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여가ㆍ레크리에이션 사상 연구

        하춘매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한국의 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어왔는가를 시대문화적 요인, 인간적 요인 그리고 문화정책적 요인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여 한국여가 레크리에이션사상의 특징을 찾고자 한 것이었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은 민족적 격침과 변화 속에서 발전되어왔으며 여가․레크리에이션활동의 토대로서 작용해왔다는 점이다.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은 시대적인 특성이 반영되어 나타났으며 특히 한국사회가 가진 정치경제 및 사회적인 상황변화에 따라 레크리에이션 사상도 달리 발전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전통사회의 여가․레크리에이션 사상은 전통적인 유교적 가치에 따라 삶의 한 방식으로 인식하였으나 신분적 계층성을 띤 가치로서 형성되었다. 일제시대에는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 민족개조를 위한 사상적 토대로서 특성을 보였다. 해방이후 여가․레크리에이션 사상은 정치, 사회적으로 혼란을 경험하던 시기에 전통적인 여가사상이 실종된 상태에서 서구의 여가사상이 유입되었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왜곡된 가치관이 혼재된 시기로 여가․레크리에이션의 사상이 방향을 설정하지 못한 특징을 보였다. 이후 1960년대 한국의 산업화가 시작되고 사회·문화적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이것에 부합하는 여가활동과 사상이 출현하였고 후기산업사회인 21세기에 들어와서 삶의 질을 개선하는 복지증진의 사상으로서 그리고 문화창조의 기반으로서 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이 형성되었다. 둘째, 한국의 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 형성은 그것을 주도하는 특정인물의 지배적인 가치 및 인식체계, 활동에 의해서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다는 점이다. 1890년대 1920년대 활동한 안창호의 경우 국운쇠퇴에 따른 민족적인 힘과 민족개조를 위한 차원의 덕․체․지 사상을 강조하고 우리민족이 부족한 사교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사교성을 키우는 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을 강조하였다. 1920년대󰠏 30년대 일제 강점기시대의 민족혼을 어린이의 교육과 계몽에서 찾은 방정환의 경우 물 흐르듯이 자연과 하나 되는 어린이의 전일성 체험을 강조하는 차원의 여가․레크리에이션 사상을 추구하였다. 해방 후 식민지상태에서 벗어나고 1950년 발발한 한국전쟁으로 정치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한국교육을 이끌었던 백락준은 1960년대 초까지 전인교육의 차원에서 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을 추구했다. 교육이 모든 분야의 건전한 육성에 있다고 보고 여가․레크리에이션도 인격과 품성을 육성하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개발경제시대에 활동한 김오중은 1960년대 한국의 경제개발에 힘입어 증대된 국민소득에 부응하여 생활의 질을 높이는 여가․레크리에이션 사상을 강조했다. 삶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에 입각한 현대적인 의미의 여가․레크리에이션개념을 정립하고 그것의 활동을 이끌어 오는 활동을 전개한 것이다. 1980년대에서 2000년대 초까지 활동한 박원임은 일본의 여가․레크리에이션활동을 한국에 접목시키는데 공헌하고 삶의 수준이 향상된 한국적 상황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중심의 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을 추구하였다.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을 주도한 이천희는 여가․레크리에이션 사상을 여가․레크리에이션활동의 본질적인 요소에서 찾아 그것을 일상성의 원리, 리듬의 원리, 그리고 즐거움의 원리에 바탕을 둔 것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 이천희는 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은 이성적인 것보다 감성적인 요소를 내포한 감성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을 추구한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시대적인 인물들이 가진 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을 비교할 경우 각각의 강조하는 사상이 다르고, 또 이러한 사상의 형성에 그 시대의 정치 경제적․ 사회적인 환경 속에서 이들의 사상도 달리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은 국가의 문화정책에서 강조한 정책방향에 의해서 시기별 특징적인 면을 보이며 발전해왔다는 점이다. 일본식민주의시대에서 여가․레크리에이션정책은 식민 지배를 위한 체육교육과 유희중심의 여가․레크리에이션에 초점을 두었고 이에 따라 식민사상고취의 여가․레크리에이션 사상과 그에 반발한 민족혼을 일깨우는 차원의 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해방 후 정치, 경제 및 사회적인 혼란 속에서 여가․레크리에이션정책은 단순히 문화적 관광자원의 보존과 개발에 국한함으로써 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이 뚜렷한 정체성을 가지지 못하는 시기적 특징을 보였다. 1960년대󰠏1970년대 말까지 산업화시기에는 경제성장정책과 더불어 여가․레크리에이션정책이 수립되기 시작함으로써 생활의 휴식방식으로서 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1980년대를 거쳐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정부의 여가정책에 대한 집중적 투자와 다양한 여가 정책 실시로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하는 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이 지배하여 여가․레크리에이션활동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사상은 1990년대 중반이후 실시된 지방자치의 가속화로 지방정부가 다양한 여가․레크리에이션시설과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복지실현의 한 방식으로까지 자리 잡고 있는 특징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여가․레크리에이션사상은 결국 시대에 따라서 나타나는 문화적 요인과 인간적 요인 그리고 정부가 강조하는 정책적 방향에 따라서 변화발전해 왔으며, 사상의 발전과정에서 이들 요인 간에 비교할 경우 일정한 공통적 특징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성교육과 학교폭력 예방에 관한 연구

