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항시립연극단 35년사 연구 : 공연활동을 중심으로

        윤주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11

        English poet George Gordon Byron said: “The best of prophets of the future is the past.” His saying seems to mean that based on the experience in the past, one must further develop what he did well in the past but improve what he did wrong, thus being able to proceed to a better result in the future. However, if there is no record of the past, the prediction of the future is inevitably difficult. In more than 100 year history of Korean theatre, numerous theatre companies have come and gone. However, there have been some theatre companies which have endured unfavorable times and circumstances for culture and art and produced works endlessly. In this vein, studies on the history of theatre companies which are the main agent of the theatre and play the role of a central axis within the circles of theatrical art are an indispensable measure to predict the future of Korean theatre. In particular, the documentation of activities of regional theatre companies which function as a capillary vessel of Korean theatre can enrich the contents of Korean theatre history and comprehensively penetrate into contemporary theatre as well. In this regard, to document and examine the history of Pohang Municipal Theatre Company which has played the role of a representative of theatrical activities in Pohang for more than 35 years seems to be meaningful for the history of theatre. The Pohang Municipal Theatre Company was founded in 1983 in which even the era of full-fledged local autonomous government was still unrealized. And it has continued to carry out performing activities actively so far as a Pohang citizen’s theatre company. In the examination of 35 year history of Pohang Municipal Theatre Company, the author focused on the change of standing producers, thus dividing times. Based on this method of classification, there were (1) a jumping period during which the popularization of theatrical art was extensively pursued under the supervision of Kim Sam-Il standing producer; (2) a proliferation period during which the campaign of theatre expansion started, although there was no standing producer; (3) a stabilization period during which the Pohang Municipal Theatre Company carried out performing activities vigorously under the supervision of Kim Sam-Il standing producer, who was appointed again, thus seeking for its identity as a public theatre company; (4) a changing period during which a variety of theatrical experiments were attempted through a visiting producer; and (5) a re-jumping period during which the Pohang Municipal Theatre Company prepared for re-jumping under the supervision of Kim Ji-Yong artistic director. The Pohang Municipal Theatre Company exists for Pohang citizens. Therefore, its status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public interest and its identity can be achieved with the security of regional interest. Due to the problem of production conditions, its works have been difficult to be performed, but it has introduced many works of which artistic value is very high and spared no efforts in approaching audience with public-friendly works. In addition, it operates a visiting theatre which visits culturally estranged classes and then provides them the opportunity of enjoying culture and art, together with children’s musical academy with which children can grow up through artistic experience, while communicating with peers, adolescents and performers, thus trying to make many people have cultural benefits, and improve their living quality. In addition, it has produced performance contents based on regional cultural resources, thus trying to inculcate self-esteem and sense of belonging into local residents as a main agent of local culture. By doing so, it has tried to offset the local image of steel city, increase local resident’s cultural pride, and achieve an educational effect of local figures and history. Therefore, the Pohang Municipal Theatre Company has tried to achieve such values as the public interest as a public theatre company, regional interest as a local theatre company, and artistry and publicity as an art group which exists for audience, and these efforts are still under progress. In order for the Pohang Municipal Theatre Company to be develop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the author proposes following measures: It is necessary (1) to establish the environment of creation of works in which an artistic director can realize his artistic visions; (2) to cooperate with outside experts routinely; (3) to grope after a stepwise growth, thus making the performance contents of local culture a local brand; (4) to introduce not a simple numerical assessment system, but a multilateral post-assessment system of performances; (5) to expand art experience programs and art education programs with which local residents can experience culture directly; and (6) to develop the method of active marketing through various media. The Pohang Municipal Theatre Company has experienced take-off, stability, crisis, stagnation and change diversely during the past 35 years, and overcome them, thus achieving its growth. The accumulation of the power of local culture can be functioned as the power of Korean culture. In this vein, when the capability of local theatre companies is reinforced, the foundation of Korean theatre will become solid. The author hopes the Pohang Municipal Theatre Company will provide the directivity of local theatre company to other companies for the future 35 years and more by carrying out novel and continuous attempts for it. 영국의 시인 바이런은 “미래에 대한 최선의 예언자는 과거이다”라고 했다.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잘한 점은 성장시키고 잘못은 개선함으로써 미래에 더욱 나은 지점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과거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면 미래에 대한 예측도 어려울 수밖에 없다. 한국 연극 100여 년의 흐름 동안 많은 극단이 태어나고 또 사라졌다. 하지만 문화와 예술에 친절하지 않았던 시대상황을 버텨오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작품을 생산해내고 있는 극단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연극예술 안에서 연극 주체이자 중심축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극단의 역사에 대한 연구는 한국 연극의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꼭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한국 연극의 모세혈관으로 기능하는 각 지역 극단 활동에 대한 기록화는 한국 연극사의 내용을 풍성하게 할 뿐 아니라 당대 연극에 대해 총체적 통찰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의미에서 포항지역의 연극활동을 대표하여 35년의 시간을 거쳐 온 포항시립연극단의 역사를 기록하고 고찰하는 것은 연극사적으로 충분한 의의를 지닌다고 판단된다. 포항시립연극단은 지방자치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기도 전인 1983년 창단하였으며 2018년 현재까지 꾸준히 포항시민의 극단으로서 공연활동을 펼치고 있다. 연구자는 포항시립연극단의 35년 역사를 고찰함에 있어 상임연출 체제의 변화에 주목하여 시기를 구분하였다. 이 구분에 맞춰 연혁을 살펴보면, 김삼일 상임연출 체제 하에서 연극예술의 대중화에 주력한 도약기, 상임연출의 공백에도 불구하고 연극확산운동을 벌인 확산기, 다시 부임한 김삼일 상임연출과 함께 왕성한 공연활동을 펼치면서 공립극단의 정체성을 찾고자 한 안정기, 객원연출 체제를 통해 다양한 연극적 실험을 시도한 변화기, 김지용 예술감독 체제로 준비하는 재도약기로 나뉜다. 포항시립연극단은 포항시민을 위해 존재하는 극단이다. 따라서 포항시립연극단의 위상은 공공성의 실현으로 확립되며 정체성은 지역성의 담보로 확보된다. 이에 제작여건의 문제로 쉽게 공연화되기는 어렵지만 예술성이 높은 작품들을 지역에 소개하여 왔으며 그와 함께 관객들에게 대중친화적인 작품으로 다가가려는 노력도 아끼지 않았다. 그뿐 아니라 문화 소외계층을 방문하여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는 찾아가는 연극, 어린이·청소년 배우들과 함께 소통하면서 아이들이 예술경험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한 어린이뮤지컬아카데미 등은 다수를 문화의 수혜자로 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더불어 포항시립연극단은 지역민에게 지역문화 주체로서의 자긍심과 공동체적 소속감을 심어주고자 지역문화자원을 기반으로 한 공연콘텐츠를 제작해왔다. 이를 통해 철강도시로 알려진 지역 이미지를 상쇄하고 지역민들의 문화적 자부심을 높이면서 지역의 인물과 역사에 대한 교육의 효과를 함께 담아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포항시립연극단은 공립극단으로서 공공성과 지역 극단으로서 지역성, 그리고 관객을 위해 존재하는 예술집단으로서 예술성·대중성을 지향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으며 이는 현재진행형이다. 연구자는 포항시립연극단의 발전적 미래를 위해 예술감독이 예술적 비전을 실현할 수 있는 창작 환경의 조성, 상시적인 외부 전문가와의 협업, 지역문화 공연콘텐츠의 브랜드화를 위한 단계적 성장의 모색, 단순한 수치적 평가가 아닌 다각적인 공연 사후평가 시스템의 도입, 지역민들이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예술체험 프로그램과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확충,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 방법의 개발을 과제로 제안하고자 한다. 포항시립연극단은 지난 35년의 공연활동을 거치면서 도약과 안정, 위기와 정체, 변화 등을 다양하게 겪어왔으며 굴곡의 지점을 극복하면서 성장하여 왔다. 지역문화의 역량이 모여 한국문화의 힘으로 작용한다. 그렇다면 지역 연극 즉 지역 극단들의 활동 역량이 강화될수록 한국 연극은 그 기반을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포항시립연극단은 앞으로 35년 그 이상을 준비하면서 지역 공립극단으로서 타 지역 공립극단에 방향성을 제시하는 극단이 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지속적이고 새로운 시도를 멈추지 않아야 할 것이다.

