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밀도를 고려한 도시공원 접근성 분석 방법 연구

        김예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55

        도시밀도를 고려한 도시공원 접근성 분석 방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환경원예·조경학과 조경학전공 김 예 은 지도교수: 김 현 도시공원은 주민들의 건강하고 질 높은 삶을 위해 도심에 필수적으로 존 재해야하는 생활SOC로 최근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필수공간이다. 이러한 도시공원은 거주지와 생활공간에서 가까울수 록 더 많은 해택을 누릴 수 있는 시설로 밝혀지면서 도시공원의 접근성과 접근성에 대한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한 연구와 정책이 다수 진행되고 있으 며, 이에 필수적으로 선행되고 있는 것은 접근성 평가이다. 접근성 평가 방 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분석방법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과 버퍼 분석이다. 이 중 네트워크 분석은 실제 도로망을 기반으로 접근성을 평가하므로 더 현실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ina Lam, 2008; Unal, M. 등, 2016; Cracu, G. M. 등, 2024). 그럼에도 불구하고 2030 서울시 공원녹 지기본계획, 2040 인천광역시 공원녹지기본계획 등에서는 버퍼분석을 활용하 고 있다. 네트워크 분석은 버퍼분석에 비해 데이터 수집과 베이스 맵 제작과 분석 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비되며, 정확도는 높다고 평가되지만 실제 도로망 이 복잡한 도심에서는 다양한 변수들 때문에 노력에 비하여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버퍼 분석은 수집할 데 이터의 양이 적고 분석 방법도 간단하여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결과물을 얻 을 수 있다. 다만 과대평가 된 결과가 도출된다는 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버퍼분석의 과대평가를 줄일 수 있도록 버퍼분석방법을 개 선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지는 도시 밀도에 따른 도시공원의 접근성 계수가 다르다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하여 인구밀도, 도시지역율의 가장 큰 차이를 가지는 부 천시와 여주시로 선정하고 도시공원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근린공원, 주제 공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부천시와 여주시의 70개소의 도시공원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 하여 개별 공원의 네트워크 서비스 권역 폴리곤(이하 N.폴리곤)이 생성되었 다. 작성된 폴리곤의 형태를 분석한 결과 공원 인근의 다양한 접근 환경이 반영된 것을 밝혔으며, 도출된 총 5개의 유형에 대하여 형태와 접근환경을 분석하여 N.폴리곤 면적과 가장 유사한 면적을 가지는 버퍼 분석의 거리값 을 분석하여 각 유형 별 계수를 산정하였다. a유형은 633m, b유형은 616m, c유형은 572m, d유형은 616m로 나타났으며 e유형의 계수는 495m로 네트워 크분석결과와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는 산출된 계수를 검증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수원시와 포천시 를 대상으로 두 도시의 근린공원 규모 이상의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네트워 크 분석과 유형 별 계수값을 적용한 버퍼분석을 실시하여 두 값의 유사도를 평가하였다. 수원시에서는 네트워크 분석결과 도시공원 서비스면적율 64.1%, 개선된 버퍼 분석에 따른 서비스면적율은 66.5%로 나타났다. 기존의 버퍼 분 석결과 도출된 서비스면적이 84.1%의 20% 차이에 비하여 네트워크 분석 면 적률과의 오차를 약 2.4%로 줄였다. 포천시의 경우에는 네트워크 분석결과 도시공원 서비스면적율 1.83%, 버퍼 면적률은 4.51%로 두 배 이상의 차이가 나타났지만, 개선된 e유형 계수를 적 용한 버퍼 분석을 실행한 결과, 서비스 면적률은 1.80%로 조사되어 네트워크 분석과 약 0.03%의 근소한 차이까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도시밀도에 따라 산출된 계수를 적용하게 되면 버퍼 분석으로도 유효 한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생활권 공원, 네트워크 분석, 버퍼 분석, 공원 서비스, 도시공원 지 표, 공원 접근환경