        이명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를 통한 인성교육과 학교폭력 예방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이 명 환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의 배경 변인에 따른 인성교육 수준과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가 인성교육과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3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총300부의 설문지 중 39부를 제외한 261부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Window 21.0 version을 이용하였다. 배경 변인에 따른 인성교육과 학교폭력 예방에 관한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변량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 배경 변인이 인성교육과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더미 변수를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 변인에 따른 인성교육과 학교폭력 예방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높은 수준의 인성을 보였고, 태권도 종목에 참여하는 것이 인성교육에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배경 변인이 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인성교육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태권도 종목이 인성교육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배경 변인이 학교폭력 예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Effects of School Sports Activity Participants’ Background Variables on Personality Education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in Middle School MEOUNG-HWAN LE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middle school students’ background variables affect the personality education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how school sports activities affect the character building and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300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wo middle schools in Seoul responded to the survey. Among 300 respondents, 39 were excluded. 261 answers were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 Window 21.0 version.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personality education level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resulting from background variable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employed, and Scheffe post verification method was operated. To analyze the possible effect of background variables of experiment participants on personality education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regression analysis using dummy variables was used. Major three finding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research.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personality education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was found to be parti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Male participants showed higher sense of moral traits than female participants did, and Taekwondo proved to be the main factor elevating the level of participants’ personality education. Second, background variables were proved to be partially significant in terms of their impact on personality education level. Female participants were more affected by background variables in terms of forming character traits. Taekwondo proved to b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participants’ personality education. Third, background variables were proved no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 term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positive effects of school sports activities o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formation of upright character tra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Unfortunately, not statically strong correlation was observed throughout the research. The findings of this study leave room for improvement of school sports activities which were primarily intended to cultivate upright character traits and prevent school violence. Awareness-raising on school sports activities, hiring competent instructors, designing of programs to increase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sports activities and positive character building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diversifying the school sports activities and expanding the space for school sports activities can be effective solutions.

