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한류스타광고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왕로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중국 기업의 한류스타광고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중국 사람들은 한국 드라마, 노래, 패션, 그리고 화장품 등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중국에 한류 열풍이 불고 있다. 기업들은 이러한 한류 열품을 기업성과로 연결하기 위해 한류스타를 광고에 투입하고 있다. 이 논문은 한류스타를 광고로 활용했을 때 기업성과에 도움이 되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한류스타광고는 상품의 가격과 판매량에 영향을 주고 더 나아가서 이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만약에 기업들이 시장에 대해서 분석하지 않고 광고비를 투입한다면 이익을 얻지 못한 채 돈만 낭비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 모형에 한류스타광고의 효과변수와 비용변수를 추가하여 새로운 모형을 구성하고, 이 모형을 이용하여 한류스타광고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모형은 두 기업이 경쟁하는 시장을 가정하고, 두 기업 중 한 기업만이 한류스타광고를 활용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그리고 두 기업이 경쟁하는 상황에서 한류스타의 광고비용과 한류스타의 광고효과가 어떤 조건에서 이 기업의 이윤이 증가할 수 있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현실 사례를 보면 한류스타들의 광고비용은 중국스타들의 비용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한류스타의 광고효과가 중국스타보다 크더라도 비용이 더 많이 들기 때문에 한류스타광고가 더 이익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래서 한류스타를 투입할 때 기업의 이윤이 증가하는 조건을 찾아야 한다. 이것은 바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이다. 분석 결과에 따라 기업규모가 크거나 광고비 지출규모가 큰 기업에서 한류스타를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수요가 비탄력적인 기업에서 한류스타를 활용한 경우 기업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증적인 자료에서도 대체로 규모가 큰 기업에서 한류스타광고를 활용하고 있고, 또 수요탄력성이 작은 생필품기업에서 한류스타를 활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The Impact of Institutional Quality on FDI and Firm Investment in Asia

