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의 비주얼 아이덴티티가 기업 이미지, 태도 및 선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 : L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민경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oday, due to the rapidly changing technology and society, reduce the differences in products and services between companies, and the society has diversified consumer values ​​and needs. In this changing society,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establish their identities so that they can pass the images they have to consumers in the desired direction.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where faster and more accurate communication has become important in today's diversified and diversified society, it is necessary to secure visual identity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tool with consumers for establishing corporate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rporate visual identity characteristic on corporate image, attitude, and choice intention by extracting logos, colors, and symbols from corporate visual identity components through analysis of prior studies.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we proceeded with the survey for about 4 weeks from March 16th to April 16th, 2020, and a total of 17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f which 157 were disregarded with 15 insincere responses. It is being used for the final analysis of, and is proceeding with demographic analysis through SPSS 2.0 Ver. Using R.3.6.3 version, hypothesis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logo and color among the visual identity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potential, reliability, and attitude of the corporate image. Was grasped.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showed that corporate image influences purchasing intention, it was found that growth potential and trust, which are sub-factors of corporate image, do not significantly affect corporate selection intention. However, the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he choice intention of the compan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visual identity and consumer behavior in today's technologically advanced society. It presents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correct visual identity contributes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corporate image and attitude. this research suggests the correct visual identity can also induce a positive attitude change and increase the intention to choose a company. 오늘날 급변하는 기술과 사회의 변화로 인하여 기업들 간의 제품과 서비스의 차이는 줄어들고, 소비자들의 가치관과 욕구가 다양해진 사회를 살고 있다. 이렇게 변화된 사회에서 기업들은 그들이 가진 이미지를 소비자들에게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정체성 확립이 중요하다. 다변화되고 다양화되는 현대 사회에서 보다 빠르고 정확한 정보 전달이 중요해진 시대상을 고려해 볼 때 기업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소비자들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비주얼 아이덴티티의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서 기업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구성 요소 중 로고, 컬러, 심볼을 추출하여 기업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특성이 기업 이미지, 태도 및 선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의 분석을 위하여 2020년 3월 16일부터 4월 16일까지 약 4주간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총 172부의 응답이 회수되었고, 그 중 불성실한 응답 15부를 제외한 157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PSS 22.0 Ver.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R.3.6.3 version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기업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특성 중 로고와 컬러가 기업 이미지의 성장 가능성과 신뢰성,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볼은 기업 이미지의 성장 가능성과 신뢰성,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업 이미지가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와 달리 기업 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성장 가능성과 신뢰는 기업 선택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태도는 기업의 선택 의도에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기존 선행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오늘날과 같이 기술이 발달된 사회에서 기업의 비주얼 아이덴티티와 소비자 행동 관계에서 구체적인 관련성을 입증할 수 있는 실증연구로서, 올바른 비주얼 아이덴티티의 확립은 소비자로 하여금 기업 이미지와 태도의 전환에 기여하여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불러일으켜 기업 선택 의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 RPA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구교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지속하는 코로나 19와 급격하게 발전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흐름에서 정부의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의 정책이 더해져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RPA는 업무처리 절차를 단순화하고 유연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이점으로 국내외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PA 도입과 사용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RPA 시스템 사용 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이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외생변수는 RPA 시스템 특성으로 정보시스템성공모델의 정보품질,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을 선정하였다. 내생변수는 RPA 수용요인으로 통합기술수용이론의 성과기대, 노력기대, 촉진조건, 사회적 영향을 선정하였다. 또한, 지각된 가치의 경제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를 추가로 모형에 반영하였다. 종속변수로 사용 의도와 함께 혁신저항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RPA 시스템을 도입한 기업과 도입예정인 기업의 임직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검증을 하였다. 표본의 특성으로 빈도분석, 신뢰성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 분석을 진행하고, 연구의 가설은 구조방정식의 경로 분석을 통해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추가검증으로 RPA 수용요인과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와 혁신저항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서비스품질,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기능적 가치는 사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PA 시스템 특성이 RPA 수용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품질이 노력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하고, 모든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제적 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정보품질, 노력기대, 촉진조건으로 나타났고, 기능적 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과기대, 노력기대, 촉진조건으로 확인되었다. RPA 시스템 특성과 사용 의도 간 관계에서 RPA 수용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성과기대와 사회적 영향은 매개역할을 하였으며, 노력기대와 촉진조건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다.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기능적 가치는 매개역할을 하였으며, 경제적 가치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다. 