      • 연극<맥베스-고뇌, 욕망 그리고 거짓말> 제작연구 : 역할 분석과 성격 창조를 중심으로

        임재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제작 연구는 중앙대학교 100주년기념관 소극장 축하공연으로 2016년 가을 공연 팀의 기획을 거쳐 2016년 11월 23일 제작 발표된 연극<맥베스-고뇌, 욕망 그리고 거짓말>의 제작연구이다. 본 공연에서 필자는 뱅코우, 해설1, 마녀1, 전의까지 총 4인의 다중배역의 배우로 참여 했다. 본 공연은 윌리엄 셰익스피어 극작한 4대 비극 중 하나인 <맥베스>를 현대적으로 해체하여 고전의 현대화를 이루고자 노력했다. 이번 공연에 배우로 참여한 필자는 연습과정을 거쳐 4인의 인물분석과 성격창조를 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분석단계, 움직임단계, 디테일단계, 마무리단계를 통해 역할을 만들었다. 한 공연에서 여러 명의 인물을 연기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운 과정이 있었지만 필자는 모방을 통한 인물의 성격창조라는 통해 본 공연의 인물들을 만들어내기 위한 중요한 과제로 삼았다. 또한 단계별로 연습을 진행하며 드러난 문제점들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째로 연극<맥베스-고뇌, 욕망 그리고 거짓말>에 등장하는 인물인 뱅코우, 해설1, 마녀1, 전의의 역할을 모방을 통해 인물의 성격창조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평소에 매체를 통해 대중들에게 익숙한 유명한 배우들의 특징을 채용하여 필자만의 스타일로 바꾸어 연기 해보는 것에 큰 관심이 있다. 하지만 직접적으로 경험해보지 못한 시대의 고전극에 등장하는 인물을 어떠한 모방을 통해 인물에 채용할 것인지 고민할 요소가 되었고, 모방을 통해 인물을 창조하여 연기에 임할 때 필자 스스로가 어떤 정서를 갖게 되는지가 중요한 과제로 남았다. 두 번째로 본 공연의 연습 진행과정을 네 단계로 거치면서 인물의 성격창조가 되어가는 과정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다. 본 공연은 원작<맥베스>에서 등장하는 인물을 최소화하여 멀티(다중배역)의 형태로 공연이 진행되기 때문에 빠른 인물변화와 정확하게 구별되는 캐릭터를 요구한다. 네 단계로 연습을 진행하며 각기 다른 인물을 정확하게 나누어 연기를 하는 것이 본 공연에 참여한 필자의 핵심과제로서 여겨진다. 본 제작연구는 2016년 11월 23일 오후 6시 30분 제작발표 된 연극<맥베스-고뇌, 욕망 그리고 거짓말>에서 배우로 참여한 필자의 인물분석과 역할창조에 관한 제작연구로 초기회의부터 연습, 리허설, 최종리허설을 거쳐 제작발표가 막을 내리기까지의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performing <Macbeth-Agony, desire and lies> is congratulatory ceremony for 100 years anniversary of Chung-Ang university in a concert hall on 23rd of November 2016. This research include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ple roles are Banquo, narrator 1, witch 1 and the doctor based on original character. This performance targeted to modernise <Macbeth> which is a tragedy by William Shakespeare. This project used 4 key steps to create and analyse main characters; evaluating characters, focusing on actions, co-ordination and finalisation. Although it needed more attention and understanding of each 4 character, this study focused on creation new character by imitating roles. Our overall approach was to address problems occurred during 4 steps of works and suggest solution for difficulties. First of all, <Macbeth-Agony, desire and lies> is mixed with imitated characters of Banquo, narrator 1, witch 1 and the doctor from ‘Tragedy of Macbeth’ of William Shakespeare. This research coordinated based on the interest of learning and imitating features of well-known actor/actress. By the way, character from classic and traditional play does not allow us to find clear idea and opportunity to understand each character in depth. Second, 4 key stage of work was subject to have distinctive character compared with originals from <Macbeth> of Shakespeare and we considered fast and clear flow of the performance required to show created multiple character. Again, to play multiple character is the key consideration of this performance and the 4 steps. This assessment included progress of directing (character analysis and creation new character), practice, pre/final rehearsal and performance on stage of <Macbeth-Agony, desire and lies> announced on 6.30pm, 23rd of November 2016.

