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유시장과 주요 선진국 및 개도국 수출 사이의 상관성 비교에 관한 연구

        황수석 경남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원유 현물시장(WTI, Dubai, Brent) 및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의 수출에 따른 상관성을 비교연구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0년부터 2017년까지 연도별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였다. 원유현물시장 지표로는 WTI, Dubai 및 Brent 등 세계 3대 원유시장 지수를 이용하였다. 선진국으로는 미국, 일본, 독일, 영국 및 프랑스와 개도국으로는 한국, 중국, 인도, 브라질 및 멕시코 수출지표를 이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벡터자기회귀모형과 벡터오차수정모형에 기초를 든 그랜즈(Granger)인과관계 분석모형을 도입하였다. 주요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분석 자료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위근 검정을 실시한 결과 선진국 및 개도국 수출관련 수준변수들은 불안정한 자료이나 차분변수 즉, 수출변화량 자료들은 모두 단위근이 존재하지 않는 안정적인 시계열로 나타났다. 둘째, 글로벌 3대 원유현물시장 수준변수와 5개 선진국 수출과 개도국 수출 수준변수에 대한 요한센 공적분 검증(co-integration test)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각 수준변수사이에 공적분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고려하여 VAR모형 추정 시 오차 수정항(ECT: error correction term)을 추가하여 모형의 설명력을 높였다. 셋째, 글로벌 3대 원유현물지표와 5개 선진국 및 개도국 수출액변화량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VECM 모형에 기초를 둔 그랜즈 인과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WTI와 선진국 및 개도국 수출시장사이를 분석한 결과, 선진국의 경우 WTI는 일본 수출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미국, 독일, 영국 및 프랑스 수출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도국의 경우, WTI는 브라질과 멕시코 수출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한국, 중국 및 인도 수출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Dubai유와 선진국 및 개도국 수출시장사이를 분석한 결과, 선진국의 경우 Dubai유는 일본과 독일 수출변화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미국, 영국 및 프랑스 수출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도국의 경우, Dubai유는 브라질과 멕시코 수출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한국, 중국 및 인도 수출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Brent유와 선진국 및 개도국 수출시장사이를 분석한 결과, 선진국의 경우 Brent유는 일본 수출변화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미국, 영국, 독일 및 프랑스 수출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도국의 경우, Brent유는 브라질과 멕시코 수출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한국, 중국 및 인도 수출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wanted to compare and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global crude oil spot markets (WTI, Dubai, Brent) and exports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For this purpose, the annual series data were used from 1990 to 2017. The world's top three crude oil market indices - WTI, Dubai and Brent - were used as indicators for the crude oil market. Developed countries included the United States, Japan, Germany, Britain and France, and developing countries used export indicators to Korea, China, India, Brazil and Mexico. As a study method, the analysis model of the Grander causal relationship based on the vector magnetic return model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was introduced. The main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unit root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ability of each analysis data, and the level variables related to exports to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ere found to be unstable data or to be stable time series in which the unit root does not exist. Second, it conducted a co-integration test on the level variables of the world's three major crude oil markets and the exports of five developed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public division between each level variable. Considering this, the error correction term (ECT) was added in estimating the VAR model to increase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Thir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major global crude oil indicators and the export changes in fiv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he analysis of the cause and effect of the Grande causal relationship based on the VECM model was conducted. First, an analysis between WTI and export markets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showed that in advanced countries, WTI is affecting exports to Japan but does not affect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Germany,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For developing countries, WTI is affecting exports to Brazil and Mexico, but not to Korea, China and India. Next, an analysis of the export market between Dubai oil and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showed that in advanced countries, Dubai oil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volume of changes in exports to Japan and Germany, but not on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France. In developing countries, Dubai crude has been shown to be affecting exports to Brazil and Mexico but not to Korea, China and India. Finally, an analysis between Brent oil and export markets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showed that Brent oil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volume of changes in exports to Japan, but not on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Britain, Germany and France. In developing countries, Brent crude is affecting exports to Brazil and Mexico but does not affect exports to Korea, China and India.

      • 일 중 수익률을 이용한 KOSPI200 선·현물 시장에서의 시장정보 효율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글로벌 금융위기 및 MTS도입 전·후를 중심으로

        김종출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nformation efficiency of the KOSPI200 futures and spot market. In particular, the impact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nd, 2009 the introduction of the newly introduced mobile trading system (MTS) in the Korean securities market in 2009 influenced information efficiency in the futures and spot markets of Korea's KOSPI200 index market Respectively. To do this, we tried to analyze the changes in information efficiency of the market by comparing the returns and the transaction changes using the time - series daily data in the KOSPI200 index futures market and the spot market. First, we analyzed whether there is a unit root for the KOSPI200 index futures and the spot market variable and the difference variable.