      • 동시대성 지향의 디자인교육 패러다임 연구

        김예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이 연구는 동시대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동시대적인 디자이너 상을 제시하고 이에 부합되는 디자이너의 양성과 배출을 위한 디자인 교육의 지향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20세기의 산업사회에서 21세기의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전환은 정치, 경제, 문화를 포함한 사회 모든 면에서 기술과 정보를 바탕으로 외형과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산업사회와 지식정보화 사회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급변성이다. 매순간 새로운 기술과 정보들이 쏟아지고, 새로운 분야가 생기는가 하면 기존의 분야 내에서 새로운 분야가 파생되기도 한다. 급변하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디자인의 패러다임도 예외일 수는 없다. 따라서 산업과 문화의 교두보역할을 하고 있는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고찰은 동시대가 요구하는 디자이너 교육의 전제가 되기 때문이다. 디자인은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디자인 교육은 본질적으로 산학연계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국내대학들은 디자이너 양성교육에서 이러한 특수성을 간과한 채 단순히 일련의 학과 또는 세분화되고 답습된 전공의 틀 속에서 디자이너 교육을 실행해왔다. 그 결과 대학의 디자인 교육에서 산업적 요구를 수용하는 면이 미흡했고 또한 국내대학들의 난립 이후 도래한 대학의 재정적 위기도 이에 전문디자인 교육에 악재로 작용을 해왔다. 대학의 운영에 바탕이 되는 재정이라는 실질적인 면에서도 디자인 교육과 산업의 연계성은 필수적이다. 한편 대학 본연의 기능과 역할을 무시할 수는 없다. 교육, 연구, 봉사는 대학이 가진 본연적 기능이고 사회적 책임 수행의 의무이기도 하다. 이에 두 가지 대립 요소인 산업적 특수성과 대학의 본연의 기능을 융합시키는 디자인전문대학원의 존재가 부각되고 있다. 동시대성을 지향하는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이 대학에서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정보화 지식기반 사회로의 세계적인 변화에 따라 해외 몇몇 디자인 대학원에서는 이미 선진 디자인 교육이 정착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디자인전문대학원들에서도 그 흐름에 맞추고자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물건과 서비스의 창조자’ 김현미, 시각디자인 교육에서 디자인 기업가 정신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6권 6호, 2015, p.131 로서 책임을 질 수 있는, 기존과는 다른 위치에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디자이너 양성을 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인을 고려해서 국내, 해외의 디자인 교육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했다. 전문적인 디자인 교육으로 일시적인 유행이나 시류에 편승하는 것이 아닌 지나간 시대와 다가올 시대의 시공간적 거리를 둔 ‘시차’에 의한 ‘틈’을 통해 시대를 읽고 예측해서 흐름을 선도해 갈 수 있는 디자이너의 지속적인 양성은 향후 디자이너의 위치와 역할뿐만 아니라 디자인 산업 구조를 바꿀 원동력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높여준다. 정보공유 미디어기기의 발전과 디지털 기술발달로 인한 정보지식 기반사회로의 변화의 또 하나의 큰 특징은 전파와 공유이다. 이 두 가지 요소는 국가 간, 기업 간의 기술 격차를 줄였다. 그리하여 과거 디자인이 대기업의 전유물이었다면 이제는 일반인도 자신의 비즈니스를 위해서는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디자이너가 ‘전문가’로서의 자리를 지킬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은 계속되어 왔으며 그에 대한 대답을 본 연구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국내 대다수의 중소기업들은 디자인 전문 인력 부족으로 독자적인 브랜드와 디자인 등을 자력으로 개발하고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산업 현실에서 디자인 교육은 실무에 바로 투입될 뿐 아니라 디자인의 전문성과 성취의 수준을 높이는 디자인 기업가를 필요로 한다. 전통적으로 사회에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무만을 강조했던 교육에서, 스스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독립적인 경제적 주체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디자이너 동일출처 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교육으로의 이동이라는 면에 현실적으로 대학 교육이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고찰해 본다. 이 연구는 이 같은 디자인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의 사례를 통해 디자인 전문대학원 존재와 해당교육의 당위성을 입증한다. 또한, 전문 대학원이 용역 기반의 디자인 산업 구조를 스스로 바꿔갈 수 있는 자생력을 지닌 디자이너를 양성함으로써 교육을 통한 디자인 구조를 재정립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내용은 변화에 따른 시대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디자인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연구함으로써 동시대적인 디자인 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을 예측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과 해외 디자인대학원의 교육동향을 포함한다. 그리고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의 디자인 지원 사업과 산업부 과제 수행 과정 추적조사를 통한 디자인 교육의 지향점을 논한다. 나아가 해외 디자인대학원의 다 학제간 융합 커리큘럼과 동시대적 디자이너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동시대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장에서는 동시대성의 이론적 고찰과 시대의 흐름에 따른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동시대성의 개념적 의미에 대해 이론적 조사를 하고 이를 통해 철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는 동시대적 패러다임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개념의 이해를 돕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여러 시대에 걸쳐 여러 철학자들이 연구, 토론을 하며 남겨온 동시대성과 동시대인에 대한 정의를 알아봄과 동시에 그 개념이 앞으로 우리에게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제시 한다. 또한, 20세기 산업 사회의 디자인 패러다임과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가 가져온 디자인 패러다임에 대해 조사해 보고 사회적인 패러다임이 디자인 패러다임에 어떤 영향을 끼쳤으며 그로 인한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화해 가는가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동시대성 교육 동향에 대한 내용이다. 해외 디자인 교육기관은 RISD의 다학제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과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교육 내용을 살펴보았고, 알토대의 정부 주도하의 융합교육 프로그램과 자생 가능한 디자인 생태계를 구축을 위한 학교의 노력을 알아보았다. 국내 디자인 교육기관으로는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와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의 융합디자인교육과정을 통해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학제 기반 융합 프로젝트를 살펴보았다. 4장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학과에서 추구하는 동시대적 교육 사례 연구로 2009년부터 시작된 사회적 기업과 연계한 디자인 지원 사업을 살펴본다. 교육의 사회적 책임에 따른 대학의 동시대적 움직임을 통해 교육과 산업이 상생하는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하는 대학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산업부과제의 일환인 기업연계형 인재 양성프로그램 사업을 통해 산업을 주도하는 디자이너를 양성하고자 한다. 대학은 주문-생산 형식의 현재의 디자인 용역 기반 구조를 탈피해서 주도적으로 프로젝트 발생 능력을 겸비한 디자이너 양성과 배출이 가능해야한다. 이는 앞으로의 디자인 산업 구조에 적합한 디자인 전문 이력 양성이 우리가 당면한 디자인 교육의 과제이며 그에 맞는 동시대적인 해결안을 목표로 제시한다. 기존의 산학협력체제에서 기업과 학생간의 갑-을 구조와 같은 부작용이 드러남에 따라, 이를 극복할 수 있고 현재 교육체제에 응용이 가능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환경과 관계없이 자생 가능한 디자이너를 키워내는 교육을 제안한다. 이에 산업부의 기업 연계형 인력양성프로그램 과제 수행을 통한 학교-학생-기업의 선순환 구조를 경험함으로써 주도적인 디자이너의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재구성된 디자인 생태계를 제안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디자인 산업이 주문에서 시작되는 용역 기반의 구조였으나 교육의 기회를 통한 디자이너 스스로의 기획, 생산체계로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 시대에 창조적인 디자인 사고가 가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의 키워드는 ‘통섭, 융합, 동시대성’이다. 비즈니스와 디자인, 디자인과 기술, 기술과 비즈니스 이렇게 서로 다른 영역이 동시대성을 만났을 때 우리는 새로운 시너지를 발견할 수 있다. 이질적인 영역이 융합하여 발생하는 시너지를 통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가진 인재양성이 우리 디자인 교육의 동시대적 해결안일 것이다. Abstract A Study of Contemporary Design Education Paradigm by Kim, Ye Eun Dep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of contemporaneity,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n image of contemporaneous designer, and to seek a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to cultivate and generate designers suitable to that image. The shift from the 20th century industrial society to the 21st centur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has led to the changes of forms and paradigm in all aspects including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industrial society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s rapidity of changes. In every moment, new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flow out, a new area is created, and a new area in an existing area is born. In the rapidly chang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design paradigm cannot be exceptional. Thus, it has significant meaning to examine changes of design paradigms which serve as bridgeheads of industry and culture. That’s because of the fact that examination of changes of design paradigms is precondition of designer education demanded by the contemporary age. As design has close relationship with industry, design education cultivating designers is essentially characterized by industry-college link. However, Korean colleges, ignoring such a special characteristics of designer cultivation education, have performed designer education in the frame of a series of departments, or divided and traditional majors. As a result,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not been sufficient in accepting demands of related industries in design education. Financial crises of Korean colleges caused by emergence of too many colleges have served as negative element to special design education, as well. In the practical aspect called finances which works as the basis of college management, it is essential to link design education and related industries. Meanwhile, we cannot ignore the original functions and roles of college.