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ictional characterization and reader response : a comparative transitivity analysis of Yi Sang's Nalgae and its translations and a reader-response questionnaire survey

        이상빈 韓國外國語大學校 通飜譯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876

        본 연구에서는 원문소설의 인물형상화(characterization)가 번역사의 동사성 선택(transitivity choice)에 의해 변화될 수 있으며, 번역사의 동사성 선택이 번역독자의 인물 수용(受容)에 실질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핼리데이(M. A. K. Halliday)의 동사성 모델을 기반으로 이상의 소설 「날개」와 서로 다른 3개의 영역본("Wings")에 나타난 주인공 "나"의 인물형상화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독자반응 설문조사(reader-response questionnaire survey)로 검증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체계기능문법(Systemic Functional Grammar)의 동사성 모델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인물형상화를 분석한 기존의 연구를 2가지 부류로 나누어 살펴본다. 첫 번째 부류에서는 동사성 모델을 통해 소설의 인물형상화를 분석한 연구들을 방법론 중심으로 검토하고, 두 번째 부류에서는 번역의 맥락에서 인물형상화의 변화를 분석한 선행연구들을 조명해 본다. 이어 제3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방법을 소개한다. 본 연구의 본론은 크게 세 부분(4장, 5장,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 동사성 모델을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제5장에서는 4장에서 논의된 한국어 동사성 모델과 기존의 영어 동사성 모델을 적용하여 이상의 「날개」와 그 영역본에 나타난 주인공 "나"의 인물형상화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5장에서 다룬 텍스트 분석의 결과가 실제독자(real readers)에게서도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자반응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론의 정립' – '이론의 적용(텍스트 분석)' – '분석결과의 검증'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3개의 연구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연구의 본론 부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제4장에서는 기존의 영어 동사성 모델을 수정•보완한 '한국어 동사성 모델'이 소개된다. 본 모델은 필자가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을 고려하여 정리한 것으로, 그 구체적 내용은 5장의 텍스트(이상의 소설 「날개」) 분석에 적용된다. 4장에서의 논의의 핵심은 동사성의 구성 요소인 "프로세스(process)"와 "참여자(participant)"이며, "상황(circumstance)"은 부수적 구성 요소로서만 간략히 언급된다. 한국어 프로세스는 물질적(material), 정신적(mental), 물질-행위적(material-behavioral), 정신-행위적(mental-behavioral), 관계적(relational), 구두적(verbal), 존재적(existential) 프로세스 등 유형별로 상세하게 논의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온라인 한국어 코퍼스("21세기 세종계획") 예문을 활용하여 독자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4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제5장에서는 「날개」와 서로 다른 3개의 영역본(TT1, TT2, TT3)에 나타난 주인공 "나"의 인물형상화를 분석한다. 분석대목은 (1) 주인공이 자신의 방에 대해 서술하는 부분, (2) 주인공이 아내의 방에서 불놀이를 하는 부분, (3) 주인공의 첫 외출, (4) 정오의 거리 등 총 4부분이며,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각각 "Demonstration 1", "Demonstration 2", "Demonstration 3", "Demonstration 4"로 약칭하고 각 부분에 대해 주인공의 동사성 분석(transitivity analysis)을 실시한다. 다만, Demonstration별로 3개의 영역본을 모두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번역사의 동사성 선택의 차이가 두드러진 번역문 2개를 고른 후, 이를 원문의 동사성 선택과 비교•분석하였다. 가령, Demonstration 1의 경우, 동사성의 차이가 큰 TT1과 TT3를 선택하고 이 두 번역을 ST와 비교하였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Demonstration 2의 경우에는 TT2와 TT3를 선택•분석하였고, Demonstration 3에서는 TT1과 TT2를, Demonstration 4에서는 TT2와 TT3를, 선택•분석하였다. 이 때 동사성 분석은 주인공과 관련된 프로세스의 유형, 성격, 기능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얻은 주인공의 인물형상화는 정량적 또는 정성적 방식으로 제시되었다. 제6장에서는 5장에서 실시된 텍스트 분석의 결과가 실제독자의 인물 수용과 비슷한지 확인하기 위해 독자반응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상호검토(crosscheck)가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3종의 설문지(Questionnaire A, B, C)를 구상하고, [이중언어구사자 집단1]에게 Questionnaire A를, [이중언어구사자 집단2]에게 Questionnaire B를, 그리고 [영어모국어사용자]에게 Questionnaire C를 답변하도록 하였다. 가령, Demonstration 1과 관련하여 [이중언어구사자 집단1]은 ST와 TT1을 읽은 후 두 글에서의 인물형상화를 비교하도록 하였고, [이중언어구사자 집단2]는 ST와 TT3를 읽은 후 [이중언어구사자 집단1]과 동일한 질문에 답변하도록 하였다. 한편, [영어모국어사용자]의 경우에는 TT1과 TT3를 읽고 같은 방법으로 인물형상화를 비교하도록 하였다. 모든 응답자는 각 Demonstration과 관련하여 객관식 1문항, 주관식 1문항을 부여 받아, 총 8개의 질문(Demonstration 4개×2문항)에 답하였다. 설문 결과는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 제시되었다. 끝으로, 제7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이 4~6장 중심으로 정리되며, 연구의 의의와 한계, 향후 연구가능 영역 등이 소개된다.

