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점경관관리구역 설정 및 관리방안 연구 : 충청북도를 사례로

        정민우 청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e past, cities had grown with a focus on physical urban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and neglected to develop human and healthy cities due to damage to natural environment, living environment, and preserv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modern times, these urban development methods have been suggested in reflecting on the quality of urban life together. As a result of the paradigm shift in urban development, a critical awareness of the uniform and monotonous urban landscape in the past development era occurred. Korea prepared the legal basis for three-dimensional landscape management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Landscape Act in 2007, but due to the absence of the management means, the execution power of the landscape planning was insufficient and the scope of projects subject to the landscape was widened, resulting in redundancy and confusion. Accordingly, the government revised the Landscape Act in 2014. The government intended to promote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landscape through the revision of the Landscape Act in 2014 to more effectively manage the landscape and make it mandatory for the establishment of a basic landscape plan. In addition, the Act stipulates that "Specail Zone of Landscape Managements" shall be designated, which shall be designated as areas where landscape should be preserved, managed and formed with emphasis in order to ensure efficient landscape management by local governments. "Specail Zone of Landscape Management" is a means of management for local governments, which face difficulties in intensively managing the landscape of all areas. However, it is not linked to a system that can guarantee coercion and effectiveness, and it is still a method of formative sector-specific landscape planning. Thus,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a practical method of management of the landscape by diagnosing problems through analysis of the status of designation in the Specail Zone of Landscape Management and drawing a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Specail Zone of Landscape Management.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data, such as landscape planning and landscape ordinance, were collected to diagnose problems and draw suggestions by analyzing the criteria and support system for the selection of key scenic area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present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key landscape management zone in the landscape planning, focusing on the results obtained. Finally, a survey of experts was conducted to suggest a plan to establish a Specail Zone of Landscape Management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difference between the provincial and county-level landscape planning was somewhat unclear, and thus the continuity of the plan for the Specail Zone of Landscape Management was shown to be reduced. Since the revision of the Landscape Act in 2013, it has been somewhat difficult to find clear differences in the landscape planning established after the revision was implemented in 2014. Second, the Landscape Act and the Landscape Planning Guidelines did not contain any specific criteria for the designated areas and methods for setting the boundary of zones, so the Specail Zone of Landscape Managements were set up based on various criteria by local governments. Third, it is deemed that the establishment and designation of the Specail Zone of Landscape Management should depend on the inter-planning hierarchy, and that the authority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local administrative body, the actual managing body, as far as possible. The higher body shall establish a plan with basic direction and guiding nature for the management of the province's landscape This study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basic study to enhance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effectiveness of "focus management zones" and is meaningful in presenting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for more clear zoning and management. 과거 도시는 재개발, 재건축 등의 물리적인 도시개발사업에 초점을 두고 성장해왔으나 자연환경, 생활환경, 역사·문화자원의 보전 등의 훼손으로 인간적이고 건강한 도시개발을 소홀히 하였다. 현대에는 이러한 도시개발에 대한 반성으로 도시 생활의 질을 함께 고려한 도시개발수법들을 제시해왔다. 이처럼 도시개발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과거 개발시대의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도시경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고 그래서 2007년 경관법 제정을 통해 입체적인 경관관리를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관리수단의 부재로 경관계획의 실행력이 미흡하였고 경관 관련 대상 사업 범위가 넓어 중복과 혼선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고자 정부에서는 2014년 경관법을 전부개정 하였다. 2014년 경관법 전부개정을 통해 더욱 효과적인 경관관리와 경관계획 수립 의무화를 통하여 지역의 체계적 관리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지방자치단체의 효율적인 경관관리를 위해 중점적으로 경관을 보존·관리 및 형성하여야 할 구역인 “중점경관관리구역”을 지정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중점경관관리구역”은 모든 지역의 경관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는 지방자치단체를 위한 관리수단이다. 하지만 강제성과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제도와 연계되지 못하고 형식적인 부문별 경관계획의 한 기법에 머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점경관관리구역의 지정현황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중점경관관리구역 지정 및 관리방식의 개선 방향을 도출함으로써 체계적인 경관관리의 실천적인 기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경관계획 및 경관조례 등의 현황자료를 수집하여 중점경관관리구역 선정기준 및 지원제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경관계획에서의 중점경관관리구역 설정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충청북도 중점경관관리구역 설정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 단위 경관계획과 시·군 단위의 경관계획의 내용적 차이는 다소 불분명하였으며, 이에 따라 중점경관관리구역에 대한 계획의 연속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13년 경관법 전부개정 이후 경관계획의 수립 지방자치단체에 따라 명확한 역할을 부여받았으나 2014년 전부개정 시행 이후 수립된 경관계획들에서는 명확한 차이를 찾기가 다소 어려웠다. 둘째, 경관법 및 경관계획수립지침에서는 중점경관관리구역에 대한 명확한 지정 기준과 구역경계 설정 방식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지 않아 지방자치단체별 다양한 기준으로 중점경관관리구역을 설정하고 있었다. 셋째, 중점경관관리구역의 설정 및 지정방식은 계획 간 위계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고 판단되며, 되도록 실제 관리 주체인 기초자치단체로 권한이 이관되어야 한다고 본다. 상위지방자치단체는 도 경관의 관리를 위한 기초적인 방향과 지침적 성격이 갖춘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중점경관관리구역”의 체계적인 관리와 효과성 증대를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성격을 가지며 보다 명확한 구역 설정 및 관리를 위한 향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둔다.

