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한지역 출토 고구려토기의 편년 : 장동호와 옹을 중심으로

        김한성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223

        고구려는 기원전 1세기 渾江 유역의 환인지방에서 건국하여 집안과 평양으로 도읍을 옮기며 발전하였으며, 기원후 668년 멸망할 때까지 700여년을 존속하였다. 건국 이후 고구려는 주변지역으로 정복해가면서 성장하였는데, 4세기 후반에는 요동지역을, 5세기 후반 경에는 한강유역을 차지하였고, 경상북도와 충청남도 일원까지 진출하였다. 특히 5세기 후반은 고구려의 남한진출이 본격화된 시기이다. 현재 남한지역에서 확인되는 대부분의 고구려유적은 이 시기에 해당되며, 고구려의 남진과 관련된 성곽유적이 대부분이다. 지금까지 진행된 남한의 고구려연구는 이 유적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1990년 이후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진행되면서, 많은 수의 고구려관련 유적도 함께 조사되었다. 이와 함께 고구려토기연구가 고구려보루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대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게 된다. 1990년 이후 시작된 고구려토기연구는 고구려토기의 기종분류, 제작기법에 대한 연구와 함께 고구려의 대표적 토기인 사이장경옹에 대한 편년연구로 아차산보루군과 몽촌토성, 임진강유역의 고구려 성곽에 대한 편년적 위치를 밝혀내는 성과를 이루어냈다. 그러나 고구려토기에 대한 정밀한 형식분류는 일부기종에만 국한되어 시도되었고 대다수의 토기기종에 대한 형식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2000년대까지 조사된 구의동보루, 아차산4보루, 아차산3보루, 홍련봉1,2보루, 용마산2보루, 시루봉보루, 남성골산성에서 출토된 토기 중 대표적인 실용기인 장동호, 장동옹, 광구옹에 대한 형식분류와 편년을 시도하였다. 장동호는 경부의 형태, 동최대경의 위치, 견부의 형태를 통해 총 6개의 형식으로 구분하였다. 경부가 없고 동최대경이 동하위에 위치하며 견부가 없는 무견식에서 경부가 발달하여 동최대경은 동상위로 이동하고, 견부가 발달된 유견식의 장동호로 발전한다. 장동옹은 3개의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동최대경이 동상위에 위치하고 파수가 달린 1유형은 동최대경이 확장되고 견부가 발달하는 방향으로 4개의 형식으로 변화한다. 2유형은 장동호와 유사한 형태에 파수가 달린 것으로 장동호의 변화와 동일한 방향으로 2개의 형식으로 구분된다. 3유형은 2유형과 유사한 형태이나 파수가 없는 것으로 2유형과 마찬가지로 2개의 형식으로 나뉜다. 광구옹은 동최대경이 중위에 위치하며, 전체적으로 둥근 형태인 1형식에서 동최대경이 상위에 있는 2형식으로 변화한다. 장동호, 장동옹, 광구옹의 공반관계와 형식적 병행관계를 통해 총 4단계의 분기를 설정할 수 있다. 1기는 장동호 1 ‧ 2형식, 장동옹 1-1형식, 광구옹 1 ‧ 2형식이 출현하는 단계로 5세기 중엽에서 475년경으로 편년된다. 1기의 해당되는 유적은 아차산4보루, 구의동보루가 있으며 이 보루는 한성백제 공격의 전초기지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2기는 장동호 3형식, 장동옹 1-2형식과 함께 장동옹 2-1형식과 3-1형식이 새롭게 등장한다. 이 시기는 시루봉보루가 추가로 축조되는데, 5세기 후엽으로 편년된다. 3기는 장동호 4형식, 장동옹 1-3형식, 2-2형식, 3-2형식이 출현하며, 광구옹 1 ‧ 2형식도 이 단계까지 공반된다. 시기는 6세기 전반으로 아차산보루군의 모든 보루가 축조된 시기이다. 4기는 장동호 5 ‧ 6형식, 장동옹은 1-4형식만이 확인되며 광구옹도 2형식만이 나타난다. 시기는 6세기 중엽 경으로 고구려가 한강유역에서 철수한 551년을 하한으로 한다. Goguryeo was established in Huanren 1st century and developed while moving the capital to Pyongyang and was destroyed 668 years until AD 700 years were to survive. Since foundation, Goguryeo had developed by conquering surrounding area, In latter half of the 4th century, took Liaoning area, then Han river arear in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and extend to Gyeongsangbuk-do and part ofChungcheongnam-do. Especially, Goguryeo‘s advance to southern area kicked into high gear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Most of Koguryo relics founded in South Korea are relevant to this period, also about southward advance and Ruins of castle. Since 1990, a full-scale excavation progresses, with the remains of a large number of investigations were related to Goguryeo. In addition, studies of Goguryeo pottery was conducted on the remains excavated from Goguryeo fort. Studies of Goguryeo pottery started since 1990 achieved in chronicle location of Fotress on Acha Mountain, Mongchontoseong and Goguryeo castle near Imjin River by chronicle study of Trump leaves Jar most representative pottery in accompany with research on classification of pottery type and manufacturing technique. But sophisticated classification of the Koguryo pottery in an attempt to only confine certain type and no study of formality has conducted on most of types. thus this article has made an attempt to classify and chronicle 'Guui Fort, Achasan Fort No.4, Achasan Fort No.3, Hongreonbong Fort, Yongma Fort No.2, Sirubong Fort ,' Namsunggol castle, representative practical items excavated by the 2000s. Long pot is Classified in total 6 types by studying shape of collum, position of the maximum diameter and form of shoulder. located lower body without collum and developed from non shoulder one; the maximum diameter moves to upper body and developed to shoulder type which has shoulder. Long jar is classified to 3types Type1; maximum diameter is located upper part and it has simillar form with jar of pottery developed to 4 types extending maximum diameter and shoulder. Type 2 simillar form factor with Long pot has Knob and divided into 2 types which same as Long pot‘s development. Type3 has no Knob, but has simillar form with Type2 and divieded into 2types. Maximum diameter is located on center, generally it changed from 1st form rounded shape to 2nd form that maximum diameter is postion on upper part. By elaborating accompanying relationship and formal concurrent relation of Long pot, Long jar, Jar, 4 stages can be set. In stage 1, Types 1, 2 in Long pot, type 1-1 in Long jar, type 1-2 in Jar appears and chronicled from middle of the 5th century to BC475. Ancient ruins that belongs to stage 1 is Achasan Fort No.4, Guui Fort, and it seems like an advance base for Baekje attack. In stage 2, Long jar type 2-1 and type 3-1 newly appeared with Long pot type 3, Long jar type 1-2. Sirubong Fort was additionally built in this period chronicled the latter of the 5th century. In stage 3, Long pot type4 and Long jar type, 1-2, 2-2, 3-2 appeared and type1-2 is associated as well. Every forts of Fotress on Acha Mountain were built in this period the early 6th century. In stage 4, type5-6 in Long pot, type1-4 in Long jar, and type2 appears in Jar respectively. It is the middle of the 6c , bc551 that Koguryo withdrew from Han river.