        레황안 전남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Institutional quality has emerged as a vital factor for conducting recent studies in many fields of development economics. Besides, there is a clear increase in international capital flows in Asia in the past decade, which has become an interesting issue for further investigation in this region. This dissertation is composed of three papers on institutional quality and international capital flows in Asia. The first paper will study the determinant of FDIs outwards from major Asian economies and ascertain the role of institutional quality on foreign capital attraction. The second paper tri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 prices and capital inflows in ASEAN emerging economies, and the impact of institutional quality on that relation. The third paper seeks to obtain firm-level data in the Vietnam stock market, which helps to address the impact of economic freedom on firms’ investment. For many years, FDIs have been a central issue in development economics. One of the most common questions raised is which determines the flows of FDIs from the source country to the recipient country. The first paper seeks new evidence from Asian home countries to address this question. Similar to many works, the gravity model is adopted in this study. Besides, we use the Bayesian Model Averaging (BMA) to select the best indicators for institutional quality. Among different indicators, the world economic freedom index and the control of corruption are highly recommended to enter the model. The findings conclude that better institutional quality in host countries encourages more FDIs from major Asian economies. The past decade has seen the rapid improvement of the economic environment and FDIs inward to ASEAN emerging countries. It raises the issue of housing prices booming in these markets. In the second paper, panel error correction models, panel cointegration tests, Granger non-causality tests, panel fully modified ordinary least square, pool mean group (PMG) model is employed to figure out the impact of FDIs on the house price index. This study reveals a long-run relationship and Granger causality run from FDI and house price index in these markets. Crucially, improvement in institutional quality likely lessens the intervention of foreign capital. The third paper proposed that improvements in economic freedom, such as capital freedom and domestic credit freedom, allow firms to access external finance easier, and thus the firm’s investment less depends on internal cash flow. As hypothesized, the paper provides further evidence for the positive impact of capital freedom and domestic credit freedom on the investment for Vietnamese firms. With a few exceptions, the financial constraints on firms appear to be unaffected by the overall economic freedom. 제도적 질은 개발경제학의 많은 분야에서 최근 연구를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부상했다. 게다가, 지난 10년 동안 아시아에서는 국제 자본의 흐름이 뚜렷하게 증가했는데, 이것은 이 지역에서 더 많은 조사를 하기 위한 흥미로운 이슈가 되었다. 본 논문은 아시아의 제도적 질과 국제 자본 흐름에 관한 세 개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논문은 아시아 주요 경제권의 바깥에서 FDI의 결정요인에 대해 연구할 것이며 외국 자본 유치에 대한 제도적 품질의 역할을 확인할 것이다. 두 번째 논문은 ASEAN 신흥 경제국의 주택 가격과 자본 유입 간의 관계와 그 관계에 대한 제도적 품질의 영향을 탐구하려고 한다. 세 번째 논문은 베트남 증시에서 기업 수준의 데이터를 얻으려고 하는데, 이는 기업의 투자에 대한 경제적 자유의 영향을 다루는 데 도움이 된다. 수년 동안, FDI는 개발 경제학의 중심 이슈였다. 제기된 가장 일반적인 질문 중 하나는 출처 국가에서 수령인 국가로의 FDI의 흐름을 결정하는 것이다. 첫 번째 논문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시아 본토로부터 새로운 증거를 찾는다. 많은 작품들과 비슷하게, 중력 모델은 이 연구에서 채택되었다. 또한, 우리는 베이지안 모델 평균(BMA, Bayesian Model Averaging)을 사용하여 기관 품질에 대한 최상의 지표를 선택한다. 다른 지표들 중에서, 세계 경제 자유 지수와 부패 통제가 이 모델에 들어가기를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조사 결과는 주최국의 제도적 질이 개선되면 아시아 주요 경제권의 FDI가 더 많아진다는 결론을 내렸다. 지난 10년 동안 아세안 신흥국으로 경제 환경과 FDI가 빠르게 개선되었다. 그것은 이들 시장에서 호황하는 주택가격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두 번째 논문에서, 패널 오류 수정 모델, 패널 공동 통합 테스트, 그레인저 비원인성 테스트, 패널 완전 수정 일반 최소 제곱, 풀 평균 그룹(PMG) 모델을 사용하여 FDI가 주택 가격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이 연구는 장기간의 관계와 그레인저 인과관계는 이들 시장의 FDI와 주택가격지수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정적으로, 제도적 질적 향상은 외국 자본의 개입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 세 번째 논문은 자본의 자유와 국내 신용의 자유와 같은 경제적 자유의 개선이 기업들이 외부 금융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기업의 투자는 내부 현금 흐름에 덜 의존한다고 제안했다. 가설대로, 이 논문은 자본의 자유와 국내 신용의 자유가 베트남 기업의 투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추가 증거를 제공한다.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면, 기업에 대한 재정적 제약은 전반적인 경제 자유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한국에 대한 중국 수출의 다양성과 품질

        랑가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1992년부터 2008년까지의 한국 수입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로 재화의 품질과 다양성에 대하여 중국 수출성장의 유인을 분석한 것이다. 중국 수출성장의 이중한계 중에 하나가 집약적 한계인데 본 연구에서 이를 가격과 수량지수로 나누어주고 분석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중국 수출성장은 같은 재화에 대한 수입의 진입 성장함에 따른 것이고 수출재화의 다양성에 따른 것이 아닌 것을 발견했다. 집약적 한계의 성장은 제품가격이 뚜렷하게 떨어지지 않은 상황 하에서 수출재화의 수량이 성장함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관측되지 않은 제품종류 또는 제품의 상대적 품질의 성장이 중국 수출성장의 주요 원인이 된다는 것을 제시했다. 우리는 중국 수출재화의 가격과 선진국에 비해 중국 수출 바스켓의 유사한 점에 대한 증거를 제기한다. 따라서 우리는 중국재화의 품질의 개선은 중국 수출성장의 주요 요소가 된다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We use detailed data on Korea imports between the year 1992 and 2008 to analyze the causes of China’s export growth, especially the variety and quality dimension. This paper describes the dual margin of China’s export growth and decomposes the intensive margin into price and quantity index. We find that, China’s export growth is mainly driven by an increase in import penetration within common product categories with the rest of the world (the intensive margin) rather than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roduct varieties exported (the extensive margin). The growth in the intensive margin is explained by an increase in exported quantities without a significant fall in the relative price of Chinese varieties. This phenomenon suggests that an increase in either the unobserved varieties or the relative quality is the driving force of China’s export growth. We present evidence regarding China’s export prices, the similarity of China’s export basket comparing with developed countries, to conclude that the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Chinese products is an important dimension of Chinese export growth.