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all the level variables were unstable time series data with unit roots. However, all the difference variables are stable time series with no unit root. Therefore, the information efficiency analysis between the KOSPI200 futures market and the spot market uses the return data and transaction change data instead of the level variable to estimate the degree of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the KOSPI200 futures market and the spot market. Second, the Johansen cointegration test between the KOSPI 200 futures and the spot market showed that the null hypothesis was rejected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refore, this study estimates the VECM model which includes the error correction term (ECT) for the VAR type to analyze the market information efficiency between the KOSPI200 index futures market and the spot market. Third, to analyze market information efficiency between KOSPI200 futures market and spot market, we analyzed Granger causality using VECM (8)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uring the whole analysis period, the KOSPI200 index returns show that the futures return has more influence on spot return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futures and spot transactions is more affected by the rate of return than the yiel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analysis using VECM (8) model, the influence of the spot rate on the spot rate of return on futures increased slightly, Fourth, during the whole analysis period, impact response func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persistence of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KOSPI200 futures market and spot marke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st of them showed immediate and big response to their own reac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eturns, the futures and spot returns have mutual influences and feedback effects. However, the magnitude of the effect between the futures rate and the spot rate of return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futures rate on the spot rate of return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opposite.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mobile trading system (MTS) show that the effect of changes in spot transactions on the changes in futures trading is somewhat diminishing.   Fifth, we analyzed the information dissemination between the KOSPI200 futures market and the spot marke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utures rate of return, futures trading volume, and spot trading volume all had their own effects. However, in the case of spot returns, the rate of return of the futures has the biggest influence than the self.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mobile trading system (MTS), the KOSPI 200 index futures market returns and trading volume have more influence on the spot market returns and transaction volume than previous periods.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the influence of the futures market on the KOSPI200 index spot marke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mobile trading system (MTS) has been somewhat lowered. 동 연구는 우리나라 KOSPI200 지수 선물 및 현물시장에서의 정보 효율성의 정도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유가증권시장에 많은 영향을 끼친 2008년 하반기 글로벌 금융위기와 새로운 거래방법인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도입시기인 2009년을 기준으로 그 전·후의 기간 동안 KOSPI200 지수 선물 및 현물시장에서 정보 효율성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분석을 위해 KOSPI200 지수 선물시장과 현물시장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및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도입 전과 후의 한 시간대별 일 중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익률과 거래 변화량 간의 비교를 통해 시장의 정보 효율성을 변화를 분석하였다. 동 연구의 분석을 위한 연구 기간은 2007년 1월 2일부터 2012년 12월 28일까지 KOSPI200 지수 시장의 선물과 현물시장의 한 시간대별 일 중 종가자료와 거래량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그랜저(Granger) 인과관계 분석을 이용하였고, 데이터의 각 시계열의 상대적 영향력에 대한 지속성을 측정하기 위해 충격 반응 함수(impulse response analysis)분석과 각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분산분해분석(variance decomposition)을 이용하였다. 또한, 분석을 위한 벡터자기회귀모형(VAR: vector auto regressive model)의 적용 시차로는 상수값을 제외한 BIC 값에 기초하여 시차 8을 적용하였고 주요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OSPI200 지수 선물과 현물시장의 수준변수(level variables)인 종가와 거래량과 이를 로그 차분한 수익률과 거래변화량에 대한 단위 근(unit root)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금융 시계열분석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ADF(augmented dickey fuller) 검정법과 PP(phillips perron) 검정법을 사용하였다. 단위 근 검증 결과, KOSPI200 지수 선물시장과 현물시장의 수준변수는 모두 단위 근이 존재하는 불안정한 시계열 자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KOSPI200 지수 선물과 현물의 수익률, 거래변화량 자료들은 모두 단위 근이 존재하지 않는 안정적인 시계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KOSPI200 지수 선물시장과 현물시장간의 정보 효율성 분석은 수준변수를 대신하여 수익률 자료와 거래변화량 자료를 이용하여 KOSPI200 지수 선물시장과 현물시장 간의 정보전달 변화 정도를 추정하였다. 둘째, KOSPI200 지수 선물과 현물시장 간의 장기적인 균형 관계 분석을 위해 공적분 검정(co-integration test)을 진행하였다. 요한센(Johansen) 공적분 검증 결과에 의하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귀무가설을 기각되어 양 시장 간에는 상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KOSPI200 지수 선물시장과 현물시장의 각 변수는 장기적인 균형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KOSPI200 지수 선물시장과 현물시장 간의 시장정보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VAR 모형 추정과 오차 수정 항(ECT: error correction term)이 포함된 VECM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셋째, KOSPI200 지수 선물시장과 현물시장 사이의 시장정보 효율성 분석을 위해 VECM(8) 모형을 이용하여 그랜저(Granger) 인과관계 분석을 하였다. 전체분석 기간 동안의 분석 결과, KOSPI200 지수 수익률은 거래변화량보다 수익률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의 크기는 선물수익률이 현물수익률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거래변화량에 대해서는 선물 및 현물 거래변화량이 수익률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VECM(8)모형을 이용한 분석 이전 기간과 이후 기간을 비교·분석한 결과 선물수익률의 현물수익률에 대한 영향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현물수익률의 선물수익률에 대한 영향과 거래변화량 간의 영향은 줄어들었다. 이로 글로벌 금융위기 및 새로운 거래시스템 도입으로 선물 및 현물시장 간의 정보 효율성이 다소 개선 된 것을 추론할 수 있었다. 넷째, 전체분석 기간 KOSPI200 지수 선물시장과 현물시장 사이의 상호 영향력의 지속성을 측정하기 위해 충격 반응함수 분석을 하였는데 그 분석결과, 대부분 자기 자신의 반응에 즉각적이고 큰 반응을 보였다. 반면 수익률의 경우 선물수익률과 현물수익률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피드백 적인 영향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물수익률과 현물수익률 상호 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는 선물수익률이 현물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그 반대의 경우에 비교해 상당히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금융위기 및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도입 전과 후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전체분석 기간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현물거래변화량의 선물거래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KOSPI200 지수 선물시장과 현물시장 사이의 정보전달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분산분해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선물수익률, 선물거래변화량, 현물거래변화량은 모두 자기 자신에 대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물수익률의 경우 자기 자신보다 선물수익률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글로벌 금융위기 및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도입 전과 후를 비교해본 결과 KOSPI200 지수 선물시장의 수익률과 거래변화량이 현물시장의 수익률과 거래변화량에 대한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물시장의 수익률과 거래변화량 자신에 대한 영향력이 증가한 반면 KOSPI200 지수 현물시장에 대한 선물시장의 영향력의 정도는 점차 낮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분석결과에서 글로벌금융위기와 새로운 거래방식의 도입으로 인한 거래환경의 개선으로 KOSPI200 지수 시장의 시장정보 효율성이 다소 개선되었음을 추론해 볼 수 있다.

