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개 대학병원에서 항생제 Vancomycin 사용량과 VRE 발생간의 관련성

        김창현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일개 대학병원에서 항생제 반코마이신 사용량과 VRE 발생간의 관련성 김창현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 및 보건정보학과 (지도교수: 이 준 영) 목적 : 본 연구는 입원환자에게서 분리된 장구균의 분리양상을 파악하고 반코마이신 사용량과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발생률을 분기별로 추이와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 2008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에서 병원의 전산통계자료를 근거로 하여 입원환자의 반코마이신 사용량과 장구균의 분리양상 및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발생률을 분기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분리된 장구균을 성별, 연령대별, 진료과별, 병동별, 검체별, 균종별, 내성률을 분석하였다. 둘째, 반코마이신 사용량과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발생률 추이를 분석하고 그 관련성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반코마이신 사용량과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발생률은 증가 추세를 보였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과 반코마이신 사용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0.618, p=0.011). 결론 :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발생률은 중환자실, 연령이 높을수록, 검체는 요와 농에서 많이 분리 되어 VRE 감염관리에 있어서 중환자실이 주요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코마이신 사용량이 증가하면 VRE가 증가하였다. 이는 곧. 적절한 항균제의 사용과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출현은 반코마이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위험인자가 있으므로 추가적인 연구가 실시될 필요가 있다. Key words: 반코마이신, VRE, 장구균, 내성률, 발생률

      • 수평 원통형 전기집진 장치를 이용한 텐터공정의 오일미스트 제거효율에 관한 연구

        김창현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섬유산업 발전과 더불어 섬유가공에서 발생하는 수질오염문제와 악취 등의 대기오염문제가 새로운 환경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섬유 가공 시설 중 다림질시설(텐터)에서 발생하는 백연 및 악취는 인근 주변 지역 주민에게 가시적 공해 및 악취로 인한 민원 대상이 되고 있고 주변 다수의 지역주민에게 환경적 피해를 주고 있다. 텐터시설의 경우 대부분 방지시설이 세정식집진시설로 설치되어 있으며 세정수 오염 및 관리소홀로 인해 2차 환경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평 원통형 전기집진 장치를 텐터시설에 적용하여 백연의 주 원인물질인 오일미스트 제거를 통해 가시적 백연 방지로 세정식 집진시설의 대체 여부를 검토하고, 전기집진 장치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변수 변화를 통해 이론적 제거효율과 비교분석하여 효율적인 운전방법 및 설계에 대한 실질적인 기초자료 도출을 하고자 한다. 텐터 배출가스를 분석한 결과 오일미스트는 47.3~54.7mg/㎥발생하였고, VOCs의 경우 벤젠, 톨루엔, 스타이렌, 에틸벤젠, THC가 주요 대기오염물질로 배출되었다. Full-scale 원통형 전기집진 장치의 인가전압을 10~15kV범위에서 오일미스트의 제거효율을 실험한 결과 13kV이상에서 97.6%로 높은 제거효율이 나타났고 이후 15kV까지는 서서히 제거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VOCs의 경우 인가전압 변화에 따른 제거효율 변화는 경미하지만 인가전압이 증가할수록 주요 VOCs의 제거효율도 약간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면유속 변경에 따른 실험의 경우 전압은 13kV 조건으로 단면유속은 2.5~6.0m/sec 범위에서 0.5m/sec 씩 증가하면서 실험을 하였고, 실험결과 2.5m/sec 일 때 98.0%의 제거효율 보였다. 주요 VOCs의 제거효율은 단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벤젠, 톨루엔의 경우 10%의 제거효율 변화를 보였으나, THC의 경우 51.5%, 에틸벤젠, 스타이렌은 약 40%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배출가스 온도변화에 따른 실험은 전기집진장치 유입 전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기에서 인위적으로 배출가스 온도를 60~110℃로 조정하여 전기집진장치의 제거효율을 실험한 것으로 배출가스 유입온도 60℃에서 98.1% 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주요 VOCs 제거효율은 스타이렌 경우 50℃에서 64.5% 제거효율을 보이다가 100℃에는 25.4%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복합악취의 경우 전기집진장치 전・후 희석배수가 각각 557, 311으로 큰 차이가 없이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배출가스중의 오일미스트 성분이 공기희석관능법의 시료분석 전에 채취한 포집 bag 내부에 응축되어 분석 값이 적게 나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VOCs 성분 중 일부 항목이 전기집진장치 인가전압, 단면 유속 및 온도변화에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것에 대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로 텐터시설의 방지시설로 원통형 전기집진장치 적용이 가능하며, 실험 결과를 비추어 전기집진장치의 최적 운전조건은 인가전압 13kV이상, 단면유속 4m/sec이하, 배출가스 온도 60℃이하로 판단된다.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xtile industry, water pollution and air pollution problems become a new environmental problem. Especially, white smog and oder generated by the tenter of the fiber processing facility have been main complaints by nearby residents. some of tenter facilities are equipped with electrostatic precipitator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However, secondary pollution has increased by washing water and management failure. In this study, removal of oil mist which causes white smoke was experimented by using a horizontal cylindrical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tenter facility processes. In conclusion, design variables and efficient operation method were tested for optimal removal efficiency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Results of the tenter exhaust gas analysis showed that oil mist, benzene, toluene, styrene, ethyl benzene, and THC were emitted by the main exhaust gas. A electrostatic precipitator was tested for the applied voltage,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and exhaust gas temperature. Complex odor was tested for inlet and outlet concentration at electrostatic precipitator, showing analyzed on average 557, 311. More research is needed as some of VOCs showed different behavior according to applied voltage, flow rate, and temperature In conclusio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s a control facilities of tenter facility out of the fiber processing is considered a feasible