      • 넌버벌(Non-verbal) 공연에서 음악의 활용과 효과에 대한 연구 : <뮤직쇼 웨딩>을 중심으로

        박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95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mass media, art changes quickly and diversely and becomes globalized at an alarming speed. With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of art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present performing art gradually integrates various genres and diversifies performing means. In addition to combining such diverse art areas as painting, dance, music and images, present performances include sport, martial arts and circus, thus producing a new form of performance. This genre integration seems to be a most unique characteristic and trend in the circles of performing culture and art for the pres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K-culture has been very popular since the late 1990s. As K-culture stars become popular and visiting tourists who want to see them increase, the circles of domestic performing art and culture are growing. The term entertourment reflects this trend. Korean culture attracts global attention and the fever of K-culture makes domestic performing culture enter overseas market. Attracting visiting foreigners who are interesting in Korean culture becomes an important national business. With this stream and fever of K-culture, non-verbal performances, a novel form of performance, finally started its journey to satisfy and attract foreign visitors of diverse nationalities, by appropriately combining Korean culture and foreign narrative structures. A non-verbal performance is a genre of performing art which using diverse elements except language and developing a drama. As domestic representative non-verbal performances, there are <Nanta> which mainly uses beating instead of language and <The Ballerina Who Loves a B-Boy> and <Jump> which mainly use movements. The first non-verbal performances are <stomp> and <tubes> produced in the early days of 1990s. As <stomp> and <tubes> achieved a worldwide success, interest in a genre of non-verbal performance which develops a drama not with language but with non-verbal elements increased. In 1997, <Nanta>, a first domestic non-verbal performance, was produced and gained a great success. Since then, numerous non-verbal performances have been produced and performed in important national events, thus making non-verbal performances positioned as an important tourist product that attracting foreign visitors who are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Language is a most basic and direct method of human communication.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foreigners whose language is different. In this regard, language is an easiest way of human communication as well as a most difficult means of communication. As non-verbal performances have no language barrier, foreigners can enjoy it. However, if other artistic elements do not appropriately substitute for the role of language and a performance cannot communicate with audience, the performance cannot be successful. A requisite of a successful performance, namely a good performance, seems to be its communicative role between an artist who firsthand realizes arts in a stage and audience who enjoy it. Although about 50 non-verbal performances have been produced actually since then <Nanta>, their communication with audience was not desirable and many of them were assessed as 'a ceremonial' performance. In addition, there are few performances which continue to be performed to date. No language barrier to foreigners in a performance can be an advantage point, but it can be a crucial disadvantage point as well when its communication with them is not properly achieved. The means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clude such diverse methods as movements, music, painting and facial expressions, but the author chose 'music' as a most important element that substitute for the role of 'language' in a non-verbal performance and examined its use and effects in this study. Music either creates the mood of a drama, or displays the feature of characters, or plays the role of language in a performance. For example, in the second movement of Beethoven's Pastoral Symphony that describes the banks of a stream and the beautiful looks of field, flute is used to present the chirping of nightingale, oboe is used to describe the warbling of a quail, and clarinet is used to display the singing of a cuckoo. In the fourth movement, a tremolo technique, namely a continuous repetition of a same sound, describes thunder and storm. The role of music is important in all the performances, but its importance in a non-verbal performance seems to be more crucial. Therefore, the use of music instead of language will make difference in the completion of a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conception of non-verbal performance and the current status of its performance in Korea and overseas countries were examin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of non-verbal performance was looked into as well. In the main part, <Music Shaw Wedding>, which used music as a core element of non-verbal performance, was chosen and analyzed in relation to its superficial structure, narrative structure and in-depth structure. In addition, its use of music instead of language was analyzed, together with its performance effect according to the use of diverse genres and instruments. The author hopes study findings will be used as basic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methods and strategies for the production of non-verbal performances in the future. 오늘날 예술은 매스미디어(mass media)의 발전으로 인해 빠르고 다양하게 변화되고 급속도로 세계화 되고 있다. 이러한 매스미디어의 발전을 통한 세계화의 영향으로 현대 공연예술은 점점 다양한 장르의 공연들이 하나로 융합되고, 공연요소들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하나의 공연 안에 미술, 무용, 음악, 영상 등의 다양한 예술요소들을 혼합하는 것을 넘어, 스포츠, 무술, 서커스와 같은 분야들까지 하나의 공연 안에 녹여내면서 새로운 형식의 공연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장르융합은 오늘날 공연문화예술계의 가장 큰 특징이자 트렌드라고 할 수 있다. 매스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한류(K-culture)가 크게 유행하고 있다. 한류스타들의 인기와 함께 그들을 보기 위해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관광객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더불어 한국의 공연예술문화계도 함께 성장하고 있다. 이제는 ‘엔터투어먼트(Entertourment)’ 라는 용어까지 생길 정도이다. 세계가 한국의 문화를 주목하고 있고 한류열풍에 힘입어 우리 공연문화도 해외시장까지 확대되고 있다. 한국의 문화에 관심을 두고 방문하는 외국인들을 유치하는 것이 이제는 국가의 중요한 사업이다. 넌버벌 퍼포먼스는 이러한 흐름과 한류열풍 속에서 다양한 국적의 외국 관객을 만족하게 하고 유치하기 위해 한국의 문화를 적절히 혼합하여 만든 새로운 형식의 공연이라 할 수 있다. 넌버벌 퍼포먼스는 언어를 제외한 다른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극을 이끌어가는 공연 장르를 말한다. 우리나라 작품으로는 대표적으로 언어 대신 두드림을 핵심 공연요소로 사용한 <난타>와 움직임을 핵심 공연 요소로 사용한 <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 <점프> 등이 있다. 최초의 넌버벌 퍼포먼스는 1990년대 초에 제작된 <Stomp>와 <Tubes>이다. <Stomp>와 <Tubes>가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면서 언어가 아닌 다른 비언어적인 공연요소로 극을 이끌어가는 넌버벌 공연 장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1997년에 국내 최초의 넌버벌 퍼포먼스인 <난타>가 제작되어 큰 성공을 이루었다. 이후 수많은 넌버벌 퍼포먼스가 제작되었고 국가 중요 행사 등에서 공연되면서 언어의 장벽이 없는 넌버벌 퍼포먼스는 이제 한국을 찾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중요한 문화 관광 상품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언어는 인간의 소통방식 중 가장 기본적이고 직접적인 방식이다. 하지만 국적이 다른 사람과는 소통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다. 언어는 사람 간의 가장 쉬운 소통방법이면서 때로는 가장 어려운 소통방식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넌버벌 퍼포먼스는 언어의 장벽이 없기 때문에 국적이 달라도 누구나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만약 언어의 역할을 대신할 다른 예술요소들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해 관객과의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그 공연은 성공한 공연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성공한 공연, 좋은 공연이란 무대에서 직접 예술을 구현하는 예술가와 그것을 보는 관객이 서로 소통해야 좋은 공연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난타> 이후 약 50여 개의 넌버벌 퍼포먼스가 제작되었지만 관객과의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아 소위 ‘행사용’ 공연으로 평가받는 공연들도 상당히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현재까지 꾸준히 공연을 이어가고 있는 작품은 손가락으로 꼽을 수 있을 정도로 적다. 공연에서 언어가 없다는 것은 국적이 다른 관객과도 소통할 수 있다는 장점이 되지만 만약 그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가장 큰 단점이 될 수 있다. 언어를 제외한 소통방법에는 움직임, 음악, 미술, 얼굴의 표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지만, 필자는 넌버벌 퍼포먼스에서 ‘언어’의 역할을 대신 할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음악’을 선택하여 그 활용과 효과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음악은 극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등장인물의 성격을 나타내주기도 하며 공연에서 언어의 역할을 대신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베토벤의 전원 교향곡 제2악장에서는 시냇가와 아름다운 들판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는데 플룻으로 꾀꼬리 소리를 묘사하고 있고, 오보에로 메추라기, 클라리넷으로 뻐꾸기 소리를 묘사한다. 또한, 제4악장에서는 같은 음을 반복적으로 연주하는 트레몰로(tremolo) 주법으로 천둥과 폭풍우를 묘사한다. 모든 공연에서 음악의 활용이 매우 중요한 건 마찬가지지만 말을 할 수 없는 넌버벌 퍼포먼스에서는 그 중요성이 더욱 클 것이다. 따라서 음악이 언어를 대신하여 어떻게 활용됐느냐에 따라 공연의 완성도가 달라질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넌버벌 퍼포먼스의 개념과 국내외 공연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넌버벌 퍼포먼스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론에서는 음악을 핵심 공연요소로 사용한 넌버벌 퍼포먼스 <뮤직쇼 웨딩>을 사례로 선정하여 표층구조, 서사구조, 심층구조로 작품 분석을 하고 작품에서 음악이 언어를 대신하여 어떻게 활용됐는지, 그리고 다양한 장르의 사용과 악기사용에 따른 공연 효과를 분석하였다. 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넌버벌 퍼포먼스 제작에 필요한 효과적인 방법과 전략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연극 <맥베스-고뇌, 욕망 그리고 거짓말> 제작 연구 : 영상 디자인을 중심으로