혁신저항은 촉진조건과 사용 의도 간의 관계에서만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RPA 시스템 특성에 따른 사용자의 차별화된 시스템 발전 등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국내 자동화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였으며 RPA를 통해 관련 기업 및 산업 육성 정책의 기초 데이터로써 산업 생태계 구축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With the government's policy of reducing working hours by 52 hours per week in the ongoing COVID-19 and the rapidly developing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nterest in 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 is increasing. RPA is increasing in use at home and abroad due to its advantages of simplifying workflow and providing flexibility and scalability at the same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RPA System for companies using RPA. As RPA System characteristics, exogenous variables were selected as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of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selected as RPA acceptance factors for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Effort Expectations, Facilitation Conditions and Social Influences of the Integrat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addition, the Perceived Economic Values and Functional Values were additionally reflected in the model. Innovation Resistance was selected as a moderating variable along with intention to use as a dependent variable. The analysis method is the verification through a survey of 300 executives and employees of companies that have introduced the RPA System and are scheduled to introduce them. Validity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nd the hypothesis of the study verified the causal relationship through path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s. As additional verific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RPA Acceptance Factors, Perceived Valu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Resistanc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Service Quality, Performance Expectation, Social Impact, and Functional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RPA System Characteristics on RPA Acceptance Factors, it was found that all variables had a significant impact, except for the Service Quality on effort expectations. Factors affecting Economic Value were Information Quality, Effort Expectation, and Facilitation Conditions, and factors affecting functional value were identified as Performance Expectation, Effort Expectation, and Facilitation Conditio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RPA Acceptance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PA System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use, Effort Expectations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service quality and intention to us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RPA Acceptance Factor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other variable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it was verified Economic Value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intention to use, and Perceived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variables played a mediating role. It was confirmed that Innovation Resistance plays a controlling role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litation Conditions and intention to use.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user's differentiated syste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PA System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automation industry.

      • 스마트워크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명섭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the wake of the recent COVID-19, the rapid transition from industrial to non-face-to-face digital economy based on IT technologies such as online platforms has also led to the establishment of non-face-to-face and non-contact work as a social phenomenon. Smart work, which has not made rapid progress in the review phase of the system, policy and introduction, has introduced various types of work, such as telecommuting, flexible work, smart work, mobile office, and its effect on improving efficiency, sustainability,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accept smart work were composed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system characteristics. Sub-factor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self-efficacy, personal innovative, and sub-factor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job autonomy, interactivity, economics, and sub-factors of system characteristics as availability, responsiveness, and security were derive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any influence relationship on the intention to adopt the smart work. For the study, a total of 401 answer sheets were collected online for two months from March 15 to May 15, 2021, and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amples of valid answer sheets, excluding 70 that were considered unfaithful or inappropriate. For empirical analysis, demographic frequency analysis and normality 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18.0 Ver.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path analysis, indirect effect analysis, and group-to-group comparison were conducted using R 4.0.4 Ver and plspm 0.4.9 Ver. as follows: Firs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fficacy and personal innovative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while sub-factor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job autonomy, interaction and economics all have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usefulness. Among the system characteristics, availability and responsive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perceived usefulness, and security items were shown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s. While job autonomy and economics have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value amo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teractivity has no significant impact,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value in both sub-factors of system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of economics has the greatest impact on perceived value. It can be seen that users perceiv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system characteristics as important factors in the acceptance of smart work, and it is important to develop smart work through diversification of working hours, methods, working conditions and employment. Seco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value f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system characteristics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value, and job satisfaction a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cceptance intent of the smart work. Third, interactivity that affect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perceived value in path analysis have been shown to have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adopt, proving to be factors that do not affect the intention to adopt of the smart work. Fourth, it was shown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men and women in the effect of interaction on perceived usefulness and security and interactivity on perceived value, and only in male groups, the effect of interaction on perceived usefulness was 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ults by dividing into groups over 40 and under 30 by ag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fficacy and personal innovative on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effects of system characteristics as responsiveness on perceived value.