alternative. For the operating conditions, optimal the applied voltage was 13kV or more, the cross-sectional flow velocity 4m/sec or less , and in the exhaust gas temperature 60℃ below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 임대주택매입비용이 주택재개발사업의 사업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김창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주택재개발사업의 시행을 통해 공공에서 부담해야 하는 임대주택과 같은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공급을 민간 시행자인 조합에게 일부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경기침체와 부동산경기 하락과 같은 저성장시대에는 주택재개발사업 시행자체가 어려우므로 사업성의 향상을 통해 저성장 시대에 적합한 사업성공의 방안확보와 이에 대한 정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주택재개발사업의 사업추진과정에서 구조적으로 불합리, 부적절한 부분에 대한 개선을 통해 사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연구의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대주택매입비의 현실화가 주택재발사업의 사업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의 시행일인 2003년 7월 1일 이후 관리처분계획이 인가된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구역을 대상하였다. 그 중 임대주택매입비 산출 및 관리처분계획이 수립되어 인가되어 산출내역이 수집된 27개 구역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주택재개발사업의 사업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기존 연구들의 접근방법을 살펴보았다. 또한,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의 임대주택 공급현황 및 정책방향, 임대주택매입비 산정 프로세스에 관한 현황과 이론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대상구역의 임대주택 공급 및 일반현황과 사업수지 특성 등 대상구역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대주택은 그 비중적인 측면에서 조합의 수입원에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큼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재 표준건축비를 기준으로 산정되는 임대주택매각수입은 실제 건축비에 비해 상당히 저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지출부담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대주택매입비의 현실화가 사업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종전자산증가비율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형에 유의하게 적용된 변수 중 거주민수, 건축연면적, 사업기간2(조합설립인가부터 사업시행계획인가)는 사업성과 비례하였으며, 임대주택매입비 현실화금액, 조합원분양신청수는 반비례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거주민이 많을수록 사업추진시 개개인당 경제적 부담이 완화되어 사업성이 향상되며, 건축연면적이 크다는 것은 분양하게 될 주택의 수와 면적이 커짐을 의미하여 사업성에 비례하는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업기간2(조합설립인가부터 사업시행계획인가)에는 사업성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건축설계, 건축심의, 정비계획 변경과 관련된 업무가 주를 이르며, 국공유지무상양도 협의와 같은 업무도 병행되므로 이 기간 동안 진행한 업무 및 협의관련에 소요된 기간이 길수록 사업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이것이 실제 사업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결과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조합에서 부담하는 건축비와 서울시로부터 임대주택을 매입하는 비용의 차이를 줄일수록 사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합원분양신청수의 경우 조합원분양신청수가 많아질수록 정해져 있는 분양주택세대수에서 일반분양의 세대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사업성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주택재개발사업은 임대주택 공급, 정비기반시설 제공 등의 공공성을 가진 사업이므로 현재와 같이 저성장시대, 부동산경기침체기에는 공공이 지원해서 사업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들을 끊임없이 개발하거나 제안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임대주택매입비의 현실화 부분은 주택재개발사업의 사업성을 높이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매입비용을 현실화하거나 매입시기를 사업시행인가 시점 등으로 조정하여 절차를 현실화하는 등 조합에 부담을 줄여줄 필요성이 있다. 공공에서 보증보험을 활용하여 이를 적극지원 한다면 공공에서의 지원부담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in today bad economy where the growth is slow due to depression in economy and real estate business. Therefore, the plans and the policies which are suitable for an age of austerity have to be established for the success of business. Improving the structural irrationality and improper behaviors occurred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is requir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realization of Rental House cost affects on the ratio of property in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The housing redevelopment districts in Seoul authorized by the law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law is in effect as of July, 1, 2003. Among authorized districts, we set only 27 areas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is number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Rental House cost and Housing Redevelopment Management plan. First, this study deals with the content about how a previous study approaches. we try to consider it based on precedent studies on the ratio of property in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In addition, a present state on the supply of Rental House and policy direction of the House Redevelopment Projects in Seoul and the theory about an estimation process of Rental House cost in Seoul are examined. Then, characters of areas are examined by focusing on a present state on the supply of Rental House and business income. As a result, Rental House comprises a large proportion of revenue source for a redevelopment union. Also, estimated income based on the standard building cost forms at a lower price compared to the real building cost. It turns out the expense is relatively demand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analyze how realization of Rental House cost affects on the ratio of property. A dependent variable is the ratio of propert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nalysis, population, total