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사립유치원의 변천과정 : 1980년부터 2008년까지

        심은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80년 제5공화국 시기부터 2008년 참여정부 시기까지의 한국사립유치원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사립유치원의 당면과제와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1980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사립유치원의 교육규모의 변화는 어떠한가? 2. 한국사립유치원의 제도적 변화는 어떠한가? 3. 한국사립유치원의 행·재정적 변화는 어떠한가? 4. 한국사립유치원 관계자 및 전문가가 제시하는 사립유치원의 당면과제는 무엇인가? 연구대상은 1980년 이후 사립유치원의 역사에 대해 증언해 줄 전문가 및 관계자다. 선정 대상자들은 1980년 이후 사립유치원의 발전과정을 본인의 분야에서 가장 잘 알고 있는 이들로 선정하였다. 교육부 관계자, 장학사, 유아교육이나 유치원 관련 정부정책 및 유관단체와 직·간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유아교육 전문가, 사립유치원에 재직했던 교원 및 기타 사립유치원과 관계가 있는 이들로 구성하였다. 1980년 이후 한국사립유치원의 변천과정에 대하여 증언해 줄 수 있는 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하여 교육부 관계자, 장학사, 교수, 전·현직 사립유치원연합회 임원, 전·현직 사립유치원 교사, 원감, 원장 등 한국사립유치원과 관계가 있는 분들에게 먼저 전화로 논문 제목과 연구 내용을 전달하고 연구 대상자 선정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1차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1차로 섭외된 대상자에게 복수 추천을 받아 중복된 대상자를 제외한 나머지 명단에서 2차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자의 객관성과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립유치원 전문가 및 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면담 대상자 20명을 선정한 후 직접 방문을 통한 질의와 면담 및 보충질의를 위해 전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는 사립유치원과 관련된 학위논문 3편과 소논문 11편을 합한 논문 총14편, 사립유치원 관련 국회 회의록, 한국교육신문, 한국교육연감, 교육 관련 통계자료와 교육부 미출간 내부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자료, 한국어린이육영회 자료, 서울교육연수원 자료, 사립유치원연합회 자료, 각종 간행물 및 보고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절차는 문제인식 단계를 거쳐 사립유치원에 관한 문헌을 수집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수집대상 문헌을 설정 및 수집하였다. 그리고 전문가와 관계자를 면담한 내용을 전사한 후 분석하였다. 사립유치원 전문가 및 관계자가 제안하는 사립유치원의 당면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에 대한 교사 인건비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유아교육법 전면개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영세한 유치원은 점점 유치원 운영이 어려워지고 대형유치원은 더 대형화되면서 사립유치원의 양극화 현상을 해결해야 한다. 넷째, 사립유치원 교육과정의 정상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사립유치원과 국공립유치원간의 대립관계를 해결해야 한다. 여섯째, 유아교육과 보육의 이원화 체제는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의 교육규모의 변화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5공화국의 유아교육진흥종합계획을 시초로 사립유치원은 1980년부터 2007년까지 사립유치원수와 학급수가 각각 4.5배와 9.3배의 큰 폭의 증가율을 나타내며 양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제5공화국 시기인 1980년부터 1987년까지의 7년 동안 사립유치원은 우리나라 유아교육 역사상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폭발적인 양적 성장을 이룩함으로써 사립유치원 교육이 소수의 유아가 받는 특수교육에서 다수의 유아가 교육받는 보편적인 교육으로 전환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사립유치원의 높은 취원율은 사립유치원이 이후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만5세아 무상교육, 사립유치원 종일반 지원, 사립유치원 교사 인건비 지원 등의 국가의 제도적, 행·재정적 지원을 요구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였다. 둘째, 사립유치원의 제도적 변화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5공화국 시기에 ‘유아교육진흥종합계획’과 ‘유아교육진흥법’ 제정을 통해 사립유치원의 양적·질적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제도를 확립하였으며, 사립유치원에 대한 최초의 국가적 차원의 개입이라는 큰 의미가 있다. 제6공화국 시기의 사립유치원의 제도적 변화는 새마을유아원 1,962개원 중 1,647개원이 유치원으로 교육부에 이관되면서 그 중 979개원이 사립유치원으로 전환하여 사립유치원의 양적인 증가를 가져왔고, 1991년 교육법이 개정되면서 만3세아 사립유치원 취원의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1991년 유아교육진흥법 개정으로 사립유치원에 대한 경비보조규정 신설함으로써 사립유치원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최초의 법적 조항을 갖게 되었다. 문민정부 시기는 교원자격검정령 개정으로 1993년 당시 사립유치원 원장의 77%인 무자격 원장의 상당수가 이 시기에 원장자격을 취득하였으며, 1995년 교육법 개정으로 1996년 3월 1일에 처음으로 만5세아 초등학교 조기취학제도가 실시되었으나 실제적인 큰 영향은 없었다. 국민의 정부 시기의 사립유치원과 관련된 제도인 유아교육진흥법 전문개정의 내용과 만5세아 무상교육은 1997년 IMF 외환위기라는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았다. 학부모의 유치원 교육비를 덜어 줄 수 있는 방안을 자연스럽게 모색하게 되었으며 이는 유아교육의 공교육화라는 중요한 이슈를 공론화시키게 되었다. 2000년에 ‘2001 유아교육종합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사립유치원은 만5세아 유치원 교육 무상지원 확대, 유치원 종일반 운영 지원, 저소득층 자녀 유치원 학비 지원, 유치원 시설 확충 및 교육환경 개선 등의 ‘2001 유아교육종합계획 기본방침을 통한 보다 많은 직·간접적인 재정 지원을 받게 됨으로써 사립유치원에 대한 실제적인 정부지원이 점차 늘어났다. 참여정부 시기에는 유아교육법 제정과 그로 인한 관계법령이 후속정비 되었다. 유아교육진흥법이 정부입법이었던 것과는 달리 유아교육법은 의원입법으로 제정되었으며, 제정과정에서 보육, 학원 등의 관련 이해단체들과의 갈등을 겪으면서 7년간의 산고 끝에 제정되었다. 그러나 유아교육법은 법 제정 과정에서 너무나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한 나머지 실제 유아교육법의 내용은 관련 전문가들의 충분한 검토과정 없이 제정되었기 때문에 보완해야할 부분이 많은 허술한 법이 만들어졌다. 따라서 유아교육법 전면개정 및 보완작업이 조속한 시일 내에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사립유치원의 행·재정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5공화국 시기 1983년 문교부에 유아교육담당관실이 조직되었다. 이는 유아교육을 초·중등교육과 마찬가지로 문교부의 독립된 교육 분야로 인정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실질적인 행정지원은 일차적인 목표인 사립유치원의 확대를 통한 양적인 성장 위주로 편성되었으며, 사립유치원 설립인가 조건을 완화하고 무자격교사를 한시적으로 유자격화하는 등 사립유치원의 질은 예전보다 후퇴하였다. 제5공화국 시기는 유아교육진흥을 위한 예산이 책정되었으며 사립유치원에게는 연수, 교재교구개발 및 보급, 포상 등의 간접적인 지원이 시작되었다. 제6공화국 시기는 사립유치원의 양적확대보다 질적인 향상을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제5공화국의 그늘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새세대육영회를 한국어린이육영회로 개칭하고, 시범유치원과 자율장학제도를 합한 지역중심유치원을 명칭을 바꿔 운영하였으나 내용면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 시기의 사립유치원에 대한 재정적 지원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었다. 문민정부 시기에는 제6공화국 시기보다 사립유치원의 질 향상을 위한 행정적 지원이 더 많이 이루어졌다.