      • 기초자치단체장의 출신배경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재정성과를 중심으로 -

        이기헌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한국의 지방자치는 1949년 지방자치제도의 제도적 근거가 마련된 지방자치법이 제정되면서 시작되었다. 첫 지방자치제가 실시될 당시에는 현재와 다르게 구나 군은 기초자치단체가 아니었으며, 시 및 읍?면이 기초자치단체였다. 1952년 한국 최초의 지방선거가 실시되었으나 이 선거는 지방자치보다는 정치적 의도에 의해 시행되었다. 이 선거의 투표를 통해서는 지방의회 의원을 선출하는 것으로 제한되어 있었다. 1991년 광역시.도의원 및 시.군.구 의원 선거로 의회가 먼저 구성되고 1995년 6월 27일, 지방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을 동시에 선출하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시행되면서 현재의 지방자치제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선거를 시작으로 각 지역의 주민들은 투표행위를 통해 지역 대표자를 직접 선출 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18년 6월 13일 제7회 지방선거가 실시되었다. 지역 대표자의 직접 선출은 지방자치제도를 더욱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유권자들의 투표 결과가 선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방자치단체장들은 더 많은 득표수를 확보하기 위해 지역 주민의 수요와 선호에 집중하여 지역 실정에 맞는 정책을 실행하고자 노력하게 되고, 지역 주민들은 자신들이 제공받는 지방공공서비스나 지역발전을 위한 단체장의 노력 및 성과들을 투표행위에 반영하게 된다. 지방자치제도 실시 이후 지방자치단체장은 각 지역구의 업무성과를 이루는데 있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이며, 지방정부의 권한이 커질수록, 단체장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법 상 3선까지만 가능한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지역기반 서비스 확대 및 다양한 행정성과 확대 노력에도 실제로 단체장이 재선에 성공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2018년의 제7회 지방선거에는 전체 226명의 기초자치단체장 중에서 137명이 재선 또는 3선에 도전하여 재선 49명, 3선 30명이 재당선되어 연임에 성공한 경우가 58%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초자치단체의 재정성과 요인과 단체장의 직업이 기초자치단체장의 재선 혹은 3선 당선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기초자치단체장의 재선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증가율과 단체장의 직업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26개의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민선1기부터 민선7기까지 당선인 1,571명 중 단임 534명, 재선 195명, 3선 102명을 표본으로 선택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초자치단체장으로 선출된 당선인의 재선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단체장의 직업에 따라 기초자치단체의 예산증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자치단체장의 출신직업과의 관계는 전체적으로는 단임, 재선 및 3선 모두에서 1순위가 공무원, 2순위가 정당인, 3순위가 지역장으로 나타났다. 시의 단체장은 전체의 순위와 마찬가지로 공무원, 정당인, 지역장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군에서는 1순위는 동일하게 공무원의 비중이 높으나 2순위가 지역장이었으며, 3순위가 정당인으로 나타났다. 자치구의 경우에는 전체 순위와 차이가 보이는데, 단임의 경우는 1순위가 정당인, 2순위가 공무원, 3순위가 기업인이며, 재선과 3선은 1순위가 공무원, 2순위가 정당인, 3순위가 기업인으로 시와 군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 Local autonomy in Korea began in 1949 when the Local Autonomy Act, which provided the institutional basis for the local autonomy system, was enacted. When the first local self-government system was implemented, unlike the present, Guna-gun was not a basic self-governing body. In 1952, Korea's first local elections were held, but these elections were conducted for political purposes rather than local autonomy. Voting in this election was limited to selecting local council members. On June 27, 1995, the current local self-government system began in earnest with the first nationwide simultaneous local elections, in which the members of the local council and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were simultaneously elected. Starting with this election, residents of each region were able to directly elect local representatives through voting, and the 7th local election was held on June 13, 2018. The direct election of local representative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further develop the local autonomy system, and the results of voters' voting directly affect the election. In order to secure more votes,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focus on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local residents and try to implement policie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local situation, and local residents are encouraged to use the local public services they receive or head of the group for regional development. Efforts and achievements will be reflected in voting behavior.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self-government system,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is the variable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each constituency, and as the authority of the local government increases, the role of the head of the group becomes more important. Nevertheless, despite the efforts of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to expand regional-based services and various administrative achievements, it seems unlikely that the heads of organizations will be re-elected. In the 7th local election in 2018, 137 out of a total of 226 heads of local governments challenged for re-election or a third term, and 49 people re-elected and 30 people in the third term were re-elected and succeeded in re-election in 58% of cases. In this paper, we analyzed whether the financial performance factors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occupation of the group heads affect the re-election or third-term election of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As factors influencing the re-election o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budget increase rate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job of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226 local governments, and among 1,571 people elected from the 1st to the 7th term, 534 single-term, 195 re-elected, and 3rd-term 102 people were selected as sampl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n the re-election of the elected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we analyzed the effect on the budget increase of the local government according to the job of the group hea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lationship with the occupation o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was found to be a civil servant in the first place, a political party in the second place, and a regional head in the third place in all of the single-term, re-elected, and three-term terms. The city group heads appeared in the order of civil servants, political party members, and regional heads as in the overall ranking. In the county, the proportion of civil servants was equally high in the 1st rank, but the 2nd rank was the regional head and the 3rd rank was a political party member. In the case of autonomous districts,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overall ranking. In the case of single appointment, the 1st rank is a political party, the 2nd rank is a public official, and the 3rd rank is a business person. This is different from the case of cities and countries.

