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 성교육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 십대의 성교육 경험과 십대 성문화 분석을 바탕으로

        양원정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존의 학교 성교육이 신체와 재생산에 한정된 생물학적 지식교육과 성폭력 예방 교육, 성 문제 예방 교육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성에 대한 지식과 실천을 다양하게 구성하고 있는 십대의 의식과 경험을 반영하지 못하고, 십대에 대한 성 통제의 기제이자 성차별적 교육의 기제로 이용되어왔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십대의 성교육 경험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학교 성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십대 성문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의 성교육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인 모델로서 여성주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십대의 성교육 경험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학교 성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십대 성문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의 성교육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인 모델로서 여성주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교 성교육에 대한 십대의 경험과 십대 성문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시내 십대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접 결과 십대들은 학교 성교육을 십대 성 ‘문제’의 해결책이자 십대에 대한 성 통제의 기제로 해석하고 있었다. 또한 시간 때우기식 수업과 실적 위주의 교육은 성교육이 공교육 현장에서 주변부화되는 현실을 인식하게 하였다. 신체와 재생산에 한정된 생물학적 지식 위주의 교육 내용이 끊임없이 반복되고 재생산되는 경험을 하면서, 십대는 이제 성교육을 ‘시시하고 뻔한 것’으로 여기게 되었다. 이러한 십대의 학교 성교육 경험과 십대 성문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십대의 의식 및 경험과 소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적인 모델로서 여성주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여성주의 성교육의 목적은 십대가 성별적인 성문화와 성 각본을 비판적으로 읽어내고, 주체적인 성적 의사 결정을 통해 성적 주체성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성주의 성교육에서 담아야 할 내용으로 첫째, 성별적인 성문화와 성 각본을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젠더 관점의 주제, 둘째, 십대를 성적 주체로 인정하고 이들의 성적 주체성을 기르기 위한 내용, 셋째, 가부장제 사회의 지배적인 성 규범에 저항하는 대안적인 지식과 언어 체계를 모색하는 내용 등으로 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여성주의 성교육의 주제로 선택한 것은 성적 의사 결정, 원치 않는 임신과 성적 전염병 감염에 대한 예방으로서의 피임, 여성 몸의 자기 결정권으로서의 낙태, 포르노 바로 읽기, 섹슈얼리티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이다. ‘성적 의사 결정’의 주제는 십대가 성별적인 성 각본을 비판적으로 읽어내고 자신이 경험할 수 있는 성 행동의 맥락들을 예측해보며, 이를 통해 주체적인 성적 의사 결정력을 기르기 위해 기획되었다. ‘피임’에 대한 단원에서는 피임 실천의 성별성에 대한 비판과 피임의 의미, 구체적인 피임 지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낙태’에 대한 주제에서는 흔히 ‘생명권과 선택권의 딜레마’로 이해되는 낙태의 문제를 여성 몸의 자기 결정권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하면서, 부득이하게 낙태를 결정하는 십대 여성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포르노 바로 보기’에서는 쾌락과 오르가슴을 위주로 구성되는 포르노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마지막으로 ‘섹슈얼리티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단원은 신체, 성기 및 행위 중심적인 성 개념을 비판하고 섹슈얼리티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모하면서, 올바른 성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This study has been started by recognizing few problems that current sexuality education have; its avoidance of fact that most of teenagers are developing their own senses and experiences of sexuality, and its role as mechanism in limiting teenagers' sexual desire and in discriminating teenage women. Acknowledged certain situations that sex industry affects adolescence, teenage dating and teenagers' sexual experience, this study has focused on creating an Feminist sexuality education program.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nalyzed the reality of school sexuality education by weighing on teenagers' experience in having sexuality education and their sexual consciousness. And for more appropriate way of communicating with teenagers in sexuality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a new feminist sexuality education for an alternative model. Feminist sexuality education would enable teenagers to have critical view in dealing with differently applied sexual situation from each men and women and have them built their own sexual sovereignty. The education also enables teenagers to understand sexuality as complicated problems that has to do with various issues, such as, birth control, pregnancy, abortion, birth, marriage, being parents, adoption and sexually-transmitted disease. It also helps teenagers to interrelate sexuality as a reciprocal issue that has to be considered wholly with health, education, job, marriage, being parents, and family relationship. With an aim determined, I had interviewed 20 teenagers from Seoul in order to inspect teenagers' sexual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within concrete context. Throughout the interview, teenagers were interpreting sexuality education as a resolution for teenage sexual problems and as a mechanism that prohibits teenagers' sexual behavior. It was being fully aware that the education was being marginalized as a result of superficial and time-killing-purposed class. Teenagers were regarding the education as a redundant reminder of biological process of sex. Based on the analysis drawn from the interview, I have built a feminist sexuality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help teenagers to understand the sexuality through the subjects of self-conducuted determination, unwanted pregnancy, contraception, self -determining abortion, and pornography. The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having birth control, being aware of detailed information of birth control and its necessity. By approaching abortion that often has been understood as a dilemma of biosphere with a view of women's self-determination. I was able to offer some valuable information to those who choose abortion opposed lo their own will. Since pornography, an unofficial sexuality educational device that teenagers take, has become a mechanism of composing a wrong sexuality of teenagers the new education focuses on to have teenagers have their own critical view of facing pornography.