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유아교육과정의 정상화, 사립유치원 종일제 실시, 반3세반 운영, 새마을유아원의 교육부 이관 마무리, 원장자격인가 추천기준 완화로 원장연수기회를 확대, 1-2학급 규모의 열악한 사립유치원의 시설 개·보수, 유치원 생활기록부 취급요령 실시, 세입·세출 예산서의 철저한 검토, 장학협의 지원체제를 강화, 사립유치원 교원의 신분보장을 위한 교원 임면사항 보고 철저히 지도하고 연금과 의료보험가입의 적극 권장 등 사립유치원을 대상으로 수많은 행정적 지도·감독이 실시되었다. 국민의 정부 시기는 1997년 외환위기로 인한 사회분위기를 반영한 저소득층 학비지원 확대, 만5세아 무상교육, 종일반 운영의 확대, 경제난 극복을 위한 근검절약 및 기본생활습관 지도 등과 같은 행정적 지원을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있었던 가장 두드러진 업적은 사립유치원에 대한 재정적 지원이다. 1999년 저소득층 자녀에 대한 유치원 학비지원 총56억이 이루어졌으며, 2000년 사립유치원 역사상 처음으로 교육부 예산에 사립유치원 교재·교구 지원비 18억을 지원하였다. 참여정부 시기에는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 제정 이후 매해 수립되었던 ‘유아교육 시행계획’은 ‘유아교육기본수립’ 관련 법조항이 유아교육법에 누락되면서 2005년 이후부터 수립되지 않았다. 사립유치원의 경우 종일반 환경개선비를 2005년부터 지원받기 시작하여 사립유치원 운영에 아주 큰 도움을 주었던 대표적인 재정적 지원 사례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재정적 지원으로는 국민의 정부 이후 사립유치원은 저소득층 자녀 무상교육 지원과 만5세아 무상교육의 연장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논의 및 결론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정권의 정치적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은 유아교육의 본질에 충실한 장기적이고도 일관성 있는 사립유치원 정책이 수립·시행되어야 한다. 둘째, 사립유치원이 공교육화 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교육과 보육의 현행 이원화 체제의 불합리한 부분을 정비하고, 유아교육과 보육간의 관계정립 또는 역할분담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후속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1980년 제5공화국 시기부터 2008년 참여정부 시기까지의 사립유치원 변천과정에 국한하여 연구하였기 때문에 1980년 이전 사립유치원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유아교육법 개정 및 보완을 위한 유아교육법 분석과 바람직한 개정방안에 관한 연구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history of private kindergartens in Korea from 1980 (referred to the 5th Republic Government) to 2008 (referred to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and to suggest their present problems and direction to go based on the examination. According to this, some specific matters are followed: 1. How big did the size of private kindergartens in Korea become from 1980 to 2008? 2. How were their systems changed? 3. What changes were there in their administrative, financial terms? 4. What matters do persons concerned or experts in Korean private kindergartens tel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xperts and persons concerned in Korean private kindergartens who can testimony their history since 1980.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persons who are familiar with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ivate kindergartens since 1980 in their Lawivity fields. The subject group was composed of the officials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junior supervisors, the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irectly/indirectly related to governmental policies or relevant institutions,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relevant others. For secure the most suitable subjects, following process was carried out: First of all, researcher(s) called some related persons such as the officials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junior supervisors, professors, former/present executives in Korean Private Kindergarten Association, former/present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s, chief teachers, directors. After examining this study's tile, purpose and short summary, the researcher(s) collected their opinions and selected the first(1st) subjects. And the researcher(s) picked out the second(2nd) subjects from the candidates list recommended by the 1st selected ones except the duplicated persons. To recognize the selected persons' objectivity and importance, the researcher listened to the experts or persons concerned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set 20 of all the candidates as final subject of this study. After that, researcher(s) collected supplementary data through the direct visiting, questioning, counselling and calling for the supplement questioning after the visit. To study the relevant literature, this study analyzed 14 papers of 3 theses and 11 papers related to the private kindergarten, relevant record of National Assembly, the articles of Korean Educational Paper, the Korean Educational Yearbook, educational statistical data and unpublished data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data in KEDI(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ion), Korean Children Raising Association, SETI(Seoul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Korean Private Kindergarten Association, and various publications & reports.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following 4 steps: First step was to recognize present problems. And next step was to establish a model after collecting some literature about private kindergarten in Korea. The third(3rd) step was to establish the target of literature. Final step was to counsel some experts and concerned persons and to analyze their opinions. The present problems suggested by the experts and concerned pers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personnel expenses in the private kindergarten must be expanded. Second, Whole changes and supplemen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Law' are necessary. Third, as small kindergartens are difficult in their running but large ones increase their sizes, the polarization of private kindergartens must be solved. Fourth, the normalizat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private