      • 창업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허미수 경남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내의 경기침체는 고용률 저하와 고용 없는 성장에 따른 일자리 창출의 감소와 고용의 불안정으로 창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일자리 창출의 일안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는 하지만 경기불황과 준비 부족으로 성공률이 낮아 창업가들이 실패를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주요 창업지원정책과 우리나라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창업지원 정책을 살펴보고 경남지역의 창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결과를 토대로 업종별, 창업지원 기관과 일반기업의 생존율을 통한 성장 장애 요인 및 성공 요인, 정부 지원기관 현황 및 창업교육, 마케팅 및 해외 진출 현황 등을 파악하고 이를 데이터화 한 결과로 정부 지원정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여러 애로점을 참작하여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졌는데, 먼저 창업준비 시 최대 애로사항은 창업자금 확보문제와 추가자금 확보문제, 판로개척 등 마케팅 능력 및 경험 부족, 우수 인재 확보문제, 신기술 개발을 창업 후 성장 과정상 가장 큰 장애 요인들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 성공까지 생계유지문제, 창업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능력 및 경험 부족이 애로점으로 제시되었다. 저변확대 관련 창업교육, 창업행사 및 글로벌 시장진출 지원사업, 사업화 지원을 위한 자금지원, 멘토링 및 컨설팅, 국내외 네트워킹사업, 인프라 구축사업관련 시제품 제작지원, 시설 및 공간활용 지원, 창업아이템 고도화, 고용지원사업 및 창업패키지 지원사업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창업지원의 효과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남지역의 개선방안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창업기업의 지원정책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창업지원 시스템의 고도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창업지원체계는 적절한 수준이나 경남도 창업지원 기관 사이의 업무의 중복성 방지 및 예산지원의 효율성이 떨어져 일반창업기업 대비 창업지원 기관 생존율이 높은 점을 고려하여 창업지원 시스템의 선순환 관계를 내실화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창업자금 지원 및 마케팅 부문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 경남도 관내 창업지원 유관 기관은 경기, 경북 등 광역지자체와 유사한 수준으로 갖추어져 있으나, 창업지원 예산은 다른 광역시 대비 상당히 낮은 수준인 바, 창업지원 예산확대가 필요해 보였다. 셋째, 민관 합동의 효과적인 벤처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 지자체는 민간의 참여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유인책을 설계하고 전문역량을 활용 할 수 있는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민간 합동의 효과적인 벤처생태계를 구축 할 필요성이 있다고 나타났다. 넷째, 창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확대가 필요하다. 기업 성장 과정상 어려움 중에서 우수 인재 확보가 우선되어야 하며, 기술창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력 제고가 필요하다. The domestic economic slump is raising the importance of start-ups due to the falling employment rate and job creation caused by jobless growth, and unstable employment, and the growing interest in start-ups is spreading as a result of job creation. Therefore, despite growing interest in start-ups, start-ups are experiencing failures due to the low success rate due to the economic recession and lack of prepa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main overseas start-up support policies and the start-up support policies of Korea's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nd surveyed the founders of Gyeongnam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we identified and analyzed the growth barriers and success factors, the status of government support institutions, the status of start-up education, marketing, and overseas expansion through the survival rate of the start-up support organizations and general companies. I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activate it.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biggest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a start-up business are the problems of securing start-up funds, lack of marketing skills and experience, securing talented people, and developing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difficulties were presented in maintaining a livelihood until the success of a start-up, overall knowledge, ability, and lack of experience in a startup. Start-up education related to low growth, start-up events and support projects for global market advancement, financial support for commercialization, mentoring and consulting, domestic and foreign networking projects, support for production of prototypes related to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s, support for facility and space utilization, upgrading of start-up items, employment support projects and support projects for start-up packages were evaluated positively. In addi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support for start-ups, the government intends to present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measures for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following are proposed ways to promote support policies for start-ups: First,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measures to upgrade the start-up support system. The start-up support system needs to internalize the virtuous circle relationship of the start-up support system, considering that the efficiency of the support system for start-ups is high compared to ordinary start-ups due to the proper level of prevention of redundancy in work and budget support.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olicy support for the start-up funding and marketing sector. Although related agencies in Gyeongnam Province are equipped with similar level of support for start-ups in Gyeonggi Province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ir budgets for supporting start-ups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for other metropolitan cities, and the budget for supporting start-ups seemed to need to be expanded.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venture ecosystem in a public-private partnership. Local governments found that there was a need to establish a joint venture ecosystem by designing effective inducements for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and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for utilizing professional capabil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job creation through revitalizing start-ups. Securing outstanding human resources should be a priority among difficulties in corporate growth and normal conditions, and creating jobs and boosting local economic vitality through revitalization of technology startups.

      • 주식시장과 금리사이의 정보전달체계 연구 - 한국과 미국 금리와 주식시장 중심으로 -

        남기성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금리가 주식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국제자본시장 참가자들에게는 주요한 주제로 다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시장에서 장단기 금리와 주식시장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단기금리지표로는 3개월물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와 미연준(Fed)금리를 사용하였으며 중·장기금리지표로는 한국과 미국 모두 3년물 및 10년물 국채금리를 사용하였다. 주식시장지표로는 한국종합주가지수(KOSPI: Korea stock price index)와 스탠다드푸어스(S&P) 500지수 수익률자료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한국과 미국의 장단기 금리와 주가지수 수준변수는 단위근이 존재하였으나 1차 차분 수익률은 모두 안정적인 시계열로 나타났으며 공적분관계도 한국과 미국 모두 주식시장과 금리사이에 존재함에 따라 오차수정모형을 도입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 주식시장과 주요 만기별 금리사이에 정(+)의 관계가 있으며 이는 Barsky(1989), Shiller and Beltratti(1992), Campbell and Ammer(1993) 등의 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업가치평가모형의 할인율과 주가사이의 부(-)의 관계와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한국과 미국 주식시장과 주요 만기별 금리사이의 동적인 인과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경우 주식시장과 중장기금리사이에 양방향적인 인과성이 있으나 양도성예금증서와 주식시장상이의 선도-지연관계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주식시장은 장단기 금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금리는 3년물 국채만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전반적으로 미국 주식시장이 주요 만기별 금리를 선행하는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충격반응함수와 분산분해분석도 그랜즈 인과관계분석과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동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주가지수와 주요 만기별 금리사이의 동적 연관성을 분석하였으나 GARCH류 모형을 이용한 변동성이전효과, 환율, 유가 등 다른 거시경제지표와의 연관성분야에 대한 연구는 추후 연구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또한 연구방법론이 기존 금융시계열분석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벡터자기회귀모형에 기반한 모형을 사용하였으나 GJR-GARGH 등 다른 연구모형에 대한 적용도 추후 연구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KOSPI200 option and spot markets which is the most actively traded in korea. The existing researches result are that the option market tends to lead the spot market because it reflects the price more quickly on new information due to the leverage effect. In terms of the market efficacy, the spot market and the option market do not cause the price gap phenomenon if the markets are efficient because the new information is reflected to the price in real time. However, there exists the government rehulations, information gaps between each participants, tax issues, the temporary supply and demand anxiety and the chang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etc in real world. Due to the various factors the spot market and the option market can cause a different in prices to reflect new information. This also can result the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on market and the spot marke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lead-lag among KOSPI200 ATM(at the money) every 30 minutes option market returns, the change open interest, the spot market returns and trading volume which is listed on the derivatives market in the Korea Stock Exchange. The whole sample period is covered from January 04, 2010 to June 30, 2018. I have used ADF(Augmented Dickey-Fuller), PP(Phillips-Perron), VAR(Vector Auto Regressive Model) VAR(p), VECM(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Granger Causality Test,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The majo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 have used the ADF(Augmented Dickey-Fuller) and PP(Phillips-Perron) test to analysis the stationarity of 5 types time series data, except for the level variable of KOSPI200 stock index option and spot price, the remaining level and log-difference data are all stationary. Secondly, I have also estimated Johansen co-integration test to confirm the long-run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variables of KOSPI200 stock index option and spot price.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 I have found that there is a co-integration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variables of the five level variables of KOSPI200 stock index option and spot markets. Therefor I have added the error correction term into the vector auto regressive model(“VAR”) for the robustness. Thirdly, I have estimated AIC(Akaike information criterion) and BIC(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to select the proper lag in VAR(p) model. Based on the AIC and BIC, I have chosen the lag 5 as a relevant lag to test the VAR(p) model. Fourthly, I have estimated the VECM(3) model before estimating the Granger causality test and I have found that there i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market rate of return in KOSPI200 stock index option and spot market with a significant level. There is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KOSPI200 stock index option rate of return and spot rate of return. However It have turned up that the influence of the spot market to the option market is stronger rather than vice versa. Finally, I have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are similar to the Granger causality test.

