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ouis I. Kahn의 建築에 나타난 構造主義的 特性에 관한 硏究

        전영식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805

        Kahn의 建築과 構造主義 建築의 相關性을 밝히는 것이 本 硏究의 觀心이자 主題였다. Kahn의 建築의 本質에 대한 探究와 그의 建築思想들은 建築的 秩序 追求와 關係를 통한 深層構造의 探究를 目標로 하는 構造主義 建築의 思想과 깊은 相關性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몇몇 建築史學者들의 言及에도 不拘하고 이에 대한 具體的인 硏究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本 硏究는 兩者의 相關關係를 解析하고 Kahn 建築의 深層槪念 把握을 目的으로 하였다. 第 2章에서는 硏究를 위한 豫備的 考察로서 構造와 構造主義의 槪念 및 構造主義의 方法論的 特性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構造主義의 建築的 背景과 構造主義 建築이 發生하여 適用되는 過程을 살펴보고, 構造主義 建築을 內在的 側面과 形式的 側面으로 區分하여 前者로부터 關係性, 全體性과 個體性 및 共時性이라는 3가지 構造主義 建築의 特性을 抽出하였다. 이 특성은 Kahn의 建築思想과 構造主義 建築의 特性을 比較하여 主題에 接近할 수 있는 分析틀로 使用되었다. 第 3章에서는 Kahn의 建築思想的 背景과 建築史的 位置를 點檢해보고 그의 代表的인 建築思想들인 Order, Form, Room, silence와 light의 槪念이 나타내는 屬性을 통해 構造主義의 基本槪念과 어떠한 類似性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第 2章에서 抽出한 分析틀을 使用하여 Kahn 建築의 構造主義的 特性이 槪念要素와 形態要素로 表現되는 過程을 살펴보았다. 第 4章에서는 Kahn의 建築思想을 代表하는 5개의 主要 作品을 통해 Kahn이 使用한 構造主義的 特性을 實際作品에서 確認하고, 이것으로서 Kahn 建築의 深層槪念을 分析하였다. 이상의 硏究로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歷史決定論的 世界觀에 反對한 構造主義는 共時的 時間槪念과 關係의 意味에 注目하고 있으며, 現象에 대한 全體的 接近을 特徵으로 하고 있다. 構造主義 建築과 Kahn의 建築에 있어서 이러한 特徵은, 全體와 部分을 統制하는 關係의 意味가 Kahn 建築의 中心槪念인 Form과 Room에 作用하는 秩序(Order)의 意味에 對應되고, 이 過程을 共時的 時間槪念이 貫通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構造主義 建築의 特性인 關係性, 全體性과 個體性 및 共時性이 Kahn의 建築에서도 나타남을 確認함으로서 建築史學者들이 提起했던 構造主義 建築과 Kahn의 建築사이의 關聯性을 立證했다. 셋째, Kahn 建築의 關係性은 意味의 變形․生成과 ‘空間의 分化’로서 나타나고, 全體性과 個體性은 ‘幾何學的 秩序’ 및 ‘빛’의 意味로서 表現되고 있으며, 共時性은 ‘前例의 意味’와 이를 實現하기 위한 ’創造的 技術‘이 結合함으로서 나타나고 있음을 確認하였다. 넷째, Kahn은 建築의 本質에 대한 持續的인 觀心을 통해 前例의 意味를 現在에 媒介시키고 建築을 統合된 全體로서 完結시키고 있다. 이처럼, Kahn의 建築이 갖는 獨創性과 創造性의 源泉은 根源的인 時間에 대한 理解와 現象의 裏面에 숨어있는 深層構造의 發見과 適用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 Louis I. Kahn의 건축에 나타난 '신성(神聖)상징'에 관한 연구

