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아탄력성이 보험사 영업사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천미영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물질문명의 혜택과 향유에도 불구하고, 환경 변화에 따른 사회 곳곳의 위험요소가 항시 도사리고 있어 누구에게나 질병과 사고, 재난이 닥쳐올 수 있기에 대다수의 많은 사람들은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삶을 보장받기 위해 보험상품을 가입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 따라, 다수의 선량한 보험가입자들을 보호하고 보험 본연의 목적이 충실히 수행되기 위해서는 보험가입을 권유하고 체결된 계약의 유지, 관리를 해주는 보험설계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안타깝게도 보험설계사의 이직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오늘날 고객들의 금융 전반에 대한 기대 수준은 점점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전문 지식과 수준 높은 서비스 제공을 요구하는 시대에 보험설계사는 해당 능력이 준비되어 있어야만 경쟁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데, 이러한 요인들이 직무스트레스를 유발시킴과 동시에 직무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국 이직으로 연결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아탄력성은 이러한 보험설계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 대처능력을 높여 이직률을 낮추는데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아탄력성이 보험사 영업사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자아탄력성은 전체 평균 5점 만점에 3.55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분석을 통해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을 가장 높게 자각하고, 분노조절을 가장 낮게 자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는 전체 평균 5점 만점에 2.53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근무하고 있는 직장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자아탄력성과 이직의도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대인관계 효율성과 자신감이 높고 분노조절이 잘 될수록, 낙관적 태도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아탄력성과 이직의도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분노조절이 잘 될수록, 자신감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효율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자아탄력성 하위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낙관적 태도, 대인관계 효율성, 자신감은 보험설계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분노조절은 상대적으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정적 감정상태를 조절하고 다스리는 데 도움이 되는 심리, 정서 회복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원하는 등 보험설계사의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기업의 노력과 보험설계사 스스로의 관리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자아탄력성이 보험설계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만족도를 높여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있어 도움이 되는 요인이기에, 향후 보험설계사의 자아탄력성에 대한 보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Despite enjoyment and benefits of material civilization, ever-present risk elements because of the change of environment make most of people take out insurance to resolve vague anxieties and obtain stable life. In this context, insurance salesperson who recommend buying insurance, maintain and manage contract to protect many naive policyholder have an important role to implement the intent of the insurance. But unfortunately, the turnover rate of salesperson is increasing gradually. As recent client’s expected levels for the overall financial system increase, salesperson should acquire various expert knowledge and ability to offer high-quality service. Only with those abilities, salesperson could outrival other sellers. These ‘competitive’ factors cause job stress, and negative effect on being immersed in occupation, which is linked to turnover. Ego-resilience is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 on lowering job stress and improving coping abiliti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investigate this. This descriptive research investigate the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insurance salespers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go-resilience of the participants was 3.55 on the total score of 5, which is more than average. By investigating respondent, they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self-confidence and the lowest level of anger control among the sub-factors of ego-resilience. Turnover intention was 2.53 on the total score of 5, which indicates that they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job they are currently working in.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go-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ego-resilience. The higher the efficienc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ntrol of anger, the confidence and the optimistic attitude, the higher the ego-resilienc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Especially, it shows that the higher efficienc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trol of anger, and the confidence,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ego-resilience sub-factors on the turnover intention, optimistic attitude, efficienc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fidence do not have an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but anger control does relatively. The prior research identifies that insurance salesperson’s own care and firm’s efforts to increase seller’s ego-resilience by developing and supporting mentality, emotion recovery programs helpful to control negative emotional state. Additionally, it is considered that more research on the ego-resilience of insurance salesperson is necessary in the future because ego-resilience is an adjuvant factor in lowering the jab stress and raising satisfaction and then, lowering turnover intention.