        손승훈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work is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the play <Macbeth- Agony, desire and lies>, which was planned on September, 2016 and released on November 23 at the 100th Anniversary Memorial Theater. This performance was planned and produced to celebrate the establishment of the 100th Anniversary Memorial Hall of Chung-Ang University. And I have participated as a film director. The goal of the play was to modernize the tragedy of world-renowned playwright William Shakespeare, Macbeth, and to present the classics to the audience in a modern way by using a new way of 'Liveness' that enables the fusion of performances and images. Through this study I will try to present the problems and solutions that we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two methods, the video design used in the adapted script and the WI-FI Action-Cam which was not used in the existing theater stage. First, it is a performance video used in the play <Macbeth-Agony, desire and lies>, which is based on the original work. Through the photographs and images, I intend to show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 historical background,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inside of the character. Although this method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methods used in existing performances, it is a difficult and important task to make the feel and atmosphere of the script through the conceptual image that covers classical and modern. Secondly, it is 'Liveness' which is a key goal of the film director in this performance. It has been used only in media to convey simple information such as sports, concerts, documentaries, etc. Therefore, it was the most important task to find ways to utilize it in the play. Action-Cam, which is used in performances, is a video equipment that enables a one-person broadcast system that is currently popular all over the world. In this performance, it appears under the name of "Witch's Eye". The challenge is to present the experimental meaning and value of this performance using Action-Cam, and the problems and solutions presented in the practice. This study covers the video design used in the theater <Macbeth-Agony, Desire and lies>, which was released on November 23, 2016. This study describes the way in which images are projected in a stage through planning stage, image concept, and video design meeting, problems that have arisen since the last use of video equipment, and solutions and development possibilities. 본 제작연구는 2016년 9월 기획을 거쳐서 11월 23일에 100주년 기념소극장에서 제작 발표된 연극 <맥베스-고뇌, 욕망 그리고 거짓말>의 제작연구이다. 본 공연은 중앙대학교 100주년 기념관의 설립을 축하하기 위해 기획 제작된 공연으로서, 연구자가 영상감독으로 참여했다. 세계적인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비극 <맥베스>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공연과 영상의 융합을 가능하게 하는 ‘Liveness’라는 새로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관객들에게 고전을 현대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 공연의 목표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각색된 대본에 맞춰 공연에 사용된 영상디자인과 기존의 연극무대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던 무선방식(WI-FI)의 액션 캠(Action- Cam)을 사용하여 새로운 영상 연출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첫 째로 원작을 토대로 각색된 연극 <맥베스-고뇌, 욕망 그리고 거짓말>에서 사용된 공연 영상이다. 사진과 영상을 통해 인물의 개성, 시대적 배경, 현재 상황, 인물의 내면 등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공연에서 사용되는 방법들과 많이 다르지 않지만, 고전과 현대를 아우를 수 있는 컨셉의 영상을 통해 대본의 느낌과 분위기를 살리는 것은 어렵고도 중요한 과제였다. 두 번째로 이번 공연에서 영감감독으로서의 핵심 목표인 ‘Liveness’이다. 공연을 실황으로 중계하는 것은 보통 스포츠, 콘서트, 다큐멘터리 등 단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매체에서만 사용되어왔다. 그렇기 때문에, 연극에서도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은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공연에서 사용 되는 액션 캠(Action-Cam)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1인 방송 시스템을 가능하게 만든 영상장비로서 본 공연에서는 ‘마녀의 눈’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액션 캠(Action-Cam)을 활용한 본 공연이 갖는 실험적 의미와 가치 그리고 연습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과제로 여겨진다. 본 제작연구는 2016년 11월 23일 제작발표 된 연극 <맥베스-고뇌, 욕망 그리고 거짓말>에서 사용된 영상디자인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기획 단계, 영상 컨셉, 영상 디자인회의를 거쳐서 영상이 공연에서 영사된 방식과 최종적으로 영상 장비가 사용되기까지 발생했던 문제점과 해결방안, 그리고 발전가능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 현대 영상기술에 의한 무대 공간의 시공간 확장성 연구 : <K-live X>, <청춘, 그 빛나는 김광석>, <북극곰 댄>, <백야(白夜)> 공연 중심으로

        강성휘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드라마와 영화와는 다르게 연극이나 뮤지컬, 무용과 같은 공연예술에서는 러닝타임(running time)이라는 시간상의 제약과 제한된 무대(stage)라는 공간의 제약을 갖고 있다. 무대 위의 시공간을 표현하는 도구로써 영상기술의 활용은 단순한 시공간 표현을 넘어 시공간을 왜곡하고 파괴하는 확장 단계까지 도달하게 되었다. 그리고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발전은 영상을 활용하여 무한한 표현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다. 이로 인하여 기존에 상상으로만 가능했던 세계관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무대예술을 통해 가상과 현실 세계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졌으며, 시간을 뛰어넘어 과거와 미래의 세계를 표현하는 것 또한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공연예술에 적용한 영상기술들을 분석하고 국내에서의 공연사례를 분석하여 시공간의 확장 및 재구성의 관점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미디어 매체에 적응된 관객들은 다양한 영상기술로 만들어진 공연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게 되었고 감각적으로 반응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기존 공연예술과는 다르게 시각적 이미지들을 만들어냈으며, 공연을 표현하면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현대 영상기술에 의한 무대 공간의 시공간 확장성 연구에 대하여 국내 작품을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하였고, 시공간의 확장 및 창출과 이로 인한 공연예술의 전망성과 한계성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공연예술에 생산성(productivity)’, 경쟁성(competition)’, 혁신성(niche creation)’을 연구함으로써 독립적인 예술문화를 정착하여 지속적이고 꾸준한 성장을 할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가는 영상기술을 활용한 공연무대 미학에 대하여 논하는 데 있음에 비추어, 앞으로 더욱 기술적이고 창의적인 공연예술의 발전으로 관련학과 학생들과 관련 업계 사람들 또는 연구자들에게 다시 새롭게 인식하는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기존의 자료를 통해 이제 홀로그램과 프로젝션 맵핑의 기술력을 새로운 무대예술의 기술적 매체로 체험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법 제정과 기술적 발전 등을 살린다면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관련학과 및 실수요를 통해 무대의 디자인 작업 과정에서 흥미와 다양한 창의성을 유발함으로써 관련 분야에 대한 활성화 또한 기대한다. Unlike drama & movie, performance art such as play, musical & dance is subject to restriction of time called running time and restriction of space called limited stage. As the tool expressing time & space on the stage, the utilization of image technology reaches the expansion step which perverts & destroys time & space transcending simple time & space expression. The development of computer graphic technology utilizes image and realizes unlimited expression. As a result, the view of the world which could be only imagined in the past can be expressed in diverse methods, thereby realizing free movement between imaginary & real world through stage art and expressing past & future world transcending time. Thus, the expansion of time & space and viewpoint of reconstitution could be seen by analyzing image technology applied to performance art and cases of domestic performance. Spectators adapted to media medium came to accept performance made with diverse image technologies without rejection and react sensorially. Unlike the existing performance art, such change produced visual images and became able to present new communication method, expressing performance. Thus, cases were analyzed mainly about domestic works concerning study on expansibility of time & space of stage by modern image technology. Accordingly, the expansion and creation of time & space and prospect & limit of its performance art could be seen. Finally, it was found that independent art culture could be settled to steadily and constantly grow by studying productivity, competition and niche creation of performance art. This researcher intends to provide students of related department & people or researchers of related business with newly recognized material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more technical & creative performance art in discussing the expansibility of time & space of stage, utilizing modern image technology. Thanks to the existing materials, the technology of hologram & projection mapping can be experienced with technical medium of new performance art. If legal enactment & technical development related to them is enlivened, mutual synergy effect can be realized. Since it can cause interest and diverse creativity in design work process of stage through relevant department & actual demand, the activation of relevant area is also expected.

