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기질, 우울, 양육태도 및 자녀성격과의 관계분석

        김명숙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temperament, depression, parenting attitude and child's character and effects on child's character from main factors such as mother's temperament, depression and parenting attitude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data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total 123 pairs of mother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ive in 7 cities over all Korea.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by Lee, Young-Ho and Song, Jong-Yong(1991) was administered to assess mother's depression, TCI-RS for mothers by Min, Byung-Bae, Oh, Hyun-Sook and Lee, Ju-Young(2007) was administered to assess mother's temperament, PARQ/Control(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Control) by Nahm(2006) was administered to assess mother's parenting attitude. In order to examin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children, frequency statistics was used. Reliability analysis of research tools was examined by Cronbach's alpha.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measured by correlation analysis. The causal relationship and parameter effect were investigated by structural path analysis. Because fit index of study model and validation model which verified the direct effects of child's character from mother's temperament and depression met significant level,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mother's temperament and depression, mother's depression and child's character, mother's temperament and child's character,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attitude, mother's temperament and parenting attitude and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s character. The effect of mother's temperament on child's character was positive and the effect of mother's depression on child's character was negative but they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Second, Mother's parenting attitude was found positively significant to child's character. Mother's temperament showe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child's character through parenting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showe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from mother's temperament, a positive effect on parenting attitude from mother's temperament, a negative effect on parenting attitude from mother's depression but all above pathes were not sufficient to the significant level. But the main hypothesis of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the indirect effect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to child's character rather than on the direct effects of mother's temperament and depression. Even though the direct effects of mother's temperament and depression to child's character were not proved,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Miller, Cowan, Cowan, Hetherington & Clingempeel, 1993; Chang, 2011) that mother's temperament and depression did not have direct effects on child's character.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all variants, mother's temperament, depression, parenting attitude and child's character had the meaningful relationships, mother's parenting attitude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hild's character, and mother's temperament ha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child's character through mother's parenting attitude. Mother's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parenting attitude to a certain degree tha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s character but a significant level was not sufficient. So child's character can be assumed based on mother's parenting attitude. The study showed meaningful results that even if a mother has handicaps in temperament and/or innate depression, it is possible for her to help forming a child's character with positive parenting attitude. KeyWords: TCI, mother's temperament, mother's depression, parenting attitude, child's character 본 연구는 아동기 자녀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되는 어머니의 기질, 우울, 양육태도 및 자녀 성격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기질과 우울이 양육태도를 매개로 자녀 성격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7개 지역에 거주하는 123명의 초등학생과 그들 각각의 어머니들이었다. 어머니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서 한국판 Beck 우울척도(이영호, 송종용, 1991)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기질은 기질 및 성격검사, TCI-RS(민병배, 오현숙, 이주영, 2007)를 통하여, 자녀의 성격은 TCI의 아동용인 JTCI(오현숙, 민병배, 2007)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수용-거부/ 통제척도, PARQ/Control(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Control, Nahm, 2006)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내적합치도(Cronbach's alpha)를 분석하였으며,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분석과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과 어머니의 기질과 우울이 자녀 성격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모형이 유의 수준에 만족되는 적합한 부합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기에,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기질과 어머니의 우울, 어머니의 우울과 자녀 성격, 어머니의 기질과 자녀 성격,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태도, 어머니의 기질과 양육태도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 성격 모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기질은 자녀 성격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고 어머니의 우울은 자녀 성격에 부적인 영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자녀 성격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기질은 양육태도를 매개로 자녀 성격에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기질에서 우울은 부적인 영향을, 어머니의 기질에서 양육태도는 정적인 영향을, 어머니의 우울에서 양육태도는 부적 영향을 보였으나, 모든 경로가 유의수준에 충분하지는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주 가설이 어머니의 기질 및 우울은 자녀의 성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있으므로 비록 어머니의 기질과 우울이 자녀 성격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증명되지 못했으나, 전체적인 연구결과는 기질과 우울이 자녀 성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Miller, Cowan, Cowan, Hetherington & Clingempeel, 1993; 장춘이, 2011)는 선행 연구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어머니의 기질과 우울 및 양육태도와 자녀 성격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자녀 성격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기질은 자녀성격에 양육태도를 매개로 해서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머니의 우울은 자녀 성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양육태도에 다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수준에 충분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라 이후의 자녀 성격을 대략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가정된다. 어머니가 기질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갖고 있고, 우울감이 내재해 있다고 하더라도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가질 수 있다면 충분히 자녀의 건강한 성격 형성을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주요어: TCI, 어머니의 기질, 어머니의 우울, 양육태도, 자녀 성격

