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학교 전공과 장애학생의 교육실태 및 지원 요구 : 학부모와 교사와의 면담 결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 and Needs of Supports for the Post-High School Specialized Vocational Porgram Disabilities Students in Special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65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environment of transition education through researching individual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teachers and parents by focused group interview to recognize controversial point and improvement plan about special education variously.
      For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11 teachers and 9 parents with children in major of H intellectual disability special school located Kyongnam participated in focused group interview. The data from interview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about satisfactions, controversial points, improvement plans were deducted, based on them, the results of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satisfactions of parents and teachers about transition educa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were higher commonly on a material supports from government, educational facilities, learning materials than policies of government, services on handicapped person. Second, the parents and teachers commonly indicated controversial point of transition educa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about insufficiency of equity and rationality on execution of welfare budget. And the teachers indicated controversial point of transition education about parents' excessive demands and deficient understanding on major, weakening of standard to select and arrange students, confusion of purpose and identity to major foundation, excess of the total number per class, absence of special educational assistant, insufficiency of educational policies. Third, teachers mainly suggested improvement plan of transition educa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about realization of major curriculum, sheltered workshop with good support system, subdivision of major organization and variety of education program etc.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environment of transition education through researching individual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teachers and parents by focused group interview to recognize controversial point and improvement plan about spec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environment of transition education through researching individual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teachers and parents by focused group interview to recognize controversial point and improvement plan about special education variously.
      For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11 teachers and 9 parents with children in major of H intellectual disability special school located Kyongnam participated in focused group interview. The data from interview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about satisfactions, controversial points, improvement plans were deducted, based on them, the results of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satisfactions of parents and teachers about transition educa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were higher commonly on a material supports from government, educational facilities, learning materials than policies of government, services on handicapped person. Second, the parents and teachers commonly indicated controversial point of transition educa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about insufficiency of equity and rationality on execution of welfare budget. And the teachers indicated controversial point of transition education about parents' excessive demands and deficient understanding on major, weakening of standard to select and arrange students, confusion of purpose and identity to major foundation, excess of the total number per class, absence of special educational assistant, insufficiency of educational policies. Third, teachers mainly suggested improvement plan of transition educa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about realization of major curriculum, sheltered workshop with good support system, subdivision of major organization and variety of education program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과 부모들을 대상으로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다양한 각도에서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소재 H 특수학교의 전공과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11명과 전공과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부모 9명을 대상으로 각각 핵심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공과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들의 만족도는 정부의 물적 지원, 교육시설 및 학습 자료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다소 높았으나, 정부 정책 및 장애인 복지 업무, 전공과 설치 및 운영, 교사자질 및 수업태도에서 불만을 나타내었다. 둘째, 전공과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에 대한 문제점에 있어서 교사와 부모 모두 복지 예산 집행의 형평성 및 합리성 부족과 사회 복지 정책 지원체계가 미흡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은 부모의 과도한 요구 및 전공과 이해 부족으로 인한 전공과의 정체성 혼란을 지적하였고 부모들은 교육프로그램의 현실성 부족을 언급하였다. 셋째, 개선 방안에 있어서 정부 직영사업장 설치 및 보호작업장 확충과 교사의 전문성 자질 함양, 교육여건 개선,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과 부모들을 대상으로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다양한 각도에서 ...

      본 연구는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과 부모들을 대상으로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다양한 각도에서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소재 H 특수학교의 전공과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11명과 전공과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부모 9명을 대상으로 각각 핵심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공과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들의 만족도는 정부의 물적 지원, 교육시설 및 학습 자료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다소 높았으나, 정부 정책 및 장애인 복지 업무, 전공과 설치 및 운영, 교사자질 및 수업태도에서 불만을 나타내었다. 둘째, 전공과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에 대한 문제점에 있어서 교사와 부모 모두 복지 예산 집행의 형평성 및 합리성 부족과 사회 복지 정책 지원체계가 미흡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은 부모의 과도한 요구 및 전공과 이해 부족으로 인한 전공과의 정체성 혼란을 지적하였고 부모들은 교육프로그램의 현실성 부족을 언급하였다. 셋째, 개선 방안에 있어서 정부 직영사업장 설치 및 보호작업장 확충과 교사의 전문성 자질 함양, 교육여건 개선,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효, "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졸업생들의 삶에 관한 어머니들의 보고"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245-276, 2008

      2 신경림, "포커스그룹 : 질적연구방법" 현문사 2004

      3 김영애, "특수학교 졸업예정자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8

      4 김봉수,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실태와 개선 방안"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0

      5 류문화,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 개선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0

      6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08

      7 권용규, "특수교사들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박성우, "정신지체 학생의 성인기 전환을 위한 전환계획과 자기 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수준 비교" 10 (10): 169-192, 2003

      9 조인수,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전환교육 실천 사항에 대한 실행 수준"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455-479, 2005

      10 권영미,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교사의 전환교육 인식 수준"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 김정효, "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졸업생들의 삶에 관한 어머니들의 보고"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245-276, 2008

      2 신경림, "포커스그룹 : 질적연구방법" 현문사 2004

      3 김영애, "특수학교 졸업예정자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8

      4 김봉수,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실태와 개선 방안"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0

      5 류문화,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 개선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0

      6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08

      7 권용규, "특수교사들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박성우, "정신지체 학생의 성인기 전환을 위한 전환계획과 자기 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수준 비교" 10 (10): 169-192, 2003

      9 조인수,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전환교육 실천 사항에 대한 실행 수준"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455-479, 2005

      10 권영미,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교사의 전환교육 인식 수준"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1 조분래,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환교육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기준 개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12 이화영,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변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3 김지혜,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14 안지영,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실태 및 개선 방안"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15 도금숙,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및 전환교육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0

      16 조인수, "전환교육의 발달과정과 실천적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75-202, 2002

      17 이윤수, "전공과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조사"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8 김진호, "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지역사회훈련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적용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25-40, 2002

      19 박희찬, "장애졸업생 추적조사와 전환교육"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79-112, 2002

      20 보건복지가족부, "장애인복지지표"

      21 홍은숙, "장애영아교육 및 조기개입의 개선 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259-284, 2008

      22 Bogdan, "교육 연구의 새 접근: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1982

      23 Halpern, A. S, "Transition: A look at the founcations" 51 (51): 479-486, 1985

      24 Sitlington, P. L.,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llyn & Bacon 2000

      25 Berne-Smith, M., "Mental retardation(7th Ed.)" Merrill Prentice Hall 2006

      26 Cronin, M. E., "Life skill instruction for al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 practical guide for integrating real-life content into the curriculum" Pro-Ed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