육체계의 기초위에 대학 전통음악 교육과정 체계를 완비하고 전통음악 교육과정을 혁신해야 한다. (2) 전통음악 수업모델을 혁신하여 수업효율을 제고시켜야 한다. (3) 전통음악 강의형식과 방법을 혁신하여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강좌개설을 모색해야 한다. 즉 온라인 강좌를 통하여 더욱 직관적이고 형상화된 방식으로 전통음악을 보여주면서 중국 전통음악의 인문정신을 해석해 주어야 한다. (4) 학제간 융합을 통하여 현대적인 교수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한편으로는 교육이념을 쇄신하고, 전통음악과 미술, 문학, 연극, 심리학 등의 학문분야의 교육자원을 통합하여 학생들의 시야를 넓혀주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음악과 심리학을 연계시킨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전통음악이 대학생들의 정서적 체험감 향상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밝혀 줄 수 있을 것이다. (5) 전통문화와 현대적인 심미관의 융합을 통하여 중국 전통음악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현함으로써 중국 전통음악문화의 함의와 문화적인 특징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중국 대학 영어교사들의 동기와 소진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담연 계명대학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가르치는 일은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여 수업을 계획하는 과정으로 이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많은 직무 중의 하나이고 따라서 직무 소진이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교사의 직무 소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활발한 편이고 특히 교사의 동기 요인이 직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어교사의 직무 소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며 특히 중국 영어교사들의 동기와 직무 소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교사의 직무 소진은 이들이 처한 문화적 환경과 사회적 규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호의존적 문화, 수직적인 문화를 특징으로 하는 중국 상황에서 영어교사들의 교수 동기 요인과 직무 소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한다. 첫째, 중국 대학 영어 교사의 동기와 직무 소진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둘째, 어떤 요소들이 중국 대학 영어 교사의 직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합하는 혼합식 연구 방법을 취했다. 중국 10개 대학의 261명의 영어 교사가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했고, 이 중 68명의 교사가 내러티브 프레임을 활용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연구 참여자 중 3명의 교사가 개별 인터뷰에 참여했다. 연구 결과, 중국 대학 영어교사의 교수 동기는 직무 소진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낮은 수준의 숙달 목표와 관계 목표, 그리고 높은 수준의 직무 회피는 교사의 소진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동기 요인, 높은 업무 요구와 직무 자원 부족 등의 요인이 직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 요인에 있어 목표와 관계 목표를 파악하는 것은 소진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고, 학생들의 부적절한 행동, 업무량, 역할의 모호성, 체력적 한계로 인한 높은 업무 요구는 중국 대학 영어 교사의 직무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 자율성 결핍, 소속감 결여 및 수직적 상하 관계도 교사의 직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높은 권력 격차와 관료적 행정 제도를 바탕으로 하는 수직적 상하 관계는 중국 특유의 문화적 특징으로 중국 교사들의 직무 소진에 영향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 영어 교사의 동기와 직무 소진에 영향을 요인 중 문화적 요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중국의 상호의존적 문화, 수직적 상하 관계가 중국 교사의 동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어 직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을 파악하였다. 영어교사의 직무 소진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영어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제공함으로써 뚜렷한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기관은 보다 평등하고 안정감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교사가 공평하고 우호적인 상하 관계를 누리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긍정적인 교사-학생 관계는 교사의 직무 소진을 완화시키는 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교사 개인적인 차원에서 중국 영어 교사는 학생과의 관계를 향상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영어교사의 교수 동기와 직무 소진 간의 관계를 중국 대학 환경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연구 참여자가 많지 않아 중국 대학 영어교사 전체에 대한 일반적을 결론을 도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 중국의 다양한 학교 급, 다수의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고, 교사의 직무 소진 과정, 극복 과정을 관찰하기 위한 장기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eaching is often regarded as a profession that poses a high probability of burnout occurrenc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eachers’ motivational factor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job burnout. However,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motivation and burnout in the Chinese context is very limited. Besid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terdependent culture and high power distance deeply rooted in Chinese society, Chinese teachers’ motivational and burnout profiles may demonstrate unique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order to add evidence and knowledge to the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university EFL instructors’ teaching motivation and job burnout by applying the achievement goal theor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motivation and job burnout among university EFL teachers in China? 2) What factors have an impact on Chinese university EFL teachers’ burnout?