      • 청소년의 기질과 성격 및 부모와의 애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박연신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research is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temperament, character and attachment to their parents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effects of these three factors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181 students who go to four academic high schools located in Hwaseong–si and Suwon-si and has been conducted for almost one month from the beginning of December in 2011.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students’ character and temperament is used Junior Temperament Character Inventory, shortened as JTCI, which became standard by Oh Hyeon-suk, Lee Ju-yeong and Min Beong-bae(2003) and the one for measuring an attachment to parents is used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 IPA, which was modified and became valid by Yu Seong-geong, Park Seung-ri and Hwang mae-hyang(2010). Average of three subjects,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in a school grading system which was tested as the finals in the first semester in 2011 is used as samples fo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This study is based on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dolescents’ character, temperament and attachment to their parents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a pha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 of these three factors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s. The experimental findings are like the followings: Firstly, There i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temperament and attachment to their parents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especially the sub-factor ‘patience’ has a great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followed by the factor ‘pursuit for stimulation’. That is, these two temperaments are the main sub-factors and in particular, patience is more explanatory than pursuit for stimul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pursuit for stimulation’ has a bad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This means that the lower pursuit for stimulation and the higher patience they have, the highe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become. Secondly,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haracter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especially, its sub-factor ‘autonomy’ has a strong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This result shows that autonomy and solidarity, in particular, are positively affe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That is, this means that the higher autonomy and solidarity students have, the highe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become. Thirdly, there is also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temperament and attachment to their parents and especially, patience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ir attach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tudents’ pursuit for stimulation and risk-averse attitude have a negative effect on attachment to their parents and students’ social susceptibility and patience have an effect on their attachment. In other words, the lower students’ pursuit for stimulation and risk-averse attitude and the higher students’ social susceptibility and patience are, the higher students’ attachment to their parents is. Lastly, there i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ttachment to their parents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in particular, credibility has a strong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s. The credibility and alienation, sub-factors of attachment, positively influenc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This means that the higher credibility and alienation are, the highe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dolescents’ temperament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their character and academic achievements, their temperament and attachment to their parents and attachment to parents and academic achievements all have meaningful relationships. In this research, students’ temperament, character, and attachment to their parents have an impa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students’ temperament also influence their attachment to their parents. This shows that these results could be good counseling references for parents who want their children to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lso, these study findings can help school teachers understand students’ temperament and character and will be useful in teaching and guiding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시기의 청소년의 기질과 성격, 부모와의 애착이 학업성취도와 어떤 관계를 가지며 기질과 성격 및 애착의 어떤 요인이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원시와 화성시 4개교의 인문계 고등학생 181명이며, 2011년 12월 초부터 말까지 실시하였다. 기질과 성격의 측정도구로는 오현숙과 민병배, 이주영(2003)이 번역하여 표준화한 청소년용 기질 및 성격검사(Juior Temperament Character Inverntory: JTCI)를 사용하였고 애착검사로는 유성경과 박승리, 황매향(2010)이 수정하고 타당화한 초, 중, 고등학생용 부모애착검사(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 IP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학업성취도는 2011학년도 1학기말의 국어, 영어, 수학 계열 중 각 과목별 1과목을 선정해 세 과목 내신 등급의 평균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질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성격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기질과 애착과의 관계, 애착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업성취에 기질과 성격 및 애착 각각의 요인들 중 무엇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기질적 특성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그중에서 인내력이 가장 크게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은 자극 추구 순으로 나타났다. 