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불규칙크기에 따른 광공업 생산확산지수 변동성 연구

        임병선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경기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있으나, 대부분의 경제지표는 총량지표로 작성되어 경기 판단의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확산성 파악이 어렵다. 확산성 파악을 위해 생산확산지수를 개발하여 매분기 공표하고 있으나, 광공업 생산확산지수는 81개 소분류를 이용하여 작성되고 있어 구성지표가 상당히 많음에도 불구하고 불규칙이 크게 나타나 정확한 경기파악에 장애가 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위해 소분류보다 포괄범위가 한 단계 큰 중분류를 이용하여 시산하였고, 계절조정계열 대신 추세순환계열을 이용하여 시산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현재 작성되고 있는 광공업 생산확산지수를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사용프로그램은 경기종합지수 작성시스템이며, 현재 확산지수 작성에 사용 중이다. 시산에 사용될 시계열은 소분류 광공업 생산지수 81개와 중분류 광공업 생산지수 26개이고 비교시점은 1개월 전비이다. 구성지표의 포괄범위 확대 및 불규칙조정방법에 따른 확산지수 변동성을 연구범위로 하였다. 불규칙조정방법은 단순이동평균으로 현재 사용중인 3개월 말항, 기존연구결과에서 효율성이 입증된 5개월 중심항, MCD 말항으로 시산하였으며, Hodrick-Prescott 필터를 사용하였다. X-12-ARIMA에서 산출된 D12계열인 직접 산출된 추세순환계열로 확산지수도 시산하였다. 작성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지표의 포괄범위를 소분류에서 중분류로 확대하여 시산한 결과 불규칙크기가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더 큰 것을 보였다. 이는 경제현상에서 볼 수 있듯 동조화 현상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즉 같은 업종일수록 경제흐름에 같이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불규칙조정방법에서 단순이동평균의 3 가지 방법은 불규칙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이지 못했으며 거의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X-12-ARIMA의 D12계열로 작성된 확산지수는 순환적인 움직임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이에 확산지수로의 활용가치가 없다. 넷째, HP필터를 사용한 결과 가장 평활화된 확산지수를 작성할 수 있었으며 순환적인 움직임이 가장 잘 나타났다. 구성지표는 광공업생산지수 소분류를 사용하는 것이 불규칙조정방법은 HP필터가 가장 개선된 확산지수를 보였다. 이에 향후 확산지수 개편 시 연구내용을 제안해 본다.