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A total of 261 EFL teachers from ten Chinese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online questionnaire survey, and among them, 68 teachers responded to the narrative frames. In addition, thre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dividual interviews. The results showed that EFL teachers’ motivation and their burnout at work were correlated. It was shown that low levels of mastery and relational goals and a high level of work avoidance goals could be factors in predicting teachers’ burnout. Additionally, factors that affect teachers’ burnout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motivational factors, high job demands, and insufficient job resources. Students’ misbehavior, heavy workload, role ambiguity, lack of teaching autonomy, leader-follower guanxi, etc. were identified as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Chinese EFL teachers’ burnout. Among these factors, guanxi with leaders is a unique factor that demonstrates the specific Chinese cultural features like high power distance, and hierarchy in organizations. Theoretically, the results reflect some distinct cultural features of EFL teachers’ motivation and burnout in the Chinese context. Particularly, relational goals were proven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participants’ burnout, which connotes the great influence of the interdependence culture on Chinese teachers’ motivation. On the institutional level, schools should provide more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for EFL teachers to enhance their mastery goals. In addition, it can be suggested that a more equal, relaxed, and safe climate in the institutions should be created to promote favorable supervisor-subordinate interaction. On the individual level, it is advisable for teachers to strengthen their relationship with students because a healthy and close bond with students is pivotal to alleviating their burnout experience. Despite the contribution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cannot be generalized to the whole Chinese college English teachers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participants. Thus a larger number of participants from diverse levels of schools in different parts of China need to be included in future research. In addition, a longitudinal study needs to be conducted to observe how teachers experience job burnout and overcome it.

      • 중국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메이커스페이스 참여와 창업정책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위걸 계명대학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In response to the call for "widest participation in entrepreneurial and innovative activities," Chinese governments have been implementing multiple policies to encourage and support people to start their businesses and improve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s a result, starting a business has become a trend in China'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llege students are a crucial group of potential to participate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erefore, the Chinese government,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maker spaces for college students to carry out entrepreneurial activities to enhance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courage more of them to start their entrepreneurial activities own businesses. Recently, scholars have been explor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grow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ith the increase in entrepreneurial policies and entrepreneurial activities for college students, it is of great necessity to conduct an in-depth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maker space activity, entrepreneurial poli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aking the makers in maker space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s the research object, this study constructs a research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gagement in maker space, perception of entrepreneurial poli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 questionnaire was organized and distributed to the makers in four colleges and universities: Henan University of Urban Construction, Pingdingshan University, Pingdingshan Polytechnic College, and Pingdingshan Vocational and Technical College Pingdingshan City, Henan Province, China. Three hundred eight vali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with SPSS 25.0.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entrepreneurship positively impacts makers' entrepreneurial intention, engagement in maker space, and perception of entrepreneurial policy. Makers' engagement in maker space and perception of entrepreneurial policy positively influence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Makers' engagement in maker space and perception of entrepreneurial polic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esents suggestions for improving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boost the construction of maker space and enhance college students' engagement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Second, to enhanc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entrepreneurial policy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nd strengthen the publicity of entrepreneurial policy so that college students can have a better perception of the entrepreneurial policy. 중국 각급 정부는 '대중창업, 만인혁신'이라는 슬로건에 부응하기 위해 민중의 자주 창업을 장려하고 지원하며 창업 환경을 개선하는 정책을 펼쳤다. 