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국내 전개 특징 및 영향 분석

        홍지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foreign luxury jewelry brands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the Liberation in 1945 to 2013, and suggested tasks to be done for the Korean jewelry industry to attain high added value and achieve qualitative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discussing the historical concept of luxury an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rategies of the luxury industry, a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of the luxury industry was making its products as cultural products. Another important driving force was coping with the trends of time sensitively.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foreign luxury jewelry brands in Korea and its characteristics, luxury jewelry brands had already been recognized highly and demand for them had already been among high income earners even before the official advance of the brands. The development process of luxury jewelry brands in Korea is largely divided into the recognition period, inflow period, and growth period. At the recognition period from 1945 to 1983, luxury jewelry brands were not officially imported to Korea, but such brands were recognized through related articles and advertisements, smuggling, and reports on travelers’ belongings. In the inflow period from 1984 to 1995, Cartier, Tiffany & Co., and Bvlgari were imported officially to Korea through import firms in 1984, 1991, and 1993, respectively. In the growth period from 1996 to 2013, Tiffany & Co. advanced to Korea directly by opening a Korean local corporation in 1996, and this was followed by the direct advances of other branches. As they laid the ground in Korea, they began to grow a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development of luxury jewelry brands are as follows. Tiffany & Co. earned the highest effect of indirect advertisement from movie ‘Breakfast at Tiffany’s’ and the expression ‘Korean Tiffany’ was used before the official import of the brand. In this way, it was settled as a successful brand representing the jewelry industry. In addition to domestic demand, the purchasing power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also contributed to the sales in Korea, and luxury jewelry brands enjoyed rapid growth thanks to the active attraction and promotion strategies of department stores, important distribution channels in the Korean high‐end market. Third, as a result, luxury jewelry brands stimulated discourses on the artistry of jewelry in Korea, and transformed people’s tendencies in the purchase of wedding gifts. Luxury jewelry brands promoted the artification of their products by enhancing accessibility mainly through utilizing events and by uplifting brand value to a higher position. This stimulated discourses on the artistry of jewelry even further in the domestic market. By leading trends while staying faithful to history, moreover, they steadily modernized traditions. Through these efforts, they captured young generations’ eyes, and strengthened people’s preference for luxury jewelry and watch as wedding gif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 presented above, the following tasks should be done for the Korean jewelry industry to attain high added value and to achieve qualitative growth. The government should change its perception of the jewelry industry as a 21st‐century high‐value‐added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 and support its growth. The first stage of the effort is activating the jewelry industry by abolishing the excessive individual consumption tax. In addition, the press should abstain from using indiscreet words, articles stimulating people’s interest, and biased reports. Moreover, the Korean jewelry industry should remember that high added values are created when jewelry is sublimed into artistic objects with cultural traditions, and establish a clear and unique aesthetic direction. This requires humanistic approaches to history and traditions, and arts should be utilized as a driving force of creation and innovation throughout corporate culture. Not only inside but also outside of the industry,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sublime jewelry into culture by activating customer education, book publishing, and jewelry culture programs. This study has meanings as follows. First, it explored the particularities and background of the domestic jewelry market for the success of foreign luxury jewelry brands by reviewing historically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luxury jewelry brands in Korea from the Liberation to 2013 and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Second, this study built a theoretical frame of research in related areas by suggesting models explaining the strategies of luxury jewelry brands and their influences on the domestic jewelry market.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reference criteria for the Korean jewelry industry to create high added values. Genuine luxury works as a driving force exalting the delight of life through noble aesthetic experiences and culture. The core of luxury is the actualization of human dreams. In the domestic market that has become a test bed and arena of competition for global jewelry brands, the Korean jewelry industry is standing at crossroads. It is on the point of inflection between continuous growth through overcoming difficulties and creating high added value or dismissal from the arena of compet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momentum of growth so that new luxury jewelry brands may be born of Korean traditions and culture. 본 연구는 1945년 광복이후부터 2013년까지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국내 전개 과정과 특징,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주얼리 산업이 고부가가치를 실현하고 질적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럭셔리의 역사적 개념과 럭셔리 산업으로의 발전과정 및 전략을 고찰한 결과 럭셔리 산업의 성장 동력은 제품을 문화적 산물로 만든 것이었다. 또한 시대적 흐름에 민첩하게 대응한 것도 중요한 동력이었다. 둘째,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국내 전개 과정과 특징을 검토한 결과 공식 진출하기 전부터 상당한 인지도와 소득증가에 따른 수요가 형성되어 있었다.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국내 전개 과정은 인식기와 유입기, 성장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인식기는 1945년부터 1983년으로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가 국내에 정식 수입되지 않았지만 관련 기사와 광고, 밀수, 여행자 휴대품에 대한 보도로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었다. 유입기는 1984년부터 1995년으로 1984년 「까르띠에」, 1991년 「티파니」, 1993년 「불가리」가 수입 상사를 통해 국내에 공식 수입되었다. 성장기는 1996년부터 2013년으로 1996년 「티파니」가 한국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직진출하였으며, 이후 다른 브랜드들의 직진출도 이어지면서 국내 기반을 구축하고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국내 전개 특징은 다음과 같다. 「티파니」는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로 인해 가장 높은 간접홍보효과를 누렸으며, 공식 수입되기 전부터 ‘한국의 티파니’라는 표현이 사용되어 성공한 주얼리 업체를 대표하는 이름으로 자리 잡았다. 내수에 더해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의 구매력도 국내 매출을 견인하였으며, 한국 하이엔드 시장의 중요한 유통채널인 백화점의 적극적 유치와 판촉 전략으로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는 고속성장 할 수 있었다. 셋째, 그 결과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는 국내에서 주얼리의 예술성에 대한 담론을 촉진시키고 결혼 예물 구매 성향을 변화시켰다.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는 주로 이벤트를 활용해 접근성을 높이면서 브랜드의 가치를 더 높은 지위로 끌어 올림으로써 제품을 예술화하였다. 이로 인해 국내 시장에서 주얼리의 예술성에 대한 담론이 촉진되었다. 또한 역사에 충실하면서도 트렌드를 선도함으로써 전통을 지속적으로 현대화시켰다. 이를 통해 젊은 세대의 관심을 사로잡았고 결혼 예물로 럭셔리 주얼리와 시계를 선호하는 성향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한국 주얼리 산업계가 고부가가치를 실현하고 질적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선행되어야 한다. 정부는 주얼리 산업을 21세기형 고부가가치 문화창조산업으로 인식을 전환하고 육성해야 한다. 그 첫 단계는 과도하게 부과하고 있는 개별소비세를 폐지해 주얼리 산업을 양성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언론은 무분별한 용어 사용과 흥미 자극성 기사, 편향적 보도를 자제해야 한다. 또한 한국 주얼리 산업계는 주얼리를 문화적 전통을 지닌 예술적 오브제로 승화시킬 때 고부가가치가 창출되는 것임을 인식하고 고유의 미적 방향성을 확실하게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역사와 전통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예술을 창조와 혁신의 동력으로 활용하여 기업 문화 전반으로 확대시켜야 한다. 그리고 산업계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적으로도 고객 교육과 서적 출판, 주얼리 문화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주얼리를 문화로 승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광복 이후부터 2013년까지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국내 전개 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특징을 도출함으로써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가 성공할 수 있었던 국내 여건의 특수성과 배경을 근원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전략과 이로 인한 국내 주얼리 시장에 미친 영향을 모델로 제시함으로써 유관 분야의 연구에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한국 주얼리 산업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이론적, 실무적 준거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진정한 럭셔리는 수준 높은 미적 체험과 문화를 통해 삶의 기쁨을 고양하는 동력으로 작용한다. 럭셔리의 핵심은 인간의 꿈을 현실화시켜 주는 것이다. 전 세계 글로벌 주얼리 브랜드의 테스트 베드이자 각축장이 된 국내 시장에서 한국 주얼리 산업은 중요한 기로에 서있다. 난관을 극복하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할지 도태될 것인지를 가르는 변곡점에 서 있다. 본 연구가 성장의 모멘텀으로 활용되어 한국의 전통과 문화를 기반으로 한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가 탄생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