      • 학교에서의 실용 통계 교육 방법 고찰 : 공학 도구 활용 중심

        나재민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통계는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발견된 지식을 바탕으로 현상을 이해하고 실생활의 다양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데 도움을주는 과학이다. 또한 통계는 사회과학 및 자연과학의 거의 모든 학문적 분야의 연구를 위해서도 중요한 연구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통계 교육은 통계적 탐색 과정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과는 거리가 멀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통계 교육은 통계가 소재인 수학 문제의 풀이 방법과 교육에 내용이 집중되어 있고, 통계적 사고, 추론, 소양에 대한 지도는 비중이 적다. 통계는 학생들이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육되어야 한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통계 교육은 주로 숫자와 공식에 초점을 맞추므로 앞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 하지만 새로 적용되는 교육부 수학교육 종합계획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통계 교육을 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이론 수업으로 국한하지 않고 공학 도구를 도입하고 타 과목과의 융합을 통해 1차시가 아닌 여러 차시에 걸쳐 통계와 타 과목을 접목하여 배우는 프로젝트형 수업을 도입하여 학생들이 실생활 문제를 통계적으로 접근하여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적인 통계 수업은 학생들이 수업에서 배운 통계학적 지식을 실제 현장에서 실제 데이터와 "빅데이터"를 분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학교 교육에서의 통계교육은 물론이고 통계학과 교과서에 첨부된 예시들은 실제 사례와 다른 경우가 많다. 또한 통계 교육에서 계산이 간편하고 수가 적은 연습문제 풀이용 간단한 데이터가 아니라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해야한다. 실제 데이터의 경우에는 사례의 수가 매우 적을 수 있으며, 누락되거나 일관되지 않은 데이터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대규모 조사나 행정자료 데이터, 신용카드 데이터 등의 출처에서 나온 데이터들은 학교 현장에서 실습한 사례들과 달리 사례의 양이 매우 클 수도 있다. 하지만 학생들은 이러한 현실적이고 불완전한 이러한 자료를 분석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통계 교육을 위해서 통계 자료를 계산하고 빠르게 시각화 할 수 있는 공학 도구의 도입이 필요하다. 공학 도구는 복잡한 계산과 절차적 처리가 문제 해결과 학습의 본질적인 부분이 아닐 때 이를 신속하게 대행함으로써 사고력 중심의 교수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통계 교육의 경우, 실생활 중심의 내용을 바탕으로 탐구하는 실용 통계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공학 도구 없이는 처리할 수 없는 다량의 실생활 자료를 다루어야 한다. 하지만 활동보다 개념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현행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과목에서는 몇몇 어려운 개념을 이해하는 보조적인 수단 내지는 기계적인 계산 절차를 대행해 주는 단순 계산기 이상의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국내 통계 교육용 소프트웨어는 통그라미, 이지통계, estat등이 있으며 해외 통계 교육용 소프트웨어는 CODAP이 있다. 데이터 시각화 측면에서는 비슷한 기능을 하는 공학 도구들이지만 교과서 예제 포함여부, 데이터 출처 다양성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통계교육원에서는 학교 차원에서 타 교과목에 통계를 접목하여 데이터를 통해 학생들이 학습할 수 있고 공학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매년 통계 연구학교와 선도학교를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통그라미를 지속적으로 개발, 보급하고 있으며 통그라미와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는 별도 교재도 개발 중이다. 또한 통계학 전공 대학생들을 모집하여 초중고등학교를 방문하여 통계 포스터, 통그라미 활용 등과 같은 통계적 활동 위주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학습 자료를 개발할 수 있도록 통계 교사 연구회를 운영하여 교사들의 통계 역량을 신장시키고 있다.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을 둔 통계 수업 관련 교사 연수가 열리고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 시행과 더불어 통계 관련 학습이 실생활에 접근하면서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지만 실제 수업에서는 과목간 통합 수업을 하기 힘든 학교 여건, 입시 위주의 교육 등으로 이러한 프로젝트형 실용 통계 수업이 이루어 지기 힘든 실정이다. 또한 학교 인프라적인 측면에서도 프로젝트 수업이나 수학 과목에서 통계 실습을 위한 전산실이 제대로 지원되지 않아 실용 통계 교육은 이러한 하드웨어적인 측면의 보완도 필요하다. 공학 도구 활용을 위한 충분한 학교 여건을 마련하고 실용 통계 교육 측면의 교사의 관심을 환기 할 수 있도록 교사 연수 및 통계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실용 통계 교육을 더욱 더 내실화 해야한다.