kindergartens must be achieved. Fifth, the conflict relation between national kindergartens and public ones must be solved. Sixth, the differentiation system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raising children is a task to be overcom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got following results by analyzing the changes of education size in private kindergartens. After first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Development Comprehensive Plan in 1982(during the 5th Republic Government), the private kindergarten filed quantitatively expanded showing a big increase rate of 4.5 times, 9.3 times respectively in the number of kindergartens, classes from 1980s to 2007. Especially, in the seven years from 1980 to 1987, their explosive, quantitative growth became a very important turning point that private kindergarten education was changed the special education for small numbers of young children into the comprehensive one for many youngs. Such explosive growth can't be found before and since the period. Also, high entrance rate of private kindergartens at that time provided the driving force to request the systemic,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uch as the becoming public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roviding free education under 6 year-old children and the financial support to all-day classes in kindergartens, teaching-personnel expenses to the nation. Second, there are results analyzing the systemic changes in private kindergartens as follows. In the period of the 5th Republic Government, establishing the relevant laws like the 'Childhood Education Development Comprehensive Plan' and 'The Childhood Educational Development Law' set the system to develop private kindergarten quantitatively, qualitatively. Also it had the meaning the first national interference. The systemic change in the period of the 6th Republic Government also brought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private kindergartens, which was resulted from the transforming 979 public kindergartens into private ones. The transformation was possible because of moving the department responsible to supervise 1647 public kindergartens among 1962 members of Saemaeul Kindergartens into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amended educational laws, the legal foundation for under 4 year-old children to enter private kindergartens was set. In the same year, the amend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Development Law' created the cost support article, the first legal article to specify financial support to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period of 1993~1998(referred to Cultural People's Government), 'The Teacher Qualification Certification Law' was amended. As the result of that amendment, substantial under-qualified persons, 77% of all the principals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legally acquired the principal certification license. In 1995, the amendment of 'The Education Law' created the system for 6 year-old children to enter the elementary school, but its real effect was insignificant. In the period of People's Government, the systems related to private kindergartens like the general amendment of 'The Early Children Educational Development Law' and free education for 6 year-old children were relevant to social atmosphere at that time hit by the foreign currency crisis of IMF 1997. Therefore, People's Government naturally researched the way to reduce the kindergarten cost of parents with children, leading to make the public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as an important public issue. In 2000, ‘The 2001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prehensive Plan' was set, and the free education opportunity of 6 year-old children, governmental real support increased by providing the kindergartens to direct/indirect financial support related the terms of the all-day class, the children's tuition fee in low-income home, the facility expansi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the period of Participation Governmen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and relevant articles were revised. Contrary that original law had formed through the government's suggestion, revised one was established via the congressman's suggestion after 7-year conflict with relevant interest groups including raising institutions, academic institutions during its establishment process. However, because there were spent so much time and energy during the establishment process, the practical contents of the law didn't enough reviewed by relevant experts, resulting in the very loose law with the necessity of much remedy. Therefore whole amendment and supplement of the existing law must be done as soon as possible. Third, the results analyzing the administrative, financial changes as follows. Under the 5th Republic Government,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Ministry of Culture & Education was created in 1983. That proved that the government recognize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n independent educational field in the Ministry of Culture & Education as well as elementary & secondary educations. Practical administrative