      • Rifamycin을 생산하는 Amycolatopsis mediterranei로부터 relA의 특성 : Characterization of relA gene from Amycolatopsis mediterranei producing rifamycin

        천미영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mycolatopsis mediterranei, a rare actinomycete, produces important antibiotic, rifamycin. The rifamycins are a subclass of the larger family ansamycin. they are an important polyketide antibiotic used in the treatment of tuberculosis and leprosy. In bacteria, (p)ppGpp is causing the inhibition of RNA synthesis when there is a shortage of amino acids present. However, (p)ppGpp influences the overall gene expression pattern in the cell so that many genes required for survival in stressful conditions are up-regulated. In this study, relA gene encoding (p)ppGpp synthetase was cloned from A. mediterranei and its function as antibiotic production-increasing activity has been studied. relA was obtained by PCR using the primers that is designed based on amino acid sequence of previously studied RelA of actinomycetes. The obtained PCR product showed high homology to the expected region of a relA gene. By fosmid library construction, an intact 8.2 kb relA was obtained from genomic DNA from A. mediterranei. To identify the function of the cloned genes, the high expression vectors were constructed by using pSET152ET and introduced into A. mediterranei and S. lividans TK24 that was employed as a host for the confirmation of inducer gene activity for secondary metabolite production. In S. lividans TK24, actinorhodin production of exconjugant including relA high expression vector was increased as contrasted with control strain. In A. mediterranei, rifamycin and spore production of exconjugant including the relA high expression vector was increased more than wild-type strain and exconjugant including only pSET152ET. Therefore, it suggests that relA gene of A. mediterranei is related to the rifamycin production and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방선균은 Gram 양성의 사상균으로 토양, 바다, 강, 대기 등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토양에서 대다수가 분리되어 토양 미생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 방선균은 원핵생물임에도 불구하고 포자, 기저균사, 기중균사, 포자라고 하는 복잡한 life cycle을 가지며, 매우 다양한 형태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인 특징이 있다. 또한 방선균이 생산하는 이차대사산물의 경우 현재까지 보고된 유용 생리활성물질 중 60% 이상을 차지하며, 농업, 식품산업, 의약산업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색소, 효소저해제, 항생제, 항암제, 면역억제제 등 다양한 종류의 생리활성물질과 유용한 효소를 생산한다. Amycolatopsis속은 희소방선균으로서 높은 GC함량을 가지며, population이 작고, 생육이 느리며, 영양 요구성이 많다. 이차대사산물로는 rifamycin과 vancomycin 등의 중요한 항생물질의 생산 균을 포함하며, 미생물 변환능력을 갖는 많은 균이 있는 것이 특징으로 공업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방선균이다. Amycolatopsis mediterranei에 의해 생산되는 rifamycin은 ansamycin계열의 항생물질로서 방향족 핵을 연결하는 ansa bridge라 불리는 지방족 사슬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결핵과 나병에 강한 항균성을 나타내어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지만, Gram 양성균과 Gram 음성균인 neisseria gonorrhoeae에도 유효하고, AIDS 후유증과 관계가 있는 Mycobacterium avium, virus, eukaryotes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rifamycin은 bacteria의 RNA중합효소의 전사개시단계를 특이적으로 저해한다. relA는 아미노산 결핍 상태일 때 ppGpp를 합성하고, 합성된 ppGpp는 RNA polymerase에 결합하게 되어 이차대사산물 생산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ifamycin을 생산하는 Amycolatopsis mediterranei로부터 relA 유전자를 cloning하고 이차대사산물 생합성 조절작용에 대해 연구하고자한다. 방선균의 pheno에 relA 고발현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relA 고발현 vector를 구축하였고, E. coli ET12567 (pUZ8002)을 이용한 transconjugation 방법을 이용하여 actinorhodin을 생산하는 S. lividans TK24와 rifamycin을 생산하는 A. mediterranei에 도입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exconjugant들은 Southern hybridization으로 확인하였다. Actinorhodin의 생산량 비교는 S. lividans TK24 wild-type과 pSET152ET만을 포함한 exconjugant 그리고 relA 고발현 exconjugant를 비교함으로서 분석되었고, rifamycin생산량 또한 A. mediterranei wild-type과 pSET152ET만을 포함한 exconjugant 그리고 relA 고발현 excongugant를 비교함으로서 분석되었다. 그 결과 actinorhodin 생산의 경우, relA 고발현 exconjugant가 wild-type과 pSET152ET만을 포함한 exconjugant보다 actinorhodin의 생산량이 약 5배 증가하였다. Rifamycin 생산 또한 wild-type과 pSET152ET만을 포함한 exconjugant보다 relA 고발현 exconjugant의 생산량이 약 3.1 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분화는 A. mediterranei wild-type, pSET152ET만을 포함한 exconjugant, 그리고 relA 고발현 exconjugant를 비교하였으며, 균사 형성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wild-type과 pSET152ET만을 포함한 exconjugant보다 relA 고발현 exconjugant의 포자수가 17-19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클로닝 된 A. mediterranei 유래 relA 유전자는 방선균의 이차대사산물 생산과 형태분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E-서비스 케이프와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감정적 반응이 인터넷 쇼핑몰 성과에 미치는 영향

