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 변화에 부응 할 수 있는 전문적인 치과위생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측면에 목적을 둘 수 있다. 기존 선행연구들을 통해 현행 치위생과 교육과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537945
서울: 단국대학교, 2006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교육과정및 학습지도연구 , 2006. 8
2006
한국어
617.607 판사항(20)
서울
(A) Study 0n the Curriculum for Dental Hygienist Education
iv, 34장: 삽도; 26 cm.
지도교수:이해명
참고문헌: 34장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 변화에 부응 할 수 있는 전문적인 치과위생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측면에 목적을 둘 수 있다. 기존 선행연구들을 통해 현행 치위생과 교육과정...
본 연구는 사회 변화에 부응 할 수 있는 전문적인 치과위생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측면에 목적을 둘 수 있다.
기존 선행연구들을 통해 현행 치위생과 교육과정에서 치과위생사의 활동 영역을 분류하고 설문지를 통하여 치과위생사의 역할과업무, 치과위생사들의 직업에 대한 전문성인식, 치위생전공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조사대상은 현재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SPSS WiN 12.0으로 빈도(Frequency) 분석 및 배치분산(ANOVA)을 실시하였다.
첫째, 치과위생사의 역할과 업무는 주로 치과진료보조 업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치과위생사의 전문성 인식에 대부분의 치과위생사들이 스스로가 직업에 대한 전문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부분의 치과위생사들은 임상에서 진료보조업무를 주로 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둘째, 치과위생사의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교육목표의 조사에서 중요하다고 나타난 구강보건교육, 예방치과처치, 국민건강보건, 구강건강관리 등의 내용이 현재 운영되고 있는 치과위생사의 교과과정에 제대로 반영되어 있지 않으므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치과위생사들의 현행 전공 교육과정에서 개선되어야할 사항에 대한 인식은 예방 및 공중구강보건분야와 현장실습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인식 하는 치과위생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구강보건교육 분야의 수업이 보완되어야 한다가 24.4%, 병원, 환자관리 관련수업 9.4%, 기초 치학분야의 수업을 3.9%, 교내실험실습이 2.2%, 치과진료보조분야 0.6% 그 외 기타 2.8%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치과위생사의 교육과정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진료보조업무 분야와 고유업무를 명확히 구분하여 고유업무인 예방치과업무나 구강보건업무 분야 중심으로 전문화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치위생 교육과정이 임상실무에서 전문성을 가진 직업인으로 거듭 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 과정의 개선 방향에 기여 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