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都市間通勤에서 家口特性에 따른 通勤類型決定에 關한 硏究 : 光州 都市間通勤圈에 對한 經濟的 接近

        김채옥 全南大學校 1995 국내박사

        RANK : 247631

        일반적인 都市間 通勤理論에서는 개인의 同質性 가정 위에서 도시간의 賃金差異와 距離 要因에 의하여 도시간 통근의 樣相이 결정된다고 한다. 현실에 있어서는 이와같은 요인 이외에도 個人의 特性差異와 選好差異도 관내통근을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도시간 통근을 선택할 것인가하는 도시간 通勤類型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個人의 所得과 選好에 있어 존재하는 差異가 通勤類型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命題를 檢證하기 위하여, 양방향의 交叉通勤이 발생하고 있는 광주와 화순지역을 事例로하여 연구하였다. 職場이 우선 결정되는 구조에서, 개인의 소득과 개인의 선호에 따라 광주와 화순의 두 地域 중에서 하나의 거주지를 선택함으로써 통근유형을 선택한다고 보고, 광주거주-광주직장, 광주거주-화순직장, 화순 거주-광주직장, 화순거주-화순직장의 네개의 도시간 通勤類型集團을 선택하여, 家口特性과 居住地選擇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도시간의 교차통근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광주-화순을 하나의 가격 결정범주로 보고, 特性勘案價格函數를 추정하였다. 특성감안가격함수를 행정구역단위로 추정하지 않고, 通勤圈單位로 추정함으로써 지역간의 公共財 水準差異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해 낼 수 있어서 설명책을 높일 수 있었다. 추정결과 물리적 특성, 공공재 수준, 자연적 특성, 접근성3(도심에서 거리의 세제곱 값) 변수가 통계적으로 意味있는 說明變數로 나타났다. 조정된 결정계수는 0.8103을 나타내어서 주택가격에 대한 추정결과로서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각 계수에 대한 추정치를 해석하면, 물리적특성이 한 단위 증가하면 가격이 249.75만원 상승하고, 공공재수준이 한 단위 상승하면 6.8813만원, 자연적특성이 한 단위 증가하면 가격이 7.4888만원 증가한다. 한편 접근성3의 한단위 증가는 가격을 0.31399만원 감소시킨다. 여기서 접근성변수에 세제곱을 함으로써 도심에서의 거리가 점점 멀어질수록 가격이 보다 크게 하락하게 되는데 이는 限界非效用遞增을 반영한다. 集團別 推定의 結果는 집단의 결합에 따라 係數推定値에서 差異가 발생하여, 간접적으로 집단별 특성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관내통근집단과 비교할 때 域外通勤 集圈이 접근성3의 증가에 따른 가격의 하락이 적었고, 물리적 특성의 증가에 따른 가격의 상승은 컸다. 가구특성이 거주지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생애주기, 월소득, 교육중요도를 설명변수로 하여 광주-화순간 거주지 선택에 대한 判別函數를 추정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표본집단에 대하여 分類를 하여본 결과, 74.09%의 설명력을 나타내서, 생애주기, 월소득 그리고 교육중요도에 의해서 광주거주집단과 화순거주집단을 구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구특성이 거주지 선택의 확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로짓模型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로짓모형은 광주를 거주지로 선택할 확률을 종속변수로 하고, 가구특성을 설명변수로 하였다. 가구특성에 의한 거주지 선택확률의 변화를 추정한 결과, 월소득, 교육정도, 생애주기의 변수가 1%의 유의수준에서 의미있는 변수로 나타났고, 월소득의 증가, 가구주 교육정도의 증가, 생애주기 단계의 증가가 거주지로서 광주를 선택하는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生涯週期를 더미變數로 처리한 결과 생애주기에 따라 광주를 선택하는 확률에 有意的 差異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혼초기에서 첫아이 국민학교 입학 전까지의 가구는 화순을 거주지로 선택할 확률이 높고, 첫아이 국민학교 입학에서 막내대학교 졸업까지의 가구는 광주를 거주지로 선택할 확률이 높고, 막내대학교 졸업 이후의 가구는 화순을 거주지로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集圈別로 로짓模型을 사용하여, 광주를 거주지로 선택하는 확률에 대한 추정을 한 결과, 집단별 결합에 따라 추정치에 유의적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를 집단별 특성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職場이 決定된 後의 광주와 화순간의 居住地 決定은 通勤類型 選擇의 意味를 갖는다. 특성감안가격함수의 의미를 거주지 선택과 연관을 지어 해석해 볼 때, 서구의 27평아파트에 거주하는 표본평균의 특성을 가진 거주자가 화순읍의 27평아파트로 이주하게 되면 거주지 환경차이에 의하여 1706만원의 주택가격지출을 절약할 수 있고, 같은 예산이면 약 7.8평 정도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거주지결정은 ① 높은 공공재 수준-가까운 도심거리-낮은 녹지비육-낮은 가격(좁은 면적)의 代案과 ② 낮은 공공재 수준-먼 도심거리-높은 녹지비율-낮은 가격(넓은 면적)의 代案 사이의 소비자 선택문제가 되며, 家口特性에 따라 特定地域을 居住地로 더욱 선호하게 된다. 광주에 직장을 두고 화순에 거주지를 션택하는 것은 都市間 通勤을 의미 하는데, 결혼 초기의 젊은 세대가 도시간 통근을 할 확률이 높다. 화순에 직장을 두고 광주에 거주지를 션택하는 것도 도시간 통근을 의미한다. 