      • FlexRay 통신 제어기의 FPGA 설계

        정민우 청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에 자동차는 기계, 통신 및 전자공학의 발전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능형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지능형 자동차에 관한 안전 및 연비 향상이 요구되고 있으며 차량 내 전자장치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자동차 내 전자시스템의 복잡성이 급증하게 되었고 이로 인한 기술적 안정성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최근에 차량 내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특히, 첨단 시스템들이 증가함에 따라 ECU가 독립적으로 처리를 수행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차량용 네트워크로 주목받고 있는 FlexRay 통신의 Protocol을 제어하는 고성능의 FlexRay 통신 제어기 IP를 설계하였다. 각 프로세서 모듈은 RTL을 이용하여 설계 및 검증을 하였으며 설계 된 통신 제어기는 Tx/Rx의 Buffer 수를 조정 할 수 있는 가변의 Tx/Rx 버퍼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통신 제어기 대비 빠른 통신 속도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안한 FlexRay 통신 제어기는 xilinx사 Vivado 2016.03 Tool의 ZYNQ-7 ZC702 Evaluation Board를 타겟으로 검증하였으며 성공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 이동통신기반 열차제어를 위한 대역폭 산출방법론 및 핸드오버 프로세스 연구

        정민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에너지의 효율적인 활용에 있어서 철도의 교통수단으로서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다. 철도분야의 기술발전으로 열차가 고속화됨에 따라 기 관사의 시각과 판단을 통한 열차제어는 철로의 효율적 이용과 열차안 전성에 있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철로 이용효율의 증대와 무인열차 제어시스템의 도입을 위한 무선통신과 철도분야의 융합연구들이 유럽 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선통신이 열차제어분야에 성공적으로 도입되기 위해서는 열차제어 를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의 신뢰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는 열차이 용승객의 생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상용 이동통신 에 비해 높은 데이터 송수신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고속의 열차환경에서 무선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신뢰성과 관련된 중 요 이슈로는 핸드오버가 있다. 기지국 커버리지 경계점에서 접속기지 국을 교체하는 핸드오버 과정에서는 기지국과의 연결이 중단되는 핸드 오버 지연시간이 존재하는데, 이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느냐가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신뢰성 향상에 영향을 준다. 본 논문은 철도전용 주파수소요량 산출, 핸드오버의 두 가지 기술적 이슈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한다. 먼저 1장에서는 무선열차제어의 발달 과정과 현재 연구동향에 대해 다룰 것이다. 2장에서는 열차제어에 필 요한 주파수 도출을 통해 WiMAX 의 이용당위성을 획득한다. 통계적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기존 이동통신용 주파수 산출방법을 철도통신 에 적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으므로, 본 장에서는 열차환경 파라미터와 필요 서비스들을 고려한 철도전용 주파수 산출방법을 제시하였고, 12MHz의 대역폭을 사용하는 WiMAX가 주파수 효율이 우수하다는 결

