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기관내 교통약자 시설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자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류강희 영산대학교 공과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교육기관내 교통약자 편의시설의 현황을 파악하여 개선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중교통(공항, 철도, 지하철, 버스) 및 자가용, 도보 이용시 현재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교통약자 편의시설을 조사하여 교육기관 내 교통약자 편의시설에 반영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교통약자’ 총 인구대비 24.8% 수준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어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법률 제17453호, 공포일 2020.06.09.>을 규정하여 교통약자들을 법률로써 보호하는 실정이다. 교육기관내(부산지역 대학교, 사이버대학교 제외) 교통약자는 전체 5.91%(2017년 ~ 2020년) 이며 이는 전체 학생 100명당 약 6명이 교통약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우수 33개 캠퍼스, 우수 68개 캠퍼스, 보통 163개 캠퍼스, 개선요망 158개 캠퍼스로 전국의 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한 ‘장애대학 교육복지지원 실태평가 결과’에서 조사되어 전국 보통 이하의 캠퍼스가 7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부산지역 내 교육기관 중 대학교 시설을 이용하는 교통약자 편의시설의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여 한정된 예산으로 교통약자와 일반인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 즉 보편적 디자인(Universal Design)을 적용하여 교육기관내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교통약자의 이동권 확보를 위한 시설 또는 설비는 이용자의 누구에게나 편리하도록 보편적인 설계, 즉 보편적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통약자를 위해 개선된 시설이나 설비가 교통약자들에게는 편리하지만 다른 이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고 교통약자를 포함한 모든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어떠한 상황에서도 대학시설 내 교통약자가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비상대응 메뉴얼이 연구·개발되어 있어야 함을 본 논문에서 강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대학시설 내 교통약자의 건축물 내·외부의 고정 및 이동형 편의시설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었지만, 교통약자 편의시설 중 이동수단(Mobility)에 대한 조사는 그 조사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여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ublic transportation (airport, railway, subway, bus) and various transportation facilities currently installed when driving or walking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status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Currently, it has a 24.8% share of the total population of the 'traffic vulnerable' in Korea, so it protects the vulnerable under the law by stipulating 'Act on the Promotion of Transportation Convenience' (Act No. 17453, promulgation date 2020.06.09.). The transportation vulnerability in educational institutions (excluding universities in Busan, cyber universities) totaled 5.91% (2017-2020), about 6 out of every 100 students were found to be underprivileged, 33 best campuses, 63 best campuses, and 158 improvement networks.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various cases of transportation vulnerable convenience facilities using university facilities am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Busan and to build them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by applying universal design, which is convenient for both the weak and the general public, with a limited budget. Basically, facilities or facilities for securing mobility rights for the underprivileged need to introduce a universal design, or universal design concept, for the underprivileged, and improved facilities for the underprivileged are convenient for the underprivileged, but should be convenient for all users, including the underprivileged.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emphasize in this paper that emergency response manuals that allow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university facilities to use convenience facilities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under any circumstances. Therefor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 fixed and mobile convenience facilities of the vulnerable in and out of the buildings of the vulnerable in Busan were not investigated because the scope of the survey was too wide.

      • 병원성 미생물 제어를 위한 박테리오파지의 생리학적 평가 : Physiological Assessment of Bacteriophages for Control of Foodborne Pathogens

        류강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학위 논문의 첫 번째 연구 목적은 장 환경에서 Salmonella Typhimurium의 세포 내부로의 침투, 세포 내 생존능력, 운동성 및 세포 사멸에 미치는 박테리오파지 P22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S. Typhimurium은 CON (0% 담즙염, pH 7.2), SN (0% 담즙염, pH 5.0), SL (0.5% 담즙염, pH 5.0), SH (2.0% 담즙염, pH 5.0), SNp (0% 담즙염 + P22, pH 5.0), SLp (0.5% 담즙염 + P22, pH 5.0), and SHp (2.0% 담즙염 + P22, pH 5.0) 조건 하에서 37oC, 4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그 결과, CON에 비교해서 SNp, SLp, SHp 조건의 S. Typhimurium이 각각 3.30, 3.56, 3.75 log CFU/ml로 감소하였다. 또한 S. Typhimurium의 운동성 평가에서도 SNp, SLp, SHp는 CON에 비교해서 23%, 22%, 20%의 운동 능력을 보여주었다. Quantitative RT-PCR를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 양상을 비교한 결과, SHp에서 세포 침투와 연관된 유전자(hilA, hilC, hilD, invA, invE, invF) 발현이 확연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제 세포 침투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인간의 장 표피 세포인 INT-407 cell line에 감염시켰고 결과는 예상한대로 SLp와 SHp에서 각각 45%, 49%의 S. Typhimurium 만이 침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박테리오파지 P22는 장 환경에서 S. Typhimurium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번째 연구는 박테리오파지에 내성을 가지게 된 Staphylococcus aureus mutant의 생리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박테리오파지 SA11의 용균 능력 평가, 항생제 민감성 변화, 유전자 발현 수준 비교, 생물막 형성 능력 평가, 생물막 저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박테리오파지에 내성을 가진 S. aureus를 얻기 위해 과량의 박테리오파지가 처리된 배지에서 살아남은 colony를 분리하였다. 무작위로 분리한 4개의 colony는 모두 다른 박테리오파지 내성 정도를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항생제 민감성 또한 wild type에 비교하여 소폭 변화하였다. 생물막 형성 관련 유전자(clfA, clfB, eno, fib, fnbA) 발현 수준에서는 모두 증가하였으나 박테리오파지에 의한 생물막 저해 정도는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박테리오파지가 처리된 환경에서는 wild type의 생물막 형성 능력이 50.15% 인 것을 보여준 반면 박테리오파지 내성균들(BISA1, BISA2, BISA3, BISA4)은 71.82%, 85.14%, 82.81%, 94.69%인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생물막을 형성한 S. aureus에 대해서는 BISA1과 BISA3에서 wild type보다 높은 감소율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박테리오파지에 내성을 가진 병원성 미생물은 박테리오파지에 대해서 다양한 내성 정도를 보여줄 수 있으며 생물막 형성 능력 및 생물막 형성 후 박테리오파지에 대한 민감성, 항생제 민감성이 모두 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우리나라 니트웨어 輸出增大策에 관한 硏究