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re original functions of college, and its duty to the society. Accordingly, the existence of graduate school of design which can fuse industrial specifics and original functions of college is highlighted. The design education paradigm seeking contemporaneity is required in college. With the global changes toward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society, some graduate schools on design have already adopted advanced design education. To keep up with such a trend, Korean graduate schools on design too try to cultivate designers who can ‘create products and services which can survive in the market’ and perform roles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ages, and in different positions than those of previous ages. Considering such elements, this study compared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 cultivation of designers who do not free-ride temporary fads and moods, but can read the age and predict the future trend, and lead the flow through ‘a crack’ of ‘time lag’ of space-time distance between the past age and the future age can not only boost the position and role of designers in the future, but raise the possibility that it will serve as energy to convert the design industrial structure. Another big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changes into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one caused by development of information-sharing media devices and digital technology is electric wave and sharing. These two elements have narrowed the technological gap between countries and between companies. Accordingly, design was monopolized by big companies in the past. But, now, common people can ‘design’ for their own businesses. In such contemporary circumstances, the question whether designer will maintain its position as ‘specialist’ has continuously existed. This study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Owing to lack of design-specialists, mos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have difficulty to develop and use their unique brands and designs for themselves. In such a situation in industrial places, design education needs to cultivate designer businessmen who can immediately start to work in such companies, and, raise levels of speciality and achievement of desig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amines how much college education has contributed in reality in the aspect of change from the traditional education emphasizing only on practices aiming to teach knowledge and techniques needed to provide design services to the society to the education searching for and cultivating designers who can develop contents for themselves and play the role of independent economic subjects. Using the case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aiming to cultivate such designers, this study proves justification of such graduate school and related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ims to contribute to reestablish design structure through education by cultivating designers who have potentials to convert design industry structure for themselves. By examining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the age and corresponding changes of social and design paradigms, this study predicts a design education paradigm based on contemporaneous design philosophy. The research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education trends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and other graduate schools of design in foreign countries. And, it discusses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through follow-up investigation of the design support project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and performance of the Ministry of Industry project. Furthermore, by showing interdisciplinary fusion curricula and contemporary designer cultivation programs, it implies that contemporary design education paradigms are changing. Chapter Ⅱ examines theories of contemporaneity and changes of design paradigms with the change of time. After doing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concepts of contemporaneity, it tries philosophical approach. It is the stage to help understand basic concepts for researches of contemporaneous paradigms. In this stage, it examines definitions of contemporaneity and contemporaneous people discussed by various philosophers in various ages, and it offers how we can apply the concept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nvestigates design paradigms of the 20th century industrial society and those of the 21st centur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and how social paradigms affect design paradigms, and how corresponding design education paradigms have changed. Chapter Ⅲ deals with contents of contemporaneity education. As desig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foreign countries, the multi-discipline-based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 on social responsibility of designers of RISD, and the government-led fus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efforts of the university to establish sustainable design eco-system of Aalto University. As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chapter deals with multi-discipline-based fusion projects in Industrial Design Department of KAIST and the fusion design 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l Design, Hongik University. Chapter Ⅳ treats the contemporary education case study pursued by Visual Design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It is the design support project linked with social enterprise which started in 2009. We can notice efforts of universities to build a eco-system where education and industry can coexist through contemporary moves of universities according to social responsibility of education. In addition, they try to cultivate industry-leading designers through the company-linked talent cultivation program, part of the project of the Ministry of Industry. College should be able to cultivate and generate designers equipped with the capacity to create project by themselves, escaping the current design service-based structure with the form of order-production. It argues that it is our challenge to cultivate design specialists suitable to the future design industry and suggests a contemporaneous solution matching it. In the existing industry-college cooperative system, some negative effects like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company and students were revealed. Thus, the chapter offers a new education paradigm which can overcome the negative effects and be applied to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and an education which cultivates designers who can survive for themselves regardless of environments. Based on the virtuous cycle of school-student-company through performing the company-linked talent cultivation program, this chapter offers a design ecological system where designers can display their capacities as they wish. Chapter Ⅳ inspects conversion education systems in graduate schools of design in foreign countries, and compares global design education whose paradigms are changing. It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 of Aalto University and RISD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and of other universities with contemporaneous trends. This study tries to prove that, while the Korean design industry has been the service-based structure which starts with order, it can be changed into a new structure where designers make plans and make products for themselves by educating designers. The key words of education which cultivates designers who can think creatively in this new age are ‘conversion, fusion, and contemporaneity’. When different fields such as business & design, design & technology, or technology & business meet together, we can discover new synergy. Cultivation of talents equipped with the capacity to solve given problems by synergy acquired from fusion of different fields may be contemporaneous solutions of Korean design education.

