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7316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70.154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High School Students

      • 형태사항

        8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동혁
        참고문헌: p. 59-65

      • 소장기관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life adaptation and what differences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hool life adaptation have in gender and grade. The questi...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life adaptation and what differences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hool life adaptation have in gender and grade. The questions to achieve these purpos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life adaptation have the difference in gender and grade?
      Second, what relationships do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life adaptation have ?
      Third, what relationships does the learning motivation factors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ve with school life adaptation?
      Fourth, what relationships does the cognitive factors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ve with school life adaptation?
      Fifth, what relationships does the behavior factors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ve with school life adaptation?
      Fo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228 male and female students at G high school in Gwangjin-Gu were randomly selected. For a tool for collecting the data, used "Self-Directed Leanring Scale" developed by Zimmerman and Martinez-Pons in 1986 and reconstituted by Im, Seok Bin in 2002, "Learning Motive Scale" developed by Kim, Hui Young in 1996, and "School Life Adaptation Scale" developed by Kim, Young Rase in 1993.
      To examine significance of average difference by gender and grade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life adaptation using SPSS WIN 16.0 program, t-test and F-test were conducted. To identify a relationship among each of variables about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life adapta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an impact of motive, cognition and behavior factor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on each variables of school life adapt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gender and grade statistically did not show the meaningful response difference.(p>.05).
      Second, the school life adaptation by gender and grade statistically did not show the meaningful response difference.(p>.05).
      Third, learning motive, cognition and behavior factors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entire school life adaptation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Namely, it is found that i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gets higher, the level of school life adaptation gets higher.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which sub-factors of a self-directed learning, such as cognitive factors, behavior factors and motive factors, had on the whole school life adjustment, the effect of the three sub-factors(cognitive, behavior, learning motive)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was meaningful and its explanatory effect was about 49.5%.
      But considering independent variables, 'environment constructing'(t=3.498,p<.01) in behavior factors had a positively meaningful effect, but 'organization and variation'(t=-.2.035, p<.05) in cognitive factors had a negatively meaningful on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in other factors. In case of looking at the each subordinate factors of the school life adjustment, it could be found that the things that affect on the subordinate ones were different by the each features, but generally behavior factors and motive factors had an positivel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school life adjus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교생활적응이 성별, 학년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자기주도학습과 학교생활적응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있다. 위의 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교생활적응이 성별, 학년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자기주도학습과 학교생활적응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있다.
      위의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학교생활적응은 성별,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가?
      2.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학교생활적응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2-1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학습동기요인은 학교생활적응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2-2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인지요인은 학교생활적응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2-3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행동요인은 학교생활적응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서울 광진구 소재 G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학생 228명을 임의로 표집하였으며, 자료수집의 도구는 「자기주도학습 척도」(Zimmerman & Martinez-Pons, 1986; 임석빈, 2002 재구성), 「학습동기척도」(김희영, 1996), 「학교생활적응척도」(김용래, 1993) 이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16.0을 이용하여 자기주도학습과 학교생활적응에서 성별, 학년별에 따른 평균 차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하기 위해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자기주도학습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각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학교생활적응의 각 변인들에 대한 자기주도학습의 인지, 행동, 동기요인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학년별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응답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둘째, 성별, 학년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응답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셋째, 자기주도학습의 학습동기, 인지, 행동 요인과 학교생활적응 전체에 대한 상관관계는 모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높아지면 학교생활적응 수준도 높아지는 관계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자기주도학습의 인지, 행동, 학습동기의 각 하위요인이 총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9.5%이다. 그러나 독립변수별로 보면 행동요인의 '환경구조화'(t=3.498, p<.01)가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요인의 '조직화 및 변형'(t=-.2.035, p<.05)은 부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생활적응의 각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은 그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행동요인과 동기요인이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4
      • 3. 연구의 제한점 = 5
      • Ⅱ. 이론적 배경 = 6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4
      • 3. 연구의 제한점 = 5
      • Ⅱ. 이론적 배경 = 6
      • 1. 자기주도학습 = 6
      • 2. 학교생활적응 = 14
      • 3. 자기주도학습과 학교생활적응 = 19
      • Ⅲ. 연구 방법 = 22
      • 1. 연구대상 = 22
      • 2. 측정도구 = 22
      • 3. 자료처리 및 분석 = 26
      • Ⅳ. 연구 결과 = 28
      •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8
      • 2. 변인에 따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 29
      • 3. 변인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 33
      • 4. 상관관계분석 = 36
      • 5. 중다회귀분석 = 40
      • Ⅴ. 요약 및 논의 = 48
      • 1. 요약 = 48
      • 2. 논의 = 51
      • 3. 제언 = 57
      • 참고문헌 = 59
      • 부 록 = 66
      • ABSTRACT = 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