소득이 높고, 교육 정도가 높고, 생애주기가 높은 중년의 가구가 자녀교육 등의 환경을 위해 광주에 거주하면서 도시간 통근을 할 확률이 높다. 한편 전체집단과 개별집단의 通勤行態를 확인하여 본 바, 실제의 통근에서는 通勤距離 最小化라는 기준이 별로 지켜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가구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지역에 居住地를 選擇한다는 結論을 뒷받침한다. 이상의 분석결과, 생애주기의 단계, 교육중요도, 소득, 교육정도의 家口特性에 었어서의 差異가 居住地 環境을 구성하는 각 要素에 대한 선호의 차이를 유발하고, 이에 따라 가구특성에 따라 特定地域을 거주지로 選好하게 된다. 이 특정지역의 선호가 都市間 通勤을 유발시킨다. 화순은 교육의 부담이 없는 젊은 世帶와 노년 世帶가 선호하고, 광주는 교육문제가 중요한 관심사가 되는 中年의 世帶가 선호한다. 이는 앞으로의 都市開發의 方向에 있어서 두 계의 지역이 서로 다른 方向을 志向하여야함을 제시하고 있다. In the general intercity commuting theory, the wage differenc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ities decide the intercity commuting pattern. But in reality, it seems that the differences in household characters and preferences cause change in intetrcity commuting pattern. In this thesis, I test the proposition that the differences in household characters and preferences cause change in intercity commuting pattern with the cross commuting sample occuring between Kwangju and Hwasoon. I estimate the hedonic price function in Kwangju intercity commuting boundary, which include Kwangju and Hwasoon where occuring intercity commuting. The fact in these regions occurs intercity commuting means the price determining factors work simultaneously. Estimating hedonic function in intercity commuting boundary raise R-square by explaining the price difference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public goods level As a result of the estimating, we find the four variables - Physical characters, Public goods level, natural characters and accesibility the third power statistically meaningful. In the estimating by group combination, we find indirectly the group characters expressed by the differences in variable selection and the differences in estimates. With logit model, I estimate the probability change in residential choice according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find the increase in monthly revenue, the degree of householder's academic achievment and life-cycle stage, cause the increase the probability choosing Kwangju as a residential location. With logit estimation by group combination, I confirm the differences in estimates and group characteristics. I estimate the discriminant function on residential choice with the explaining variables - life cycle stage, monthly revenue and education impotance. When I classify the sample by the estimated discriminant fuction, I have the result 74.09% of the samples are correctly classified. So I conclude life cycle stage, monthly revenue and education importance decide the residential location between Kwangju and Hwasoon. I observe their commuting behavior and find that they don't appreciate the mininum commuting distance principle as other factors such as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paciousness of apartment. So I conclud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cause different preference on regions in the views of residential choice. That different preference make people select intercity commuting. This fact suggests two cities where intercity commuting occures, pursue different goals in urban planning.