      • Synthetic studies on 1-alkoxyindole and 1-acyloxyindole compounds

        김예은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An efficient one-pot synthesis of new multisubstituted 1-alkoxy(acyloxy)indole 1 and 2, and their mechanistic studies are presented. Target compounds 1 and 2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via sequential 4 step reactions in one-pot using substrates 3 and 4. The substrates 3 and 4, obtained through a 2-step synthetic step, underwent three sequential reactions of nitro reduction, intramolecular cyclization and nucleophilic 1,5-addition to provide the intermediates, 1-hydroxyindoles 9 and 10, and these were subsequently alkylated (acylated) in situ in the presence of base and organyl halides in one-pot to give the target products 1 and 2 in good to modest yields (38 examples, 11–41% yields for 4 steps). The reaction conditions for 1 and 2 along with the consideration of formation of intermediates 9 and 10 were optimized. The optimized condition was SnCl2·2H2O (3.3 eq) and nucleophile (2.0 eq) for 1–2 h at 45 ℃ and then, base (10.0 eq) and organyl halides for 1-alkoxyindole 1 and 2 and base (14.0 eq) and acetic anhydride or acyl chloride (2.0 eq) for 1-acyloxyindole 1, for 1–4 h at 25 ℃. Furthermore, the studies on mechanistic aspects including the reaction pathway were also elucidated.