      • 오페라의 극적 효과를 위한 뮤지컬 연기테크닉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연기를 중심으로 분석한 나탈리 드세이의 광란의 아리아

        조문경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Korean classic music circles have made a variety of attempts to come up to the public according to the stream of present-day performing ar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ne of the attempts, namely opera singer's use of performance techniques and music narrations in musicals, and then look into its application methods. Music performance has more constraints than verbal performance does. There are many requirements for a composer of performance music to bear in mind, such as the stream of music, given lyrics, theme symbols and so on. Therefore, he or she must interpret these requirements appropriately according to scripts and contexts and then apply it to performances. In the second chapter, the developmental backgrounds, vocalization characteristics, music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features of opera and musical were examined and then the difference between opera and musical that making the difference of expressive methods was looked into. A main focus is to accept their fundamental difference and then acknowledge the application of performance techniques must not harm opera's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third chapter, opera's needs of performance techniques and methods of its acceptance were looked into. Different from ordinary performers, opera singers must maintain and express bel canto vocalization. In this vein, they must use body parts appropriately in order to concentrate on the optimization of vocalization in performance. But they cannot easily accept this principle. Via interviews with opera directors, opera singer's worries and director's solutions were examined, and then opera singer's use methods of body parts were looked into in order for them to admit their current status and then apply new techniques to performance. Human emotions have effects on physical movements and changes. On the other hand, physical movements and muscle memories can evoke emotions as well. This study used this fact as a method of opera singer's application of musical performance techniques, namely music narrations. Since physical use must be applied precisely according to music streams, scenes and character's dispositions, singers must understand composer's intention of theme symbols correctly through analyzing music scores. In addition, they have to understand the main melody of music as well as the situation, atmosphere and expressive intention of orchestral instruments.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application of musical performance techniqu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characters and contents, this study presented expressive intentions within the scope of ordinary interpret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singers understand expressive intentions as an art of narr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use method of pseudo language, a means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the fourth chapter, Robert Plutchik's classification of human basic emotions was looked into, together with the change of physical response, the change of breathing, and behavioral modality, in relation to human basic emotions. And then the method of application of Scott McCloud's classification of six emotions and its facial expression changes to music was presented. These techniques were to train physical use diversely and express emotions appropriately, thus providing help to concentration on the manifestation of emotions and construction of characters. The application of performance techniques to opera was analyzed focusing on "mad scene" of Lucia di Lammermoor, performed by soprano Natalie Dessay. It is necessary to remind people of opera being a performance which delivers beautiful music as well as drama.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opera as a character. Since the public and opera circles already require performance ability from opera singers, opera singers must accept music performance positively and cultivate related skills. 우리나라 클래식 음악계에서는 현대 공연예술의 흐름에 맞추어 대중들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있다. 여러 가지 시도 중 오페라 가수가 할 수 있는 연기테크닉, 음악적 화술을 사용하는 방안을 뮤지컬에서 살펴보고 그것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한다. 음악 안에서 연기를 하는 것은 대사로만 이루어진 연기를 할 때보다 자유롭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음악의 흐름과 주어진 가사, 악상기호 등 지켜야 할 작곡가의 요구사항이 있는데 그것을 대본과 전후 상황에 맞추어 해석하고 연기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Ⅱ장에서는 오페라와 뮤지컬의 발달 배경과 발성의 특징, 음악적 특징, 연기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어떠한 차이로 인해 표현방식이 달리 발전하였는지 알아본다.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고 오페라의 고유한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연기테크닉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을 중점으로 두고 있다. Ⅲ장에서는 오페라에서 연기테크닉이 필요한 이유와 그것을 수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오페라 가수는 일반적인 연기자와 다르게 벨칸토 발성을 유지하면서 표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신체의 운용을 발성에 최적화하도록 집중하는데 연기를 위해 자유롭게 신체를 사용한다는 것은 이들이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분이다. 오페라 연출가의 인터뷰를 통해 현실적으로 겪고 있는 오페라 가수들의 고민과 연출자의 해결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 이것을 참고로 이러한 오페라 가수의 상황을 받아들이고 연기를 위한 신체의 사용법을 제시한다. 인간은 감정에 의해 신체가 움직이고 변화하지만 반대로 신체의 움직임과 근육 기억에 따라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오페라 가수가 뮤지컬의 연기테크닉, 즉 음악적 화술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사용했다. 이 신체의 사용은 음악의 흐름과 장면, 캐릭터의 성격에 따라 세밀하게 적용되어야 하므로 악보의 분석에서 작곡가가 기보해 놓은 악상기호들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노래하는 주선율 뿐 아니라 오케스트라의 악기에서 나타낼 수 있는 상황이나 분위기, 표현 의도를 알아야 한다. 다양한 캐릭터와 작품의 내용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통상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범위에서 표현 의도를 제시한다. 그리고 그 표현 의도를 화술 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비언어적 의사소통 중 유사언어의 활용방안에 대해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로버트 플루칙(Robert Plutchik)이 분류한 인간의 기본 감정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신체 반응의 변화와 호흡 상태의 변화, 행동 양상을 알아본다. 그리고 스캇 맥클라우드(Scott McCloud)가 정리한 인간의 6가지 감정과 그에 의한 표정 변화를 음악 안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감정을 표출할 수 있도록 신체의 사용을 다양하게 훈련시키고 그 뒤에 발현되는 감정에 집중하여 캐릭터 구축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을 소프라노 나탈리 드세이가 출연한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중 광란의 아리아를 참고로 오페라에서 연기테크닉을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분석한다. 오페라도 분명히 극을 전달하는 공연이라는 것을 상기시키고 아름다운 음악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닌 캐릭터로서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이미 대중들과 오페라 관계자들은 오페라 가수의 연기력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고 음악연기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훈련해야 한다.