      • 段階別 感想 活動을 통한 繪畵 表現力 伸張에 관한 硏究 : 初等學校 3學年을 中心으로

        김채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지식과 정보가 쏟아지고 새로운 문화가 유입되고 창출되는 지식 기반 정보화 문화의 시대이다. 다양한 미적 경험으로 세상을 보는 눈과 환경을 새롭게 보는 방법 즉 미적 안목을 길러 자신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려는 의지와 자신의 생각 등 모든 것을 미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은 새 시대를 살아갈 어린이들에게 무엇보다 꼭 필요한 일이라 하겠다. 대부분 미술 소비자 즉 감상자로 살아갈 어린이들이 어떻게 하면 미적 안목을 길러 생활 속의 문화 현상과 문화 유산 등을 제대로 감상하고 향유하며 미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우선 미적 안목을 기르려면 감상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감상 지도 과정을 통해 미적 체험, 표현, 감상과정에서 어린이들간의, 교사와 어린애간의 활발한 토론과 발표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견해를 정리하고 발표하며 비평하면서 미적 안목을 길러야 할 것이다. 그런데 학급의 어린이들 중에는 자신이 감상한 결과를 주저없이 언어적으로 활발하게 표현할 수 있는 어린이는 소수에 불과하다.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감상은 감상의 교육적 효과에 별 의미가 없다고 본다. 왜냐하면 감상자 스스로 감상 내용이 정리되고, 언어로 표현되어 서로의 발표와 토론으로 감상 능력을 향상시키며, 감상한 내용이 공유되고 작가의 미적 체험이 추(追)체험될 때 참다운 감상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며, 감상 결과가 다시 작품의 표현 활동으로 피드백되어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언어적 표현력의 신장을 통해 감상 능력을 증진시키고 언어적 표현을 강조한 단계별 감상활동을 통한 회화 표현력의 신장에 목적을 두고 ① 감상 지도에 관한 기초적 이해와, 언어적 표현과 감상과의 유기적 관계, 감상과 조형적 표현 등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탐색 ② 효과적인 감상활동을 위한 언어적 표현력(발표력)신장 훈련안 구안 ③ 단계별 감상활동으로 회화 표현력의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과정 안 구안 등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자의 학급 어린이 3학년 35명을 대상으로 2002년 3월부터 11월까지 9개월 동안 3학년 미술과 회화 표현 영역 4개 제재에 한하여 다음과 같이 실행하였다. 첫째, 이론적 배경에서 감상 활동의 의미와 중요성을 밝히고 감상 지도에 관한 기초적 이해와 언어적 표현력의 신장과 감상활동의 유기적 관계, 감상과 조형적 표현 등에 대해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물을 고찰하고 탐색하였으며, 둘째, 효과적인 감상활동을 위해 언어적 표현력을 신장시키고자 발표력 신장 훈련안을 구안하여 적응하였고, 셋째, 단계별 감상활동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위 실행 결과를 평가 및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자 자작 감상 능력 평가 척도와 감상 카드를 활용하여 감상 능력의 향상 정도를 평가하고, 회화표현력의 신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제재별 작품 평가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아동 작품을 전 후 비교하여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상 능력의 향상면에서 작품 묘사력, 형식 분석력, 작품의 해석력, 감상 태도 등의 네 가지 감상 관점에 대하여 연구 전 종합 성취도 61.7%에서 연구 후 82.5%로 20.8%가 향상된 것으로 보아 본 단계별 감상 활동의 감상 지도 방법 및 내용이 감상 능력 증진에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회화 표현력 신장면에서 주제표현, 조형 요소와 원리, 표현 방법, 재료와 용구 사용 등의 네 가지 관점에 의해 평가한 결과는 회화 표현력 종합 성취도 61.4%에서 78.8%로 17.4%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위 분석 결과에서 언어적 표현력을 신장시켜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단계별 감상 활동이 잘 이루어졌을 때 감상 능력의 신장과 아울러 감상 결과가 작품 표현으로 재투입되어 회화 표현력이 크게 신장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을 도출하면 첫째, 언어적 표현력 신장 훈련안을 적용한 결과 언어적 표현력 즉 발표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둘째, 언어적 표현력의 신장에 의해 감각적, 정서적 감동에 의존하던 미술 비평, 감상 학습이 좀더 논리적으로 정확한 언어적 표현에 의해 분석되고 해석되어져 감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셋째, 다양한 감상관점에 의한 언어적 표현을 강조한 단계별 감상활동 교수·학습 과정안의 구안 적용으로 감상학습의 체계가 생겨 어린이들이 점점 능숙하게 발표와 토론 등 언어적 표현을 통해 감상 결과를 활발하게 표현하게 되었다. 넷째, 활발한 언어적 표현을 통하여 감상 능력을 신장시킴으로써 더욱 표현력이 풍부해져 시각적인 미술 작품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길러졌다. 즉 회화 표현력이 현저하게 신장되었다. 다섯째, 어린이 생활 환경 전반에 걸쳐있는 외부 자극이나 문화 현상 등에 관해 미적 안목이 생겨 필요한 미적 정보를 선택하여 받아들이고 재창출하여 표현할 수 있는 힘이 길러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단계별 감상활동 교수-학습과정안의 미술 영역별 다양한 도형 구안과 능숙한 활용 지도가 선결되어야겠다. 