이 때문에 창업은 중국 경제와 사회 발전의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대학생은 창업 활동 참여에 중요한 잠재계층이며, 중국 정부와 대학은 대학생들이 창업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해 대학생들의 창업 의사를 높이고, 더 많은 대학생들이 창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학자들은 대학생들의 창업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연구하면서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의 관계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창업정책과 대학생 창업 활동이 많아짐에 따라 기업가정신, 기술기반의 창업자를 의미하는 촹커(创客) 활동, 창업 정책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깊이 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에 기초하여 대학교 중창공간(众创空间, 중국형 창업지원센터)의 촹커를 연구 대상으로 기업가 정신, 중창공간 참여도, 창업정책 인식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연구하는 모델을 구축하여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중국 허난성 핑딩산(平顶山)시의 허난성건대학, 핑딩산대학, 핑딩산공업직업기술대학, 핑딩산직업기술대학 등 4개 대학의 중창공간 촹커에 대한 조사 및 연구를 통해 최종 308건의 유효 설문조사를 완료했고, SPSS 25.0 통계소프트웨어로 조사연구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와 중창공간 참여, 창업정책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고, 중창공간 참여와 창업정책 인식은 창업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중창공간 참여와 창업정책 인식은 기업가 정신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중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창업 의향 제고에 대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한다. 첫째, 대학생 창업 교육을 강화하고, 중창공간 건설 강화, 대학생 창업 활동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특성을 반영하여 창업 정책의 체계를 정비하고, 정책 홍보를 강화해 대학생들이 창업 정책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 중국 농촌지역 교사연수프로그램을 위한 CIPP 모델 기반 평가도구 개발

        우청 계명대학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15

        본 연구의 목적은 CIPP 평가 모델을 기반으로 농촌 재직 교사 연수프로그램의 평가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농촌 재직 교사 교육 양성의 질을 높여 농촌 교육 진흥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두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 연구와 네 차례의 전문가 검토를 거쳐 CIPP 평가 모델에 기반한 농촌 재직 교사 연수프로그램의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연수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농촌 지역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반구조화 인터뷰를 거쳐 평가 도구의 타당성과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IPP 평가 모델에 기반한 농촌 재직 교사 연수프로그램의 평가도구는 평가내용 10개, 평가요소 25개, 평가지표 항목 58개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배경(C)에는 평가내용 2개, 평가 요소 5개, 평가지표 12개 항목이 포함된다. 투입(I)에는 평가내용 3개, 평가 요소 8개, 평가지표 18개 항목이, 과정(P)에는 평가내용 2개, 평가 요소 5개, 평가지표 12개 항목이 포함된다. 결과(P)에는 평가내용 3개, 평가 요소 7개, 평가지표 16개 항목이 포함된다. 둘째, 교육에 참여하는 농촌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및 반구 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CIPP 모델에 기반한 농촌 재직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평가도구를 검증한 결과 타당성과 적용성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유효성 분석, 신뢰성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평가도구의 타당성과 적용성을 확인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CIPP 모델에 기반한 농촌 재직교사 연수프로그램의 평가도구는 농촌 교사 연수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한 기준을 제공할 뿐 아니라 평가를 통해 농촌 교사 연수의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instrument based on the CIPP model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rural areas in China.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phases. In the first phase, the evaluation instrument based on the CIPP model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was developed. In the second phase, the feasibility of the evaluation instrument was verifi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instrument based on the CIPP model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includes 10 evaluation contents, 25 evaluation elements, and 58 evaluation indexes, of which the dimension of Context (C) covering 2 evaluation contents, 5 evaluation elements, and 12 evaluation indexes, the dimension of Input (I) covering 3 evaluation contents, 8 evaluation elements, and 18 evaluation indexes, the dimension of Process (P) covering 2 evaluation contents, 5 evaluation elements, and 12 evaluation indexes, and the dimension of Product (P) covering 3 evaluation contents, 7 evaluation elements, and 16 evaluation indexes. Second, the test to verify the feasi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showed it is suitable as an evaluation instrument for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 in rural areas in China. Specifically, analysis of validity,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proved the feasibility of the evaluation instrument. Results indicated that the evaluation instrument based on the CIPP model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is well qualified for the evaluation criteria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rural areas.

      • 코로나(COVID-19) 등 호흡기전염병 병원 내 감염 예방을 위한 표준개발

        황창의 계명대학교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15