support was focused the quantitative growth expanding private kindergartens as its primary goal. For this goal, the government easily corrected the establish requirement standard of private kindergarten, and gave the licence to under-qualified teachers temporarily. As the result of such actions, the quality of private kindergarten regressed. In this period, the budget for the educational development for early children was created and private kindergartens were started to get indirect support like teacher training, the development & distribution of textbooks, learning materials, and prize. The 6th Republic Government tried to develop the quality of private kindergartens rather than their expansion. Additionally, to get out of the shade of former cabinet(5th Republic Government), this government remained 'New Generation Raising Association' into 'Korean Children Raising Association', and merged the Model Kindergarten and the Voluntary Scholar System, renewed it as the Region-Centered Kindergarten, but the practical contents of the former and the latter were similar. Financial support level in this period was very slight. Cultural People's Government provided more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quality development of private kindergartens than the 6th Republic Government. There were much administrative guides and supervision including the becoming public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normalizing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e operating all-day class and the class for 3 year-old children in private kindergarten. Also, other actions were the completing the work moving the management of Saemaeul kindergartens into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expanding principals' abroad training thanks to easing off the recommend standard for principal license, the repairing the poor facility having 1-2 classes, the delivering tips treatment of children' class life record, the examining the revenue & expense sheet throughly, the strengthening the support system of the Scholar Association, the through supervising the report of the teachers' appointment for the secure of teacher's status, the active encouraging to participate the pension and medical insurance.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s Government was other administrative support like the expansion the system providing the tuition for low-income hone, the free education for 6 year-old children, the expansion of all-day class in kindergartens, the guidance of saving and correcting basic life habits to overcome economic difficulties. All the actions reflected the social atmosphere caused from the foreign currency crisis of 1997. The most significant achievement in this period was the financial support to the private kindergarten field. In 1999, total 5.6 billion(5,600,000,000) won of kindergarten tuition for low-income home children was provided, and in 2000, the Ministry of Education assigned and provided the budget of 1.8 billion won for the purchase of textbooks & learning materials for the first time in the private kindergarten's history. In the period of Participation Governmen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mplement Plan', which had accepted every year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Development Law' in 1982, started not to be set since 2005, the time after the article relevant to 'Early Childhood Basic Establishment' had been omitted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From 2005, private kindergarten started to get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subsidy for all-day class, and it can be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financial case to become a big help for operating private kindergartens. In this period, the financial support to private kindergarten was consisted of the free education support for low-income home children and for 6 year-old children as the extension of People's Government's educational policy. Through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this study tries to recommend as follows. First, the policies on private kindergartens during the period from the 5th Republic Government to Participation Government was decided according to the power and authority of each age. Therefore government's long, stable policies for private kindergartens must be implemented. Second, under the situation that private kindergartens face the danger of wither, teachers in the field must do their best to keep the private kindergarten grown for 100 years from the danger by occupying the responsibility and capacity as educators for early children and through efforts. Third, the childhood education until now focused on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quality improvement, but now is the time to suggest long policy vision for the childhood education & raising. Fourth, the central government must provide the systemic support for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Administration responsible for the private kindergarten jobs to work with the sense of pride and duty. Fifth, the promotion about the essenc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s importance must be carried out to all people including corresponded parents with efficient methods.

