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울산 학원선교의 역사에 대한 연구 : 홍성범과 한국교육자선교회를 중심으로

        홍정기 서울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홍성범과 한국교역자선교회 울산지방회의 선교 사역을 중심으로 울산지역 학원선교의 역사를 살펴보고 울산지역 학원선교에 대하여 선교학적 평가를 시도해 보았다. 홍성범의 학원선교는 한국교육자선교회 울산  울주지역회 설립 이전부터 실행되고 있었는데, 그는 1930년 8월 1일에 경기도 양주군(현재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에서 모태신앙인으로 출생하여 용진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다가, 6.25 전쟁과 군생활 중에 여러 번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에서 벗어나는 경험을 통해 위급하고 절망적인 상황에서 기도에 응답하시는 하나님과 죽음의 위험 속에서 생명을 온전하게 구해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게 되었다. 그리고 홍성범은 이런 시련과 역경에 대하여 하나님이 자신에게 부여한 평생의 사명인 학원선교를 위한 준비의 사건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홍성범은 1968년 3월에 울산 염포초등학교에 처음으로 부임하여 교사 생활을 시작하면서 학원선교 사역을 시작했다. 그는 염포초등학교에 근무하는 동안 가정 형편 때문에 진학이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 동광재건학교를 설립하고 초등학교 입학 전 아이들을 위해서 유치원을 설립했는데, 이 일은 당시 염포지역의 교육과 선교, 양 측면에 있어서 획기적인 일이었다.

      • 재래시장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말바우 시장을 중심으로

        송권춘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raditional markets have adhered closely to people's household spending and economic lives for long and they are being marginalized as the number of department stores and hypermarkets in the city expand. However, they still lure shoppers and the local residents still go to traditional markets so often. Distribution market in Korea was open in 1996, and since then domestic distribution industry has been undergoing the rapid changes. Some significant changes are found in consumers' demands and their purchase conducts due to the changes of various circumstances. The traditional market is declining owing to many problems such as lack of parking facilities and conveniences, aged facilities, the operation & management problems caused by conflicts among incompatible interests of shop owners, and its competitiveness weakening against competitors in every field of sales items. However, the traditional market must be activated in order to protect the livelihood of small merchants who have held their position for several decades without any changes. This study aims to set up a systematic framework to activate Mal-ba-u Market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Mal-ba-u Market and analyzing the opinions of market merchants and local consumers about the problems of traditional markets and the ways to activate them. First of all, a survey conducted for Mal-ba-u Market merchants and consumers showed some problems in the aspect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s. In terms of facility problems, the lack of parking facilities