      • 「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에 나타난 조선후기 동가 복식

        구영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lothes of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King Gojong’s Excursion on a Royal Carriage, focusing on“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大韓帝國動駕圖)(Housed in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Neither the Emperor’s royal robe nor the guards’ Western military uniforms appear in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which must be in the picture if it were drawn during the Korean Empire as shown by its title. Thu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just the title,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was put to meet the period when it was drawn, though several previous excursions on a royal carriage were comprehensively drawn.“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is a picture of King Gojong’s excursion on a royal carriage, in which the titles of the characters’ office, the names of ritual objects, and the ink writings of the descriptions of the scenes, the costumes and transportation of the characters, and ritual objects are drawn in detail. Thus, it is a precious resource for investigating King Gojong’s excursions on a royal carriage. Through the book of ritual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ules about Nobu(鹵簿)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procedures in Dongga(動駕), and rules regarding the participants’costumes according to the procedures. Then it examines the costumes by each social statu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specified in law books to analyze the characters’costumes in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In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the king appears in Ikseongwan, Gonryongpo, and military uniform. The royal family except for the Minister of Interior and Dangsanggwan(堂上官) of the second rank or higher put on in Damhongpo(淡紅袍) with Chamyeonseon(遮面扇) while Dangsanggwan in the senior grade of the third rank and Danghagwan(堂下官) put on Hyeonroksaekpo(玄綠色袍) to which a rank badge is attached. The guards put on Yungbok(戎服), Gunbok(軍服), and Gapju(甲冑), most of whom put on Gunbok. Guards of Geumguncheong(禁軍廳) put on white lining(Anolim) of Jeonlib(戰笠) and a white belt, different from the other soldiers. As for the military uniform, when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the reign of King Gojong were compared, the top of the hat became rounder and the brim of the hat became narrower as time went by, while the length of the belt became longer. In addition, the red part of the sleeves of Hyeobsu(挾袖) tended to become longer. Noksa(錄事) was a low-rank official but put on Osamo(烏紗帽) and Heukgakdae(黑角帶) in Hyeonrokpo to which a rank badge was attached if he had a rank. Seori(書吏) put on Joadae(絛兒帶) in Danryeong(團領) and Mugakpyeonjeongeon(無角平項巾) called ‘Parimokgwan(파리목관)’. Jibri(執吏) put on Jikryeong(直領) or Danryeong. Saryeong(使令) wore Sochangeui(小氅衣), Cheollik(天翼) or put on military uniforms consisting of Hyeobsu, Gwaeja(褂子), Jeondae(戰帶), and Jeonlib according to the unit. They put on military uniforms for ordinary affairs and military affairs simultaneously, and their unit was differentiated by the Anolim color of Jeonlib. Byeolgam(別監) wore Hongjikryeong(紅直領), put on Jageon(紫巾) in the city and Hwangcholib(黃草笠) outside the city. It seems that Junggeum(中笒) wore Jajeokjikryeong(紫的直領) and put on Honggeon(紅巾) and Tohwan(吐環) on the belt. Najang(羅將) wore Cheongbanbieui(靑半臂衣) with Jogeon(皂巾). Assuming from the paintings and relics, it seems that there were two types of Najang’s Banbieui, the shape of the shorter front and the shape of the same front and back. Galdo(喝導) put on Jogeon in Damjusaek(淡朱色) Banbieui. For the guards, according to the unit, Ochogun-Posu(五哨軍砲手)wore Bangsaek(方色) Hoeui(號衣) and Mabyeong(馬兵) put on Jeonu(轉羽) in the same color as that of Bangsaek Flag on the top of Jeonlib. Muyebyeolgam(武藝別監) put on Jasaek-gunbok with Jeonlib. Gunloe(軍牢) put on Hyeobsu, Hoeui, and Jeonlib, with a different hat according to the instruments of torture they were holding. Sunryeongsu(巡令手) and Daegisu(大旗手) wore Hyeobsu and Hoeui and put on Jeongeon and a sword. Gunjanggunsa(近仗軍士) and Podogunsa(捕盜軍士) put on Acheongsaek(鴉靑色) Goeja and Namjeondae, and Geunjanggunsa put on a leather whip, and Podogunsa put on a rope. Hyeopyeongun(挾輦軍) put on Hyeobsu with Honghoeui, and Jungangposu(中央砲手) wore Hwanghoeui and put on Jeongeon. Giyegunin(騎藝軍人) wore Hoeui and put on a similar hat to Gunroebokdagi(군뢰복다기). Chwigosu(吹鼓手) wore Heukhyeobsu and Hwanghoeui and put on Jeonlib and a sword, and Gyeomnachwi(兼內吹) put on Hwangcholib with Hosu(虎鬚) hanging on it and Namjeondae in Hwangeui. Jangakwon-Akgong(掌樂院樂工) put on Hwahwabokdu(花畵幞頭) with flowers drawn on it, Hongjueui(紅紬衣), and Ojeongdae(烏鞓帶), while Jeonak(典樂) put on Nokchosam(綠綃衫) and Eunyadae(銀也帶). Euijanggun(儀仗軍) put on Honggeon(紅巾) in Hongeui, and Gyeonmabae(牽馬陪) put on Hwangeui or Cheongeui in Hwangcholib. Gujong(驅從) following Dangsanggwan of the second rank or higher, carrying Gwanbokham put on Jeonlib or a unique hat in Heukhyeobsu, and Tongin(通引) wore Dopo(道袍) in Hwangcholib.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costumes of various characters in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they used costumes and transportation for their social status according to the norms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which became the momentum to verify the costumes and transportation of people of various social positions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in the literature visually. However, according to the norms, Munmubaekgwan(文武百官) participating in Dongga should wear Yungbok for Dongga outside the city, and they should wear Hyeonroksaekpo, which is Sangbok(常服) to which a rank badge is attached if they had to wear Danryeong for the purpose of Dongga. However, Dangsanggwan in the senior grade of the third rank and Danghagwan in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wear Hyeonrokpo, which is Sangbok with Samo(紗帽) to which a rank badge is attached, while the royal family and Dangsanggwan of the second rank or higher wear Sibok(時服) in Damhong color. Thus, it seems that Dangsanggwan of the second rank or higher wore Damhongpo since they wanted themselves to be revealed as Dangsanggwan from a distance during the events like Dongga, but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a further study of this in the future. Like King Jeongjo’s Excursion to Suwon Hwaseong Fortress[수원화성행차], which is already used as various contents, hopefu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so be utilized for developing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king’s excursions on a royal carriage during the era of King Gojong. 이 논문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에 묘사된 고종 연간의 동가 행차 시 참여 인물들의 복식에 대해 고찰한 연구이다. 「대한제국동가도」는 고종의 동가 행렬을 그린 그림으로 제목처럼 이 그림의 시대가‘대한제국’이라면 나타나야 할 황제의 황룡포나 호위군의 서양군복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이전에 있었던 여러 동가 행렬을 종합해 그려, 제목만 그린 시기에 맞추어 「대한제국동가도」라고 붙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 동가도에는 인물의 관직명, 의장(儀仗)명, 장면 설명의 묵서가 있고, 등장인물의 복식과 이동수단, 의장들이 세밀하게 그려져 있어 고종 연간 동가 행렬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대한제국동가도」 속 인물들의 복식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 전례서를 통해 조선시대 노부(鹵簿) 규정과 동가 시 행하는 절차, 참여자의 복식 규정을 살펴보고, 법전에 명시된 조선시대 신분별 복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한제국동가도」 속 왕은 익선관과 곤룡포, 군복을 입고 등장한다. 이조판서를 제외한 종친과 2품 이상은 담홍포를 입고 차면선을 들고 있고, 3품 이하는 흉배가 부착된 현록색 포를 입고 있다. 호위관원들은 융복, 군복, 갑주차림인데, 대부분이 군복차림이고, 금군청의 경우 전립의 백색 안올림, 백색 전대를 하여 다른 군과 차별화를 두었다. 군복의 경우 정조와 고종 연간을 비교하면 후대로 갈수록 전립의 모정은 둥글어지고 양태는 좁아졌으며, 전대의 길이는 길어졌다. 또 협수 소매의 붉은 색이 차지하는 부분은 점점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녹사는 하급관리이지만 품계가 있으면 흉배가 부착된 현록색 포에 오사모, 흑각대 차림을 하였다. 서리는 단령에 조아를 하고 ‘파리목관’이라고 불리는 무각평전건을 쓰고 있다. 집리는 직령 또는 단령을 입었다. 사령들은 소속에 따라 소창의, 철릭을 입거나 협수・괘자・전대・전립으로 이루어진 군복을 입었다. 군복을 입을 경우는 평시・군제업무에 동시에 입기 위함이었고, 전립의 안올림색으로 소속을 구분하였다. 별감은 홍직령을 입고 자건 또는 황초립을 썼고, 중금은 자색직령에 홍건을 썼다. 나장은 조건에 청반비의를 입었다. 나장의 반비의는 회화와 전세유물로 미루어 보아 앞길이 짧은 형태와 앞뒤 길이가 같은 형태가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갈도는 담주색 반비의에 조건을 썼다. 호위하는 사람들로 훈련영마병은 전립 모정에 방색기와 같은 색 전우를 달고, 오초군 포수, 순령수, 대기수, 협연군, 중앙포수는 전건을 쓰고 협수에 호의를 입고 칼을 찼다. 무예별감은 자색 군복을, 군뢰는 협수에 호의를 입었으며 들고 있는 형구에 따라 모자가 달랐다. 군장군사와 포도군사는 아청색 괘자와 남전대를 착용하였고, 근장군사는 가죽 채찍을, 포도군사는 허리에 포승줄을 찼다. 기예군인은 호의를 입고 군뢰복다기와 유사한 모자를 썼다. 취고수는 흑협수와 황호의를 입고 전립을 쓰고 칼을 찼으며, 겸내취는 호수가 달린 황초립을 쓰고, 황의에 남전대를 하였다. 장악원의 악공은 꽃이 그려진 화화복두, 홍주의, 오정대를 하였고, 전악은 녹초삼, 은야대를 하였다. 의장군과 어연배는 홍의에 홍건을, 견마배는 황초립에 황의나 청의를 입었다. 안롱과 호상을 든 하례는 사령과 같은 복색을 하였다. 관복함을 메고 2품 이상 당상관을 따라가는 구종과 말구종은 흑협수에 전립을 썼으며, 통인은 황초립에 도포를 입었다. 「대한제국동가도」속 다양한 인물들의 복식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고종 시대의 규범에 따라 각자 신분에 맞는 차림과 이동수단을 이용하였음을 알 수 있어, 문헌에 나오는 고종 연간의 다양한 신분의 복식과 이동수단에 대해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동가에 참여하는 문무백관은 도성 외 동가라면 모두 융복을 입어야 하고, 만약 동가의 목적상 단령을 입어야 한다면 모두 흉배가 부착된 상복인 현록색 포를 입어야 하는 것이 규정이다. 그러나 「대한제국동가도」속 3품 이하는 사모에 흉배가 부착된 상복인 현록색 포를 입고 있는 반면 종친과 2품 이상은 담홍색인 시복을 입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이는 2품 이상 당상관들이 멀리서 보아도 당상관이라는 것이 드러나기를 원해 담홍포를 입었을 것으로 보이나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다. 이미 다양한 콘텐츠로 사용되고 있는 정조의 수원 화성 행차와 같이 본 연구 결과도 대한제국 이전 고종의 동가 행렬 재현이나 각종 문화 콘텐츠 개발에 활용되기를 바란다.