      • 무인자동차의 자율주행에 관한 연구

        정민우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recognition and navigation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using sensors such as a camera, a laser scanner and a GPS. Autonomous vehicles are capable of sensing their environment and navigating without human input. Camera and laser scanner algorithms were developed to recognize lanes, obstacles and traffic signals surrounding the autonomous vehicles. Sensor fusion methods ware utilized to recognize these lanes, obstacles and traffic signals by combining images from cameras and laser scanners. In addition, a navigation system was developed to drive the autonomous vehicle to desired locations. Stationary environment information gathered by a DGPS sensor such as the position of stop lanes, traffic signs and obstacles was utilized to estimate the exact vehicle position. The environmental recognition and navigation systems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the autonomous vehicle, proving that the developed system can be used for real-time autonomous driving. 본 논문은 무인자동차의 자율주행을 위한 센서 데이터 처리 및 센서 융합에 관하여 다룬다. 무인자율 주행 자동차는 운전자 없이 카메라와 같은 장애물 인식장치와 GPS 모듈과 같은 자동 항법 장치를 기반으로 조향, 변속, 가속, 브레이크를 도로환경에 맞춰 스스로 제어해 목적지까지 스스로 주행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무인 자동차의 자율주행을 위해서는 통합 시스템, 항법 시스템, 장애물 인지 시스템, 차량 제어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변 환경과 장애물 인식을 위한 장애물 인지 시스템 및 항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레이저 스캐너와 영상센서 융합을 이용해 주변 환경 및 장애물에 대한 인지 및 판단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무인 자동차의 항법에 사용되는 GPS데이터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차량내부의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는 추측항법과 카메라를 이용한 차선보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3D 레이저 스캐너 정보와 고정 장애물의 DGPS 정보를 이용한 지형대조 항법을 적용하여 무인자동차용 항법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장애물 인식 및 항법시스템은 계명대학교에서 개발된 무인 자동차에 실제 적용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 실시간 컨벌루젼 인코더-디코더를 위한 메모리 효율적인 하드웨어 설계

        정민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자동차, 모바일, 로봇을 필두로 한 제조업과 농업, 유통, 의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카메라 입력 데이터 수집 및 활용의 가치와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 다. 그러나 시간적/공간적으로 고해상도의 영상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고품질의 CMOS 이미지 센서를 사용해야한다. 또한 온 디바이스에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큰 메모리와 파워소비가 요구된다. 이는 온디바이스의 성능을 제한한다. 본 논문은 실시간 인코더 디코더를 위한 메모리 효율적인 하드웨어를 제안한다. 특히 디코더에서 발생하는 메모리 병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저복잡도 레이어 퓨전을 위한 로우 단위 제로 스킵핑을 제안한다. 또한 레이어별 특성을 고 려하여 하드웨어 친화적인 양자화를 적용하여 하드웨어 복잡도를 낮춘다. 제안된 인코더 디코더 구조는 프레임 보간 시스템에 적용하여 FPGA 환경에서 검증 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인코더 디코더구조의 프레임 보간 가속기는 60fps 2k 해상도 비디오를 120fps 으로 보간 가능한 것을 보인다. YOUTUBE 240 fps[22] 데이터셋 에서 평균 peak-signal-to-noise ratio (PSNR)31.17 dB를 보인다. 제안된 하드웨 어의 온칩 메모리 사이즈는 360KB이며 738 giga operations per second(GOPS) 처리량을 보인다.

      • 리피드 화합물의 정전기적 특성 및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의 상 거동에 관한 연구