and conveniences were pointed out and, in terms of the market environmental aspect, the inconvenience of passing through the market streets owing to street market stalls and unorganized arrangement of stores were indicated as major reasons to make shoppers feel inconvenient to purchase goods in traditional markets. In the aspect of traditional market operations & managements, lack of advertizing and marketing activities such as sales promotion events and public relation activities was indicated as the main problem. Shopp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fact that price and origin marking system is not implemented yet in traditional markets and they have difficulties in returning goods, getting refund and using credit cards. They are also not satisfied with low level service of merchants and low quality of goods.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 investigations, the traditional market activation pla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al-ba-u Market activation plans are largely divided into 3 aspects; the facility environmental aspect, the operation & management aspect, and the policy aspect. First, for the improvement of facility and environments, the construction of parking facility inside of Mal-ba-u Market and the utilization of public & private parking facilities in the vicinity of the market are suggested as a way to solve parking problems. For the expansion of conveniences for customers, the new construction of toilets, convenience facilities, and information signs & maps, and arcade & floor repairing are suggested. Second, in the aspect of operation & management for the activation of Mal-ba-u Market, the reform of consciousness of the market merchants who are absorbed in existing pre-modern business practices should be preceded. Merchants should comprehend the full scale of consumers' spending patterns and any changes, and should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by developing and providing appropriate goods and services as requested. For the improvement, three different methods are suggested; the conversion of merchants' consciousness, the activation of market organization, and the moderniz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Finally, in the aspect of policy for the activation of Mal-ba-u Market, many solutions are suggested including trouble shooting and improvement methods for the project propulsion caused by the existing laws & regulations, street sales stalls in the vicinity of Mal-ba-u Market, business transaction order establishment, sanitation control and inspections, etc. Peoples' opinions about the amalgamation and integration of neighboring traditional markets are also suggested in this study. These plans for traditional market activation should be carried out under a long-term strategy and they should be complemented and revised for the harmonized development of traditional markets with neighboring regions. 