      • 유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심은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유아특수교사가 된 유아교사의 통합교육 경험에 대해 내러티브탐구 방법에 따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교육경력 10년 이상의 유아교사 중에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유아특수교사가 된 유아교사 3인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현장 노트 그리고 연구자 저널을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내러티브 탐구절차에 의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지식 없이 시행되는 통합교육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교육에 소홀할 수 있다. 둘째, 교육현장에서 조기선별을 위한 진단평가가 늦게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통합교육을 시행하는 유아교사에게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에 대한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장애를 가진 유아를 둘러싼 주변 사람에게 장애에 대한 다양하고 긍정적인 형태의 장애인식 교육이 확대 되어야한다. 다섯째, 유아특수교육 석사과정을 공부하는 유아교사에게 특수교육대상유아와 함게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여섯째, 통합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영역의 공통영역을 확대 하여야한다. 일곱째, 교사양성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 자격을 가진 연구 참여자의 통합교육 경험을 이야기함으로써 통합교육에 대한 준비가 없는 환경에서 이뤄지는 통합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유아특수교사로서의 통합교육에 대한 경험을 통해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사를 준비하는 유아교사에게 유아교사로 생각하지 못했던 유아특수교사의 중요성과, 유아특수교사로 통합교육을 시행하며 경험하게 될 간접경험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 정신간호사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자기통제력이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 그릿을 매개효과로

        심은희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Psychiatric Nurses'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Effe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Control on Patient-Centered Nurs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grit) Shim Eun Hee Directed by Professor Yang sueng hee, Ph. D Major in Nursing Dep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Nursing of Shinhan University This paper presents a descriptive research survey that investigates the effects on the patient-centered care of mental health nurses. Data was collected at ten mental health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January, 2022. The minimum sample size was 157. A total of 19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given a drop rate of 20%, and 184 were returned and used in the final analysis. For measurements, the researcher used inventories on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control, grit, and patient-centered car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ith the IBM SPSS/WIN 26.0 program.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through bootstrapp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atient-centered car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position. As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F=2.787, p<.05), the nurses in their forties (3.88±0.46) were relatively higher in patient-centered care than the nurses in their thirties (3.60± 0.46). As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career (F=2.658, p<.05), the nurses with a career of 20 years or longer (3.92±0.39) recorded the highest level of patient-centered care based on the comparison of simple means. These differences were, however, insignificance in the Scheffe test results. As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F=4.162, p<.05), the nurses who graduated from a graduate school or higher (3.98±0.46) were relatively higher in patient-centered care than nurses who graduated from a community college (3.68±0.39). As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position, charge nurses or higher (3.93±0.39) had a higher level of patient-centered care than general nurses (3.71±0.46). 2. The study researched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control on patient-centered car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between them. A one-step model checked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grit as a mediating variable and had an explanatory power of 48.3% (adj R2=.475, F=56.117, p<.001). Professional self-concept (B=.848, p<.001) and self-control (B=.286, p<.001)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grit. A two-step model examined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patient-centered car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had an explanatory power of 24.9% (adj R2=.237, F=19.940, p<.001). Professional self-concept (B=.511, p<.001) and self-control (B=.184, p<.05)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patient-centered care. A three-step model examined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mediating variable, grit, on patient-centered car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it had an explanatory power of 27.6% (adj R2=.260, F=17.041, p<.001). Professional self-concept (B=.251, p<.001) and grit (B=.201, p<.05)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patient-centered care.