        심재익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61

        루이스 칸(Louis I. Kahn, 1901-1974)은 그의 건축에서 영원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근대건축이 부정한 건축 형태의 상징성을 회복시키려 했다. 그는 형태의 상징적 의미를 소거한 채 기능을 우선하는 보편적 공간(Universal Space)을 추구했던 근대건축에 반대하여 형태를 기능보다 우위에 있는 것이라고 했다. 칸은 형태가 기능보다 우위에 있으려면 형태는 초월적이고 영구적이며 이상적인 특성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했다. 때문에 그의 건축은 인간의 집단무의식에 존재하는 원형(原型)으로서의 상징성 강한 기하학적 형태를 하고 있으며, 원시의 건축에서부터 발견되는 건축의 본질적 원리를 추구하고 있다. 현대건축에서는 건축 형태를 논할 때, 시각적인 차원에만 국한되어 건축의 본질적 원리를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은 ‘영원성’에 바탕을 둔 루이스 칸의 건축을 고찰함으로써, 그가 추구했던 ‘건축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칸이 건축 사상을 형성하고 적용시킬 수 있었던 시기를 50년대 예일대학 미술관(Yale Art Gallery)부터라고 보기 때문에 그 이후의 작품을 대상으로 ‘신성 상징’의 요소들을 분석하고, 특히 후기의 주요 작품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는 먼저 2장에서 Eliade의 이론을 바탕으로 ‘신성 상징’의 의미와 건축에서 초월성, 신성성이 나타나는 배경으로 ‘신성한 공간’의 개념과 건축과 인간 존재의 우주론적 의미에 대하여 밝힌다. 3장에서는 루이스 칸이 ‘신성 상징’을 사용하게 되는 배경으로, 먼저 그의 건축 사상의 개념을 발전 단계에 따라 ‘질서’-‘형태와 디자인’-‘침묵과 빛’의 순서로 고찰하고, 2절에서는 그의 심오하고 영적인 사상이 시대적 상황, 교육적 배경, 당시의 철학, 그리고 유태인적 가정환경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며, 3절에서 칸이 건축의 기원에 대한 탐구를 통해 건축의 본질을 추구했음을 보인다. 4장은 ‘신성 상징’의 방법으로 빛, 물, 하늘, 중심, 수와 기하학, 만다라의 상징 요소를 추출하고, 각 요소들의 상징적 의미를 밝힌다. 5장은 1절에서 칸의 작품의 한 특성으로서 ‘신성 상징’을 증명하기 위해 작품 전반에 걸쳐서 논의하고, 2절에서는 주요 작품에 대하여 심도 있게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6장은 이상의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 낸다. 1. 루이스 칸의 ‘신성 상징’은 그의 종교적 신념과 유태인적 가정환경의 영향으로 궁극적 존재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통해 ‘건축의 본질’을 추구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2. 칸의 건축의 본질 추구는 건축 형태의 상징적 의미로서 영원성, 초월성, 즉 신성 상징으로 표현되는데, 그것은 빛, 물, 하늘, 중심, 기하학, 만다라 등의 상징성에 의존하고 있다. 3. 칸의 건축에서 각 상징요소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① 빛은 그만의 독특한 방법으로 공간에 생명을 부여하는 빛으로 사용된다. ② 물은 많이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그의 침묵의 개념에서 보듯이 물에 대한 생명의 잠재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새로운 창조나, 마음을 다스리는 요소로 사용된다. ③ 하늘은 우산모양의 볼트지붕이나 피라미드 형태로, 그것으로부터 신성한 빛이 흘러내리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④ 중심은 중앙 성소공간으로, 평면 형태로는 구심적 동심원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정원, 우주적 기둥으로서의 속빈 기둥, 지구라트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⑤ 기하학은 그의 건축원리의 절대적인 구성방법인데, 특히 가장 이상적인 하늘의 상징인 원과 땅의 상징인 정방형이 결합된 형태를 하고있으며, 그 구성방법은 사각법에 의한 구성을 따른다. ⑥ 칸의 건축은 일종의 만다라로 계획되어 소우주를 표상하거나 명상을 위한 공간을 부여하고 있다. 4. 50년대 이후의 칸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특히 빛, 중심, 기하학이 주요 상징요소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후기의 주요 작품들에서는 많은 상징요소들이 나타난다. 이것은 칸이 훌륭한 건축은 가능한 한 많은 태고유형적 형태특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했던 것과 일치한다. 이상의 논의에서 칸의 건축은 고대의 건축에 내재되어있는 소우주로서의 건축, 신성을 상징하는 초월적 공간으로서의 건축을 추구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것이 칸이 추구했던 건축의 본질인 것이다.

      • The effects of fluency of lexical and phonological retrieval processing on spoken word duration

        Kahn, Jason Michael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2015 해외박사(DDOD)

        RANK : 247359

        Spoken words vary considerably in their duration, for a variety of reasons. The current work focused specifically on two of those reasons -- the difficulty of lexical retrieval and phonological retrieval and integration -- to assess whether they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fluence the duration of the time to begin speaking and the duration of the words in a simple utterance. Previous work of mine and others has shown that word duration is sensitive to factors that may influence lexical and/or phonological retrieval (Bell et al., 2009; Gahl, 2008; Kahn & Arnold, 2012; Schriefers et al., 1999; inter alia), but never in a context that examined the timing of the mechanisms underlying those factors. The current experiments manipulate the semantic and phon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a prime and a target uttera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and their timing. They also manipulate the difficulty of processing other words in a multi-word utterance than the target, to assess whether word duration is affected by that difficulty. The first two experiments focused on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prime and target, and found that, consistent with prior work, semantic relatedness between prime and target lengthened utterance latencies to begin speaking, while primes that were identical to the target shortened them. Semantic relatedness did not have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word duration, however, as contrasted with identical primes (which shortened both latencies and durations) and phonologically-related primes. The second two experiments focused on the phon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prime and target. Once again consistent with prior work, this relationship elicited shorter latencies. Importantly, it also elicited durational lengthening, most likely as a function of the speaker's language production system having to ensure that it produces the target's phonemes instead of the prime's. Experiments 2 and 4 also included a manipulation of the final word in the utterance (not the target), whether it was consistent between trials or randomly chosen. When it was consistent, it tended to shorten latency to begin speaking, and somewhat less-reliably the duration of the object word and the final word. The findings together show that lexical retrieval is less involved in the determination of duration than phonological retrieval and/or integration. Further, they show that the language production system does not determine the duration of the words in an utterance before it begins speaking that utterance -- rather, word duration emerges partly as a function of the ongoing ease or difficulty of completing processing, particularly phonological retrie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