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only in the group under the age of 30 among all the target groups classified including the entire sample.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groups by classifying groups based on commuting time and distanc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ime and dis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for the activation of smart work, which is expected to be positioned as a major working environment in the future by acting as a useful benefit in both dimensions of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company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workers. 최근 코로나19의 여파로 산업분야에서 온라인 플랫폼 등 IT 기술을 기반으로 비대면 디지털 경제로의 급속한 전환이 촉진되면서, 비즈니스 환경 또한 비대면·비접촉 근무가 사회적 현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 동안 선행연구를 통해 제도와 정책, 도입에 대한 검토단계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급속한 발전을 이루지 못하던 스마트워크는 코로나19로 인한 위기상황 대처의 일환으로 기업에서 재택근무, 유연근무제, 스마트워크, 모바일오피스 등의 다양한 업무형태를 도입하면서 기업의 효율성 제고, 지속 경영, 근로자 복지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기여의 효과를 확인해 나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워크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특성, 환경특성, 시스템특성으로 구성하고, 개인특성의 하위요인으로 자기효능감, 개인혁신성을 환경특성의 하위요인으로 직무자율성, 상호작용성, 경제성을 시스템특성의 하위요인으로 가용성, 반응성, 보안성을 도출하였으며, 각각의 특성요인이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가치, 직무만족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워크의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관계의 유의성을 가지는지 실증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해 스마트워크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15일부터 5월 15일까지 2개월간 온라인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여 총 401부의 답변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불성실·부적절 자료로 판단되는 70부를 제외한 331부의 유효한 답변지 표본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SPSS 18.0 Ver을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빈도분석과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R 4.0.4 Ver과 plspm 0.4.9 Ver.을 이용하여 구조화 방정식 모델과 경로분석, 간접효과 분석, 그룹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인 자기효능감과 개인혁신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특성의 하위요인인 직무자율성, 상호작용성, 경제성 모두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특성 중 가용성과 반응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며, 보안성 항목은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특성 중 직무자율성과 경제성이 지각된 가치에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상호작용성은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시스템특성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에서도 역시 경제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워크의 수용에 있어서 개인특성보다는 환경특성과 시스템특성에 대해 사용자들이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기업에서 스마트워크의 도입을 위해서는 두 차원의 특성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야 하고, 특히, 사용자는 출퇴근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의 절감에 큰 관심을 갖는다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근무시간과 방법, 근로조건과 고용형태 등의 다양화를 통해 스마트워크를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환경특성, 시스템특성에 대해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가치, 직무만족 모두 스마트워크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로분석에서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성과 지각된 가치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보안성은 간접효과 분석에서 직무만족과 수용의도에는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스마트워크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요인으로 증명되었다. 넷째, 상호작용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보안성과 상호작용성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성과 여성의 그룹간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 그룹에서만 상호작용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40대 이상 그룹과 30대 이하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특성인 자기효능감과 개인혁신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시스템특성인 반응성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표본을 포함하여 분류한 대상 그룹 중에서 유일하게 30대 이하 그룹에서만 자기효능감이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퇴근시간과 거리를 중심으로 그룹을 분류하여 그룹간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간과 거리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과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 양쪽 모든 차원에서 유용한 편익으로 작용하여 미래의 주요 근무환경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되는 스마트워크의 활성화에 본 연구의 결과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기를 바란다.

      • 오픈뱅킹 기반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종섭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오픈뱅킹 기반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국의 만 20세 이상 금융소비자를 대상으로 2021년 6월에서 7월까지 2주간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룹 간 효과적인 비교 분석을 위해 모집단의 비율을 성별, 연령별, 소득별로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사전에 설정하여 통제하였다. 응답한 전체 2,067건 중에서 부적합, 표본 할당 초과, 불량 응답 등을 제외한 400건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사전검토를 통해 오픈뱅킹 기반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대표하는 5가지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가치기반수용모델과 프라이버시계산이론을 결합한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분석 도구로는 SPSS와 R을 활용하였다. 오픈뱅킹은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를 탄생시키는 B2B 핵심 인프라 이며, 국가 금융 산업의 경쟁력이다. 해외보다 늦게 시작했지만, 하나로 연동되어 있는 국내 금융공동망의 독특한 특성 덕분에 오픈뱅킹의 표준화된 인프라를 단기간에 구축할 수 있었다. 오픈뱅킹 서비스(B2C)로 알려진 계좌기반 통합서비스는 인프라의 극히 일부만 활용하는 것에 불과하다. 이제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인 오픈뱅킹이란 고속도로에 진입하여 진면목을 보여줄 수 있을지 시험대에 서게 되었다. 우리나라가 데이터를 빠르고 안전하게 배급함으로써 더욱 가치 있는 서비스로 발전시켜 미래 데이터 경제를 이끄는 금융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 to use MyData services based on Open Banking.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weeks from June to July 2021 targeting financial consumers over the age of 20 nationwide. For effectiv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groups,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was set and controlled in advance so that it was evenly distributed by gender, age, and income. A total of 2,067 people were surveyed, but the remaining 400 cases excluding nonconformities, excess sample allocation, and defective respons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Five characteristics representing open banking-based MyData service were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a research model that combined value-based adoption model and privacy calculus theory was presented. The analysis tools utilized SPSS and R.Open banking is the B2B core infrastructure that creates innovative financial services and gives us the competitive edge of the financial industry. Although Korea was a latecomer in open banking service, it was possible to build a standardized infrastructure in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financial network that is linked as one. Account-based integrated services, known as open banking services (B2C), utilize only a small part of the infrastructure. MyData service is now on the starting line of the world's best infrastructure open banking highway. By distributing data quickly and safely, it is expected that Korea will develop MyData service into a more valuable service and emerge as a financial advanced country that leads the future data economy.