      • 국가통계관리의 개선방안 연구 : -통계조정 및 통계품질관리를 중심으로-

        서만영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국가통계에 있어서 통계관리의 의미와 작성현황을 살펴보았고, 통계관리의 핵심인 통계조정과 통계품질관리 분야의 의미와 필요성을 살펴본 뒤, 이와 관련하여 사용되고 있는 각종 방법과 수단들을 정리해 보았다. 이어서 우리나라 국가통계관리에 있어서의 통계조정 및 통계품질관리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검토를 하였으며, 주요 선진국 및 국제기구들의 사례를 토대로 개선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국가통계의 관리를 포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통계조정과 통계품질관리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선진제도 도입을 제시하고 있으며, 통계청과 국가통계를 작성하는 모든 기관과의 유기적인 상호 연계체계 구축 등의 협조체계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국가통계관리의 선진 궤도 진입을 위해서는 비효율적인 현재의 통계조정과 통계품질관리의 개선과 아울러 통계작성기관의 통계인력 확충과 전문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법적, 제도적 마련을 위한 정부 관련부처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국가통계의 수요, 작성, 공급 과정 모두를 포함한 국가통계시스템 전반에 걸쳐 통계조정과 통계품질관리의 연계와 아울러, 통계청의 책임성 강화 및 통계정책과의 관련성 확대를 통해, 우리나라 국가통계관리를 한층 개선·발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meaning of statistics management in the respect of national statistics. After examining the fields of statistics coordination and statistics quality management, I have organized various methods and tools that can be utilized in this context. Subsequentl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tatistics coordination and statistics quality management in national statistics management of Korea were examined. Based on case studies of advanced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improvement methods were proposed. Through these kinds of analysis, this report indicates the introduction of a new advanced system in order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oordinating statistical data and managing statistics quality efficiently by taking an overall look at our national statistics management. Also it shows the importance of a cooperation system such as construction of organic connection systems among KOSTAT and all the other organizations producing national statistics. To go into the advanced system on national statistics quality management, this report emphasizes the improvement of present statistics coordination and statistics quality management, currently considered inefficient. Also, it stresses the importance of nurturing statistical manpower and the professionality of statistics producing organizations. Last but not least, this paper places an emphasis on the role of ministries and offices concerned in relation to arrangement of legal and institutional tools. Over the length and breadth of national statistical system including the entire procedures of demand, production and supply of national statistics, through connection between statistics coordination and statistics quality management, this report includes measures regarding intensifying responsibility of KOSTAT and invigorating connections of statistical policy in order to improve and develop national statistics management of Korea.

      • 비표본오차 최소화 방안 연구 : 무응답 오차에 대한 비교분석

        노혜경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 시 발생 되어지는 항목 무응답과 단위 무응답의 원인에 대하여 정의하고 대체방법별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랜덤대체법은 평균대체법과 최근방대체법에 비해 모수를 왜곡을 줄일 수 있고 회귀대체법은 랜덤대체법과 비교하였을 경우 분산의 추정량이 더 적게 나온다. 다중대체법의 경우 분산추정량이 실제 분산보다 매우 작게 나타남을 문헌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대체방법들의 특징에 대해 사례연구를 통해 비교분석을 하였다. 연구에 사용되어진 자료는 필리핀 거주자의 소득분포에 대한 성별, 교육수준, 정치적 만족도를 설문조사한 자료이다. 자료의 특성을 통계 분석한 결과 성별 간 임금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임금이 높았다. 또한 정치적 만족도가 높아짐에 따라 임금이 높아짐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자료의 특성이 무응답 항목을 대체한 후에도 그대로 유지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무응답을 대체한 결과 회귀대체와 다중대체법은 자료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이 됨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랜덤대체법과 다중대체의 경우에는 성별, 교육수준, 만족도로부터 생성되어진 각 범주에서 가지는 표준편차에 상당히 영향을 받고 있다. 다시 말해 각 셀에서 가지는 경우의 수가 작을수록 랜덤대체법과 다중대체법이 좋은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다고 기대되어진다. 랜덤대체법의 경우 평균제곱 오차가 평균대체 보다 크게 나올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오히려 적게 나오는 결과가 도출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자료의 경우에는 다중대체방법에 의한 대체법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어지나 항상 일반적으로 최적의 방법이 아님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최근방대체법이나 회귀대체법과 같은 경우에는 보조변수로 사용되어지는 변수에 상당히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법이 동시 수반되어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되어진다. The study performed a comparison analysis on a imputation method and defined the cause of unit nonresponse and item nonresponse which would develop during a questionnaire study. While random imputation reduces the bias of parameter compare to mean imputation and nearest neighbor hot-deck imputation, regression imputation provides the fewer estimator of variance when compared with random imputation. The study has confirmed inconsequential variance estimator of multiple imputations to that of actual variance through lecture studies. An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imputation methods through a number of case studies. The data used for the study was attained from a questionnaire study subject on gender, level of education, political satisfactory and the like of residents of the philippines. As a result of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there was no wage difference between genders and the wage was higher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The study has examined whether such characteristics of the data would sustain even if item nonresponse was replaced. As a result of item nonresponse replacement, the study confirmed a sound reflec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data from both regression imputation and a multiple imputations method. Random imputation and multiple imputation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tandard deviation provided by category which is generated from gender, level of education, satisfactory and the like. That said, the fewer the number in each cell, it is likely to derive a better result for random imputation and multiple imputations. Unlike expectation of higher mean square error compare to mean imputation in case of random imputation, the result was rather insignificant. While the impu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multiple imputations method seems to be appropriate for the data used in this study, the study confirmed the method does not always provide optimal practices in general. Furthermore, the nearest neighbor hot-deck imputation method or regression imputation are highly affected in variance which is used as auxiliary variance so that a solution for these shall be implemented and analyzed simultaneously.