      • 의료기관 속성에 따른 의료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

        김예은 부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message framing in medical advertisements. To make customers purchase their products, marketers may present either a positively framed message stressing on the benefits that customers could get by purchasing their products or a negatively framed message stressing on customers' losses in case customers do not purchase their products. The previous articles in message framing studies shows that the factors affecting framing effects on advertising are as follows: elaboration processes of information, involvement, a type of product, consumers' experiences on products, knowledge level of customers, and so on. This study is trying to examine how an effect of message framing is differentially moderated by attributes of medical centers. In this study, I distinguished medical centers' attributes into two parts: one is hedonic and the other is utilitarian. A 2(message framing: prevention-framed message vs. promotion-framed message)×2(medical centers' attributes: utilitarian vs. hedonic)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was used. All of the 152 subjects are divided into 4 experiment groups and the SPSS 12.0 version was used for statical analysis. As a result it was more effective to use a promotion-framed message for hedonic medical center while it was more effective to use prevention-framed message for utilitarian medical center. 본 연구는 의료법 개정으로 의료광고가 대폭 허용되는 현 시점에서 의료광고의 표현전략으로써 메시지 프레이밍을 제안하고 의료기관 속성에 따라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검증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설 1>에서는 실용적 속성 의료기관의 경우 메시지를 향상적으로 프레이밍 하는 것보다 예방적으로 프레이밍 하는 것이 광고 효과를 더 높인다고 예상하였다. <가설 2>에서는 쾌락적 속성 의료기관의 경우 메시지를 예방적으로 프레이밍 하는 것보다 향상적으로 프레이밍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은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20대에서 50대 이상의 일반인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다. 총 161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52명의 응답을 자료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2.0을 이용한 기술적 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그리고 이원량 분산분석(two-way ANOVA) 등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는 해당 의료기관 속성에 따라 차별화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료기관 속성이 실용적일 경우 향상적으로 프레이밍 하는 것보다 예방적으로 프레이밍 하는 것이 긍정적인 광고 효과를 이끌어 내는데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쾌락적 속성 의료기관의 경우 메시지를 예방적으로 프레이밍 하는 것보다 향상적으로 프레이밍 하는 것이 긍정적인 광고 효과를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 1>과 <가설 2>가 모두 지지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박은아, 2007; 신현정, 2005)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광고 메시지의 프레이밍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 중 기존에는 잘 다루어지지 않은 실용적 속성과 쾌락적 속성이라는 변인을 사용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즉 본 연구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의료기관의 속성 역시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에 조절적 역할을 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논의했던 정보처리 이론과 관련해서 해석이 가능하다. Thompson과 Hamilton(2006)이 제안한 바와 같이 의료기관 속성이 정보처리 단서 역할을 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으며, 분석적 정보처리는 잠재적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게 되고 이미지적 정보처리는 잠재적 혜택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는 Oliver 등(1993)의 주장과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 분석적 정보처리를 하게 되는 실용적 속성을 가진 의료기관의 경우 해당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문제점에 초점이 맞추어진 메시지에 설득 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이다. 이와 반대로 일반적으로 이미지적 정보처리를 하게 되는 쾌락적 속성을 가진 의료기관의 경우 해당 의료기관을 방문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잠재적 혜택에 중점을 둔 메시지에 상대적으로 설득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라는 설명이 가능하다. 이것은 또한 주어진 정보형태와 소비자의 정보처리 유형이 일치할 때 광고에 대한 정보처리 능력이 향상되고 메시지가 더 설득적이게 되며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더 선호적이라는 선행 연구(예, Petrova & Chialdini, 2005)를 지지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본 연구 결과는 의료광고 영역에서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번 의료법 개정으로 인해 법적규제가 대폭 완화되면서 의료광고 시행으로 인한 과다경쟁, 의료비 상승과 같은 문제점에 대한 우려도 있으나 소비자의 알권리 증가와 의료시장 개방화에 따른 시대적 변화에 따라 자율적 의료광고가 필연적으로 뒤따라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이번 법 개정으로 인해 의료광고의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히, 박창제와 최대환(1998)은 본 연구의 실험에 사용된 성형외과의 경우 의료광고가 시행될 경우 다른 의료기관에 비해 광고 수가 월등히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광고주와 마케터 입장에서 의료광고의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다. 쾌락적 속성으로 분류되었던 성형외과의 경우 해당 의료기관을 방문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을 강조하는 향상적 메시지 프레이밍을 하는 것이 효과적인 광고수행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성형외과 외에도 쾌락적 속성의 의료기관으로 분류될 수 있는 피부과나 미용을 위한 교정과 미백을 중심으로 하는 치과광고에서도 향상적 메시지 프레이밍을 하는 것이 광고 효과를 증가시키는데 바람직할 것이다. 반면 실용적 속성으로 분류되었던 정형외과와 본 실험에서는 사용하지 않았지만 사전조사에서 실용적 속성으로 분류된 의료기관들(예, 내과, 이비인후과, 신경외과, 소아과)은 의료기관에 대한 안전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메시지를 프레이밍 하는 것이 광고 효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 호프만의 공감 이론을 적용한 감상 지도 방법 연구 : 스트라빈스키「봄의 제전」을 중심으로