      • 在韩朝鲜族的社会网络与跨文化适应研究 : In Korea's Korean social network and cross-cultural adaptation research

        박영매 延边大学 硏究生院 2013 국내석사

        RANK : 231967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ic globalization trend, increasingly frequent cross-border population movements between countries, starting from the 1980s, in the spring breeze of reform and opening up China's Korean ongoing population movements, they migrate to the coastal cities, but also choose to belong to the same root in the history of South Korea as a country of immigration. Especially China and Sout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the number of Korean Korea increased dramatically, as of December 31, 2012, in Korea Korean has reached as many as 45 million people, the many foreigners in Korea, the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of one of the groups. Korean cross-cultural adaptation in Korean society increasingly South Korea and China, some researchers' attention. Domestic academia study various aspects of cross-cultural groups, and that social networks have a big impact on cross-cultural groups cultural adaptation, but the study of Korean works rarely, mainly minority in the cross-cultural adaptation of the Han areas, such as the Korean youth cross-cultural adaptation in the Wangjing area of Beijing, the Korean college students in a strange cross-cultural adaptation. Domestic scholars rarely as research subjects in Korean Korean study, based outside the Chinese or foreigners in China as the research object for study in a specific Korean Korean particular individual is nearly blank. Therefore, this study can not only understand in Korean Korean cross-cultural adaptation of the status quo, and the future of China's ethnic minorities interregional cultural adaptation research also has some reference value. But also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cross-cultural adaptability of Korean help. In this study, as the research object in Korean Korean the individual ZXX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y method, as well as specific research-based,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oss-cultural individuals and macro groups, individual micro- and to explore the process of how Korean Korean individual in the new cultural scene in the selection and adjust their own behavior, to examine its cross-cultural adaptation in the Korean Korean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social networking. This article consists of the following parts.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ory part, to clarify the research background and significanc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describes the object of study and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to find a breakthrough on this basis, the study of this subject. The second chapter in Korean Korean cross-cultural adaptation part, to sort out the problem of cross-cultural groups, cultural adaptation, the paper first introduces the meaning of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the impact of cross-cultural adaptation factors, and on this basis , from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of two aspects of cross-cultural adaptation research in Korean Korean. This chapter in Korean Korean social networks and cross-cultural adaptation component. Fei Xiaotong the basis of the theory of differential pattern ZXX social networks in South Korea divided kinship network, and obligations network and a private network of relationships, and the effects of this social network relationship development in Korea Korean cross-cultural adaptation of health The fourth chapter is to analyze in Korean Korean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wo different levels of the social network of cross-cultural adaptation in Korean Korean. The last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e fifth chapter is the conclusion, this section summarizes the key point of the entire article and pointed out that this project there are problems to be solved. 随着经济全球化的发展趋势,各国之间的跨国人口移动日益频繁。20世纪80年代开始,在改革开放的春风下,我国朝鲜族的人口也在不断地进行移动,他们向沿海城市迁移的同时,也选择了以历史上属于同宗同源的韩国作为移入国。尤其是中韩建交以后,赴韩朝鲜族的人数急剧增加,截止到2012年12月31日,在韩朝鲜族的人数已达45万人之多,成为了在韩国的众多外国人当中,所占人数最多的群体之一。因此,朝鲜族在韩国社会的跨文化适应问题日益受到韩国和中国的一些研究者们的关注。 国内的学术界虽然对跨文化群体进行了各方面的研究,并认为社会网络对跨文化群体的文化适应有很大的影响,但是研究朝鲜族的相关论著却很少,主要是以少数民族在汉族地区的跨文化适应为主,如朝鲜族青年在北京望京地区的跨文化适应,朝鲜族大学生在异地的跨文化适应等等。国内的学者很少以在韩朝鲜族作为研究对象进行研究,更多的是以在外华人或者在华外国人作为研究对象,针对在韩朝鲜族某一具体特定个体进行研究的几乎处于空白状态。因此,通过本研究不仅能了解在韩朝鲜族的跨文化适应现状,而且对今后我国少数民族的跨地区文化适应的研究也具有一定的参考意义。同时也为朝鲜族的日后发展和提高跨文化适应能力方面提供帮助。 本研究以在韩朝鲜族个体ZXX为研究对象,采用文献研究法和个案研究法,以及以往的具体研究成果为基础,对跨文化的个体与宏观群体、微观个体之间的的关系进行叙述,并且探讨在韩朝鲜族个体如何在新的文化场景中不断选择和调整自身行为的过程,从而考察了在韩朝鲜族的跨文化适应状况,以及社会网络对其跨文化适应的影响等等。 本文由以下几个部分构成。 本文第一章是导言部分,主要阐明了本课题的研究背景和意义,并进行文献回顾,介绍本研究的研究对象和研究方法,在此基础上找出突破口,进行本课题的研究。 本文第二章是在韩朝鲜族的跨文化适应部分,为理清跨文化群体的文化适应问题,本论文先介绍跨文化适应的含义,以及影响跨文化适应的影响因素等,并在此基础上,从心理适应和社会文化适应两个方面展开研究在韩朝鲜族的跨文化适应状况。 本文第三章是在韩朝鲜族的社会网络与跨文化适应部分。在费孝通“差序格局”理论的基础上,将ZXX在韩国的社会网络划分为亲属关系网、义务关系网和私人关系网,并考察了在这种社会网络关系下所发展的在韩朝鲜族跨文化适应的 状况。 本文第四章主要是分析在韩朝鲜族社会网络的特点的基础上,从积极和消极两个不同层面探讨了社会网络对在韩朝鲜族跨文化适应的影响。 本文第五章根据调查和分析结果,总结了整片文章的核心观点,证实了前面所提到的假设性问题,并对此提出相关对策建议。