      • 한국 전통 신발을 응용한 화(靴) 디자인 개발

        사민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신발에서 모티프를 얻어 여성용 화(靴)의 디자인을 개발하여 제안한 것이다. 최근 10여 년 전부터 생활한복, 퓨전 한복에 이어 신한복, 고궁 한복체험 등 우리 옷과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사회, 문화적으로 높아져 왔다. 의복에서는 전통을 되살려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옷과 함께 착용 되는 신발은 관심의 대상에서 제외되어왔다. 하지만 우리 옷을 바르게 체험하고 멋스럽게 입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디자인의 신발이 요구됨에 따라 전통 신발을 모티프로 한 새로운 신발의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조선 말기에서 20세기 전반의 유물을 중심으로 여러 종류의 전통 신발의 명칭과 특징을 조사하였고, 이 중 혜(鞋)와 화(靴)의 조형미를 탐구하여 디자인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판매되고 있는 전통 신발의 판매 업체, 상품의 종류, 착용 현황 등을 파악하여 현재 전통 신발이 가진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시장조사 결과 당혜, 태사혜 등 신목이 없는 신인 혜(鞋)를 응용한 신발은 이미 상품화가 많이 진행되어 있었다. 하지만 그 외의 전통 신발에 대한 응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부츠 형태의 화는 혜와는 다른 디자인적 가치가 있는 신발 범주로서, 그 패션성, 기능성이 뛰어난 신발이다. 이에 연구자는 여러 차례의 과정을 통해 신목이 올라온 화(靴) 형태의 신발 5건을 디자인한 후 실물 제작하였다. 목화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되 당혜, 태사혜 등의 문양과 색상에서 모티프를 얻어 디자인에 활용하였다. 작품 제작은 수제화 제작 방식으로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였고 소재는 천연가죽에 크롬 처리와 엠보 처리 등 다양한 가공이 된 가죽을 선택하였다. 고대로부터 오랜 시간 동안 신발의 재료로 애용되어온 가죽은 견고함, 편안함, 통풍성 등 기능성이 뛰어나며 시각적으로도 아름답고 고급스러워 신발에 적합한 소재이다. 작품을 제작할 때 착화감을 높이기 위해 소재 선정, 패턴 개발, 아치 쿠션 활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였다. 전통 신발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한 이번 작품은 한복에 어울리는 신발을 만드는 것을 첫 번째 목표로 하였으며, 양장에도 충분히 어울릴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의복과 매치하기 쉽고 착화감이 우수한 신발을 통해 대중에게 전통 신발의 존재와 가치를 인식시켜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복식의 다양한 변주에 맞추어 전통 신발도 변화가 필요하며, 관심을 가지고 응용해 볼 여지가 충분히 있는 분야이다. 이번 연구가 앞으로 전통복식 디자인이 지향할 방향성 제시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developed and proposed ladies’ boots (Hwa), getting motifs from Korean traditional shoes. From 10 years ago, social interests in Korean clothes and designs have socially and culturally increased, e.g., Daily Hanbok, fusion Hanbok and ancient palace Hanbok experience. The various attempts are made to revive and utilize the traditions in clothes while shoes, put on with the clothes have been excluded from interest. However, as it would be necessary to produce shoes in the right designs for them in order to experience and put on Korean clothes right and stylish, this study proposed the designs of new shoes with the traditional shoes as motifs. This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study and empirical study in parallel.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names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kinds of traditional shoes, centering around the relic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early 20th century and explored and would reflect the formative aesthetics of Hye and boots (Hwa) in the design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ought problems with the present traditional shoes and solution, understanding the sellers of the traditional shoes currently selling, the types of products, and the status of wearing. As a result of market research, many studies have already been conducted on the commercialization of shoes, applying Hye, shoes with a low topline like Danghye and Taesahye. However, only a few other traditional shoes have been applied yet. Hwa in the form of boots is a category of shoes having a design value different from Hye and has excellent fashionability and functionality. Thus, the researcher produced five pairs of shoes in the shape of boots (Hwa) with a high topline through several processes. Based on the structure of Mokhwa, men’s boots, the researcher got motifs from the pattern and color of Donghye and Taesahye and utilized them in design. The researcher directly produced the works with a handmade shoe production method and as a material, the researcher chose the natural leather processed with chrome tanning and embossing in various ways. The leather that has been used as a shoe material for a long time from ancient times is excellent in functionalities, such as solidity, comfort, and breathability and visually beautiful and luxurious, so it is a material suitable for shoes. To improve the feeling when one puts them on, the researcher took into consideration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selection of materials, the development of patterns, and the utilization of an arch cushion in producing them. These works designed, getting inspiration from the traditional shoes took the production of the shoes suitable for Hanbok as the first goal, and they were developed so that they would suit well to Western-style clothes. It is expected that through easy to suit the clothes and shoes with excellent feel of wearing, it will be an opportunity for the public to recognize the existence and value of the traditional shoes. The traditional shoes need changes, and the shoe industry is a field that leaves room to apply to various variations of costume with interest. Hopefully, this study will help present a direction in which the traditional costume design would aim in the future.

      • 20세기 전반 운동화(運動靴)에 관한 연구

        최수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discussed sports shoes worn in South Korea between the 1900s and 1945 when Western sports were introduced in earnest after the port opening of Korea.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time and process of the entry of sports shoes into Korea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changes in sports shoes by period. This study referred to articles and advertisements of photo materials of the time, Dong-A Ilbo and Chosun Ilbo.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ports shoes were inven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est presumably in the mid-19th century. At the time, various sports were developed as the wealthy class and leisure activities emerged, the shoes used in croquet and lawn tennis seem to be the beginning of sports shoes. Shoes for croquet were in a rubber overshoe shape in the early period, and it seems that they were developed into the shapes of modern sports shoes. Western sports were also introduced in Korea as Western culture came in with the opening of its ports in 1876. It is assumed that as for the beginning of sports shoes in Korea, they were worn in soccer and baseball games, and later, sports shoes were developed. As materials of sports shoes in Korea, leather, rubber, and fabric, etc. were used. The types of sports shoe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general sports shoes worn in daily activities other than games and professional sports shoes worn in limited situations like professional matches. To examine the sports shoes worn in Korea by period, until the 1910s, only very few players wore imported sports shoes, and the imported sports shoes do not seem professional shoes for each event. Most wore traditional shoes like Jip-sin(straw shoes). Later, since the 1920s, sports shoes were worn in earnest, as they were gradually known to the public. sports shoes were manufactured in Korea as well, which took various forms. As sports shoes were worn in daily life other than sports, they were developed at a fast speed. Most professional sports shoes were similar to Western sports shoes, which were advertised in various forms. In the 20s, people’s interest in sports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ports seem to have great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sports shoes. During the period, the differentiation between general sports shoes and professional sports shoes became clearer and both shoes were significantly developed. The flow of changes in sports shoes in the 1930s-1940s is changed because of a war basis in the 1930s. From 1930 through 1936, the wearers of sports shoes other than players were mostly students. In the 30s, as new shoe styles appeared, women’s interest in shoes was concentrated on dress shoes. On the other hand, as some schools designated black sports shoes and white sports shoes as their school shoes, more students came to wear sports shoes. Compared to the 1920s, the wearers or shapes of the sports shoes were relatively standardized. Since 1937, due to the wartime regime, the use of rubber and leather was restricted, and accordingly, there was a great impact on the production and wearing of sports shoes. Gradually, wearing sports shoes was discontinued, and Jip-sin(straw shoes), and geta(Japanese wooden slippers) replaced them, or barefoot was recommended. As this situation continued, in 1940, a solution to the supply of sports shoes was presented as well. People, mostly students, resolved the problem of the supply of sports shoes little by little, but it is assumed that sports shoes were not developed as much as in the early/mid-20s and-30s. Like this, sports shoes that were developed rapidly in the 1920s were standardized in the wearers or forms since the 1930s, and in the late-30s, that slowed down due to the social situation. It is assumed that this situation would not be greatly changed until 1945. And yet, the changes in sports shoes between 1920 and 1945 would greatly affect the development of Korean sports shoes. That,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domestic brands in the 1950s, provided the foundation that allowed developments, like the production of domestic sports shoes. Like thi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sort out the theoretical system of early sports shoes and examine sports shoes in Korea by discussing the contents of early sports shoes in Korea. Hopefully,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future studies of modern sports shoes. 본 연구는 한국의 개항 이후 서양 스포츠가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던 1900년대부터 1945년까지의 한국에서 착용된 운동화(運動靴)를 고찰한 것이다. 우리나라에 운동화가 들어온 시기와 과정을 알아보고, 시기별 운동화의 특징과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해당 시기의 사진 자료, 『동아일보(東亞日報)』·『조선일보(朝鮮日報)』의 기사와 광고 등을 참고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운동화는 서양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최초 발명 시기는 19세기 중반으로 추정된다. 해당 시기에는 부유층이 등장하고 여가활동이 나타나면서 스포츠가 발달하였으며, 크로케(Croquet)와 잔디 코트 테니스(Lawn Tennis)에서 착용된 신발이 운동화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크로케용 신발은 초기에 고무 덧신 형태였으며 이후 현대 운동화의 형태로 발전해 나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 1876년에 개항하고 서양 문물이 들어오면서 서양 스포츠도 도입되었다. 우리나라 운동화의 시초는 축구, 야구 등의 운동화로 짐작되며 이후 운동화가 발전하였다. 우리나라 운동화의 재료로는 가죽, 고무, 천 등이 사용되었다. 운동화의 종류는 경기 외 일상적인 활동에서도 신었던 일반용 운동화와 전문 경기 등 제한된 상황에서 신었던 전문용 운동화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한국에서 착용된 운동화를 시대별로 살펴보면 1910년대까지는 극히 일부 선수만 수입 운동화를 착용하였으며, 수입된 운동화도 각 종목의 전문화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외의 대부분은 짚신 등의 전통 신을 운동할 때도 그대로 신었다. 이후 1920년대부터는 국내에서 운동화가 대중들에게 점차 알려지면서 본격적으로 착용되었다. 운동화는 우리나라에서도 제조되었으며, 다양한 형태를 보였다. 운동 외에 일상생활에서도 운동화가 착용되면서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다. 전문용 운동화는 대부분 서양 운동화와 매우 흡사하였고, 다양한 형태로 광고되었다. 1920년대의 운동화 발전은 스포츠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와 전문적인 스포츠 발달이 큰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해당 시기는 일반용과 전문용 운동화의 구별이 뚜렷해지는 시기로 보이며, 이전 시기에 비해 일반용·전문용 운동화 모두 상당히 발전하였다. 1930-1940년대의 운동화 변화 흐름은 1930년대 후반 전시체제로 인해 바뀐다. 1930-1936년에는 선수 외의 운동화 착용자가 학생을 중심으로 착용이 증가된 것으로 보인다. 1930년대에는 새로운 구두 스타일이 생기면서 여성들의 관심은 구두에 집중되었다. 반면 일부 학교에서는 검은 운동화, 흰색 운동화를 교화로 지정하여 학생들의 운동화 착용은 늘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에 비해 운동화의 착용자나 형태가 비교적 획일화된 모습이었다. 1937년 이후로는 전시체제로 인해 고무와 피혁 사용이 제한되었으며, 이에 따라 운동화 생산과 착용에 큰 타격이 있었다. 점차 운동화 착용이 폐지되고 짚신, 게다 등으로 대체되거나 맨발을 권유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자 1940년에는 운동화 공급에 대한 해결책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학생이 착용하는 운동화 공급 문제를 조금씩 해결해 나갔으나, 1920-1930년대 초·중반처럼 운동화가 발전하지는 못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처럼 1920년대에 급속도로 발전하였던 운동화는 1930년대부터 착용자나 형태에 있어서 획일화된 모습을 보였으며, 후반에는 사회적 상황으로 주춤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1945년까지 크게 변화되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1920-1945년까지의 운동화 변천 양상은 이후 한국 운동화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1950년대의 내수 브랜드 등장과 함께 국내 운동화 상품 제작 등의 발전이 가능할 수 있었던 기반을 제공하였을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초기 운동화에 대한 내용을 전반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이론적 내용을 정리하고, 한국 운동화에 대해 살펴보는 계기를 마련한 것에 있어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본 연구가 앞으로의 근대 운동화에 관한 후속 연구에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복에 사용된 줄무늬와 격자무늬에 관한 연구