        천미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고객의 구매성향은 단순히 제품의 특징이나 제품이 주는 이익에 구매성향이 좌우되지 않는다. 합리적인 제안보다는 제품에 담긴 이야기나 자신만의 감성을 자극하여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감성중심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고 구매를 하고 있다. 구매 장소 또한 물리적 매장에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한 쇼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기존에 인터넷 쇼핑몰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이러한 최근 고객의 구매성향을 반영한 인터넷 쇼핑몰에 관한 연구는 미약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는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에 그 초점을 두고자 한다. 즉, 인터넷 상에서의 환경, 즉 서비스 E- 서비스 케이프, 소비자 특성, 감정적 반응, 태도, 재방문의도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인터넷 환경적 요인과 소비자 특성에 의한 소비자 감정 반응에 대해서 살펴보고, 감정적 반응이 소비자 태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인터넷 쇼핑몰의 환경적 요인이 고객의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여기서는 쇼핑몰의 환경적 요인인 심미성, 주변요소, 공간기능성이 고객의 감정적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두 번째, 고객 특성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의 환경적 요인이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여기서는 고객 특성을 나이, 성별로 나누었고, 각 변수들이 환경적 요인에 따른 감정적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지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세 번째, 고객들의 감정적 반응이 태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소비자가 인터넷 쇼핑몰에서 느끼는 감정적 반응이 고객 태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네 번째, 인터넷 쇼핑몰에서 느끼는 감정적 반응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감정적 반응을 매개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의 환경적 요인과 태도, 재방문의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하여 모두 4 개의 가설을 도출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하여 최근 1 주일 이내 인터넷 쇼핑몰을 방문한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총 231 부를 분석에 이용하였고, 통계적 분석은 SPSS 13.0 와 AMOS 4.0 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제안된 모형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 E-서비스 케이프 요소인 심미성, 공간기능성의 만족도가 클수록 긍정적 감정 반응이 증가하였다. 반면 주변요소는 긍정적 감정반응과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는 무엇보다 소비자들이 인터넷 쇼핑몰 이용시 구매의 편리성과 아름다움을 가장 우선시하고 부가적인 것에는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으리라 예상된다. 두 번째,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긍정적 감정에 미치는 E-서비스 케이프의 요소는 다르다는 것이 나타났다. 여기서는 소비자 특성 변수로 지정한 성별과 나이 중 나이에 의하여 인터넷 쇼핑환경 요소인 공간기능성이 긍정적 감정반응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세 번째, 긍정적 감정 반응은 태도와 재방문 의도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즉, 인터넷 쇼핑몰 이용시 느꼈던 즐거움, 성취감, 행복, 충족감, 편안함 등이 소비자 태도와 재방문 의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학문적, 이론적으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먼저 학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 번째, 온라인 상에서도 오프라인 상과 같이, 환경 요소들이 소비자들의 감정적 반응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점을 규명한 것이다. 두 번째, 이러한 인터넷 쇼핑몰의 환경적 요인은 소비자들의 특성, 즉 나이에 따라 감정적 반응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해주고 있다. 세 번째로 인터넷 쇼핑몰 상에서의 감정적 반응이 소비자의 태도와 그것이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함으로써, 감정 반응을 매개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 환경과 태도, 재방문 의도간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었다. 한편 마케팅적으로의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먼저, 마케팅적으로는 마케터의 입장에서는 인터넷 상에서 긍정적인 감정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E-서비스 케이프 요인들을 활용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여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소비자 특성, 즉 나이에 맞는 적절한 E-서비스 케이프 요인을 제공함으로써 타겟 대상의 만족도를 높여 고객 점유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감정적 반응이 소비자 태도,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소비자의 감정 반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터넷 쇼핑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감정적인 요인들을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는 중에 느꼈던 다양한 감정 반응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다. 