        강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8607

        니트製品은 우리나라에서의 導入歷史가 200여년에 이르는 오랜 歷史를 지니고 있으며 1963年 영세한 보세가공 輸出이 輸出産業의 始初가 되어 1985年 基準 衣類輸出 32 % 비중의 大宗輸出 産業으로 成長하기까지 世界的인 需要增加와 더불어 量的, 質的 發展을 거듭하여 왔다. 그러나 最近 높은 賃金上昇率로 인한 輸出製品의 價格競爭力 喪失, 先進國의 輸入規制 强化, 中共등 後發開途國의 輸出市場잠식등 國內外與件이 惡化되는 일로에서 衣類輸出에 대한 새로운 方向모색이 必要로 되고 있다. 이에 本 論文은 니트輸出産業의 重要性을 認識하고 向後 輸出增大를 爲한 發展的인 방안을 시도하려고 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니트웨어 輸出産業現況을 파악하기 위해 10個 輪出業體를 選定하였고, 輸出失態와 企業的 측면에서의 問題點을 파악하기 위하여는 인터뷰 方法을 實施하여 輸出增大를 위한 방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첫째, 製品의 高級化, 多樣化가 이루어져야 한다. 輸出製品 경향은 패션성이 加味되지 않은 기본스타일 品目에 偏重된 低價品 輪出傾向에서 탈피하여 製品의 高級化, 多樣化가 商品企劃的 측면과 技術, 設備的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特히 輸出國 感覺에 合致되는 일관된 製品生産을 위하여는 오더쉬트(order- sheet)의 체계적인 構造와 精密性이 부여되어져야 한다. 둘째, 産業構造面에서 수직계열화가 추진되어야 한다. 니트産業은 代表的인 수직계열구조의 형태로 原系, 編織, 니트産業 메이커가 相互, 相補的 協助體制를 수반하여야 한다. 셋째, 輸出市場의 多變化가 이루어져야 한다. 니트웨어 輸出對象國은 소수의 特定國家에 偏重된 형편으로 高級開發品을 통한 品目의 專門化를 기함으로서 기존시장 심화와 新市場開拓이 요망되며 合理的인 마케팅 活動의 强化로 국제경쟁력을 키워가야 한다고 본다. Korean knit-wear industries have made and incessant development and growth up to the leading points of the Korean fiber industry since 1963 taking the opportunity of the world-wide increasing demand. Our knit-wear industries having one-generation experienced, however, are coping with a new turning point due to the recent changes of inner and outer exporting circumstances and the trends of the world-wide knit-wear industries. Through the enterprise reality and trend analysis about Korean knit-wear items of exports, this paper has found some structural problems b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ur own knit-wear public reputation with that of other competing countries' products from the oversea market. Specially, the image of export goods has mainly originated from the semi-fancy casual wear rather than fashionable fancy casual wear. In the price aspects, this industry was in the undeveloped levels due to the use of low-priced materials. Therefore, this paper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basic directions with the conclusions of making higher graded-product, the improvement of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extention of market for the incremental strategies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s in the light of Korean knit-wear exporting realities. Firstly, the highest-oriented and diversified goods are required. For this, broadly, the aspects of technology and installation and the aspects of goods-planning should be stressed. From the aspects of installation and technology, the improvement of goods and efficiency should be made through the resolute alternation of outworn machinary and the automation. From the goods-planning, the emphasis should be put on the development of peculiar brand and the function which is actuating and gathering the consumer and on the international trad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installation of CAD/CAM i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fashionables. Secondly, from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vertical systematization should be propelled. The specialization of goods items mainly with the small-to-medium-sized enterprises should be made on the basis of vertical corporation with the low-ranked knit fashion makers, middle-ranked knit-wear, dyeing, dressmaking maker and high-ranked raw material and fiber makers. Thirdly, on the aspects of export market extention, the diversification of export market and the reclamation of new market should be made. A foreign exchange earning rate should be raised with the potential market reclamation, expecting the increasing demand from the Middle-East, Japan and East Europe, and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goods using the materials of non-MFA. Consequently, high-quality goods through the original design and technological improvements when the special and competent expert teams are consisted and the mutual congruence with the governmental efficient export policies are made, the increasement of export and international competing powers will be superior to other countries. Making an steady progress in the Korean knit-wear industries can be expected only when we have the belief informing the technological levels to the overseas with the active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