      • 성 프란시스에 대한 한 연구

        손채연 崇實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31967

        본 연구의 주제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이다. 첫째, 성 프란시스의 삶을 이루는 핵심적인 요소들을 살펴보고, 둘째, 성 프란시스의 삶의 핵심적인 요소들이 그의 추종자들에 의해서 성 프란시스 수도회와 탁발 수도회 운동으로 제도화되었던 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실지로 성 프란시스는 자신에 대한 기록을 거의 남기지 않았다. 당대인이 기록해 놓았던 성 프란시스의 삶에 관한 전기적 사료는 두 종류이다. 성 프란시스 수도회의 청빈파와 수도회파의 기록이 그것인데, 이 두 파의 기록들이 제공하는 성 프란시스의 역사적 이미지는 상당히 달랐다. 필자가 성 프란시스의 삶을 당대의 역사적인 맥락에서 재구성하려고 했던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결과적으로 성 프란시스의 실체적인 삶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성 프란시스 수도회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성 프란시스의 삶을 통하여 우리는 성 프란시스가 엄청난 열정을 지닌 한 가지 목적을 갖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의 유일한 목적은 본인의 생각으로는, 그리스도에 대한 모방(The imitation of Christ) 이었다. 그리스도에 대한 모방은 시기를 불문하고 보통의 그리스도교도들이 하기 어려운 일종의 도전이었으며, 이는 오늘날에도 도전이다. 그러나 성 프란시스는 이 과업에 도전할만한 열정을 갖고 있었다. 이 유일무이한 열정이 성 프란시스를 예외적으로 높은 신앙의 성숙도를 갖춘 역사적인 인물로 만들었다. 그의 신앙 사상은 순수한 복음주의, 낙관적 실천적 이상주의, 절대 청빈, 이웃에 대한 자기희생적인 사랑 등을 포괄한다. 성 프란시스는 자의적으로 성직자가 되지 않았다. 그는 사명감으로 빈자들을 포함하여 도시민들에게 전통적인 교회 조직들에 의해 채워지지 않았던 종교적 열정을 채워주었다. 성 프란시스는 또한 중세 가톨릭 조직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상당한 수의 복음적인 추종자들이 있었으므로, 성 프란시스는 이러한 추종자들을 성 프란시스 수도회로 결성하도록 승인 받았다. 당시 수도원의 일종이었던 성 프란시스 수도회는 역사적인 맥락에서 '프란시스 운동' (탁발 수도회 운동)을 일으켰다. 성 프란시스 수도회는 실지로 많은 그리스도적인 가치를 구현하였는데, 예를 들면, 복음적 청빈, 자선의 한 행위로서의 사랑, 공동체에 대한 무조건적인 봉사, 탁발 수도사들 간의 평등하고 단일한 신분 공동체의 확립 등이 그것이다. 성 프란시스의 삶과 그의 수도회가 구현한 그리스도적 가치는 비단 그리스도교도에게뿐 아니라 인간의 가치를 존중하고 자연의 질서를 찬미하고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보호하고자 하는 지구상의 모든 신실한 인간들에게 오늘날에도 영감을 주고 있다. 필자가 역사적인 맥락에서 성 프란시스의 삶을 재구성하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본고는 많은 점이 부족하다 : 첫째, 성 프란시스와 13세기의 사회와의 역동적인 관계에 대한 설명이 없었다. 둘째, 성 프란시스와 그의 추종자들 간의 생생한 그림을 보여주지 못했다. 셋째, 이탈리아 도시 하에서 성 프란시스 수도회의 그 다음에 지속되는 발달 과정이 포함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성 프란시스와 그의 시대를 평가하는 근거라고 여겨지는 성 프란시스의 삶과 신앙 사상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가 충분하지 못하였다. 본고는 이처럼 많은 한계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이 중세 사상을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 성 프란시스의 중요성을 각인시킬 수 있다면 필자는 그것으로 족하다. The theme of this study is basically two points. One is to investigate and examine the essential elements of St Francis of Assisi(1181-1226). And the other is to reconstruct how essential elements of St. Francis were institutionalized as the Franciscan Order and the Friar Movements by his followers. Actually St. Francis left rare documents on his personal life. As far as the personal life of St. Francis is concerned, the contemporary records were only two. The one was written by 'the Spirituals' and the other was written by 'the Conventuals'. The documents of the conflicting Franciscan were suggesting pretty different historical images of St. Francis. That was the reason why I tried to reconstruct the life and works of St. Francis in the contemporary historical context. Hopefully, this process would result in the appreciation of his real life and the evaluation of the impact of the Franciscans even. Through the life of St. Francis,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he had a single purpose in his life with a tremendous passion. This single purpose, I guess, was the imitation of Christ. The imitation of Christ was/is a sort of a impossible challenge to the ordinary christians in any period. However, St. Francis had enough courage to challenge this task. This unique passion was able to make St. Francis an unprecedented historical figure with an exceptional maturity on the christianity. His christianity included the purity of the evangelism, the optimistic idealism, the absolute poverty, the practical faith, and the self-sacrificing affection to the neighbours. St. Francis was not belong to the clergy class personally. Through this vocation, he was able to compensate the urban citizens including the urban poor who were not taken care of well by the traditional church organization. St. Francis gave a great impact on the medieval catholic organization also. Because of the huge evangelical followers, he was allowed to organize these followers the Franciscan order. The Franciscan order which was a kind of a monastery at that time, caused the Friar(the Mendicants) Movements in historical context. The Franciscan Order achieved many of christian values practically, for example, the evangelical poverty, the love as an act of charity, and the unconditional service to the community, and the achievement of the equal and one class community among the mendicants. The life of St. Francis and the practise of the Franciscan Order are still giving the inspirations not only to the christians, but also to the all sincere human beings over the world who want to respect the human values and admire the beauty and hope to protect the nature in its original shape. Even though I tried to reconstruct the life of St. Francis in historical context, this study, this study has lots of limits: First, it did not explain the dynamic connection between St. Francis and the society of 13th century. Second, it was not able to show the vivid pictur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t. Francis and his followers. Third, it did not include the following development of the Franciscan order under italian cities. Last but not least, it was not able to grasp fully the life and works of St. Francis in a structural way, which seems to be the foundation of evaluating him and his period, Although it has many limits, still, I would be happy if this study is able to convince the importance of St. Francis in the study of the medieval thoughts.