        정민우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phospholipid 화합물은 리포좀, 에멀전 microsphere의 형태로 인체 내에 영양소나 의약전달 시스템과 같은 분야에서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서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그러나 대부분 음전하를 띄나 양전하로서도 많은 이점이 있다. 이 실험에서는 phospholipid를 이용한 양이온으로 전하된 마이크로 입자를 제안하고 pH에 따른 정전기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Additive로서 decyldimethylamine oxide (DeDAO), dodecyldimethylamine oxide (DDAO) stearylamine (SA)와 dodecylamine (DA) 이다. 그리고 에멀전의 크기와 분포가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additive를 첨가함으로써 에멀전 입자의 zeta potential은 크게 변하였으나, 그 크기와 분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H 8이하의 영역에서 additive를 첨가한 입자들은 모두 양전하를 띄었다. 그러나 pH 10의 영역에선 아민 화합물은 음전하를 띄었으나,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중성을 띄었다. 이 실험에서 아민과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pH 8이하의 범위에선 음전하를 양전하로 바뀌게 해줄 수 있음을 알았다. 이 실험으로부터 적당한 pH영역에서, 양전하를 띄는 리피드 에멀전을 만들 수 있었고 이는 약물전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리피드의 한 종류인 세라마이드는 피부표피층의 주 구성요소이며 이들이 표피층 구조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실제 존재하는 양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현재에는 합성한 유사 세라마이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합성한 유사 세라마이드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부족하고, 석출되기 쉽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는 화장품에 많이 쓰이는 에멀젼 형태를 취했다. 유사 세라마이드 PC104를 0, 10, 25, 50 wt%의 농도로octanoic acid에 녹인 후 물을 첨가하여 상평형도를 그렸다. L1, L2, Liquid crystal(lamellar), two phases 영역을 나타내었고, 각각의 영역에서의 차이점을 보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계면 장력을 측정하고, FT-IR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물과 오일사이의 계면장력이 PC104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PC104가 오일과 물의 표면에 위치함을 가정하였고, 오일과 유사 세라마이드 내 수소결합의 상호작용을 FT-IR 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세라마이드의 양이 증가할수록 오일의 극성이 강해지면서 LC영역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에멀전 영역 내 유화 경로에 따른 에멀전의 크기와 분포를 조사한 결과, LC영역을 지나면서 만들어진 에멀전이 그렇지 않은 것과 비교해 볼 때 훨씬 작은 크기와 균일한 분포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Development of a long-acting tablet with ticagrelor high-loaded nanostructured lipid carriers

