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실습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계획된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ADDIE 모델의 5단계에 따라 실습실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함으로써 본 교육 프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625455
공주 :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 2023. 2
2023
한국어
충청남도
26 cm
지도교수: 조옥희
I804:44004-00000003303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실습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계획된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ADDIE 모델의 5단계에 따라 실습실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함으로써 본 교육 프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실습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계획된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ADDIE 모델의 5단계에 따라 실습실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함으로써 본 교육 프로그램의 실무 확산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로, 대상자는 충청도에 소재하는 교육과정이 유사한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학년을 각각 모집하였고 실험군 31명, 대조군 36명으로 총 67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대학생을 위한 실습실 안전교육 프로그램은 실습실 안전교육의 필요성(1회기), 전기 안전교육(2회기), 화재 및 소방 안전교육(3회기), 실습실 유해화학물질 및 폐기물 관리(4회기), 개인보호구 및 실습실 안전시설(5회기), 실습 중 스마트기기(휴대폰, 태블릿PC 등) 사용의 위험성(6회기), 실습실 안전사고 시 응급처치법(7회기), 실습 시 실천해야 하는 안전체크리스트 작성하기(8회기)로 총 8회기의 집단 교육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실험군에게는 연구자가 개발한 1회당 60분의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주 2회 총 4주에 걸쳐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연구자가 제작한 안전교육 소책자를 제공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5월부터 6월까지 약 2개월 동안 사전조사, 실험처치, 사후조사 순으로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χ²-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aired t-test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실습실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습실 안전에 대한 지식이 더 높아질 것이다.’라는 가설은 두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p<.001).
가설 2. ‘실습실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습실 안전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 것이다.’라는 가설은 두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p=.001).
가설 3. ‘실습실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습실 안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이 증가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두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기각되었다(p=.800).
가설 4. ‘실습실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습실 안전에 대한 지각된 행위 통제가 증가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두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p=.001).
가설 5. ‘실습실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습실 안전 행위 의도가 증가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두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기각되었다(p=.050).
가설 6. ‘실습실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습실 안전 행위가 증가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두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기각되었다(p=.502).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한 실습실 안전교육 프로그램은 안전 행위를 촉발시키고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효과적 교육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도구를 수정 및 보완하여 적용한다면 간호대학생의 실습실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