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did not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patient-centered care. Professional self-concept had direct positive impacts on it and also indirect positive impacts via grit, which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Self-control had no direct effects on patient-centered care but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it via grit, which had full mediating effects. The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to enhance the grit of mental health nurse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se findings raise a need for the mental health care environment to provide mental health nurses with various education programs to increase their persistence of continuing nursing care without getting tired for patient-centered care and boost diverse support to prevent them from losing their passion and intrinsic motivation. Keywords: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control, grit, patient-centered care 정신간호사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이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2년 1월 한 달간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정신병원 10곳에서 시행하였고, 최소 표본 수는 157명이었고, 탈락률20% 고려하여 190부를 배부하고 이 중 회수된 184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 도구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 그릿, 환자중심간호 도구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test와 Pearson’s correlation,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중심간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나이, 경력, 최종학력, 직위 등에 따라 환자중심간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F=2.787, p<.05)에 따른 차이는 40대(3.88±0.46)가 30대(3.60± 0.46)에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F=2.658, p<.05)에 따른 차이는 단순 평균값 비교 시 20년 이상(3.92±0.39)이 가장 높았지만 Scheffe 검정결과는 비 유의하였다. 최종학력(F=4.162, p<.05)에 따른 차이는 대학원 이상(3.98±0.46)이 전문대졸(3.68±0.39)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에 따른 차이는 책임 이상(3.93±0.39)이 일반 간호사(3.71±0.46)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이 환자중심 간호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효과의 결과를 살펴보면 1단계 모형은 독립변수들이 매개변수인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모형으로 설명력은 48.3%로 나타났고(adj R2=.475, F=56.117, p<.001), 전문직자아개념(B=.848, p<.001), 자기통제력(B=.286, p<.001)이 그릿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모형은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인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모형으로 설명력은 24.9%로 나타났고(adj R2=.237, F=19.940, p<.001), 전문직자아개념 (B=.511, p<.001), 자기통제력(B=.184, p<.05)이 환자중심간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 모형은 독립변수들과 매개변수인 그릿이 종속변수인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모형으로 설명력은 27.6%로 나타났고(adj R2=.260, F=17.041, p<.001), 전문직자아개념(B=.251, p<.001), 그릿(B=.201, p<.05)이 환자중심간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는 환자중심간호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전문직자아개념은 환자중심간호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릿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도 긍정적 영향을 미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통제력은 환자중심간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그릿을 통해 간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쳐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보아 정신간호사의 그릿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에 정신 간호환경에서는 환자중심간호를 위해 정신간호사가 지치지 않고 간호를 이어 나갈 수 있는 끈기를 높여주는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고, 열정과 내적동기를 잃지 않도록 다양한 지원을 제고 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주요개념어 :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 그릿, 환자중심간호

      • 전화 상황에서의 한국어 의사소통전략 교육 방안 연구 : 중ㆍ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심은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기존의 의사소통전략 연구가 면대면 의사소통 상황을 중심으로 논의되어왔던 것에서 벗어나 의사소통전략을 전화 상황에 적용하여 학습자들이 다양한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원활히 의사소통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 생활을 시작함과 동시에 다양한 목적으로 전화를 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습자들은 면대면 의사소통 상황에서보다 전화 통화상의 의사소통에서 더 큰 어려움을 겪는데, 특히 불특정 모어화자와의 통화 시 학습자들은 언어적 난이도의 문제와 심리적 부담감 등 여러 장애 요인 때문에 소통상의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소통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이 학습자들이 전화 통화 시 사용되는 전형적인 담화의 구조, 표현, 어휘 등 언어 지식에 대한 부족과 더불어 다양한 의사소통전략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에 있다고 보고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상의 문제를 극복하고 더 나아가 의사소통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전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담화의 구조, 표현, 어휘를 기초로 하여 의사소통전략을 교수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연구의 범위와 연구 대상을 제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대상으로는 일반 목적 중 고급 학습자로 선택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는 불특정화자와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전화로 한정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로서 의사소통전략, 전화 담화 분석, 전화 관련 교재 대화문 분석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전화 상황에서의 의사소통전략 교육 방안 연구의 기반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 의사소통전략의 개념과 전략의 유형, 훈련 방법 및 전화 의사소통의 특징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바라보는 전화의사소통전략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기초조사로서 교재분석, 설문조사, 전화 대화 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교재분석은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출판 된 지 5년 이내의 교재를 검토하여 전화 관련 대화문과 과제를 포함하는 14권의 교재를 대화문과 과제의 실제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살펴보고, 이에 대한 수정 &#8228; 보완 방안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다음으로 설문조사는 학습자들의 전화 의사소통 양상, 학습자들이 느끼는 어려움 정도, 의사소통전략 사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마지막 기초조사로는 실제 전화 대화를 수집하였는데 본 연구자는 실제 전화 통화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녹음하여 각각 전화 상황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화 담화의 구조, 표현, 어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3장의 기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에 앞서 학습자들이 어렵다고 느끼는 동시에 많이 수행한다는 응답한 전화 항목인 114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이용하기와 이동통신사 부가서비스 이용 전화를 주요 과제로 선정하고, 이를 실제로 교수할 수 있도록 과제 수행 중심 말하기 교육 모형을 토대로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앞선 논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모형을 실제 교육했을 때의 예상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최초로 전화 의사소통전략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략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제 담화 표현과 구조 및 어휘를 제시하여 교육 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실제 수업을 통해 연구자가 제시한 교수-학습 모형의 예상 효과를 검증하지 못했다는 점과 일반 목적 초급 학습자를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전화 전략 교수 방안 연구가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안티패션(Anti-Fashion)이 반영된 현대 패션의 미적 특성 연구 : 다다이즘의 반 예술을 중심으로