        김예은 부산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호프만의 공감 이론을 적용한 감상 지도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현대음악을 효과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지도 방법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호프만의 공감 이론은 흉내, 고전적 조건화, 직접적인 연상, 매개된 연상, 역할 채택의 다섯 가지 공감 발생 양식으로 구성된다. 수업 제재곡은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으로 이 작품의 제1부의 ‘봄의 속삭임과 젊은 남녀의 춤’과 제2부의 ‘희생의 춤, 선택된 처녀’를 중심으로 감상하였고, 호프만의 공감 이론 중 역할 채택과 연결시켜 연구하였다. 역할 채택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역할 중에서 스트라빈스키와 시나리오 속 소녀의 입장을 나누어 연구했으며, 학생들의 공감적 정서를 활용한 감상을 통해 심미적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음악을 감상하는 방법에는 수동적 감상, 감각적 감상, 정서적 감상, 지각적 감상이 있으며, 이들 중 음악 감상 능력을 가장 효과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지각적 감상 방법을 선택하여 호프만의 공감 이론과 연결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이 공감적으로 경험하고 지각적으로 음악을 감상하여 현대음악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수업 지도 방안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고, 수업 후 설문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호프만의 공감 이론을 적용한 감상 지도 방법이 현대음악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현대음악을 감상함에 있어 유용한 방법 중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Revolutionary cosmopolitanism : early Korean nationalism and March First Movement as reclamation of the universal

        김예은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민족운동’ 으로서 삼일운동의 세계주의적 색채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이 논문은 삼일운동과 삼일운동이 대표하는 반식민 혹은 반제국사상이 보편주의적 문명 사상의 내부적 긴장에 대한 대응으로서 발생 및 발전했다고 주장한다. 이 긴장은 자유주의의 보편적 이상과 문화적 차이 사이에서 발생한 것으로써, 국제법 내의 위계의 형태로 나타났다. 한국의 초기 반식민사상은 자유주의 문명 개념에 내포된 보편주의적, 세계주의적 이상을 재주장함으로써 이 이상과 현실 사이의 긴장에 대항했다. 이 논문은 삼일운동을 한국 민족의 형성 순간으로서 재조명하고, 221개의 삼일운동 선언서 및 격문을 분석함으로써 세계주의적 사상이 삼일운동의 결과로 나타난 조선 혹은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에 형성적인 역햘을 했다는 점을 보인다. 선언서의 대부분은 대부분 인류 발전과 같은 보편적인 가치를 동원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보편적 가치에 대한 호소는 동시에 ‘보편’ 을 비폭력과 같은 가치로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자유주의적 보편 문명 사상에 대해 도전하였다. 이 연구는 반식민 민족주의 사상과 식민 한국 역사 연구의 성과들을 종합함으로써 그 둘 모두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What accounts for the cosmopolitan orientation of the March First movement?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the movement, and the early anticolonial thoughts it crystalized, developed as a response to a tension within the liberal idea of universal civilization. The tension was between liberalism’s universal ideal and cultural differentiation, manifested in forms of hierarchy in international law. The early Korean anticolonial thoughts challenged the tension by reclaiming the cosmopolitan, universal ideals of the liberal idea of civilization. After presenting the March First as a crystallizing moment of Korea as a nation, this dissertation demonstrates with a thematic analysis of 221 written proclamations of the March First that the cosmopolitan ideas had been formative of the Korean identity that emerged as a result of the March First. Majority of the proclamations appealed to universal values such as human progress. This claim to the universal, however, was a challenge against the liberal idea of universal civilization, for they redefined the universal with values such as non-violence that they deemed truly universal.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studies of anticolonial nationalism and historical studies on colonial Korea by bridging the insights from the bodies of literature.