      • 초등학생의 뉴스포츠 경험이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준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초등학생의 뉴스포츠 경험이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김 준 범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뉴스포츠 경험이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들이 평소 체육수업이나 여가활동 시간에 뉴스포츠를 경험하는 정도에 따라, 그로 인한 방과 후 체육활동으로의 참여 및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여 학교체육활동 및 여가활동과 방과 후 체육활동의 연관성을 살펴보아 그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특별시에 위치하고 있는 초등학교 4곳을 선정하여 방과 후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초등학교 3·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50명 중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배경변인을 포함하여 참여도(참여수준, 참여동기, 흥미도) 16문항, 만족도(학습내용만족, 표현만족, 건강만족) 16문항으로 총 3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한 후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뉴스포츠 경험이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수준’, ‘참여동기’, ‘흥미도’ 등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참여도 요인 중에서 ‘참여수준’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초등학생이 뉴스포츠를 경험함으로써 방과 후 체육활동에도 열심히 참여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둘째, 초등학생의 뉴스포츠 경험이 방과 후 체육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내용만족’, ‘표현만족’, ‘건강만족’ 등 모든 만족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만족도 요인 중에서 ‘학습내용만족’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 초등학생이 뉴스포츠를 경험한 집단이 경험하지 않은 집단보다 방과 후 체육활동의 참여도와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뉴스포츠를 경험한 초등학생이 경험하지 못한 초등학생보다 방과 후 체육활동에서 참여도가 높고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뉴스포츠의 지향점은 전통적 체육수업과 더불어 체육수업이나 여가활동으로 활용되어 초등학생이나 청소년들이 체육교과에 더욱 흥미를 가지며 여러 가지 체육활동에 참여하게 만들고, 더욱 즐겁게 활동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프로그램이 행동발달에 미치는 효과 검증

        김진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발달장애유아의 신체활동프로그램이 행동발달에 미치는 효과 검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김 진 기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발달장애 유아의 신체활동프로그램이 행동발달 에 미치는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나타나는 변화의 양상을 세부적으 로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어떠한 신체활동이 발달장애 유아에 게 더 효과적이고 바람직한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S시에 위치한 유아교육 기관 중 발달장애 유아 교육을 전담하는 기관의 발달장애 1급, 2급, 3급의 유아 4명을 대상으로 16주간 주3회 30분씩 신체활동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KISE의 발달척도를 발달장애 유아에 맞게 재구성한 검사도구로 검정하였 다. 검사도구 설문지는 사전과 사후에 각각 담당교사가 유아들의 행동을 관 찰한 후 직접 응답한 설문지를 수거한 후 부호화(coding)하였으며, 이를 SPSS 22.0 version for Window를 통해 분석하였다. 세부적인 분석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설문도구의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해 전문가 2인에게 내용타당도 검정을 받았다. 다음으로 4명의 유아의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를 통계적 - ii - 으로 검정하기 위한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참여자가 4명으로 통계적 결과를 도출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표본 수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검정 후에 개별 아동들의 점수를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를 통해 비교하는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였 다. 이상의 연구 절차를 통하여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유아의 신체활동프로그램이 생활자립행동 중 식사하기, 옷 입고 벗기, 개인위생, 안전과 사회의식 요인은 향상되었고 효과가 있었 다. 둘째, 발달장애 유아의 신체활동프로그램이 사회·정서적 행동 중 자아의 식, 대인관계는 변화의 차이를 수치화하여 기술하기에는 다소 한계점이 있지만 또래 유아들과 협력적인 관계 경쟁적인 모습은 미약하나마 효과가 있었다. 셋째, 발달장애 유아의 신체활동프로그램이 언어적 행동 중 수용행동, 의 사소통, 상징화, 모방하기는 4명의 발달장애 유아가 소폭상승 하였으나 특 이한 점은 수용행동에 있어서는 효과가 드러나지 않았다. 넷째, 발달장애 유아의 신체활동프로그램이 인지적 행동 중 지각적 관계, 대상개념, 상징적 애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물에 대한 이해도는 증가한 것으로 보아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섯째, 발달장애 유아의 신체활동프로그램이 대 근육 운동 행동 중 균 형유지능력, 이동능력, 협의능력은 통계수치는 높게 나타났으며 주목할 점 은 균형유지능력에서의 발달이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다. 