재래시장은 그 동안 서민들의 소비·경제 생활과 밀착되어 왔을 뿐 아니라, 오늘날 백화점, 대형마트 등 대형 소매시장이 확산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반 대중이 많이 이용하는 곳이다. 현실적으로 1996년 유통시장 개방 이후 국내 유통산업은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여러 가지 여건이 변화되어 소비자들의 욕구와 구매행동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재래시장은 주차장 및 편의시설의 부족, 시설의 낙후성, 여러 상점들의 이해관계의 상충 등으로 인한 운영·관리상의 문제, 제반 분야에서 타 경쟁업태와의 경쟁력 약화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그 위치가 점차 쇠락해 가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역경제의 활성화 뿐만 아니라 수십년 동안 변함없이 그 자리를 지켜온 영세 상인들의 생계보호를 위해서라도 재래시장은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바우 시장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시장 상인, 지역소비자의 재래시장 문제점 및 활성화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여 말바우 시장 활성화 방안의 체계적인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말바우 시장의 상인과 소비자들의 설문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으로 시설·환경적 측면의 경우, 주차시설의 부족, 편의시설 부족, 재래시장 내부의 환경문제로써 노점상 밀집으로 인한 통행불편, 점포배치의 정돈상태가 혼란하고 무질서하여 상품의 구입 곤란 등이 지적되었다. 운영·관리적 측면의 경우, 판촉행사나 홍보활동 등의 다양한 마케팅활동의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으며, 가격표시제 및 원산지표시제의 미실시, 반품과 환불의 곤란, 신용카드 결제의 부족, 친절성과 상품의 품질수준이 낮다는 점 등이 문제점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태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하여 말바우 시장 활성화 방안을 요약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말바우 시장 활성화방안은 크게 시설·환경적 측면, 운영·관리적 측면, 정책적 측면의 3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시설·환경적 측면으로 말바우 시장내의 주차공간 확보문제로 주차장을 신설하는 방안과 주변 지역의 공공주차장 또는 사설주차장을 활용하여 말바우 시장의 주차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고객을 위한 편의 시설 확충부분으로 화장실 신축, 편의시설 신축 및 개보수, 안내표지판과 안내도 설치, 아케이드 및 바닥 개보수 공사 등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 말바우 시장 활성화를 위한 운영·관리적 측면은 전근대적인 기존의 상거래 행태에 젖어있는 시장 상인들의 의식개혁이 선행되어야 하며, 소비자들의 소비패턴과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부합되는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공급함으로써 시장경쟁력을 강화해 나가도록 상인의식의 전환, 시장조직의 활성화 그리고 경영의 현대화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적인 측면에 따른 말바우 시장 활성화 방안으로는 현 법제도상의 문제점에 따른 사업 추진의 애로사항과 개선방향, 시장인근 노점상 대책, 상거래 질서 확립 방안, 위생관리 및 점검 강화, 그리고 인근 재래시장과의 통폐합 등의 의견을 제안하였다. 상기와 같은 말바우 시장의 활성화 방안은 장기적인 전략을 가지고 추진하여야 하며, 또한 주변지역과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해서 보완·수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 한국장로교 복음주의의 신학 유형연구 : 1912년을 중심으로