인터넷 상에서는 긍정, 부정 이외에도 다양한 감정이 있을 수 있다. 인터넷 쇼핑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좀더 다양한 감정반응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더라면 좀더 폭 넓은 연구가 진행될 수 있었을 것이다. 두 번째, 소비자의 특성을 나이와 성별 이외에도 좀 더 다양한 소비자의 특성 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 이용된 나이, 성별 이외의 고객 특성 요소들 감정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The Internet is a source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and it is also becoming a major operational method in commerce. These days, customers tend to buy products based on emotion rather than with a specific purpose or need as in the past. The understanding of a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to the website features becomes more important to cyberspace retail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nfluence certain website features in on-line shopping malls exert on a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and the influence such an emotional response exerts on a customer's attitude and the decision to revisit.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better understand the emotional response of an Internet customer by separately considering each of the website features, called E-Servicescape in this study, which may be present in the on-line shopping mall. (2) To analyze a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er. (3) To determine whether the emotional response to the on-line shopping mall has an impact on a customer's attitude and any decision to revisi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rious relationships among the website features in the on-line shopping mall, customer attitude and revisiting through the instrumentality of emotional response. To verify the hypothesis, I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men and women aged over 10 who had visited an on-line shopping mall within the past one-week period. Of these, 231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my analysis. I also used SPSS 13.0 and AMOS 4.0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adequacy of a proposed model was found to be acceptable. The major results of my study follow: First, certain E-Servicescape factors in on-line shopping mall, namely the aesthetic factor, ambient factor and spatial functionality factor,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itive emotional response; thus, supporting the hypothesis. Second, the factor of E-Servicescape that has an effect on emotional response is different depending on a customer's characteristics. Third, the positive emotional response was found to have a strong impact on a customer's attitude and a decision to revisit. Giv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inferred that a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greatly affects the purchase attitude and decision to revisit. This study provides some academic and theoretical suggestions: First,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clarified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responses and website features by dividing the E-Servicescape depending on a customer's characteristic factors. Second, it supports, in many ways, the conclusions of many previous studies that the emotional response to the on-line shopping mall has an impact on a customer's attitude and the decision to revisit. Finally, it investigates the 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the E-Servicescape, attitude, and revisiting through the instrumentality of emotional response. This study also giv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marketing: First of all, the interested parties can increase patronage by using the E-Servicescape factors that cause a positive emotional response. In particular, they can create the E-Servicescape that arouses customer interest if they use the spatial functionality factor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ing that the emotional response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attitude and revisiting,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stomer emotional response in managing various emotional factors that can occur in the on-line shopping mall.

