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대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가적 성차별 태도가 자기개념 명확성에 미치는 영향 : 성역할 태도의 매개효과

        황다영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가성을 띤 성차별적 태도가 딸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여대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가적인 성차별 태도가 딸의 자기개념 명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때 딸의 성역할 태도가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여자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가적 성차별 태도, 성역할 태도,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 등을 포함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양가적 성차별 태도의 하위요인인 적대적 성차별과 온정적 성차별은 성역할 태도와는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자기개념 명확성과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나타냈다. 이들 변인 간 매개모형을 검증했을 때, 적대적 성차별과 온정적 성차별 모두 성역할 태도를 매개로 자기개념 명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가 자신의 어머니가 적대적인 혹은 온정적인 성차별적 태도를 더 많이 보인다고 지각할수록 남녀의 역할공유를 지지하는 현대적인 성역할 태도를 나타냈으며 이런 태도는 자기개념 명확성을 감소시켰다. 이 같은 결과는 어머니가 적대적이든 온정적이든 성차별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생각할수록 자녀는 더욱 현대적인 성역할을 지향하지만, 이를 온전히 안정적인 자기개념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성차별이라고 했을 때 자동적으로 떠올리게 되는 적대감을 동반한 성차별 즉, 적대적 성차별뿐 아니라 피상적으로 온정주의를 표방하고 있는 성차별인 온정적 성차별 또한 딸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mother's ambivalent sexism on her daughter.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the mother's ambivalent sexism recognized by a university student daughter on her daughter's self-concept clarity and to find out whether the daughter's gender role attitud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ich included their mother's ambivalent sexism, gender role attitude, and self-concept clarity scal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hostile sexism and benevolent sexism, which are sub-factors of ambivalent sexis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gender role attitude, while i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lf-concept clarity.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on model among these variables demonstrates that both hostile sexism and benevolent sexism affect self-concept clarity through gender role attitude. In other words, the more a child perceives that her mother displays hostile or benevolent sexism, the more she expresses a modern gender role attitude that supports role-sharing between females and males, and this attitude reduces self-concept clarity. This result shows that the more a child assumes her mother is showing sexism, whether it is hostile or benevolent, the more she pursues modern gender roles, while this is not included in the self-concept clarity. This study shows that not only hostile sexism, which automatically comes to mind when we think of sexism but also benevolent sexism that superficially advocates paternalism affect the daughter.

      • 국내 폭력가해 청소년 대상 재범방지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연구

        황다영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행되어 온 폭력가해 청소년 대상 재범 방지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다양한 효과들을 종합하여 평균효과 크기를 산출해 낼 수 있는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1은 폭력가해 청소년 대상 재범 방지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2는 폭력가해 청소년 대상 재범 방지 프로그램의 하위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를 구하는 것으로 세부적으로 나누면 첫째, 프로그램의 구성에 따른 효과크기, 둘째, 프로그램의 측정도구 및 설계 방법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 셋째, 프로그램의 연구 대상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 넷째, 프로그램의 운영방식에 따른 효과크기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논문은 2003년부터 2019년까지 출편된 18편의 석·박사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이었다. 최초 선정된 126편의 편의 논문들 중 메타분석을 사용할 수 최종 연구 선정 과정(PRISAM)을 준수하여 자료수집 후, 최종 분석 대상을 선정하였다.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메타 분석을위한 전문 프로그램 인 CMA (Comprehensive Meta-Analysis) 2.0이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8편의 논문에서 72개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으며, 동질성 검증에서 효과크기가 동질하지 않은 집단에서 표집된 것으로 나타나 랜덤효과를 적용한 값을 활용하였다. 랜덤효과를 이용하여 산출된 평균 효과 크기 값은 0.878이며 이는 Cohen(1988)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0.8 이상은 큰 효과크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폭력가해 청소년 대상 재범 방지 프로그램은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프로그램의 하위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를 살펴보면, 첫째, 프로그램의 구성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예술치료 프로그램(ES=1.083)과 인지치료 프로그램(ES=0.883)이 큰 효과크기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측정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결과를 살펴보면 자아(ES=1.399)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프로그램 참가 경로가 교내징계(ES=1.040)인 경우 사법제도 처분(ES=0.871)보다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남자 청소년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ES=1.314)과 14∼16세(ES=1.029)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넷째, 프로그램의 운영방식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 인원은 10명 미만(ES=1.158), 총 회기 수는 14회(ES=1.168), 1회기당 진행시간은 120분 초과 ∼180분 이하(ES=1.20), 프로그램 운영기간은 5주 초과(ES=1.00)인 경우 큰 효과크기였다. 본 연구는 폭력가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재범방지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검증한 결과 큰 효과크기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프로그램의 하위 구성요소(프로그램의 구성, 측정도구 및 설계방법, 연구 대상, 프로그램 운영 방식)에 따른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연구 성과를 통합하여 도출된 결과가 폭력가해 청소년 대상 재범방지 프로그램 설계 시 실제적인 지침이 되길 바라며 이후 폭력가해 청소년을 대상 재범방지 프로그램의 구성과 진행에 도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revention repeated conviction program on the violent behaviors youth in Korea. As a research method, we used meta – analysis method which can calculate average effect size by synthesizing various effects. The research problem 1 was to obtain the average effect size of prevention repeated conviction program for violent behaviors youth. The research problem 2 is to obtain the difference of effect sizes according to the sub characteristics, First,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 second, the averag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program measurement tool and design method, Third, the averag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 of the program, and fourth,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rogram. The target papers were 18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journals published from 2003 to 2019. Meta-analysis was selected among the 126 papers selected from the first selected papers, and the final analysis was selected after data coll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final research selection process (PRISAM). Based on these data, CMA (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a specialized program for meta-analysis, was utiliz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72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from 18 papers. In the homogeneity test, the effect size was sampled in the homogeneous group. The mean effect size value calculated using the random effect is 0.878, which is larger than 0.8 according to the standard proposed by Cohen (1988). Therefore, the program for preventing recidivism of juvenile violence victims is significant.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program composition, the art therapy program (ES = 1.083) and the cognitive therapy program (ES = 0.883) were large effect sizes. Second, the magnitude of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program showed that the ego(ES = 1.399), When the program participation path was school discipline (ES = 1.040) the effect size was higher than the judicial system disposition (ES = 0.871). Third, the magnitude of the effects of sex and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the largest effect size of the program consisting of male teenagers (ES = 1.314) and 14-16 years old (ES = 1.029).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program operation method, the number of program was less than 10 (ES = 1.158),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was 14 (ES = 1.168) (ES = 1.20) and the duration of program operation was over 5 weeks (ES =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prevention repeated conviction program for violent behaviors youth were verifie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effect siz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ubcomponents of the program (program composition, measurement tools and design method, study subjects, program operation method). We hope that the result obtained by integrating each research result through this study will be a practical guideline in the design of prevention repeated conviction program for violent behaviors youth and I hope that it will help constitution and progress of prevention repeated conviction program for violent behaviors yo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