      • O2O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영화관 티켓 발권서비스를 중심으로

        박소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스마트기기의 보급화로 일상의 환경이 모바일 환경으로 변화되면서 온·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O2O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배달, 숙박 등의 O2O서비스가 급성장하였지만, 과도한 경쟁과 낮은 서비스품질로 인해 일회성 이용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O2O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실시되고 있지만, 주로 기술수용모델의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추가적인 고려 요인을 확인하여 O2O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를 확대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O2O서비스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영화관 티켓 발권서비스를 대상으로 뉴미디어 채택 이론과 가치기반수용모형을 활용하여 O2O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뉴미디어 채택 이론에서 기술특성, 혁신특성, 개인특성 요인을 추출하였고, 가치기반모형의 지각된 가치의 개념을 추출하여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독립변수인 기술특성은 유용성, 사용용이성, 서비스편재성으로 구성되었으며, 혁신특성은 적합성, 시험가능성, 관찰가능성으로 구성되었고, 개인특성은 무력감, 기술불안감, 상호작용 욕구, 이전 경험으로 구성하였다. 매개변수인 지각된 가치는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로 구성하였고, 종속변수는 지속이용의도로 단일차원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최근 6개월 이내에 영화관 온라인(모바일포함) 티켓 발권서비스를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500부의 응답을 받았으며 그 중 응답이 부실하거나 오류가 발견된 96부를 제외하고 총 404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술특성의 사용용이성, 서비스편재성이 지각된 기능적 가치와 지각된 감정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유용성은 지각된 기능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혁신특성은 적합성과 시험가능성이 지각된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개인특성은 이전경험이 지각된 기능적 가치와 지각된 감정적 가치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무력감은 지각된 기능적 가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지각된 감정적 가치는 지속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지각된 기능적 가치는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O2O서비스의 지속이용을 위해 고려하여야할 특성요인을 구조적으로 살펴봄으로써 O2O서비스 발전을 위한 이론적인 의의를 가진다. 국내의 부족한 O2O서비스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뉴미디어 채택 요인을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새로운 기술서비스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실무적으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수립 할 수 있도록 제언하고, O2O서비스 분야의 활성화를 돕고자 하였다. O2O service that connects the on-line and off-line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life style changes to mobile environment due to the spread of smart devices. O2O services such as delivery and accommodation have grown rapidly, but they are only one-time use due to excessive competition and poor service quality. Although research was conducted to increase continuous use of O2O services, it has been conducted mainly in term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o this paper will exp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O2O services by identifying additional considerations.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O2O service by referring new media adoption theory and value-based acceptance model for movie ticketing services which hold continuous O2O service user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innovation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new media adoption theory are extracted, the concept of perceived value are extracted by value- based acceptance model, and then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n continuous use intention following previous research.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consist of usability, ease of use, and service ubiquity. Innovation characteristics consisted of compatibility, trialability, and observability.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nsist of inertia, technology anxiety, need for interaction, and previous experience. The perceived value of parameter variable is composed of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Finally, continuous use intention of dependent variable is setting as a single dimension.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users of tickets ticketing service of the cinema online (including mobile) within the last 6 months. A total of 500 copies was collected and 404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96 copies because of err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ase of use and service ubiquity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functional value and perceived emotional value, and usab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functional value. Compatibility and trialability both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Previous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functional value and perceived emotional value, and inertia has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functional value. Finally, the perceived emotional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but perceived functional value appeared to have no effect. This study shows a theoretical implication for O2O service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continuous use of O2O service structurally. This research conducted on O2O services lacking in Korea, and constructe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new technology services by integrating factors of adopting new media.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o establish a practical marketing strategy and help to activate the O2O service field.

      • 웹사이트의 컬러와 소비자 감성이미지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패션 브랜드를 중심으로

        김옥기 숭실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전 세계에 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팬톤은 매년 올해의 컬러를 선정하고 국내의 여러 기업들은 팬톤이 선정한 올해의 컬러를 통한 컬러 마케팅을 활용하여 유의미한 성과를 달성하는 등 점점 컬러마케팅의 중요성이 여러 분야에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및 모바일 쇼핑 액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각 기업에서 운영하고 있는 웹사이트 및 모바일의 색상이 소비자의 감성이미지 색채와 부합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패션 브랜드에서 운영 중인 웹사이트의 색채가 소비자가 인지하고 있는 감성이미지 색채와 일치하는지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여성정장, 아웃도어, 캐주얼, 유아복의 네 가지 카테고리별로 소비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감성이미지는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단색 및 배색의 색상을 도출한 후 실제 브랜드가 운영 중인 웹사이트의 색상이 이에 부합하는지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보다 실증적인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8년 4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회수된 152부의 응답 중 불성실한 응답을 12부를 제외한 140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후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I. R. I 색채연구소에서 제공한 형용사 이미지 및 단색, 배색 스케일을 활용해 감성이미지 및 감성이미지 색채를 도출하였다. 