      • 수직적 산업내의 무역에 관한 연구 : 수요측면의 결정요인들

        리 덕 리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Studies of international trade have theoretically as well as empirically focused on intra-industry trade (IIT) since 1960s, but they have led to mixed results. Therefore, additional work might be expected to produce a deeper understanding of IIT. In this paper, we extended and modified a model of vertical product differentiation presented by Wauthy (1996) to explore other determinants of vertical IIT with an expectation that demand patterns also shape the degree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rade flows. In order to derive insight into IIT, three models were built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international trade flows from different aspects of demand patterns. First,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economic development on international trade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which considers quality-differentiated products and preference diversity for quality. We assumed two countries are located in a region, and evaluated the effects of per capita income and technology on trade volume and intra-industry trade. We showed that the volume of trade and the share of intra-industry trade increases with increases in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gion. Furthermore, we also demonstrated that the volume of trade is proportional to the level of technology available in the region, and that the intra-industry trade share increases as the technology levels of the two countries become similar. This theoretical model may explain the empirical finding that trade volume and intra-industry trade tend to be higher in developed countries than in developing countries. Second, we modified the main model to prove that the country similarity theory given by Linder (1961) is relevant to explain the vertical IIT share between two countries. We demonstrated that the vertical IIT index increases as the two countries become more similar in terms of technology, as does the consumers’ preference for quality. Our theoretical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recent empirical findings. Thir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n trade in the long-run when firms can select the level of quality to build into their goods. We found, in most cases, that IIT share is higher between countries with a similar preference for quality, and that the impact of country size on the IIT index is asymmetric, depending on the relative size of the exports and imports of the country. Fourth, we made an initial test of the hypotheses drawn from the above theoretical models. We found that the empirical findings are strongly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predictions. Thus the empirical study proves that the demand patterns are significantly driving the degree as well as direction of trade flows of quality-differentiated goods.

      • 중국수출품의 가격과 품질 변화 분석

        천링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중국의 대외 수출품의 가격 변화와 품질 변화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중국 및 중국의 166개 대외 수출국에 대한 SITC4-digit의 세분화된 무역통계로, 1992~2016년 간 연도별 자료이다. 분석방법으로 수출단가와 수출액을 이용해 품질지수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먼저 중국 수출품의 단위가격은 품질지수보다 크게 분산되어 있으며, 품질지수 및 단위가격 사이에는 상호연관성이 있지만 대체로 단위가격이 높아질 수로 역상관관계가 나타난다. 전체수출품의 품질지수는 연평균 0.16%~0.77%로 지속적인 성장 상태를 나타낸다. 산업별로 구분해서 보았을 때, 농산품의 품질지수와 단위가격은 모두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고, 공산품의 품질지수와 단위가격은 모든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품질지수는 농산품보다는 공산품에서 더 안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했는데, SITC 1단위별로 확인하였을 때에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상품별 품질 및 가격 변화는 자동차 부분에서 안정적이며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으며, 한국에 수출하는 제품의 품질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의류 부문의 경우 품질 지수는 완만하게 상승하는 반면 단위가격의 변동폭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가 그룹별로 확인한 결과, 수입국의 소득수준과 품질지수가 상관성이 높으며 소득이 높은 국가에 수출할수록 품질지수가 안정적으로 성장하였다. 국가별로 품질지수의 변화를 보면, 한국에 수출하는 제품의 품질지수가 높게 나타나는데 품질지수 계산에 있어 거리변수의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국가별 패널 회귀를 통한 품질지수의 결정요인을 확인한 결과, 수입국의 소득수준은 양(+)의 영향력을 가졌으며, 단위가격은 음(-)의 추정계수를 보였다. 즉, 높은 단위가격이 좋은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을 말해준다. 거리변수도 음(-)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별로 살펴보았을 때에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확인했으며, 운송비용 등의 부담으로 거리변수가 음(-)의 영향력을 갖는 특징은 공산품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중국은 세계 시장에서 저가경쟁력을 확보하고 있고 수출품의 품질 경쟁력이 매년 상승하고 있으므로 고품질 수출품의 시장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기업의 연구 개발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 수출품의 질적 경쟁력 향상 등 산업 정책이 전반적으로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국내 환경 조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한중일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에 관한 비교 연구