곧 두 기질 요인이 모두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인이지만 이중 인내력이 더 큰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극추구 성향은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내력 성향은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극추구 성향이 낮을수록, 인내력 성향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는 높아짐을 의미한다. 둘째, 청소년의 성격적 특성과 학업성취도는 정적으로 매우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자율성이 가장 크게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소년의 자율성 성향과 연대감 성향이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자율성 성향과 연대감 성향이 높으면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셋째, 청소년의 기질적 특성과 애착 사이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인내력이 애착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자극추구 기질과 위험회피 기질은 애착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민감성 기질과 인내력 기질은 애착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자극 추구 성향과 위험회피 성향이 적을수록 그리고 사회적 민감성 기질 성향과 인내력 기질 성향이 높을수록 부모와의 애착이 잘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청소년의 애착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신뢰가 학업성취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의 하위 요소인 신뢰와 소외는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뢰감과 소외감이 클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고등학교 시기의 청소년의 기질과 학업성취, 성격과 학업성취, 기질과 애착, 애착과 학업성취는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질과 성격 및 부모와의 애착변인이 모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청소년의 기질 요인이 부모와의 애착에도 영향을 미치며 애착이 학업성취도에 다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기질이 애착을 매개로해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것은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바라는 부모들에게 부모상담의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특히 학업성취를 돕는 학교 현장의 교사에게도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학생의 기질과 성격에 대한 이해는 생활 및 학습지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육군 병사들의 기질 및 성격과 군 적응력의 관계

        이연희 한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병사를 대상으로 기질과 성격이 군 적응력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격이 기질과 군 적응력 간에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회귀 모형을 통해 알아보자 했다. 연구대상은 A 지역의 00사단에 소속된 143명의 육군 병사들 이었다. 병사의 군 생활 적응력을 알아보기 위해 Stouffer(1949)가 만든 척도를 1969년 이윤희가 번역하였고 신태수(1981)가 이를 다시 한국군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한 군 생활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고, 병사의 기질 및 성격은 TCI-RS(민병배, 오현숙, 이주영, 2007)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Cronbach'α)를 분석하였으며,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분석과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모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병사의 4가지 기질특성 중 인내력, 사회적민감성, 위험회피 3개의 기질특성이 군 적응력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병사의 인내력과 사회적 민감성은 정적인 결과가 나왔고 위험회피는 부적인 결과가 나왔다. 자극 추구는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다. 둘째, 병사의 3가지 성격특성 중 자율성과 연대감 2개의 성격특성이 군 적응력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율성과 연대감은 정적인 결과가 나왔으며 자기 초월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왔다. 셋째, 병사의 기질이 성격을 매개로 하여 군 적응력의 조절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두었던 병사의 기질과 군 적응력은 성격을 조절 효과로 영향을 미치고, 성격이 조절 효과로 적응력에 영향을 미칠 때 기질과는 관련 없이 적응력이 높을 수 있다는 가설은 유의한 수준이 되지 못했다. 하지만 4가지 기질특성 중 인내력과 사회적 민감성이 높을수록 군 적응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회피가 높을수록 군 적응에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가지 성격특성 중 자율성과 연대감 이 높을수록 군 적응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육군 병사, 군 적응력, 기질, 성격 This study focused on determining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soldier’s disposition and personality upon their adaptability to the military, and identifying through the regression model if the personality has regulation effects between the disposition and the adaptability to the military. The objects of this study involved 143 soldiers, who belonged to OO army division in A region. The military life adaptability index,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Stouffer (1949), and translated by Yunhee Lee (1969), which was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Taesu Shin (1981) to adequately reflect the Korean military conditions, was used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soldiers’ adaptability to the military. Each individual’s disposition and personality were measured by TCI-RS (Byungbae Min, Hyunsook Oh, Juyoung Lee, 2007).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frequency analysis for identifying the subjects of study, and the the research method underwent the Cronbach'α analysis for the reliability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a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determine the regulation effect.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among the four disposition factors, patience, social sensitivity, and risk avers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daptability to the military. The soldier’s patience and social sensitivity showed a positive relation, and the risk aversion showed a negative relation. Stimulus-seek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daptability. Second, among the three personality factors, the autonomy and the sense of solidarity factors have shown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daptability to the military. The autonomy and sense of solidarity posed a positive relation, and the self-transcend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daptability. Third, the hypothesis that the soldier’s disposition affects the regulation of military adaptation on the basis of the personality was identified to be nonsignificant. This study focused on verifying the hypothesis that the soldier’s disposition affects the military adaptability through the personality, and the personality’s effect of improving the adaptability through the regulation effect is unrelated to the effect of the disposition. Such hypothesis were proven to be nonsignificant.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four disposition factors, a higher level of patience and social sensitivity enhances the adaptation to the military, and a higher level of risk aversion lowers the level of adaptation. Also, among the three personality factors, autonomy and the sense of solidarity are identified to have an effect to increase the adaptability.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a proposal to the future studies and discussion. Key words: army soldier, adaptation to the military, disposition, personality