      •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요소로서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양원정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술의 발달로 급변하는 시장 속에서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제품/서비스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다. 기술이 평준화됨에 따라 이러한 제품/서비스들의 차별화 요소는 좁아지고, 브랜드는 소비자 선택의 기준이 됨에 따라 기업은 점점 더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추구하게 되었다. 강력한 브랜드는 소비자와의 관계를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하고 소비자의 머리 속에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으로, 기업은 제품/서비스의 다변화에 따라 이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다양화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정보 서비스와 기기들인 휴대폰, MP3 플레이어, 인터넷 서비스, 소프트웨어 등은 사람들이 항상 휴대하거나 일상적인 도구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제품/서비스를 직접 경험하는 것으로도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기존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 요소는 전통적인 제품에 기반한 CI나 심볼 등 비주얼 측면이 강조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브랜드들의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요소로서 사용자 경험을 주목하며, 브랜드 이미지 구축 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가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 표현 요소로서의 영향력을 검증해보기 위해, 실제로 디자이너가 다루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를 도출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요소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여 브랜드 이미지와 그 차원 별로 영향력 있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를 밝혔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도출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는 외형적 요소, 인터페이스 요소, 상호작용 요소, 사용 성 요소, 접근 성 요소, 컨텐츠 요소, 기능 요소, 컨셉 요소의 8가지 요소 이다. 또한 실증연구를 통해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는 기능 요소, 인터페이스 요소, 외형적 요소, 컨텐츠 요소, 사용 성 요소의 순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이미지 차원 별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살펴보면 브랜드 이미지의 독특성에는 기능 요소와 외형적 요소가, 차별성에는 기능 요소와 사용 성 요소가, 호감 도에는 상호작용 요소가, 고유성에는 컨텐츠 요소와 컨셉 요소가 나타났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 기반 제품/서비스의 브랜드를 구축 할 때 디자이너들은 새로운 관점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 전략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 경험을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개념으로 조망하여 디자인 시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 요소로서의 역할에 유의하도록 할 것이다. Under the market of a rapid change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digital media-based products and services have increased by geometric progression to wait for the user's choice. Along with the standardization of technology, these products and services come to have a narrow point of differentiation, and the enterprises gradually begin to want a stronger brand power, as the brand becomes the standard of consumer's choice. The strong brand communicates based on the relation with consumers and builds a positive brand image in the head of consumers, which the enterprises seek for a way of diversifying this communication by the diversification of media. In particular, it is because only experiencing the products and service has the high possibility of forming the brand image in that people always carry or daily use the digital media-based information services and devices such as cellular phone, MP3 player, internet service, software. The expressive element of the existing brand identity was BI or symbol, which is just one-sided communication way of message sending, based on the traditional media. However, in this study, it looks at the user's experience as a new expressive element for the brand identity, constituting a strong relation with consumers through the user's experience, and communicates to finally suggest to deliver the brand identity. In this paper, it tested the possibility of the brand identity through a survey after extracting the element of user's experience available for the design to verify if the design element of user's experience can play a role as establishing the brand identity. Also, this paper identifies the elements which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brand identity establishment to suggest them as the expressive element of a new brand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