        린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1998~2009년 기간 동안 한중일 3국의 자동차산업의 생산, 판매, 수출입 등 무역구조 현황과 노동 생산성 및 연구개발투자 비중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한중일 3국의 자동차산업이 세계시장 속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 국제적 지위는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평가하였다. 또한 세계 수출 시장점유율, 수출경합도, 무역특화지수, 현시비교우위지수 등 측정방법을 통해 한중일 3국의 자동차 산업의 국제경쟁력의 수준 과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한국은 전체 자동차산업의 기준으로 봐도 부분별로 봐도 이미 세계 주요국과 경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자동차 강국으로 부상했고 중국은 한국, 일본보다 상대적으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지만 빠른 속도의 성장을 이루어졌고, 일본은 상당히 높은 수준의 국제경쟁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나 명실상부한 자동차 강국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국가 경제규모 및 자동차 생산규모를 통제하지 않았을 때의 단순한 경쟁력지수의 상대적 크기와 통제하고 난 후의 경쟁력지수의 상대적 크기를 통해 자동차산업의 상대적 경쟁력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미국을 기준으로 한국, 중국, 일본, 독일 등 국가별 더미계수의 값은 경제규모와 자동차생산규모를 통제하고 난 후에 커지게 되고, 이는 단순히 경쟁력지수 상대적 크기를 고려한 경우보다는 경제규모와 자동차생산규모를 통제한 후 미국에 비해 중국, 한국, 일본, 독일의 자동차산업의 상대적 경쟁력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특히 4개국 중에 한국은 더미변수의 계수가 가장 많이 변한 나라이다.

      • 중국 수출산업의 비교우위 변화에 관한 연구

        임홍실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중국은 개혁 개방 이후 개방화의 진전과 무역의 확대에 힘입으면서 세계적으로 주목할 만한 고도성장을 달성하였다. 무역은 경제성장 과정에 있어서 기술습득의 주요 원천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즉 중국은 선진국으로부터 다량의 기술과 자본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공업화 촉진을 이룩하였다. 이 과정에서 중국의 비교우위는 점차 이동하면서 변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공업화의 변화과정은 과거 선진국이 경험했던 당연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의 기술습득 효과가 커지면서 이러한 변화과정이 선진국, 신흥공업국, 개도국에 비해 요소집약도별, 기술 부문별로 비교우위 변화, 무역구조의 변화 성장속도, 수출산업의 경쟁력이 어떠한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중국 수출 산업의 비교우위 변화를 수출과 수입의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선진국(미국, 일본), 신흥공업국(한국, 브라질), 개도국(말레시아, 인도)과 비교를 통해 국제무역 환경에서의 중국의 지위를 정태적 및 동태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수출은 비교 국가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여 세계시장 점유율이 1987년 1.86%에서 2010년 10.97%로 높아졌다. 또한 미국과 일본은 비교우위 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하락하는 반면 중국은 모든 비교국에 비해 빠른 성장추세를 보이면서 비교우위 산업의 점유율도 증가하고 있다. 둘째, 정태적 측면에서 중국의 비교우위는 자본, 기술집약적인 고기술 부문으로 이동하고 있으나 여전히 비숙련노동집약적 부문의 비교우위가 더 높다. 기술함량이 높은 산업의 비교우위는 점차 강화되면서 비교우위가 높은 국가를 추격하고 있는 반면에 비숙련노동 부문은 기타 개도국의 추격을 받고 있다. 셋째, 동태적인 측면에서 중국의 비교우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강화되고 있고, 비교우위의 지속성도 강화되면서 세계 무역구조에 점차 수렴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비교우위 변화에 따른 국가별 무역량은 중력모형으로 설명된다. 즉 중국의 전체시장 및 목적시장에서의 비교우위가 강화될수록, 경제규모가 큰 국가, 그리고 가까운 국가일수록 더 많은 무역을 하고 있다.