      • 팬데믹시대에 사별을 경험한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우울에 미치는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수용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팬데믹 시대에 사별을 경험한 노인의 자아통합 감광 우울에 미치는 미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D 시의 농촌의 74세의 사별 경험 여성 독거노인으로 연구 목적에 동의하고 참여 의사를 밝힌 한 명의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미술 프로그램은 2022년 4월 6일부터 2022년 5월 11일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자아통합감 척도, 우울 척도, 빗속의 사람 (PITR: Person In The Rain) 그림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실시를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프로그램 참여자의 가족관계, 생활수준, 교육수준 등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였고 자아통합 감광 우울감의 사전·사후 변화량으로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자아통합 감광 우울감이 정리된 회기별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데믹 시대에 사별을 경험한 노인의 자아통합 감어 미술치료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하위 영역별 생활에 대한 만족, 지나온 일생에 대한 만족, 노령에 대한 수용, 죽음에 대한 수용에 미술치료가 전반적으로 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에 높은 변화를 보였다. 둘째, 팬데믹 시대에 사별을 경험한 노인의 우울에 미술치료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하위 영역별 정석, 인지, 행동, 신체 및 생리 증후군 등의 우울 감소의 변화량에 효과를 나타냈다. 과거와 현재에 대해 조화와 균형을 이뤄 현재 생활에 만족감 향상 및 긍정적인 이해를 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팬데믹 시대에 사별을 경험한 노인의 자아통합감 향상과 우울 감소에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self-integrated photosensitive depression in the elderly who experienced bereavement in the pandemic era.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74-year-old woman living alone in rural D,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expressed her intention to participate, and conducted a case study of one person by maintaining distance. The art program ran a total of 10 sessions, 60 minutes a week from April 6, 2022 to May 11, 2022. As for the research tool, a self-integration scale, a depression scale, and a PITR (Person In The Rain) picture test were conducted, and a pre-post test was performed.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seats, family relationships, living standards, education levels, and age of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analyzed, and the significance was examined as the pre- and post-change amount of self-integrated photosensitive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rt therapy with self-integrated winding of the elderly who experienced bereavement in the Pandemic era was effective. In other words, art therapy showed a high amount of change in overall self-integration in satisfaction with life by sub-area, satisfaction with past life, acceptance of old age, and acceptance of death. Second, it was found that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ho experienced bereavement in the pandemic era. In other words, it showed an effect on the amount of change in depression reduction such as normality, cognition, behavior, body and physiological syndrome by sub-area. It can be seen that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satisfaction and a positive understanding in current life by balancing the past and the present with harmon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becam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rt therapy programs to improve the sense of self-integration and reduce depression of the elderly who experienced bereavement in the Pandemic era.

      •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진로의식, 학업성취,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이평화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parenting attitudes, career awarenss, academic achievement and happiness are related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career awareness, academic achievement and happiness. The study surveyed 184 students in the second or third grade of academic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with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are the survey of parenting attitude that children recognize, which was developed by Huh, Myoyeon(1999), career maturity measurement developed by Lee, Gihak(1997)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by Diener.E (1985). For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 the study used the final exam grade of three subjects - Korean, math and English - in the first semester. Collected survey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8.0. and were process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ing attitudes were correlated with career awareness, academic achievement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Father's parenting attitude is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and happiness and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awareness. Mother's parenting attitude is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awareness, academic achievement and happiness. Second, father's inconsistent and controlling attitudes highly affected adolescents' career awareness. The lower inconsistent attitude father has and the higher controlling attitude father has, the higher career awareness adolescent shows. On the other hand, mother's parenting attitude has no relation to adolescents' career awareness. This result shows that father has a greater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awareness than mother. Third, all of father's parenting attitudes, his abusive and overly expectant attitudes affected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higher abusive attitude the father has and the lower expectant attitude the father has, the higher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becomes. All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her abusive and overly expectant attitudes affect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ame way as the father's. One difference between those is that 3 percent of influence exists - father, 8 percent and mother, 11 percent. Finally, father's intervening attitude affected adolescents' happiness the most and then expectant and neglecting attitude come in the second and third position. The more father intervenes, the less he expects and the more he neglects, the happier adolescents feel. However, in the case of mother, the adolescents feel much happier when she shows lower affection and expectation towards her daughter or son. Based on the results above, rearing attitudes of parents, career awareness, academic achievement, happiness were correlated and each sub-variable of rearing attitudes of parents affect career awareness, academic achievement and happiness with different degree.