      • 선거보도에 나타난 신문의 정치성향에 대한연구

        김예은 中央大學敎 新聞放送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내가 붓을 들면 삼일 이내 내각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고 말한 <런던 타임즈>의 어느 주필의 유명한 말은 민주주의 사회에 있어서 언론과 그에 따르는 여론의 힘이 얼마나 지대한 것인가를 일깨워 주는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언론매체는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보도를 전달해야만 한다. 이러한 언론의 막강한 책임 속에서 본 연구자는 2004년 4월 15일에 치뤄진 ‘제 17대 총선’을 이슈로 설정하여 보수언론 매체인 조선일보와 진보언론 매체인 한겨레의 내용 분석을 통해 양 신문의 시각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제 17대 총선 당시의 선거 환경은 대통령 탄핵이라는 정치적 사건이 발생하여 이에 따른 정당별 지지율에 변화에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을 만큼 국회의 탄핵이 선거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04년 3월 12일 국회의 대통령 탄핵이 이루어진 이후, 한나라당, 민주당, 열린우리당 3당의 지지율 격차는 두드러졌다. 한나라당의 박근혜 대표의 선출, 열린우리당 정동영의장의 노인 폄하 발언 등으로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의 지지율 격차가 좁혀지기는 하였지만, 대통령 탄핵은 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이슈였다. 탄핵이 선거정국을 주도하면서 정당 혹은 후보들이 내세운 정책은 탄핵 심판 분위기를 넘어설 수 없어 정책선거 분위기는 찾아보기 힘들었고, 각 정당과 후보들은 탄핵 후폭풍을 잠재우기 위해, 혹은 탄핵 심판의 분위기를 유지시키기 위한 선거 전략에 몰입하게 된다. 탄핵 정국이 주도하는 17대 총선이 과거의 어느 선거와도 완전히 다른 환경에서 치러져 정당이나 후보자들은 지역 유권자에게 효과적인 선거운동을 하기 어려웠다. 당시 선거 환경에서 과연 우리 언론이 공정하고 바르게 사안을 보도함으로써 국민들로 하여금 선거에 임함에 있어 바른 자세와 정견을 갖게 하느냐의 의문 속으로 본 연구를 시작했다. 정치적인 색깔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슬쩍슬쩍 써내고 사실을 왜곡하는 일은 없는지, 언론사의 색깔에 따라 보도내용이 다르지 않을까 하는 가정을 확인하기 위해서 이 논문을 시작했다. 총선 관련 신문 보도의 주요 주제, 정치적 성향에 따른 기사의 빈도와 보도특성 및 분석유목별 유형을 통해 살펴본 결과, 기존의 선거 보도 관련 선행 연구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게임 경쟁 용어’, ‘가십성 용어’, ‘전쟁 전투 용어’, ‘바라몰이&#8228;세몰이식의 비정치적 용어’ 등과 같은 기사의 특성이 헤드라인 및 본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총선을 보도하면서 주로 후보자 및 정당들 간의 비방과 공방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용하며 행위자들 간의 관계를 적대적 대립관계 또는 긴장-신경전 관계로 묘사하고 있었다. 또한 어느 후보가 앞서고 뒤지고 있는가를 묘사하는 경마식보도, 지역감정이나 지역편향을 내세우는 전장구도보도, 추문 밝히기 식의 폭로보도, 선거과열현상에 대한 부정적인 쟁점들을 보도한 부정적 쟁점 평가보도, 진상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사항에 대한 추측보도, 특정 이슈에 대해 그것이 지니고 있는 가십성에 주목하는 가십란 남용보도 등과 같이 선거를 부정적으로 보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디어가 유발하는 정치불신과 냉소주의는 부메랑 효과처럼 정치 과정을 보도하는 미디어에 대한 불신과 냉소주의와 무관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냐가 시민들과 정치인, 정당 및 정치기구에 대한 평가와 미디어에 대한 평가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디지털 카메라의 적정노출에 관한 연구 : 콤팩트ㆍ 하이브리드ㆍDSLR 카메라의 농도와 다이내믹레인지 중심으로

        김예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출시되고 있는 디지털카메라의 대부분은 카메라 내부에서 자동으로 노출을 측정해준다. 과연 이렇게 자동적으로 측정해주는 노출이 아날로그의 18% 그레이와 비슷할까? 현재 디지털 카메라는 정확한 색재현을 목표로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노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있다. 그러나 보통 콤팩트 카메라나 일안반사식 디지털 카메라의 DSLR의 경우 카메라가 지시한 적정노출보다 약간 밝게 설정되어있다. 따라서 실험과 설문조사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을 분석하여 아날로그시대의 18% 그레이에 맞춰진 카메라 지시 노출과의 차이점을 발견하여 왜 디지털 카메라가 각기 다른 농도의 노출 값을 가지고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회사별, 카메라 수준별로 설정된 적정노출의 기준 값이 존재하는지에 관하여 연구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콤팩트 카메라의 노출이 밝게 설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하이브리드 카메라는 카메라가 지시한 적정노출 그대로 표현하였으며 DSLR 카메라는 니콘의 경우 콤팩트 카메라와 동일하게 가장 밝게 설정 되었으나, 캐논 카메라의 경우 약간 어둡게 설정됨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디지털카메라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적정노출의 기준 설정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그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이내믹레인지와 톤의 재현성, 감마값에 관하여 알아보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각 브랜드 및 카메라 기종의 이미지 생성 특성을 알아볼 수 있다. 또한 설문을 통해 응답자의 톤 선호도를 파악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브랜드의 기준 노출 설정 이유 또한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카메라 브랜드 및 사용자에게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적정노출 기준을 제시한다는 의미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Most of digital cameras which are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market have an automatic exposure measurement function. However, is the value of such automatically measured exposure similar with 18% gray color of an analog camera? Currently, a digital camera is set to adjust exposure in a physical manner in order to achieve correct color reproduction. However, normal digital compact cameras and DSLR cameras are set to have a slightly brighter value than proper exposure directed by the camera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ason why each digital camera has different exposure values by trying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digital camera exposure and camera direct exposure set by 18% gray color in the analog era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 standard value of proper exposure set differently by the types of digital camera and different manufacturers could exist. The findings indicate that most of the digital compact cameras had brighter exposure while the hybrid cameras showed proper exposure directed by the cameras. For DSLR, It is found that Nikon cameras were set to have bright exposure just like compact digital cameras while Canon cameras had slightly dark exposure. This study analyzed a standard exposure adopted by each manufacturer by testing proper exposure and dynamic range of digital cameras, which are basic elements and rapidly changing.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can deal with other elements of digital cameras, which are not covered by this study.