      • 한반도 동탁의 기원과 전개

        정준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1967

        Dongtak(銅鐸), a type of bronze bells, flowed into the Korean Peninsula with metal weapons, chariots, and various goods for religious service in the northeastern region. The study of Dongtak on the Korean Peninsula began as part of the study of the Bronze Age culture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n, Dongtak has been excavated from various ruins and some research on Dongtak on the Korean Peninsula has progressed, but little analysis has been conducted on the Dongtak itself. In this paper, prior to the analysis of Dongtak, terms related to Dongtak such as horse bell and Bronze Horse Drops were summarized, and then the concept of Dongtak was organized. Thus, the Dongtak on the Korean Peninsula is divided into a large-sized plain Dongtak(be desecended from Liaoning) and relatively a small Jungwon-style Dongtak(be descended from central districts of china). In this paper, the excavation context, attribute analysis, and subspecies classification of 52 Jungwon-style Dongtaks were conducted, limited to Jungwon-style Dongtak. After observing the change in the nominal purpose and instrumental attributes of Jungwon-gye Dongtak, Jungwon-style Dongtak is classified into bell type, trapezoid type, and satgat typ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instrumental properties. After observing the changes in the instrumental and nominal attributes of Jungwon-style Dongtak at each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Jungwon-style Dongtak by period were summari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Jungwon-style Dongtak is mainly excavated from tombs, and it is found in some residential areas. In addition, by reviewing the changes in the form and soil patterns of Jungwon-style Dongtak, the period of Jungwon-style Dongtak is divided into periods I to Ⅳ. Jungwon-style Dongtak I period is from the 1st century B.C. to the 1st century A.D., and Jungwon-style Dongtak is excavated in Yeongnam and Pyongyang. Jungwon-style Dongtak II period is the 3rd century AD, and after a gap of about 100 years, Jungwon-style Dongtak reappears in the Hoseo area. The Jungwon-style Dongtak III period is from the 4th to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A.D. In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A.D., Jungwon-style Dongtak appears in the Central, Hoseo, and Yeongnam regions In early 5th centuries. Jungwon-style Dongtak Ⅳ Period is from the late 5th century A.D. to the 6th century A.D., during which Jungwon-gye Dongtak is found in ancient tombs in Yeongnam region. The origin of Dongtak, which flowed into the Korean Peninsula, is presumed to be Dongtak which was used as a bronze ritual object in Jungwon and Dongjong which was used one of the harness of carriage in nomadic regions of the Eurasian meadow. Dongjong and Dongtak, which were used as harness of carriage and bronze ritual object in each region, are transformed as they flow into northeastern China. In the process, some changes in function are also identifi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Peninsula Dongtak was estimated as follows by comparing the Korean Peninsula Dongtak for