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other previous studies, it is recognized that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 of discriminating genders of subjects so that more specific and useful data could be offered to counselors and parents for effective guidance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고등학생 자녀의 진로의식, 학업성취 및 행복감에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고 부모의 양육태도 중 어떠한 변인이 각각 고등학생 자녀의 진로의식, 학업성취 및 행복감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위해 경기도 지역의 인문계 3개 고등학교 2학년 및 3학년 남녀학생 184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부모의 양육태도검사(허묘연, 1999), 진로태도성숙검사(이기학, 1997), 행복감 척도(Diener, 1985)를 사용하였고 학업성취도 분석을 위해서 학생들의 1학기 기말고사 성적 등급중 국어, 수학, 영어 성적만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와 진로의식, 학업성취 및 행복감 간에는 정적 혹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행복감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진로의식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행복감, 진로의식, 학업성취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태도 중에서 비일관성과 감독의 태도가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일관성이 낮을수록, 감독하는 성향이 높을수록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그 어떠한 요인도 아버지의 경우와는 다르게 고등학생의 진로의식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시기의 청소년의 진로의식발달은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본 연구대상을 통해 확인되었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태도 중에서 학대와 과잉기대의 태도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대하는 성향이 높을수록, 과잉기대의 태도가 낮을수록 학업성취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마찬가지로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에서도 과잉기대와 학대하는 태도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과잉기대의 태도가 낮을수록, 학대하는 성향이 높을수록 학업성취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연구된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총 변량은 8%,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연구된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총 변량이 11%로서 3%의 영향력 차이만 보일 뿐이다. 넷째, 아버지의 양육태도 중에서 과잉간섭이 연구된 고등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과잉기대 및 방치하는 태도가 행복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태도 중 과잉간섭이 클수록, 과잉기대가 적을수록, 방치하는 성향이 클수록 고등학생의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에서 애정과 과잉기대가 고등학생의 행복감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애정과 과잉기대의 태도가 낮을수록 행복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부모의 양육태도가 고등학생 자녀의 진로의식, 학업성취 및 행복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진로의식, 학업성취 및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이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서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하위 변인이 동일한 경우에는 그 설명력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선행연구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구별된 조건에서 연구를 진행하여 각기 다른 진로의식, 학업성취 및 행복감을 설명하여 보다 효율적인 학생지도 및 부모 상담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 위험회피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불안정 성인애착의 매개효과와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곽아영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19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위험회피 기질과 우울의 관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위험회피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경로와 불안정 성인애착을 통한 간접경로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384명을 대상으로 위험회피 기질 측정을 위한 성인용 기질 및 성격검사(TCI-RS), 우울척도(BDI-Ⅱ), 성인애착 척도(ECR-R), 인지적 유연성 척도(CFI)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과 SPSS PROCESS MACRO 2.13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회피 기질, 불안정 성인애착, 우울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고, 인지적 유연성은 위험회피 기질, 불안정 성인애착, 우울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위험회피 기질과 우울의 관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졌다. 셋째, 위험회피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경로에서 인지적 유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넷째, 위험회피 기질이 불안정 성인애착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에서 인지적 유연성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우울취약성의 발달과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기질적 취약성으로 인한 우울한 환자들의 치료에 애착 및 기질을 평가하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the relations of Harm Avoidance and Depression symptoms. and to find out the moderated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that are assumed to operate on the where Harm Avoidance has direct effect on Depression symptoms and to operate on a mediated indirect path that Adult Attachment. 384 adults aged over 19 years participated in the survery for this study, and all of each participant were subject to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Ⅱ),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RS),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Revised (ECR-R), and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CFI). SPSS 18 and SPSS PROCESS Macro 2.13 a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arm Avoidance, Adult Attachment, Depression symptoms and Cognitive Flexibilit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Harm Avoidance, Adult Attachment, Depression symptoms. Second, Adult Attach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Harm Avoidance and Depression symptoms. In other words, it is cerified that not only Harm Avoidance has direct effect on Depression symptoms, it also has indirect effect through Experiential Avoidance. Third, Cognitive Flexibility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Harm Avoidance and Depression symptoms. Forth, Cognitive Flexibility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symptoms.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depressive vulnerability and further assessing attachment and temperament in the treatment of depressed patients due to temperamental vulnerability. In addition, this implic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북한이탈아동의 자기존중감과 또래관계기술에 대한 게슈탈트 집단 미술치료 사례 연구