        변진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centered on the stripes and check patterns used in Hanbok, the traditional Korean attire worn across the Korean Peninsula from ancient times until 1945. Official documents, photographs, and paintings from this extensive period of time were referenced for context. Stripes and check patterns are nowadays recognized as classic; yet trendy and modern fashion elements. Although these patterns are often considered modern, they are also seen in the attires of ancient and early modern times such as Hanbok. Therefore, the stripes and check patterns are not recognized as traditional patterns, resulting in the current lack of related research.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history of stripe and check pattern use in Hanbok by analyzing the incorporation and the background of the changes made in the use of these patterns. The research proceeds as follow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nvolves the study of these intricate patterns stripes in Korea, a brief review of the history of these patterns of China and Japan, with whom Korea has been in trade for a long time, and Europe, with whom the trade began in the modern times, was necessary. In Europe, striped and check patterned fabrics have been around since ancient times, and although they were known for their negative use, various classes wore such patterned clothes in various situations. Clothes with such patterns were worn more often starting the 18th century. Ancient China also had striped and check patterned fabrics that were used in clothes. In the Tang Dynasty, striped clothes like Saekdong skirts gained popularity. Stripes and check patterns then became difficult to find in attires in the Ming Dynasty, but were once again observed in the references from the Qing Dynasty. In the early days of Japan, the Saekdong skirts gained popularity under the influence of Korea and China, and the country was producing their own striped and check patterned fabrics. In the Edo period, the use of stripes and check patterns in attires became more active, due to the fashion trend called Iki(いき) and a thriving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In Korea, stripes and check patterns were found in the attires in the Goguryeo’s mural paintings, but it is difficult to find out if the same patterned fabrics were used in the Joseon Dynasty as well. After opening the ports, Korea encountered and imported various fabrics, striped and check patterned fabrics included, through active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such as Japan or western countries. At this point, such fabrics were also being produced in Korea. Striped and check patterned fabrics were being used in more varied clothes, as Koreans gradually gained taste in such patterns. The cases were confirmed where these fabrics were used in the Hanbok of women, men, and children. As for women, various classes including the New women, working women, housewives, or musicians were wearing such patterned Hanbok. Check patterned fabrics were used in the school uniform of female students as well. As for men, stripes are found in their Durumagi, seemingly because these clothes were made from not only Korean but also western fabrics at that time. Stripes and check patterns were also seen in children’s Hanbok, in their sleeve decorations or for their nursery uniform. Stripes and check patterns started to be used more often in clothes in the late 1920s. In the 1930s, these patterns became even more preference, and were applied to more clothes. The preference of clothing patterns changed with time, but the demand for the striped and check patterned fabrics continued to exist. This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tastes of Joseon people changed as they encountered Western and Japanese cultur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and compiled the data on stripes and check patterns in the Korean history and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observe the traditional fabric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proves to be useful in further research of modern Korean attires and clothing patterns. 본 연구는 삼국(三國)이 존립하던 고대(古代)부터 해방 이전까지 한복에 사용된 줄무늬와 격자무늬를 고찰한 것이다. 해당 시기의 문헌, 회화, 사진 자료 등을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최근 줄무늬와 격자무늬는 클래식하면서 현대적이고 트렌디한 패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줄무늬와 격자무늬가 현대적으로 인식되는 것과 달리 고대나 근대 전기의 한복에서도 이런 무늬가 관찰된다. 이처럼 줄무늬와 격자무늬가 전통무늬라는 인식이 부족하고, 이에 관한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복에서 줄무늬와 격자무늬 사용 양상이 어떻게 나타났고, 사용 양상의 변화가 발생한 배경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줄무늬와 격자무늬의 역사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줄무늬와 격자무늬를 살펴보기에 앞서, 오래전부터 교류를 해왔던 중국과 일본, 그리고 근대기에 교류가 시작되었던 유럽의 줄무늬와 격자무늬의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유럽에서 줄무늬와 격자무늬의 직물이 고대부터 있었으며, 이런 무늬의 복식은 세간에 알려진 부정적인 의미의 사용 외에도 다양한 계층과 다양한 상황에서 착용되어 왔다. 18세기부터 점차 이런 무늬의 복식을 더 많이 착용하게 되었다. 고대 중국에서도 줄무늬와 격자무늬 직물이 있었고 이런 무늬의 복식이 착용되었으며, 당나라 때에는 색동치마와 같은 줄무늬 복식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명나라에 들어서 줄무늬나 격자무늬 복식을 착용한 사례를 찾기 어려웠고, 청나라의 자료에서 줄무늬나 격자무늬 복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의 초창기에는 중국과 한국의 영향을 받아 색동치마가 유행하기도 했으며, 일본에서 생산된 줄무늬와 격자무늬도 존재했었다. 에도시대에 이키(いき)라는 멋의 유행과 외국과의 활발한 교역으로 복식에서 줄무늬와 격자무늬 사용이 더욱 활발해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복식에 사용된 격자무늬와 줄무늬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조선시대에는 격자무늬와 줄무늬 직물이 복식에 사용된 사례를 찾기 어려웠다. 이후 개항하면서 서양 국가, 일본 등 다른 나라와의 활발한 교역으로 다양한 직물을 접하게 되었고, 외국에서 줄무늬와 격자무늬 직물을 수입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이런 직물이 생산되었다. 점차 줄무늬와 격자무늬 직물에 대한 기호가 생기면서 전보다 다양하게 복식에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여성 한복, 남성 한복, 아동 한복에서 이런 무늬의 직물이 사용된 사례가 확인된다. 여성 한복의 경우, 신여성, 직업 부인, 주부, 음악가 등 다양한 계층의 한복에서 관찰되며, 격자무늬 직물이 여학생 교복으로 착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남성들의 두루마기에서 줄무늬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당시 남성들이 두루마기를 양복지로도 만들어 입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아동의 한복에서도 줄무늬와 격자무늬가 보이며, 이런 무늬 직물은 소매 장식이나 보육원의 원생복에도 활용되었다. 줄무늬와 격자무늬는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점차 유행하기 시작했다. 1930년대에 줄무늬와 격자무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으며, 사용도 많아졌다. 시기에 따라 무늬에 대한 취향이 변했지만, 줄무늬와 격자무늬 직물에 대한 수요는 지속되었다. 이는 서양과 일본의 문화를 접하면서 조선 사람들의 취향이 변화했기 때문에 나타나게 된 현상으로 보인다. 이처럼 우리나라 역사 속 줄무늬와 격자무늬를 고찰함으로써 우리 전통 직물의 무늬를 다시 살펴보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우리나라 줄무늬나 격자무늬에 관한 자료를 정리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앞으로 본 연구가 근대의 의생활 및 문양의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연잉군가례등록』에 나타난 왕자가례의 절차와 복식