each period and the Dongtak in the surrounding. Starting with the introduction of a large-sized plain Dongtak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round the 3rd century B.C., a large-sized plain Dongtak is used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Jungwon-style Dongtak has appeared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1st century B.C and is mainly found in Pyongyang and Yeongnam regions. About 10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1st century A.D., and in the period of the Jungwon-style Dongtak Ⅱ. Jungwon-style Dongtak reappears in the Hoseo area. The large-sized plain Dongtak are not identified after the 3rd century A.D.. It is unclear whether Dongtak, which reappeared in the Hoseo area, flowed from the north or Yeongnam. Later, in the 4th century A.D., Jungwon-style Dongtak was found like a harness, or a mini-sized dongtak was found inside the Dongtak or engraved with a lett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gredients of some Jungwon-style Dongtak, it can be seen that the raw materials were found to be from China, and some exchanges took place between each region. Since the period of the Jungwon-style Dongtak Ⅳ, Jungwon-style Dongtak found in tombs in Yeongnam region and Dongtak found in China and Japan are similar, indicating that China,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interacted with each other. 동탁은 중국동북지역의 금속제 무기, 차마구, 각 종 의기 등과 같이 한반도에 유입되었다. 한반도 동탁에 대한 연구는 한반도 청동기문화에 대한 연구의 일부로 시작되었다. 이후 여러 유적에서 동탁이 출토되고 한반도 동탁에 대한 연구도 일부 진전되었으나, 동탁 자체에 대한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동탁에 대한 분석에 앞서 마탁, 청동말방울 등 동탁과 관련된 용어를 정리한 후 동탁에 대한 개념정리를 하였다. 그리하여 한반도의 동탁은 요령계 대형 무문 동탁과 상대적으로 소형의 중원계 동탁으로 구분하였다. 본고에서는 중원계 동탁에 한정시켜 52점의 중원계 동탁의 출토맥락, 속성분석을 진행하였다. 중원계 동탁은 명목적 속성인 문양의 변화가 확인되며 계측적 속성의 조합에 따라 종형, 제형, 삿갓형으로 아기종이 구분된다. 중원계 동탁의 명목적·계측적 속성의 변화를 관찰 한 후 각 시기를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중원계 동탁은 주로 분묘에서, 일부는 주거지에서 확인된다. 그리고 중원계 동탁의 형식변화·출토양상 등을 검토하여, 중원계 동탁은 Ⅰ기부터 Ⅳ기로 시기가 구분된다. 중원계 동탁 Ⅰ기는 기원 전 1세기부터 기원 후 1세기로, 영남지역과 평양지역에 중원계 동탁이 출토된다. 중원계 동탁 Ⅱ기는 기원 후 3세기로, 약 100여 년의 공백을 거쳐 호서지역에 중원계 동탁이 다시 등장한다. 중원계 동탁 Ⅲ기는 기원 후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전반이다. 기원 후 4세기 전반에는 중부지역과 호서지역에 중원계 동탁이 등장하며 5세기 전반에는 중원계 동탁이 중부·호서·영남지역에 모두 출현한다. 중원계 동탁 Ⅳ기는 기원 후 5세기 후반부터 기원 후 6세기까지이며, 이 시기에는 영남지역 고분군에서 중원계 동탁이 발견된다. 한반도로 유입된 동탁의 기원은 유라시아 초원지대의 유목민족의 차마구 중 하나인 동령과 중원지역의 청동예기로 사용된 동탁으로 추정된다. 각 지역에서 차마구와 예기로 사용된 동종과 동탁은 중국 동북지역으로 유입되면서 형태가 변형된다. 그 과정에서 기능의 변화 또한 일부 확인된다. 각 시기별 한반도 동탁과 주변지역의 동탁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한반도 동탁의 전개과정을 추정하였다. 대형의 무문 동탁이 기원 전 3세기 경에 한반도 남서부에 유입된 것을 시작으로 한반도 북부와 남부에서 대형의 무문 동탁이 사용된다. 중원계 동탁은 기원 전 1세기 이후 한반도에 등장하며 평양일대와 영남지역에서 주로 확인된다. 기원 후 1세기 이후 약 100여년이 지나고 중원계 동탁 Ⅱ기에 호서지역에 중원계 동탁이 재출현한다. 대형의 무문 동탁은 기원 후 3세기 이후에 확인되지 않는다. 호서지역에 재등장한 중원계 동탁은 북방에서 유입되었거나, 영남지역에서 유입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이후 기원 후 4세기에는 중원계 동탁은 마구류와 같이 발견되거나, 동탁 안에 소동탁이 있거나 명문이 새겨진 것이 등장한다. 일부 중원계 동탁의 성분분석을 통해 원재료는 중국에서 온 것으로 밝혀져 각 지역 간 일정부분 교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중원계 동탁 Ⅳ기 영남지역 고분군에서 발견되는 중원계 동탁과 중국과 일본에서 발견되는 동탁이 서로 유사한 것으로 보아, 중국과 한반도, 일본이 서로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다.