      • Adjudicators’ assessment performance in an English debate tournament : form EIL perspective

        김예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presents the case of 2 adjudicators’ assessment of Northeast Asian EFL speakers in English debate by conducting a qualitative research. From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EIL) perspective,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on assessment of Northeast Asian non-native speakers in global sett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1) How do the adjudicators assess the performance of Northeast Asian EFL debaters? (2)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djudicators’ assessment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current paper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2 adjudicators, one from Australia and the other from America. For the purpose of data triangulation, the current paper also included observation of adjudication process as well as collected judging note of each adjudicator. Both adjudicators focused on the meaning of the speech and did not consider speakers’ fluency as crucial when assessing the speech as long as it’s comprehensible. Adjudicators gave feedback on tactics to improve clarity of meaning, confidence, and speaking style for overall persuasion. Each adjudicator had different interpretation of the same judging criteria, which resulted in different assessment performance. Adjudicators constructed self-reflection, recognition of non-native speakers’ equity issue, and problem analysis throughout past experience in debate field, which all impacted on belief as a judge as well as current assessment performance. The current paper has implications in terms of suggesting an authentic case of assessment in EIL paradigm as well as the research of rates’ assessment performance by qualitative method. 본 연구는 영어토론대회 심판 2명의 동북아시아 EFL 학생들의 영어토론 평가 사례를 정성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제시한다. 본 연구는 국제어로서의 영어 관점(EIL)에서 국제적인 조건하에 동북아시아 비 원어민 화자 평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심판들은 어떠한 방법으로 동북아시아 EFL 토론자들을 평가하는가? (2) 심판들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이 연구문제들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반 구조화 된 인터뷰를 2명의 심판들과 실시하였다. 한 사람은 호주 출신이고 나머지 한 사람은 미국 출신이다. 삼각망 기법의 완성을 위하여 본 연구는 심판과정 관찰과 더불어 각 심판들의 심판 판정 필기장을 수집하였다. 심판들은 연설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연설의 의미가 이해되는 한 화자들의 영어 유창성을 중요한 평가요소로 고려하지 않았다. 심판들은 의미 전달의 명확성, 자신감 그리고 전반적인 설득력을 위한 말하기 기법에 대하여 조언하였다. 심판들은 같은 심판 기준에 대하여 다른 해석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각자 다른 평가 활동의 결과에 기인하였다. 심판들은 과거 토론 분야에서의 경험을 통하여 자기 성찰, 비원어민의 형평성 문제에 대한 인식, 그리고 문제의식을 정립하였다. 이 모든 요소들은 심판들의 심판자로서의 신념 그리고 현재의 심판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EIL 상황에서 평가의 실제 예시를 제기한 것과 평가자 들의 평가 활동 에 대한 정성적 방법을 사용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그리드(Grid)를 유닛(Unit)으로 해석한 장신구 연구

        김예은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With today's breakthrough in technology, digital media has come deep into our lives.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s, computers, and the Internet, we are accustomed to seeing images on the screen rather than real things. This trend is encouraging the creation of works from a new perspective in modern art as well. Therefore,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concept of the 'grid' which is the basis of the visual elements of digital media. And created a 'unit' as a basic jewelry assembly. Units were composed of transparent acrylic in the form of linear and circular shapes that could be bent, twisted, and piled on one another to create the form of the jewelry's body. Acrylic was an effective material for creating the grid structure by transparently showing overlapping lines and easy to dye for adding a variety of colors. The units were joined together by solid and flexible stainless-steel wire. This wire structure added consistency of expression by creating a grid structure where vertical and horizontal wire lines intersected. Finally, various metals were used for finishing parts to enhance the jewelry’s usability. Through all these processes, the researcher studie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petition, transformation, and expandability of the gri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rtistic representability of the grid structure and the potential of the grid and unit concepts to become modern aesthetic methods. 오늘날 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디지털 매체는 우리의 삶 곳곳에 깊숙이 파고들었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인터넷의 발달로 우리는 어느새 실질적인 사물보다는 화면에 띄워져 있는 이미지(Image)를 보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이러한 흐름은 현대미술 안에서도 새로운 시각으로 작품을 만들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디지털 매체의 시각적 요소 중 기초가 되는‘그리드(Grid)’를 선택하여 작품제작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그리드의 조형성과 구조를 기반으로 '유닛(Unit)'을 제작하여 작품의 기본 단위로 활용하고, 선형 및 원형의 유닛들을 중첩 시키거나 형태를 변형함으로써 장신구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했다. 유닛의 주재료는 투명한 아크릴을 선택함으로써 그리드의 중첩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아크릴 염색으로 다양한 분위기를 작품에 더할 수 있었다. 유닛을 결합하는 소재는 견고하고 유연한 스테인리스 와이어(Wire)를 사용하고, 결합 방식에도 그리드 구조를 적용하여 표현의 일관성을 더하였다. 또한, 장신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증진 시키고자 다양한 금속과의 조합으로 마감하였고, 이를 통하여 그리드가 가진 반복과 변형, 확장 가능성을 적용한 입체적인 현대장신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그리드의 예술적 표현에 대한 모색이며, 그리드 구조와 유닛의 결합이 현대인의 미적 표현방식의 하나가 되는 가능성과 잠재력에 관한 연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