        이주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reviewed the procedures and garments of auspicious ceremonies for princes based on 『Yeoning-gungaryedeungrok(延礽君嘉禮謄綠)』 and examined auspicious ceremonies for princes in the middle and late Joseon. It also compared the auspicious ceremonies for crown princes and those for illustrious officials in terms of procedures and garments by investigating that held for Yeoning-gun(延礽君), who was installed as the crown prince during the rule of King Gyeongjong( 景宗 1688~1724) and would become King Yeongjo(英祖). A Deungrok(謄錄) is a kind of journal recording preparations, procedures, items, and so on for a ceremony before making an Uigwe(儀軌). Deungroks(謄錄) had been collected since Gwanghaegun(光海君) so that others could consult them for ceremonies. The oldest Garyedeungrok(嘉禮謄錄) remaining today is the collection of records about the auspicious ceremonies held for the princes and princesses during the rule of King Injo(仁祖) and King Hyeonjong(顯宗). It offers a brief summary of procedures and preparations for a ceremony. Since then they left detailed records from the coming-of-the age ceremony(Gwanrye 冠禮) to leaving the palace after a wedding(Chulhap 出閤) in 『Yeoning-gungaryedeungrok』. Later Yeonryeong-gun's auspicious ceremony was held by referring to the Garyedeungrok of Yeoning-gun. In 1893, they consulted the auspicious ceremony held for Yeonryeong-gun(延齡君) in 『Uihwa-gungaryedeungrok(義和君嘉禮謄錄)』,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eremony itself was held in consultation with that of Yeoning-gun. Thus one can say that all the auspicious ceremonies held for Prince Yeoning-gun were based on those of Yeoning-gun. The auspicious ceremony for Yeoning-gun proceeded in the order of ① selecting a bride(Gantaek 揀擇) ② wedding presents sent from the bridegroom's house to the bride's house(Napchae 納采) ③ sending blue and red silks to the bride's house(Nappye 納幣) ④ Myeongbok(命服) ⑤ that hold marriage ceremony in bride's house and take bride(Chinyeong 親迎) ⑥ the first night ritual(Dongroi 同牢) ⑦ a levee of the bride finding herself in the audience with the king ⑧ the prince meeting the bride's parent ⑨ Chulhap(出閤). All the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the head participate in an auspicious ceremony for a prince wearing a black Danryeong(團領) and change into a red one for a drinking ceremony(Jurye 酒禮), a ceremony of giving congratulatory money(Bongrye 奉禮), and a ceremony of giving presents to the staff(Geunrye 給禮) after the main ceremony.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肅宗), they wore a black Danryeong of habitual use for a ceremony and a red one, an everyday garment for a Jurye and Bongrye. In an auspicious ceremony for a crown prince, the royal family and the civil and military functionaries of Grade Four wore a court dress and those who of Grade Five a black Danryeong when the king was present. When the king was not present at a Chinyeongui(親迎儀), all the government officials wore a black Danryeong. The king wore a Myeonbok(冕服) for a Napchae and Imheonchogye(臨軒醮戒) of a crown prince and a Gangsapo(絳紗袍) and Wonyugwan(遠遊冠) for a Napjing (納徵), Gogi(告期), Chaekbinui(冊嬪儀), and Johyeonryeui(朝見禮儀). The king participated only in the Johyeonryeui of an auspicious ceremony for a prince, where he wore a Gangsapo and Wonyugwan like the Johyeonryeui for a crown prince's bride. The prince wore an official uniform at a Chinyeongui. In an auspicious ceremony for a crown prince, the government officials wore a black Danryeong and the head of the bride's family an official uniform, which suggests that an official, which suggests that an official uniform was in a higher class than a black Danryeong of habitual use. The bride of a prince wore a red Jang-sam(長衫) that's a wedding outfit in a Chinyeongui and No-ui(露衣) when she's heading to the court after the Chinyeongui. When making a list of garments for an auspicious ceremony for a prince, people at the time made the garments for the ceremony and those would be worn at the private residence after the ceremony. Meanwhile, they all omitted plain clothes when it came to an auspicious ceremony for a crown prince and only made official uniforms and those needed for the ceremony. Unlike a crown prince who would continue to live at the court after the ceremony, a prince would leave the court. Thus they made a proper amount of new clothes for the prince and sent it along with a Chulhap. A list of garments prepared for a prince's bridge and the garments and belts for a crown prince's bride were opposite to the list prepared for a prince and the garments and belts for a crown prince. For a prince's bride, they only put the clothes needed for the auspicious ceremony in the Myeong-bok(命服) box containing wedding presents of a bridegroom to a bride. For a crown prince's bride, they gave diverse ceremonial clothes, dresses, and ornaments she would wear at the court in addition to the garments for the ceremony. Since a prince's bride would not live at the court, she would bring her own from her home. Meanwhile, a crown prince's bride would not have her family make her clothes for the court life, and they would make them along with her garments for the ceremony. Taking a look at the clothes and belts worn by the eunuchs and court ladies in a Bancha(班次) procession after the Chinyeongui, it's clear that the auspicious ceremony for a crown prince had more participants, more kinds of clothes, and more diverse and splendid colors than that for a prince. While an auspicious ceremony for a crown prince was a traditional one of the royal family, that for a prince was placed between that of the royal family and a wedding of an illustrious official's family. Since most auspicious ceremonies for princes were based on a wedding of an illustrious official's family and held at the court, they followed all the formalities of the royal family.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compared auspicious ceremonies for a crown prince with the wedding of an illustrious official's family in terms of procedures, clothes, and belts based on 『Yeoning-gungaryedeungrok』. I also estimated the forms and uses of new clothes and belts from auspicious ceremonies for princes through literatur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pieces of research on auspicious ceremonies for queens and crown princes, none exist on those for princes. The reenactments of royal auspicious ceremonies have also been based on those for kings and crown pri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serve as basic data in future researches on auspicious ceremonies for princes and help to promote them through their reenactments. There are records of clothes that have not been studied among the clothes for an auspicious ceremony before 『Gukhonjeongrye(國婚定例)』. It's unfortunate that one cannot figure out the accurate uses of those clothes due to the absence of accurate documentary records. In the future they will hopefully continue to study auspicious ceremonies for princes and royal grandchildren and further clothes for those ceremonies. 이 논문은 『연잉군가례등록(延礽君嘉禮謄錄)』을 바탕으로 조선 중후기 왕자가례의 절차와 복식을 정리하여 고찰한 것이다. 경종대(景宗代 재위 1688~1724)에 왕세제(王世弟)로 책봉되어 훗날 영조(英祖)가 되는 인물인 연잉군의 가례를 통해서 왕세자 및 사대부가의 절차와 복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왕자의 가례는 왕실에서 거행되는 가례이나 왕세자보다는 낮은 위치에 있는 군(君)의 가례이다. 그리고 종친(宗親), 사대부가의 혼례보다는 높은 가례이므로 절차와 복식에서 차이가 있다는 가정 하에 왕세자가례 및 사대부가의 혼례를 비교하였다. 등록은 의식의 준비과정과 절차, 물목, 준비과정을 담은 문서 등 의궤를 만들기 전에 기록해놓는 일지와 같은 것이다. 광해군 때부터 따로 묶어 의례가 있을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왕자가례등록』 중 가장 오래된 가례는 인조26년(1648)에 거행된 숭선군가례이다. 숭선군의 가례등록은 여러 왕자와 공주의 가례가 함께 묶여 있어 의식의 절차나 준비과정이 간략하게 요약되어있다. 『연잉군가례등록』은 숙종30년(1704)의 기록인데, 관례부터 출합까지 상세하게 기록하여 이후 1707년 연령군가례 때에도 연잉군의 가례등록을 참고하였다. 흥선대원군이 만든 『길례요람』도 『연잉군가례등록』을 참고하였다. 1893년 『의화군가례등록』은 연령군의 가례를 참고하였으나, 연령군가례 자체가 연잉군가례를 참조한 것이기 때문에, 『연잉군가례등록』은 조선시대 왕자가례의 기본으로써 그 전반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문헌이라고 할 수 있다. 연잉군의 가례절차는 ‘①간택(揀擇) ②납채(納采) ③납폐(納幣) ④명복(命服) ⑤친영(親迎) ⑥동뢰(同牢) ⑦부인조현의(夫人朝見儀) ⑧왕자가 부인의 부모를 뵙는 의식[王子君見夫人之父母儀] ⑨출합(出閤)’의 차례로 거행되었다. 왕자가례에서 주인을 포함한 모든 관원은 흑단령을 입고 의식에 참여한다. 의식을 마치고, 주례나 봉례, 급례를 할 때는 홍단령으로 갈아입고 참여한다. 이것은 숙종 당시에 상복인 흑단령을 의례에 입고 다른 주례와 봉례 등에서는 집무복인 시복 즉 홍단령을 입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왕세자가례는 궁에서 왕이 참여하는 의식에서 종친과 문무백관 4품 이상은 조복을 입고, 5품 이하는 흑단령을 입는다. 왕이 참여하지 않는 친영의에서는 관원 모두 흑단령을 입었다. 왕은 왕세자의 납채와 임헌초계(臨軒礁戒)에는 면복을 입고, 납징(納徵)과 고기(告期), 책빈의(冊嬪儀), 조현례의(朝見禮儀)에서는 강사포에 원유관을 썼다. 왕자가례에서 왕은 조현례의에만 참여하는데, 왕세자빈의 조현례의와 똑같이 강사포를 입고, 원유관을 썼다. 왕세자가례에서는 관원들이 흑단령을 입을 때 부인가 주인은 공복을 입고, 왕자도 친영의에서는 공복을 착용한다. 이를 통해 상복인 흑단령보다 공복이 의례에서 격이 높은 옷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왕자부인은 친영의에는 혼례복인 홍장삼을 입고, 친영의 이후 궁으로 갈 때 노의를 입은 것으로 짐작된다. 『국혼정례』 이전의 왕자가례와 왕세자가례에 제작된 복식 종류와 수량은 신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신랑의 경우 왕세자의 의대가 훨씬 적다. 이것은 왕자는 가례 후 출합하기 때문에 궁에서 살게 될 왕세자와 다르게 가례 이후에 관복과 편복을 미리 만들었다고 판단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신부의 가례복식에서는 왕세자빈의 복식과 수량이 훨씬 많다. 왕세자빈은 가례에 필요한 예복과 함께 궁에서 입을 다양한 복식을 친정에서 만들 수 없기 때문에 궁에서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왕자부인은 궁에서 생활하지 않기 때문에 가례의식에 필요한 복식만 궁에서 준비하였다. 가례 이후 입을 옷은 친정에서 혼수로 마련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친영의 후의 반차 행렬에 속한 내관과 궁인의 의대에서는 왕세자의 가례가 왕자가례보다 참여인물의 숫자도 많고, 복식 종류가 많아지고 색상에 차이가 있어 더 화려한 행렬인 것을 알 수 있다. 왕세자의 가례가 왕실의 전통적인 가례라고 한다면, 왕자의 가례는 왕실의 가례와 사대부가 혼례의 사이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왕자의 가례는 사대부의 혼례를 바탕에 두고, 왕실에서 거행하였기 때문에 왕실의 격식을 갖춘 가례였다. 이 논문은 『연잉군가례등록』을 바탕으로 왕자가례의 절차와 의대를 왕세자 가례 및 사대부가 혼례와 비교 고찰하였다. 또한 왕자가례에 나온 새로운 의대는 문헌을 통해 그 형태와 사용을 유추해보았다. 그동안 왕비의 가례와 왕세자의 가례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왕자가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금까지 왕실 가례재현행사도 왕과 왕세자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이 왕자가례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왕자가례의 재현행사 등을 통해 왕자의 가례를 알릴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국혼정례』이전의 가례의복에서 그동안 연구되지 않은 복식들이 기록되어 있는데, 문헌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의복의 용도를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부분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앞으로 왕자와 왕손의 가례와 그 복식도 더 많이 연구되길 기대해본다.