또한 각 브랜드별 웹사이트의 색상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표준색 색채분석 기술표준원에서 제공한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KSCA)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여성정장의 세 브랜드 모두 경우 감성이미지 분석을 통해 도출한 색채와 매우 유사한 색상을 실제 웹사이트에 적용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아웃도어의 경우 세 브랜드 모두 감성이미지 분석을 통해 도출한 색채보다 채도가 다소 낮은 색상들을 주로 사용함으로써 소비자 감성이미지 색채와는 다소 일치하지 않는 색상들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캐주얼의 경우 B 브랜드만이 감성이미지 분석을 통해 도출한 색채와 부합되는 색상을 실제 웹사이트에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유아복의 경우 B 브랜드 많이 높은 명도를 사용하여 소비자 감성이미지 색상과 일치할 뿐 나머지 브랜드들은 감성이미지의 색상과 일치하지 않는 색상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 브랜드를 대상으로 실제로 기업들이 운영하고 있는 웹사이트의 색상과 소비자들이 지각하고 있는 감성이미지 색채를 실증적으로 비교함으로써 기업들이 보다 적합한 소비자 감성 중심의 컬러마케팅을 활용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감성과 색채라는 주관적인 개념을 객관적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고 실제 기업에 적용함으로써 향후 연구자들이 해당 분야의 연구를 더욱 활발히 진행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져놓았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The importance of color marketing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many areas. Research on whether the colors of websites and mobile devices operated by companies are compatible with the emotional image colors of consumers is very scarce.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lor of wesites of fashion brands is consistent with the color of emotional image perceived by consumers To this end, in this study, consumers were asked to identify the emotional images perceived by the four categories: women's suits, outdoor, casual, and infant suits, to derive the colors of monochrome and combination accordingly, and then compare and analyze the colors of the websites in which the actual brand operates. For a mor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 April to 10 September 2018 and utilized 140 of the collected parts of the 152 responses, excluding 12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that, this study proposed emotionality image and emotionality image color by utilizing adjective image and monochrome and combination scale provided in I. R. I Color Institute based on the actual data. In addition,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KSCA) programs provided by the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Technology Standards Agency were used to analyze the colors of websites of each br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ll three brands of women's suits are using color that is very similar to color derived from emotional analysis on actual websites. Second, it showed that three brands all for outdoor don't match a little bit by using less chroma color than color emerged through emotionality image. Third, in the case of casual only b brand showed in applying on real web-site that color matched color emerged through emotionality image. Finally, in the case of baby clothes, it shows that colors of the B brand website are consistent with colors of emotional image using high value, but rest of them don't use color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color of emotional image. This study is expected to enable companies to take advantage of more suitable consumer emotionality-oriented color marketing by comparing the color of websites actually run by companies with the color of emotionality perceived by consumers. It also suggests that by analyzing the subjective concepts of emotionality and color through objective data and applying them to real businesses, researchers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more active research in the field.

      • VR기반의 디지털콘텐츠 구독 서비스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동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최근 글로벌 IT 기업은 5G 출시와 함께 차세대 미디어 플랫폼으로 실감형 미디어와 가상현실 기술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비자의 소비 패턴은 공유경제를 넘어 구독 경제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 기반의 가치기반수용모델(VAM)을 중심으로 가상현실(VR)과 디지털콘텐츠 구독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평가를 위해 사용 의도를 관찰하였다. 가설화된 모델은 317명의 설문 결과를 대상으로 PLS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VR 콘텐츠의 대표적인 편익과 희생 특성과 구독 서비스의 대표적인 특성을 잠재변수로 선정하고 지각된 편익과 지각된 희생, 그리고 지각된 가치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로 현존감(프레즌스), 멀미, 서비스 편의성, 이용 용이성, 서비스 신뢰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이 지각된 편익과 지각된 희생에 가장 중요한 지표들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가치는 VR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파악되었다. 지각된 편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는 현존감, 서비스 편의성, 이용 용이성, 서비스 신뢰성 4가지 변수로 조사되었다. 이들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는 서비스 편의성으로 조사되었고,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지각된 희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는 현존감, 멀미, 이용 용이성 3가지 변수로 조사되었고, 이들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는 이용 용이성으로 조사되었다. 이용 용이성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 기술성 3가지 변수로 조사되었고, 지각된 가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는 지각된 유용성으로 분석되었다. 기술성은 가장 낮은 영향 변수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는 가치 추구 행동이 유용성과 즐거운 경험을 얻기 위해 VR 디지털콘텐츠 구독 서비스를 채택하려는 행동 의도에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독 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한 그룹 간의 비교 결과에서는 VR 디지털콘테츠 구독 서비스 사용자 경험이 이용 용이성과 지각된 즐거움의 관계에 매우 높은 영향도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구독경제에서 추구하는 소비자 가치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전 세계적으로 미래 산업의 주도권 경쟁이 치열한 VR 산업에 대해 서비스 제공 기업과 콘텐츠 제작 기업, 정부가 소비자의 가치 인식을 기반으로 한 VR 산업 활성화와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Recently, global IT companies are paying attention to realistic media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as next-generation media platforms with the launch of 5G. In addition, consumer spending patterns are rapidly changing from a shared economy to a subscription economy. This study observed the intent of use for the perceived value and evaluation of virtual reality (VR) and digital content subscription services, focusing on the consumer-based value-based acceptance model (VAM). The hypothesized model was validated with a PL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f 317 survey results. The representative benefits and sacrifice characteristics of VR contents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subscription services were selected as potential variabl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sacrifice and perceived value was studi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resence, motion sickness, service convenience, ease of use, service reliabilit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were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for perceived benefit and perceived sacrifice, and perceived value was analyzed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for VR use intention. Th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perceived benefits were investigated as four variables: presence, service convenience, ease of use, and service reliability. Among thes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were investigated for service convenience, perceived usefulness. Th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perceived sacrifices were