        전하람 서울장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지금까지 1912년을 중심으로 한국 장로교의 복음주의 신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장로교의 정체성을 논할 때 보통 칼빈주의나 개혁주의를 말하거나 1907년 대부흥운동을 장로교의 신학으로 규명하는 경우들이 다분하다. 하지만 사실상 이런 범주로는 장로교를 포함한 한국교회사 안에 나타나는 다양한 사건을 해석하는데 난항을 겪을 수밖에 없으며, 신학적 근거도 약하다. 필자가 본 논문을 통해 시도하는 것은 한국장로교가 선교초기 이래로 전개하는 다양한 기독교의 역사를 살펴보았을 때 본격적인 모습을 갖추고 정체성을 드러낸 기점을 1912년의 총회창립으로 보고 있는 것이며, 이 때 나타나는 신학적 정체성을 복음주의라고 이야기 하려는 것이다. ‘복음주의’가 주는 의미가 굉장히 광범위하기 때문에 서론에서, 학계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베빙턴의 4가지 정의 ①성경중심, ②십자가 중심과 ③회심주의(구원의 경험), 이를 통한 ④삶의 변화로 범위를 제한한 바 있다. 이는 교파중심적인 성격을 뛰어넘는 것으로, 1912년을 전후로 전개된 다양한 사건들 및 총회를 형성하며 채택되어지는 결정들 안에 담겨진 의미를 고려했을 때 충분히 근거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복음주의 안에서 포용되어진 다양한 신앙적 특징들은 이후에 전개되는 한국교회사의 사건을 해석하는데도 충분한 기반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한국장로교 총회가 출범하며 드러나는 복음주의 신학의 특징을 규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전(全)조선주일학교대회에 관한 연구

        이지혜 서울장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전(全)조선주일학교대회에 관한 연구’ 라는 제목으로 소논문을 준비하면서 전(全)조선주일하교 대회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인 것과, 이 운동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가치가 제대로 해석, 평가 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참고할 만한 기존의 자료들이 많지 않아 1차 문헌자료들을 통해 전(全)조선주일학교대회가 가지고 있는 성격과 의미를 연구해야 했다. 조사하는 과정 속에서 이 대회가 그 당시 사회에 미친 결과로 만들어진 사회적 현상들을 1차 문헌을 통해 확인하며, 전(全)조선주일학교대회의 의미와 가치, 성격을 찾아야 할 이유를 더욱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었다. 자료조사를 거듭할수록 이 대회의 성격과 의미에 대한 평가가 과소평가 되고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전(全)조선주일학교대회는 앞에서 본 바와 같이, 기독교교육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만 이 대회를 접근하고 해석하는 자료들은 많지만, 1차 자료들을 연구하는 가운데, 기존의 제한된 연구는 이 대회의 의미와 가치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 연구는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보았다. 1920년대 시대적 상황 속에서, 재한선교사공의회를 시작으로 선교사들과 한국인들의 협력을 통해, 일제강점기를 이겨낼 수 있는 힘의 근원이 되었고, 국민이 연합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해준 운동이다. 초창기 한국에 내한한 선교사들은 무지와 가난, 질병에 묶여 살아가는 사람들을 복음으로 구원코자하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이 땅에 왔다. 복음주의 단일교회 설립이라는 분명한 목표가 이를 확인시켜 준다. 교파의 다름이 복음을 전하는 것에 큰 장애가 되지 않았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한국의 지도자들이 주도적 자리에 위치하게 되면서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전(全)조선주일학교대회의 필요성과 그 당시 한국 교회와 사회의 현상 속에서, 1907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이던 주일학교 학생들을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일제의 탄압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영역들이 한국인들에게 자유로울 수 없었던 바로 그 때, 교회는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장이었고, 한글을 배울 수 있었던 유일한 장소였다. 더 나아가 전(全)조선주일학교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 초석이 되었던 것이다. 