      • 부산지역 전통복식문화의 문화콘텐츠화와 활용방안

        장은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considers how to utilize cultural contents concerned with traditional costume culture of Busan area. Busan, featured as a tourist city, holds a variety of festivals all season, many of which treasure the traces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In that sense, it may be significant to study its costume culture permeated in the festivals. Also, cultural art contents have been being developed so rapidly in the area as an international visual entertainment town. Based on it, this study, focused on traditional costume culture of Busan where traditional and modern industries co-exist, intends to suggest how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with traditional and modern meanings blended in them. The cases of festival costumes for these festivals are covered in this research: Joseon Envoys Festival commemorating envoys to Japan for about 200 years in the age of Joseon, Dongnae Castle History Festival telling about a historical fact of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and Queen Consort Huh's Bride Parade Festival depicting the encounter between King Suro, Founder of Gaya Kingdom, and his queen consort. In addition, background research of traditional costumes reproduced in the festivals, improvements in the process of the reproduction, functions and roles of the costumes are looked into. Among the various factors building the festivals, a content of costume works as important as it plays so visual a part that it functions as a measure to judge a completion of the related festival. Joseon Envoys Festival and Dongnae Castle History Festival, which are currently hold, have a more-than-10-year-old history, respectively, so that a number of folks are interested in the traditional festivals to hold a seat as a successful one utilizing historical cultural heritages. As the carnivals were designed as the ones in which the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to experience the events on the basis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Busan-oriented distinct characteristics, not led one side only by the government, positive responses and supports may have been derived from the residents. Besides,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traditional costume culture displayed at exhibition space such as a museum or art gallery to suggest about corrective measures for the costume experiencing content. Finally, the results from studying how to utilize the traditional costume culture of Busan area for cultural contents are put in order as below. Firstly, a local festival with a story of costume culture alive should be developed. Secondly, costume heritages verified with the existing procedures of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should be transformed from contents for simple exhibition to ones for realistic experience using state-of-the-art technologies.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may cause the expected contents to be developed: a virtual fitting service with modern CT technologies, games and animations on augmented reality using historical cultural heritages, costumes restored on hologram, etc. Thirdl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costume culture heritages for UNESCO World Heritage to let the world know the excellence of them and let the local community be proud of them. Both of Joseon Envoys Festival and Queen Consort Huh's Bride Parade Festival case-studied in this paper are targeted at the designation on UNESCO World Heritage List. However, more important is to not stop considering how to maintain and preserve their values although it is significant that they shall be recognized for their excellence. Finally, to develop contents for traditional costume culture, it is proposed that a costume museum be constructed as a extended concept of the space available to display the collection of the costumes restored for the festivals. The museum is proposed as a type of a traditional costume museum including a movie costume museum as subsidiary. It is believed that it is feasible to construct the costume museum if cultural art infrastructure in Busan can be connected to the movie costume museum using the uniqueness of Centum City growing as a film contents town. To develop key contents to fill the space, the festivals should tell their own vivid stories said above. Also the contents must be of origin only in Busan as a marine culture city, not sourced anywhere else. Developing contents of live storytelling may be possible with the transformation into Busan‘s own cultural contents, if performance contents grown up from original sources contained in a variety of arts such as literature, dance, music, fine art, etc. may be grafted onto carnival costume styles. As for Dongnae Outdoor Mask Dance or Fishery Communities Carnival, its creative and aesthetic design for festival costumes may be suggested if backed up by background research and data. Detailed studies of festival costumes not covered in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 followed up in its next assignment. This paper may be significant in the view points of suggesting what to be improved for traditional costume culture contents including carnival costumes and then studying how to use the contents to result in a new type of contents, not to let them stay at simple restoration or formal recurrence. The author‘s wish is that Busan costume culture would help the world know the local culture heritage and its excellence and become one of the cultural art contents representing Korea. 이 연구는 부산지역 전통복식문화의 문화콘텐츠화 활용방안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부산지역은 관광도시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다양한 축제가 일년 사계절 열리는 곳이며 전통문화유산이 축제의 형태로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축제를 통한 복식문화의 연구가 의미가 있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국제영상산업도시로서 문화예술콘텐츠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과 현대적 산업이 공존하는 지역의 전통복식문화 연구를 통해 전통과 현대적 의미가 융합된 문화콘텐츠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200여년 동안 한일 외교의 중요한 역할을 했던 조선통신사축제와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한 동래읍성역사축제, 가야국의 시조인 허왕후와 김수로왕의 만남을 소재로 하고 있는 허왕후신행길축제를 대상으로 축제 복식의 사례를 연구했으며 축제 속에서 재현되는 전통복식의 고증부분과 재현과정의 개선점, 축제 복식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축제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 중 복식 콘텐츠는 시각적인 부분이므로 축제를 구성하는 콘텐츠 중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축제의 완성도를 판단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현재 부산에서 시행되고 있는 조선통신사와 동래읍성역사축제는 각각 1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전통축제로 대중들의 관심을 받으며 역사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성공적인 축제로 자리잡고 있다. 이런 시민들의 긍정적인 반응과 호응을 끌어낼 수 있었던 것은 관주도의 일방적인 축제가 아니라 지역적 특수성에 대한 지역민들의 이해를 바탕으로 체험이 가능한 참여형 축제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전시공간을 통한 전통복식문화의 전시 콘텐츠화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복식체험 콘텐츠의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산지역의 전통복식문화를 문화콘텐츠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 번째, 복식문화의 스토리가 살아있는 지역축제를 개발해야 한다. 두 번째로는 기존의 복원과 보존의 절차를 거친 복식유산을 단순한 전시콘텐츠에서 체험과 최첨단 기술을 이용한 실감형 체험 콘텐츠로 만들어야 한다. 현대의 CT기술을 활용해서 가상피팅 체험서비스나 4D 상영관, 증강현실을 이용한 역사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게임과 애니메이션, 홀로그램을 활용한 복식재현 등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콘텐츠를 개발해야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 복식문화유산의 우수성을 세계로 알리고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서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사례연구한 조선통신사축제와 허왕후신행길축제 모두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우수성을 인정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등재 이후에도 그 가치를 유지하고 보존하는 방법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통복식문화를 콘텐츠화시키는 방안으로는 축제의상으로 재현된 의상을 모두 모아서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의 확대 개념으로 복식전문 박물관 건립을 제안하고 있다. 복식전문 박물관 중에서도 전통복식 박물관과 그 하위 개념으로 영화의상 박물관을 제안하고 있는데 영상콘텐츠 특화지역으로 성장하고 있는 센텀 지역의 특수성을 이용한 영화의상박물관과 부산의 문화예술인프라를 연계하면 복식전문박물관의 건립이 실현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 이 공간을 채워넣을 핵심 콘텐츠 생산을 위해서 앞서 말한 스토리가 살아있는 특성있는 축제를 만들어야 하며 전국 어디서나 다 볼 수 있는 축제가 아닌 해양문화도시 부산에서만 가능한 콘텐츠여야 한다는 것이다. 스토리텔링이 살아있는 콘텐츠 개발은 허왕후신행길 축제나 팔관회 축제처럼 역사성과 독창성을 바탕으로 문학, 무용, 음악, 미술 등 각종 예술 속에 담겨있는 원형소스를 발전시켜 공연 콘텐츠를 축제복식과 접목시키는 시도를 한다면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로서 변신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동래야류나 어방축제 같은 경우는 고증과 자료연구를 통해 충분히 창의적이고 심미적인 축제복식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다른 축제복식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는 후속연구로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본 논문은 축제의상을 포함한 전통복식문화 콘텐츠의 개선점을 제시하고 전통복식의 단순한 복원이나 형식적인 재현에 그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콘텐츠로 탄생시키는 결과물이 되도록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앞으로 부산의 복식문화가 지역의 문화유산과 우수성을 더 많이 알리고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예술콘텐츠가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근대 옥양목에 관한 연구

        김나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discussed the use and aspect of importation of Ogyangmok, which took the most of imports in the early period after the opening of Korean ports, referring to literature, photo, and printed materials. In addition, this study observe yarn and fabric characteristics of modern Ogyangmok passed down and the related relics of cotton fabrics based on that. The records of the use of Ogyangmok in the Royal Court appear in 「Balgui」 and 『Euigwe(Royal Protocol)』. In a total of 65 「Balgui」 materials since 1881 , 149 related records could be found, and it also had various names, including Boeksyeoyangmok, Syeoyangmok, Ogyangmok, and Yangmok. Ogyangmok was widely utilized for articles of Royal family members, and in particular, as materials for underwear and bedding. It is also found through 『Euigwe』 that imported cotton fabrics were used as cover of folding screens, materials for the kiln roof, and cloths. The private use of Ogyangmok appeared in a list of articles for wedding ceremonies, letters, and news articles. In the list of articles for wedding ceremonies, Ogyangmok was used as cloth for outer clothing, which is a distinctive feature from its use in the Royal Court. In particular, men’s Ogyangmok Jueui(overcoat) appears in all letters to the house of the fiancee, and there were various types as well. Thus, it is judged that this was considered formal dress or celebratory dress at the time. Ogyangmok appearing in modern newspapers appeared as stolen items along with properties and possessions. In the articles related to the rich class, the frugality of Ogyangmok came to the fore, and the popularity of Ogyangmok itself was addressed as well. As Ogyangmok was used in various class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use and perception accordingly. However, the practical characteristic and sophisticated look of Ogyangmok were recognized as positive images to the people at the time. Various imported fabrics were introduced in the early period after the opening of ports, and Ogyangmok took most of them. Japan occupied the Korean trade market after the Korea-Japan Treaty of 1876 (Ganghwado Treaty), but as competition with Chinese traders with superior capital power and sales ability began, the amount of the two countries’ trade became similar. However, as Japan that won the Sino-Japanese War of 1894-5 took the initiative for Korean trade, the amount of its trade overwhelmed that of China’s. There was also a change in the form of the textile trade, the trade of Japan and China, which was mainly developed in the form of intermediary trade of English Ogyangmok began to include Japanese products. Especially, Japan made ‘Sogeonbaengmongmyeon’ which imitated Korean Mumyeong and won popularity among the labor class that preferred durable fabrics. Later, Japan’s textile industry rapidly grew up, and Japanese Ogyangmok, ‘Geumgeon’ was popular in Korea, and the amount of trade of unbleached Ogyangmok in 1906 and that of bleached Ogyangmok in 1916 exceeded that of the U.K. Moreover, policy factors like the Korea-Japan Treaty of 1905 (Eulsa Treaty) and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and the revisions of taxation beneficial to Japan affected Korean trade, resulting in Japanese cotton fabrics’ monopoly of the Korean market, pushing out English ones completely. For an empirical survey of modern Ogyangmok and the related cotton fabrics, along with three Ogyangmok pieces, one Gwangmok piece, and two Mumyeong pieces, which were held i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one Geumgeon and one Calico(キャリコ), which were included in the Book of Textile Samples, 『Jingmuldaegye』 published in 1930 in Japan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urvey. The investigation items included the thickness and twist of thread and the density, thickness, and width of textile, and this study w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extile through them. As for the thickness of thread, that of Ogyangmok ranged between 0.26 mm and 0.3 mm while that of Mumyeong ranged between 0.40 mm and 0.48 mm, and they were woven with relatively thicker thread. That of Gwangmok was 0.36 mm,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Ogyangmok. The density was similarly high in Ogyangmok and Gwangmok while that of Mumyeong was relatively lower. The trademark of Gwangmok was checked, and it was found that this was woven with Semok, a textile finer than Gwangmok in the place of production, and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some numerical values were similar to those for Ogyangmok. The thickness of textile was the thinnest in Ogyangmok at 0.18㎜on average while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Mumyeong pieces respectively at 0.31㎜ and 0.52㎜. The Mumyeong piece that turned out to be the thinnest had numerical values close to those of Gwangmok with a thickness of 0.25㎜. Sinc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idth of textile or twist of thread from that of Mumyeong, it was assumed that the Mumyeong piece might be an imported textile or a product made at a factory. Through the above basic survey, it was found that Ogyangmok is a textile with a smooth surface, woven with thin thread. However, this survey had various limitations because the subject was a relic, and there was also a limitation that there was a distortion in the item like the thickness of the thread. Hopefully, a subsequent study would investigate and reveal the clear characteristics of modern cotton fabrics, supplementing this. 본 연구는 개항 초기 수입품 중 가장 비중이 컸던 옥양목의 사용 및 수입 양상을 고찰한 것으로 문헌 자료와 사진 자료, 인쇄 매체 등을 참고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전하는 근대 옥양목과 관련 면직물 유물의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왕실에서 옥양목을 사용한 기록은 「발기」와 『의궤』에 나타난다. 1881년 이후 총 65개의 「발기」자료에서 149건의 연관 기록을 찾을 수 있으며 명칭 또한 백셔양목ㆍ셔양목ㆍ옥양목ㆍ양목 등으로 다채롭다. 옥양목은 다양한 국가 행사에서 왕실 식구들의 물품에 두루 활용되었으며 특히 속옷과 금침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었다. 『의궤』에서도 수입 면직물이 병풍의 의차(衣次), 채여(彩輿) 지붕의 재료, 옷감 등에 다양하게 소용(所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간의 옥양목 사용은 혼례용 단자(單子), 편지, 신문 기사 등에서 나타났다. 혼례용 단자에서는 옥양목이 겉옷의 옷감으로 쓰인 것이 왕실과 구분되는 점이다. 그중에서도 남성의 옥양목 주의[周衣, 두루마기]는 모든 단자에 나타나며 그 종류 또한 다양해 이것이 당시 정장이나 예복으로 여겨졌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근대 신문에 보이는 옥양목은 재산이나 재물과 함께 절도 피해 품목으로 나타나기도 했으며 부유층과 관련한 기사에서는 옥양목의 검소함이 부각되고 옥양목 자체의 유행이 다루어지기도 했다. 옥양목은 다양한 계층에서 사용된 만큼 그에 따른 용도와 인식에도 차이가 존재했다. 그러나 옥양목의 실용적인 특성과 세련된 외형은 당시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로 인식되었다. 개항 초 다양한 수입 직물들이 국내로 유입되었지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던 직물은 옥양목이었다. 일본은 강화도 조약 이후 조선 무역 시장을 선점했지만 자본력과 판매 수완이 우월했던 중국 상인들과 경쟁이 시작되자 양국의 교역량은 비등해졌다. 그러나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조선 무역에 대한 주도권을 찾으면서 일본의 교역량이 중국을 압도했다. 직물 무역의 형태에도 변화가 나타나 주로 영국산 옥양목의 중개무역 형태로 전개되었던 일본과 중국의 무역에 일본산 상품이 포함되기 시작했다. 특히 일본은 조선의 무명을 모방한 ‘소건백목면’을 만들어 질긴 옷감을 선호했던 노동자 계층에게 인기를 끌었다. 이후 일본의 직물 산업은 급속도로 성장해 일본산 옥양목인 ‘금건’이 국내에서 유행하였으며 1906년에는 미표백 옥양목, 1916년에는 표백 옥양목의 교역량에서 영국을 앞섰다. 여기에 을사늑약ㆍ한일병합조약 등 정책적 요인과 일본에 유리한 관세 개정까지 더해져 한국 무역에 영향 준 결과 일본산 면직물은 영국산을 완전히 밀어내고 국내 시장을 독점하였다. 근대 옥양목과 연관 면직물에 대한 실증적 조사를 위하여 국립민속박물관 소장의 옥양목 3점ㆍ광목 1점ㆍ무명 2점과 함께 1930년 일본에서 발간된 직물 표본서인 『직물대계』수록 금건 1점ㆍ캬리코 1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 항목은 실의 굵기와 꼬임, 직물의 밀도ㆍ두께ㆍ폭이며 이를 통해 직물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의 굵기는 옥양목이 0.26~0.36 ㎜의 분포를 보이며 무명은 0.40~0.48 ㎜로 나타나 비교적 굵은 실로 제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광목의 경우는 0.36 ㎜로 나타나 옥양목과 유사했다. 밀도는 옥양목과 광목이 비슷한 수준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무명의 밀도는 비교적 낮았다. 광목의 상표를 확인한 결과 생산처에서는 이것을 광목보다 섬세한 직물인 세포(細布)로서 생산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일부 수치가 옥양목과 유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직물 두께는 옥양목이 평균 0.18 ㎜로 가장 얇았으며, 무명 2점은 각각 0.31 ㎜, 0.52 ㎜로 큰 차이가 있었다. 특히 얇은 두께로 나타난 무명은 두께 0.25 ㎜의 광목의 수치에 가까웠는데, 직물의 폭이나 실의 꼬임에서도 전통 무명과는 차이가 있어 이것이 수입된 직물이거나 공장 생산 상품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이상의 기초조사를 통해 옥양목이 가는 실로 치밀하게 짜여 표면이 매끄러운 직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조사는 대상이 유물이라는 특성상 실의 단면 측정을 비롯한 여러 가지 제약이 있었다. 특히 실의 굵기는 유물에서 실을 채취해 측정한 것이 아니어서 굵기를 평면으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발생하는 한계점이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보다 명확한 근대 면직물의 특성이 규명되기를 기대한다.

