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종 청사: 어떻게 할 것인가? = Se-jong Government Office: What will we 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52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was presented at ‘Rebuilding Public Administration’, which was promoted as a planning session of the Seoul Associ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in 2017. This study explored the problem of administrative reality and its solutions rather than the exact research paper form.
      The relocation of the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o Se-jong City was planned by the legisl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constructed, moved to and completed according to the policy enforcement based on it. However, there are so many problems such as the presidential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administrative government, the nationwide distribution of administrative functions, the inconveniences of administrative officials, the difficulty of forming the Sejong City life zone, and the security of government offices. In order to correct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will have to invest a great deal of efforts and costs to Se-jong .
      It is necessary to relocate the Se-jong government office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irs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restore administrative power. Second,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distributed administrative power. If President, the Blue House, the Seoul Government Complex, the Se-jong Government Complex, the Gwa-cheon Government Complex, and the Dae-jeon Government Complex are gathered together, administrative inefficiency and excessive cost waste can be solved. Only then we will be able to expect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President, government officials and ministries. Third, it is more important to boost the morale and vitality of public official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administration as the center of national government. We must overcome excessive political dominance, and therefore bal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administration, normalize relationship and smooth communication. Fifth, the administration-centered long-term national governance structure should be re-established. Sixth, in order to reestablish the right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o move administrative capital to Seoul metropolitan area again.
      번역하기

      This paper was presented at ‘Rebuilding Public Administration’, which was promoted as a planning session of the Seoul Associ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in 2017. This study explored the problem of administrative reality and its solutions rather ...

      This paper was presented at ‘Rebuilding Public Administration’, which was promoted as a planning session of the Seoul Associ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in 2017. This study explored the problem of administrative reality and its solutions rather than the exact research paper form.
      The relocation of the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o Se-jong City was planned by the legisl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constructed, moved to and completed according to the policy enforcement based on it. However, there are so many problems such as the presidential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administrative government, the nationwide distribution of administrative functions, the inconveniences of administrative officials, the difficulty of forming the Sejong City life zone, and the security of government offices. In order to correct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will have to invest a great deal of efforts and costs to Se-jong .
      It is necessary to relocate the Se-jong government office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irs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restore administrative power. Second,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distributed administrative power. If President, the Blue House, the Seoul Government Complex, the Se-jong Government Complex, the Gwa-cheon Government Complex, and the Dae-jeon Government Complex are gathered together, administrative inefficiency and excessive cost waste can be solved. Only then we will be able to expect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President, government officials and ministries. Third, it is more important to boost the morale and vitality of public official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administration as the center of national government. We must overcome excessive political dominance, and therefore bal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administration, normalize relationship and smooth communication. Fifth, the administration-centered long-term national governance structure should be re-established. Sixth, in order to reestablish the right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o move administrative capital to Seoul metropolitan area aga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서울행정학회의 기획 세션으로 추진된 ‘2017 행정 바로 세우기: Rebuilding Public Administration’에서 발표된 것이다. 엄밀한 연구 논문 형태보다는 행정 현실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그 해결 방안을 살펴본 것이다.
      행정 기관의 세종시 이전은 국회에서 제정한 법규와 그를 토대로 한 정책 집행을 통해 계획대로 건설되고, 기관 이전이 완성되었다. 하지만 대통령의 행정부 통솔 문제, 국회와 행정부 업무 관계, 행정 기능의 전국적 분산 문제, 행정 공무원의 근무 및 생활 불편, 세종시 생활권 형성의 어려움, 정부 청사의 안전 등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런 문제를 시정하기 위해서는 또 다시 엄청난 노력과 비용을 세종시, 정부 청사 완성화에 투자해야만 한다.
      세종 정부 청사의 서울 수도권 재이전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첫째, 행정력 복원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둘째, 분산된 행정력을 재결집할 필요가 있다. 대통령과 청와대, 서울 청사, 세종 청사, 과천 청사, 대전 청사를 하나로 집결해야만 행정 비능률과 과다한 비용 낭비를 해소할 수 있다. 그래야만 대통령과 각 부처 공무원, 부처별 소통과 협력 촉진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공무원의 사기 진작, 활력 증대가 더없이 중요하다. 넷째, 행정을 국가 통치의 중심으로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지나친 정치 우위 현상을 극복하고, 국회와 행정부의 관계를 균형 잡고, 관계를 정상화하며, 소통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다섯째, 행정 중심의 장기 국가 통치 구도를 재확립해야 한다. 여섯째, 행정부의 바른 지리적 위치 재확립 차원에서 서울 수도권으로 이전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서울행정학회의 기획 세션으로 추진된 ‘2017 행정 바로 세우기: Rebuilding Public Administration’에서 발표된 것이다. 엄밀한 연구 논문 형태보다는 행정 현실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그 ...