또한 모든 소통의 길이 막혀있던 상황에서 이 대회는 국내, 국제 정세의 흐름을 알 수 있게 해주었고, 반대로 우리나라의 상황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장이 되어 주었다. 전(全)조선주일학교대회는 그 당시 우리나라를 지탱하던 중요한 축이었다. 또한 기독교 지도자들, 신흥우, 윤치호 등의 인물들이 세계 주일학교대회에, 임원으로서의 자격을 가지고 참가하면서, 일제치하에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나라 잃은 백성이 살아갈 수 있는 정신적 힘이요. 미래를 꿈꿀 수 있는 신앙의 힘을 가르친 기독교 정신을 알게 해준 요람이었다. 1차에서 4차 대회에 이르기까지, 나라 안과 밖으로 많은 사람들이 운집한 사실과 기독교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공산주의자들이 일으킨 반(反)기독교운동만 보아도 그 규모와 영향력은 추측할 수 있다. 공산주의 사상이 유입되고 있던 당시, 혼란스러운 시기 속에서 기독교 사상은 공산주의 사상의 부당함을 지적하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지탱하는 정신적 힘이 되어 주었다. 정신 즉 사상의 힘은 한 나라의 운명을 좌우하는 역할을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신과 사상은 한 인간과 나라를 지탱시키는 실제적인 힘이기 때문이다. 전(全)조선주일학교대회와 한 축으로 봐야할 또 하나의 운동이 있다. 바로 YMCA 농촌운동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전(全)주일학교대회와 YMCA가 진행했던 주도 인물들이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사회에 외형적으로 드러난 모습은 다르지만, 전(全)조선주일학교를 개최한 동기와 YMCA 농촌운동을 진행했던 그 동기와 정신은 같다고 보아야 한다. 사회복음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한국 땅에서 이루어진 운동이었던 것이다. 그 시작이 바로 전(全)조선주일학교대회였다. 전(全)조선주일학교대회는 일제강점기에 살아갈 이유를 상실한 한국인들에게 국민 스스로 설수 있는 힘을 키우고, 기독교적 가치관이 실현되는 나라를 바라는 마음을 가지고 독립에 나라에 대한 꿈을 또 한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개인이 기술과 실력을 통해 힘을 키우는 것이 곧 나라의 독립을 가져오는 것이라고 보았다. 전(全)조선주일학교 대회는 나라 잃은 한국인에게, 민족의식을 지키고,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게 해주는 통로였다.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민족정신을 지키고, 기독교 정신 안에서 인간답게 사는 방법, 즉 민족 계몽, 사회계몽이 바로 그것이다. 이 대회는 기독교적 가치관을 한국인들에게 심어주고, 그 가치관을 통해, 인간평등과 존엄성, 인간답게 사는 삶을 실현하고, 일제강점기에 있는 억압받는 민족을, 주일학교 활성화, 교사교육 및 강연과 시연을 통해 다양한 전문적 지식과 교수법을 익히게 하고, 각 개인의 계몽이 사회와 민족의 계몽으로 이어지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1차에서 4차의 대회가 진행되는 과정들을 자료를 통해 연구하면서, 이 전(全)조선주일학교대회가, 일제강점기 안에서 우리나라가 미래를 기대할 수 있는 소망을 갖게 한 대회였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선교사들이 세운 교회는 유일하게 우리가 한글을 공부 할 수 있는 장소였고, 일제의 지배 아래애서도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지킬 수 있는 정신적 힘을 제공해 주었고, 일제의 견제와 방해가 있었지만 선교사들의 도움으로, 교회 안과 밖, 같은 목적으로 모일 수 있는 결집체의 역할을 하였다, 위 논문은 언급한 바와 같이 전(全)조선주일학교대회에 대한 성격을 규명하고, 이 대회가 갖는 의미와 가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1차 자료들을 바탕으로, 교회사적 관점, 민족사적 관점, 사상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 글이 역사의 틀 안에서 전(全)조선주일학교대회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 그 의미와 가치를 재평가 하는데 작은 시작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윤산온(尹山溫, George Shannon McCune)의 선교신학에 관한 연구