investigated as three variables: presence, motion sickness and ease of use, a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among them were investigated for ease of use. Ease of use was investigated to have a negative impact. Variables affecting perceived values were investigated as three variable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technicality, whil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perceived values were investigated as perceived usefulness. The technicality was investigated as the lowest influencing variable. The study found that value-seeking behavior has a fairly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adopting VR digital content subscription service to obtain usefulness and pleasant experience. Finally, a comparison between groups on the experience of using subscription services found that the user experience of VR digital content subscription services had a very high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These results could confirm the same results as the consumer values pursued in the subscription econom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help service providers, content production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create an ecosystem and vitalize the VR industry based on consumer value awareness for the VR industry, which is highly competitive for leadership in future industries around the world.

      •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용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latform-based sharing economy service is one of the new business models creat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and investment as awareness increases to reduce unnecessary consumption and protect the environment. The mobility sharing service is one of the platform-based sharing economy services,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innovative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ransportation (noise, air pollution and traffic jams, etc.) that occur as cities grow. In addition, as the recent spread of the COVID-19 has led to refraining from using public transportation, the mobility sharing service is gaining more attention as a personalized transportation alternative.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mobility sharing service for users with experience using the mobility sharing servic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ssumed economic benefits, convenience, sustainability, and sense of belonging as major causal variables of the use of mobility sharing service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of the influence of these causal variables on the intention to use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was verified through the PLS-SEM. The results showed that economic benefits, convenience, and sustainabil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relationship on perceived usefulness, while convenience, sustainability, and sense of belonging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njoyment. In addi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and perceived enjoyment had a higher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than perceived usefulness.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service typ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ath of sustainability and perceived enjoyment depending on the gend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ath of perceived enjoyment and intention to use depending on the ag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h of convenience and perceived enjoyment, and the path of belonging and perceived enjoyment.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derived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sharing economy, built a research model, and conducted empirical study. In addition, it was meaningful in that a more clear relationship test was conducted for actual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n academic basis for research related to various mobility sharing services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establishing a service activation plan in the industry. 플랫폼 기반의 공유경제 서비스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창출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중 하나로,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자는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관심과 투자를 받고 있다.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는 플랫폼 기반의 공유경제 서비스 중 한 가지로,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교통과 관련된 각종 문제(소음, 대기오염 및 교통 체증 등)의 혁신적인 해결책 중 한 가지로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최근 코로나 19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대중교통수단 이용을 자제하게 되면서 개인화된 교통대안으로서 더욱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유경제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경제적 혜택, 편의성, 지속가능성, 소속감을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의 이용 요인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이용 요인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을 매개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PLS-SEM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적 혜택, 편의성, 지속가능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 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의성, 지속가능성, 소속감은 지각된 즐거움에 정(+)의 영향 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은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 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유용성보다는 지각된 즐거움이 이용의도에 더 높은 영향 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 나이, 서비스 종류에 따라 그룹 간 차이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지속가능성과 지각된 즐거움의 경로 상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나이에 따라서는 즐거움과 이용의도의 경로 상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서비스 종류에 따라서는 편의성과 지각된 즐거움의 경로와 소속감과 지각된 즐거움의 경로 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공유경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변수를 도출하고, 연구모형을 구축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보다 명확한 관계 검정을 진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다양한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와 관련된 연구에 있어 학문적 토대로 사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산업에 있어서는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민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servic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our lives quickly. Digital transformation has been advanced in the overall economic and social area, and non-face-to-face such as online education and telecommuting has become commonplace. Non-face-to-face daily life through online was able to overcome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but on the other hand, problems of isolation and alienation arise. It is metaverse that has found a breakthrough in the virtual world where humans, who are social beings, have a desire to share and unite together online. As a new alternative to meet non-face-to-face demand at home and abroad, interest and development in metaverse that can increase scalability and realism beyond time and space constraints are increasing.