area, and project period 2 (Permission for establishing redevelopment union ~ Permission for Housing Redevelopment enforcement Plan) are proportional to housing development business value. On the other hand, Rental House cost and application of subdivision for unionists are inversely proportional. It is considered that the higher the number of the population is, the more the economic burden for individuals become light when business promotion is carried out. And that total area is large means residents have the possibility of parcelling out much more houses and the larger distribution area. Thes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atio of property in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Second, the project period 2 consists of works related to architectural design plan, architectural consideration, and changing a improvement project. Discussing the state land is also managed at the same time. Thus, the more it spends more time on these works mentioned above, the more a ratio of property is likely to improve. Third, reducing the gap between a building cost that union covers and a expense for buying Rental House from Seoul leads to improve the ratio of property in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In the case of application of subdivision for unionists, if application of subdivision for unionists goes up, the number of households for general sale will goes down. It is considered that the ratio of property become less effective. From these results, the House Redevelopment Projects have public concern such as supplying Rental House and providing infrastructure. Therefore, under recession of the economy and the real estate, It is required to seek ways to drive the business with supported by the public and to suggest them. First of all, realization of Rental House cost is significant factor in improving ratio of property in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so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way to lessen the burden for redevelopment union. For example, actualizing price of buying or rearranging timing of purchase, which are to make all procedure work well. If the public gives positive support to it by making the best use of guarantee insurance, the public will be likely to ease burden for aid.

      • 원어민과 비원어민 영어강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연구

        김창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maine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teachers. For the investigation, data from 10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Daegu were gathered. The respondents were various in terms of their majors, and grades and showed mid-low level of confidence in English competence, with little experience of studying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 49 questions on the survey were designed in hopes to answer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this study proposes. 1. What factors are perceiv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as important qualifications for a native English teacher? 2. What are the learner variables affecting learners' preference for a native English teacher? 3. In what areas of teaching do learners prefer a native English teacher?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first question,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show their preferences for native English teachers with regard to their nationalitie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language, teaching licenses related majors, and British or American accent. The result shows that in terms of nationality, the learners have the highest preference for those from English speaking nations, with the second and the third highest preference for those from ESL and EFL nations. The lowest preference was for ethnic Korean teachers with educational background in English-speaking schools. Other factors such a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language, related teaching license and major were all perceived as important qualifications for a native English teacher. Lastly, American accent were preferred to British accent. The one-way ANOVA test result for the second question shows that speaking and writing confidence were the learner variables affecting the preferences for native English teachers(p<0.05). All the other variables such as learners' grades, majors, experience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 in t-test(p<0.05).