      • Conductivity Gradient Lithium Hosts based on Hetero-fibrous Scaffolds for Lithium-Metal Batteries

        Hong, Sang-Ho Graduate School of UNIST 2019 국내석사

        RANK : 2863

        Metallic lithium (Li) have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owing to its high theoretical capacity (3860 mAh g-1) as a promising anode candidate for next-generation battery. However, uneven plating/stripping behaviors of Li metal leads to severe safety issues and poor cycling performance due to formation of dendritic Li, seriously impeding the practical Li metal-based batteries. Here, we demonstrate a newly designed Li metal host (Li host) based on hetero-fibrous scaffold composed of one-dimensional (1D) electronic conductor (copper nanowire, CuNW) and electronic insulator (cellulose nanofiber, CNF) with electronic conductivity gradient structure. The electronic conductivity gradient architecture in the new scaffold offers stable Li plating/stripping behaviors which form preferential and uniformly dense Li deposition on the bottom layer with high electronic conductivity and suppression of Li dendritic growth on top surface of non-conductive top layer. Additionally, the middle layer which has well-tailored electronic conductivity enable effectively suppression dead Li formed from bottom layer and support to enhance actualization of long-term cyclability. These featur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Li host with electronic conductivity gradient achieve high Li utilization (>96% coulombic efficiency) and superior cycling stability at the current density of 1 mA cm-2 over 250 cycles. The resultant of NCM811||Li@host full-cell shows excellent cycling performance and structural stability of anode, thus demonstrating proper as Li host for high-energy density Li metal batteries.

      • Molecular orientation of HAT-CN studied by angle-dependent x-ray absorption spectroscopy

        이상호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5 국내석사

        RANK : 2847

        유기 박막 소자는 π 결합 분자의 높은 이방성으로 인해 그들의 분자 정렬상태에 따라 소자동작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각도변화 X선 흡수 분광법을 이용하여 hexaazatriphenylene?hexacarbonitrile (HAT-CN)의 두께 변화를 통한 분자 정렬상태를 연구하였다. 우리는 초기 분자층의 밀도 변화에 따라 분자가 서있거나 누워있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 더욱이 우리는 zinc phthalocyanine (ZnPc)을(를) HAT-CN의 분자 정렬상태와 관련이 있는지 경사각을 조사하였다. 이는 ZnPc이(가) 직접적인 배열과 관계없이 π-π 상호 작용으로 잘 정렬됨을 보았다. The orientation of the constituent molecules in organic thin film devices can affect significantly their performance due to the highly anisotropic nature of π-conjugated molecules. We report here an angle dependent x-ray absorption study of the control of the molecular orientation of hexaazatriphenylene-hexacarbonitrile (HAT-CN) using various film thicknesses. We find that the orientation of the initial molecular layer changes from lying-down to standing-up depending on layer density. Furthermore, we measured zinc phthalocyanine (ZnPc) tilt angle depending on molecular orientation of the HAT-CN interlayers. It showed that the subsequent ZnPc tilt angle improves the π-π interaction at the interface due to well-ordered interlayers regardless of the orientation direction.