        정민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icagrelor (TCG), an antiplatelet agent, has low solubility and permeability, so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pharmaceutical technology to improve the solubility and permeability of the drug. Nanostructured lipid carriers (NLCs) are second-generation lipid nanoparticles with properties to increase oral bioavailability and delay the release. However, drugs that require high doses due to low drug loading are limited. This study aims to improve drug loading and bioavailability through a high-loaded nanostructured lipid carrier (HL-NLC) using the Box-Behnken design and to develop a sustained-release tablet by manufacturing a solid formulation using an adsorbent.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high-content nanostructured lipid carriers for GMS and Capmul MCM EP, which have high solubility due to previous studies, were selected as solid lipids and liquid lipids. In addition, d--Tocopherol polyethylene glycol 1000 succinate and poloxamer 188, which are surfactants with the highest solubility and co-surfactants that will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were selected through screening studies. The formulation was optimized for process parameters (total lipid content, liquid lipid content ratio, surfactant fraction) for various response parameter factors (particle size, polydispersity index, encapsulation efficiency, drug loading) using the Box-Benken experimental design. The high-loaded nanostructured lipid carrier was successfully fabricated and optimized with a particle size of 164.5 ± 3.8 nm, a polydispersity index of 0.199 ± 0.018, encapsulation efficiency of 98.5 ± 3.6%, and a drug loading of 16.4 ± 1.7%. In addition, an adsorbent was used to solidify the formulation, and the adsorbent was determined based on physical properties such as bulk density, tap density, angle of repose, Hausner ratio, and Carr's index. Florite R was used because of its excellent adsorption capacity,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nd solubility of the powder after preparation, and a solidified high-loaded nanostructured lipid carrier (S-HL-NLC) was prepared. The results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powder X-ray diffraction analysis that the crystallinity of TCG was transformed into an amorphous form in the lipid matrix. In addition, a sustained-release tablet with a dissolution rate of over 90% within 24 h was developed using HPMC 4000 for the S-HL-NLC. Moreover, the HL-NLC and the S-HL-NLC did not show cytotoxicity to Caco-2 cells, and at a concentration of 20 µg/mL, 1.61-fold and 1.28-fold higher cellular uptake compared to TCG, respectively. In the pharmacokinetic study, the bioavailability of HL-NLC and S-HL-NLC compared to TCG was 293.03 ± 33.65%, 323.91 ± 37.20% depending on the area under the curve (AUCtotal) and peak plasma concentration (Cmax). In conclusion, HL-NLC tablets were successfully developed with sustained release profiles and improved oral bioavailability. This formulation improves the oral bioavailability of TCG and suggests that it can be used as a carrier for various oral administrations by using as a solid formulation. 항 혈소판제인 티카그렐러는 용해도 및 투과성이 낮아 약물의 용해도 및 투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약제학적 기술 적용하려는 시도가 많다. 나노구조 지질 운반체는 경구 생체이용률을 증가시기고 방출을 지연시키는 특징을 가진 2세대 지질 나노 입자이다. 그러나 낮은 약물 로딩으로 인해 높은 복용량을 필요로하는 약물은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박스-벤켄 디자인을 이용한 고함량 나노구조 지질운반체를 통해 약물 로딩과 생체이용률을 개선시키고, 흡착제를 사용해 고형제제로 제조됨으로써 서방정을 개발하기 위한 고함량 나노구조 지질운반체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로 인해 용해도가 높은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과 캡뮬 MCM EP이 고체 지질 및 액체 지질로 선택하였다. 또한 스크리닝 연구를 통해 용해도가 가장 높은 계면활성제와 제형의 안정성을 높여줄 공계면활성제인 d--토코페롤숙시네이트와 폴록사머 188을 선택하였다. 제형은 다양한 반응 변수 인자(입자크기, 다분산 지수, 캡슐화 효율, 약물 로딩)에 대해 박스-벤켄 실험 설계를 사용하여 공정 변수(총 지질 함량, 액체 지질량 비율, 계면활성제 분율)들을 최적화하였다. 고함량 나노구조 지질운반체는 164.5 ± 3.8 nm의 입자 크기, 0.199 ± 0.018의 다분산 지수, 98.5 ± 3.6%의 캡슐화 효율 및 16.4 ± 1.7%의 약물 로딩으로 성공적으로 제작 및 최적화되었다. 또한 제형의 고형화를 위해 흡착제가 사용되었고 부피밀도, 탭밀도, 안식각, 하우스너 비율, 카르 지수 등의 물성을 기반으로 흡착제를 결정하였다. Florite R은 우수한 흡착력, 우수한 물성 및 제조 후 분말의 용해도 때문에 사용되었고 고형화된 고함량 나노구조 지질운반체를 제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시차주사열량계, 푸리에변환적외선분광법, 분말 X-선 회절의 결과는 지질 매트릭스 내에서 티카그렐러의 결정성이 무정형으로 변형되었음을 확인했다. 또한 고형화된 고함량 나노구조 지질운반체는 HPMC 4000을 사용하여 24시간 이내에 90%이상의 용출률을 가진 서방형 정제를 개발했다. 더욱이, 고함량 나노구조 지질운반체와 고형화된 고함량 나노구조 지질운반체는 Caco-2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20 µg/mL의 농도에서 티카그렐러에 비해 각각 1.61배 및 1.28배 높은 세포흡수를 보였다. 약동학 연구에서 티카그렐러와 비교하여 고함량 나노구조 지질운반체와 고형화된 고함량 나노구조 지질운반체의 생체이용률은 곡선하면적(AUCtotal) 및 최고 혈중농도(Cmax)에 따라 293.03 ± 33.65%, 323.91 ± 37.20%로 향상시켰다. 결론적으로, 고함량 나노구조 지질운반체 정제는 지속 방출 프로파일과 향상된 경구 생체이용률을 가짐으로 성공적으로 개발되었다. 이 제형은 티카그렐러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고 고형제제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경구투여를 위한 전달체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 생체신호 전송을 위한 Zigbee 라우팅에 대한 연구