둘째, 어린이 감상 능력의 발달 단계상 고학년에서 보다 효과적인 감상활동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저학년의 단계별 감상 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셋째, 단계별 감상활동을 통한 표현력 신장에 관한 교수-학습과정안은 타 교과나 학습활동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넷째, 어린이의 회화 표현력 평가에 관한 제재 별로 좀더 표준화되고 검증된 다양한 평가 척도가 일선 교육 현장에 제공되었으면 한다. 다섯째, 표현 중심 교육에서 감상 활동이 선행되어 감상 능력의 향상을 통해 표현력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The 21st century is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Age overflowed with tremendous amount of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new culture continues to be created and spread across the world. Children who will take the lead in new era must have diverse aesthetic experience to see the world and environment in new light, have an esthetic eye, improve their own living environment and express themselves in an aesthetic manner. To build an aesthetic eye, appreciation education is mandatory. An intentional and well-organized appreciat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children to discuss with one another and present their opinions. But a lot of children aren't able to speak about how they feel when they see works of art. It seems no use for students to appreciate a work of art if they cannot describe their impressions about it, because appreciation education will bear fruit only when they express their opinions, share artist's aesthetic experience and get feedback, and this will be a way to enhance their express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hildren's presentation skills, artistic expressiveness and appreciation skills through a sequential appreciation program. The subjects were 35 children in their third year from a class that this researcher has been in charge of.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nine months from March through November 2002, and the selected area to be taught was painting field in art for grade 3. After literature on appreciation guidance, the organic relationship of verbal expression to appreciation, and connections between appreciation and formative expression was reviewed, a presentation training program was constructed to help the children better appreciate works of arts, and a sequential lesson plan was prepared to enhance their formative expressiveness. To assess how much the children's appreciation skills improved, appreciation rating scale and cards prepared by this researcher were utilized, and an art-work rating scale was employed to see to what extent the children's formative expressiveness developed. And the works of art they mad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ere compa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esentation training program, their verbal expressiveness, namely presentation skills, made a big progress. Second, they were able to analyze and interpret art works in a more precise and logical way, thanks to improved presentation skills, whereas they had primarily relied on sensual and emotional impressions in the past. As a consequence, they had better appreciation skills. Third, when the sequential lesson plan was utilized, their appreciation skills and formative expressiveness made a remarkable development. There are some sugges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a variety of sequential appreciation teaching models should be developed, and teachers should be able to be familiar with using them. Second, current art education focuses on expression, but appreciation should be given more weight, and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mproved appreciation skills could successfully lead to better expressiveness.