        정순택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elp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who have a strong urgency to adapt to schools and society in South Korea but are having a difficulty of doing so because of the psychological problem and the lack of knowledge on the appropriate way to deal with that problem. Their inadequate respond to the problem results in the failure of adaptation, so this study attempts to find a way for them to adjust to a new circumstance and grow as a healthy member of South Korea society. Various research and the author's personal experience have shown that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have very low self-esteem due to confounding factors, and their high self-sufficiency and self-respect can become hinderance in building relations with their South Korean friend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group art-therapy on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self-esteem and peer relational skills based on the notions of 'now-here', 'recognition', 'resolution', and 'practical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Gestalt theory. A specific group art-therapy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Gestalt theory for this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16 times, once a week for 90 minutes, between February 14th and July 18th 2014. Three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and three South Korean counterparts from the same care center in K city were the subjects. The methodology used was 'self-esteem measure'. This method was developed by Bo-ga Choi and Gui-yeon Jeon (1993) and revised by Sang-gil Choi (2005) based on research by Coopersmith (1967). 'Peer relational skills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PRS-AC was used for measuring peer relational skills which was developed by Yoon-ran Yang (2004) based on previous studies (Caldarella & Merrell, 1997; Gresham & Elliott, 1990). The vocabulary was revised for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based on Cronbach‘s α 0.90. Furthermore, pre- and post-therapy HTP painting tes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observe unconscious changes which are not measurable. Also, the transcription of the records and pictures collected to track the behavioral change of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were us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research. In an attempt to contain the consistency of observa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research assistant, the daily record was written and analyzed carefully in accordance with the behavior observation guideline previously set. For qualitative analysis of behavioral change, additional observations (Cronbach's α .85) were conduced by a reliable research assistant. Self-esteem of both the North and South Korean subjects were increased in general after the therapy with some variation in speed and sub-variables between individuals. There was also a positive impact on the North Korean subjects' peer relational skills after the therapy. Their self-assertion and leadership abilities were improved the most, and cooperation, empathy and self-expression were also highly improved. These changes were also shown in the South Korean subjects; for example, they tried to understand and help their North Korean pe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group art therapy based on Gestalt theory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and peer relational skill of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More children who haven't been exposed to this therapy can benefit from this theory become more adaptative to schools and society in South Korea. Regardless of the confined conditions such as a small amount of subject and a limited research a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group art therapy among people with the participation of South Korean children and to open the door to a subsequent study which will bring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toward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남한의 북한이탈아동들이 남한학교나 사회에 빠르게 적응하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지만, 그들은 적응하는데 많은 심리적 어려움이 있으며 그 어려움을 해결하는 기술이나 방법을 알지 못하고, 부 적응적으로 대처함으로써 남한적응에 실패하고 있는 적지 않은 북한이탈아동들에게 남한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적응해 나가는 것을 돕고자 하는데 있다. 그들의 강한 자기해결성과 높은 자존심으로 오히려 낮은 자기존중감이 형성되거나 남한 또래들과의 상호작용 기술을 익히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연구자의 경험과 많은 연구 문헌에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여기, 알아차림, 미해결과제의 해결, 실존적 삶의 질 향상이라는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게슈탈트 이론 집단미술치료를 북한이탈아동에게 적용하였을 때 북한이탈아동의 자기존중감과 또래관계기술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게슈탈트 이론에 입각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K시 북한이탈아동지원 지역아동센터의 북한이탈아동 저학년 3명과, 같은 센터에서 같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남한아동 저학년 3명을 선정하여 2014년 2월 14일부터 7월 18일 까지 16회기에 걸쳐 주1회 회기 당 90분 시행하였다. 측정도구로 Coopersmith(1967)의 연구를 참조하여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개발한 자기 존중감 척도를 최상길(2005)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고, 또래관계기술 척도는 양윤란, 오경자(2005)이 선행연구들(Caldarella & Merrell, 1997; Gresham & Elliott, 2001)을 바탕으로 새롭게 구성한 「아동ㆍ청소년 또래관계 기술척도(Peer Relational Skills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PRS-AC)」를 북한이탈아동들이 어려워하는 단어만 쉬운 단어로 수정하여 신뢰도 검증을 받고 (Cronbach‘s α .90) 사전ㆍ사후로 실시하였다. 