        예로부터 전염병은 인류의 건강을 위협해 왔다.2000년대 이래 5차례 유행한 전염병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전염병은 발생되는 간격이 점점 짧아지고 발생 지속시간은 점점 길어지고 있었다. 기후 및 환경의 변화와 갈수록 활발해지는 인류의 사회활동 등으로 인해 전염병이 다시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렇게 발생한 5번의 전염병 중 4번은 호흡기전염병이었으며, 1번은 소화기 전염병이었다. 호흡기 감염병은 소화기 감염병과 비교하여 확진자 및 사망자가 훨씬 많았으며 공기, 비말 등을 통해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위험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전염병이 발생한 후, 병원 내 감염에 대한 병원 공간 분야의 예방이 완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병원 내 감염이 발생하고 병원의 의료기능이 일시적으로 상실될 수 있었다. 호흡기전염병 병원 내 감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COVID-19 등 호흡기전염병의 병원 내 감염 예방을 위한 공간 분석 및 적용 연구를 진행하였고, 병원 내 감염 예방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병원 내 감염을 예방하고 줄일 수 있도록 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대상 병원에 대한 공간 분석을 진행하여, 주로 사례병원의 동선과 주요 진료 부문의 공간 파라미터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돌발성 공중 보건사건 단계별 기준'에 따라 병원 내 감염 예방기준의 등급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병원 내 감염 예방조건에 따라 병원 내부 조닝을 계획하고 지역별 예방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례 병원에 대한 분석 결과와 결합해 병원 내 감염 예방 기준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 병원를 적용해 병원 내 감염 예방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병원 분석을 통해 병원의 병원 진입 동선, 실외 공공구간의 환자 동선, 일반 차량동선, 구급 동선 등을 포함한 실외동선을 분석하였다. 실내 동선은 진료건물 진입 동선, 실내 공공구역 동선, 주요 진료 부문 동선을 포함하고 있다. 공간구문론을 통해 주요 진료단원에 대한 공간 파라미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병원 진입 동선의 경우, 동선유형은 보행 동선, 차량 동선, 사람 및 차량의 병용 동선으로 나눌 수 있고, 수량은 2~6개가 있었다. 실외환자 동선은 집중형 동선과 분산형 동선이 있었다. 일반 차량 동선은 지하동선, 지상동선, 지상 및 지하 병행 동선을 포함하였다. 구급 동선은 지하동선, 지상동선, 지상 및 지하 병행 동선을 포함하였다. 진료건물 진입 동선은 지상동선과 지상 및 지하 병행 동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수량은 1~10개가 있었다. 실내 공공구역의 동선은 중복도형, 편복도형, 방사형을 포함하고 있었다. 주요 진료 부문인 응급, 외래, 진료 부문의 동선은 동일했으며, 주요 중복도형, 편복도형, 중편복도결합형, 회랑형이 있었다. 병실에는 중복도형, 이중복도형, 부복도형 세 가지가 있었다. 주요 진료 부문의 공간 분석 데이터 중 최고 연결도, 최고 통제도, 평균 깊이, 평균 통합도, 명료도를 선택하여 종합 데이터맵으로 작성하였다. 둘째, '돌발성 공중 보건사건 단계별 기준'에 따라 병원 내 감염 예방 기준의 4개 단계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병원 내 감염 예방조건에 따라 병원에 대해 조닝하고 지역별 예방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병원 내 감염 예방의 기초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피드백을 통해 4개 단계를 3개 단계로 조정하고 병원 내 감염 예방 기준을 최종적으로 1급(감염위험이 심각하기 전), 2급(감염위험이 심각), 3급(감염위험이 특히 심각)을 확정하였다. 발병 기간 동안 병원 내 감염 위험 정도에 따라 각 등급을 적용하고, 고급 기준에는 하위 기준의 모든 내용이 포함된다. 셋째, 중국 5개 지역의 5개 병원에 대한 적용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사계병원에 대해 동선분석과 주요 진료 부문 공간 파라미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병원 내 감염 예방기준에 따라 평가표를 작성하여, 이로 사례분석 결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와 병원의 현황, 병원 내 감염 예방 기준 등급에 따라 대책을 제시하였다. 병원 감염위험이 심각단계에 이르기 전, 병원 진입 동선은 보행자 전용 동선과 차량 전용 동선을 각각 하나씩 설치한다. 진료구역은 지하 진입 동선을 폐쇄하고 진입구를 1개만 사용한다. 병원 내 감염 위험이 심각에 이를 경우, 공간 개조를 통해 하나의 진료구역으로 통합하고 지상입구 1개를 설치하여 지하주차장을 폐쇄한다. 진료구역 공공구역의 경우, 공간 개조를 통해 환자가 복도 한쪽에서 진료부문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감염 위험이 심각단계를 넘어설 경우, 주요진료부문인 응급, 외래, 진료, 병동은 공간개조를 통해 환자가 복도 한쪽에서 진료실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공간분석 파라미터가 예방 이상적인 수치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을 통해 호흡기전염병 병원 내 감염 예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추후 내용을 발전시켜 다양한 전염변에 관한 병원공간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이 병원 내 감염을 예방하고 감염 발생 시, 추가적인 피해를 축소하는 데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the enemy of mankind, the history has brought great harm to mankind, getting into the 21st Century 20 years, the outbreak of epidemic five infectious diseases, outbreaks of shorter and shorter intervals, the longer the duration of the original. Changes in the climate and environment, more and more frequent human social activitie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epidemic factors, all make the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inevitable again. In the outbreak of five infectious diseases,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have 4 times, gastrointestinal infectious diseases 1 tim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confirmed cases and deaths are much higher than gastrointestinal infectious diseases, and can be transmitted through air, saliva and other ways, the highest degree of risk.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because the hospital space to prevent hospital infection is not ideal, so that the hospital appears hospital infection, loss of medical func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hospital infection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this paper will carry out spatial analysis and applicable research on the Prevention of hospital infection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virus (COVID-19), and put forward standards for the Prevention of hospital infection, in order to avoid and reduce hospital infection during the epidemic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In order to complete the research purpose, first of all, the spatial analysis of the hospital case, the dynamic line of the case Hospital and the spatial parameters of the key diagnosis and Treatment Unit are analyzed. Secondly, according to the "public health emergency classification standards" put forward the level of hospital infection prevention standards, and then according to the hospital infection prevention conditions, hospital partitions, put forward regional prevention programs. Combined with the results of the hospital case analysis, the standards for the Prevention of hospital infection are put forward. Finally, the application of hospital examples is carried out, and the preventive measures of hospital infection are put forward. Specific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case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hospital's outdoor moving line into the hospital moving line, outdoor public areas have patients moving line, Social vehicles moving