        심은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Sharing various information, expressing the personal opinion, and personal taste have recently been respected due to the new appearance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social networking. This change of period paradigm brings on the aspect of chang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ommunication method as various communications become possible without regard to the time and space. As the new period paradigm unfolds and the diversification time arrives, the fashion is changing to various meanings such as the media role of the communication and exchange breaking away from the visual communication tool. Accordingly, the modern fashion is arranging a point of view attracting the new aesthetic awareness as accepting the personal individuality and a minority of tastes with the anti-fashion incorporated into the style. While the past anti-fashion was considered as a symbolic meaning of the resistance spirit as refusing the standardized mode that the traditional fashion aimed for, it is evolving to the driving force leading the creative fashion design breaking out of the resistant attitude in modern times. It is a result of the anti-art spirit of Dadaism that arranged the concept of aesthetic awareness which can develop accepting various individualities. It becomes an opportunity for the current fashion to take a leap diversely. Hereby this study would focus on the anti-fashion from the creative viewpoint different from the symbolic meaning of the existing resistant spirit through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study of the modern fashion in which the correlation of anti-art of Dadaism and the anti-fashion were reflected. The study result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It is confirmed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anti-art and Dadaism that Dadaism and anti-art are new challenge awareness breaking out of the existing idea and they arranged the basis of anti-fashion aiming for the creation by breaking the existing form. The anti-fashion drawn on the basis of the anti-art spirit links to the inspiration of creation and the value of driving force for seeking the new fashion design by refusing the customary fashion mode beyond the category of denial and defianc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the anti-fashion appearing in the modern fashion is classified into the atypia, inversion, borrowing, and concealment based on the consideration above. First, the atypia appears in an attempt to destroy the existing aesthetic value through the designer’s experimental method while expressing new sculpture beauty not the attire of fixed form. Second, the inversion lets something lose the functionality by making the order and location of the normal attire different and gives the unexpectedness and creates a new image through the recombination of details. Third, designers recognize the existing image again by borrowing the text and original image and use borrowing as the media of mutual communication. Fourth, the concealment separates or distorts the form of attire through the human body separated from the personal identity by hiding the original identity or figure intentionall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reflected through the formative analysis of anti-fashion appearing in the modern fashion was drawn based on the study above,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ingency is a new aesthetic domain that disbanded the limit of traditional art. The contingency of the anti-fashion appearing in the modern fashion expresses that the inside of human cannot explained by the rational logics by disbanding the illogical rational system through the temporary image with the behavior of overturning the aesthetic value of existing clothes. Second, playfulness 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which induces the laugh through the heterogeneous mixture with ordinary objects or bo rrowed objet. It expresses another desire for creation by glorifying and destroying the existing thought in the anti-fashion appearing in the modern fashion. Third, the diversity 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that can differentiate oneself from others. It exists as the phenomenon that refuses to be standardized and distinguished in the anti-fashion appearing in the modern fashion and appears as the feature of proceeding constantly to a new domain by disrupting the substantive substantiality. Fourth, avant-garde is an aesthetic characteristic encompassing the overturn of existing value order and the pioneering concept through the refusal against the conventionality; it is a process of leap which proceeds to the creation through the radical and experimental attemp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having explained the meaning of anti-fashion and visualiz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from the viewpoint of originative fashion design rather than the category of the resistance and sub-culture fashion with regard to the anti-fashion appearing in the modern fashion.