        이준구 서울장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는 지금까지 윤산온의 생애와 활동, 신학적 특징, 한국기독교에 끼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는 선천 지역을 중심으로 사역하였으며, 교육에 대한 특별한 사명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그 밑에는 철저하게 기독교적 복음주의적 신앙이 있었다. 일제의 탄압에 있어서는 강하게 저항하였으며, 한국인을 위한 입장에서 언제나 따뜻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윤산온은 한국의 복음전도와 교육에 헌신하였다. 그 과정에서 105인 사건과 3.1운동, 신사참배에 휩쓸리게 되지만, 정의를 외치며 한국의 정당함을 알리고자 하였다. 특히 선교사로 한국에 있던 동안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인재양성에 힘썼고, 언제나 신앙이 밑바탕 되었으며, 한 영혼의 변화, 개인의 변화에 관심이 많았다, 그리고 성령체험을 통해 변화된 삶을 살아야 함을 강조했다. 때문에 그의 기본정신은 영혼구원에 있었다. 그러나 그는 국가의 구원도 추구했다. 변화된 사람들을 교육하고 경제적으로 독립시켜 일본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 헐버트의 선교신학에 대한 연구

        이동일 서울장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헐버트는 선교사이자 목회자이며, 교사였고 독립 운동가였다. 아직까지 헐버트에 대한 연구들을 보면 그의 행적과 그의 작품들에 대한 공헌도를 높이 평가하는 글들이 많이 있지만 그가 어떤 선교신학을 바탕으로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하고 있는지 밝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헐버트는 회중교회를 담임하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영향아래 복음주의적인 그 시대의 신학적 흐름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청년 시기를 보내게 된다. 아버지는 하나님의 뜻을 세상에 사회적 책임과 기독교인으로서의 윤리의식을 소유한 아버지였다. 어려서부터 그런 분위기 속에 자란 헐버트는 한국의 선교사로 갈 것을 권유받게 된다. 학문의 조예가 있었던 그는 철학, 문학, 언어, 과학 등을 배운 후 뉴욕의 유니온 신학교에서 신학 학문을 연구하게 된다. 유니온 신학교, 그 학교의 정체성을 세운 역사를 추적하는 가운데 알게 된 역사학자인 헨리 보인튼 스미스를 통해 헐버트는 스코틀랜드 상식철학에 바탕을 둔 기독교적인 성경의 정의와 높은 도덕력의 필요를 배우게 되었다. 성경의 정의는 불의에 대해 바로 회복하도록 하는데 희생을 불사한 믿음이 필요함을 말한다. 자신의 희생을 뒤로 한 체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것 역시 일본의 태도가 정의롭지 않기 때문에 뛰어든 것이다. 스미스를 통해 성경 중심적이며 윤리적 기준을 더욱 높이 세워, 보다 경건함을 견지한 기독교적 신학이 헐버트에게 전수되었다. 그래서 일본의 태도가 헐버트가 보기에는 부도덕한 것으로 여겨졌고, 불의한 태도로 여겨졌다. 헐버트가 보기에 기독교적 윤리성을 가지고 본 일본의 태도는 정의롭지 않고 폭력적인 태도와 강압적인 정치의 침탈은 그의 신학의 기준으로 보기에 옳지 못한 것이었다. 이에 헐버트는 이런 사회적 상황에 뛰어들 수밖에 없다고 해석할 수 있다. 특별히 헐버트에게 일본에 대한 인식의 전환점을 준 사건은 바로 유니온 신학교와 육영공원에서 교사로서의 삶, 그리고 가장 핵심적인 변곡점은 명성왕후 시해 사건이라 할 수 있다. 도저히 헐버트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일본의 불의한 침탈이고 참을 수 없는 태도였다. 그리고 그 사건을 힘없이 바라 볼 수밖에 없는 한국인들의 대항할 수 없는 좌절감은 그가 가진 정의와 도덕성을 기준으로 봤을 때 세상으로 뛰쳐나올 수밖에 없도록 하였다. 그의 선교신학의 특징으로는 동시대 선교사들과 복음주의적이며 크게 다르지 않는 울타리 안에 있으므로 함께 사역을 할 수 있다는 공통점도 있지만 역시 분명하게 드러나는 차별성도 있다. 동시대 선교사들이 그의 정치적 참여에 대해 피해를 입을 것과 그들의 선교에 부담이 될 것을 염려하여 주저할 때에, 헐버트는 그들에게 정치적 참여에 아래와 같은 이유로 참여를 권면한다. 동시대 내한 선교사들의 교육, 의료 등의 사업을 통한 일들은 복음을 전하고 변화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면, 헐버트의 사회 참여와 교육가, 언론가, 선교사로서의 사역은 아래의 상황에 의한 참여였다. 동시대 선교사들의 특징이 복음주의적 경건과 말씀, 회심 등의 복음주의자였다면, 헐버트는 정의의 실현과 이를 통한 기독교 윤리적 지향과 경건의 유형적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먼저는 정의의 실현이다. 그가 한국을 버리고 다시 고향으로 돌아간다거나 힘에 의한 논리를 통해 부강한 나라가 되도록 한국을 도울 수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것은 헐버트의 신학에는 정의의 실현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하나님 나라를 이 땅 위에 세우는 것이 그의 행보의 핵심이었다. 