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which has share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digital, is accustomed to communicating and interacting digitally, so metaverse is rapidly emerging around them. Met's great interest in Korea can also be seen in the "New Metaverse’s Industry Leading Strategy" to respond to changes in our society's overall trend, economy, and culture and prepare for the future. Through the Metaverse platform service, various developments have been presented as major issues to continue the traditional culture, art, games, animation, fashion, and sports of “Hallyu“ contents to competitiveness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2022). Unlike this social environment, research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service is insufficient. Looking at previous studies, the focus is on the case study of metaverse and the intention to use it to find out the degree of initial acceptance. Accordingl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metaverse platform services, feeling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er-centered use of metaverse platform services to expand infrastructure such as development and provis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to August 2022 for adults with experience in using metaverse platform services across the country.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effective comparative analysis was controlled so that gender among the proportions of the population was evenly distributed, and the metaverse platform service was selected as 7 platforms of the currently utilized virtual world type among the 4 types of metaverse. When adopting data for accurat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Of the total 543 copies of the responses, 415 copies excluding insincere and nonconformity respons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iability, Playfulness, Interactivity, and Social Presence were derived as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platform servic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continued use intention were examined through Affordance, which can be a theoretical basis for furthe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platform services. Based on the review that prior research on the metaverse service platform was mainly conducted as a case study, an empirical study was needed, and a research model was presented by combining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IS Success Model) and the post-acceptance model(PAM) to verify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the information system. SPSS (ver 22.0) and R (ver 4.1.0) were used as analysis tool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teraction and social presence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service were influenced by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Sensory Affordance and Functional Affordance were influenced by Affordance. Sensory Affordance has the most positive effect, and it was analyzed that Functional Affordance,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vity have an effect in order. Among the metaverse characteristics, Reliability, Playfulness, Interactivity, and Social Presence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hysical Affordance, Sensory Affordance, and Functional Affordance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Affordance. Functional Affordance has the greatest influence, and it was found that it affects Interactivity, Playfulness, Social Presence, Sensory Affordance, Physical Affordance, and Reliability in order. Differenc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groups were also fou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ived Usefulness in gender between Playfulness and Social Presence, which are metaverse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men had a much stronger influence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Playfulness than women, and women had a much stronger influence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Social Presence than men. Gender differences also appeared in the effect of Physical Affordance on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ived Usefulness in educational background in the group with less than college graduates and more than college graduates in Social Presence and Sensory Affordance. Less than college graduates have a much stronger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than college graduates,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al backgrounds in the effect of Sensory Affordance on Perceived Usefulness and Functional Affordance on Expected Satisfaction. In the form of participa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effects of Interactivity and Sensory Affordance on Perceived Useful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a user who is the end customer of the metaverse platform service.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roviders of metaverse platform services, as well as providers of metaverse platform services, improvements and development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establish business strategies, i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metaverse platform service infrastructure. 본 연구는 사용자 관점에서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코로나19 대유행은 우리의 삶을 빠르게 변화시켜 왔다. 경제·사회 전반의 영역에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앞당겼으며, 온라인 교육과 재택근무 등 비대면이 일상화되었다.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의 일상이 시공간의 제약 극복할 수 있었지만 반면에 고립화와 소외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사회적 존재인 인간은 함께 공유하고 연대하고 싶은 욕구를 온라인으로 연결된 가상세계에서 돌파구를 찾은 것이 바로 메타버스(Metaverse)이다. 국내외 모두 비대면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시공간 제약을 뛰어넘는 확장성과 현실감을 높일 수 있는 메타버스에 관한 관심과 발전이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의 성장과 발전을 함께 해 온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들은 디지털로 소통 및 교감하는 것이 익숙하기에 그들을 중심으로 메타버스가 급부상하고 있다. 국내의 메타버스의 큰 관심은 제 52차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 회의를 통해 메타버스는 우리 사회 전반의 흐름과 경제, 문화의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에서도 엿볼 수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전통문화·예술, 게임·애니메이션, 패션, 스포츠 등의 경쟁력을 확보하여 한류 콘텐츠의 다양한 발전을 주요 이슈로 제시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 이러한 사회적 환경과는 다르게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메타버스의 사례연구와 초기 수용 정도를 알아보는 사용의도에 초점이 맞춰져 활발히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의 활용과 개발 및 제공 등의 인프라 확충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구체화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전국의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2022년 7월에서 8월까지 온라인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효과적인 비교분석을 위해 사전 설문조사를 통하여 모집단의 비율 중 성별은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통제하였으며,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는 메타버스 네 가지 유형 중 현재 활용이 많이 이뤄지는 가상세계 유형의 7개의 플랫폼으로 선별하였다. 