line, emergency vehicles moving line. Indoor moving line there are diagnosis and treatment building into the moving line, indoor public area moving line, key diagnosis and treatment unit moving line. Spatial parameter analysis of key diagnosis and treatment units is carried out through spatial syntax. In entering the hospital moving line, moving line type pedestrian moving line, moving line of motor vehicles, people and vehicles hybrid moving line, there are 2-6 on the number. Outdoor patient dynamic line has a centralized dynamic line and dispersed dynamic line. Social car vehicle moving line is in the underground moving line, Ground Moving line, Ground and underground combination of moving line. Emergency vehicle moving line in the ground underground, ground underground combined with the moving line. Diagnosis and treatment building into the moving line has a combination of ground moving line and ground underground moving line, the number of 1-10.Indoor public area moving line has a corridor type, partial corridor type, emission type. Key diagnosis and treatment unit in the emergency, outpatient, inspection of the moving line, there are corridor type, partial corridor type, partial corridor combination type, corridor type.Ward diagnosis and treatment unit in the corridor type, double corridor type, annex corridor type three. In the spatial analysis of the data key diagnosis and treatment unit, select the highest connection value, the highest control value, the average depth, the average degree of integration, comprehensibility, and plotted into a comprehensive data map. Second,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public health emergency classification standards" put forward four levels of hospital infection prevention standards. Then according to the hospital infection prevention conditions, hospital zoning, put forward regional prevention programs. Combined with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the preliminary standards for the Prevention of hospital infection are put forward. After the feedback adjustment, the standard 4 levels adjusted to 3 levels, the final determination of hospital infection prevention standards. Level 1 (before the risk of hospital infection is serious), Level 2 (before the risk of infection is serious), Level 3 (the risk of infection is particularly serious), according to the level of risk of hospital infection during the outbreak to enable the standard level, the Advanced standard contains all the contents of all the low-level standards. Third, the study of 5 hospitals in five regions of China was carried out as an example of application. Firstly, dynamic line analysis and spatial parameter analysis of key diagnosis and Treatment Unit are carried out in the example Hospital. According to the hospital infection prevention standards we could produce an evaluation table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e example analysi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actual specific situation of the hospital, preventive measures are put forward according to the hospital infection prevention standard level.Before the risk of nosocomial infection is serious, one pedestrian line and one motor vehicle line are set in the hospital. The underground access line to the treatment area is closed, which can reserve an entrance to the treatment area.When the risk of nosocomial infection is serious, the space is transformed. This can integrate the treatment area into a treatment area. A ground entrance is provided which can close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n the common area of the diagnosis and treatment area, a spatial transformation was carried out to allow patients to ente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unit by the side of the corridor. When the risk of infection is particularly serious, the emergency department, outpatient department, examination room and ward of key diagnosis and treatment units can be transformed through the space, so that patients can ente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room from one side of the corridor. At the same time, the spatial analysis parameters reach the ideal value of prevention. In this paper, we will conduct in-depth research on the Prevention of hospital infection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and in the future, we will conduct in-depth research on more hospitals to avoid and reduce hospital infection. It is hoped that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voidance and reduction of hospital infections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 중국 친환경 전기자동차 수출경쟁력 강화 방안

        한정 계명대학교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15

        전 세계적인 기후 악화에 따라 각국이 기후변화에 대비하는 조치를 취하면서 ‘에너지 절약’이 지구촌의 공통된 현안이 되고 있다. 또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반은 자동차에서 나오고 각국 정부는 친환경 전기차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이는 기후변화, 환경오염, 에너지 부족 등의 압박을 해소하는 길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세계 주요 친환경 전기차 산업 국가에 대해서 정책 및 시장 분석을 통해서 중국의 친환경 전기차 수출경쟁력 강화하는데 개선방안 및 친환경 전기차 산업에 진출하는데 필수적인 요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는 향후 중국 친환경 전기차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적합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