      • 중국 제조업의 산업구조와 무역구조의 변화 및 연관성 분석

        Wang,Jing-Wei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국과 미국, 일본, 한국과의 교역에서 나타난 산업구조와 무역구조의 변화 및 연관성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 대상 기간은 1987-1997년이며, 대상 산업수는 제조업내 28개 사업이다. 중국 제조업 부문의 무역을 대상으로 무역구조의 대상 국가별 차이를 산업간무역과 산업내무역이론의 측면에서 비교 검토하며, 미국, 일본, 한국과의 무역량 차이를 Helpman and Krugman(1985)의 독점적 경쟁모영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를 보면, 중국 제조업은 중국과 대상 국가별로 무역구조에 차이가 있지만, 이러한 무역구조의 차이가 국가 간 무역패턴의 차이나 산업구조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었다. 또 무역량이 국가 간 거리 등 무역장벽과 문화적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This paper analyzes changes of industrial structures and trade structur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of China with US, Japan and Korea and their correlations over the period 1975-1993 including 28 field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difference of trade structures between Chines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at of US, Japan and Korea is mainly analyzed by the inter-industry and intra-industry. However, the difference of total trade volume between Chines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at of US, Japan and Korea is analyzed by the patterns of comparative advantage. The results reveal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rade structures between chines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at of US, Japan and Korea and the differences are decided by the differences of mode of trade and the differences of industrial structures. Whereas, the total trade volume is decided by the difference from the trade barrier like the position and cultures of two countries.

      • 탄자니아의 무역 패턴 변화에 관한 연구

        베네딕트 마호나 쿠헨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efforts implemented by Tanzania to liberalize its trade since 1986, show significant achievements in economic stability. However, this study confirms that, Tanzania trade performance is still characterized by a trade deficit, few concentrated trade partners for both exports and imports, and export of manufactures margin. Also the study reveals that commodities with Comparative Advantage (CA) as expressed in terms of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and the Tanzania’s trade in general are primary intensive products, resource intensive and unskilled labor intensive classified commodities. Gradually, Tanzania has been losing its export share to the World market, hence, competitiveness loss. The export of primary products which dominate the market has a declining trend, while the export of manufactured items has a slightly increasing trend, while the import of primary products is increasing and that of manufactured products persistently dominate the market. Export expansion can benefit the country’s economy since greater exposure to international competition increases the pressure on exporters to keep costs low and move towards points of best practice leading to significant gains in productivity. Export promotion incentives can have greater impact if they target for primary goods processing, minerals processing and metal working enterprises because they can act as a strategy of substituting domestically produced goods for imports. Trade gravity model shows that economic size of a partner country (GDPj) facilitates volume of trade. The per capita GDP has positive impact on both exports and imports trade , but when exports is disaggregated into primary and manufactured products, the export of manufactured products negatively related to the per capita GDP. Tanzania’s trading costs as explained by distance is relatively higher, but the regional or Free trade agreements (FTAs) variabl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gional and preferential trade agreements. The export of manufactured products can do better than import if FTAs are utilized effectively, and importation and exportation of primary products can grow at a higher rate. Additionally, import facilitated by FTAs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can play a role in reducing the technological gap in production, while increase in spending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education can help human- capital and technology utilization in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