      • 사운드 메커니즘에 따른 뮤지컬 발성변화와 발전에 관한 연구

        이지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musical, a composite theater art, which attracts people's attention very much and provides songs, acting, movements and various things to watch to audience. Due to its diversity, people in various areas, such as actors, models, singers and idol singers, increasingly want to be a musical performer. However, there have been ticket marketing problems and many side effects in the circles of musical. In this regard, this study looked into diverse conditions of present-day musical performance and examined developmental strategies of musical, focusing on songs, a far more important area in musical. For this, the author traced back to the origin of musical, and the growth process of musical vocalization, focusing on Belcanto vocalization which has been inevitably used in musical performance when the mechanism of musical did not develop. In addition, the author examined external factors of musical that have much influence upon present-day musical due to their historical change and development of mechanism, such as microphone, MR, performance and theater capacity and various genres, thus groping after the pros and cons of musical which have to be acquainted by musical performers and would-be performers and carrying out a field interview with sound supervisor Kim, Gi Yeong who is a living witness in domestic musical history. Furthermore, the author looked into the change of people's awareness and thought to the development of musical mechanism, focusing on songs, namely a most important area in musical, and analyzed the method of singing and the structure of vocal organs, focusing on Seth Riggs' mixed voice which was born with the application of those factors. In addition, the author examined the vocal expression of roles and the advanced usage of vocal organs with a view to musical which seems to be a genre of drama and attach much importance to the delivery of story to audience,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 Estill's six timbres and musical's various numbers. In detail, based on external factors which have much influence on musical performer's voice expression for musical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musical mechanism and various methods of musical vocalization which has been effectively changed for the genre, the author classified woman/man, genres of songs, the size of performance, and the capacity of theater, focusing on three songs' numbers, and then analyzed vocalization, external factors mentioned above, and the contents of musical numbers. Musical is a genre of performing arts generated by the change of the times. In this vein, this study examined the awareness and thought of musical which derives from the mechanism development of musical vocalization, a core portion of musical, together with the effective methods of vocalization, in order to provide help to would-be performers and performers of musical. In conclusion, a person who wants to be a musical performer must keep up with changed modalities of musical and quickly changing times and then accept things that a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musical mechanism and absorb more advanced techniques of vocalization, thus using their vocal organs freely, delivering their emotion to audience via a more comfortable expression of the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udience more effectively. The author hopes study findings will have good effects on the value system of performers and would-be performers of musical which is highly recognized by the public and grows up quickly for the present, and provide help to the development of musical vocalization. 본 논문은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고, 노래, 연기, 움직임과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종합무대예술인 뮤지컬의 발전을 위하여 서술하고 있다. 또 그 다채로움으로 인하여 뮤지컬배우를 지망하는 사람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나날이 늘고 있는 추세인데 그로인해 배우, 모델, 성악가, 무용수, 아이돌 가수들 등 여러 분야에서 시도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티켓마케팅과 여러 부작용들이 생기고 있는 시점이기 때문에 오늘날의 뮤지컬이라는 공연의 여러 가지 조건들을 파악하고 뮤지컬에서 무엇보다도 중요시 되는 노래에 집중을 요하여 뮤지컬이 발전되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연구자의 글은 뮤지컬의 시초를 알아보고, 메커니즘이 발전되지 않았을 그때 당시 공연의 상황으로 사용되어질 수밖에 없었던 벨칸토발성과 함께 뮤지컬 발성이 성장되어 온 바를 살펴본다. 그리고 그 역사상 함께 변화된 메커니즘의 발전으로 인하여 오늘날에 뮤지컬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뮤지컬의 외적인 요소에 해당하는 마이크, MR, 공연과 극장의 크기, 다양한 장르를 통하여 뮤지컬 배우와 지망생들이 인지하여야 할 점들과 장단점들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뮤지컬역사와 함께하신 김기영 음향감독님의 현장경험이 담긴 인터뷰를 통하여 증명을 하였다. 또 뮤지컬에서 가장 중요한 음악. 즉, 노래를 메커니즘의 발전으로 대중들의 인식과 사상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그 적용들로 인하여 탄생된 세스 릭스의 믹스 보이스에 대해 가창의 방법들과 음성기관의 구조들을 다루어 알아보고, 뮤지컬이 극의 한 장르이자 이야기를 관객에게 전달하는 것임을 중요시하게 여기는 생각으로 역할의 음성적 표현과 더불어 앞에서 다룬 음성기관의 발전된 사용법으로 조 에스틸의 6가지 음색을 뮤지컬의 여러 가지 넘버로 예를 들어 알아본다. 그리하여 메커니즘의 발달로 인하여 오늘날에 뮤지컬배우들이 뮤지컬을 위하여 음성표현에 영향을 주게 될 외적인 요소와 시간이 흐르며 장르에 맞게 뮤지컬 발성에 효과적으로 변화된 여러 가지 발성법으로 여자, 남자의 구분, 노래의 장르구분, 공연의 크기와 극장의 크기 구분 등 각기 다른 세곡의 넘버로 앞에서 다루었던 발성들과 외적요소, 뮤지컬 넘버의 내용과 함께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뮤지컬은 시대가 변해가며 생겨난 공연예술의 한 장르이며 그것에서 중심이 될 수 있는 뮤지컬 발성을 메커니즘의 발전으로 인하여 파생되어진 인식과 사상, 또 그로 인해 발전되어온 뮤지컬에 효과적인 발성법들을 인식하고 뮤지컬에 도전하는 지망생들과 배우들에게 도움이 되어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뮤지컬에 도전하는 사람이라면 이러한 변화된 양상과 빠르게 변화되는 오늘날의 시대에 발맞추어 메커니즘의 발달에 따른 것들을 수용하고 그러한 것들과 더불어 더욱 진보된 발성법을 받아들여 발성기관을 자유자재로 사용하고 보다 편안한 신체로 감정의 표현을 전달하여 관객들과 소통해야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하여 이 연구를 통하여, 대중들의 높은 인지도와 빠르게 성장하는 뮤지컬에 지원하는 많은 뮤지컬 배우들과 지망생들의 가치관에 좋은 영향이 되었으면 하고 더 나아가 뮤지컬 발성의 발전에도 이바지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 극장의 형태에 따른 움직임 및 안무 분석 : 대극장 <노트르담 드 파리>, 소극장 <김종욱 찾기>를 중심으로