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study material for the follow-up study in an attempt to recognize the essence of creative inspiration by analyzing and suggesting the anti-fashion appearing in the modern fashion which changes diversely along with the advent of diversification age. 최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Communications Service) 소셜 네트워킹(Social Networking)의 새로운 등장으로 다양한 정보 공유와 개인의 의사 표현 및 취향이 존중받게 되었다. 이 같은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는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되면서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다른 변화의 양상을 가져온다. 새로운 시대적 패러다임이 펼쳐지고 다원화 시대에 도래하면서 패션은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도구에서 벗어나 소통과 교류의 매개체 역할 등 다양한 의미로 변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 패션은 개인의 개성과 소수의 취향이 수용되면서 안티패션은 스타일로 편입되어 새로운 미의식을 이끄는 관점을 마련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안티패션은 전통적 패션이 지향하는 획일화된 양식을 거부하여 저항정신의 상징적 의미로 취해지지만, 현대에 이르러 저항의 태도에서 벗어나 창조적 패션디자인을 이끄는 원동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개성을 수용하며 발전할 수 있는 미의식의 개념을 마련한 한 다다이즘의 반 예술 정신의 결과물로 지금의 패션이 다양하게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다이즘의 반 예술의 상관성과 안티패션이 반영된 현대 패션의 미적 특성 연구를 통해 기존의 저항정신의 상직적 의미와 다른 창의적 시각에서 안티패션을 주목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 예술과 다다이즘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다다이즘과 반 예술은 기존의 관념을 탈피하는 새로운 도전 의식이며, 현존하는 형식을 타파함으로써 창조를 지향하는 안티패션의 근본을 마련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반 예술 정신에 입각하여 도출된 안티패션은 부정과 반항의 범주를 넘어 관례적인 패션 양식의 거부를 통해 새로운 패션디자인을 모색하기 위한 창작의 영감과 원동력의 가치로 연결된다. 위와 같은 고찰을 바탕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안티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비정형, 도치, 차용, 은폐로 분류된다. 첫째, 비정형은 고정된 형태의 복식이 아니라 새로운 조형미를 표현하며 디자이너의 실험적 방법을 통해 기존의 미적 가치를 파괴하는 시도로 나타난다. 둘째, 도치는 정상적인 복식의 차례와 구성 위치와 다르게 하여 기능성을 상실하고 의외성이 부여되며 디테일의 재조합을 통해서 새로운 이미지가 생성된다. 셋째, 차용은 텍스트와 본래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기존 이미지를 재인식하고 디자이너들은 상호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체로 사용한다. 넷째, 은폐는 본래의 정체나 모습을 의도적으로 감추어 개인의 정체성과 단절된 신체를 통해 복식의 형태를 분리하거나 왜곡시킨다.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안티패션의 조형 분석을 통해 반영한 미적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미적 특성을 보인다. 첫째, 우연성은 전통 예술의 한계성을 해체한 새로운 미적 영역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안티패션의 우연성은 기존의 의복의 미적 가치를 전복시키는 행위와 더불어 일시적인 이미지를 통해 비논리적이고 이성의 체계를 해체하여 인간의 내면을 이성적 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존재임을 표출한다. 둘째, 유희성은 일상사물과 이질적 혼합 또는 차용된 오브제를 통해 웃음을 유도하는 미적 특성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안티패션에서 기존의 사고를 미화시켜 파괴하는 표현을 통해 또 다른 창조의 욕구를 표출한다. 셋째, 다양성은 타인과 차별화를 인정받고 구분할 수 있는 미적 특성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안티패션에서는 획일화되고 구분되기를 거부하는 현상의 교차로 존재하며 실질적 본체를 와해시켜 새로운 영역의 범주로 끊임없이 나아가는 특성으로 나타난다. 넷째, 전위성은 인습에 대한 거부를 통해 기존의 가치 질서의 전복과 선구적 개념을 아우르는 미적 특성으로 급진적이고 실험적인 시도를 통해 창조로 나아가는 도약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안티패션을 저항 및 하위문화 패션의 범주가 아니라 독창적 패션디자인의 관점으로 안티패션의 의미를 설명하고 미적 특성을 가시화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더불어 다각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다양하게 변모되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안티패션을 분석하고 제시하여 창의적 영감의 본질로 인식하는 가능성의 시도로 후속 연구를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Li-doped ZnO (ZnO:Li) 박막 특성 분석 및 ZnO 동종접합 다이오드 제작에 관한 연구

        심은희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ZnO has a strong potential for various short-wavelength optoelectronic devices such as light emitting diodes (LED) and laser dioeds (LD), because of its wide band gap energy of 3.37 eV and large exciton binding energy of 60 meV at room temperature, which is one of the advantages over GaN. In order to exploit the potential offered by ZnO, both high-quality n- and p-type ZnO are necessary. ZnO crystallographically has a wurtzite structure and is composed of tetrahedrally-coordinated Zn2+ and O2? ions, where the large difference in ionic sizes of Zn (0.83 Å) and O (1.40 Å) somewhat tends to break the tetrahedral lattice symmetry. This leads to the formation of non-stoichiometric defects and results in an ionic charge imbalance that makes ZnO naturally conductive even without intentional doping. N-type is easy to realize because ZnO occurs naturally as n-type conduction due to the presence of intrinsic donor defects, such as oxygen vacancy (VO) and zinc interstitial (Zni). There have been many reports for growth of high quality n-type ZnO using group-Ⅲ elements such as B, Al, Ga and In as dopants. However, the realization of p-type ZnO has been proven difficult and is thought to the bottleneck due to high self-compensation, low solubility of the dopant and deep acceptor level. P-type dopants in ZnO may be possible by substituting either group-Ⅰ elements (Li, Na, K) for Zn sites or group-Ⅴ elements (N, P, As) for O sites. In this study, Li-doped ZnO thin films were prepar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system using a 1 at.% Li doped ZnO target. The structur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ZnO thin film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x-ray diffraction (XRD), and Hall effect measurement. Also the vibrational modes of the samples were examined by using Raman spectroscopy, and the LiZn related optical emission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by means of photoluminescence (PL) measurements. The variation of p-type conductivity in Li-doped ZnO thin films are analyzed in detail, and the mechanisms for the p-type behavior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