여섯째, 발달장애 유아의 신체활동프로그램이 소 근육 운동 행동 중 정 - iii - 교성, 지각운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하위범주로 구분된 정교 성과 지각운동에서는 변화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 적용한 신체활동프로그램은 발달장애를 가지고 있는 유아들에게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 서는 좀 더 오랜 시간 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방과 후 K-POP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여학생들의 학교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배지윤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방과 후 K-POP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여학생들의 참여하는 의미와 체험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참여자들의 학교생활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방과 후 K-POP댄스 프로그램의 참여 활성화와 기초적 자료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E’초등학교와 ‘B’초등학교의 방과 후 K-POP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 참여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방과 후 K-POP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유는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체험과정으로는 신체적체험과 정신적체험 으로 범주화 되었다. 먼저 내적요인에는 ‘즐거움’, ‘재미’로 해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욕구와 외적으로 보여지는 즐거움이 자신이 직접 경험을 하고 싶어서 선택하게 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내적 요인들은 신체활동 자체에서 얻게 되는 즐거움과 스스로의 만족감으로 인해 활동이 지속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었으며, 내적 동기가 부여 될수록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를 지속하게 된다고 볼 수 있었다. 외적요인으로는 ‘친구’, ‘운동’으로 해석되었다.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참여자들은 또래와 의사소통을 통해 친밀감을 높이기 위해 참여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와 관련하여 자기 자신에 대한 지각을 통해 체력향상을 위해 선택하게 되며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지 않으며, 신체를 움직임으로써 운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체험과정으로는 신체적체험과 정신적체험으로 범주화 되었다. K-POP댄스 체험을 통해 참여자들은 신체적으로 유연해짐과 몸짓의 섬세한 표현력 향상을 공통적으로 말하였다. 이러한 신체활동을 통해 운동부족으로 인한 저하된 체력 회복과 불안감과 긴장의 건전한 해소를 통해 스트레스 해소와 활력을 주고 있었다. 둘째, 방과 후 K-POP댄스 프로그램 참여와 학교생활에 대해 교우관계, 학교생활로 범주화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친구들과의 친밀감과 유대감을 형성하고자 했으며, 이는 학교생활에 있어 자기개념과 사교성 등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자신의 현재생활에 대해 적극적이며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방과 후 K-POP댄스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자신의 변화로 ‘사회적 자신감’, ‘인지적 자신감’으로 해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무대 경험으로 자신의 만족감을 통해 자신감으로 고취시키며 성취에 대한 뿌듯함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기쁨과 만족을 통해 자아실현을 시켜주는 장으로써 작용을 하였다. 이러한 자신감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자기표현을 통해 스스로의 변화를 경험 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여학생들에게 방과 후 K-POP댄스 프로그램 참여가 자신을 좋아하게 되며 춤을 추는 것을 통해 자신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기회가 생기면서 소극적인 행동보다는 적극적으로 바뀌게 됨으로써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찾는 삶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교 빙상종목 참가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김민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빙상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들 변인 간 인과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초등학생 빙상스포츠 참여의 긍정적 효과를 조망하고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 프로그램으로 빙상스포츠 종목에 활용 가능한 심리 및 사회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 아이스링크를 이용하는 초등학생 중 쇼트트랙 스케이팅과 피겨스케이팅 참여자 300명으로, 3개월 이상 운동 참여 경력이 있는 4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남녀학생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불성실 응답 등을 포함한 24명의 자료를 제외한 276명의 자료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 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인 6문항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22문항, 자아존중감 24문항, 학교생활만족도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처리는 SPSS 21.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응답자 일반적 특성 확인을 위한 빈도분석,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계수 산출 및 가설검증을 위한 결과분석으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를 통하여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반면, 자아존중감의 경우 가족존중감과 학교존중감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6학년생보다 4, 5학년생이 가족존중감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학교생활만족도는 학습활동 및 규칙, 교사와 친구관계 만족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학습활동 및 규칙, 학교행사 만족에서 6학년생보다 4, 5학년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목에 따른 차이로, 학교생활만족도 중 학습활동 및 규칙에서 피겨스케이팅 참여 학생이 쇼트트랙 스케이팅 참여 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도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가족, 학교, 사회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신체적 자기효능감 중 인지된 신체능력이 학습활동과 규칙, 학교행사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자아존중감 또한 학교생활만족에 정적 영향을 주었는데 그 중 학교존중감과 학습활동 및 규칙 만족, 가족존중감과 