      • 1930年代 北滿地域 韓族農務聯合會의 組織과 活動에 관한 硏究

        강수종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1967

        Starting in the 1920s, the number of Koreans living in North Manchuria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1910s. The advantage of paddy farming was attributed to geographical factors in the nearby area. But their lives were in a very precarious position due to the poor economic conditions of Koreans and the oppress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Therefore, it seems that active and appropriate countermeasures were needed to protect them. After death of Kimjwajin who 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at the North Manchuria, the Hanjokchongyeonhaphoe(韓族總聯合會) suffered internal and external confusion. In January 1931, Byeoldongdae, an aremed unit of the Hanjokchongyeonhaphoe(韓族總聯合會) issued a statement saying it would leave the association and tried to form a new organization. The Byeoldongdae and provical Agricultural associations had formed a new organization which was named “Hanjok-Nongmu-Yeonhaphoe(韓族農務聯合會)”. The new organization was formed to exclude senior officals and anarchists. The new organization expanded the rights of its members and eliminated the obligations of the obligatory charge and conscription.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reduce the antipathy that residents at North Manchuria had. In addition, there are differnces in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visible rules between Hanjokchongyeonhaphoe(韓族總聯合會) and Hanjok-Nongmu-Yeonhaphoe(韓族農務聯合會). Although the Hanjok-Nongmu-Yeonhaphoe(韓族農務聯合會) was formed as an oaccasion to antagonize the former executives of the Hanjokchongyeonhaphoe(韓族總聯合會), it failed to reach a full agreement on the direction and initiative of its activities within the organization. Eventually, Hanjok-Nongmu-Yeonhaphoe(韓族農務聯合會). was divided into the ‘Former Gui-il Party(舊 歸一黨)’ and the ‘Agrarian party (農民黨)’. In conflict between the two groups, the ‘Former Gui-il Party(舊 歸一黨)’ took the lead and reorganized its organization and organized 'Han terror organization (韓 terror 團)'. 'Han terror organization (韓 terror 團)' carried out its own activities after gaining the initiative of the group. It formed a self-defense force to prepare for the Japanese attack and carried out activities to raise military funds. However, officials were arrested during their campaign to raise funds and the killings linked to their activities led to the suppression of Chinese authorities. In the end, they were no longer able to continue its anti-Japanese movement due to the members' embroidery and arrest. After losing control within the Hanjok-Nongmu-Yeonhaphoe(韓族農務聯合會), the ‘Agrarian party (農民黨)’ allied itself with anarchist groups, but continued its anti-Japanese struggle by joining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in line with the changing situation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They fought alongside the Chinese forces near Haerim to achieve results. However, the joint operation with the Chinese military became difficult, and the arrest and murder of key officials resulted in the failure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Hanjok-Nongmu-Yeonhaphoe(韓族農務聯合會) clearly shows the situation of various nationalists in Manchuria before and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Therefore,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Hanjok-Nongmu-Yeonhaphoe(韓族農務聯合會), this study provides clues to the situation and relationship of the nationalist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in the North Manchuria and contributes to the research on the armed struggle against Japan in the North Manchuria. 이 글은 1930년대 초 북만주 지역에서 활동했던 한족농무연합회의 조직 배경과 과정 그리고 변화를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1920년대를 시작으로 북만주 지역의 한인은 1910년대에 비해 그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중동철도 인근 지역의 지리적 요인으로 수전 농업에 유리했던 점이 그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한인의 열악한 경제 상황과 중국 관헌의 탄압으로 인해 그들의 생활은 매우 불안정한 위치에 놓여있었다. 따라서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이고 적절한 대응책과 단체가 필요했다. 신민부 분열 이후 북만주 지역의 독립운동을 이끌던 김좌진이 사망한 뒤, 한족총연합회는 내외부적으로 혼란을 겪었다. 결국 1931년 1월 한족총연합회의 무장부대였던 별동대는 연합회를 탈퇴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새로운 단체를 조직하고자 하였다. 한족총연합회의 별동대와 지방농무회 대표들은 1931년 2월부터 기존의 간부와 무정부주의 계열을 배제한 새로운 단체 즉 ‘한족농무연합회’를 결성하였다. 이들은 무정부주의 계열이 포함된 구 간부들을 제외한 새로운 간부들로 단체를 구성하였다. 동시에 강령 속 조직의 구성원리 등에서 한족총연합회와 차이를 보였다. 한족농무연합회는 한족총연합회의 구 간부들에 대한 반감이 계기가 되어 결성되기는 하였지만, 단체 내에서 활동의 방향성과 주도권에 대해 완전한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결국 한족농무연합회는 내부의 갈등으로 인해 ‘구 귀일당’과 ‘농민당’으로 분열되었다. 양 세력의 갈등 상황에서 주도권을 쥔 ‘구 귀일당’은 조직을 개편하고 ‘한 테러단’을 조직하였다. ‘한 테러단’은 농무연합회의 주도권을 쟁취한 이후 독자적인 활동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군자금 모집 활동 중 간부들이 체포되고 한 테러단의 활동으로 인해 중국관헌들의 탄압을 받게 되었다. 일본과 중국 관헌의 탄압을 받은 한 테러단은 이후 구성원의 자수, 체포 등으로 더이상 항일운동을 계속하지 못하게 되었다. 농민당 계열은 농무연합회 내에서 주도권을 잃은 이후 무정부주의 계열과 연합하기도 하였다. 그들은 해림 인근에서 중국군과 연합하여 일본군과 전투를 수행하여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후 중국군과의 연합작전이 힘들어지고 주요 간부의 피체, 피살이 발생하여 결국 활동을 이어 나가지 못하게 되었다. 한족농무연합회는 지금까지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한족농무연합회를 통해 만주사변을 전후로 만주의 여러 민족주의 세력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족농무연합회의 성립과 활동 등을 통해 북만주 지역의 민족주의 계열 독립운동 단체의 상황과 관계를 짐작할 단서를 제공하고 북만주 지역의 항일 무장투쟁에 관한 연구사에 기여하고자 한다.