      • Role of CuO and CeO2 Nanoparticles as Lubricant Additives in Modification of Their Tribolog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Siraj, Azam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847

        This comprehensive study explores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incorporating nanoparticles into lubricating oils to optimize their tribological,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The investigation encompasses three distinct studies, each focusing on different types of nanoparticles and their profound impact on lubricant performance. The initial study centers on the integration of copper oxide (CuO) nanoplatelets, synthesized through sonochemical methods, into a commercially available fully synthetic lubricating oil (5W-40). Employing a specially designed reciprocating tribometer, the research unveils a substantial 32% reduction i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CoF) with the addition of merely 0.1% CuO nanoplatelets, underscoring the potential for improved tribological efficiency and consequential energy savings. The second study introduces copper oxide (CuO) nanoballs as additives in polyalphaolefin (PAO) oil, showcasing a remarkable 37% reduction in COF with a mere 0.01 wt% of CuO nanoballs. This study emphasizes the pivotal role of nanoparticle shape, emphasizing a significant rolling effect contributing to enhanced lubrication efficiency. The third study explores the incorporation of bio-synthesized cerium oxide (CeO2) nanoparticles, unveiling their multifaceted impact on thermal, tribological,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Exhibiting a substantial 26% reduction in CoF, a notable 50% increase in thermal conductivity, and a stable Newtonian behavior, these nanoparticles prove their efficacy in enhancing lubrication and extending machinery lifespan. Collectively, this thesis provides invaluable insights into the potential of various nanoparticles as additives in lubricating oils, presenting promising avenues for the development of advanced nanolubricants with superior efficiency and durability across diverse industrial applications. The research marks a significant stride in advancing the field of lubrication technologies, promising transformative impacts on machinery performance and operational longevity.

      • Simvastatin induces ER stress and p53-mediated apoptosis via eIF2α

        이상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847

        In addition to cholesterol lowering effect, statins have pleiotropic effects including cytotoxicity to cancer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ignaling pathways leading to apoptosis induced by simvastatin. Simvastatin induced apoptosis was accompanied by stabilization and translocation of p53 and Bax to mitochondria. The stabilization and the translocation of Bax were alleviated in p53 knockdown MethA and p53-/- HCT116 cells, suggesting p53-dependence of Bax translocation. Simvastatin also induced cardinal features of ER stress; phosphorylation of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related proteins including PERK, eIF2α, and JNK, up-regulation of CHOP/GADD153 and Grp78/Bip, and activation of caspase-12 in MethA cells. Salubrinal, an inhibitor of dephosphorylation of eIF2α, sustained phosphorylation of eIF2α, suppressed the simvastatin–induced apoptosis, and reduced the stabilization and translocation of p53 and Bax. SP600125, a JNK kinase inhibitor, did not affect the apoptosis and the translocation of p53 and Bax in the condition. Furthermore, PERK knockdown or over-expression of a mutant form of eIF2α (Ser51/Ala, eIF2α-mt) sensitized MethA and HCT116 cells to the simvastatin-induced apoptosis. Over-expression of the eIF2α-mt also enhanced the stabilization of p53 and Bax in response to simvastatin. Consistently, we observed significant translocation of p53 to mitochondria in the eIF2α-mt expressing clone relative to the eIF2α-wt expressing clone in confocal microscopy analy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K-eIF2α axis is involved in stabilization and translocation of p53 and Bax to mitochondria, and eIF2α plays an essential role in induction of ER stress-mediated apoptosis by simvastatin.

      • Scalable production of PbI₂-DMSO complex powder for reproducible perovskite solar cells

        이상진 Korea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847

        As perovskite solar cells (PSCs) achieve efficiencies of ~ 25% close to commercialized silicon solar cells, research on the commercialization of PSCs is now needed. For this purpose, not only the large-area process of PSCs but also the study of materials that can be mass-produced and stored for easy use should be conducted. PbI2-DMSO (dimethyl sulfoxide) complex is essential to fabricate high quality perovskite film. PbI2-DMSO complex powder with consistent DMSO composition can be synthesized regardless of reaction volume scale by solvent extraction method using isopropanol (IPA). Because IPA has proper affinity with DMSO, it can extract only one molecule of DMSO from PbI2-DMSO2 complex. Moreover it can tear off DMSO more evenly than conventional vacuum drying process through liquid phase reaction. Due to the compositional uniformity of PbI2-DMSO complex powder prepared by solvent extraction process, the PSCs could be fabricated very reproducibly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for commercialization of PSCs.