      • 저축은행의 경영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혜란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동 연구는 국내 저축은행의 자기자본이익률(ROE: return on equity), 총자산이익률(ROA: return on assets) 등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분석 기간은 2000년부터 2021년까지 분기별 시계열 및 횡단면 자료를 이용하였다. 우리나라 전체 저축은행들의 주요 수익성 지표와 저축은행 내부변수 그리고 외부변수들에 대한 자료는 금융감독원 및 한국은행 등으로부터 구하였다. 저축은행들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저축은행 내부변수로는 전체 저축은행 총자산, 총대출,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 부실자산비율을 사용하였고 동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변수로는 단기금리, 중장기금리, 경제성장률, 주식시장지표 등을 사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 연구는 국내 저축은행들의 수익성 결정요인을 분석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저축은행들의 수익성의 대용치로는 총자산이익률(ROA: return on assets)과 영업이익률(EBIT ratio: earnings before interest and tax ratio)을 사용하였다. 동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저축은행 내부 변수(internal variables)로는 전체 저축은행 총자산, 총대출,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 부실자산비율을 사용하였다. 저축은행들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변수(external variables)로는 단기금리로는 양도성예금증성금리(CD rate), 중장기금리로는 10년물 국채금리, 경제성장률을 사용하였다. 저축은행의 수익성 지표를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s)로 다중회귀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관관계(correlation analysis) 분석결과에 의하면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ROA)과 총자산변화율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과 부실여신비율 사이에는 예상한 바와 같이 부(-)의 상관관계, 총자산이익률과 판관비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두 변수 사이의 방향성은 예상과는 달리 플러스(+)관계, 장단기 금리의 대용치로 양도성예금증서금리(CD)와 10년물 국채금리와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 사이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과 경제성장률(GDP: gross domestic production)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축은행 영업이익률(EBIT ratio)과 총자산변화율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영업이익률과 부실여신비율 사이에는 예상한 바와 같이 부(-)의 상관관계, 영업이익률과 판관비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두 변수 사이의 방향성은 예상과는 달리 플러스(+)관계, 장단기 금리의 대용치로 양도성예금증서금리(CD)와 10년물 국채금리와 저축은행 영업이익률 사이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영업이익률과 경제성장률(GDP: gross domestic production)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ROA)과 총대출(toal loan)변화율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과 부실여신비율 사이에는 예상한 바와 같이 부(-)의 상관관계, 총자산이익률과 판관비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두 변수 사이의 방향성은 예상과는 달리 플러스(+)관계, 장단기 금리의 대용치로 양도성예금증서금리(CD)와 10년물 국채금리와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 사이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과 경제성장률(GDP: gross domestic production)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저축은행 영업이익률(EBIT ratio)과 총대출(total loan) 변화율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영업이익률과 부실여신비율 사이에는 예상한 바와 같이 부(-)의 상관관계, 영업이익률과 판관비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두 변수 사이의 방향성은 예상과는 달리 플러스(+)관계, 장단기 금리의 대용치로 양도성예금증서금리(CD)와 10년물 국채금리와 저축은행 영업이익률 사이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영업이익률과 경제성장률(GDP: gross domestic production)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다중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결과에 의하면 저축은행의 총자산(total assets)과 총대출(total loan) 변화량은 총자산이익률(ROA)에 대하여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는 총자산이익률 10% 유의 수준에서 부(-)의 영향력을 주고 있다. 부실자산비율은 저축은행의 총자산이익률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도성예금금리와 10년물 국채금리 등 장단기 금리는 저축은행의 총자산이익률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으며 예상과는 달리 경제 성장율은 저축은행의 총자산이익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의 총자산(total assets)과 총대출(total loan) 변화량은 영업이익률(EBIT ratio)에 대하여 10%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는 영업이익률에 정(+)의 영향력을 주고 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자산비율은 저축은행의 영업이익률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도성예금금리와 10년물 국채금리 등 장단기 금리는 저축은행의 영업이익률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총자산이익률 및 영업이익률에 대한 경제성장율의 영향력 관련 회귀식의 계수 값은 마이너스(-)로 예상과는 달리 경제성장율은 저축은행의 총자산이익률과 영업입익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되었던 국내 저축은행들의 수익성 결정요인을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지며 저축은행의 수익성 결정 요인 중에서 총자산 변화량, 총대출 변화량, 판관비 변화량, 장·단기금리 변화량, 경제성장률이 총자산이익률(ROA)와 영업이익률((EBIT ratio)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이들 중 내부요인인 총자산 변화량, 총대출 변화량을 증가시키는 영업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판관비 변화량의 경우 증가할 경우 수익성 악화를 예측하였으나 분석결과 통계적 유의성은 낮은 수준이나 정(+)의 관계가 나타나므로 적정 수준에서의 투입이 필요하다고 해석된다. 반면 부실여신비율은 저축은행의 수익성 결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부실여신 최소화를 위한 관리를 강화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경제성장률은 저축은행의 총자산이익률과 상관관계 분석결과 정(+)의 관계이나 다중회귀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한계점은 다중회귀분석 조사대상 자료 중 총자산이익률(ROA)과 영업이익률(EBIT rate)에 대한 총대출, 저축은행 내부 및 외부변수들의 영향력 분석시 조사자료 수집의 한계로 2000년 1/4분기 ∼ 2008년 3/4분기까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는 점과 디지털 금융으로의 금융시장 변화가 가져오는 변화된 저축은행의 경영성과 결정요인이 외부요인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향후에는 조사대상 기간의 범위를 넓혀 최근 기간의 자료를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대면화, 간편인증 등을 이용한 수익수조 다양화 등 디지털 금융시장 변화를 반영한 저축은행 경영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paper tested the determinants on business performance such as ROE(“return on equity), EBIT ratio: earnings before interest and tax ratio) and ROA(return on assets) of savings and loan institutions(“S&Ls”). The whole sample period is covere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21 on a quarter basis. These time series quarterly data is coming from financial supervisor services(“FSS”) and bank of korea(“BOK”). For the empirical test we introduc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Data are separated into two categories;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Internal variables include total asset(“TA”), total loan(“TL”), general and administration expense(“G&AE”), non-performing loan(“NPL”) and external variables are short-term(“CD”) and mid-term interest rates(“KTB”), economic growth rate (“GDP”)and stock market index like Korea stock price index(“KOSPI”). The majo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o test the influence on the ROA and EBIT, TA and G&AE, CD and KTB rates and GDP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OA but NPLs has a negative rel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o test the influence on the ROA and EBIT, TL and G&AE, CD and KTB rates and GDP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OA but NPLs has a negative relations. Third,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OA, TA and T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OA with a 5 % significant level and G&AE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ROA with a 10 % significant level. NPL and GDP have a positive impact but CD and KTB have a negative on the ROA respective witho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Fourth,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BIT, TA and T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BIT with a 10 % significant level and G&A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BIT, NPL and GDP have a positive impact, but CD and KTB have a negative on the EBIT respective witho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is paper’s empirical results are limited due to the sample data. We hope these results would be helpful for the S&Ls policy makers to set up the financial market policy.