또한 HTP그림검사를 사전ㆍ사후로 실시하여 척도로 검증되지 못하는 무의식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고, 북한이탈아동의 변화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활동 녹음을 바탕으로 한 축어록, 작품사진, 연구자와 연구보조자와의 관찰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행동관찰 기준‘을 정하여 일지를 작성하고 함께 분석함으로서 연구의 질을 높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게슈탈트 이론적 집단미술치료가 북한이탈아동의 자기 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개인마다 변화의 하위변인과 속도는 달랐지만, 자기 자신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에서 높은 변화가 나타났다. 더불어 남한아동의 자기존중감에서도 향상된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둘째, 게슈탈트 이론적 집단미술치료가 북한이탈아동의 또래관계 기술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자기주장’,‘주도성’에서 높은 변화가 나타났고, 친구의 물건을 함께 공유하거나 규칙을 지키는 협동기술, 나와 또래 친구의 감정에 관심을 보이는‘공감ㆍ감정표현’기술에도 높은 변화가 나타났다. 더불어 남한아동의 또래관계 기술에서도 향상된 변화를 볼 수 있었으며, 특히 북한이탈아동을 이해하고 도움을 주려는 행동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게슈탈트 이론 집단미술치료가 북한이탈아동의 자기존중감과 또래관계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더 많은 북한이탈아동에게 적용된다면 그들의 남한 학교와 사회에 적응적으로 정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적은 인원과 한정된 지역의 제한점은 있으나 이 연구를 통하여 더 많은 북한이탈아동에게 적용하고, 남한아동이 함께 참여하여 북한이탈아동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권진아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experience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through art therapy and on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and then, to make image of emotions suppressed within their inner side in visualized works of art in order to more deeply understand their world. To this end, it intend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various experiences through art therapy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by a narrative inquiry way focusing on human experience for recomposition and to provide overall understanding materials to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in order to help active interaction with the mothers in treatment of disabled children.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were 3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who went to the ○○ Children Development Center in M city for treatment.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about 4 months from July to October 2016 and the main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implementation of art therapy program for 13 times and in-depth interviews. The process was recording of participants' works and interviews,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such data as field diaries of the researcher. The experiences in art therapy by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Stories of A's art therapy experience were <I thought it had nothing to do with me>, <Everything is regrettable>, <I thought walking would solve everything>, <I am worried about future of this and that>, <Disabled child is burdensome>, <First-born child weighs on my mind due to younger disabled brother>, <My power, my family>, and <I dreamed a comfortable life>. Stories of A's art therapy experience were <A bolt out of the blue>, <Why only do I have to live like this>, <Even though eyes on disabled children become better>, <To send disabled child to a special school at last>, <You are my destiny>, <I thought it would be all right>, <I do not deserve him>, and <Investment for me> while stories of A's art therapy experience were <How do I bring up my child?>, <Has the God abandoned me?>, <Arrows to me>, <Painful fingers>, <Fear not to know when it comes>, <Baby, don't worry anything>, <I dreamed a trip with my family>, and <I will reach maturity as much as I am painful>. The meanings of art therapy experience of disabled children's mothers we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class is time for me only. Second, I express and accept my emotions through works of art. Third, I find importance of family members who share human feelings in my life. Fourth, I discover myself forgotten for a while and dream my future. According to above narrative inquiry, implications of art therapy experience of disabled children's mother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had a process of revealing their own life through experience in works of art. Second, eyes concentrated only on disabled children moved onto other family members causing them to find out meaning of family. Third, they attempted positive separation of their living from the one closely tied to disabled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어머니들이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이 어떤 의미를 갖게 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내면에 억압되어 있는 감정을 시각화된 미술작품으로 이미지화 하여 그들의 세계를 좀 더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간의 경험에 초점을 두고 있고 재구성 하는 내러티브 탐구 방식으로 풀어내면서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다양한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 나아가 장애아동 어머니에 대한 전반적 이해자료를 제공하여 장애아동 치료에 있어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M시 ○○아동발달센터에 치료를 다니고 있는 장애아동의 어머니들 3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7월부터 10월까지 약 4개월 동안이었으며, 주된 자료수집방법은 13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심층 면담을 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자의 작품과 면담 녹취, 연구자의 현장일지 등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해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은 다음과 같다. A의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는 <나랑은 상관없을 줄 알았다>, <모든게 후회>, <걷기만 하면 될 줄 알았는데>, <어중이 떠중이 앞날이 걱정되다>, <장애아들이 버겁다>, <장애동생 때문에 못 누리는 첫째가 걸림>, <나의 힘, 내 가족>, <여유가 있는 삶을 꿈꾸다> 였다. B의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는 <마른 하늘에 날벼락>, <왜 나만 이러고 살아야 되나>, <장애인에 대한 시선이 좋아졌다지만>, <결국은 특수학교에 보내다>, <너는 내 운명>, <괜찮은 줄 알았는데>, <내게는 과분한 사람>, <나를 위한 투자>이며 C의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는 <어떻게 애를 키우지?>, <하나님이 나를 버리셨나>, <나를 향한 화살들>, <아픈 손가락>, <언제 올지 모르는 두려움>, <그대여 아무 걱정 하지 말아요>, <가족과 여행을 꿈꾸다>, <아픈만큼 성숙해진다> 이었다. 이에 따른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첫째, 미술치료 시간은 오직 나를 위한 시간이다. 둘째, 미술작품으로 나의 감정들을 드러내어 수용하다. 셋째, 나의 삶속에 희노애락을 함께 하는 가족의 소중함을 발견하다. 넷째, 잠시 잃어 버렸던 나를 찾고 미래를 꿈꾸다. 이를 통해 내러티브 연구 방법으로 살펴 본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함의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치료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삶을 드러내는 과정이었다. 둘째, 장애아동에게만 집중되어 있던 시선이 다른 가족들에게도 향하게 하여 가족의 의미를 되찾게 하였다. 셋째, 장애아동과 밀착된 삶에서 긍정적인 분리를 시도하였다.