교사와 친구관계 간 인과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국내 빙상스포츠 수요가 점점 증가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건강을 위한 운동으로서의 일차적인 의미를 넘어 빙상 종목과 사회 심리학적인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초등학생의 빙상 스포츠 교육의 의의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만족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종화 고려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의 참여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하고, 신체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 만족 및 적응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남자 청소년(중학생)들을 대상으로 2016년 3월 2일부터 4월 29일까지 청소년(중학생) 550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550명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와 조사 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자료로 판단된 116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434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 하였다. 자료 분석은 참여 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일원변량 분산분석과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통해 검증 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참여기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차이 검증 결과, 신체능력, 자기표현 자신감,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주 참여빈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차이 검증 결과, 신체능력 요인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1회 참여시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차이 검증 결과, 신체능력, 자기표현 자신감,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만족의 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표현 자신감, 신체능력 요인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만족의 학교수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신체능력 요인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만족의 인간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표현 자신감, 신체능력 요인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만족이 적응의 교사관계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교수업 만족, 학교생활 만족, 인간관계 만족 요인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만족이 적응의 교우관계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간관계 만족, 학교생활 만족, 학교수업 만족 요인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만족이 적응의 수업관계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 만족, 인간관계 만족 요인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 번째,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만족이 적응의 규칙관계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 만족, 학교수업 만족 요인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한 번째,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의 교사관계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표현 자신감, 신체능력 요인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두 번째,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의 교우관계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표현 자신감, 신체능력 요인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세 번째,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의 수업관계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표현 자신감, 신체능력 요인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네 번째,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의 규칙관계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표현 자신감, 신체능력 요인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령산모의 임산부 복합운동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이인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고령 임신에 따른 문제 및 문제원인의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고령 산모의 부정적인 산 과적 예후를 예방하기 위한 산전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고령 산모의 효율적인 산전관리체계 개발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수행에 앞서 문헌고찰 후 고령 산모에게 적절한 산전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필요성 그리고 연구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그 후 13개월간(2015.03 - 2016.04) 온라인 신청을 통해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디킨스 대학의 반성적 순환구조 실행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행연구는 총 3차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1차 연구 대상자 1명, 2차 연구 대상자 1명, 3차 연구 대상자 2명으로 설정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총 12주로 구성하였고, 임신 27주부터 실시하여 출산 전까지 실시하였다. 1차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1차 연구 대상자에게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재개발 하였다. 2차 연구자에게는 재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통해 프로그램을 개선하였다. 