      • POSCO 개별주식 선물시장의 가격발견 및 헤지성과에 관한 연구

        조현진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paper tested the price discovery among trading volume, open interest amount and returns of POSCO individual stock spot and futures markets. The sample period is covered from January 4, 2010 to August 30, 2019. We employed the five minutes nearby future closing data of POSCO individual stock spot and futures contracts. To test of the inter-relationship among POSCO individual stock spot and futures’ trading volume and returns, we estimate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vector auto regressive model, vector error term model and Granger causality test. The majo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estimated ADF(augmented dickey fuller) and PP(phillips-perron) model to test whether the level and returns variables of POSCO individual stock spot and futures’ price, trading volume and open interest are stationary or non-stationary. According to the ADF and PP test results, we find that the level variables are not stable with unit root but the returns or price change variables are stable without unit root. Second, we also estimated Johansen co-integration test to confirm the long-run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variables of POSCO individual stock spot and futures markets. According to the Johansen co-integration test results, there is a co-integration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variables of POSCO individual stock’s spot and futures market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Considering these results we added the error correction term into the VAR(vector auro regressive) model. Third, before estimating the Granger causality test to test the short-term information transmission among the return variables such as trading volume, price and open interest of POSCO individual stock’s spot and futures market, we estimated the vector auto regressive[VAR(5)] model.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there is a bilateral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OSCO individual spot and futures’ return variable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However, the influence from POSCO individual futures return to POSCO individual cash market’s return is more stronger than that from POSCO individual spot return to POSCO individual futures market’s return. Fourth, we also estimated the information effectiveness of trading volume and open interest of POSCO individual futures and spot market. Based on the VECM(5) we find that there is a positive information transmission from POSCO individual stock futures’ trading volume to futures returns and trading volume change of spot market. Fifth, according to the Granger causality test based on VECM(5) there is a positive bilateral inter-relationship between POSCO individual spot and futures’ return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 influence of POSCO individual stock’s futures is more dominant than that of POSCO’s individual spot returns. The trading volume of POSCO individual spot and futures has a predictive power on the POSCO individual spot and futures market’s return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Finally, we estimated the optimal hedge ratio and hedge performance of POSCO futures’ returns against POSCO spot market to cover the downside risk using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VECM(5)]. In the simple regression model,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return of POSCO individual spot market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return of POSCO individual futures market.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the optimist hedge ratio of POSCO individual futures is estimated to +0.8456. This means that in order to cover the downside risk, we have to short position of 0.8456. The hedge effectiveness of POSCO individual futures is 55.72%. On the other hand, the estimated optimistic hedge ratio is 0.9202 which is greater than that of regression analysis model. Both hedging model is a constant hedge model which do not change the hedge ratio with time varying. The optimal hedge ratio is the calculation of covariance of POSCO individual spot and futures’ return divided by variance of POSCO individual stock futures market during the whole sample period. 동 연구는 한국을 대표하는 철강업종 분야 글로벌 기업인 POSCO 개별주식선물시장이 선물시장의 경제적기능인 현물시장 가격발견기능을 적절히 수행하는지? 그리고 POSCO 현물과 선물시장사이의 변동성 전이효과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POSCO 개별주식선물이 현물시장에 대한 헤지상품으로서 적정한지 그리고 적정헤지 비율과 헤지효과는 어떠한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파생상품이 도입된 주요한 기능으로는 현물시장에 대한 미래 가격예측기능과 현물시장 가격변동 위험관리 등이 있다. 동 연구에서는 국내 철강업종을 대표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POSCO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POSCO 개별주식선물이 파생상품의 고유기능을 적절히 수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POSCO 개별주식 현물과 선물의 거래량이 POSCO 현물과 선물 수익률 및 변동성에 양방향 또는 일방향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개별주식과 주가지수를 이용한 기존 선행연구들과의 일관성 여부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동 연구의 표본은 5분별 POSCO 개별주식 현물가격, 선물가격, POSCO 개별주식 현물과 선물시장 5분별 거래량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들 자료는 한국거래소로부터 구하였다. 전체 표본기간은 2010년 1월 4일부터 2019년 8월 30일까지이다. POSCO 개별주식 거래량 정보의 유용성을 분석을 위한 대용치는 POSCO 개별주식 현물 거래량, POSCO 개별주식 선물의 거래량(trading volume) 및 미결제약정(outstanding interest)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POSCO 개별 주식선물 자료에 대한 단위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익률 자료들은 모두 안정적인 시계열로 나타났으며 POSCO 개별 주식선물과 현물가격사이에 공적분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벡터자기회귀모형[VAR(5)]을 이용하여 POSCO 개별주식 선물 수익률, 현물과 선물거래변화량 그리고 POSCO 개별주식 미결제약정변화량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POSCO 개별주식선물수익률과 현물수익률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방향적인 정(+)의 관계가 존재하며 POSCO 개별주식선물수익률이 현물수익률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POSCO 개별주식 현물거래량과 선물미결제약정 변화량은 POSCO 개별주식현물과 선물수익률에 대한 예측기능이 거의 미약하지만 POSCO 개별주식선물 거래변화량은 POSCO 개별주식 현물과 선물수익률에 대하여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OSCO 개별주식 현물과 선물수준변수 사이의 공적분 관계를 고려하여 벡터오차수정모형[VECM(5)]을 이용하여 POSCO 개별주식 현물과 선물수익률, 현물과 선물 거래변화량, 