      • 인적오류사건 통계자료 기반 인간신뢰도분석 방법론의 개선사항 도출

        이승우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Probabilistic Safety Analysis(PSA) has been considered as a useful tool to evaluate safety of large-scale facilities. In nuclear industry, PSA has been widely used after the TMI accident since it was indicated that major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accident progression was expected at WASH-1400 reports. However, there are challenges that make it difficult for the PSA results to be used in decision-making process. One of the challenges frequently cited is uncertainty of Human Reliability Analysis(HRA) results. Since there have been no HRA methods which have been widely accepted,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enhance the existing HRA methods or to suggest new one. However, most of technical attributes that need to be improved were mostly based on the experts’ judgements. In this study, human error data occurred from 1978 to 2021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a HuREX+ and INES.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technical attributes of domestic HRA methods were reviewed and attributes which need to be enhanced or to be additionally considered are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to be used as complementary approach for finding the attributes to be improved and also contribute to the improving the quality for domestic HRA methods.

      • 사회조사를 통해 본 정책 대상자들의 생활 의식 변화 : 청소년의 의식 변화에 대한 연구

        김영란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인간의 전체 생애 주기 중 신체?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최근 10년 동안 그들의 생활 의식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통계청 사회조사의 다섯 개 부문 즉, 가족, 보건, 사회 참여, 노동 그리고 문화와 여가 부문에서 청소년과 관련이 깊은 항목들에 대하여 연령, 성 그리고 학교급 등 인구집단별로 분석하고 그들의 의식 변화에 따른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 본 것이다. 가족부문에서는 청소년의 결혼, 동거 그리고 이혼에 관한 의식 변화로 최근 10년 동안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청소년 비율은 계속 감소, 동거는 찬성하는 비율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혼은 반대하는 비율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의식 변화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결혼은 하는 것이 좋고 동거는 반대 하고 이혼은 하지 말아야 하는 태도를 보이는 청소년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보건부문에서는 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와 그들의 건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청소년은 가정생활보다 학교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학교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응답한 청소년의 주관적 만족감은 상대적으로 가정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청소년보다 높았다. 청소년은 그들의 건강이 ‘좋다’고 평가한 비율이 70% 전후의 수치를 나타냈고 건강관리를 위하여 적정한 수면, 규칙적인 운동 그리고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하고 있다는 청소년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했지만 아침식사를 거르는 대학생이 절반을 넘어선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회참여 부문에서 알아 본 기부와 자원봉사 경험에 대해서는 기부를 해 본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향후 기부 의사도 같이 감소하는 추세였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자원봉사 경험은 90% 이상으로 대학생의 3배 정도 높게 나타났지만 자원봉사 횟수와 시간에서 질적 차이를 보였다. 19~24세 우리나라 청소년은 스스로를 중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본인 세대와 다음 세대에서 모두 계층 상승 이동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식이 강했다. 노동부문에서는 청소년이 직업을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인으로 적성과 흥미, 수입, 안정성이 80% 정도이며 학교급이 낮을수록 적성과 흥미를 더 고려하는 반면, 수입과 안정성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고려하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최근 10년 간 청소년이 선호하는 직장은 부동의 1위가 국가기관이었으며 남녀 청소년이 모두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화와 여가 부문에서 청소년의 여가 활동은 컴퓨터 게임, 인터넷 검색 그리고 TV 시청이 절반을 차지했으며 스포츠 활동을 하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고 TV 시청을 하는 청소년은 2017년에 삶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 통계적 방법을 통한 행정자료와 조사자료의 매칭