        김미수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Musical is a performing art that combines song and choreography with acting. It is becoming a symbolic performance genre that is able to keep up with an audience’s diverse demand. Important elements of musical theater include movement and choreography. Movement and choreography provide an easier visual explanation and changes the dramatic atmosphere, rather than dialogue which allows the audience to gather the personality and inner emotions of the characters. This effect should always be considered when choosing the place where the performance is held as well as the space and form of the theater. I will cover the difference between movement and choreography in correspondence with the form of the theater in this abstract. In order to highlight this idea, I selected <Notre Dame de Paris> for the big theater musicals and <Finding Mr. Destiny> for the small theater musical productions. <Notre Dame de Paris> is a songless musical composed of choreographed space with choreography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ven theater work. Unlike most small theater productions, <Finding Mr. Destiny> has a choreographer that is dedicated to the composition of movement. Instead, it is composed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movement, and choreography in relation to the small theater. Upon analyzing both of these works, I focused on choreography, stage form, stage devices, and props for each piece to see how the form of the theater actually affected its movement and choreography. My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size of the theater and the size of the stag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musical’s choreography. The big musical production <Notre Dame de Paris> is filled by the depth and width of the stage. It uses colorful presentation, instruments, and props to fill the entire sta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theater musical <Finding Mr. Destiny> uses props and background effects that accurately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space while incorporating the actors’ concise and implicit movement so that the audience can more closely observe the actors and the stage. Additionally, one actor who is dedicated to various roles can create a change in the atmosphere of the musical. Next, the way of expressing this varies upon the size of the theater. For example, in <Notre Dame de Paris> the inner and outer conflicts are presented through professional choreography of the ensemble. This symbolically conveys the conflict of the work’s theme and expresses the conflict between the inside psychology of a person and that person’s corresponding conflict. The main actor in <Finding Mr. Destiny> acts as the main object to relay the message of the musical. Rather than rehearsed choreography, he provides focused movement in order to capture the audience’s attention and directly involve them in the production. A big theater space allows more freedom of movement in that it allows the choreographers to arrange and organize a wide range of motion and large movements without being restricted. Also, the devices and props can be used to showcase the skills of the choreographers and to create a major movement of theme that determines the identity of the work. On the contrary, a small theater musical’s space provides more concentrated and refined movement. It is a space that can maximize the details and through lyrical dramatical imagination and choreography that takes place close to the audience with only small physical movements. Both of these spaces do their best at communicating effectively with their audience members. There are rela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that vary according to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Therefore, the choreographer should be aware of these characteristics when participating in the composition of the musical. Based on the summarize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movement and choreography given the theater style that I analyzed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musicals are produced in order to complement each stage and that more diverse and three-dimensional emotion and synergy can be developed into productions. 뮤지컬은 노래와 안무 그리고 연기가 어우러지는 종합 공연예술로서 관객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대표적인 공연 장르로 자리 잡고 있다. 그중 움직임과 안무는 뮤지컬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 요소가 되었다. 움직임-안무는 대사보다도 빠르게 시각적으로 상황을 설명해 주고, 인물들의 성격과 내면을 제시하고 암시하며, 극적 분위기를 전환하기도 한다. 이러한 역할은 공연이 상연되는 장소, 즉 극장의 공간과 형태가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극장 형태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움직임과 안무를 논한다. 이를 위해 대극장 뮤지컬 중 <노트르담 드 파리>를, 소극장 뮤지컬 중에서는 <김종욱 찾기>를 선정하였다. <노트르담 드 파리>는 송스루 뮤지컬로서 극이 가지게 되는 여백을 대극장 작품 특성에 맞는 안무 구성을 통해 짜임새 있게 구성했다. <김종욱 찾기>는 소극장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움직임 구성을 전담하는 안무자가 있으며, 작품의 성향과 소극장에 알맞은 움직임과 안무를 구성하고 있다. 이 두 작품을 분석하여 극장의 형태가 움직임 및 안무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연계성을 가지는지 각 작품의 안무 구성과 무대 형태, 무대 장치와 소품 등을 함께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주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극장의 크기, 즉 무대의 크기는 안무 구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대극장 뮤지컬인 <노트르담 드 파리>는 무대의 깊이와 넓이를 가득 채우고 짜임새 있게 합을 맞춘 화려한 군무와 동선들, 그리고 규모 있는 무대 장치와 소품을 활용해 무대를 충분히 사용하며 쉼 없이 작품을 표현한다. 소극장 뮤지컬인 <김종욱 찾기>는 관객이 배우와 무대를 더 세밀히 관찰 할 수 있는 특성을 바탕으로 배우들의 간결하고 함축적인 움직임을 통해 공간의 크기에 맞는 적절한 소품과 배경 효과를 사용한다. 또한 멀티맨 역할을 전담하는 배우 한명만으로도 극의 분위기 조성과 극 전환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극을 표현하고 전하는 방식이 다르다. <노트르담 드 파리>에서는 내외적 갈등을 앙상블의 전문적인 안무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작품의 주제가 되는 갈등을 상징적으로 전달하는 것은 물론, 인물의 내면심리와 인물 간의 대립, 갈등을 표현한다. <김종욱 찾기>는 주연배우가 극 전달의 주체가 되며 안무적 전문성보다는 극을 전하기 위해 집중된 움직임을 통해 배우를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관객들이 더욱 집중하여 작품에 이입할 수 있도록 움직임이 구성된다. 대극장이 가진 극장 형태인 넓은 무대 공간은 안무가가 넓은 동선과 큰 동작들을 제한 없이 배치하며 구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자유로운 표현의 공간이 된다. 또한 장치와 소품을 적극 활용하여 안무자들의 기량을 선보이며 작품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주요한 안무적 테마를 만들어나갈 수 있다. 반면 소극장 뮤지컬의 공간은 집중되고 정제된 움직임-안무를 통해 세밀하고 서정적인 극적 상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공간이며 몸의 작은 움직임만으로도 관객과 가까이에서 호흡할 수 있다. 이 두 공간은 모두 각각의 매력으로 관객과 소통한다. 공연장의 크기와 특성에 따라 상대적인 장단점이 존재하며, 안무가는 이러한 특성을 인지하여 작품 구성에 참여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극장의 형태에 따른 움직임-안무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각 무대에서 제작되고 보완되는 작품들이 더욱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감동과 시너지를 제공하는 극으로 발전될 수 있기를 바란다.

      • 교육 낭독극 연구 : 극단 ‘책을 읽어주는 사람들’ 중심으로

        서사무엘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장르인 교육 낭독극에 대한 탐구를 진행하였다. 시각이 중심이 되는 시대에 낭독극은 이를 배제하고 청각에 집중한 공연이다. 극단 ‘책을 읽어주는 사람들’은 낭독극에 교육적인 목적을 더하여 극을 새로운 형태로 만들어내었다. 독서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공공기관의 목적에 부합하여 이와 접목한 공연을 시도한 것이다. 일반적인 극은 연극이나 뮤지컬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는 시각적 효과가 중요하다. 그러나 감성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낭독극은 청각에 집중하여 듣고 상상하는 새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사업은 이러한 교육 낭독극을 통해 학생들에게 책에 대한 관심을 고양시키고 상상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 연극으로서의 낭독극을 살펴보고 어떻게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사업의 일환으로 낭독극이 만들어지는지, 극단 ‘책을 읽어주는 사람들’의 극본 <바람을 가르다>를 통해 대본화 과정과 낭독과정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극단 ‘책을 읽어주는 사람들’은 이 사업을 통해 금천구 내의 초등학교를 방문하여 찾아가는 낭독극을 시작으로 전국의 다양한 지역에서 교육 낭독극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 중 금천문화재단과 연계된 공공사업에 한정하여 좀 더 세밀히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제 금천구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교육 낭독극을 공연하며, 교육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낭독공연을 관람한 학생들은 책에 대한 관심 및 문학작품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 감성교육, 관람 태도에 대한 교육 및 직업군에 대한 교육의 기회를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입시 교육과 주입식 교육이 팽배한 현재의 교육 현장에서 교육 낭독극은 학생들에게 지식 전달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적인 접근을 통한 교육을 실현한다. 단순한 낭독이 아닌 여러 명의 성우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평면적인 문학작품을 생동감 있게 만들어 준다. 청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교육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바람을 가르다󰡕의 교육 낭독극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태도 개선 측면의 감성적 면을 더하여 단순한 지식 전달의 차원을 넘길 수 있었다. 이러한 사업의 발전 과정, 교육 낭독극이라는 새로운 장르 개척 과정, 교육 낭독극의 확장성과 한계를 분석하여, 향후 교육 낭독극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 new genre, Educational Reading Play, is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se days most performances are visually oriented, a reading play is an auditory performance without visual aspect. the theater company “The Readers” created this Educational Reading Play by incorporating educational purposes into the reading play. Since it i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public institutions to invigorating reading ability of students, the company attempted a performance that combines this goal. This educational reading play pursues the purpose of emotional education, and provides a new experience of listening and imagining by focusing on auditory effect.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plays or musicals that emphasize visual effects. As a part of ‘Reading One Book in One Library’ project, the educational reading play can raise the interest among students toward books and expand their imagination. This study examines reading plays as educational plays and analyzes thoroughly the process of making a script and the reading process by the theater company 'The Readers’ by means of the book, <Feel the Wind> as part of the project. Through this project, ‘The Readers’ has conducted educational reading play: we have visited several elementary schools in Geumcheon-gu, and starting with this, we have carried out in various regions across the country.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public project linked to the Geumcheon Cultural Art Certer, in order to execute more thorough examination. As a part of this project, the theater company ‘The Readers’ visited elementary schools within Geuncheon-gu to perform reading plays. Although ‘The Readers’ moves across the nation to provide performance in various regions, the study has limited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to those linked with Geum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o as to scrutinize closely. Based on the empirical experience of performing various educational reading plays in Geumcheon-gu, meaningful results could be drawn from an educational aspect. This study shows that the students who watched the reading plays became more interested in books, and their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also increased. This performance was able to serve as an momentum to indirectly provid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n emotions, audience attitude and relevant occupational groups. The educational reading play can give shape to the education on emotions rather than mere knowledge delivery. This could be critical in Korea education which mainly focuses on the education for the entrance exams and cramming education. This is not just a reading but the story conducted by various voice actors, which makes one-dimensional works of literatures multi-dimensional, so as to realize educational goals by stimulating emotions of the students. The educational reading play of <Feel the Wind> could be a good example of this aspec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educational reading play in the future, by means of analys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is project, the process of pioneering a new genre and the expandability and limitations of this educational reading play.