      • 조손가정 아동의 적응유연성에 관한 질적 연구

        천미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조손가정 아동들이 조부모와 함께 살면서 무엇을 경험하고, 그 아동들의 적응유연성은 무엇인지에 관해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여 상담자의 상담지원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조손가정 아동에 관해 심층면접과 관찰에 의하여 자료수집을 한 후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으로 분석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충청도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조손가정 아동 7명이며, 이들의 조부모와도 면접을 진행하여 아동에 대한 추가 자료를 확보하였다. 심층면접은 6월에 예비연구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질문지를 만들고 상담학 박사의 자문을 받아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완성하였다. 연구 참여자에 대한 면담은 7월 초에 시작하여 9월 초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인 조손가정 아동들과의 심층 면접은 참여자들이 익숙한 장소인 지역아동센터 상담실 또는 조용한 놀이터 등을 이용하였다. 면접 시간은 주로 오전시간을 활용하였으며 면접의 길이는 30∼40분 정도였고, 한 아동 당 면접 횟수는 2∼4회였다. 그리고 아동에 대한 추가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조부모 면접은 1회 40∼50분 정도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개방형의 반구조화된 면접 지침서에 따라 직접 심층 면접과 관찰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참여자와 참여자의 보호자의 동의하에 면접 내용을 녹음하였다. 녹음된 내용은 필사하였으며 녹음된 내용은 비밀 보장을 위해 연구 종결 시점에서 폐기하기로 약속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심층면접과 관찰로 수집된 자료를 심사숙고하여 여러 차례 읽으면서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15개의 주제와 4개의 주제모음을 조직하였다. 그리고 조손가정 아동의 적응유연성에 관한 전체적인 핵심범주는 ‘약점을 조절하여 긍정적으로 적응하기’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손가정 아동들은 가족해체로 인하여 가족의 구조적 결손을 경험하였지만, 기능적인 가족관계로 보완해 가면서 가족관계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었다. 이들은 조부모의 따뜻한 양육으로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고, 조부모의 훈육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올바른 생활습관을 형성하려고 노력하며, 조부모의 속마음을 헤아림으로써 부정적인 긴장을 해소하였다. 또한 부모와 함께 살고 있지 않지만 정기적인 연락이 되고 있는 몇몇 아동들은 부모와의 유대감을 통하여 심리적 거리감을 좁혀가고 있었다. 둘째, 조손가정 아동들은 지역사회의 물질적·정서적 지원을 통해 부정적인 상황들을 극복하고 있었다. 주위에 있는 중요한 타인의 통제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부정적인 행동을 수정하며, 중요한 타인의 정서적 지지를 통해 고민을 덜고, 친구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문제해결에 관한 지지와 위로를 얻고 있었다. 즉 주위의 인적·물적 자원을 긍정적으로 활용하여 위험요인을 조절해 나가고 있었다. 셋째, 조손가정 아동들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스스로 할 수 있는 일들을 발견하여 대처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은 힘든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장점을 알아차림으로써 스스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집안일손을 도와 연세가 많은 조부모의 부담을 줄이고자 노력하며, 자신이 좋아하는 놀이를 통하여 스트레스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또한 동기부여를 통해 학업에 대한 거부감을 긍정적 인식으로 전환하기도 하였다. 넷째, 조손가정 아동들은 부정적 경험을 친사회적 태도로 승화시키고 있었다. 이들은 현실의 부정적 감정을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타인을 도울 수 있다는 희망으로 완화하며, 자신의 힘들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타인에 대한 공감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현실의 불만족스러운 상황을 인식하고 원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였다. 이상에서 보듯이, 조손가정 아동들의 적응유연성은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위험요인의 부정적 영향을 조절하며 적응적 결과를 촉진시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담자들은 조손가정 아동의 내적·외적 보호요인을 증가시키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서 상담자들이 지역네트워크 구축과 연계에 전문적으로 관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상담자들은 조손가정 아동들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을 위한 예방상담의 가능성 및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손가정 아동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고 이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대한 내적·외적 보호요인을 발견하고 적응유연성을 발달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ping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and improve their resilience that emerges from the data and the effects of counseling support for them.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re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constant comparative method". Participants for this study included 7 children from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living in Chung chung do. They were in senior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A variety of data sources were utilized includ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 children and their grandparents.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were conducted for about 2 months from early July to early September and the places for interviews were small restaurants, playground and the local children center which are familiar to the participants. The interviews were usually progressed in the morning. It took almost half an hour for each interview and at least two or more interviews per child were conducted. The data was collected by direct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following open-ended,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lines. All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The recording tapes were transcribed, and the researcher promised to destroy all the tapes completely at the closing time of the study to keep their personal information confidential. Though Carefully reading the interview data several times, it was made up 15themes and bundles of themes. And the core part of all study material