        박범수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들이 대량으로 생성되는 시대에 직면한 현재, 시시각각 발생하는 변화에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새로운 조사를 통해 정보를 얻는 방법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데이터 통합과 데이터 매칭의 방법을 통해서 조사목적에 맞는 데이터를 얻는 방법이 해외사례를 비롯하여 국내에서도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자료인 어업총조사 자료와 조사자료인 어업경영체 자료의 매칭을 활용하여 단일 데이터로서의 활용성을 제고해 보자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매칭의 방법으로는 고유 ID로 매칭하여 정확도가 높은 정확매칭 방법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계산된 사후 확률을 사용하여 매칭하는 성향점수 매칭방법(PSM)을 사용하였다. 정확매칭으로 두 데이터를 연계한 결과 고유ID의 부재로 두 데이터간의 공통변수들 중에서 활용도가 높은 변수들을 더하여 새로운 ID를 만들어서 매칭을 친행하였다. 그 결과 매우 낮은 매칭률을 보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성향점수 매칭방법은 총 3단계로 나누는데 1단계(1차매칭), 2단계(성향점수 매칭), 3단계(완전매칭)의 과정을 동해서 매칭률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는 단계별로 각각의 어업에 종사하는 분야별로 경우를 나누어 분석을 하였고 해당 경우는 동력어선을 보유한 사람의 경우를 분석해 보았다. 또한 특정지역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는데 해당 지역은 경상남도 하동군이다. 결과적으로 매칭에 활용할 변수들이 부족하고 두 데이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키 변수의 정의가 달라서 낮은 매칭률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통계조사대상처의 통계조사 만족도 및 기관성과 만족도 제고 방안 연구 : 조사대상별 통계조사 서비스영역 만족도 설문조사 분석 중심

        문정민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and user demands are making more diversified and specific requests.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now faced with obligations to meet various and detailed demands of its us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accordingly to satisfy the users. Henc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are conducting satisfaction surveys to better understand the needs of customers and to apply the results in setting the business strategy that will satisfy its customers. Currently, the survey environment has seriously deteriorated with decreasing satisfaction level among respondents of Statistics Korea due to deepening awareness on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individualism - i.e. increases in insecurity of leaking private information, response burdens, privacy concerns and non-respondent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invest efforts to improve service related issues in order to provide enhanced service to survey respondents. Past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 of Statistics Korea for survey respondents on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has been generally based on satisfaction surveys and their results. This study takes additional approach by considering perceptions on service quality by analyzing the effect of specific factors representing quality of different services on the overall satisfaction rate and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 find the most influential service factor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be ‘expertise in survey business process’ and ‘role as a government agency.’ For the improvement in service quality, ‘expertise in survey business process’ implies the needs for enhanced statistical knowledge and strengthened relationship with target respondents whereas ‘role as a government agency’ suggests the needs for pre-awareness on information protection of respondents as prescribed in the Statistics Act and improved public marketing activities. 변화하는 정보환경과 이용자의 요구는 갈수록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공공 및 민관기관은 다양하고 구체적인 이용자들의 요구를 이해하고 이에 부응하는 서비스의 질을 높여야만 하는 이용자 만족 경영을 추구해야하는 시점에 와 있다. 이에 공공 및 민관 기관에서는 고객의 니즈(needs)를 이해하고 이를 기관내부로 환류․적용함으로써 고객만족 경영의 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만족도조사를 하고 있다. 현재 통계조사 환경은 개인 정보유출에 대한 불안 증대, 응답부담 증가, 사생활 노출기피, 불응 대상처의 증가 등 개인정보 보호의식 및 개인주의 성향 심화에 따라 조사환경이 무엇보다 열악하고 이러한 열악한 조사환경으로 통계청 통계조사대상처의 만족도는 감소하고 있다. 그러므로 통계조사대상처에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통계조사대상처에 대한 통계청의 서비스 품질 속성들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현재까지 연구를 보면 단순히 만족도조사를 실시하여 결과에 대한 보고서 작성뿐으로,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을 바탕으로 서비스별 품질을 나타내는 세부항목별 요인들이 전반적 만족도 및 기관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요인은 “조사업무 전문성”과 “정부기관으로서의 역할” 요인이었고 서비스 품질 제고 방안으로 “조사업무 전문성”은 통계전문지식 향상 및 통계조사대상처와의 유대관계 강화, “정부기관으로서의 역할”은 통계법에 의한 응답자 정보보호 내용에 대한 사전 인지 및 홍보활동 강화를 제시하였다.