      • 경기지역 신라 구들의 기원과 변천 : 마한계 구들을 중심으로

        박순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19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neage and distribution range of Silla Guduel in Gyeonggi region from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to the early 10th century, and based on thi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 process and meaning of the base soil installation. The lineage of the Silla guduel is largely divided into Goguryeo stone installation and Mahan based soil installation. Stone installation are developed on the riverside or alluvial land centered in the northeastern area of Gyeonggi region, and Yeongseo and Yeongdong regions. Base soil installation are mainly located at hills, centered in the western and southern area of Gyeonggi region. In this paper, the base soil installation are classified into ㄱ-shaped (I) and T-shaped (II) according to their planar shapes, and the types are classified based on the protrusion of the traditional fireplace (A·B) and the number of flow paths (1,2). The change of guduel can be largely formulated into four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The IA1 type begins to appear, and the IIA1 type appears toward the second half. The second stage is from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8th century. In this stage, IIB1 type, which is a T-shaped guduel, begins to be built, and two flow paths with IA2 and IB2 types, appear in the ㄱ shape. The third stage is the period from the beginning of the 8th century to the end of the 8th century. In the T-shaped guduel, the IIA1 type single flow path gradually disappears, and the adoption of the double flow paths begins in earnest. From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double flow paths and protruding traditional fireplace were common in both ㄱ-shaped and T-shaped, in which IB2 and IIB2 types became the majority. The fourth stage is the period from the beginning of the 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0th century. Even in the ㄱ-shaped guduel, single flow path disappears and only the protruding traditional fireplace and double flow paths, IB2 and IIB2, are found. Base soil installation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western and southern area of Gyeonggi region with Paju-Goyang-Bucheon as the boundary to the west and Gunpo-Yongin-Icheon as the boundary to the south, respectively, and are not found at all in the northeast area. It is considered that in the northeastern area of Gyeonggi region, the ancient people did not feel the need to accommodate the base soil installation, which were difficult to locate in their surroundings and have a poor durability compared to the stone installation. On the other hand, the stone installation are found in the southwestern area of Gyeonggi region, such as Gimpo, Siheung, Hwaseong, and Pyeongtaek, as well as in the trans-border remains. It is assumed that the stone installation have been able to take the place of base soil installation in a point that they have not been restricted in site conditions and been more robust than the base soil installation. However, despite the advantages of stone installation, they could not completely replace the base soil installation. Stone installation found in the base soil installation cultural area have several types of characteristics. A majority of relics tend to be locate at the vicinity of the distribution zone of stone installation, and only stone installation were selected in the remains with an environment in which it was difficult to build the base soil installa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pointed out as an another feature that in the ruin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environment of the base soil installation, the base soil installation appear at the same time even where the stone installation are accommodated. This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that even though the stone installation were built in the cultural area of the base soil installation, they could be only partially accommodated due to the conservatism of the residential culture, or could be selected only in the place with a poor location environment. T-shaped guduel is a new type that appeared mainl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its genealogy can be traced in the Goguryeo guduel. Goguryeo guduel has a feature that has its traditional fireplace at the end of the flow path, but shows a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traditional fireplace gradually moving to the center toward the later period. As the traditional fireplac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flow path protrudes outward, a new type of T-shaped guduel appears. It seems that the protrusion-type fireplace allowed more efficient heating by securing a combustion space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low paths was also effective in providing a warmer resident environment by expanding the area of the heating facility. 본 글의 목적은 6세기 중엽∼10세기 초반에 해당하는 경기지역 신라 구들의 계통과 분포범위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기반토구들의 변천과정과 의미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신라 구들의 계통은 크게 고구려계 석재구들과 마한계 기반토구들로 구분된다. 석재구들은 경기 북동부와 영서 및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강변이나 충적대지에 조성된다. 기반토구들은 경기 서부 및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주로 구릉 상에 입지한다. 본 고에서는 기반토구들을 평면형태에 따라 ㄱ자형(Ⅰ)과 T자형(Ⅱ)으로 구분하였으며, 아궁이의 돌출여부(AㆍB)와 고래 수(1ㆍ2)를 기준으로 형식을 분류하였다. 구들의 변화는 크게 4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1단계는 6세기 중엽에서 7세기 전반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IA1형식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후반으로 가면서 IIA1형식이 출현한다. 2단계는 7세기 중엽부터 8세기 초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T자형 구들인 IIB1형식이 조영되기 시작하며, ㄱ자형에서 IA2와 IB2형식의 두 줄 고래가 나타난다. 3단계는 8세기 초에서 8세기 말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T자형 구들에서 IIA1형식인 외줄이 점차 소멸하고 두 줄 고래의 채용이 본격화된다. 8세기 중엽부터 ㄱ자형과 T자형 모두 두 줄 고래와 돌출형 아궁이가 일반화되어 IB2 및 IIB2형식이 다수를 차지한다. 4단계는 9세기 초에서 10세기 초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ㄱ자형 구들에서도 외줄고래가 사라지고 돌출형 아궁이와 두 줄 고래인 IB2와 IIB2만 확인된다. 기반토구들은 서쪽으로는 파주-고양-부천을 경계로, 남쪽으로는 군포-용인-이천을 경계로 경기 서부 및 남부에 주로 분포하고 북동부에서는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경기 북동부에서는 석재구들에 비해 입지 환경이 까다롭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기반토구들을 수용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던 것 같다. 반면 석재구들은 경계에 걸쳐있는 유적을 비롯하여 김포ㆍ시흥ㆍ화성ㆍ평택 등 경기 서남부에서도 확인된다. 석재구들은 기반토구들에 비해 입지 조건에 제약이 적고 견고하다는 점에서 기반토구들을 대신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석재구들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기반토구들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하였다. 기반토구들 문화권에서 확인된 석재구들은 몇 가지 특징을 가진다. 다수의 유적이 석재구들 분포권과 가까운 곳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이고, 기반토구들이 조영되기 어려운 환경의 유적에서는 석재구들만 채용되었다. 또한 기반토구들의 입지환경에 해당하는 유적에서는 석재구들이 수용된 곳이더라도 기반토구들이 한께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석재구들이 기반토구들의 문화권에서도 축조되지만 주거문화의 보수성 때문에 부분적으로만 수용되거나 입지환경이 좋지 않은 곳에서만 채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자형 구들은 통일신라시대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새롭게 나타난 유형으로 고구려 구들에서 그 계보를 찾을 수 있다. 고구려 구들은 고래 말단에 아궁이가 마련되는 것이 특징인데, 후기로 가면서 아궁이 위치가 점차 중앙부로 이동하는 변화상이 나타난다. 고래 중앙부에 배치된 아궁이가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새로운 유형의 T자형 구들이 출현하게 된다. 돌출형 아궁이는 연소 공간을 확보하여 좀 더 효율적인 난방을 가능하게 했던 것으로 보이며, 고래 수의 증가 역시 난방시설의 면적을 넓혀 보다 따뜻한 거주환경을 마련하는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 日帝强占期 植民史學會 硏究