가난한 자를 바라보며 자기의 희생이 있을지라도 하나님의 정의, 기독교의 정의를 실현하려는 그의 태도는 지금의 그리스도인들에게도 귀감이 된다. 또한 스코틀랜드 상식철학에서 배울 수 있는 높은 윤리적 지향을 가지고 경건함을 갖춘 실천은 일본의 부당하고 정의롭지 않으며 침탈의 야욕을 가지 일본에 대해, 동일하게 부당함으로 맞서지 않고 정의를 실현할 수밖에 없도록 헐버트를 이끈 원동력이 되었다. 헐버트는 일본의 대항하기 위하여 교육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계몽하여 한국인들이 힘을 통해 이겨내야 한다고 생각했다. 헐버트의 이런 선교신학은 YMCA를 통해 꽃을 피웠다. 그가 창립의장이 되고 YMCA를 통해 기독교 정신을 갖춘 인재들이 양성되었다. 회심을 통한 신앙인으로, 또한 독립의 주역들로 인재들은 세워져 나갔다. 거기에서 활동하며 대표적인 인물로는 이상재, 신흥오, 이승만, 윤치호 등이 있다. 기독교 민족운동 주의자들에게 이 영향이 미쳤으며 여기에는 민족개조론을 통해 힘을 길러 민족을 개조해야 한다고 생각한 실역양성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간 사회진화론적인 이승만, 안창호로 대표되었고, 기독교적 가치관의 체계를 통해 도덕을 중심으로 하여 역사의 변혁이 일어난다고 보는 입장이 있었다. 그들은 정신을 고취, 즉 정의와 인도, 윤리와 도덕, 사랑과 용서를 실행하여 그것이 외연되어 하나님의 능력으로 역사의 변혁을 이룰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들 중에 대표되는 인물로 이상재가 있다. 한국을 위한 길이 인재를 양성하고 교육을 통해 정의를 실현하고 높은 윤리성과 기독교를 통한 경건성을 두루 갖춘 인재들이 계몽, 교육, 선교란 목적을 가지고 YMCA를 통해 세워져 나갔다. 모일 장소가 없었고 교회로 유입되지 않은 중산층 청년들이 모일 곳이 없었던 상황에 YMCA는 모임의 장이며 교육의 장이었다. 그곳에 모인 사람들이 일본과 동일한 무력과 정의롭지 않은 독립이 아닌 계몽을 통해 힘을 기르며 기른 힘을 통해 안에서 밖으로 표출하게 되는 독립을 꿈꾸며 모였다. 특별히 월남 이상재는 헐버트의 사상을 계보적, 사상적으로 다르지 않는 한국의 인물이다. 그가 회심 후 천부적 세계관이 신부적 세계관으로 바뀌게 되면서 점차 그는 한국의 역사에 위대하게 쓰임 받은 인물이라 하겠다. 독립협회, YMCA, 만민 공동회, 민립대학 설립기성회 회장, 창문사, 소년척후단 총재, 조선일보 사장, 신간회 회장 등 이상재를 빼 놓고는 한국의 근대화를 논할 수 없다. 그는 사상적으로 헐버트와 다르지 않다. 이상재는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도 하나님의 영역 안에 있고 공정하고 공평한 권리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는 개인의 소유가 개인의 것이 아니며 어려운 이웃을 위해 하나님께서 주시는 것이라고 인식한 것이다. 그래야 하나님 나라를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 일본이 한국을 점령한 상황이 이상재가 보기에 불의하고 정의롭지 못하다고 본 것이다. 도덕적인 태도가 아니라는 것이다. 가난하고 힘없는 자를 향한 정의로운 태도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는 기본적으로 사회 진화론적 인식을 비판했다. 이것은 윤치호와 안창호를 중심으로 한 힘이 곧 정의라는 인식의 한계가 있음을 그는 인식했다. 현실적인 힘을 작용하고 있는 일본의 통치를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되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제의 체제 자체를 거부하지 못하고 순응하고 있는 것 역시 힘이 정의라는 한계에서 온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은 힘을 통해 민족적 개조가 일어나 과거와의 단절을 통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야 한다고 인식했다. 그 절대적인 힘을 통해 강자가 정의로운 것이라고 생각한 사회진화론적인 인식을 거부했다. 오히려 한국의 전통과 역사 속에 담겨 있는 도덕력(道德力)을 높이 평가하였다. 한국의 가능성을 도덕력을 가진 민족성에서 찾았다. 헐버트의 인식 안에 강조하고 있던 스코틀랜드 상식철학에서 습득하게 된 높은 도덕성을 갖춘 태도와 이상재의 인식이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재 역시 도덕을 중심으로 하면 언젠가는 역사의 변혁이 일어난다고 보았던 것 역시 헐버트와 다르지 않으며 그 해결책을 기독교에서 찾았던 것이다. 도덕력을 갖춘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에 실현하고자 했던 헐버트의 선교신학이 이상재를 통해 외연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에 헐버트의 영향력 아래 있던 인재들은 나중에 이 나라를 이끄는 한민당에 이어 정치와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헐버트의 선교 신학을 한 마디로 정리한다면 하나님 나라를 실현하기 위해 상식을 바탕으로 하여 정의를 실현하고 윤리를 지향하며 경건함을 갖추고자 한 선교사라고 하겠다. 