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third question, learners' preference for native English teachers were surveyed with regard to 10 areas of teaching. The results shows that the native speakers received highest scores in the areas of pronunciation teaching, encouraging communication, vocabulary teaching, creativity of teaching methods, speaking evaluation. However, many students with low English proficiency answered that they have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native English teachers during the clas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seems that students are still inclined to consider English as the language of Anglo-saxon. Considering the fact that English has long become a Lingua Franca and thus does not belong to a specific group or culture,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teach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Moreover, further researches are imperative on the topic of qualifications of native English teachers from ESL and EFL nations. Secondly, there is a need for team teaching in beginners' speaking and writing classes. It seems that team teaching has not been considered in the college level English class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ir English competence is sufficient for taking a native teacher's class. Further research on the appropriateness of team teaching in college level is necessary. Lastly, further empirical researches are imperative on the teaching ability of native and non-native teachers with regard to their teaching behavior. It seems that there can be discrepancy between native and non-native teacher's actual teaching behavior and teachers' or learners' perceptions(Medgyes, 2000). By conducting further empirical research on this matter, both native and non-native teachers can understand their teaching behavior and improve their teaching ability. 본 논문의 목적은 원어민과 비원어민 강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이 원어민 강사의 자격조건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알아보고, 원어민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어떠한 교수영역에서 원어민 또는 비원어민을 선호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과 대구소재 4년제 대학 각각 2곳에 재학 중인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연구문제에 해당하는 응답을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이상적인 원어민 강사의 자격으로 전통적인 영어권국가 출신을 꼽았다. 이 밖에 영어공용어권(ESL)과 외국어로서 영어사용국가(EFL) 및 교포출신의 순으로 선호도를 보였다. 또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어느정도 이해하고, 관련자격을 전공하며, 미국식발음을 사용하는 강사를 이상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학습자 변인 중 원어민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말하기와 쓰기 자신감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학년과 전공, 영어권 국가 체류경험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셋째, 학습자들은 문법지도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원어민의 교수역량을 비원어민과 비슷하거나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원어민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영역은 발음지도, 의사소통 자신감, 어휘지도, 수업의 창의성, 말하기 평가 부분이었다. 한편 주관식 설문에서는 의사소통의 용이성이나 학습전략 제시능력 등은 비원어민 강사의 장점으로 꼽혔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우리의 교육 상황에 적용하면 아래와 같은 시사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먼저 학습자들이 원어민강사의 출신 국가면에서 전통적 영미권을 선호하는 것은 영어는 전통적인 영미권의 언어라는 사고가 지배적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미 역사상 유래 없이 넓은 지역에서 통용되고 있는 현대영어의 지위를 생각해볼 때, 한 집단이나 국가를 넘어선 세계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며, 중고등학교 또는 대학교육을 통해 이러한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 영어공용어권 또는 외국어로서 영어사용권 국가 출신의 강사가 과연 원어민으로서 자격이 불충분한지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두 번째로, 말하기와 쓰기 자신감이 뛰어난 학습자일수록 원어민을 선호한다는 점, 원어민 강사의 문제점으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제기되었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초급단계의 말하기와 쓰기 수업의 경우 원어민과 비원어민 강사의 협동수업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협동수업에 대한 응답자들의 선호도가 높게 관찰된 것 또한 이러한 필요성을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원어민과 비원어민 강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사용능력에 있어서 원어민이 비원어민보다 우수한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볼 수 있겠으나, 실제적인 교수능력에 있어서도 비원어민과 원어민의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원어민과 비원어민 강사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한다면 교수역량을 향상시키고 서로 보완할 수 있는 점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농촌 다문화가족의 고부갈등 : 전라북도 부안군 결혼이주여성 사례를 중심으로

        김창현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한국사회는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전통적인 단일국가 개념에서 벗어나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이 증가하는 다문화사회로 전환되어 가는 과도기라 볼 수 있다. 행정안전부 자료에 의하면 2011년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체류외국인은 약 126만 5천 명에 도달하였으며, 전체 인구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행정안전부, 2011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조사발표).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의 형태는 외국인노동자, 국제결혼이민자, 유학생 등 그 형태가 다양하다. 외국인의 이주는 초기에 이주노동자의 이동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최근의 동향은 결혼을 통한 아시아계 여성의 이동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제결혼을 통한 다문화가족은 지난 십여 년 동안 큰 폭으로 증가하였는데, 2005년 이후의 입국자가 약 54%가 되면서 결혼이민자가 급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 전체 결혼에서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10.8%로서 결혼하는 부부 열 쌍 중에 한 쌍이 국제결혼 부부이고, 특히 농어촌지역은 외국인과 결혼하는 비율이 평균 약 40%를 웃도는 국제결혼의 일반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김희정, 2011). 우리 사회의 남녀 성비의 불균형과 이혼율이 증가하고, 여성들의 농어촌 회피에 따라 농어촌의 초혼 및 재혼 남성들의 국내 결혼입지가 좁아지면서 국제결혼은 계속 증가될 것임을 부정할 수 없다(양순미, 2006). 국제결혼에 의한 다문화가정 증가는 특히 농촌지역 출산율을 증가시켜 저출산. 고령화현상을 완화시키고, 노동시장 및 국가간 교류영역에 이중 언어구사와 다문화적 감수성을 갗춘 글로벌 인재를 제공하는 순기능도 있다(보건복지가족부, 2008). 