      • 로맨티시즘과 스포티즘의 융합 패션 스타일 디자인 연구

        정현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Hybrid which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opic today, has brought about major changes in all areas of society. Especially in fashion style, the need for research is raised in that the it creates a new style that has never existed before through the integration of disparate things into one another. However, many previous studies on hybrid fashion style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ased on general phenomena in other fields and genres. In addition, it is still insufficient to analyze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each design element that occur when heterogeneous images are combined and apply and develop them in th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ybrid fashion style design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in the changing forms of life into a digital industrial society. To this end, this study considered the concept of hybrid as a comprehensive concept with various meanings and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ybrid in fashion by time, space, class, sex, material, and genre, and studied the concept of romanticism and sportism and historical background and clothing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expression featur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sign element of the hybrid fashion style of romanticism and sportism were analyzed and developed by applying them to the design of the hybrid fashion style. As a method of research, the literature study on the background of romanticism and sportism in fashion and hybrid was conducted based on professional books related at home and abroad, prior research, and portal sites.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romanticism and sportism hybrid styles was identified by analyzing news articles and collection critical writings on domestic and foreign portal sites. The range of studies in the analysis of collections is from S/S 2010 to F/W 2019.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sign element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lothing were empirically analyzed through photographs of romanticism and sportism hybrid fashion styles, which appeared year by year in haute couture and ready to wear. As a result of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sign element, the characteristics of romanticism and sportism hybrid fashion style shown in the collection are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as a composite silhouette with the contrasting characteristics of enlargement and shrinkage, extension and simple. In addition, an atypical silhouette with different shapes of the left and right items appeared. Second, the mix match of items and the heterogeneous conversion between items were made. There was a double-dressed outfit, such as wearing pants again under a skirt or dress, and foundations such as corset and bustier were used as sporty casual wear. Third, the conversion of disparate color scheme and color tone image was made away from the general concept of color. It also expressed the contrast between gloss and matte, the harmony between transparent and opaque, and various multiple design intentions through a mixture of colors. Fourth, contrasting materials were mixed and decorative and functional materials were mixed together. There was also a heterogeneous transition of materials in items, such as the use of romantic materials for sporty items or vice versa. Fifth, The decorative details and functional details were used together, and the design lines of refined straight lines and the wrinkles of extended curves were combined. Sixth, Accessories were used for styles that deviate from existing forms. In particular, it played a role in changing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costume through inter-discriminatory wearing. As such, expression features found i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sign elements were shown as contrast and complex, transition and deformation, simplicity and expansion, heterogeneity and mixing, decoration and function, style and deviation. In addition, five aesthetic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m in terms of aesthetic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romanticism and sportism hybrid fashion style are as follows. First, it is multi-functional complexity. Various functions are assigned by methods such as deformation, substitution, and desorption to incorporate a single garment into a complex form that can be used for more than one purpose. Second, it is active femininity. The sense of femininity, such as sensuality and delicacy, and the sense of sportism such as physical movement and active activity are expressed together. Third, it is luxury practicality. There are useful and practical values along with expensive splendor, luxury. Fourth, it is elegant amusement. This is a hybrid characteristic that combines playful and lively sports games with elegant feminine qualities. Fifth, it is deviant sensitivities. The aesthetic features of romantic style, decorative beauty, feminine and sensual beauty rather appear out of common form and merge into the form of incongruity. For the development of romanticism and sportism hybrid style desig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hybrid style, the multi-purpose, emotional fashion style design was developed, which can be worn as casual wear and can also be used as exercise clothes such as yoga clothes and training clothes. And a total of eight real costumes were made. Design I has an exaggerated form of sleeves and silhouettes adhering to the human body, and is a multi-purpose multi-functional complex design. Design II is also a design that can be used for many purposes, such as yoga and daily clothes, with contrasting configurations of T-shirts with exaggerated sleeves and short pants. Design III shows feminine beauty by applying decorative details to active sportswear and is a design that can be used as daily and training clothes. Design IV is a design tha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sportswear and casual wear. Decorative details, luxurious velvet material were applied to practical and active training suits. Design V is a design that converts tank tops into feminine bustier items using details and can be used as yoga clothes and unique casual wear. Design VI also converted T-shirts into bustier items by using details. It is highly flexible and can be used as yoga clothes and casual wear. Design VII is an emotional sports casual wear design deviating from the original form and basic composition. Flare skirts were layered on short pants and the jumper's back was exposed like an evening dress. The design VIII is a sensuous design that expresses the fun of being out of the way with asymmetric left and right sides and atypical silhouettes. As such, it has appl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brid fashion design of the romanticism and sportism so that it can be used as not only sportswear but also as romantic emotional casual wear. In addition, clothing with a combination of daily and outdoor wear was developed for various social activities. 오늘날 중요한 화두로 대두된 융합은 사회 모든 영역에 있어 커다란 시대적 변화들을 불러오고 있다. 특히 패션 스타일에 있어서의 융합은 이질적인 것들이 섞이고 결합함을 통해 전에 없던 새로운 스타일이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하지만 기존의 융합 스타일에 관한 연구는 타 분야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융합 현상을 기준으로 패션의 특성을 분석한 연구가 많았고, 이질적이고 상반된 이미지가 결합할 때 발생하는 디자인 요소별 융합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융합 패션 스타일의 독자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디자인에 적용, 개발하는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하겠다. 본 연구는 로맨티시즘과 스포티즘 패션의 특성을 분석하여 로맨틱한 감성을 접목시킨 융합 패션 스타일의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융합의 개념을 하이브리드를 중심으로 여러 융합적 용어들을 포괄하는 함축적 개념으로 이해하고 패션에 나타난 융합의 일반적 특성을 시공간, 계층, 성, 소재, 장르별로 살펴보았으며 로맨티시즘과 스포티즘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 및 복식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로맨티시즘과 스포티즘 융합 패션 스타일의 디자인 요소별 특성에 따른 표현 특징 및 미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융합 패션 스타일의 디자인에 적용시켜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국․내외 관련 전문서적, 선행연구, 포털 사이트를 바탕으로 융합 및 패션에 나타난 로맨티시즘과 스포티즘 배경에 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여 융합 패션 스타일의 사진 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국내외 포털 사이트의 뉴스 기사 및 컬렉션 비평 글을 분석하여 로맨티시즘과 스포티즘 융합 스타일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실증적 연구로 컬렉션 분석에 있어서의 연구 범위는 2010년 S/S에서 2019년 F/W까지이며 오트 쿠튀르(haute couture)와 레디 투 웨어(ready to wear, RTW)에서 연도별로 나타난 로맨티시즘과 스포티즘 융합 스타일 패션의 사진을 통해 디자인 요소에 따른 특성과 복식의 미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디자인 요소별 특성의 연구 결과, 컬렉션에 나타난 로맨티시즘과 스포티즘 융합 스타일의 특성은 첫째, 확대, 확장의 특성과 단순, 축소의 절제된 특성이 대조적인 복합형 실루엣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타일간에 상호 전환된 실루엣과 좌우 아이템의 형태가 다른 비정형 실루엣이 출현하였다. 둘째, 아이템의 믹스 매치 및 아이템 상호간의 이질적인 전환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아이템의 이중 착장과 코르셋, 뷔스티에와 같은 파운데이션이 스포티한 캐주얼웨어로 활용되었다. 셋째, 일반적인 개념에서 벗어난 배색과 색채 이미지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또한 광택과 무광택의 대비, 투명과 불투명의 조화 및 여러 다중적인 디자인 의도에 의한 복합적인 배색이 발견되었다. 넷째, 대비되는 특성의 재질이 혼합되어 나타났고 장식적 소재와 기능성 소재의 믹스 매치, 재질과 다른 디자인 요소와의 이질적 전환과 전이가 이루어졌다. 다섯째, 사용 목적이 서로 다른 장식적 디테일과 기능적 디테일이 함께 사용되었으며 절제된 직선의 디자인선과 확장된 곡선의 주름이 조합되었다. 여섯째, 기존의 양식을 이탈하는 스타일에 있어 액세서리가 적극 활용되었다. 특히 상호 이질적인 착용을 통해 의상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바꾸는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이 디자인 요소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여 융합 스타일에서 관찰되는 표현 특징은 대조와 복합, 전환과 변형, 절제와 확장, 이질과 혼합, 장식과 기능, 양식과 이탈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적인 측면에서 이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5가지 미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로맨티시즘과 스포티즘 융합 패션 스타일의 미적 특성은 첫째, 다기능 복합성이다. 변형, 치환, 탈착 등의 방법으로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여 하나의 의복을 두 가지 이상의 용도로 사용가능하게 복합적인 형태로 통합시킨다. 둘째, 활동적 여성성이다. 여성의 관능미, 섬세함 등의 여성성을 표현하는 감각과 신체적인 움직임, 액티브한 활동성 등의 스포티즘 감각이 함께 표현된다. 셋째, 럭셔리 실용성이다. 화려한 분위기와 고급스러움이 실용성을 갖춘 실제적 가치 특성으로 나타난다. 넷째, 우아한 유희성이다. 게임이나 놀이에서 장난치거나 스포츠 경기와 같이 활기차고 생동감 있는 특성이 우아하고 기품 있는 아름다움과 조화를 이루어 나타나는 융합적 특성이다. 다섯째, 탈양식 감각성이다. 로맨티시즘 스타일의 미적 특성인 장식적, 여성적, 관능적인 아름다움이 오히려 양식을 이탈하여 어색하며 부조화의 형식미로 융합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융합 스타일의 특성을 반영하여 로맨티시즘과 스포티즘 융합 스타일 디자인 전개를 위해 평상시에 캐주얼웨어로 착용 가능하고 요가복이나 트레이닝복과 같은 운동시에도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다기능의 감성적 융합 패션 스타일의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총 8착장의 실물 의상을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한 디자인Ⅰ은 과장된 형태의 소매와 인체에 밀착된 실루엣을 가지며 다목적 다용도의 복합적 특성을 지닌 디자인이다. 디자인Ⅱ 역시 과장된 소매를 갖는 티셔츠와 쇼트 팬츠의 대조적인 구성으로 요가복과 일상복 등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디자인Ⅲ은 활동적인 운동복에 장식적 디테일을 적용하여 여성적인 미를 나타냈으며 일상복 및 트레이닝복으로 활용 가능한 디자인이다. 디자인Ⅳ는 장식적 디테일 및 부드러운 기모와 광택 소재를 실용적이고 활동적인 트레이닝복에 적용시켜 고급화한 디자인이다. 디자인Ⅴ는 탱크탑을 디테일을 활용해 뷔스티에 아이템으로 전환시킨 디자인으로 요가복 및 개성 있는 캐주얼웨어로 활용 가능하다. 디자인Ⅵ 역시 디테일을 사용해 티셔츠를 뷔스티에 아이템으로 표현하고 신축성 있는 소재로 활동성을 높인 디자인으로 요가복 및 캐주얼웨어로 활용이 가능하다. 디자인 Ⅶ은 팬츠와 스커트의 믹스 매치와 등이 노출되는 드레시한 점퍼로 기존의 양식을 벗어난 착장 및 기본 구성선을 이탈한 디자인이다. 디자인 Ⅷ은 좌우 비대칭과 비정형 실루엣 선으로 이탈이 주는 유희적 즐거움을 감각적으로 표현한 디자인이다. 이와 같이 스포츠웨어의 역할 뿐 아니라, 로맨틱한 감성 캐주얼웨어로써도 활용되며 다양한 사회적 활동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상복 및 외출복의 복합적 활용도를 갖춘 의복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의 다변화된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융합 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저지를 사용한 생활한복 디자인