누군가는 정치신학자, 또 누군가는 정치인, 독립운동가라고 단정지어 이야기를 하기도 하지만 여타의 선교사들이 교파의식이나 교회 중심의 복음주의자 였다고 한다면, 헐버트가 사회와 정치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수 있었던 것은 그가 가진 선교적 신학이 불의에 대해 침묵하지 않으며, 정의의 실현을 위해 자신의 것을 아끼지 않으며 최선을 다하는 것이었으며, 도덕력을 하나님 나라의 실현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 예장 통합의 신학의 정체성 연구 : 1945년-1980년

        구성수 서울장신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대한예수교 장로회 통합의 신학적 정체성은 무엇일까? 라는 주제를 가지고 시작한 본 논고는 그동안 통합의 신학적 정체성이라 여겼던 “통전적 신학”을 고찰 해 봄으로써 통합의 신학적 정체성인가를 살폈다. 그러나 밝힌 바와 같이 이종성이 주창하는 ‘통전(統全)’은 전체를 아우르고 조화시키고 통합한다는 뜻이긴 하다. 또한 ‘통전’은 좌와 우, 아래와 위, 긍정과 부정, 개별자와 보편자, 특수성과 일반성, 그리고 믿음과 지식과 실천을 아우르고 조화시키고 통합하고, 그러면서도 온전성을 지향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온전 성이라는 것이 정적이고 고정화된 실재라기보다는 언제나 끊임없이 좌와 우, 아래와 위, 긍정과 부정, 개별자와 보편자, 부분과 전체, 특수성과 일반성, 그리고 믿음과 지식과 실천의 해석학적 순환과 변증법적 통합 안에서 구현되는 과정적, 관계적, 역동적 실재라고 한다. 따라서 통전적 신학은“예수 그리스도 계시의 궁극성과 성서의 표준성”의 전제 아래, “에큐메니칼 신학과 복음주의 신학의 통합을 지향하고 개신교 신학과 가톨릭 신학 및 동방정교회의 신학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기독교 신학뿐만 아니라 모든 종교와 문화 및 자연과학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학문과 대화”를 추구하는 신학이라고 정리한다. 그러나 이것이 통합의 정체성이 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음을 밝혔다.

      • 김익두의 신유부흥회 연구

        박승진 서울장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당시 김익두의 신유부흥회가 일어나던 때의 시대적 상황은 일제치하 속에서 마주하는 좌절과 패배의식의 연속이었다. 3·1운동의 실패로 독립은 기약이 없어졌고, 일제의 핍박과 극심한 경제적 궁핍 속에서 교세 또한 나날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강만길, 『한국 현대사』,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85), 26-27. 여기에 주초(酒草)와 공창(公娼)을 권장하는 총독부의 식민지 정책이 장려되었으며, 더하여 영혼과 정신·육체를 해체시키는 아편의 전매가 총독부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신문화 유입에 앞장선 과학사조와 함께 공산주의와 자유주의가 침습하여 젊은이들은 회의에 빠졌으며, 반 기독교운동과 함께 교회의 영적 기반은 서서히 흔들리기 시작했다. 이는 기독교인들을 비롯한 당시 한국 민족이 겪고 있는 혼란과 동요의 심각한 심리상태였다. 이러한 정신적, 육체적 공황 상태는 안정과 기댈 곳을 찾는 심리를 필연적으로 유발시켰다. 나아가 흔들리지 않는 절대적인 의지처(依支處)를 찾도록 요구했다. 그리고 이런 절대적 의지처를 찾던 심리가 현상화 되어 나타난 곳이 바로 김익두의 이적치유 현장이었다. 1874년 황해도 안악산골에서 출생한 김익두는 아버지 죽음과 친구의 배신을 겪으며 허랑방탕한 인생을 보내게 된다. 그러나 아무런 소망 없던 그에게 전도지 한 장과 외국인 선교사의 어눌한 복음전도는 삶을 송두리째 바꿔 놓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신천읍 교회에서 앉은뱅이를 일으키려다 실패한 사건을 계기로 신유에 대한 번민과 사모함을 갖게 되었는데, 김익두는 이 은혜를 받기 위하여 간절히 기도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개월 후에 신천교회 하경순씨의 중병이 치료되고, 막대걸인이 나음을 얻는 이른바 신유부흥회의 서막이 열리게 된다. 이를 시작으로 김익두의 신유부흥회에는 전례 없는 인파가 몰려들었다. 전국적이고 대중적이었다. 전형적인 부흥운동의 모습을 갖추고 있었으며, 이 사건을 통해 신자와 교회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더불어 자발적 연보로 인해 수많은 학교가 세워졌고, 인권의 신장과 함께 윤리의식까지 고양시키는 등 사회적 영향력까지 두루 갖추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