      • Confirm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QTL) for spikelets per panicle and awn length using near isogenic lines derived from an interspecific cross between Oryza sativa and O. minuta

        LUONG NGOC HA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847

        Rice (Oryza sativa L.) grain yield is determined by four yield components: panicles per plant, spikelets per panicle, grain weight and spikelet fertility. Among them, spikelets per panicle (SPP) shows a variation and makes the large contribution to yield output and was the major objective of high-yield breeding. In our previous study, one putative QTL affecting the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qSPP7) was identified on the long arm of rice chromosome 7 across a 28.6-kb region using near-isogenic lines (NILs) derived from an interspecific cross between the Korean japonica ‘Hwaseongbyeo’ and O. minuta. In the current study, we confirmed this QTL using 540 BC8F2 plants for genotyping and 13 recombinant BC8F3 lines for trait evaluation. The qSPP7 was mapped between two simple sequence repeat (SRR) markers RM4952 and RM21605. The O. minuta segment on chromosome 7 introgressed into the ‘Hwaseongbyeo’ background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Additional experiment under short-day length condition indicated that NIL-SPP7 was photoperiod sensitive and qSPP7 was not associated with heading date. Like many other important traits in plant breeding, awn length is also a complex trait controlled by multiple genes. In our previous study, the qawn9 QTL was identified on chromosome 9 in NILs derived from an interspecific cross between Hwaseongbyeo and O. minuta. To continue our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firm and narrow down the target region containing the QTL associated with awn length on chromosome 9 using a F2 population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the Korean indica cultivar ‘Milyang 23’ and NIL-Awn9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Hwaseongbyeo’ and O. minuta). QT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r genotype and awn length. We confirmed that O. minuta allele in the target QTL awn9 locus within 96-kb interval between markers VNR10 and RM215 controlled awn development. Thus, the identified QTL and their linked-markers could become a valuable source for the map-based cloning of the gene controlling awn development. 벼의 수량성은분얼수,수당립수,종자중,종자의 임실률에 의해 결정된다.이 중수당립수는 다양한 변이를 보이고수량 증가에 크게 기여하며, 다수성을 목표로 한 육종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이전의 연구에서 한국 자포니카 품종인 화성과 야생벼인O. minuta교배 후대 근동질 계통을 이용하여수당립수를 증가시키는 양적 유전자좌qSPP7(spikelet per panicle)이 7번 염색체 28.6-kb 지역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본 연구에서는 540개의 BC8F2개체의 유전자형을 검정하고 그 중 13개의 BC8F3재조환 계통의 표현형을 조사하여 수당립수를 조절하는 QTL위치를 재확인하였다.qSPP7은 SSR마커인 RM4952와 RM21605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화성벼의 유전적 배경에 이입된 O. minuta염색체 단편이 수당립수 증가에 관련있는 것으로 보인다.추가적인 실험에서 단일조건에 NIL-SPP7은 일장감응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이는 qSPP7이 출수기와 연관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식물 육종에 있어 중요한 다른 형질들과 같이 까락길이도 다수의 유전자에 의해 조절된다.선행 연구 결과에서 qawn9는 화성벼와O. minuta종간교잡 후대 근동질 계통에서 탐지되었고,9번 염색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본 논문에서는 한국 인디카 품종인 밀양23호와 NIL-Awn9 (화성벼와O.minuta교배 후대)를 교배하여 얻은 F2계통을 이용하여 양적유전자좌 범위를 좁히고, 분자 표지를 통해 확보한 유전자형과 표현형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awn9은 분자 표지인 VNR10과 RM215사이에서 확인되었으며,그 거리는 96-kb인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연구 결과로 통해 밝혀진 양적유전자좌와 연관된 분자 표지들은 까락의 발달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밝히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