본 연구의 정확한 실증분석을 위해 자료 채택 시, 응답한 전체 543부 중에서 부적합하거나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128부의 응답지를 제외한 415부를 분석 자료의 모수로 선별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의 특성 요인으로 신뢰성, 유희성, 상호작용성, 사회적 실재감을 도출하였으며,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 특성을 추가로 설명해주는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는 어포던스를 통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의 선행연구가 주로 사례 중심의 연구로 이루어졌다는 검토에 따라 한계점을 극복하고 실증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여 정보시스템의 지속사용의도를 검증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성공모형(IS Success Model)과 후기수용모형(PAM)을 결합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분석 도구로는 SPSS(ver 22.0)와 R(ver 4.1.0)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대충족에는 메타버스 서비스 특성 중 상호작용성과 사회적 실재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포던스에서는 감각적 어포던스와 기능적 어포던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적 어포던스가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능적 어포던스,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각된 유용성에는 메타버스 특성 중 신뢰성과 유희성, 상호작용성, 사회적 실재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포던스에서는 물리적 어포던스, 감각적 어포던스, 기능적 어포던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어포던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상호작용성, 유희성, 사회적 실재감, 감각적 어포던스, 물리적 어포던스, 신뢰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간 비교분석을 통한 차이점도 발견하였다. 성별에 있어 지각된 유용성에 메타버스 특성인 유희성과 사회적 실재감이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유희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훨씬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사회적 실재감이 지각된 유용성에 훨씬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어포던스가 기대충족과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도 성별 간 차이점이 나타났다. 또한, 학력에 따라 대졸 미만과 대졸 이상의 그룹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감각적 어포던스가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나타났다. 대졸 미만 그룹은 대졸 이상 그룹에 비해 사회적 실재감이 지각된 유용성에 더욱 영향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각적 어포던스가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기능적 어포던스가 기대충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학력 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여 형태에 있어 자발적 참여와 비자발적 참여는 상호작용성과 감각적 어포던스가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식목적과 개인목적에 따른 이용목적의 그룹 간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의 최종 고객인 사용자 관점으로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의 공급자를 비롯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를 활용한 업무 및 교육, 홍보 등을 제공하는 제공자가 사용자의 요구충족 관점에서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또한, 제공자가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를 기획 및 포지셔닝, 공급하는 다양한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점과 발전 방향성을 살펴보고 사업전략을 구축한다면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 인프라 조성 및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에서 이모티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소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사회에 이르러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이용량이 증가하고 그와 연관된 시장규모도 점차 커지고 있다. 그로 인해 각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는 이용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모티콘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선택하는 이유 중 하나의 요소이다. 따라서 각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들은 다양한 이모티콘을 제공하여 타 메신저와의 차별화를 꾀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발전해나가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시장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이모티콘의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이모티콘의 지속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다양한 선행연구를 조사함으로써 요인들의 후보를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더 중요하게 다뤄진 것으로 판단되는 것들을 본 논문의 요인으로 선택하였다. 그렇게 선택된 요인은 간결성, 심미성, 유희성, 자기효능감, 자기표현 욕구이다. 이 중 간결성, 심미성, 유희성은 이모티콘의 특성으로 분류하였고, 자기효능감과 자기표현욕구는 이모티콘 이용동기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대불일치 이론의 확장 모델인 기대 충족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 모델을 사용하면서 지속사용의도를 분석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기대 충족이라는 요인을 추가하여 모델을 만들었다. 분석 결과 간결성과 유희성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통하여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심미성은 기대 충족을 통하여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자기효능감은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표현욕구는 지각된 사용 용이성, 기대 충족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면서 지속 사용 의도에 가장 크게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의 확산으로 이모티콘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그에 비해 이모티콘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모티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이모티콘 특성과 이모티콘 이용동기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관리하는 서비스 기업들의 마케팅 실무적 시사점에 기여하고자 한다. Mobile instant messaging(MIM) has been widely used in modern society due to its portability, speed and ease of use. In addition to simple text-based messaging, mobile instant message has now expanded to include graphics, images, and video. Many instant message service providers attempt to differentiate their service by providing an unique emoticon. Therefore,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affecting the continuous usage of emoticon could be essential to capture users interests. This study verifies the factors that affecting the continuous usage of emoticon as simplicity, aesthetics, enjoyment, self-efficacy and self-expression based on prior studies. Simplicity, esthetics, enjoyment are categorized to the factors for characteristics of emoticon and self-efficacy and self-expression are categorized to the factor for usage motivation of emoticon. Moreover, Expectation confirmation theory that is originated from Expectation disconfirmation theory is used to analyze this factors. The findings suggest that simplicity, enjoyment and self-expression have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Moreover, confirmation is positively influenced by aesthetics and self-expression. However, self-efficacy has no effect on confirmation and perceived ease of use. Finally, confirmation is positively influenced by perceived ease of use and continuous intention is positively influenced by perceived ease of use and confirmation. There are many research existed to concentrate on emoticon from widespread use of mobile instant message. However, there is relatively little study on emoticon hence,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ontinuous usage of emoticon through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emoticon and usage motivation of emoticon. Based on the result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practical implication of marketing on understanding user interest to mobile instant messenger compa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