      • 收益-努力 比率 模型에 의한 地域間 公平性 改善에 關한 硏究 : 韓國의 交付稅를 中心으로

        김채옥 全南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랜드(Julian L.Grand)가 제시한 收益-努力比率을 基準으로 하여 地方財政에 있어 地域間 公平性을 평가하고, 收益-努力比率 平等化를 위하여 얼마만큼의 追加交付稅가 필요한지 알아보았다. 그 모델은 다음과 같다. Z_i=((T_i+G_i)/P_i)/(T_i/Y_i)+(S_i/P_i)/)T_i/Y_i) Z_i : 收益-努力比率 Y_i : 1人當 潛在歲入限度 T_i : 1人當 自體收入 P_i : 公共財의 單位當 費用 G_i : 1人當 外部交付金 S_i : 1人當 交付稅 假定 ⅰ) 公共財의 單位當費用은 모든 지역이 같고, 便宜상 1로 한다. ⅱ) 地方政府는 그 해의 收入을 貯蓄이나 負債없이 모두 支出한다. ⅲ) 地方稅와 稅外收入은 그 地方民이 모두 負擔하고, 公共財의 消費는 그 地方民에 限한다. 橫斷分析으로, 地方間의 收益-努力比率을 분석하고, 時系列分析을 위하여 1980, 82, 83년을 分析하였다. 서울은 財政與件이 다른 지방과 크게 다르고, 地方歲入에 있어서 比重이 너무 커서 分析에서 除外하였다. 收益-努力比率로 표시된 地方財政에 있어 地方間 公平性은 큰 差가 있었다. 1980년, 82년, 83년의 평균이 경남1.135 제주0.527을 나타내었다. 3년의 평균으로 볼 때, 收益-努力比率이 높은 지역은 경남, 경기, 부산이고, 낮은 지역은 제주, 전북, 충남이다. 變動係數가 3년간 0.1816, 0.2799, 0.3057로 시간에 따라 커지고 있어 地方財政에 있어 地域間 隔差가 擴大되고 있다. 收益-努力比率 均等化를 위하여, 收益-努力比率이 가장 높은 경남과 같은 收益-努力比率을 모든 지역이 갖도록 追加交付稅를 지원할 때, 그 금액은 1980년 9,012억원, 1982년 1조2,347억원, 1983년 1조8,270억원이었다. 위의 追加交付稅額을 교부하였을 때, 地方歲入에 있어 地方交付稅의 比率이 1980년 0.1574→0.3741, 1982년 0.1680→0.3579, 1983년 0.1587→0.3710으로 상승하였다. There are many criteria by which we can measure the equity between regional governments in local finance. In this thesis, the Benefit-Effort Ratio, suggested by Lester Thurow and Julian Le Grand, is the criterion to measure interregional equity. The model is ◁수식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Z_i: Benefit-Effort Ratio Y_i: Fiscal Capacity per capita. T_i : Own Revenue raised per capita. P_i : Cost per Unit of Benefits (Public Services) G_i : Outside Grants per capita S_i : Revenue Sharing Grants per capita. Assumptions are i) per unit cost of public services is same in all regions, and for convenience we take it one. ii) local governments spend all revenues raised in a fiscal year without hoard and debt. iii) the people in the region are burdened with all local taxes, consume all the public services supplied by their local government exclusively. For cross section analysis, we compare the Benefit-Effort Ratios of provinces, and for time series analysis, wee .analyze the data of 1980, 1982, 1983. We exclude Seoul from the survey, because she is much different in fiscal condition with others; and her share in local finance is very high. As a result,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B/E ratio among provinces. The mean of 1980, 1982, 1983 shows Kyongnam 1.135, Jeju 0.527. By the mean of the three years, high B/E ratio regions are Kyongnam, Kyonggi, Pusan, low B/F ratio regions are Jeju, Junbuk, Chungnam.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grows 0.1816, 0.2779, 0.3057 in 1980, 1982, 1983 respectively, shows that the difference of interregional equity in local finance is widening. If we want all provinces have the same B/E ratio as Kyongnam, the province of the highest B/E ratio, the Revenue Sharing Grants for equalization amount \901 billion in 1980,\1,234 billion in 1982, \1,827 billion in 1983. That Revenue Sharing Grants change the ratic of revenue sharing grants in total local grovernments revenue from 0.1574, 0.1680, 0.1587 to 0.3741, 0.3579, 0.3710 in 1980, 1982, 1983 respectively.