      • 주크박스 뮤지컬의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을 위한 넘버 구성 연구 : <그날들>과 <맘마미아>를 중심으로

        한여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주크박스 뮤지컬은 2000년대 이후로 꾸준히 제작되고 공연 되었다. 대중에게 친숙하고 사랑받는 음악을 차용하는 주크박스 뮤지컬의 제작방식은 국내 창작 뮤지컬의 보편적인 제작방식으로 국내 뮤지컬의 한 갈래로 자리 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제작되는 모든 작품이 성공한 것은 아니다. 다수 작품들의 흥행 실패로 주크박스 뮤지컬이 사용하는 음악, 즉 넘버들이 관객에게 친숙한 것이거나 또는 향수를 불러일으킨다는 장점만으로는 작품의 성공을 주도할 수 없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결국 뮤지컬에서는 드라마, 즉 스토리텔링을 구축하는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주크박스 뮤지컬은 특히 스토리텔링과 넘버와의 조화로운 구성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넘버가 아무리 좋더라도 뮤지컬은 하나의 이야기로써 존재하기에, 넘버는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에 기여하기 위해 적절하게 구성되고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미 대중에게 잘 알려지고 사랑받는 노래가 뮤지컬의 넘버로 활용될 때 어떻게 스토리텔링에 적용되느냐가 주크박스 뮤지컬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주크박스 뮤지컬에서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을 위한 넘버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 뮤지션의 곡으로 구성된 작품이자,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공연되는 두 작품을 선정하였다. 아바의 곡으로 구성된 해외 라이센스 뮤지컬 <맘마미아>와, 김광석의 곡을 바탕으로 한 <그날들>은 단일 뮤지션의 곡으로 구성된 작품이자, 현재까지 꾸준히 사랑받으며 재상연되고 있는 작품이다. 이 두 작품의 스토리텔링과 넘버를 분석한 뒤, 갈등구조를 바탕으로 두 작품을 비교 분석한 뒤 스토리텔링을 위한 넘버 구성의 특징과 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분석한 결과, 주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작품 모두 중심이 되는 한 사건 및 주제를 통해 넘버의 통일성을 유지했다. 둘째, 극의 배경을 이야기하는 방식에서는 차이를 보이나 각 작품은 스토리텔링을 통해 개연성을 획득하고 있으며, 각 넘버는 이를 뒷받침 한다. 셋째, 극의 스토리텔링 구성 또한 각각의 작품에 차이가 있으나 넘버는 그 흐름을 해치지 않고 갈등의 해결에 기여한다. 넷째, 각 작품의 스토리텔링에서 갈등 해결의 주 역할을 담당하는 새로운 시대의 인물의 넘버가 극의 주요한 이야기가 되고 있다. 이상을 토대로 스토리텔링을 위한 넘버 구성을 연구하며 특기할 사항은 시대와 세대의 차이를 뛰어넘는 이야기와 메시지의 전달이 넘버를 통해 가능하며 이를 관객에게 납득시키기 위한 힘은 스토리텔링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다만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주크박스 뮤지컬 스토리텔링의 극적 구성을 ‘잘 알려진’ 넘버가 해치지 않아야 하며 이야기의 목적을 넘어서는 역할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이후에 창작될 주크박스 뮤지컬들이 그 발전 가능성을 고양하며 더욱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시도하되, 대중에게 향유될 수 있는 본질을 잃지 않기를 바란다. Jukebox musical has been produced and performed steadily after 2000s. Production method of jukebox musical that borrowing publicly loved and friendly music is universal production method of domestic creative musicals,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has settled down as one of major trends of domestic musicals.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whole produced musicals success in the market. Through many box-office failures, it has been clear that it is hard to lead the success of works only by the strength that the used music in jukebox musical, that are numbers, are familiar to audiences or arouse nostalgia. Eventually, it is the most important work building drama, that is storytelling, in musicals, and in terms of jukebox musical, it is clear that especially storytelling and numbers must form harmonized composition primarily. Though numbers are marvelous, since musical has to exist as united story, it is important that numbers must be appropriately composed and adopted to contribute to effective storytelling. This manuscript analyzed composition of numbers for effective storytelling of jukebox musical on the basis of the premise that the success of jukebox musical can be determined by how the music applied to storytelling when the music, which is well-known and loved by public, is used as number of musical. For this, two pieces are chosen that are composed of one musician’s pieces for each and are currently performed continuously. <Mamma Mia!>, which is overseas licensed musical composed of songs ABBA, and <The Days>, which is based on the songs of Kwang-Suk Kim, are the musicals that are consisted of single musician’s songs, and those pieces are steadily loved and continuously rerun. This article found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number composition for storytelling after comparative analysis of those two pieces based on discord structure which was figured out after analyzing storytelling and numbers of those two pieces. As a result of analysis, followings are major find outs. First, two pieces maintained its unity by one incident or one theme that is center of whole story. Second, it is different in the ways of developing backgrounds of those plays, but they all acquire probability through storytelling, and each number supports each storytelling. Third, there is also difference in terms of structuring each storytelling, but numbers never ruin the flow of storytelling and contribute to the solution of conflicts. Fourth, the number of characters of new era whom are in charge of major role for solving conflicts of storytelling of each piece becomes major story for the play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stated above, the special note as researching of number composition of storytelling is that deliverance of story and message, which are transcending difference of time and generation is possible by numbers, and it is evident that power to persuade spectators comes from storytelling. However, to achieve this aim, the ‘well-known’ numbers must not ruin the dramatic composition of jukebox storytelling, and it never acts as the role surpassing the purpose of story. Through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hopes jukebox musical, which will be produced further, promote its development possibility and try newer attempt and challenge, but hopes it never loses its core value that is enjoyed by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