      •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김은주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U시에 위치한 발달지원센터에서 언어치료 와 인지치료를 받는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만7세 11개월의 여아이다. 아동은 만5세 때 병원에서 지적장애 3급 진단을 받았으며 일주일 전부터 ADHD 진단을 받아 약물 복용중인 아동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기표현력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본 연구자 외 2명의 관찰자(대상 아동의 모, 언어치료사)에 의해 평가 결과를 평균값으로 하여 사전, 사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K-CBCL(부모용)사전·사후 검사와 HTP(집-나무-사람)사전·사후 그림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제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20년 1월 9일부터 2020년 6월 2일까지 주 1회에 걸쳐 매 회당 50분씩 사전·사후를 제외한 총 15회기를 실시하였고 매 회기 10분씩 부모 상담을 실시하였다. 그림책을 읽어주는 활동 후 다양한 정서를 인지하고 미술치료 활동을 통해 다양한 감정과 행동을 표현 하는 방법을 돕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전달하여 자기 표현력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지적장애아동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자기표현 및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실시한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전반적인 자기표현과 하위영역별 내용적 요소, 음성적 요소, 체언적 요소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그림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행동 변화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여전히 임상범위에 해당되지만 결과를 비교해 볼 때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를 하고 난 이후 문제행동총점과 내재화 및 외현화 감소, 소척도별 불안/우울, 위축/우울, 신체증상, 사회적 미성숙, 사고 문제, 주의집중 문제, 규칙위반, 공격행동 문제, 기타 문제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그림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HTP(집-나무-사람)그림 검사에서 나타난 자기표현 및 행동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무엇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은 바로 대상 아동이 회기를 거듭 할수록 수업에 참여하는 태도와 자기표현이다. 연구초반에 소극적이고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며 방어하는 모습들이 감소하고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는 것에 불안해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표현 하는 것이 회기가 거듭 할수록 향상되고 있음이 입증 되었다. This study wanted to find out how art therapy using picture books has an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and behavioral chang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seven-year-old, 11-month-old girl attending a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who receives language therapy and cognitive therapy at the Development Support Center located in U-si, Gyeonggi-do.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level 3 at the hospital when they were 5 years old, and were diagnosed with ADHD a week ago and conducted an art therap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n order to verify this study,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of the degree of influence on self-expression ability,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were analyzed in advance and post-analyzed by the researcher and two other observers (mother and speech therapist of the target child) using the average value. In addition, the pre- and post-mortem examination of K-CBCL (for parents) and HTP (home-tree-person) pre- and post-picture was conducted and presented in comparison. The research period was conducted once a week from January 9, 2020 to June 2, 2020, for a total of 15 sessions, excluding prior and post-mortem, and 10 minutes of counseling were conducted for parents in each session. After the activity of reading picture books, he recognized various emotions and helped express various emotions and behaviors through art therapy activities and delivered his own emotions and thoughts to enhance his self-expression ability. Studies have shown that art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picture books have positive effects on self-expression and behavioral cha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using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verall, we can see that art therapy using picture books conducted in this stud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overall self-expression and sub-regional content elements, phonetic elements, and verbal elements. Second, art therapy using painting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 chang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lthough still within the clinical range, comparing the results shows that it is effective in reducing problem behavior total point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anxiety/depression, contraction/depression, physical symptoms, social immaturity, accidents, attention issues, violation of rules, attack behavior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fter implementing art therapy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Third, art therapy using painting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and behavioral chang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HTP (home-tree-person) painting tests. Above all, what has a positive effect is the attitude and self-expression of the target children as they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 session. In the first half of the study, the passive and hostile attitude toward defense decreased and the voluntary expression without anxiety about recognizing one's feelings proved to be improving over the course of the session.

      • 여대생의 정서적 섭식 태도와 폭식 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오매화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을 대상으로 부적 정서를 경험할 때 개인 혹은 집단의 형태로 정서적 섭식을 하는 것이 폭식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은 총 166명의 여대생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 우울, 분노, 총 세 가지 부적 정서에 따라 개인 대 집단 섭식 태도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로써 폭식 행동을 유발하는 정서적 섭식이 단순히 개인 유형의 섭식 행동일 뿐 아니라 집단으로도 일어남이 밝혀졌다. 둘째 서로 다른 부적 정서를 경험할 때 개인 혹은 집단으로 섭식을 하는 두 여대생 집단은 폭식 행동 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혼자서 정서적 섭식을 하는 집단이 여럿이 모여 정서적 섭식을 하는 집단에 비해 보다 유의미한 수준의 폭식에 가깝게 폭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섭식과 관련된 부적 정서가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불안, 우울과 달리 분노를 경험할 때 개인의 형태로 정서적 섭식을 하는 것이 폭식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ating attitudes and binge eating of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A total of 166 non-clinical female undergraduates w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oth Emotional Eating Scale and Binge Eating Scale were modified and used in order to measure negative affects, such as anger, anxiety, depression, and a level of binge eat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alyses of independent t-tests revealed that a range of emotional eating attitudes are different between eating alone and eating in group when they feel anger, anxiety,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they tend to choose either eating alone or eating in group depends on the mood. Second, there i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binge eating scores between eating alone group and eating in group group for all three of mood groups. However, it is found that eating alone groups have higher score on binge eating, which is close to clinical level, compared to eating in groups. Third, analyses of regression revealed that only one emotional eating attitude, which is eating alone under the anger, is predicted to develop a binge eating. Considering that anger driven emotional eating as a form of eating alone may lead to binge eating, it is recommended to find their emotional eating attitudes when clinicians treat and prevent a binge eating for female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