선물미결제 약정 변화량 사이의 단기적인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OSCO 개별주식 현물수익률과 선물수익률사이에는 양방향적인 음(-)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POSCO 개별주식 현물수익률은 현물과 선물거래변화량에 대해서는 음(-)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랜즈(Granger) 인과관계분석결과에 의하면 POSCO 개별주식 선물 수익률과 현물수익률사이에는 양방향적인 정(+)의 인과관계가 존재하고 있으나 POSCO 개별주식선물의 현물에 대한 영향력이 POSCO 개별주식 현물의 선물에 대한 영향력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POSCO 개별주식 현물과 선물 거래변화량은 POSCO 개별주식 현물과 선물수익률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측력을 지니고 있으나 POSCO 개별주식 선물거래 변화량의 현물거래변화량보다 POSCO 개별주식 현물과 선물수익률에 대한 영향력이 더 강한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POSCO 개별주식 선물거래변화량은 POSCO 개별주식 현물수익률과 선물수익률에 대한 영향력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과 벡터자기회귀모형[VECM(5)]을 이용하여 POSCO 개별주식 선물수익률의 POSCO 개별주식 현물수익률에 대한 헤지 비율과 헤지효율성을 분석해 보았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POSCO 개별주식의 적정헤지 비율을 추정한 결과 POSCO 개별주식 선물의 적정헤지 비율은 +0.8456으로 추정되었으며 전체 분석기간 동안 회귀분석을 이용하는 경우 POSCO 개별주식선물의 현물시장 가격변동 리스크 헤징관련 헤지효율성은 55.72%로 추정되었다. 벡터오차수정모형[VECM(5)]을 이용하여 POSCO 개별주식 선물의 적정 헤지비율을 추정해 보았으며 적정헤지 비율은 VECM(5) 모형 추정 후 POSCO 개별주식 현물수익률과 선물수익률사이의 공분산(0.0000051)을 POSCO 개별주식 선물수익률의 분산(0.0000055)으로 나눈 값이며 0.9202로 추정되었다. VECM(5) 모형에 의한 POSCO 개별주식선물의 최적헤지 비율(0.9202)은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POSCO 개별주식선물의 적정헤지 비율 0.8456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부터 POSCO 개별 주식선물이 현물시장에 대한 파생상품의 고유기능인 미래가격발견기능과 헤지기능을 적절히 수행하고 있음을 추론해 볼 수 있으나 동 연구의 한계점으로 ARCH, GARCH류 등 시간변동모형을 이용하여 POSCO 개별주식선물의 현물시장 가격변동위험 헤지는 추후 연구과제로 남기기로 한다.

      • 통화선물시장과 금리선물시장의 시장효율성에 관한 연구

        서선호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동 연구는 달러 현·선물시장과 국채 현·선물시장간의 대칭적·비대칭적 정보전달메커니즘과 시장효율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2년 1월 4일부터 2009년 2월 6일까지 한국 거래소에 상장된 대표적인 통화선물상품인 최근월물 달러선물과 기초자산인 달러현물가격과 금리선물의 대표적인 상품인 3년물 최근월물 국채선물과 그의 기초자산인 국채현물가격 자료를 이용하였다. 주요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Granger인과관계분석결과 채권과 외환시장 선물시장사이보다는 현물시장사이의 상호의존성이 더 강하게 의존성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각 달러 및 국채 현·선물시장사이에는 피드백적인 가격발견기능이 존재하고 있으며, 선물시장의 영향력이 현물시장대비 상대적으로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반응함수 및 분산분해분석결과에서도 국채 현·선물시장의 달러 현·선물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그 반대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하고 지속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GJR-GARCH(1,1)-M 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달러선물시장과 국채선물시장에서는 조건부평균이전효과가 존재하고 있으며, 달러선물시장과 국채선물시장은 각 시장에서 발생한 호재(good news)보다는 악재(bad news)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정보의 비대칭적인 특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달러 현·선물시장과 국채 현·선물시장간의 정보이전효과 및 변동성의 비대칭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는 투자자들의 투자전략수립, 위험관리전략수립, 현물 및 선물 등 자본자산가격결정 등에 다소 나마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This article has investigated the symmetric and asymmetric information transmission mechanism among Won/Dollar spot and futures market and 3 years' KTB spot and futures markets using the daily closing prices covered from January 4, 2002 to February 6, 2009. For this purpose we employed dynamic time series models such as the Granger causality, impulse response, variance decomposition based on VECM to test a asymmetric effects of information in currency and interest futures markets.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 interdependence between KTB spot and Won/Dollar spot markets is relatively greater than that between futures markets. Second, the KTB and Won/Dollars futures markets have an significant prediction power on the changes of spot markets and vice versa. However, each futures' influence is dominant to the change of cash market at a significant level statistically. Third, we also find that Won/Dollar and KTB futures market are more sensitive to the bad news than to the good news taken placed in the capital markets These kinds of empirical results shows that the Won/Dollar and KTB futures markets are inefficient to the information. This results will be informative for the investors to set their investment and risk management strategies, etc.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방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 : 해군 함정 및 잠수함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수준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의 방위산업은 70년대 이후 다양한 위험요소와 위기에도 불구하고 꾸준하게 성장해왔다. 국방부에 따르면 2021년 국방예산이 52.9조원으로 2017년의 40.3조원에 비해 31.3% 증가하였다고 발표하였다. 국방기술품질원에 따르면 2018년 국방과학기술 수준이 주요 16개국 중 9위로 상위권을 유지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방위산업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꾸준히 성장해 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정보와 IT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방위산업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도래하였다. 방위산업은 수요가 한정되어 있고, 회수기간이 긴 특성을 고려하여 ‘방위사업법’을 제정하여 방산물자를 생산하는 방산업체의 수의계약을 보장하였고, 방산물자 원가규정을 통해 실질적인 발생원가를 보상하는 등 계약 및 원가제도상의 특례를 허용하였다. 이후 40년간 방위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나 독과점 공급 구조를 심화시키면서 경쟁이 제한되는 시장구조를 갖게 되었다. 이에 방산업체와 유관기관들간의 트러블이 발생하기도 하고, 적정 비용의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어려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하였으며, 방위산업 계약이 특혜로 변질되어 방산비리의 원인으로 지적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계약수행을 위해 다양한 계약형태를 만들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해군 함정 및 잠수함의 사례를 통해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방법을 비교해 보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Korea's defense industry has grown steadily despite various risk factors and crises since the 1970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defense budget for 2021 was 52.9 trillion won, an increase of 31.3% compared to 40.3 trillion won in 2017. According to the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the level of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8 maintained the high rank of 9th out of 16 major countrie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Korea's defense industry has been steadily growing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addition,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IT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new