        정민우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ubiquitous health which can monitor individual health condition always and everywhere is being researched. Ubiquitous health is required a stable and continuous vitar-sign transmission and monitoring. This research is fir studying an efficient routing system to transfer a vital-sign which is measured in sensing node to think node with Zigbee routing protocol. In this research, HBE-ZigbeX module was used, TempMon and Tree program which are based on TinyOS 1.0, was modified and used. Regarding routing protocol, Flooding, Gossiping, LEACH, Tree were used in this research. Sampling, the number of sensing nodes and routers for each routing protocols observed to has influenced on transmission rate. Continuous operating hour of each routing protocol is measured. Flooding routing protocol, in case of test condition that sensing nodes are 2 and sampling is above 250Hz, ECG waveform was checked a serious distortion. When routers are connected more than 2, ECG waveform wasn't showed normaly because of the packet implosion and bottleneck. In case of Gossiping and LEACH routing protocol, ECG waveform is generated a distortion and transmission rate are decreased to 90% when the sensing nodes are over 2. If sampling is increased, transmission rates are decreased inversly. In case of Gossiping routing protocol, if router is used, transmission rates are under 60% because of the probability packet transmission. In case of LEACH routing protocol, if routers are more than 2, ECG waveform is generated a distortion. In case of tree routing protocol, when the sensing nodes are more than 5, sampling is over 200Hz, ECG waveform is generated a distortion. Continuous running time is checked as followed, Flooding(45 hours), LEACH(45 hours 30 min), Gossiping(46 hours 20 min), Tree(46 hours 40 min). In the test of transmission rate and continuous running time, tree routing protocol is tested best of all. Flooding routing protocol, even sensing nodes are increasede, transmission rates are not changed clearly, but it made a network problem because of bottleneck or implosion of packet. Gossiping routing protocol, this is upgraded from the problem of flooding such as bottleneck or implosion of packet, but it still has a few problems, such as decreasing transmission rates, distortion of ECG waveform. LEACH routing protocol, ECG waveform is stable during packet transmission, as to time delay of coordinator fixing or node synchronization, transmission rates is decreased. Tree routing protocol, ECG waveform and transmission rates are generated satisfied, but periodic beacon packet which is designed to set is caused decreasing transmission rates. Routing of hierarchical topology and prompt processing for topology change of ad hoc will be possible ubiquitous health system with greater mobility. 최근에 언제 어디서나 개인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헬스가 연구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헬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생체신호 전송 및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Zigbee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센싱노드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싱크노드로 전송하기 위한 효율적인 라우팅 방식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백전자의 HBE-ZigbeX 모듈을 사용하였고, 프로그램은 TinyOS 1.0을 기반으로 하는 Tree 프로그램과 TempMon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Flooding 라우팅 프로토콜, Gossiping 라우팅 프로토콜, LEACH 라우팅 프로토콜, Tree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샘플링, 센싱노드와 라우터의 개수 변화가 전송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관찰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라우팅 프로토콜의 연속사용시간을 측정하였다. Flooding 라우팅 프로토콜은 센싱노드가 2개 이상이고, 샘플링은 250Hz 이상인 경우, 심전도 파형의 심각한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라우터가 2개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데이터의 중복수신과 병목현상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심전도 파형을 관찰할 수 없었다. Gossiping 라우팅 프로토콜과 LEACH 라우팅 프로토콜은 센싱노드가 2개 이상이 되었을 경우, 심전도 파형의 왜곡이 발생하고, 전송률도 90% 이하로 감소하였다. 샘플링이 증가할수록 전송률이 반비례하게 감소하였다. Gossiping 라우팅 프로토콜은 라우터를 사용하였을 경우, 확률적인 데이터 전송으로 인하여 60% 이하의 낮은 전송률을 보였다. LEACH 라우팅 프로토콜은 라우터가 2개 이상이 되었을 경우, 심전도 파형의 왜곡이 발생하였다. Tree 라우팅 프로토콜은 센싱노드 개수가 5개 이상이고, 샘플링이 200Hz 이상일 경우, 심전도 파형의 왜곡이 발생하였다. 연속사용시간은 Flooding(45시간 30분), LEACH(45시간 40분), Gossiping(46시간 20분), Tree(46시간 40분)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송률과 연속사용시간 실험에서 Tree 라우팅 프로토콜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Flooding 라우팅 프로토콜은 센싱노드의 개수가 증가해도 전송률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병목현상이나 패킷의 중복 수신으로 네트워크에 문제를 야기시켰다. Gossiping 라우팅 프로토콜은 Flooding의 중복 수신이나 병목현상을 보완하여 만든 프로토콜이지만 확률적으로 패킷을 전송하여 패킷 손실이 일어나서 전송률을 감소시키고, 심전도 파형의 심각한 왜곡을 발생시켰다. LEACH 라우팅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은 심전도 파형이 안정된 상태를 보였지만, 코디네이터 선정이나 노드간의 동기화에 의한 시간지연으로 전송률의 저하를 가져왔다. Tree 라우팅 프로토콜은 심전도 파형이나 전송률이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났지만, 홉 설정하기 위한 주기적인 비콘 패킷의 전송이 전송률 감소의 요인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실시간 생체신호 전송을 위한 Zigbee 라우팅에서 Ad hoc 라우팅을 사용하기 위해서 중복수신, 병목현상 등의 문제점을 해결해야 하고, 계층적 구조 라우팅에서는 네트워크 동기화로 인한 시간지연 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동성이 큰 유비쿼터스 헬스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계층적 구조 라우팅의 경로설정과 Ad hoc 라우팅의 토폴로지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잘 접목시켜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