      이 논문은 서울행정학회의 기획 세션으로 추진된 ‘2017 행정 바로 세우기: Rebuilding Public Administration’에서 발표된 것이다. 엄밀한 연구 논문 형태보다는 행정 현실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그 해결 방안을 살펴본 것이다.
      행정 기관의 세종시 이전은 국회에서 제정한 법규와 그를 토대로 한 정책 집행을 통해 계획대로 건설되고, 기관 이전이 완성되었다. 하지만 대통령의 행정부 통솔 문제, 국회와 행정부 업무 관계, 행정 기능의 전국적 분산 문제, 행정 공무원의 근무 및 생활 불편, 세종시 생활권 형성의 어려움, 정부 청사의 안전 등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런 문제를 시정하기 위해서는 또 다시 엄청난 노력과 비용을 세종시, 정부 청사 완성화에 투자해야만 한다.
      세종 정부 청사의 서울 수도권 재이전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첫째, 행정력 복원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둘째, 분산된 행정력을 재결집할 필요가 있다. 대통령과 청와대, 서울 청사, 세종 청사, 과천 청사, 대전 청사를 하나로 집결해야만 행정 비능률과 과다한 비용 낭비를 해소할 수 있다. 그래야만 대통령과 각 부처 공무원, 부처별 소통과 협력 촉진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공무원의 사기 진작, 활력 증대가 더없이 중요하다. 넷째, 행정을 국가 통치의 중심으로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지나친 정치 우위 현상을 극복하고, 국회와 행정부의 관계를 균형 잡고, 관계를 정상화하며, 소통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다섯째, 행정 중심의 장기 국가 통치 구도를 재확립해야 한다. 여섯째, 행정부의 바른 지리적 위치 재확립 차원에서 서울 수도권으로 이전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찬동, "행정중심복합도시와 국정 효율성 확보방안" 2005

      2 전영평, "행정중심도시와 국정관리의 효율성" 2005

      3 양현모, "행정기관 분산・배치에 관한 연구: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에 따른 문제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007

      4 박재홍, "행정 수도 이전 외국 사례 분석 및 시사점" 19 : 71-75, 2004

      5 송정훈, "해외 수도 이전 사례 분석을 통한 세종특별자치시 자족기능 강화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3

      6 최진혁,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에 따른 세종특별자치시의 발전과제: 정부부처 이전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43-170, 2015

      7 행정안전부, "정부 세종청사 건립 백서" 2015

      8 임병호, "전출입인구에 기초한 세종시와 지역간 연관성 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28 (28): 177-191, 2015

      9 주성재, "외국의 행정수도 및 공공기관 이전 사례와 시사점" 한국지역학회 19 (19): 187-208, 2003

      10 이왕건, "외국의 수도 건설 사례와 시사점" 2003

      1 김찬동, "행정중심복합도시와 국정 효율성 확보방안" 2005

      2 전영평, "행정중심도시와 국정관리의 효율성" 2005

      3 양현모, "행정기관 분산・배치에 관한 연구: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에 따른 문제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007

      4 박재홍, "행정 수도 이전 외국 사례 분석 및 시사점" 19 : 71-75, 2004

      5 송정훈, "해외 수도 이전 사례 분석을 통한 세종특별자치시 자족기능 강화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3

      6 최진혁,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에 따른 세종특별자치시의 발전과제: 정부부처 이전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43-170, 2015

      7 행정안전부, "정부 세종청사 건립 백서" 2015

      8 임병호, "전출입인구에 기초한 세종시와 지역간 연관성 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28 (28): 177-191, 2015

      9 주성재, "외국의 행정수도 및 공공기관 이전 사례와 시사점" 한국지역학회 19 (19): 187-208, 2003

      10 이왕건, "외국의 수도 건설 사례와 시사점" 2003

      11 이경기, "신행정수도 건설 선진 사례로부터의 교훈" 2003

      12 건설교통부, "시민친화도 및 행정효율성 제고를 위한 공공기관 배치방안" 2006

      13 최용환, "세종시의 국정효율성 확보방안" 2011

      14 류현숙, "세종시 정부청사 이전에 따른 공무원의 일과 삶의 만족도 분석" 한국국정관리학회 23 (23): 203-224, 2013

      15 한국능률협회, "세종시 이전에 따른 행정효율성 진단 및 지원방안 연구" 행정안전부 2012

      16 허준영, "세종시 이전 기관 공무원이 경험하는 행정비효율성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9 (49): 127-159, 2015

      17 엄승용, "세종시 사회통합의 방향과 범위: 사회자본 관점의 주요 이슈" 8 (8): 41-75, 2013

      18 이지현, "세종시 건설 전후 인구 이동 및 산업구조 변화 효과 분석" 1-12, 2017

      19 안영진, "독일의 수도 이전: 베를린 천도과정과 그 함의" 7 (7): 2001

      20 박양호,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한 중추기능의 공간적 재편 방안" 국토연구원 2002

      21 전영평, "국정운영의 측면에서 본 세종시 정부 분할 이전의 평가" 사회과학연구원 17 (17): 75-95,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7 1.17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18 1.419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