paradigm in the defense industry has arrived. In the defense industry, considering the limited demand and long payback period, the 'Defense Business Act' was enacted to guarantee private contracts for defense companies producing defense materials, and compensation for actual costs incurred through the defense material resource regulation exceptions to the contract and cost system were allowed. Over the next 40 years, the defense industry made rapid progress, but the monopoly and oligopoly supply structure deepened, resulting in a market structure in which competition was restricted. As a result, troubles occurred between defense compan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and difficulties such as not being compensated for appropriate costs occurred. Considering these problems, various contract types have been created for efficient contract execution. In this study, through the examples of naval ships and submarines, we compare contract methods with the state as a party, and present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 기술창업 성공을 위한 창업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김민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지속적 경기 침체와 저조한 고용의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경제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국가 경제 질적 성장을 유도 가능케 하는 경제 주체로 중소기업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정부는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 예비창업자를 육성하고 창업을 장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 관한 관심이 대기업에서 창업기업 중심으로 변하는 현상과 창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경남지역의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창업자의 정보와 애로사항, 자금조달 방법 등의 실태조사를 하였다. 경남지역의 창업기업 실태조사를 통해 경남지역의 창업 정책에 대한 수요자의 애로를 파악하여 경남지역의 기술창업 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창업진흥원의 “한눈에 보는 창업 동향” 자료와 도내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367개에 대한 설문조사(2019년 6월)를 기반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단기정책으로 첫째, 비대면 방식의 창업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하고, 둘째, 기업의 생애 전 단계 성장단계별 맞춤식 경남형 창업 트랙 구축과 고도화가 필요하며, 셋째, 온/오프라인 국내 판로개척 지원시스템과 글로벌 창업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하며, 인력난 문제 해소를 위한 청년-스타트업 인력지원 매칭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 중기정책으로 첫째, 경남형 컨트롤 타워와 창업 지원기관의 집적화가 필요하고, 둘째, 경남지역의 Post-BI 공간 마련이 필요하며, 셋째, 경남창조혁신센터 서부센터 기능의 확대가 필요하고, 넷째,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인력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장기정책으로 첫째, 도내 대기업, 공공기관과 스타트업과의 연계 협력사업 강화를 위한 경남도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하며, 둘째, 경남 액셀러레이터 확대와 독자적 창업 투자 지원기관 확충과 고도화가 필요하며, 셋째, 퇴직자 및 고숙련 기술자 등의 창업 연계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고, 넷째, 도내 창업지원 기관들의 연계 프로그램 추진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경남지역 기술 창업기업의 성공을 위한 정책지원에 대한 여러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분석 범위를 경남 도내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면서 특정 시점 기준으로 한정된 데이터를 이용한 부분이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추가적 분석 기간 연장을 통해 더 명확한 기술창업의 성공과 정책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A great deal of attention to the major business entity to cope with the continuous economic recession and the low level of employment rate has been increased the role of small and mediums enterprises(“SMEs”). Korean government facilitate pre-startups and develop post startups as the policy to vitalize the startups. This paper studied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basis information, general predicament and the method of raising funds of startups in the business incubation centers of Gyeongsangnam-do Province. We also investigated the changing trend on the recognition to startups as well as the changing attention to startups from big companies. From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startups, we understand the bottleneck problems of the potential startups on the startup supporting policy by Gyeongsangnam-do and give any policy implic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startup programs. Our study is based on the startup develop institutes’s “startup trend at a glance” and the survey materials by the 367 companies which is moved into the business incubator centers of Gyeongsangnam-do Province as of June, 2019.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 short-term policy, First, we think a startup supporting system based on the on-line method is necessary. Second, Gyeongsangnam-do startup track based on the companies’ life cycle and growth stage should be developed and advanced. Third, to set up a new local on/off line supporting system and a global startup supporting system to cultivate a new market is needed. To solve the human resources shortag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young-startup personel matching program. As the mid-term policy, First, Gyeongsangnam-do’s control tower and startup supporting institutes’ cluster are necessary. Second, a Post-BI system in Gyeongsangnam-do Province should be built up. Third, the function of CCEI’s west center must be expanded. Fourth, a human resources’ restructuring of the CCEI is required. As the long-term policy, First, Gyeongsangnam-do’s role and leadership to build up the cooperative projects among big private company, public company and startup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the expansion of Gyeongsangnam-do’s accelerator and the scale-up of the independent startup investment supporting institution are necessary. Third, the operation of a startup cooperative program with retired and high level engineers is required. Fourth, the startup aiding program among the Gyeongsangnam-do’s startup supporting institutes should be implemented.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olicy ideas for the success of technology startup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in the usage of Gyeongsangnam-do BI companies data at a specific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ample period and companies in order to give a concrete policy implication for the success of technology startups in the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