      • 영화 흥행요인으로서 비평에 관한 연구

        김채옥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 연구에서는 흥행요인으로 비평의 영향력에 대해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특히 최근의 한 연구는 비평이 상영초기에는 흥행에 영향을 못 미치지만 상영 후반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비평이 영화흥행의 예측요인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평이 개봉초기에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비평이 흥행요인으로서 가지는 의미는 없는지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국내 상영된 영화들을 대상으로 개봉점유율과 비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유인력이 낮은 영화에서는 비평이 영화를 선택할 때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된다는 가설을 제시하고, 전체 영화와 유인력이 낮은 영화에서 각각 비평과 개봉점유율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영화에서 개봉점유율에 유의한 요인(성수기, 경쟁관계, 배우, 감독, 스크린 수)과 비평에 유의한 요인(코믹, 수상경력, 원작유무/속편여부, 드라마, 로맨틱/멜로, 액션, SF, 등급)이 각각 달랐다. 이는 비평가와 일반관객 간에 영화에 대한 평가와 선택의 기준에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비평이 영화 흥행요인이 되지 못한다는 기존 문헌들을 뒷받침 해 주었다. 둘째, 전체영화에서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은 비평요인이 유인력이 낮은 영화에서는 개봉점유율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객이 의존할 정보가 적은 유인력이 낮은 영화에서는 비평이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됨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비평이 흥행의 직접적 영향요인일 수 없는 이유를 검증하고, 비평의 특징과 그 영향력을 증명함으로써 상업영화시장에서 점점 약해지고 있는 비평의 중요성을 재조명한 연구로 의미가 있다. 또한 이러한 비평이 흥행성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화의 부류를 밝힌 점은, 비평이라는 정보원을 통해 실질적이고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고 하겠다. In previous studies, a number of different argumentations about the effect were presented the effect of the critical reviews as the success factor of a movie. Especially, One study suggest lately that the critical reviews exert little influence on box office revenues early, while they significantly correlate with late and cumulative box office in the life cycle of motion pictures. Thus they emphasize that the critical reviews can play a role as predictors. At this point, I put some efforts to fine out reason why the critical reviews don't affect the box office revenues in the early showings significantly as well as the value of critical reviews in terms of the success of a movie To accomplish the goals of the study, I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significant factors of the opening shares and the critical reviews respectively on the movies released lately in Korean. Then, on the assumption that, in case an audience chooses a movie with low attractive power, the critical reviews can be the most reliable criteria for his choice, I look into the relations between the critical reviews and the opening shares in the whole movies and those with low attractive power, respectively. The analysis shows the following facts. First, as for the whole movies, the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opening shares(i.e. seasonality, the number of competitors, actor/actress, director, the number of screen) differ from those of the critics (i.e. comic genres, awards, originals/sequels, drama, melodrama/romance, action, SF, classifications for movie). This evidences show that the professional critics and the ordinary audience emphasize different criteria in the formation of the choice and the evaluation. In addition, this fact back up previous studies with facts that why the critical reviews have little influence on box office revenues early, which is a decisive factor in the total outcome. Second, as for the whole movies, the critics were not included i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opening shares while they were the key one among the variables when the movie is a 'low attractive' one. Therefore, this means that the critical reviews exert a significant and direct influence under the movies of low attractive power that the audience rely on the critical reviews more than any other factor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explaining the reason why the critical reviews cannot be a direct factor of the success in the box office, with clear reasons that it presents the special effect and special feature of the critical reviews on the box office. These outcomes are important in emphasizing the validity of the critics in the entertainment movie market. Furthermore, I expect the identification of a special movie group, for which the critical reviews can affect the box office results significantly and directl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practical and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