about the resilience of children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is 'Being adopted positively by through controlling the weaknes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t first, the children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have been improving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by supporting as functional family relationship even though they experienced in not perfect structural family form that occurred by family dismantlement. They all feel emotional stability with grandparents'love and concern. They accepted positively grandparents' discipline and cleared up negative tension by understanding grandparents' real minds. And Also some of them who can keep in touch regularly with their parents even they don't live together were reducing the emotional distance by the bond. Secondly, the children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have been overcoming negative situation though material and emotional aids from local community. The children accepted well the needed control of others, correct their negative or dangerous behavior, the time they worry by themselves though emotional support from others, they were gaining support and consolation about problem-solving by positive interaction with friends. In shortly, they were controlling dangerous factors with using positively the material and emotional aids from the surroundings Thirdly, the children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were trying to find solutions they can do to overcome some difficult situation. The participants recognized positively about their lives by knowing their own strength in hard circumstances. And they were making efforts to escape from stressful situation by playing games what they like and also they are trying to reduce their grandparents' heavy burden. Also. they converted aversion about studying in school into positive recognition by motivation. Fourthly, the children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sublimated conflicts of the hard realities in positive direction through friendly social attitude. They believed the hope what they also have power to help others in the similar situation like themselves then the confidence from their hopes made them relieve their negative emotions. They showed increasing sympathy to others with the basis which are their hard experiences. They Also recognized about their discontented present situation. As shown in this, the resilience of the children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promote the adaptive results with controlling negative effects through the interaction of between dangerous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So, all consultants need to take part in construction and connection about local network to improve inner and external factors of the children. In addition, consultants can expect the possibility of prevention counsel for the children with deep understanding about them. Ultimately, the study suggest it is important to amplify the concern about the children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and develop their resilience through providing them basic with materials of a variety of counsels and finding inner/external factors as well.

      • 구조중심 협동학습 적용을 통한 말하기 능력 신장 방안

        천미영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표는 구조 중심 협동 학습을 활용하여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진행은 먼저 초등학교 학생의 말하기 능력 신장을 위해 도움이 될 만한 협동 학습 구조들을 선정하여 이들 구조의 특징 및 방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구조 중심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적용한 후 그 결과를 살펴보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구조 중심 협동학습 프로그램은 크게 준비, 훈련, 적용 단계로 진행되었다. 준비 단계에서는 먼저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 평가를 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원활한 협동 학습을 운영하기 위하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훈련 단계에서는 말하기와 관련된 협동 학습 구조를 익히고,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말하기 훈련을 실시하였다. 적용 단계에서는 실제 말하기 수업에 복합 구조를 적용하여 말하기 능력이 신장되도록 하였으며, 말하기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업은 녹음을 하거나 비디오카메라로 촬영을 하였으며, 수업이 끝난 후 그 내용을 보고 수업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설문조사, 말하기 능력 평가를 통해 구조 중심 협동 학습 적용이 말하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이 서로 협동하여 학습을 하였으며, 말하기 활동에 흥미도가 높아졌고, 책임감과 협동심을 가지고 말하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둘째,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말하기 활동에 적극적이면서도 자신감 있는 태도를 가질 수 있었다. 이것은 구조 중심 협동학습 중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말하기 활동이 효과적인 기능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다양한 구조적용을 통한 학습 활동을 통하여 말할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말할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말하기의 기능 신장뿐만 아니라 태도 신장에도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해 볼 때, 구조 중심 협동 학습은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일정한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를 수행하면서 노출되었던 한계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지도하고 있는 학생만을 대상으로 적용하였기 때문에 협동학습을 적용하지 않은 반과 비교 분석한 자료가 나오지 않았다. 