      • 생활시간조사를 중심으로 한 지역별 생활패턴에 대한 연구

        장연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quality of life could be said to change according to how one normally spends the 24 hours within a day; therefore, the study of a person’s daily activities holds a great significance in analyzing the modern quality of life. The following study applies the Time Use Survey in order to analyze how citizens spend time and identify regional patterns in lifestyl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observe patterns across the country in people’s activities on a normal 24-hour day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year 2004 and the year 2009 in the hours spent on daily activities, work, and recreational events, as well as the in-between transportations, depending on the geographical reg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working hours on a weekday have decreased in 2009 as compared to in 2004. Furthermore, in 2004, people in Kyungbook and Chungbook providences spent more hours on daily activities than people in big cities. However, the year 2009 saw an increase in this number even in metropolitan areas, especially in Seoul and Incheon. Overall, the residents of Chungbook and Kangwon providences spent the highest number of hours on daily activities. Also in 2009, time spent on education was higher than in 2004 and was centered on big cities. Finally, there were less housekeeping, family-care, and volunteering in 2009 in contrast to 2004. 하루 24시간의 생활시간을 일반적으로 어떻게 이용하는가에 따라서 삶의 질이 여러 가지로 변화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오늘날 현대인들의 삶의 질에 대한 논의에서 일상생활 활동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들이 주어진 하루 24시간을 어떤 형태로 보내고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조사인 생활시간조사(Time Use Survey)를 활용하여 지역별 생활패턴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이라는 공간을 고려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른 지역별 생활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으며 2004년과 2009년도 우리나라 국민의 일상적 생활시간·일하는 시간·여가 시간 그리고 관련된 이동시간이 지역별 공간에서 어떻게 차이가 나며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요 변수별로 지역별 차이 분석 결과 일에 대하여 평일의 경우 대부분 2004년도에 비해서 2009년도에 일하는 시간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개인유지활동에 대하여는 2004년 기준으로 경북, 충북 등 지방의 개인유지를 위한 활동은 높았고 대도시의 경우 대체로 낮았으나 2009년도에는 대도시의 경우도 개인유지활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경우가 많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서울, 인천 등에서 개인유지활동 비율이 높아졌으며 절대 수치로는 충북과 강원이 개인유지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의 경우 2004년에 비해 2009년에는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학습시간이 더욱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관리, 가족보살피기, 참여 및 봉사활동은 2004년에 비해 2009년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질문지 응답항목에 의한 비표본오차 사례분석

        문효실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 모집단을 대상으로 동일한 목적에서 실시된 설문조사 결과가 설문지 구성 중 응답항목의 형태변형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 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설문은 동일 집단에 동일 설문지로 서로 다른 2번의 시점에서 응답항목 변형을 주어 실시하였다. 응답항목은 중간 값을 포함한 기본 5점 척도 응답항목과 응답항목 형태에 변형을 준 설문지로 구성 되었다. 응답항목 변형 첫 번째는 ‘보통이다’라는 중간 값을 제거한 4점 척도 문항과 두 번째 ‘모르겠음’을 포함한 6점 척도 문항, 세 번째 7점 척도로 척도를 세분화 한 문항, 마지막으로 응답제시를 부정에서 긍정으로 선택지 순서를 바꾼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문항별로 적합성 검증 또는 평균차이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적합성 검증 결과 ‘보통이다’라는 중간 값 포함여부와 ‘모르겠음’이 포함된 문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척도를 세분화한 문항 일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평균차이 검증은 ‘모르겠음’이 포함된 문항과 응답 제시순서를 부정에서 긍정으로 변형시킨 선택지순서 변형 문항에서 실시하였는데, ‘모르겠음’이 포함된 일부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 되었으며, 선택지순서 변형 문항의 모든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