        김성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실생활에서 입을 수 있도록 저지를 사용하여 생활한복의 디자인을 제안한 연구이다. 생활한복(生活韓服)은 1980년대에 생긴 이름으로 이전 시기의 개량한복(改良韓服)과 혼동되기도 하지만 그 발생 배경과 개념에 차이가 있다. 개량한복은 20세기초 일상복으로 입던 한복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시도되었다. 하지만 생활한복은 1980년대 20세기 후반 양장이 일상복으로 입혀지고 한복은 예복으로만 착용되면서 일상과 거리가 멀어진 상황에서 발생하였다. 1980년대에 출현한 생활한복은 1990년대 부흥기를 지나 2000년대에 들어서는 침체기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2010년 이후 젊은 감각의 생활한복 브랜드가 생기며 최근에 다시 20~30대 젊은 소비자층의 관심을 받고 있다. 한복의 소재는 전통적으로 단(緞)이나 사(紗) 같은 비단 혹은 면(綿), 마(麻) 소재의 직물을 사용해왔다. 생활한복의 소재로는 전통적 소재 외에도 다양한 원단이 사용되고 있지만, 편성물 소재는 여전히 찾아보기 어렵다. 생활한복이 실생활복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디자인, 기능, 소재 등에서 다양한 변화의 시도가 필요하다. 그 중 현재 일상복에 선호되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주 소재인 저지는 현대 의복에서 직물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소재로 신축성과 안락성이 좋으며 생산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대 패션 교육이 직물(woven) 위주로 진행되기 때문에 저지를 비롯한 편물은 실무에서 접하고 배우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에 편물은 한복에 잘 사용되지 않았던 소재로 진입장벽이 높았다. 이에 저지를 이용하여 젊은 층을 위한 생활한복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생활한복의 정의와 범위를 알아보기 위해 개량한복, 생활한복의 생성과 현재의 생활한복에 이르게 된 변화 과정을 고찰하고, 근대 의류에서 새롭게 시도되었던 소재와 그중 편성물에 가까운 사례들을 알아본다. 또한, 본 연구의 주 소재인 저지의 정의와 특징, 그에 알맞은 봉제 방법을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저지를 사용한 생활한복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근대 한복 개량 운동과 생활한복의 생성과 발전을 고찰했을 때 대중에게 수용되지 못한 개량은 무분별한 변형으로 한복의 정체성을 나타내지 못하여 대중의 호응을 받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생활한복의 디자인에 현대적인 감각 뿐이 아니라 한국복식의 정체성을 최대한 살리고자 노력하였다. 디자인은 한복의 기본형인 치마저고리로 한정하였다. 결과물은 총 10점으로 저고리 6점과 어깨허리 치마 2점, 치마 2점이다. 디자인은 개별 품목으로 진행되는데 이것은 실생활 속에서 생활한복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개별 품목은 함께 매치할 수 있으며 기존에 소비자가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고 시중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패션 아이템과 매치할 수도 있다. 저지를 사용하여 생활한복을 디자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고리를 제작할 때는 평편(plain stitch)으로 제편된 얇은 원단보다 양면편(interlock stitch)으로 제편 된 두꺼운 원단이 형태를 만들기 적합했다. 하의류는 얇은 원단을 사용할 때는 좁은 주름을, 두꺼운 원단을 사용할 때는 넓은 주름을 표현하기 적합했으며 어깨허리 형식의 치마를 제작할 때는 상의 부분만 저지를 사용하고 치마 부분은 직물을 사용하여도 안락함에 지장을 주지 않고 원단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상하의를 품목 간 매치해본 결과 하의류보다 상의류의 활용도가 높았다. 이것은 저고리의 구성요소의 특징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한복의 정체성을 잘 표현해 주었다고 생각된다. 디자인과 소재에 변화를 주되 한복의 정체성을 살리고자한 이번 연구와 같은 다양한 시도가 좀 더 많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또한, 이번 연구가 앞으로 생활한복 디자인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 제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design research for Saenghwal Hanbok (생활한복, 生活韓服), which is hanbok that can be worn practically in an everyday setting, using jersey. Saenghwal Hanbok is a name that originated in the 1980s. It is often confused with Gaeryang Hanbok (개량한복, 改良韓服) from the earlier period, but the background of the two are different. The purpose of Gaeryang Hanbok was to modify the existing hanbok, a daily wear at the time, into a more comfortable wear, while the purpose of Saenghwal Hanbok was to make hanbok into a daily wear at a time when western clothing was considered the norm. Saenghwal Hanbok emerged in the 1980’s and peaked in popularity during the 1990’s, then declined in the early 2000’s. Interest in Saenghwal Hanbok rose again in 2010 amo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fter hanbok brands that appealed to the young consumers appeared. In the past, hanbok was made with woven fabric composed of silk, cotton (면, 綿), and linen (마, 麻). The Saenghwal Hanbok is made with fabric composed of diverse synthetic fiber. In contemporary fashion, the jersey is the second most used material after woven fabric, and it is known for its elasticity, comfort, and productivity. Knit fabric, however, was not a commonly used material, and it was difficult to find it in Saenghwal Hanbok. In order to wear Saenghwal Hanbok as everyday clothing, various changes, such as design, function, and material, need to be made, and of these changes, using materials that are popular today can be an effective way to accomplish the feat. The method and conten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y investigated 1) the process of making Gaeryang Hanbok and Saenghwal Hanbok 2) how the Saenghwal Hanbok evolved to the current form 3) the cases of how new fabric and knit fabric are used to make hanbok 4)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jersey, which is the focus of this study 5) the appropriate sewing method for the jersey. Lastly, it proposed a Saenghwal Hanbok design based on the use of the jersey. The study focused on the basic form of hanbok, chima (치마) and jeogori (저고리) for the scope of its design development. The end result was a total of 10 pieces (6 tops, 2 dresses, 2 bottoms). Each piece was designed as individual items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Saenghwal Hanbok in an everyday setting. These pieces can not only be mixed and matched with each other, but also with existing fashion items that most consumers already own or can be purchased easily at a store. Designing Saenghwal Hanbok using the jersey has brought the following results. 1) When making a Jeogori, thick fabric that utilizes the interlock stitch knitting helps shape the Jeogori better than thin fabric that utilizes the plain stitch knitting. 2) The mixing and matching of the tops and bottoms show that tops could be utilized more than bottoms, which is likely due to the pronounce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Jeogori. In the past, the extreme modifications of Saenghwal Hanbok did not catch on as trends. However, changes that kept the characteristics of hanbok were received well.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designs of Saenghwal Hanbok that mai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hanbok, and changed the materials used to make hanbok.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as a valuable source for future Saenghwal Hanbok desig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