둘째, 말하기 능력이 언어 사용 능력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연구 결과를 계량화하기에 어려움이 많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 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셋째, 다양한 구조를 활용하여 소집단 중심으로 수업을 했을 때,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그러나 학습 능력이 탁월한 학생들은 혼자서 조용히 공부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다른 학생과 능력의 차이가 컸을 때 부담감을 느끼고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였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improve students' speaking ability through cooperative studying program with various organization forms. At first, appropriate organization forms for cooperative studying program were researched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aking ability, and characters of the forms were analyzed. Then the cooperative studying program with several organization form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tudents. Afterward result was analyzed. The cooperative studying program with several organization forms consists of three steps; preparation, practice and application. In preparation, students' speaking ability was examined and atmosphere for natural cooperative studying was produced. In practice, students had to learn organization forms for cooperative studying, which was related to speaking ability, and exercise in speaking. In application, mixed organization forms were used in speaking lessens, and students were evaluated to see whether the lessens helped them improve their speaking ability. The lessens were recorded or filmed, and it was analyzed afterward. Also a survey and speaking ability test of students were carried out, and whether or not the program was effective was studied by the result. This study leads to results as following. First, cooperative studying program with several organization forms made students work together and be interested in speaking, and eventually they participated in speaking activity with responsibility and team spirit. Second, the program had students feel more confident, so they became very active when speaking. It is considered that organized and repetitive aspects of the program were effective. Third, as students practiced speaking forms with various organization, they could choose a topic and organize it easily. Therefore they became fluent in communication. This improved speaking attitude as well as speaking ability The result says that cooperative studying program with several organization forms is useful in making speaking ability enhanced more than a bit. The limitation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who a person in charge of this study taught, so it was impossible to compare the students with others who this program wasn't applied to. Second, although speaking is the most basic part in all linguistic skills, it was very difficult to measure the result exactly and express it numerically. So, generalization of the result was limited. Third, when the program with various organization forms was applied to a small group, it had a good effect on students' speaking ability. However, It appeared that superior students preferred to study alone, and felt pressure when each student's ability in the class was not balanced. This is a point needed to be improved.

      • 관상동맥질환자의 D유형 성격과 치료지시이행의 관계에 미치는 극복력의 매개효과

        천미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의 D유형 성격, 극복력과 치료지시이행에 대해 파악하고 D유형 성격과 치료지시이행의 관계에 미치는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관상동맥질환자의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D대학교 의료원 순환기내과 외래를 방문한 관상동맥질환자 236명이었다. 2014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 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D유형 성격, 극복력, 치료지시이행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및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유형 성격의 평균 점수는 총점 56점 중 16.19±12.04점이었다. 전체 대상자 중 부정적인 정서와 사회적 억제의 두 영역 모두에서 10점 이상인 D유형 성격의 대상자는 30.9%이었다. 2. 대상자의 극복력은 평균 130.14±23.24점이었고, 치료지시이행은 평균 93. 31±12.79점이었다. 치료지시이행의 하부영역으로 투약이행에 관한 영역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위험요인의 조절에 관한 영역의 점수가 가장 낮았 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 연령, 종교, 직업, 음주, 흡연, 질병기간, 동반질환, 입원경험, 시술 및 수술경험, 진단명에 따라 치료지시이행의 차이를 보였다. 3. D유형 성격인 경우 극복력(t=3.61, p<.001)과 치료지시이행(t=2.08, p=.039)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극복력과 치료지시이행간의 관계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169, p=.009). 4. D유형 성격과 치료지시이행 사이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극복력을 통한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2.55, p=.010). 즉, D유형 성격과 치료지시이행의 관계에서 극복력은 완전매개효과(full mediation)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상동맥질환자의 D유형 성격과 극복력은 치료지시이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D유형 성격과 치료지시이행의 관계에서 교육이나 지지 등의 방법으로 극복력을 향상시켜 치료지시이행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관상동맥질환자의 치료지시이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D유형 성격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간호 중재뿐만 아니라 관상동맥질환자의 극복력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어 : 관상동맥질환자, 치료지시이행, D유형 성격, 극복력, 매개효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