        조범성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1967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role of Colonial History Socie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se societie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popularization, research, and education of Colonial History. My focus was on the somewhat overlooked 'Societies' in previous studies on Colonial History, as I aimed to highlight their progressive aspects and unique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I selected the 'Joseonsahakhoe', 'Joseonsahakdonggohoe', 'Cheongguhakhoe', and 'Gyeongseongjedaesahakhoe' as the subjects of my research. These four societies published regular journals, offering a comprehensive insight into their essence. Moreover, their activities spanned different periods and durations, which helped elucidate the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lonial History societies. In each chapter of my study, I explored different facets of the 'Joseonsahakhoe', 'Joseonsahakdonggohoe', 'Cheongguhakhoe', and 'Gyeongseongjedaesahakhoe'. First, I traced the formation purposes and processes of these societies. Second, I examined the composition of their personnel and their operational systems. In further detail, I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actual activities they engaged in, along with the format of their publications, and the trends of the articles included within. I also investigated the external reactions to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se societies, provid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ir overall impact. These societies played a pivotal role in fostering cohesion among Japanese scholars researching 'Korean history'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y served as platforms for sharing and accumulating research outcomes. Additionally, they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disseminating Colonial History within Korean society through their publications. Beyond this, they were actively involved in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s of researchers and history teachers in educational settings. In the 1920s, organizations like the 'Joseonsahakhoe' tended to be either established under the auspices of the Governor-General's Office of Korea or organized as small-scale research groups within the 'Joseonsapyeonsuhoe', such as the 'Joseonsahakdonggohoe'. However, these societies often faced challenges in maintaining their operations. As initial plans were accomplished and reasons to uphold the societies weakened, or as members found themselves increasingly occupied with their primary professions, it became difficult to sustain meetings and journal publications. This often led to abrupt suspensions of activities, a problem fundamentally rooted in the lack of research personnel and capacity that plagued Colonial History during the 1920s. In contrast, the 1930s saw an improvement in the stability of these societies.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sapyeonsuhoe' and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provided a solid foundation of personne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Colonial History research. As a result of this stable groundwork, societies like the 'Cheongguhakhoe' and 'Gyeongseongjedaesahakhoe', established in the 1930s, were able to maintain long-term operations,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Colonial History. Following its annexation of Korea, imperial Japan capitalized on its colonial rule to establish various institutions, organizations, and systems devoted to Colonial History research, thereby dominating the foundation of Korean history research. Colonial History Societies like the 'Joseonsahakhoe', 'Joseonsahakdonggohoe', 'Cheongguhakhoe', and 'Gyeongseongjedaesahakhoe' were formed and became active, building upon the infrastructure and systems for Korean history research that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had set up in Korea. These societies played a key role in firmly establishing Colonial History within colonial Korean society, both institutionally and academically. The research outcomes of Colonial History, vigorously produced during the 1930s, were reproduced and expand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papers, books, and textbooks, and were also utilized to support the ideology of colonial governance. This deeply ingrained 'Colonial Historiography' impacted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Koreans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creating a long-term challenge that was subject to criticism and self-reflection within both academic and general society.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植民史學의 보급·연구·교육이 이루어지는데 기여했던 植民史學會를 고찰하였다. 식민사학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조명받지 못했던 ‘학회’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통해 식민사학의 단계적 양상과 특징을 파악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대상으로 朝鮮史學會·朝鮮史學同攷會·靑丘學會·京城帝大史學會를 선택하였다. 이 네 학회는 정기적으로 간행한 회지가 존재하여 학회의 실체를 파악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활동한 시기와 기간에도 차이가 있어 식민사학회의 시기별 특색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다. 각 장에서는 조선사학회·조선사학동고회·청구학회·경성제대사학회의 결성 목적과 과정을 추적하고, 학회의 인적 구성 및 운영 체계를 검토했다. 그리고 실제 활동 내용과 간행물의 체재, 수록된 글의 경향에 대해 분석했다. 아울러 학회의 설립이나 활동에 관한 대외적 반응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식민사학회들은 ‘朝鮮史’를 연구했던 재조일본인 학자들 간의 결속을 도모하고 그 연구성과를 공유, 축적하는 기능을 담당했다. 뿐만 아니라 식민사학을 조선 사회에 보급하기 위한 저술을 간행했으며, 후속세대의 연구자와 교육현장에서 가르칠 역사교사를 양성하는 활동도 전개했다. 1920년대에는 조선사학회처럼 조선총독부의 기획 하에 관변단체로서 설립되거나, 조선사학동고회같이 조선사편수회 내 소규모 연구모임으로서 조직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당초의 계획이 완수되어 학회를 유지할 이유가 약해지거나, 구성원들의 본업이 바빠지면서 모임과 회지 간행이 어려워져 갑작스럽게 활동을 중단하기도 했다. 이는 근본적으로 1920년대 식민사학이 안고 있던 문제인 연구 인력과 역량의 부족에 기인한 것이었다. 그러나 1930년대에 들어서는 조선사편수회와 경성제대를 바탕으로 식민사학 연구를 위한 안정적인 인적·제도적 토대가 마련되었다. 그 덕분에 1930년대에 설립된 청구학회와 경성제대사학회는 장기적으로 운영되면서 식민사학을 연구, 교육시키는 활동이 가능했던 것이다. 이렇듯 제국주의 일본은 조선을 강점한 후 식민 통치의 상황을 이용해 식민사학 연구를 위한 각종 제도·기관·단체를 구축함으로써 한국사 연구의 기반을 선점하였다. 조선사학회·조선사학동고회·청구학회·경성제대사학회 등 식민사학회들은 일제가 조선에 구축해나간 한국사 연구의 인프라와 시스템을 토양으로 삼아 결성되고 활동함으로써 식민사학이 식민지 조선 사회에 제도적·학문적으로 뿌리내리는 데 일조했다. 그리고 이를 온상으로 삼아 1930년대에 왕성하게 생산된 식민사학의 연구성과는 논문, 저서, 교과서 등 여러 형태의 간행물로 확대재생산되었고 또 식민통치의 이데올로기로 활용되었다. 이렇게 근현대시기 한국인들의 역사인식에 낙인처럼 새겨진 ‘식민사관’은 학계와 사회 일반에서 오랜 기간동안 극복해야할 과제가 되어 비판과 반성의 대상이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