하지만 급증하는 다문화가족의 이면에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사회문화의 부적응, 문화적 갈등이나 부부갈등, 가족간의 갈등, 경제적인 문제 등의 위기요인들이 산재, 확산되어 가고 있으며, 일부 다문화가족의 특수한 욕구를 반영한 사회적 지원체계가 미비하고, 일부 다문화가족은 사회제도에서 배제되어 가족안정성 확보 및 사회통합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정부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문화가족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관련정책들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인 부부의 경우 이혼사유가 되는 부부갈등의 주원인 중의 하나가 고부갈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나(서울시 가정성담소, 2000; 한국여성개발원, 2004), 외국인 며느리와 한국인 시어머니사이에서 나타나는 고부갈등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공은숙, 2009). 특히 결혼이주여성이 시부모와 동거하는 확대가족의 형태는 도시지역에 비해 농촌지역이 3배 이상 많은데(보건복지부, 2005), 이는 농촌지역의 특성상 생산체계의 동일성, 생산 공간의 개방성 및 근접성으로 나타나며 시부모와 동거율이 높고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에 비해 고부간의 갈등이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김영숙․이근무, 2011) 이에 대해 연구자는 외국인 며느리와 한국인 시어머니 사이에 고부갈등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외국인 며느리의 입장에서 어떻게 느끼고 이해하고 있는지, 외국인 며느리의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대표적인 농촌중 하나인 부안지역 외국인 며느리의 사례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족의 고부간의 갈등양상과 고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 누가-행전의 제자도 : 예수와 그의 제자들 사이의 병행을 중심으로

        김창현 亞細亞聯合神學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true nature and essence of discipleship in Luke-Acts. Critical scholarship on the Lukan discipleship, until now, has been considerably dominated by historical interests and/or theological concerns tackled within ‘traditional’ historical criticism and especially by the method of redaction criticism. Meanwhile a narrative-critical approach as part of literary criticism has appeared and flourished in biblical studies including Luke-Acts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ough such approaches have produced significant academic fruits, the subject of the Lukan discipleship has been insufficiently dealt with in several reasons. In this sense, this study has an aim to revisit and highlight the essential nature or characteristic of the Lukan discipleship in critically evaluating the past major academic works. This thesis takes an ‘inter-textual interpretation approach’ to explore the parallels between Jesus and his disciples in Luke-Acts. It will show that Luk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predicates the same action, places, words, description, and ill-treatment(passion) of Jesus and his follower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parallels shown in Luke-Acts would disclos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m. As continuity aspect, on the one hand, Jesus was portrayed as a ideal model of God’s human agent to his disciples to follow/imitate him and then succeed his mission. On the other hand, however, as discontinuity aspect, Jesus was delineated as the single unique Messiah (and the Lord) to be confessed, namely the object of faith. In other words, disciples should accept Jesus as the Lord and Messiah. Chapter Two set out to examine a background for the Lukan term ‘disciple’ in the Old Testament, Greco-Roman world and first-century Judaism which follows the academic research on the previous major academic works related to my subject in Chapter One. I have argued that the concept itself between the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in Luke-Acts was more or less influenced by the Old Testament background, while the term itself ‘disciple’ was naturally accepted from the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of Greco-Roman world. Chapter Three has explored the usage of ‘disciple’ and ‘apostle’ in Luke-Acts in examining other co-related terms such as ‘christians’, ‘those who follow the way’, ‘brothers’, ‘witnesses’ and so on. Luke has had freedom to write the usage of varied forms which refer to the concept of ‘disciples’. It shows that Luke has used a term of ‘disciple’ as a general term to denote ‘believers in Christ’ as members of new eschatological community. Therefore, the essential nature of disciples are those who believe in Jesus as the Lord and Messiah. Chapter Four deal in the textual parallels between Jesus and his disciples in Luke-Acts, such as actions, places, words, description, and ill-treatment(passion). Then, the parallels reveal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m. The characteristic of continuity signifies that Jesus is modeled to his disciples to follow/imitate him and succeed his mission. By the way, that of discontinuity represents that Jesus is the object of faith, that is, disciples should accept Jesus as the Lord and Messiah. In last, Chapter Five, as a conclusion, true disciples in Luke-Acts are, above all, portrayed as those who believe in Jesus as the Lord and Messiah, i.e., confessing Jesus as the object of faith. Rightly based on this faith, however, true disciples are also characterized as those who would follow Jesus and imitate him. Therefore to be a true disciple, not only should we believe Jesus as the Lord and Messiah, but also should we follow and imitate Jes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