3차 연구자 2명에게도 2차 실행연구 후 재개발 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이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운동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실행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 참여자들의 임신과 출산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무엇보다 연구에 참여한 고령 산모 4명 모두 순조로운 출산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분만에 성공하였다. 각자에게 적용한 프로그램은 달랐지만 연구자가 기존에 개발한 프로그램의 틀은 그대로 반영했기 때문에 서로 비슷한 연구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여 진다. 그들의 임신 기간 또한 고령 산모에 대한 편견을 없앨 수 있을 정도로 긍정적인 모습이 나타났고, 고령 임신에 따른 임신성 합병증과 부정적인 산 과적 예후는 발생되지 않았다. 오히려 임신 중 운동을 통해 체중이 조절되고, 체력을 향상시켰으며, 운동 전 나타난 통증과 부종을 해소할 수 있었다. 산전 운동을 통해 관리하며 임신 기간을 보낸 고령 산모들의 모습은 가족과 주변인에게 긍정적으로 다가왔으며, 산과 전문의에게 긍정적인 출산결과를 예측하도록 도와주었다. 또한 운동을 통한 산전 관리는 연구 참여자들로 하여금 분만 자신감을 향상시켰고, 불안과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긍정적으로 출산을 기다리는데 도움을 주었다. 실제로 연구 참여자들의 분만 상황은 흔히 알고 있는 고령 산모의 출산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진통 중 운동을 통해 진통을 감소시키고 태아를 밀어내는 과정을 통해 진통 시간을 단축시켰으며, 분만 시 적절한 호흡법으로 분만 시간을 단축시켰다. 또한 임신 중 운동은 체력을 향상시켜 분만 시 체력 저하를 막아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을 고령 산모의 임신기간과 출산 전반을 고려하여 복합적으로 구성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때문에 고령 산모에게 보다 적합한 산전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저 출산의 위기에 있지만, 고령 산모의 구성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고령 산모를 고위험 산모로 분류하고 있어 고령 임신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고령 임신에 따른 문제에 대해 부각시키는 연구보다 문제원인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를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나라 고령 산모에게 임신으로 인한 두려움을 겪지 않게 도와줄 것이며, 긍정적인 출산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고령 산모의 임신성 합병증 예방과 불량한 출산결과 감소 그리고 단순 제왕절개분만율 감소는 고령 산모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바람직한 결과를 야기하는 일이며, 국가적 손실을 최소화 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고령 산모라도 적절한 산전 관리를 통해 임신 기간을 보낸다면 일반 산모에 못지않은 긍정적인 출산경험을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때문에 고령 산모와 산전 운동의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령 임신에 따른 문제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다면, 고령 산모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바람직한 출산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대학생의 스포츠동아리 참여와 종목유형에 따른 사회성 발달의 차이

        이찬복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스포츠 동아리 활동에 참가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참가 종목유형에 따른 사회성발달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소재하는 5개 대학교에서 각각 50명씩 스포츠동아리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대학생 전체 250명을 비확률 표본추출 방법 중 하나인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설문지는 참고문헌 및 국내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설문지를 본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배경변인)에 따른 사회성발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하였으며 스포츠 종목유형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배경변인)에서 성별, 학년, 참여빈도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사회성은 다섯 가지 하위변인 중 지배성, 사교성의 발달은 남성보다 여성이 더 큰 발달을 보였고 자율성의 측면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더 큰 발달을 나타냈다. 학년에 따른 사회성은 활동성, 자율성의 측면에서는 고학년이 큰 발달을 보였고 사교성의 측면에서는 저학년이 큰 발달을 보였다. 참여빈도(주당참여횟수, 1회 참여시간)에 따른 사회성은 주당참여횟수가 3회 이상 되는 참여자의 지배성, 사교성, 자율성이 크게 발달하였다. 또한 1회 참여시간이 4시간 이상 되는 참여자의 활동성이 가장 크게 발달하였고 안정성, 지배성, 사교성 측면에서는 2시간이상~3시간미만 되는 참여자의 발달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동아리 종목유형에 따른 사회성발달의 차이는 스포츠 동아리 종목유형에 따라서 사회성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인 활동성, 안정성, 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성 측면에서는 개인종목>단체종목>대인종목 순서의 발달을 보이며 안정성 측면에서는 대인종목>단체종목>개인종목 순서, 지배성 측면에서는 단체종목>대인종목>개인종목, 사교성 측면에서는 단체종목>개인종목>대인종목, 자율성 측면에서는 개인종목>대인종목>단체종목의 발달정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과 일치한 결과로 종목유형에 따른 사회성 발달이 종목에 따라 차이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 발달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 중 활동성, 자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종목 스포츠를 하는 것이 가장 도움이 되며 안정성 향상을 위해서는 대인종목 스포츠를 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지배성, 사교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단체종목 스포츠를 하는 것이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